KR102151010B1 - 멀티니들모듈 및 그것의 사용을 위한 자동시술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니들모듈 및 그것의 사용을 위한 자동시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010B1
KR102151010B1 KR1020180041837A KR20180041837A KR102151010B1 KR 102151010 B1 KR102151010 B1 KR 102151010B1 KR 1020180041837 A KR1020180041837 A KR 1020180041837A KR 20180041837 A KR20180041837 A KR 20180041837A KR 102151010 B1 KR102151010 B1 KR 102151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pattern
needle module
needle
module
vertic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8462A (ko
Inventor
이종대
Original Assignee
봄텍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봄텍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봄텍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1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010B1/ko
Priority to PCT/KR2019/004175 priority patent/WO2019199005A1/ko
Publication of KR20190118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57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5Multiple needle devices, e.g. a plurality of needles arranged coaxially or in parallel
    • A61M5/3298Needles arranged in parall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2037/0007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having means for enhancing the permeation of substances through the epidermis, e.g. using suction or depression, electric or magnetic fields, sound wav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46Solid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61Methods for using 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자동시술장치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피부시술용 멀티니들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니들모듈은, 내부공간을 둘로 구획하는 내부수직벽을 포함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배열된 복수의 니들; 상기 하우징부에 고정되며 상기 자동시술장치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받는 제1 및 제2 전극단자; 상기 하우징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복수의 니들이 고정되며, 상기 내부수직벽과 마주하여 배치된 도체패턴판이 결합된 니들장착부; 및 상기 가동유닛을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내부수직벽과 상기 도체패턴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전극단자와 상기 도체패턴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스프링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니들모듈 및 그것의 사용을 위한 자동시술장치{Multi-needle module and automatic procedure apparatus for use of the same}
본 발명은 멀티니들모듈 및 그것의 사용을 위한 자동시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주파 전달구조 및 자동시술장치에 대한 장착구조가 개선된 멀티니들모듈 및 그것의 사용을 위한 자동시술장치에 관한 것이다.
멀티니들모듈은 피부 치료, 피부 노화 방지, 피부 미용, 피부 성형 등의 목적으로 영양제, 약물과 같은 침투 대상물을 피부 안으로 침투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시술 도구로서, 동시에 작동하는 다수의 니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어서 시술 시간이 단축되고 고른 시술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멀티니들모듈은 니들 종류에 따라 직접주입식 모듈과 간접주입식 모듈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직접주입식 모듈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주입통로(injection passage)가 있는 중공형 니들(hollow-type needles)을 구비한 모듈을 의미하며, 간접주입식 모듈은 그러한 주입홀이 없는 솔리드형 니들(solid-type needles)을 구비한 모듈을 의미한다.
직접주입식 모듈의 경우 그에 연결되는 주사기로부터 주입액을 받아 이를 중공형 니들을 통해 피부 속에 직접 침투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며, 간접주입식 모듈의 경우 피부 표면에 미리 도포된 침투대상물이 피부 속으로 침투할 수 있도록 피부를 단순히 펀칭해주는 용도로 사용된다.
멀티니들모듈은 자동시술장치에 장착되어 사용됨이 일반적이며, 그러한 자동시술장치는 멀티니들모듈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기본적으로 제공하며, 시술 중 피부 활성화를 위한 고주파, 시술 중 피부 텐셔닝(tensioning)을 위한 흡입력을 추가로 제공하기도 한다.
고주파 기능 및 흡입 기능을 위한 멀티니들모듈의 구조 설계는 제품에 따라 다양한데, 종래의 멀티니들모듈의 구조에서 특히 고주파 기능을 위한 구조가 복잡하거나 고주파 전달이 안정적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시술의 고품질, 시술자의 편의를 위해서는 멀티니들모듈이 자동시술장치에 안정적으로 그리고 쉽게 장착될 것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종래 기술을 찾아보기 어렵다.
