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159B1 - 전극 핸들 - Google Patents

전극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159B1
KR101530159B1 KR1020150005991A KR20150005991A KR101530159B1 KR 101530159 B1 KR101530159 B1 KR 101530159B1 KR 1020150005991 A KR1020150005991 A KR 1020150005991A KR 20150005991 A KR20150005991 A KR 20150005991A KR 101530159 B1 KR101530159 B1 KR 101530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mpression spring
contact
spr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5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대권
Original Assignee
조대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대권 filed Critical 조대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전자 제어기술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부 투열기와 연결된 전극 핸들은 출력전극을 신체 접촉시엔 도통상태로, 신체에서 접촉이 느슨해 질땐 비접촉 상태로 사전에 대책하여 방전에 대한 위험을 낮추는 방법으로 전극의 핸들 내부 구조를 개선하면 쉽게 화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극 핸들{Electrode Handle}
본 발명은 전기전자 제어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극이 피부와 접촉할 경우 접촉에 따른 탄성력을 이용해 초기의 이완상태에서 수축상태로 변하도록 전극의 지지부를 기설정된 탄성구간만큼 승강시키고 전극이 피부와 미접촉할 경우 복원력을 이용해 전극의 지지부가 탄성구간만큼 하강하도록 수축상태에서 이완상태로 복원시키는 심부 투열기와 연결된 전극 핸들에 관한 것이다.
전기치료는 의료용으로 평류전기(平流電氣)·감응전기·교류전기(交流電氣)의 세 가지가 쓰이며, 전기치료는 주파수의 파형, 전류, 전류의 강도, 적용부위 등에 따라 그 기능의 차이가 현저하다.
특히, 고주파 전기요법은 고주파전류가 체내로 통하면 근육은 수축하지 않고 온열감(溫熱感)만을 느끼고, 그 열은 인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고주파 치료기는 고주파 전원을 인체에 인가하여 고주파 전원을 생체에너지로 전환하고, 이러한 생체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생된 심부열을 통하여 지방대사와 근육운동을 촉진시킴으로써 비만치료나 근육강화, 피부관리, 모발촉진 또는 통증완화 등에 사용되는 의료용 기기이다.
고주파 전기치료기는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혈관확장으로 혈액순환이 활발하여 노폐물을 제거하는 동시에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는 작용이 있으며, 진통과 평활근의 이완 등에 효과가 있어, 좌골신경통, 관절통, 근육통 등의 치료에 응용되고 있다.
고주파 치료기는 고주파 전원을 인체로 인가하여 발생되는 심부열로 환부를 치료하는 기기로서, 사용자의 개인적인 취향이나 체질에 따라서 또는 환부의 상태에 따라서 인가되는 고주파 전원의 세기를 달리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전기적인 쇼크나 화상의 위험이 있을 때에도 인체로 인가되는 고주파 전원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방전의 특성상 주파수가 높을수록 기체 절연파괴가 용이한 종래의 기술적 특징으로 인하여, 해당 기기의 방전전극이 인체에 접촉하는 경우 방전으로 인한 플라즈마가 전극과 인체간에 발생이 되어 감전과 유사한 감각의 화상을 입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아울러, 고압 고주파의 특성상 구현 형태에 따라서 다소간의 차이는 있으나 방전되지 않는 전압범위로 제어하기 어려운 것이 종래 기술상의 문제였으며, 특히 습도가 높거나 피부의 상태 전극의 마모 상태에 따라서, 다양한 조건에서 고출력의 고주파 심부투열기의 경우 방전에 의한 플라즈마로 인하여 화상을 입고, 이로 인한 위험성이 소비자로 하여금 고주파 심부투열기에 대한 험오감 등으로 다가오는 부정적 문제가 심각하였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 10-0734901-0000 한국특허 등록번호 : 10-1150372-0000 한국특허 출원번호 : 10-2008-0016786 한국특허 등록번호 : 10-1006738-0000
