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6097A - 인젝터 카트리지용 도킹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인젝터용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인젝터 카트리지용 도킹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인젝터용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6097A
KR20220086097A KR1020200176226A KR20200176226A KR20220086097A KR 20220086097 A KR20220086097 A KR 20220086097A KR 1020200176226 A KR1020200176226 A KR 1020200176226A KR 20200176226 A KR20200176226 A KR 20200176226A KR 20220086097 A KR20220086097 A KR 20220086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docking
injector
rail
syr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2126B1 (ko
Inventor
이기세
이승하
김혜성
이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은성글로벌
이연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은성글로벌, 이연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은성글로벌
Priority to KR1020200176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126B1/ko
Publication of KR20220086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5/2033Spring-loaded one-shot injectors with or without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87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the body;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5Multiple needle devices, e.g. a plurality of needles arranged coaxially or in parallel
    • A61M5/3298Needles arranged in parall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03Ampoule inserted into the ampoule hol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2005/3158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electrically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 A61M2209/084Supporting bases, stands for equipment
    • A61M2209/086Docking st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약액이 주입된 주사기가 장착된 카트리지 및 인젝터의 조립성을 개선한 인젝터 카트리지용 도킹부 및 이를 포함하는 도킹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젝터 카트리지용 도킹부는 인젝터에 결합되는 도킹스테이션 및 상기 도킹스테이션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주사기를 사이에 두고 카트리지와 결합되는 도킹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젝터 카트리지용 도킹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인젝터용 구동장치{DOCKING PART FOR INJECTOR CARTRIDGE AND DRIV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도킹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인젝터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용 도킹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인젝터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는 의료기술의 발달로 일정한 속도와 이동거리 만큼 니들을 신체의 내부로 삽입시켜 통증을 최소화하고, 내부에 약액이 저장된 주사기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인체에 약액을 주입하는 인젝터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인젝터의 경우 시중에 판매되는 주사기를 장착한 카트리지를 인젝터에 탈부착시키는 과정에서 주사기와 주사기를 제어하는 구동장치간의 조립성이 난해한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7672호는 자동 인젝터 장치용 카트리지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9733호는 멀티니들을 구비한 주사용 인젝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카트리지의 편리한 탈부착이 가능한 도킹장치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약액이 주입된 주사기가 장착된 카트리지 및 인젝터의 조립성을 개선한 인젝터 카트리지용 도킹부 및 이를 포함하는 도킹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젝터 카트리지용 도킹부는 인젝터에 결합되는 도킹스테이션 및 상기 도킹스테이션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주사기를 사이에 두고 카트리지와 결합되는 도킹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킹스테이션은 인젝터 내부의 구동장치와 결합되는 일단부, 내부공간이 하부로 개방된 컨테이너의 형태로 형성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와 연결되고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된 컨테이너 형태로 형성되는 타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킹부재는 상기 주사기의 본체 하부를 둘러싸는 반기둥 형태의 거치홈이 형성되고, 후방에 상기 주사기의 본체 끝단에 형성된 환 형태의 손잡이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젝터의 본체에 내장되는 인젝터용 구동장치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1 레일 및 상기 제1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결합되는 제1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제1 슬라이딩부, 상기 제1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제2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결합되는 제2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제2 슬라이딩부, 슬롯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거치부 및 상기 제2 레일에 결합되는 도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레일은 상기 도킹부를 통해 주사기의 본체가 장착된 카트리지와 결합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주사기의 밀대 끝단에 외측이 확장된 형태로 형성된 가압판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킹부는 상기 제2 레일에 결합되는 도킹스테이션 및 상기 도킹스테이션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카트리지와 자성 결합되는 도킹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젝터용 구동장치는 상기 제1 레일의 외측에서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일부분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레일을 구비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젝터 카트리지용 도킹부는 카트리지에 자성 결합되어 주사기를 거치시키는 일부분이 구동장치의 상단에 배치된 도킹스테이션에 삽입되면서 편리하게 결합되어 조립성이 개선된다.
인젝터 카트리지용 도킹부는 카트리지의 하부에 거치되는 주사기와 결합되면서 카트리지의 일부분과 자성결합되어 주사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카트리지와 자성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레일 또는 슬라이딩 결합구조없이 주사기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3들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인 인젝터용 구동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 및 5는 도 1의 I-I' 및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 카트리지용 도킹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인젝터용 구동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인젝터용 구동장치는 도킹부(100), 제1 슬라이딩부(200), 제2 슬라이딩부(300), 거치부(400) 및 가이드부(500)를 포함한다.
