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9512A -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9512A
KR20130009512A KR1020110070675A KR20110070675A KR20130009512A KR 20130009512 A KR20130009512 A KR 20130009512A KR 1020110070675 A KR1020110070675 A KR 1020110070675A KR 20110070675 A KR20110070675 A KR 20110070675A KR 20130009512 A KR20130009512 A KR 20130009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needles
high frequency
base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0122B1 (ko
Inventor
고광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트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트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트로닉
Priority to KR1020110070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122B1/ko
Publication of KR20130009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76Array electrodes (including any electrode arrangement with more than one electrode for at least one of the polar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02Skin piercing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17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with leads or electrodes penetrat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 A61M2205/054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with electro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복수개의 니들이 피부에 원활하게 삽입되며, 복수개의 니들 삽입시 통증이 완화되도록 한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가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은 복수의 니들(needle), 일면에 상기 복수의 니들을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이면을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대향되는 일측벽에 상기 복수의 니들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커버 및 상기 지지판의 테두리부에 작용하는 탄성력에 차이가 형성되도록 상기 커버의 일측벽으로부터 상기 지지판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NEEDLE TIP OF HIGH-FREQUENCY THERAPY AND HIGH-FREQUENCY THERAPY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에 삽입되는 니들을 전극으로 사용하여 고주파전류가 체내에서 통전되도록 하는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전류가 체내에서 통전되면, 인체조직에는 심부열이 발생된다. 심부열은 고주파의 전기에너지에 의해 인체조직을 구성하는 분자들이 진동하면서 서로 마찰하게 되어 회전운동, 뒤틀림, 충돌운동 등에 의해 발생되는 생체열이다.
최근에는 여드름 치료, 모공 축소, 주름 제거, 흉터 제거 등의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마이크로니들을 전극으로 사용하는 고주파 치료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주파 치료장치는 마이크로니들이 표피층의 일부, 또는 전체를 통과하여 진피층까지 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하는 고주파 치료장치는 진피층에서도 고주파전류가 원활하게 통전되도록 하여 치료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마이크로니들을 사용하는 치료장치에 대해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 2010-0101420(2010. 09. 17. 공개)(이하, '공개특허'라 함.)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공개특허는 진동판 또는 진동캡의 일면에 에너지 출력공을 형성하고 진동판 또는 진동캡에 대응하게 마이크로니들이 형성된 마이크로니들 플레이트를 부착하여 본체 또는 핸드피스의 전기, 물리 및 광학적 에너지 발생부에서 발생한 에너지가 피부에 직접 도달하게 하여, 피부에 도포되는 약물 등의 성분을 외부 유실이나 대기 중으로의 증발을 최소화하면서 신속히 피부내로 전달되게 함과 동시에 다양한 전기적, 물리적, 또는 광학적 에너지를 피부에인가하여 피부치료 및 스킨케어 등에 복합적인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 공개특허는 다수의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동시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마이크로니들의 직경이 아무리 미세하다 하더라도 수많은 마이크로니들이 동시에 피부에 삽입되면, 피부의 표면저항에 따라 마이크로니들이 원활하게 삽입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많은 마이크로니들이 동시에 피부에 삽입될 때, 그에 따른 통증이 배가되어 치료를 받는 환자에게 고통을 안겨주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한 치료 중에 유발되는 통증은 고주파 치료장치의 뛰어난 치료 효과에도 불구하고, 환자가 치료받기를 꺼려하는 문제점으로 이어질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101420 (2010. 09. 17.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니들이 피부에 원활하게 삽입되며, 복수개의 니들 삽입시 통증이 완화되도록 한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은 복수의 니들(needle), 일면에 상기 복수의 니들을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이면을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대향되는 일측벽에 상기 복수의 니들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커버 및 상기 지지판의 테두리부에 작용하는 탄성력에 차이가 형성되도록 상기 커버의 일측벽으로부터 상기 지지판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복수의 니들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의 일측벽과 상기 지지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되며,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은 상기 커버의 일측벽으로부터 상기 지지판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압축돌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압축돌기는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은 중심축이 기울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은 단면적이 다르게 형성되어 탄성계수가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은 복수의 니들(needle), 일면에 상기 복수의 니들을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이면을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대향되는 일측벽에 상기 복수의 니들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일측벽으로부터 상기 지지판을 탄성지지하는 제 1탄성체 및 상기 지지판의 이면으로 가압력이 작용함에 따라 상기 지지판이 기울도록 상기 지지판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2탄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은 상기 지지판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가압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탄성체는 