본 발명의 심부 투열기와 연결된 전극 핸들은 앞서 본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기존의 전기전자적 기술을 적용하여 복잡한 회로 구성을 통하여 출력 펄스를 레귤레이션 하는 방법이 아닌, 출력전극을 신체 접촉시에는 도통상태로, 신체에서 접촉이 느슨해 질때는 비접촉 상태로 사전에 대책하여 방전에 대한 위험을 낮추는 방법으로 전극의 핸들 내부 구조를 개선하면 쉽게 화상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심부 투열기에 의해 발생된 고주파 에너지 및 저주파 에너지 직접 인가시 심부 투열기를 통해 흘러온 과전원으로 인해 인체가 유해되거나 피부조직이 파괴되거나 심하게는 감전될 우려가 있어, 이를 사전에 예방할 목적으로 심부 투열기와 연결된 전극을 이용해 고주파 에너지 및 저주파 에너지만이 인체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심부 투열기의 오작동 및 노후화로 인해 심부 투열기에 인가되는 전원이 외부로 방전될 우려가 다분히 있음을 예측할 수 있어 이를 미리 고려하여 압축 스프링을 이용한 스위칭 온오프 동작을 통해 누수 전원으로 인한 인적 피해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감전 및 방전에 대한 피해율을 급격히 감소시킬 수 있는 고부가가치성이 높은 전극 핸들을 심부 투열기에 적용시킴으로써, 국민건강 증진 및 관련 업체의 수익증대에 대한 기대감을 고무시킴과 더불어 산업발전에 크게 이바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핸들은, 심부 투열기와 연결된 전극 핸들로, 다수의 연결나사에 의한 나사결합으로 하우징 내 고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다수의 연결나사 중 선택에 하나를 전극케이블과 기연결된 터미널의 나사홀에 끼운 후 상기 터미널을 상부 일면에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터미널과 접촉하는 접촉판; 전극이 피부와 접촉할 경우, 상기 접촉에 따른 탄성력에 의해 초기의 이완상태에서 수축상태로 변하면서 상기 전극의 지지부를 기설정된 탄성구간만큼 승강시키는 압축 스프링; 및 상기 전극의 체결구를 체결홀에 삽입하여 상기 전극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접촉판에 마련된 중앙홀을 관통한 체결봉을 상기 압축 스프링의 하단부에 끼어넣어 상기 압축 스프링과 연결되는 전극 연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이 피부와 미접촉할 시, 상기 압축 스프링은 상기 탄성력에 반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수축상태에서 이완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전극의 지지부를 상기 탄성구간만큼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심부 투열기와 연결된 전극 핸들은 전극이 피부와 접촉할 경우 접촉에 따른 탄성력을 이용해 초기의 이완상태에서 수축상태로 변하도록 전극의 지지부를 기설정된 탄성구간만큼 승강시키고 전극이 피부와 미접촉할 경우 복원력을 이용해 전극의 지지부가 탄성구간만큼 하강하도록 수축상태에서 이완상태로 복원시킴으로써, 출력전극을 신체 접촉시에는 도통상태로, 신체에서 접촉이 느슨해 질때는 비접촉 상태로 사전에 대책하여 방전에 대한 위험을 낮추는 방법으로 전극의 핸들 내부 구조를 개선하면 쉽게 화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 1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심부 투열기에 의해 발생된 고주파 에너지 및 저주파 에너지 직접 인가시 심부 투열기를 통해 흘러온 과전원으로 인해 인체가 유해되거나 피부조직이 파괴되거나 심하게는 감전될 우려가 있어, 이를 사전에 예방할 목적으로 심부 투열기와 연결된 전극을 이용해 고주파 에너지 및 저주파 에너지만이 인체에 전달되도록 하는 제 2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심부 투열기의 오작동 및 노후화로 인해 심부 투열기에 인가되는 전원이 외부로 방전될 우려가 다분히 있음을 예측할 수 있어 이를 미리 고려하여 압축 스프링을 이용한 스위칭 온오프 동작을 통해 누수 전원으로 인한 인적 피해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제 3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감전 및 방전에 대한 피해율을 급격히 감소시킬 수 있는 고부가가치성이 높은 전극 핸들을 심부 투열기에 적용시킴으로써, 국민건강 증진 및 관련 업체의 수익증대에 대한 기대감을 고무시킴과 더불어 산업발전에 크게 이바지하는 제 4 효과를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부 투열기와 연결된 전극 핸들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부 투열기와 연결된 전극 핸들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부 투열기와 연결된 전극 핸들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상세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부 투열기와 연결된 전극 핸들의 내부구조 중 이완상태를 나타낸 상세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부 투열기와 연결된 전극 핸들의 내부구조 중 수축상태를 나타낸 상세도면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극 핸들(1000)와 연결된 고주파 심부투열기는 낮게는 수십 볼트, 높게는 약 1kV 전후의 고전압을 수백 kHz 내지 수 MHz의 고주파 및 저주파수로 펄스 또는 대칭파를 인체에 직부하여 인체가 발열되도록 하는 기전을 갖는다.
