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004B1 -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004B1
KR102151004B1 KR1020190002303A KR20190002303A KR102151004B1 KR 102151004 B1 KR102151004 B1 KR 102151004B1 KR 1020190002303 A KR1020190002303 A KR 1020190002303A KR 20190002303 A KR20190002303 A KR 20190002303A KR 102151004 B1 KR102151004 B1 KR 102151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foam
cushion pad
cosmetic composition
cushion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6405A (ko
Inventor
윤미선
서영교
황성진
박현우
이광식
이종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주식회사 클리오
(주)고려퍼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주식회사 클리오, (주)고려퍼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90002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004B1/ko
Publication of KR20200086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26D7/10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에 관한 것으로,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되는 쿠션부 및 상기 함침된 화장료가 뿜어져 나오는 용출부의 이중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하층부인 상기 쿠션부는 습식 또는 건식 폴리우레탄 폼으로 구성하고 상층부인 상기 용출부는 폴리우레탄 폼 또는 루비셀로 구성하되, 상기 폴리우레탄 폼은 통기 가능한 오픈 셀(open cell) 구조 또는 통기되지 않는 클로즈 셀(closed cell) 구조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를 제공하며, 이러한 쿠션 패드의 제조방법으로서는 하층부인 상기 쿠션부로 사용하기 위한 습식 또는 건식 폴리우레탄 폼과 상층부인 상기 용출부로 사용하기 위한 폴리우레탄 폼 또는 루비셀을 각각 일정 크기의 시트 형태로 제공하는 공정; 각각의 폴리우레탄 폼 시트를 압축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상기 폴리우레탄 폼의 내부에 존재하는 다수의 기공 셀들을 터뜨려 상기 폴리우레탄 폼을 통기 가능한 오픈 셀 구조로 전환시키는 탈막 공정; 탈막되어 오픈 셀 구조를 갖게 된 상층부의 폴리우레탄 폼과 하층부의 폴리우레탄 폼을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들을 서로 겹쳐 접합하거나 상층부와 하층부의 폴리우레탄 폼을 열접합시키는 접합 공정; 상기 접착된 폴리우레탄 폼의 이중층 시트를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 및 상기 건조된 폴리우레탄 폼의 이중층 시트를 일정한 형상으로 절단하는 절단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와 그 제조방법{CUSHION PAD FOR IMPREGNATING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장료를 함침시켜 용기에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 화장료 담지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이 사용하는 화장료의 경우 그 기능에 따라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모발용 화장품, 프레그런스(fragrance), 약용 화장품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화장료는 그 상태에 따라 크림, 분말, 액상, 겔상의 상태로 구분되어 각 상태에 알맞은 용기에 보관된다. 특히, 메이크업 베이스로 사용되는 파운데이션 화장품은 색조 분말원료에 고착제(binder), 유화제(emulsifier)와 같은 성분을 혼합하여 화장품 용기에 담아 완제품으로 생산하게 된다.
파운데이션 화장품은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제형을 혼합하여 제조하는데, 서로 다른 제형을 혼합한 화장품 종류 중에는 계면활성제와 같은 유화제를 이용하여 유성원료와 수성원료를 혼합한 유중수형(water in oil, W/O) 또는 수중유형(oil in water, O/W)의 유화형 화장료가 있다.
유중수형 화장료는 오일이 물보다 많고 유분감이 많아 피부 흡수가 느리며, 사용감이 무겁지만 수중유형보다 지속성이 높다. 따라서, 지속성이 필요한 화장품의 경우, 땀이나 물에 대한 내수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수중유형보다는 유중수형(water in oil, W/O) 화장료로 제조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59877호는 저점도 유중수형의 겔상 파운데이션을 담지체에 함침시켜 화장품 용기에 넣은 제품으로서, 겔상 파운데이션이 함침된 담지체가 용기 내부의 힌지 결합된 고정 패킹 아래에 수용되는 형태를 보여준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49234호는 파우더 성상의 활성성분을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활성성분을 직접 담지하는 용기로서의 역할과 화장료의 도포를 용이하게 하는 애플리케이터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패드를 설명하고 있다. 이 패드는 다량의 물을 재빠르게 흡수할 수 있도록 복합기능섬유인 란실(LANSEAL)을 포함하는 것으로, 액상을 흡수하고 젤화되므로 피부 밀착감이 우수하고 화장료를 피부에 부드럽게 도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액상 또는 겔상의 화장료 조성물을 휴대하기 위한 용기로는 일반적으로 팩트 타입의 용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팩트 타입 용기에 액상 또는 겔상의 화장료 조성물을 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한 담체가 팩트 타입 용기에 사용 가능한지, 상기 담체가 화장료 조성물을 잘 함침시킬 수 있는지, 또한 상기 담체가 화장료 조성물을 장기간 균질하게 담지할 수 있는지, 그리고 상기 담체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을 취하고자 할 때 적당량이 배출될 수 있는지 등이다.