일측이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가압판에 결합되는 토션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2탄성체는 상기 지지판의 이면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판에 대해 기울어지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는 출력단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로 이루어지는 판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는 고주파전류를 발생시키는 고주파발진기, 상기 고주판발진기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고주파전류를 공급하는 공급라인, 상기 공급라인에 연결되는 핸드피스, 상기 공급라인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고주파전류가 공급되는 복수의 니들, 일면에 상기 복수의 니들을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핸드피스에 탈착되며 상기 지지판의 이면을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대향되는 일측벽에 상기 복수의 니들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커버 및 상기 복수의 니들이 피부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판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고주파 치료장치는 상기 핸드피스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의 이면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치료장치는 상기 가압부가 상기 지지판을 가압하는 가압량을 조절하여 상기 복수개의 니들이 상기 피부에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깊이조절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복수의 니들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커버의 일측벽과 상기 지지판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의 평면에 다른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마련되는 압축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지지판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토션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는 복수의 니들이 환자의 피부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복수의 니들이 동시에 삽입될 때에 비해 복수의 니들을 삽입함에 따라 발생되는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핸드피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니들 팁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 중 니들을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표기된 I-I' 선을 기준으로 절단하여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니들 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니들 팁이 피부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복수개의 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복수개의 니들이 피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니들 팁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니들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 2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니들 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 3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니들 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 4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니들 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 5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니들 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핸드피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이하, '고주파 치료장치'라 함.)(100)는 고주파발진기(110), 핸드피스(120), 니들 팁(200) 및 공급라인(130)을 포함한다.
고주파발진기(110)는 치료에 필요한 주파수의 고주파전류를 발생시킨다. 고주파발진기(110)로부터 발진되는 고주파전류는 환자의 체질, 치료 목적, 치료 부위 등에 따라 그 주파수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치료에 사용되는 고주파전류는 주파수가 0.1 내지 0.8MHz의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고주파발진기(110)에는 전원의 온/오프 스위치(111)와, 고주파전류의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는 주파수조절레버(112)와, 고주파 치료장치(100)에 대한 전반적인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가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113)이 설치될 수 있다.
핸드피스(120)의 내부에는 가압부(140)가 설치된다. 가압부(140)는 출력단(141)을 선형이송시켜 니들 팁(200)에 설치되는 복수의 니들(210)이 환자의 피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한다. 이러한 가압부(140)는 출력단(141)을 선형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 유/공압실린더 등과 같은 리니어 액츄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핸드피스의 외벽에는 깊이조절레버(122)가 설치될 수 있다. 깊이조절레버(122)는 가압부(140)의 구동을 시작 또는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출력단(141)의 이송거리가 조절되도록 하여 복수개의 니들(210)이 피부에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핸드피스(120)는 고주파발진기(110)로부터 인출되는 공급라인(130)에 연결된다. 공급라인(130)은 고주파발진기(110)로부터 발진되는 고주파전류를 복수의 니들(210)로 공급하며, 복수의 니들(210)을 피부에 삽입하는 데 사용되는 전원을 가압부(140)로 각각 공급한다. 고주파전류는 금속선의 표면파 형태로 도체를 따라 전파된다. 따라서 공급라인(130)은 절연피복으로 금속선을 감싼 도선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니들 팁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 중 니들을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니들 팁(2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되는 베이스(220)와 커버(230)를 포함한다. 베이스(220)와 커버(230)의 내부에는 지지판(240)이 배치되며, 지지판(240)의 일면에는 복수의 니들(210)이 결합된다.
베이스(220)는 핸드피스(120)로부터 탈착가능하다. 즉, 베이스(220)의 외벽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탈착돌기(221)가 형성된다. 핸드피스(120)에는 탈착돌기(221)를 안내하는 가이드홈(123)과, 가이드홈(123)에 연통되어 가이드홈(123)을 따라 안내되는 탈착돌기(221)가 핸드피스(120)의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홈(124)이 형성된다.(도 2 참조.)
또한, 베이스(220)의 일면에는 복수의 지지돌기(222)가 돌출된다. 복수의 지지돌기(222)는 베이스(220)의 일면으로부터 지지판(240)이 이격되어 지지되도록 한다.
커버(230)는 베이스(220)에 결합된다. 즉, 커버(230)의 내벽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231)가 형성된다. 베이스(220)의 일면에는 결합돌기(231)에 대응되어 결합돌기(231)가 삽입되는 결합홀(223)이 형성된다.