심부열(즉, 생체 열에너지)로 변환된 고주파 에너지 또는 저주파 에너지는 해당 신체 조직의 온도를 상승시켜 세포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동맥 및 모세혈관 확장을 통해 혈류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혈액 및 림프액의 순환을 촉진시키며 신진대사를 증진시키게 된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핸들(1000)은 기내 구성된 인체접촉형 전극(도자, 800)와 결합된 전극 연결구(700)를 압축 스프링(600)을 이용해 스위치화시키면, 접촉판(500)과 이탈 또는 접촉되기 전에는 고주파 에너지 또는 저주파 에너지가 전극을 통해 인체에 부여되지 않는다.
전극 핸들(1000)은 휴대용을 위해 소형화되고 경량화된 컴팩트한 구조를 갖고, 구성요소들이 간편하게 조립결합되어 인건비 대비 생산성이 높고,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력이 높은 구조로 조립되기 때문에 내구성이 뛰어나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면서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제품이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좀 더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기재된 바와 같다.
심부 투열기와 연결된 전극 핸들(1000)는 도 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0), 접촉판(500), 압축 스프링(600), 전극 연결구(700) 및 인체(ex : 피부)와 접촉되는 전극(도자, 800)을 포함한다.
접촉판(500)은 다수의 연결나사(200)에 의한 나사결합으로 하우징(100) 내 고정부(110)에 고정되며, 다수의 연결나사(200) 중 선택에 하나를 전극케이블(300)과 기연결된 터미널(400)의 나사홀(미도시)에 끼운 후 터미널(400)을 상부 일면에 고정시킴에 따라 터미널(400)과 접촉한다.
터미널(400)은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극케이블(300)과 연결된 도통수단으로, 압축 스프링(600)이 수축되면 전극케이블(300)을 통해 인가된 고주파 에너지 또는 저주파 에너지를 접촉판에 전달한다.
압축 스프링(600)은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극(800)이 피부와 접촉할 경우, 접촉에 따른 탄성력에 의해 초기의 이완상태에서 수축상태로 변하면서 전극(800)의 지지부(820, 830)를 기설정된 탄성구간만큼 승강시킨다.
전극(800)은 스텐레스강, 알루미늄, 백금, 금, 은, 티타늄, 철, 니켈도금, 그롬도금, 테프론, 나일론 및 폴리아미드 중 선택된 하나로 제작되며, 압축 스프링(600) 수축시 전극케이블(300)을 통해 인가된 고주파 에너지 또는 저주파 에너지를 피부에 인가한다.
전극(800)에 기구성된 지지부(820, 830)는 압축 스프링(600)이 수축되거나 이완될 시, 탄성구간만큼 승강 또는 하강하는 제 1 지지수단(820) 및 체결구(810)와 제 1 지지수단(830) 간을 이어주는 중간 연결체로써, 체결구(810)가 체결홀에 삽입됨에 따라 전극 연결구(700)의 하단면과 맞닿으며 고정되는 제 2 지지수단(830)을 포함한다.