삭제
등록특허번호 제10-1522215호(등록일: 2015.05.15.)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한 것으로서 멀티니들모듈의 고주파 전달 구조 및 자동시술장치에 대한 장착구조를 개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자동시술장치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피부시술용 멀티니들모듈로서, 내부공간을 둘로 구획하는 내부수직벽을 포함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배열된 복수의 니들; 상기 하우징부에 고정되며 상기 자동시술장치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받는 제1 및 제2 전극단자; 상기 하우징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복수의 니들이 고정되며, 상기 내부수직벽과 마주하여 배치된 도체패턴판이 결합된 니들장착부; 및 상기 니들장착부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내부수직벽과 상기 도체패턴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전극단자와 상기 도체패턴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멀티니들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도체패턴판에는 제1 도체패턴 및 제2 도체패턴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니들 중 일부는 상기 제1 도체패턴을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니들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2 도체패턴을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스프링부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전극단자와 상기 제1 도체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스프링부재 중 다른 어느 하나가 상기 제2 전극단자와 상기 제2 도체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도체패턴 각각에는 니들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체패턴판에는 상기 제1 및 제2 도체패턴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연결단자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에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부재의 후단이 각각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단자는 각각 상기 하우징부 밖으로 노출된 수평부 및 상기 내부수직벽에 고정된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극단자의 수직부에 상기 제1 스프링부재의 전단이 접촉되고, 상기 제2 전극단자의 수직부에 상기 제2 스프링부재의 전단이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프링부재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구비되며, 각각의 스프링부재는 상기 복수의 니들 중 하나에 의해 통과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내부수직벽의 테두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흡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내부수직벽의 일측으로부터 전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배치된 복수의 니들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자동시술장치의 니들모듈장착부에 구비된 탄성편삽입홈에 삽입되는 한 쌍의 탄성편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편의 외측면에는 상기 니들모듈장착부에 구비된 로킹돌기삽입공에 삽입되는 로킹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니들모듈에 의하면, 니들 동작을 위해 멀티니들모듈 내에 구비되는 스프링부재가 고주파 전극 단자와 니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보조하는 기능도 수행하므로 멀티니들모듈의 고주파 전달 구조가 매우 간단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니들모듈에 의하면, 멀티니들모듈의 하우징부에 로킹돌기를 가진 한 쌍의 탄성편이 구비되어 자동시술장치에 멀티니들모듈이 간편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1은 멀티니들모듈의 실시예 및 그것의 사용을 위한 자동시술장치의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멀티니들모듈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멀티니들모듈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멀티니들모듈에 구비되는 니들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멀티니들모듈을 보이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멀티니들모듈을 보이는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멀티니들모듈에 작동보조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멀티니들모듈을 보이는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멀티니들모듈에 구비된 도체패턴판의 인쇄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니들모듈의 실시예 및 이를 위한 자동시술장치의 실시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시술장치(1)는 외부케이싱(미도시), 고정프레임(10), 무빙프레임(20), 클램핑유닛(미도시), 피스톤푸셔(30), 구동부(40), 진공원(50), 고주파발생기(60) 및 전원부(70)를 포함한다.
외부케이싱(미도시)은 자동시술장치(1)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이다. 일례로 외부케이싱은 앞뒤로 길다란 몸통부와 그와 대략 직각을 이루는 핸들부를 구비한 건(gun) 유사 형태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외부케이싱은 상측으로 개방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프레임(10)은 외부케이싱 내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이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프레임(10)은 제작 편의성을 위해 외부케이싱과 별개 부품이지만, 대안 실시예에서 고정프레임(10)은 외부케이싱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프레임(10)의 전단부(11)의 양측에는 니들모듈장착부(13)가 구비된다. 니들모듈장착부(13)는 멀티니들모듈(100)의 탄성편(111)이 삽입되는 탄성편삽입홈(13a) 및 그 탄성편(111)의 외측면에 형성된 로킹돌기(112)(도 2 참조)가 삽입되는 로킹돌기삽입공(13b)이 구비된다.
무빙프레임(20)은 일정폭 범위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프레임(10)에 설치되는 프레임이다. 이러한 무빙프레임(20) 상에 작동보조구(2)가 올려져 안착된다. 그리고 무빙프레임(20)에 설치된 클램핑유닛(미도시)에 의해 작동보조구(2)가 무빙프레임(20)에 고정된다.
여기서, 작동보조구(2)는 멀티니들모듈(100)이 솔리드형 니들을 구비한 간접주입식 모듈인 경우에 무빙프레임(20)과 멀티니들모듈(100)을 연결하여 무빙프레임(20)의 전후진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멀티니들모듈(100)이 작동하도록 돕는 보조구이다. 멀티니들모듈(10)이 솔리드형 니들을 구비한 간접주입식 모듈인 경우 반드시 작동보조구(60)를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그 대신 주시기(50)를 사용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보조구(2)는 무빙프레임(20)에 클램핑되는 바디부(2a)와 그 전단에 형성된 결합부(2b)로 구성될 수 있다.