인젝터용 구동장치는 인젝터(20)의 상단 내부에 내장되고, 인젝터(20)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리지(50)를 인젝터(20)에서 분리시키면 인젝터용 구동장치가 외부에 노출된다.
도킹부(100)는 도킹스테이션(110) 및 도킹부재(120)를 포함한다.
도킹스테이션(110)은 일단부(111), 중앙부(112) 및 타단부(113)를 포함한다.
도킹스테이션(110)의 일단은 제2 슬라이딩부(300)의 제1 방향(1)쪽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제1 방향(1) 및 상부를 향해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된 컨테이너 형태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도킹스테이션(110)의 일단부(111)는 넓은 표면이 제1 및 제2 방향(1, 2)을 향하는 수직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 일부분은 제2 방향(2)을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제2 슬라이딩부(300)와 결합된다.
도킹스테이션(110)의 중앙부(112)는 일단부(111)의 전면 중앙 및 하부 일부분이 육면체 형태로 제1 방향(1)을 향해 돌출되고, 저면의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함몰되어 하부홈(112a)이 형성된다.
도킹스테이션(110)의 타단부(113)는 중앙부(112)의 제1 방향(1)쪽 상부 일부분이 제1 방향(1)을 향해 직육면체 형태로 연장되고 상부면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상부홈(113a)이 형성된다.
하부홈(112a)에는 후술될 제2 슬라이딩부(300)의 일부분이 삽입되고, 상부홈(113a)에는 주사기 본체(31)의 일부를 둘러싸는 도킹부재(120)의 일부분이 삽입된다.
도킹부재(120)의 일단은 상부면의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된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된 반기둥 형태의 거치홈(123)이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거치홈(123)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반원통 형태로 제1 방향(1)을 향해 연장된다.
도킹부재(120)의 일단 상부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주사기(30)에 형성된 손잡이(34)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홈(124)이 형성된다.
도킹부재(120)의 타단 상부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일부분은 하부로 함몰되어 주사기(30)의 제1 방향(1)쪽에 결합된 PCB(60)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홈(125)이 형성된다.
도킹부재(120)의 하부 일측 및 타측에는 자석(121)들 각각이 내장되고, 자석(121)들 각각은 카트리지(50)의 상부커버(56)의 하부에 결합된 주사기커버(55)안에 내장된 자석과 반응하여 주사기커버(55)와 자성 결합된다.
도킹부재(120)의 하부 중앙에는 사각형 형태의 저면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직육면체 형태의 돌출부(122)가 형성되고, 돌출부(122)는 도킹스테이션(110)의 상부홈(113a)에 삽입되면 외측면이 타단부(113)의 내측면과 밀착된다.
주사기(30)의 손잡이(34) 및 PCB(60)의 일부가 삽입홈(124, 125) 각각에 삽입되고, 도킹부재(120)가 자석(121)들을 통해 주사기커버(55)와 자성 결합되면, 주사기(30)는 주사기커버(55) 및 도킹부재(120) 사이에 거치된다.
도킹부재(120)의 거치홈(123) 양측의 상부면은 자석(121)들을 통해 주사기커버(55)의 양측 저면과 밀착 결합되고, 주사기 본체(31)의 상단 일부는 주사기커버(55)의 하부에 반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홈(55a)에 삽입 및 고정된다.
주사기(30)가 카트리지(50)에 거치된 상태에서 카트리지(50)를 인젝터(20)의 본체(22)에 장착시키면, 돌출부(122)가 상부홈(113a)에 삽입되고, 도킹스테이션(110)이 제2 슬라이딩부(300)의 이동으로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이동되면 주사기(30) 및 도킹부재(120)가 슬라이딩 이동된다.
도킹부재(120)는 돌출부(122)가 상부홈(113a)에 삽입되고, 카트리지(50)가 인젝터(20)의 본체(22)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슬라이딩부(300)의 구동에 의해 주사기(30)와 함께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이동된다.
도킹부재(12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상태에서 주사기커버(55)와의 자성결합이 유지되므로, 주사기커버(55)에 내장된 자석들에 의해 도킹부재(120)가 주사기(30)를 지지하면서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동이 가이드된다.