이와 같이 액상 또는 겔상의 파운데이션이 함침된 담체나 파우더 성상의 활성성분이 담지된 패드의 경우 그 재질을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면(코튼)과 같은 천연섬유, 또는 다공성 스폰지, 엔비알(N.B.R), 에스비알(S.B.R),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아세테이트, 루비셀(rubycell), 비스코스레이온 또는 나일론 등과 같은 합성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사항들을 고려할 때 겔상, 액상 또는 파우더 성상의, 예를 들면 파운데이션과 같은 화장료 조성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그리고 사용하기 편리하게 함침할 수 있는 적합한 재질의 담체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발된 것으로, 겔상, 액상 또는 파우더 성상의 화장료 조성물을 보다 안전하고 사용이 편리하게 담지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르면, 피부에 도포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하고 퍼프가 접할 때 화장료를 상단면 전체로 고르게 뿜어져 나오도록 구성한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로서,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되는 쿠션부 및 상기 함침된 화장료가 뿜어져 나오는 용출부의 이중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하층부인 상기 쿠션부는 습식 또는 건식 폴리우레탄 폼으로 구성하고 상층부인 상기 용출부는 폴리우레탄 폼 또는 루비셀로 구성하되, 상기 폴리우레탄 폼은 통기 가능한 오픈 셀(open cell) 구조와 통기가 되지 않는 클로즈 셀(closed cell)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쿠션 패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쿠션부 및 상기 함침된 화장료가 뿜어져 나오는 용출부의 이중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는, 하층부인 상기 쿠션부로 사용하기 위한 습식 또는 건식 폴리우레탄 폼과 상층부인 상기 용출부로 사용하기 위한 폴리우레탄 폼 또는 루비셀을 각각 일정 크기의 시트 형태로 제공하는 공정; 각각의 폴리우레탄 폼 시트를 압축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상기 폴리우레탄 폼의 내부에 존재하는 다수의 기공 셀들을 터뜨려 상기 폴리우레탄 폼을 통기 가능한 오픈 셀 구조로 전환시키는 탈막 공정; 상기 탈막 공정에 의해 오픈 셀 구조를 갖게 된 상층부의 폴리우레탄 폼과 하층부의 폴리우레탄 폼을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들을 서로 겹쳐 접합하거나 또는 상기 상층부와 하층부의 폴리우레탄 폼을 소정의 열 접합 수단을 통해 접합시키는 접합 공정; 상기 접착 공정에 의해 형성된 폴리우레탄 폼의 이중층 시트를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 및 상기 건조 공정에 의해 건조된 폴리우레탄 폼의 이중층 시트를 일정한 형상으로 절단하는 절단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위의 접착 공정에서 접착제는 수성 접착제가 사용되며, 상기 건조 공정은 1차 건조 단계와 2차 건조 단계로 나누어 수행되고, 상기 절단 공정은 상기 1차 건조 단계와 2차 건조 단계 사이에 수행되되, 상기 1차 건조단계는 UV 건조방식이 사용되고 상기 2차 건조 단계는 열풍 건조방식이 사용되며 상기 절단된 쿠션 패드를 열풍기 내부에서 40∼80℃로 건조한다.
또한, 상기 절단 공정은 프레스의 절단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1차 건조된 폴리우레탄 폼의 이중층 시트를 실제로 화장품 용기에 삽입되는 크기의 쿠션 패드로 절단하는 가열프레싱 공정으로서, 상기 가열프레싱을 위한 절단 금형은 고정된 형태의 하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동작하는 상부 금형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금형은 열원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가열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표면에는 서로 간에 상하 대응하는 복수의 커터날들이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커터날들은 둥근 원 형상의 일정한 깊이를 가지며, 상기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커터날들 상호간에는 상기 상부 금형의 하강으로 인해 적어도 어느 일측이 다른 일측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쿠션 패드의 절단이 이루어진다.