피스톤푸셔(30)는 무빙프레임(20)에 멀티니들모듈에 주입액을 공급하기 위한 주사기가 장착되어 사용되는 경우, 주사기의 피스톤을 앞으로 밀어내는 구성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프레임(20)에 작동보조구(2)가 장착되어 사용될 경우에는, 피스톤푸셔(30)의 푸싱 동작이 필요하지 않다.
구동부(40)는 무빙프레임(20) 및 피스톤푸셔(30)를 구동시키는 구성이다.
일례로, 구동부(40)는 무빙프레임(20)의 구동을 위한 구성으로서 고정프레임(10)에 장착된 제1모터(미도시) 및 그 모터축과 고정프레임(10) 사이에 연결된 제1 리드스크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모터의 정역 회전에 따라 제1리드스크류를 통해 제1모터에 연결된 무빙프레임(20)이 앞뒤로 전후진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구동부(40)는 피스톤푸셔(30)의 구동을 위한 구성으로서 무빙프레임(20)에 장착된 제2 모터(미도시) 및 그 모터축과 피스톤푸셔(30) 사이에 연결된 제2리드스크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2모터의 정역 회전에 따라 제2리드스크류를 통해 제2모터에 연결된 피스톤푸셔(30)가 앞뒤로 전후진할 수 있다.
진공원(50)은 흡입라인(51)을 통해 멀티니들모듈(100)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흡입력은 멀티니들모듈(100)에 의한 피부 시술 중에 제공되어 시술 대상 피부를 잡아당겨 텐셔닝(시키는 역할을 한다. 진공원(50)은 자동시술장치(1) 내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도 있고, 자동시술장치(1) 밖에 별도 설치된 것일 수도 있다.
고주파발생기(60)는 멀티니들모듈(100)에 의한 피부 시술 중에 고주파를 발생시켜 멀티니들모듈(100)에 제공하는 구성이다. 멀티니들모듈(100)에 제공된 고주파는 멀티니들모듈(100)에 구비된 니들(131)(도 3 참조)을 통해 시술 대상 피부에 전달된다.
전원부(70)는 구동부(40), 진공원(50) 및 고주파발생기(60)에 이들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니들모듈(100)은 전술한 작동보조구(2)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간접주입식 모듈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간접주입식 모듈인 멀티니들모듈(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니들모듈(100)은 하우징(110), 가동유닛(130), 복수의 코일스프링(151,152,153,154) 및 제1,2 전극단자(171,172)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10)는 그 내부공간을 두 공간으로 구획하는 내부수직벽(110a)과, 내부수직벽(110a)로부터 하우징부의 전방향을 향해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니들가이드(119)와, 내부수직벽(110a)의 테두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니들가이드(119)를 둘러싸는 배치를 갖는 흡입부(120)를 포함한다.
복수의 니들가이드(119)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하지만 복수의 니들가이드(119)는 매트릭스 형태의 배열 이외의 다른 배열을 이룰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니들가이드(119)는 일정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흡입부(120)의 저면에는 흡입부(120)의 내측공간에 연통된 흡입라인포트(125)가 형성된다. 이러한 흡입라인포트(125)에 전술한 흡입라인(51)(도 1 참조)이 연결되며, 이를 통해 진공원(50)의 흡입력이 흡입부(120) 내 공간에 제공된다.
시술 도중 흡입부(120)의 선단면이 시술 대상 피부에 밀착되며, 이때 진공원(50)으로부터 흡입부(120)에 전달된 흡입력의 작용으로 대상 피부가 텐셔닝되면서 복수의 니들가이드(119) 측으로 밀착된다. 따라서 복수의 니들가이드(119)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니들(131)이 피부에 실질적으로 균일한 깊이로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탄성편(111)이 구비된다. 탄성편(111)은 하우징부(110)의 측면과 저면 사이의 경계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판체 형상이되 상방으로 갈수록 측면으로부터 점점 멀어지는 배치를 갖는다. 그리하여 탄성편(111)은 외력에 의해 내측으로 눌려진 경우 외측으로 탄성복원력을 작용한다. 그리고 탄성편(111)의 외측면에는 로킹돌기(11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니들모듈(100)이 고정프레임(10)에 장착될 때, 탄성편(111)은 고정프레임(10)의 탄성편삽입홈(13a)에 삽입되면서 내측으로 눌려짐으로써 외측으로 탄성복원력을 작용하며 이에 의해 멀티니들모듈(100)이 고정프레임(10)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편(111)이 탄성편삽입홈(13a)에 삽입되는 도중 로킹돌기(112)가 고정프레임(10)의 로킹돌기삽입공(13b)에 삽입됨으로써 멀티니들모듈(100)이 고정프레임(10)에 로킹된다.