제1 슬라이딩부(200)는 제1 모터(210), 제1 레일(220), 제1 리드스크류(230) 및 제1 슬라이더(240)를 포함한다.
제1 슬라이딩부(200)는 인젝터(20)의 본체(22)의 상부에 결합되고, 일부분은 구동에 의해 전방에 해당되는 제1 방향(1) 또는 제1 방향(1)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제1 모터(210)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고, 제1 방향(1)쪽으로 연장되는 구동축은 제1 리드스크류(230)와 연결된다.
제1 레일(220)은 내부의 직육면체 형태의 제1 공간(221)이 상부 및 하부를 향해 개방된 사각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모터(210)의 제1 방향(1)쪽에 배치되어 본체(22)와 결합된다.
제1 리드스크류(230)의 일단은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모터(210)의 구동축과 연결되고,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일부분은 제1 레일(220)을 관통하여 제1 공간(221)에 배치된다.
제1 리드스크류(230)의 타단은 일단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연장되어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제1 레일(220)의 제1 방향(1)쪽 전면에 결합된다.
제1 슬라이더(240)의 일단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제1 공간(221)에 삽입되어 양측면이 제1 레일(220)의 내측면과 밀착되며, 제1 리드스크류(230)는 제1 슬라이더(240)의 일단을 관통하여 제1 슬라이더(240)와 회동이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다.
제1 슬라이더(240)의 타단은 일단 상부에서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확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양측 테두리에 해당되는 상부면의 일부분은 상부를 향해 서로 마주하는 수직형 측판 형태로 돌출되어 제2 슬라이딩부(300)와 결합된다.
제2 슬라이딩부(300)는 제2 모터(310), 제2 레일(320), 제2 리드스크류(330), 제2 슬라이더(340), 연결유닛(350), 제3 슬라이더(360) 및 회동판(370)을 포함한다.
제2 슬라이딩부(300)는 제1 슬라이딩부(200)의 상부에 결합되고, 제1 방향(1)쪽에 결합되는 도킹부(100)를 통해 주사기(30)와 연결되며,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본체(22)의 내부에 결합된다.
제2 모터(310)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1 방향(1)쪽에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한 구동축이 돌출된다.
제2 레일(320)은 하부판(321) 및 측판(322, 323)들을 포함한다.
제2 레일(320)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1 슬라이더(240)의 상부에서 제1 슬라이더(240)의 타단에 결합되며, 제1 슬라이더(240)의 이동에 따라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이동된다.
하부판(321)의 일단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사각 플레이트 형태를 유지하면서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하부판(321)의 타단 상부에는 직육면체 형태의 돌출부(321a)가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돌출부(321a)는 도킹부(100)의 하부홈(112a)에 삽입되어 도킹부(100)와 결합된다.
하부판(321)의 일단 및 타단이 연결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양측면은 제1 슬라이더(240)의 타단 수직형 측판들 사이에서 상기 수직형 측판들 각각의 내측면과 면접되며 제1 슬라이더(240)와 결합된다.
따라서, 하부판(321)이 제1 슬라이더(24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슬라이더(240)가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도킹부(100)에 결합된 주사기(30)가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이동된다.
측판(322)의 일단은 하부판(321)의 일단 끝부분에서 제1 방향(1)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하부판(321)의 일단 일측 테두리에 인접한 상부면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수직판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측면 중앙의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되는 일부분은 타측을 향해 함몰되어 슬라이딩홈(322a)의 일단부가 형성된다.
측판(322)의 타단은 일단에서 일단의 형태를 유지하며 하부판(321)의 타단 끝부분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까지 제1 방향(1)을 향해 연장되어 일측에 슬라이딩홈(322a)의 타단부가 형성된다.
측판(322)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서 슬라이딩홈(322a)의 중앙 하부에 해당되는 측판(322)의 내측 상부면은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슬라이딩홈(322a) 및 하부판(321)의 하부공간을 연결하는 측면홈(322b)이 형성된다.
측판(323)의 일단은 하부판(321)의 일단 끝부분에서 제1 방향(1)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하부판(321)의 일단 타측 테두리에 인접한 상부면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수직판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타측면 중앙의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되는 일부분은 일측을 향해 함몰되어 슬라이딩홈(323a)의 일단부가 형성된다.