상기 절단 단계에서 하층부인 상기 쿠션부와 상층부인 상기 용출부의 경계면에 위치하는 상기 쿠션 패드의 에지 부분은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에 의해 가해지는 일정한 열과 압력에 의해 열 접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때 상부 금형은 120∼20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80℃로 가열되고, 상기 하부 금형은 200∼29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40℃로 가열된다.
상기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은 상기 절단된 쿠션 패드의 상층부와 하층부의 둘레단이 각각 일정한 곡률의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은 각각의 커터날들의 내벽과 천장 또는 바닥이 일정한 곡률의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 외에도, 폴리우레탄 폼 시트(21)(22) 상태에서 각 쿠션 패드(10)의 상층부(11)와 하층부(12)의 둘레단에 해당하는 부분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술된 특징들로부터 본 발명은 겔상, 액상 또는 파우더 성상의 화장료 조성물을 보다 안전하고 사용이 편리하게 담지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의 제조 공정도,
도 3은 도 2의 제조 과정에서 프레스에 의한 절단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의 설명에서는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필연적인 부분들을 제외하고 그 도시와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걸쳐 동일 유사한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고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의 제조 공정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제조 과정에서 프레스에 의한 절단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는 서로 다른 종류의 폴리우레탄 폼을 상하 적층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화장품 용기 내에서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하고 있다가 상단면에 피부에 마찰시키는 퍼프가 접하게 되면 화장료가 상단면 전체에 고르게 뿜어져 나온다.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10)는 액상 또는 겔상의 파우더가 패드 표면으로 잘 용출되도록 화장료 조성물의 함침이 가능한 쿠션부와 상기 함침된 화장료가 뿜어져 나오는 용출부의 이중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 쿠션부인 하층부(12)는 습식 또는 건식 폴리우레탄 폼으로 구성하고, 용출부인 상층부(11)는 폴리우레탄 폼이나 다수의 미세한 기공들이 형성된 루비셀로 구성할 수 있다(도 1 참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의 제조과정에서 하층부(12)인 쿠션부로 사용되는 습식 또는 건식 폴리우레탄 폼과 상층부(11)인 용출부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폼 또는 루비셀은 각각 일정 크기의 시트 형태로 제공(100; 도 2 참조)되며 이들을 접합함으로써 상층부와 하층부의 이중층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상층부와 하층부의 접합 전 각각의 폴리우레탄 폼 시트(21)(22)는 먼저 압축롤러에 의한 탈막 공정(200)을 거치게 된다. 탈막 공정(200)은 폴리우레탄 폼의 내부에 존재하는 다수의 기공 셀(cell)들을 터뜨려 폴리우레탄 폼을 통기 가능한 형태로 바꾸어주는 것으로, 상층부와 하층부의 폴리우레탄 폼 시트(21)(22)를 2개의 압축롤러(미도시)의 사이로 통과시켜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함으로써 폼 내부의 기공 셀들을 터뜨려준다. 이를 통해 폴리우레탄 폼들은 다수의 기공 셀들에 의해 제대로 통기가 되지 않는 클로즈 셀(close cell) 구조로부터 통기 가능한 오픈 셀(open cell) 구조로 변화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우레탄 폼 시트(21)(22)는 통기 가능한 오픈 셀 구조와 제대로 통기가 되지 않는 클로즈 셀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탈막 공정(200)을 통해 오픈 셀 구조를 갖게 된 상층부와 하층부의 폴리우레탄 폼들은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 접착제를 골고루 도포한 후 이들을 서로 겹쳐 접합시킨다(300). 이때 사용하는 접합 수단은 일반적으로 수성 접착제가 바람직하나, 그 외에도 열 접합 방식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접착이 완료된 상층부와 하층부의 폴리우레탄 폼 시트(20)는 건조 공정(400)과 절단 공정(500)을 통해 최종 제품으로 완성되는데, 건조 공정(400)은 1차 건조(410)와 2차 건조(420)에 걸쳐 나누어 수행될 수 있으며, 절단 공정(500)은 1차 건조 단계(410)와 2차 건조 단계(420)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1차 건조(410)는 UV 건조방식이 사용되고 2차 건조(420)는 열풍 건조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절단 공정(500)은 UV에 의한 1차 건조(410)가 완료된 폴리우레탄 폼 시트(20)를 절단하는 가열프레싱 공정으로서, 이러한 가열프레싱 공정은 프레스(30)의 절단 금형을 이용하여 상층부와 하층부의 2중층 폴리우레탄 폼 시트(20)를 실제로 화장품 용기에 삽입되는 크기의 쿠션 패드(10)로 절단한다.