또한, 커버(230)는 지지판(240)의 일면에 대향되는 일측벽에 복수의 니들(210)에 대응되는 복수의 관통홀(232)이 형성된다. 각 관통홀(232)은 지지판(240)이 기울어진다 하더라도 각 니들(210)이 각 관통홀(232)을 원활하게 관통될 수 있도록 각 니들(210)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니들(210)은 지지판(240)에 결합되어 지지판(24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복수의 니들(210)로는 복수의 마이크로니들(micro needle)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각 니들(210)은 지름이 대략 20㎛ 정도로 마련될 수 있다. 각 니들(210)은 선단으로부터 대략 0.3mm의 구간이 고주파전류가 피부에서 통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전극(211)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각 니들(210)은 전극으로부터 대략 200㎛의 구간은 실리콘과 같은 절연재료로 코팅되는 절연부(212)가 형성된다. 절연부(212)는 치료를 필요로하는 부위 이외의 부위로 고주파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각 니들(210)의 내부에는 냉매순환로(213)가 형성될 수 있다. 냉매순환로(213)는 각 니들(210)의 내부에서 냉각수와 같은 냉매가 순환되도록 하여 각 니들(210) 및 치료부위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지지판(240)의 이면에는 커넥터(241)가 설치될 수 있다. 커넥터(241)에는 고주파발진기(110)로부터 인출되는 공급라인(13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넥터(241)는 공급라인(130)의 양극선이 접속되는 양극 커넥터와 공급라인(130)의 음극선이 접속되는 음극 커넥터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판(240)에는 전기회로(242)가 인쇄될 수 있다. 전기회로(242)는 커넥터(241)에 공급라인이 접속됨에 따라 복수의 니들(210)로 고주파전류가 전달되도록 한다. 전기회로(242)는 양극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양극 전기회로와 음극 커넥터(2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음극 전기회로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지지판(240)으로는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복수의 니들(210)은 전기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 될 수 있도록 솔더링(soldering)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니들(210)은 복수의 양극 니들과 복수의 음극 니들로 구분될 수 있다. 양극 니들과 음극 니들은 피부조직을 통해 통전됨에 따라 심부열이 발생되도록 한다.
한편, 지지판(240)은 복수의 니들(210)이 피부에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체(250)에 의해 지지된다.
도 5는 도 3에 표기된 I-I' 선을 기준으로 절단하여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니들 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탄성체(250)는 커버(230)의 일측벽과 지지판(240)의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230)의 일측벽에는 지지판(240)을 향해 돌출되어 압축코일 스프링의 상단을 지지하는 압축돌기(233)가 형성되는데, 압축돌기(233)는 압축코일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압축코일 스프링에는 압축돌기(233)에 의해 가압되는 압축량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의 좌측보다 우측의 압축코일 스프링에 작용되는 압축량이 더 높게 형성되므로, 압축코일 스프링은 도 5의 좌측보다 우측의 탄성력이 큰 상태로 지지판(240)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로 출력단(141)이 지지판(240)을 가압하고 복수의 니들(210)이 피부에 접촉하게 되면, 지지판(240)은 베이스(220)로부터 이격되면서 도 5의 우측이 하향되어 기울어지고 복수의 니들(210)은 피부에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지지판(240)의 일면에는 압축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이 다르게 형성됨에 따라, 지지판(240)의 일면으로부터 슬립(slip)되어 압축코일 스프링의 하단부가 지지판(240)의 일면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압축코일 스프링이 복수의 니들(21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압축코일 스프링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홈(243)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의 작동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첨부되는 도면은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핸드피스의 일부만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후에 참조되는 도면에서 참조부호가 기재되지 않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9를 함께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니들 팁이 피부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커버(230)가 베이스(2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판(240)에 지지되는 복수개의 니들(210)은 커버(230)의 내측에 위치한다. 즉, 지지판(240)은 탄성체(250)에 의해 베이스(220) 측으로 탄성 지지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니들(210)은 커버(230)의 내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니들 팁(200)은 핸드피스(120)에 장착된다. 즉, 탈착돌기(221)가 가이드홈(123)에 안내되어 이탈방지홈(124)에 삽입되며, 니들 팁(200)은 핸드피스(120)의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핸드피스(120)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이어, 니들 팁(200)은 피부에 접촉된다. 즉, 사용자는 핸드피스(120)를 손에 쥐고, 니들 팁(200) 중 복수개의 관통홀(232)이 형성된 커버(230)의 외측면을 환자의 피부에 접촉시킨다.