고정프레임(10)으로부터 멀티니들모듈(100)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로킹돌기(112)가 로킹돌기삽입공(13b)로부터 빠져나오게 탄성편(111)의 상부를 안쪽으로 누른 상태로 멀티니들모듈(100)을 들어올리면 된다.
가동유닛(130)은 복수의 니들(131)과, 도체패턴판(132)과, 니들장착부(160)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니들(131)은 그 후단이 니들장착부(160)에 고정되고, 도체패턴판(132)을 관통하며 그 앞부분이 니들가이드(119)에 삽입된 배치를 갖는다. 복수의 니들가이드(119)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니들(131)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니들(131)은 주입통로가 없는 솔리드형 니들(solid-type needles)로 구비된다.
도체패턴판(132)은 니들장착부(160)의 선단측에 고정된다. 도체패턴판(132)에는 복수의 니들관통홀(133)이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패턴판(132)은 제1 및 제2 연결단자(134a, 134b) 그리고 제1 및 제2 도체패턴(135a, 135b)을 갖는다.
여기서 제1 및 제2 연결단자(134a, 134b)는 제1 및 제2 전극단자(171, 17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들이며, 이러한 제1 및 제2 연결단자(134a, 134b)에 제1 및 제2 도체패턴(135a, 135b)이 다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기적인 연결 관계로부터 제1 및 제2 도체패턴(135a, 135b)은 제1 및 제2 전극단자(171, 17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전술한 복수의 니들관통홀(133)은 그 중 일부는 제1 도체패턴(135a)과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그 중 나머지는 제2 도체패턴(135b)과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체패턴판(132)에는 총 9개의 니들관통홀(133)이 형성되어 있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체패턴(135a)에는 4개의 니들관통홀(133)이 배열되고 제2 도체패턴(135b)에는 5개의 니들관통홀(133)이 배열된다.
니들장착부(160)는 바디부(161) 및 보조구결합부(162)를 포함한다.
바디부(161)는 하우징(110)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디부(161)의 상하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161a, 161b)가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10)에는 이러한 가이드돌기(161a, 161b)가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115, 116)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돌기(161a, 161b)가 가이드홈(115, 116)을 따라 그 움직임이 안내됨으로써 가동유닛(130)의 전후 이동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보조구결합부(162)는 전술한 작동보조구(2)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복수의 코일스프링(151,152,153,154)은 가동유닛(130)에 아무런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은 경우 가동유닛(130)이 후퇴 상태의 초기 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가동유닛(130)에 후방 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복수의 코일스프링(151,152,153,154)은 그 전단은 내부수직벽(110a) 측에 밀착되고 그 후단은 도체패턴판(132)에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코일스프링(151,152,153,154)은 니들(131) 중 하나가 그것을 통과하는 배치를 갖는다.
제1 및 제2 전극단자(171,172)는 고정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된 제1 및 제2 고주파 단자(181,182)에 접속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고주파 단자(181,182)는 고주파발생기(60)에 연결된 단자이다. 따라서 고주파발생기(60)에서 발생된 고주파 신호가 제1 및 제2 전극단자(171,172)를 통해 멀티니들모듈(100)에 제공될 수 있다.
멀티니들모듈(100)에 제공되는 고주파 신호는 복수의 니들(133)을 통해 피부에 전해지게 되며, 제1 및 제2 전극단자(171,172)에 인가된 고주파 신호가 복수의 니들(133)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일부 코일스프링(151,152)이 그 전달 과정에 기여한다.
이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전극단자(171)는 수평부(173) 및 수직부(174)로 이루어진다. 수평부(173)는 하우징(110)의 저면에 고정된 배치를 가지며, 수직부(174)는 내부수직벽(110a)에 밀착된 배치를 갖는다. 그리고 수직부(174)에는 니들(131) 통과를 위한 홀(175)(도 3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단자(171)에는 제1 코일스프링(151)의 선단이 밀착되어 있어서 제1 전극단자(171)에 가해진 고주파 신호가 제1 코일스프링(151)으로 전해질 수 있으며, 제1 코일스프링(151)에 전해진 고주파 신호는 제1 코일스프링(151)의 후단에 접촉된 제1 연결단자(134a)에 전해지며, 제1 연결단자(134a)에 전해진 고주파 신호는 제1 연결단자(134a)를 통과하는 1개의 니들(131) 및 제1 도체패턴(135a)(도 9 참조)을 통해 제1 연결단자(134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른 3개의 니들(131)에 전해진다.