압축 스프링(600)은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극(800)이 피부와 미접촉할 시, 탄성력에 반하는 복원력에 의해 수축상태에서 이완상태로 복원되면서 전극(800)의 지지부(820, 830)를 탄성구간만큼 하강시킨다.
압축 스프링(600)은 코일 스프링 외에 판 스프링, 토션 스프링, 접시 스프링, 링 스프링, 볼류우트 스프링 중 고무 스프링 선택된 하나로 대체 가능하며, 탄성구간인 0.1 mm 내지 20 mm 내에서 수축 또는 이완된다.
압축 스프링(600)의 상단부는 접촉판(500), 압축 스프링(600) 및 전극 연결구(700)를 수렴하는 하우징(100) 내부면 중 압축 스프링(600)의 하단부와 일직선 상에 위치한 설정지점에 부착 고정된다.
즉, 압축 스프링(600)의 상단부는 설정지점에 마련해 둔 고정홀(120)에 삽입되어 부착 고정된다 할 것이다.
전극 연결구(700)는 전극(800)의 체결구(810)를 체결홀에 삽입하여 전극(800)이 고정되도록 하고, 접촉판(500)에 마련된 중앙홀을 관통한 체결봉(710)을 압축 스프링(600)의 하단부에 끼어넣어 압축 스프링(600)과 연결된다.
하우징(100)은 전극케이블(300), 터미널(400), 접촉판(500), 압축 스프링(600), 다수의 연결나사(200), 전극 연결구(700)를 포함하며, 압축 스프링(600)의 상부 즉, 설정지점에 마련해 둔 고정홀(120)을 더 포함한다.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 전극 핸들 100 : 하우징
200 : 연결나사 300 : 전극케이블
400 : 터미널 500 : 접촉판
600 : 압축스프링 700 : 전극 연결구
800 : 전극

Claims (7)

  1. 심부 투열기와 연결된 전극 핸들로,
    다수의 연결나사에 의한 나사결합으로 하우징 내 고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다수의 연결나사 중 선택에 하나를 전극케이블과 기연결된 터미널의 나사홀에 끼운 후 상기 터미널을 상부 일면에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터미널과 접촉하는 접촉판;
    전극이 피부와 접촉할 경우, 상기 접촉에 따른 탄성력에 의해 초기의 이완상태에서 수축상태로 변하면서 상기 전극의 지지부를 기설정된 탄성구간만큼 승강시키는 압축 스프링; 및
    상기 전극의 체결구를 체결홀에 삽입하여 상기 전극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접촉판에 마련된 중앙홀을 관통한 체결봉을 상기 압축 스프링의 하단부에 끼어넣어 상기 압축 스프링과 연결되는 전극 연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이 피부와 미접촉할 시, 상기 압축 스프링은 상기 탄성력에 반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수축상태에서 이완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전극의 지지부를 상기 탄성구간만큼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터미널은 상기 압축 스프링이 수축되면 상기 전극케이블을 통해 인가된고주파 에너지 또는 저주파 에너지를 상기 접촉판에 전달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전극 핸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전극케이블과 연결된 도통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핸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지지부는,
    상기 압축 스프링이 수축되거나 이완될 시, 상기 탄성구간만큼 승강 또는 하강하는 상기 제 1 지지수단; 및
    상기 체결구와 제 1 지지수단 간을 이어주는 중간 연결체로써, 상기 체결구가 체결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전극 연결구의 하단면과 맞닿으며 고정되는 제 2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핸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의 상단부는,
    상기 접촉판, 압축 스프링 및 전극 연결구를 수렴하는 상기 하우징 내부면 중 상기 압축 스프링의 하단부와 일직선 상에 위치한 설정지점에 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핸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의 상단부는,
    상기 설정지점에 마련해 둔 고정홀에 삽입되어 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핸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스텐레스강, 알루미늄, 백금, 금, 은, 티타늄, 철, 니켈도금, 그롬도금, 테프론, 나일론 및 폴리아미드 중 선택된 하나로 제작되며, 상기 압축 스프링 수축시 상기 전극케이블을 통해 인가된 고주파 에너지 또는 저주파 에너지를 상기 피부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핸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 외에 판 스프링, 토션 스프링, 접시 스프링, 링 스프링, 볼류우트 스프링 중 고무 스프링 선택된 하나로 대체 가능하며,
    상기 탄성구간인 0.1 mm 내지 20 mm 내에서 수축 또는 이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핸들.