도 7은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복수개의 니들이 피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온/오프 스위치(111)를 조작하여 고주파발진기(110)에 전원을 인가한다. 고주파발진기(110)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가압부(140)로 전원이 인가된다. 사용자는 깊이조절레버(122)를 조작하여 복수개의 니들(210)이 피부에 삽입되어야 할 깊이를 선택한다.
이에 따라 가압부(140)로부터 출력단(141)이 전진되며, 출력단(141)은 베이스(220)를 관통하여 지지판(240)을 가압한다. 지지판(240)은 커버(230)의 일측벽을 향해 전진되며, 복수개의 니들(210)은 각 관통홀(232)을 관통하여 환자의 피부에 접촉된다.
이때, 지지판(240)은 소정각도(θ)로 기울어진다. 즉, 압축코일 스프링이 도 7의 좌측보다 우측의 탄성력이 더 크도록 압축돌기(233)에 의해 압축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복수의 니들(210)은 도 7의 좌측부터 순차적으로 피부에 삽입된다. 복수개의 니들(210)이 환자의 피부에 순차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복수개의 니들(210)이 동시에 피부로 삽입될 때에 비해 환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이 감소되므로, 복수개의 니들(210)이 피부에 삽입될 때 동반되는 통증이 완화될 수 있다.
도 8은 제 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복수개의 니들이 피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깊이조절레버(122)에 의해 복수의 니들(210)의 삽입깊이에 복수의 니들(210)이 도달하면, 출력단(141)의 이송이 정지된다. 지지판(240)은 탄성체(250)에 의해 커버(230)의 일측벽으로부터 탄성지지되고 있으므로, 출력단(141)에 지지되어 피부에 대한 평탄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이어, 사용자는 환자의 체질, 치료 목적, 치료 부위 등에 따라 치료조건을 선택한다. 즉, 사용자는 주파수조절레버(112)를 조작하여 고주파전류의 주파수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양극 니들(210)과 음극 니들(210)의 각 전극(211)으로부터 고주파전류가 피부조직으로 흐르고, 고주파전류는 피부조직에 의해 통전된다.
이와 같이 고주파전류가 피부조직에서 통전됨에 따라 피부조직에는 심부열이 발생되며, 심부열은 피부조직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이때, 각 니들(210)에는 냉매순환로(213)를 따라 냉매가 공급된다. 냉매는 냉매순환로(213)를 따라 순환되어 각 니들(210) 및 피부조직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계속해서, 치료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깊이조절레버(122)를 조작하여 가압부(140)의 출력단(141)을 후진시킨다. 이에 따라 출력단(141)은 지지판(240)으로부터 이탈되어 베이스(220)의 이전으로 후진된다. 이와 함께, 탄성체(250)는 베이스(220)를 향해 인장되어 지지판(240)을 베이스(220) 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니들(210)은 지지판(240)과 함께 후진되어 환자의 피부로부터 이탈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니들 팁(200)은 핸드피스(120)에 손쉽게 탈착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환자의 체질, 치료 목적, 치료 부위 등에 따라 다른 배열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니들(210)이 설치된 다른 니들 팁(200a, 200b)(도 9참조.)으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니들 팁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술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10은 제 2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니들 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2실시예는 탄성체(250a)가 커버(230)의 일측벽과 지지판(240)의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압축코일 스프링은 그 중심축이 도 10의 우측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로 출력단(141)이 지지판(240)을 가압하면, 지지판(240)은 베이스(220)로부터 이격되면서 도 10의 우측이 하향되어 기울어지고 복수의 니들(210)은 피부에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1은 제 3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니들 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3실시예는 탄성체(250b)가 커버(230)의 일측벽과 지지판(240)의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압축코일 스프링은 도 11의 좌측보다 우측의 단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압축코일 스프링에는 탄성계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1의 좌측보다 우측의 압축코일 스프링의 단면적을 크게 형성됨으로써, 압축코일 스프링은 도 11의 좌측보다 우측의 탄성계수가 높은 상태로 지지판(240)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로 출력단(141)이 지지판(240)을 가압하면, 지지판(240)은 베이스(220)로부터 이격되면서 도 11의 우측이 하향되어 기울어지고, 복수의 니들(210)은 피부에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2은 제 4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니들 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 4실시예는 제 1탄성체(250c) 및 제 2탄성체(260)를 포함한다. 제 1탄성체(250c)는 커버(230)의 일측벽으로부터 지지판(240)을 탄성지지하여 지지판(240)에 가압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복수의 니들(210)의 커버(23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제 2탄성체(260)는 지지판(240)과 베이스(220)의 사이에 배치되는 토션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지지판(240)과 베이스(220)의 사이에는 출력단(141)이 토션 스프링을 원활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판(261)이 더 배치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은 일측이 지지판(240)에 결합되고 타측이 가압판(26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로 출력단(141)이 가압판(261)을 가압하면, 지지판(240)은 베이스(220)로부터 이격되면서 도 12의 우측이 하향되어 기울어지고, 복수의 니들(210)은 피부에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3은 제 5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니들 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 4실시예는 제 1탄성체(250c) 및 제 2탄성체(270)를 포함한다. 