이와 같은 원리로, 제2 전극단자(172)에는 제2 코일스프링(152)의 선단이 밀착되어 있어서 제2 전극단자(172)에 가해진 고주파 신호가 제2 코일스프링(152)으로 전해질 수 있으며, 제2 코일스프링(152)에 전해진 고주파 신호는 제2 코일스프링(152)의 후단에 접촉된 제2 연결단자(134b)에 전해지며, 제2 연결단자(134b)에 전해진 고주파 신호는 제2 연결단자(134b)를 통과하는 1개의 니들(131) 및 제2 도체패턴(135b)(도 9 참조)을 통해 제2 연결단자(134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른 4개의 니들(131)에 전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자동시술장치
2 : 작동보조구
10 : 고정프레임
13 : 니들모듈장착부
13a : 탄성편삽입홈
13b : 로킹돌기삽입공
20 : 무빙프레임
30 : 피스톤푸셔
100 : 멀티니들모듈
110 : 하우징부
111 : 탄성편
112 : 로킹돌기
119 : 니들가이드
120 : 흡입부
130 : 가동유닛
131 : 니들
132 : 도체패턴판
134a : 제1 연결단자
134b : 제2 연결단자
135a : 제1 도체패턴
135b : 제2 도체패턴
151, 152, 153, 154 : 스프링부재
160 : 니들장착부
171 : 제1 전극단자
172 : 제2 전극단자
173 : 수평부
174: 수직부

Claims (10)

  1. 자동시술장치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피부시술용 멀티니들모듈로서,
    내부공간을 둘로 구획하는 내부수직벽을 포함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배열된 복수의 니들;
    상기 하우징부에 고정되며 상기 자동시술장치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받는 제1 및 제2 전극단자;
    상기 하우징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복수의 니들이 고정되며, 상기 내부수직벽과 마주하여 배치된 도체패턴판이 결합된 니들장착부; 및
    상기 니들장착부를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내부수직벽과 상기 도체패턴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전극단자와 상기 도체패턴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멀티니들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체패턴판에는 제1 도체패턴 및 제2 도체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니들 중 일부는 상기 제1 도체패턴을 통과하고, 상기 복수의 니들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2 도체패턴을 통과하며,
    상기 복수의 스프링부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전극단자와 상기 제1 도체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스프링부재 중 다른 어느 하나가 상기 제2 전극단자와 상기 제2 도체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멀티니들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체패턴 각각에는 니들관통홀이 형성된
    멀티니들모듈.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체패턴판에는 상기 제1 및 제2 도체패턴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연결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에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부재의 후단이 각각 접촉되는
    멀티니들모듈.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단자는 각각 상기 하우징부 밖으로 노출된 수평부 및 상기 내부수직벽에 고정된 수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단자의 수직부에 상기 제1 스프링부재의 전단이 접촉되고, 상기 제2 전극단자의 수직부에 상기 제2 스프링부재의 전단이 접촉되는
    멀티니들모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프링부재는 코일스프링 형태로 구비되며, 각각의 스프링부재는 상기 복수의 니들 중 하나에 의해 통과되도록 배치되는
    멀티니들모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내부수직벽의 테두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니들모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내부수직벽의 일측으로부터 전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배치된 복수의 니들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멀티니들모듈.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자동시술장치의 니들모듈장착부에 구비된 탄성편삽입홈에 삽입되는 한 쌍의 탄성편이 구비되는
    멀티니들모듈.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의 외측면에는 상기 니들모듈장착부에 구비된 로킹돌기삽입공에 삽입되는 로킹돌기가 형성된
    멀티니들모듈.