KR1020150005991A 2014-12-16 2015-01-13 전극 핸들 KR1015301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80886 2014-12-16
KR1020140180886 2014-1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159B1 true KR101530159B1 (ko) 2015-06-19

Family

ID=53519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5991A KR101530159B1 (ko) 2014-12-16 2015-01-13 전극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1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165B1 (ko) * 2015-09-21 2015-12-29 조대권 전극 핸들
KR101691348B1 (ko) * 2016-03-15 2016-12-29 조대권 전극 핸들
WO2022117302A1 (de) * 2020-12-01 2022-06-09 BSH Hausgeräte GmbH Plasma-vorricht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9512A (ko) * 2011-07-15 2013-01-23 주식회사 루트로닉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
KR20130022554A (ko) * 2011-08-25 2013-03-07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수직으로 이동되는 고주파 발생부를 가지는 부항 장치
KR20130142039A (ko) * 2012-06-18 2013-12-27 주식회사 이루다 고주파 피부치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9512A (ko) * 2011-07-15 2013-01-23 주식회사 루트로닉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
KR20130022554A (ko) * 2011-08-25 2013-03-07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수직으로 이동되는 고주파 발생부를 가지는 부항 장치
KR20130142039A (ko) * 2012-06-18 2013-12-27 주식회사 이루다 고주파 피부치료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165B1 (ko) * 2015-09-21 2015-12-29 조대권 전극 핸들
KR101691348B1 (ko) * 2016-03-15 2016-12-29 조대권 전극 핸들
WO2022117302A1 (de) * 2020-12-01 2022-06-09 BSH Hausgeräte GmbH Plasma-vorricht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48539A1 (en) Device including rf source of energy and vacuum system
US20070038275A1 (en) High-frequency electrotherapy apparatus
KR101530159B1 (ko) 전극 핸들
KR101488805B1 (ko) 고주파 치료기용 전극 유닛
US10830218B2 (en) Acupressure device
KR101691348B1 (ko) 전극 핸들
Graves Lessons from tesla for plasma medicine
KR20160000789U (ko) 부항기능을 가지는 복합기능 물리치료기
KR101257022B1 (ko) 고주파 치료기용 압력 감지 타입 전극 유닛
CA2578928C (en) Multi-frequency electrical field generator and use thereof
KR100649935B1 (ko) 고주파 전기 발모기
KR101717894B1 (ko) 건 타입 전극부를 구비한 중주파 치료기
KR200355189Y1 (ko) 고주파 전기치료기
KR20130106017A (ko) 피부 개선 장치
KR20210027725A (ko) 초음파 및 저주파 치료기
KR200444949Y1 (ko) 고주파 자극 장치
KR101300695B1 (ko) 고주파 치료기용 밴드타입 전극 유닛
KR101581165B1 (ko) 전극 핸들
KR100982243B1 (ko) 탈모 개선을 위한 두피 관리 기기
KR200388350Y1 (ko) 고주파 의료기용 일렉트로드 홀더
KR20210046353A (ko) 롤러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치료용 핸드피스
CN201361365Y (zh) 一种美容用射频手具
US20220296911A1 (en) Skin treatment device using radio frequency
KR102507312B1 (ko) 고주파 전기 치료기
CN205586357U (zh) 热及低周波治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