제 1탄성체(250c)는 커버(230)의 일측벽으로부터 지지판(240)을 탄성지지하여 지지판(240)에 가압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복수의 니들(210)의 커버(23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제 2탄성체(270)는 지지판(240)과 베이스(220)의 사이에 배치되는 판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판 스프링은 지지판의 이면에 결합되고 지지판(240)에 대해 기울어지는 결합부(271), 결합부(271)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272) 및 절곡부(272)로부터 연장되어 출력단(141)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27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태로 출력단(141)이 판 스프링의 가압부(273)를 가압하면, 지지판(240)은 베이스(220)로부터 이격되면서 도 13의 우측이 하향되어 기울어지고, 복수의 니들(210)은 피부에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실시예의 탄성체(250, 250a, 250b, 260, 270)는 가압부(140)에 의해 가압되는 지지판(240)이 기울어지게 한다. 따라서 탄성체(250, 250a, 250b, 260, 270)는 복수의 니들(210)이 순차적으로 피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니들 팁(200) 및 고주파 치료장치(100)는 복수의 니들(210)이 동시에 피부로 삽입될 때 환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켜 복수의 니들(210)이 삽입될 때 동반되는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100 : 고주파 치료장치 110 : 고주파발진기
120 : 핸드피스 130 : 공급라인
200 : 니들 팁 210 : 니들
220 : 베이스 230 : 커버
240 : 지지판 250 : 탄성체

Claims (13)

  1. 복수의 니들(needle);
    일면에 상기 복수의 니들을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이면을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대향되는 일측벽에 상기 복수의 니들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커버;및
    상기 지지판의 테두리부에 작용하는 탄성력에 차이가 형성되도록 상기 커버의 일측벽으로부터 상기 지지판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복수의 니들의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의 일측벽과 상기 지지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되며,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일측벽으로부터 상기 지지판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압축돌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압축돌기는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면에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은 중심축이 기울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은 단면적이 다르게 형성되어 탄성계수가 다르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6. 복수의 니들(needle);
    일면에 상기 복수의 니들을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이면을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대향되는 일측벽에 상기 복수의 니들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일측벽으로부터 상기 지지판을 탄성지지하는 제 1탄성체;및
    상기 지지판의 이면으로 가압력이 작용함에 따라 상기 지지판이 기울도록 상기 지지판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2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가압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탄성체는 일측이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가압판에 결합되는 토션 스프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탄성체는
    상기 지지판의 이면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판에 대해 기울어지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는 출력단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로 이루어지는 판 스프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9. 고주파전류를 발생시키는 고주파발진기와,
    상기 고주판발진기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고주파전류를 공급하는 공급라인과,
    상기 공급라인에 연결되는 핸드피스와,
    상기 공급라인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고주파전류가 공급되는 복수의 니들과,
    일면에 상기 복수의 니들을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핸드피스에 탈착되며 상기 지지판의 이면을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대향되는 일측벽에 상기 복수의 니들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커버;및
    상기 복수의 니들이 피부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판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의 이면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가 상기 지지판을 가압하는 가압량을 조절하여 상기 복수개의 니들이 상기 피부에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깊이조절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복수의 니들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커버의 일측벽과 상기 지지판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의 평면에 다른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마련되는 압축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지지판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토션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장치.