KR1020180041837A 2018-04-10 2018-04-10 멀티니들모듈 및 그것의 사용을 위한 자동시술장치 KR102151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837A KR102151010B1 (ko) 2018-04-10 2018-04-10 멀티니들모듈 및 그것의 사용을 위한 자동시술장치
PCT/KR2019/004175 WO2019199005A1 (ko) 2018-04-10 2019-04-09 멀티니들모듈 및 그것의 사용을 위한 자동시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837A KR102151010B1 (ko) 2018-04-10 2018-04-10 멀티니들모듈 및 그것의 사용을 위한 자동시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462A KR20190118462A (ko) 2019-10-18
KR102151010B1 true KR102151010B1 (ko) 2020-09-02

Family

ID=68164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837A KR102151010B1 (ko) 2018-04-10 2018-04-10 멀티니들모듈 및 그것의 사용을 위한 자동시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1010B1 (ko)
WO (1) WO201919900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095A (ko) *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은성글로벌 일렉트로포레이션 인젝터의 카트리지 유닛
KR20220086098A (ko) *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은성글로벌 일렉트로포레이션 인젝터의 니들가이드유닛
KR20220086097A (ko) *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은성글로벌 인젝터 카트리지용 도킹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인젝터용 구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69161B (zh) * 2020-10-09 2022-03-04 深圳睿蚁科技有限公司 一种美容仪美容头组件
KR102609570B1 (ko) * 2023-05-11 2023-12-01 박원희 니들군을 구비하는 피부시술장치 및 그 구동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660B1 (ko) * 2016-03-16 2016-09-12 주식회사 아벨테크 약물과 고주파 이용이 가능한 피부시술용 니들모듈
KR101740950B1 (ko) * 2015-02-17 2017-06-15 주식회사 은성글로벌 니들을 이용한 피부 치료장치
KR101757759B1 (ko) * 2016-07-12 2017-07-17 주식회사 로보맥스 필터교체가 용이한 약물주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883B1 (ko) * 2010-07-01 2011-09-26 최종수 전류 인가형 멀티 주사 바늘 및 자동주사장치
KR101522215B1 (ko) 2013-11-19 2015-05-21 (주)디앤케이 약물주입기의 약물 누출방지장치
KR102518441B1 (ko) * 2015-07-30 2023-04-05 주식회사 하이로닉 Rf니들을 이용한 피부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950B1 (ko) * 2015-02-17 2017-06-15 주식회사 은성글로벌 니들을 이용한 피부 치료장치
KR101656660B1 (ko) * 2016-03-16 2016-09-12 주식회사 아벨테크 약물과 고주파 이용이 가능한 피부시술용 니들모듈
KR101757759B1 (ko) * 2016-07-12 2017-07-17 주식회사 로보맥스 필터교체가 용이한 약물주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095A (ko) *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은성글로벌 일렉트로포레이션 인젝터의 카트리지 유닛
KR20220086098A (ko) *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은성글로벌 일렉트로포레이션 인젝터의 니들가이드유닛
KR20220086097A (ko) *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은성글로벌 인젝터 카트리지용 도킹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인젝터용 구동장치
KR102439753B1 (ko) * 2020-12-16 2022-09-02 주식회사 은성글로벌 일렉트로포레이션 인젝터의 카트리지 유닛
KR102439755B1 (ko) 2020-12-16 2022-09-02 주식회사 은성글로벌 일렉트로포레이션 인젝터의 니들가이드유닛
KR102462126B1 (ko) 2020-12-16 2022-11-04 주식회사 은성글로벌 인젝터 카트리지용 도킹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인젝터용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9005A1 (ko) 2019-10-17
KR20190118462A (ko) 2019-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1010B1 (ko) 멀티니들모듈 및 그것의 사용을 위한 자동시술장치
DE102005046478B4 (de) Photoelektrischer Mehrstrahl-Sensor
EP2767444B1 (en) Switch device
US7624613B2 (en) Terminal crimping machine
KR102142692B1 (ko) 피부시술용 멀티니들모듈을 위한 자동시술장치
EP3932257A1 (en) Furniture system
US9865967B2 (en) Connector
KR101423117B1 (ko)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CN109565121A (zh) 刺破式端子工具和刺破式端子
JP3191458U (ja) 照明装置
US9299506B2 (en) Limit switch and linear actuator having the same
JP4239013B2 (ja) 多光軸光電センサ
EP2374563A1 (en) Display structure of a drilling machine
JP7365169B2 (ja) 美容器具
US20200008478A1 (en) Electronic cigarette
JP2016527690A (ja) 端子圧着機用の供給機構
JP6307301B2 (ja) 接続装置
CN110459887B (zh) 印制板组件及其差分连接器、屏蔽扣板
CN219271093U (zh) 推送式的消融电极针
JP2003217727A (ja) 通電用コネクタ
CN219419598U (zh) 一种监测手术操作器受力情况的电连接结构
JP2002525825A (ja) 電子的な構成部分を解離可能に組み付けるための装置
KR102439755B1 (ko) 일렉트로포레이션 인젝터의 니들가이드유닛
CN216536536U (zh) 一种射频美容仪
CN108649944A (zh) 一种触摸感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