여기서, 가열프레싱을 위한 절단 금형은 고정된 형태의 하부 금형(32)과 이 하부 금형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동작하는 상부 금형(31)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금형(31)(32)은 모두 열원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가열될 수 있으며, 상부 금형(31)과 하부 금형(32)의 표면에는 서로 간에 상하 대응하는 복수의 커터날(31a)(32a)들이 구비된다(도 3a 참조). 각각의 커터날(31a)(32a)들은 둥근 원 형상의 일정한 깊이를 가지며, 상부 금형(31)과 하부 금형(32)의 커터날(31a)(32a)들 상호간에는 상부 금형(31)의 하강으로 인해 적어도 어느 일측이 다른 일측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가위의 작동원리와 같은 쿠션 패드의 절단이 이루어진다(도 3b 참조). 또한, 이 절단 과정에서 상층부(11)와 하층부(12)의 경계면에 위치하는 쿠션 패드(10)의 에지 부분(13)은 상부 금형(31)과 하부 금형(32)에 의해 가해지는 일정한 열과 압력에 의해 열접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부 금형(31)은 120∼200℃로 가열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80℃를 유지한다. 또한, 하부 금형(32)은 200∼290℃로 가열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40℃를 유지한다.
한편, 절단된 쿠션 패드(10)의 상층부(11)와 하층부(12)의 각 둘레단은 일정한 곡률을 갖는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부 금형(31)과 하부 금형(32)의 각각의 커터날(31a)(32a)들의 내벽과 천장 또는 바닥을 일정한 곡률의 라운드진 형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폴리우레탄 폼 시트(21)(22) 상태에서 각 쿠션 패드(10)의 상층부(11)와 하층부(12)의 둘레단에 해당하는 부분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가열프레싱 공정을 통해 실제 화장품용기에 삽입되는 크기로 절단된 쿠션 패드(10)는 2차 건조 단계인 열풍기(미도시)의 내부에서 약 40∼80℃ 온도로 열풍 건조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서 상층부와 하층부로 구성된 폴리우레탄 폼의 이중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는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촉매제, 및 발포제를 혼합하여 얻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는 주원료인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및 디이소시아네이트에 첨가제로서 반응촉매 및 발포제 등을 부가하여 축합 중합 반응시키고 발포 처리한 후 일정 시간 동안 경화시켜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는 폴리에테르계 폴리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축합 중합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데, 특히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은 수평균분자량이 2,000~4,000인 0~30 중량부의 NPP(Natural Poly Propylene)와 수평균분자량이 3,000~5,000인 70~100 중량부의 POP(Polymer of Polyol)를 포함하는 혼합 폴리올을 사용함으로써, 경도(I.L.D. 25%)가 6~30 kgf/314cm2이고 기공크기가 40~70 PPI의 물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물성을 가질 때 기존의 백킹 클로스(Backing Cloth) 및 올레핀 필름(Olefin Film)과 같이 표면이 미끄러우면서도 기존 스펀지의 성질은 대부분 유지한 폴리우레탄 폼이 얻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는 전술한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100 중량부에 대해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30~60 중량부, 촉매제 0.1~5 중량부, 발포제 2~20 중량부를 포함하고, 촉매제는 폴리올과 TDI 반응하는 우레탄 반응 촉매제(예: SnOct) 및 TDI와 물과의 반응을 위한 우레아 반응 촉매제(예: TEDA-33LV)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발포제는 물과 메틸렌크로라이드(M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술한 축합 반응시 첨가되는 반응 촉매(즉, 촉매제)는 축합 반응 및 가교 반응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비스(디메틸아미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디아민, N,N'-디메틸에탄올아민, 스테너스 옥테이트,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디옥틸틴 디라우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발포제로는 물이 단독 사용될 수 있으나, 발포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보조 발포제로서 메틸렌크 로라이드(MC), 펜탄, 디클로로플루오르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르메탄 등이 단독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소포제로는 폴리실록산 주쇄에 폴리에테르 측쇄가 결합된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는, 겉보기 밀도 14~28kg/m3, 경도(25%) 6~30kgf/314cm2, 인장강도 0.5~2.5kgf/cm2, 신율 40~110%, 인열강도 0.2~1.6kgf/cm, 탄성 10~30%, 연소성 SE 등급, 및 냄새 1~3등급의 물성을 가짐으로써, 백킹 클로스나 올레핀 필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면서 패드 제작 시 백킹 클로스나 올레핀 필름의 기능성 및 기존 스펀지의 기능성을 모두 대체할 수 있다.