KR1020110070675A 2011-07-15 2011-07-15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 KR101300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675A KR101300122B1 (ko) 2011-07-15 2011-07-15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675A KR101300122B1 (ko) 2011-07-15 2011-07-15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512A true KR20130009512A (ko) 2013-01-23
KR101300122B1 KR101300122B1 (ko) 2013-09-10

Family

ID=47839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675A KR101300122B1 (ko) 2011-07-15 2011-07-15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12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159B1 (ko) * 2014-12-16 2015-06-19 조대권 전극 핸들
KR20190070169A (ko) * 2017-12-12 2019-06-2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마귀 고주파 치료용 니들팁 및 사마귀 고주파 치료장치
WO2020046089A1 (ko) * 2018-08-31 2020-03-05 (주)메드로메디칼디비젼 고주파를 이용한 여드름제거용 핸드피스
WO2020115224A1 (en) * 2018-12-06 2020-06-11 Bausch Health Ireland Limited Microblade structure and method of treating tissue
KR102226112B1 (ko) * 2019-11-25 2021-03-11 (주)아그네스메디컬 썩션형 니들모듈을 구비한 피부시술용 핸드피스 및 피부시술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54949B (zh) * 2013-12-26 2015-09-16 重庆德马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射频微针治疗仪
KR102518441B1 (ko) * 2015-07-30 2023-04-05 주식회사 하이로닉 Rf니들을 이용한 피부 처리장치
KR102188248B1 (ko) * 2019-01-14 2020-12-09 주식회사 은성글로벌 Rf니들을 이용한 피부미용기
KR102362429B1 (ko) 2019-11-19 2022-02-11 원철희 고주파 니들 핸드피스
KR102612435B1 (ko) * 2021-10-12 2023-12-11 주식회사 휴온스메디텍 피부 시술용 주사장치
KR102609570B1 (ko) 2023-05-11 2023-12-01 박원희 니들군을 구비하는 피부시술장치 및 그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1420A (ko) * 2009-03-09 2010-09-17 전민용 마이크로니들 및 진동발생장치와 연동된 치료 및 스킨케어 기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159B1 (ko) * 2014-12-16 2015-06-19 조대권 전극 핸들
KR20190070169A (ko) * 2017-12-12 2019-06-2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마귀 고주파 치료용 니들팁 및 사마귀 고주파 치료장치
WO2020046089A1 (ko) * 2018-08-31 2020-03-05 (주)메드로메디칼디비젼 고주파를 이용한 여드름제거용 핸드피스
KR20200025846A (ko) * 2018-08-31 2020-03-10 (주)메드로메디칼디비젼 고주파를 이용한 여드름제거용 핸드피스
WO2020115224A1 (en) * 2018-12-06 2020-06-11 Bausch Health Ireland Limited Microblade structure and method of treating tissue
TWI826603B (zh) * 2018-12-06 2023-12-21 愛爾蘭商索塔醫療愛爾蘭有限公司 治療組織之微刀片結構及方法
KR102226112B1 (ko) * 2019-11-25 2021-03-11 (주)아그네스메디컬 썩션형 니들모듈을 구비한 피부시술용 핸드피스 및 피부시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122B1 (ko) 2013-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122B1 (ko)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
KR101188710B1 (ko)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
KR101013581B1 (ko) 전기 피부 미용기
KR101703290B1 (ko) 고주파 치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JP7045488B2 (ja) 皮膚美容装置
US20140358200A1 (en) Treatment device using high frequency
JP7265803B2 (ja) 電力印加用ニードルチップ、ハンドピース及び皮膚処置装置
KR20100060222A (ko) 피부미용 치료장치
US11241277B2 (en) Skin treatment apparatus using RF energy and method for skin treatment using same
KR100856736B1 (ko) 전기 침술기 및 전기 침술 시스템
JP2017536189A (ja) 高周波皮膚治療
KR20110014011A (ko) 고주파 치료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20190000541A1 (en)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method using same
EP1472985B1 (en) High frequency current treatment tool
KR101020302B1 (ko) 전기 자극 시스템
KR102192614B1 (ko) 고주파 치료장치
JP2012236023A (ja) 皮膚組織の非切除無線周波数治療
US20220409898A1 (en) Electric device for skin treatmen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9000212A (ja) 美容器具
KR102393930B1 (ko) 니들 조립체 제조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하는 니들 조립체의 제조 방법
KR200441375Y1 (ko) 고주파 치료장치
US11786298B2 (en) Epidural catheter with RF generation function
KR101543557B1 (ko) 두피자극기
JP7457707B2 (ja) 組織を治療するマイクロブレード構造体および方法
JP2015047364A (ja) 電気刺激装置用電極および電気刺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