측판(323)의 타단은 일단에서 일단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측판(322)의 타단 끝부분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까지 제1 방향(1)으로 연장되어 타측에 슬라이딩홈(323a)의 타단부가 형성된다.
측판(323)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서 슬라이딩홈(323a)의 중앙 하부에 해당되는 측판(323)의 내측 상부면은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슬라이딩홈(323a) 및 하부판(321)의 하부공간을 연결하는 측면홈(322b)이 형성된다.
제1 슬라이더(240)의 타단에 형성된 수직형 측판들의 내측면들 각각은 측면홈(322b)들 각각으로 삽입되고, 측판(322, 323)들 각각과 밀착된 상태에서 측판(322, 323)들과 각각 결합된다.
측판(322, 323)들 각각에 형성된 측면홈(322b)의 제1 및 제2 방향(1, 2)쪽에는 돌출부(322d, 322c)들이 각각 형성되고, 측면홈(322b)들에 삽입되는 제1 슬라이더(240)의 타단에 형성된 수직형 측판들 각각의 제1 및 제2 방향(1, 2)쪽 전면 및 배면은 돌출부(322d, 322c)들과 각각 밀착된다.
따라서, 측판(322, 323)들은 본체(22)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돌출부들이 슬라이딩홈(322a, 323a)들 각각에 삽입된 상태로 본체(22)에 내장되고, 제1 슬라이더(240)의 이동에 따라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이동된다.
또한, 측면홈(322b)들 각각에 삽입되는 상기 수직형 측판들은 각각의 전면 및 배면이 돌출부(322d, 322c)들 각각과 밀착되므로, 제1 슬라이더(240)에 결합된 제2 레일(320)이 주사기(30) 및 도킹부(100)의 중량에 의해 제1 방향(1)쪽 하부로 기울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도킹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부(500)가 돌출부(322c, 322d)들과 함께 제1 방향(1)쪽으로 치우친 제2 슬라이딩부(300), 도킹부(100) 및 주사기(30)의 무게중심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주사기(30)의 안정적이고 정확한 이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제2 리드스크류(330)의 일단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고,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제2 모터(310)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제2 모터(310)의 구동에 의해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된다.
제2 리드스크류(330)의 타단은 일단과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면서 측판(322, 323)들 사이에서 제2 슬라이더(340)를 관통하며 제1 방향(1)을 향해 연장되고, 타단 끝부분은 도킹부(100)와 결합되는 회동판(370)과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슬라이더(340)의 일단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양측면 상하부에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돌출부들이 형성되어 측판(322, 323)들 각각의 내측면에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연결유닛(350)은 연결본체(351) 및 조인트(352)를 포함한다.
연결유닛(350)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은 측판(322, 323)들의 제2 방향(2)쪽에서 하부판(321)의 일단 상부면에 면접된 상태로 하부판(321)과 결합되며 제2 모터(310)의 구동축 및 제2 리드스크류(330) 사이를 연결한다.
연결본체(351)는 내부의 직육면체 형태의 공간이 상부 및 하부를 향해 개방된 사각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고, 제2 모터(310)의 제1 방향(1)쪽에 배치된 상태에서 하부판(321)의 일단 상부면에 면결합된다.
조인트(352)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제2 방향(2)쪽에서는 연결본체(351)의 안쪽 공간에서 제2 모터(310)의 구동축과 결합되며, 제1 방향(1)쪽은 연결본체(351)의 안쪽 공간에서 제2 리드스크류(330)와 결합된다.
따라서, 제2 모터(310)가 구동되면 조인트(352)가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고, 제2 리드스크류(330)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같은 방향으로 회동된다.
제3 슬라이더(360)의 상단부는 사각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2 레일(320)의 타단 저면에 면결합되고, 하단부는 상단부의 일측 및 타측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돌출된다.
제3 슬라이더(360)의 타단의 일측 및 타측 내측면들 각각에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되는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고, 제3 슬라이더(360)는 상기 슬라이딩 돌기들을 통해 가이드부(500)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거치부(400)는 지지대(410) 및 거치대(420)를 포함한다.
거치부(400)의 일단은 제2 슬라이딩부(300)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분리되어 제1 및 제2 방향(1, 2)쪽 각각에 서로 마주하는 수직판 형태로 상부를 향해 연장되며, 제1 방향(1)쪽 수직판의 상부 중앙 일부분은 하부로 함몰되어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주사기(30)의 밀대(32) 끝단에 형성된 원형판 형태의 가압판은 거치부(400)의 타단에 삽입되고, 밀대(32)는 상기 홈에 삽입되며, 거치부(400)의 이동에 따라 밀대(32)가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대(410)의 일단은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부로 연장된 볼트들을 통해 제2 슬라이더(340)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 상부의 제1 방향(1)쪽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수직판 형태로 연장된다.
거치대(420)의 일단은 지지대(410)의 제1 방향(1)쪽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의 양측 일부분이 상기 지지대(410)와 이격된 상태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중앙에 삽입홈(4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주사기(30)의 밀대(32)의 끝부분에 형성된 원형판 형태의 가압판은 지지대(410) 및 거치대(420)의 사이에 삽입되고, 밀대(32)는 삽입홈(421)에 삽입되면서 거치부(400)와 슬롯 결합된다.
또한, 주사기(30)가 도킹부(100) 및 주사기커버(55) 사이에 결합된 상태에서, 거치부(400)가 제2 모터(310)의 구동으로 제1 방향(1)을 향해 이동되면, 밀대(32)가 주사기(30) 내부의 약액을 니들(33)로 이동시킨다.
가이드부(500)는 브라켓(510) 및 제3 레일(520)을 포함한다.
가이드부(500)의 하단부는 브라켓을 통해 본체(22)에 결합되고, 상단부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레일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슬라이딩부(300)의 제1 방향(1)쪽 일부분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브라켓(510)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된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측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본체(22)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제3 레일(520)의 일단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직육면체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슬라이딩홈들이 형성되며, 타단은 일단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제1 방향(1)으로 연장된다.
제3 슬라이더(360)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 돌기들 각각은 제3 레일(520)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홈들 각각에 삽입되고, 제3 슬라이더(360)는 제3 레일(5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된다.
도킹부(100)의 일단은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회동판(370)을 통해 제2 리드스크류(330)의 타단과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저면의 사각형 일부분은 상부로 함몰되어 돌출부(321a)가 삽입되는 하부홈(112a)이 형성된다.
도킹부(100)의 타단은 일단의 제1 방향(1)쪽 상부 일부분이 제1 방향(1)을 향해 직육면체 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상부면의 일부분은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상부홈(113a)이 형성되어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사각 용기 형태로 형성된다.
주사기(30)를 커버하는 도킹부재(120)의 하부에 돌출된 돌출부(122)는 도킹부(100)의 타단 상부에 삽입되며 도킹부(100)와 결합되고, 제1 슬라이더(240)의 이동에 의해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된다.
가이드부(500)는 제1 슬라이더(240)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제1 방향(1)쪽으로 치우친 제2 슬라이딩부(300), 도킹부(100) 및 주사기(30)의 무게중심을 지지하여 제1 슬라이더(240)의 안정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제1 방향 2: 제2 방향
20: 인젝터 22: 본체
30: 주사기 31: 주사기 본체
32: 밀대 33: 니들
34: 손잡이 50: 카트리지
55: 주사기커버 55a: 하부홈
56: 상부커버 60: PCB
100: 도킹부 110: 도킹스테이션
111: 일단부 112: 중앙부
112a: 하부홈 113: 타단부
113a: 상부홈 120: 도킹부재
121: 자석 122: 돌출부
123: 거치홈 124: 삽입홈
125: 삽입홈 200: 제1 슬라이딩부
210: 제1 모터 220: 제1 레일
221: 제1 공간 230: 제1 리드스크류
240: 제1 슬라이더 300: 도킹부
310: 제2 모터 320: 제2 레일
321: 하부판 321a: 돌출부
322: 측판 322a: 슬라이딩홈
322b: 측면홈 322c: 돌출부
322d: 돌출부 323: 측판
323a: 슬라이딩홈 330: 제2 리드스크류
340: 제2 슬라이더 350: 연결유닛
351: 연결본체 352: 조인트
360: 제3 슬라이더 370: 회동판
400: 거치부 410: 지지대
420: 거치대 421: 삽입홈
500: 가이드부 510: 브라켓
520: 제3 레일 600: 도킹부

Claims (6)

  1. 인젝터 카트리지용 도킹부에 있어서,
    인젝터에 결합되는 도킹스테이션; 및
    상기 도킹스테이션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주사기를 사이에 두고 카트리지와 결합되는 도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 카트리지용 도킹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스테이션은,
    인젝터 내부의 구동장치와 결합되는 일단부;
    내부공간이 하부로 개방된 컨테이너의 형태로 형성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와 연결되고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된 컨테이너 형태로 형성되는 타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 카트리지용 도킹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재는,
    상기 주사기의 본체 하부를 둘러싸는 반기둥 형태의 거치홈이 형성되고, 후방에 상기 주사기의 본체 끝단에 형성된 환 형태의 손잡이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 카트리지용 도킹부.
  4. 인젝터의 본체에 내장되는 인젝터용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1 레일 및 상기 제1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결합되는 제1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제1 슬라이딩부;
    상기 제1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제2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결합되는 제2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제2 슬라이딩부;
    슬롯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거치부; 및
    상기 제2 레일에 결합되는 도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레일은 상기 도킹부를 통해 주사기의 본체가 장착된 카트리지와 결합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주사기의 밀대 끝단에 외측이 확장된 형태로 형성된 가압판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용 구동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는,
    상기 제2 레일에 결합되는 도킹스테이션; 및
    상기 도킹스테이션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카트리지와 자성 결합되는 도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용 구동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의 외측에서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일부분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레일을 구비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용 구동장치.















KR1020200176226A 2020-12-16 2020-12-16 인젝터 카트리지용 도킹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인젝터용 구동장치 KR102462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226A KR102462126B1 (ko) 2020-12-16 2020-12-16 인젝터 카트리지용 도킹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인젝터용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226A KR102462126B1 (ko) 2020-12-16 2020-12-16 인젝터 카트리지용 도킹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인젝터용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097A true KR20220086097A (ko) 2022-06-23
KR102462126B1 KR102462126B1 (ko) 2022-11-04

Family

ID=82221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226A KR102462126B1 (ko) 2020-12-16 2020-12-16 인젝터 카트리지용 도킹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인젝터용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126B1 (ko)

Citation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3349A (ja) * 1993-04-01 1999-03-26 ジェネトロニクス,インク. 医療用の電圧コントロールフィードバックを備えたエレクトロポレーションシステム
KR100259760B1 (ko) * 1995-05-26 2000-06-15 미야타 무네요시 2방향 레버 스위치
JP4447243B2 (ja) * 2003-06-02 2010-04-07 株式会社根本杏林堂 薬液注入システム
KR20100136245A (ko) * 2009-06-18 2010-12-28 송미희 자동식 주사용 건
US20130161161A1 (en) * 2011-12-21 2013-06-27 Robert Bosch Tool Corporation Method and mechanism for power tool lock-off
US20140336548A1 (en) * 2013-05-12 2014-11-13 Choon Kee Lee Vibration analgesia injection apparatus
KR101475301B1 (ko) * 2012-12-28 2014-12-22 김근식 고주파 멀티주사장치
KR20150022879A (ko) * 2012-05-21 2015-03-04 인클라인 세라픽스, 인코포레이티드 진통제 생성물에 대한 자가-테스트
KR101587930B1 (ko) * 2013-12-18 2016-01-22 정헌 전기천공법용 전극침 일체형 침관장치
KR20160113351A (ko) * 2015-03-18 2016-09-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카트리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약물주입기
KR101732302B1 (ko) * 2016-01-15 2017-05-11 전경욱 의료용 자동 약물 주입장치
KR101740950B1 (ko) * 2015-02-17 2017-06-15 주식회사 은성글로벌 니들을 이용한 피부 치료장치
CN107362402A (zh) * 2017-08-07 2017-11-21 广东省人民医院(广东省医学科学院) 单筒自动造影注射器
KR101831363B1 (ko) * 2015-08-10 2018-02-23 주식회사 로보맥스 전류인가형 니들모듈과 자동주사장치
US20180156556A1 (en) * 2016-12-07 2018-06-07 Wyssen Defence Ag Ambidextrous magazine release for a firearm
US20190307960A1 (en) * 2018-04-10 2019-10-10 Beyoung Scientific Co., Ltd. Automatic Jet Injector for Administering Tissue
KR20190118460A (ko) * 2018-04-10 2019-10-18 봄텍전자 주식회사 피부시술용 멀티니들모듈을 위한 자동시술장치
KR20200056509A (ko) * 2018-11-14 2020-05-25 메디허브 주식회사 자동주사장치의 제어방법
KR102151010B1 (ko) * 2018-04-10 2020-09-02 봄텍전자 주식회사 멀티니들모듈 및 그것의 사용을 위한 자동시술장치

Patent Citation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3349A (ja) * 1993-04-01 1999-03-26 ジェネトロニクス,インク. 医療用の電圧コントロールフィードバックを備えたエレクトロポレーションシステム
KR100259760B1 (ko) * 1995-05-26 2000-06-15 미야타 무네요시 2방향 레버 스위치
JP4447243B2 (ja) * 2003-06-02 2010-04-07 株式会社根本杏林堂 薬液注入システム
KR20100136245A (ko) * 2009-06-18 2010-12-28 송미희 자동식 주사용 건
US20130161161A1 (en) * 2011-12-21 2013-06-27 Robert Bosch Tool Corporation Method and mechanism for power tool lock-off
KR20150022879A (ko) * 2012-05-21 2015-03-04 인클라인 세라픽스, 인코포레이티드 진통제 생성물에 대한 자가-테스트
KR101475301B1 (ko) * 2012-12-28 2014-12-22 김근식 고주파 멀티주사장치
US20140336548A1 (en) * 2013-05-12 2014-11-13 Choon Kee Lee Vibration analgesia injection apparatus
KR101587930B1 (ko) * 2013-12-18 2016-01-22 정헌 전기천공법용 전극침 일체형 침관장치
KR101740950B1 (ko) * 2015-02-17 2017-06-15 주식회사 은성글로벌 니들을 이용한 피부 치료장치
KR20160113351A (ko) * 2015-03-18 2016-09-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카트리지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약물주입기
KR101831363B1 (ko) * 2015-08-10 2018-02-23 주식회사 로보맥스 전류인가형 니들모듈과 자동주사장치
KR101732302B1 (ko) * 2016-01-15 2017-05-11 전경욱 의료용 자동 약물 주입장치
US20180156556A1 (en) * 2016-12-07 2018-06-07 Wyssen Defence Ag Ambidextrous magazine release for a firearm
CN107362402A (zh) * 2017-08-07 2017-11-21 广东省人民医院(广东省医学科学院) 单筒自动造影注射器
US20190307960A1 (en) * 2018-04-10 2019-10-10 Beyoung Scientific Co., Ltd. Automatic Jet Injector for Administering Tissue
KR20190118460A (ko) * 2018-04-10 2019-10-18 봄텍전자 주식회사 피부시술용 멀티니들모듈을 위한 자동시술장치
KR102151010B1 (ko) * 2018-04-10 2020-09-02 봄텍전자 주식회사 멀티니들모듈 및 그것의 사용을 위한 자동시술장치
KR20200056509A (ko) * 2018-11-14 2020-05-25 메디허브 주식회사 자동주사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2126B1 (ko)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61220A1 (en) Storage compartment with display support
KR102462126B1 (ko) 인젝터 카트리지용 도킹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인젝터용 구동장치
EP3403524B1 (en) Card holder and electronic device
CN101755084A (zh) 针线穿过装置
WO2023051456A1 (zh) 一种自动染色系统及组织切片染色方法
KR20220149251A (ko) 인젝터용 구동장치
EP1726897A2 (en) Storage compartment with display support
CN218852788U (zh) 穿刺针固定夹及穿刺针固定装置
CN113349685B (zh) 清洁机的加水工作站
CN211528446U (zh) 机械臂进样模块
CN219595479U (zh) 医疗组装结构以及靶控泵
CN211157526U (zh) 一种桌面香薰装置
CN109568711B (zh) 输液管的自锁装置
CN211530322U (zh) 一种多自由度容差的充电插头和充电桩
JP7324487B2 (ja) 電動クレンメと自然落下式輸液制御装置
CN112156268A (zh) 一种天轨式自动换药输液架
CN113491491A (zh) 一种嵌入式的洗碗机
CN111577004B (zh) 拉手组件、门组件及储物柜
CN218137819U (zh) 一种订书机及具有该订书机的订书装置
CN220236546U (zh) 一种被套固定器
CN219001497U (zh) 一种可注射固定剂量的机械笔
CN218173807U (zh) 上药装置
CN115446783A (zh) 一种订书机及具有该订书机的订书装置
CN213368079U (zh) 耳机盒
CN215075505U (zh) 一种电子烟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