다음은 하기 표 1의 조성 성분을 이용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의 제조예를 설명한다.
[제조예]
표 1의 제조예 1~4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한 원료 물질은 다음과 같다.
1) 폴리에테르폴리올: NPP(Natural Poly Propylene), 수평균분자량 3,000 OH value 50~60 mgKOH/g
2) 폴리에테르폴리올: POP(Polymer of Polyol), 수평균분자량 4,610 OH value 26~30 mgKOH/g
3) T-80: 2,4-TDI(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2,6-TDI가 80:20 몰비로 존재하는 디이소시아네이트, 당량 87.5
4) 폴리실록산: 폴리알킬렌 옥시디메틸 실록산 공중합체
5) Sn.oct : 스테너스 옥토에이트(유기주석)
6) TEDA-33LV: 트레이텔렌디아민 촉매
7) 인산염: 클로린 함유 지방족 포스페이트
8) MC: 메틸렌크로라이드
9) PB: 폴리올 블랙 안료
[물성 평가]
표 1에 따라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에 대해 기공크기(SEM 분석), 반발탄성(JIS K6401), 겉보기 밀도(JIS K 7222), 경도(I.L.D. 25%, JIS K 64002(D))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제조예 비교제조예
1 2 3 4 1 2




조성성분
(중량부)
NPP - 10 20 30 55 60
POP 100 90 80 70 45 40
T-80 50.1 50.1 50.1 50.1 50.1 50.1
폴리실록산 1 1 1 1 1 1
Sn.oct 0.22 0.22 0.22 0.22 0.22 0.22
4 4 4 4 4 4
TEDA-33LV 0.2 0.21 0.22 0.22 0.22 0.22
인산염 14 14 14 14 14 14
MC 5 5 5 5 5 5
P.B 4 4 4 4 4 4


물성
기공크기
(ppi)
60 60 60 60 35 35
반발탄성
(%)
30 31 32 32 38 39
겉보기밀도
(㎏/㎠)
20 20.5 20 20.5 32.66 32.17
경도
(㎏f/314㎠)
30 24 20 10 5.5 5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는 낮은 밀도에서 6~30kgf/314cm2 범위내의 I.L.D.25% 경도를 가지면서 40~70ppi 이내의 일정한 크기의 기공과 인장강도를 가진 것으로, 이로 인해 기존 폴리우레탄 폼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내구성과 통기성을 보이게 된다.
이에 반하여, 비교제조예 1~2의 폴리우레탄 폼은 기공크기, 반발탄성, 밀도, 경도 등의 물성이 기존 스펀지의 요구 수준을 만족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 요구하고 있는 6~30 kgf/314cm2 이내의 I.L.D.25% 경도 및 40~70ppi 이내의 일정한 크기의 기공에 대한 물성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제조예 1~4의 폴리우레탄 폼과 비교하여 통기성에 대한 요구 성능이 현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는 다음과 같은 용출 성능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실험예] 용출 시험
하층부인 습식 폴리우레탄 폼과 상층부인 건식 폴리우레탄 폼의 이중층 구조로 제조한 후 면적이 대략 10∼15㎠가 되도록 시편 2장을 가압 실링하여 4각 봉투를 만들어 증류수를 넣고 봉합 실링한 후, 각각 121℃에서 2시간 및 135℃에서 1시간 동안 증류수 용출 시험을 수행하였다.
여기서, 첫 번째는 피부와 닿게 될 용기 부분을 10㎠ 크기로 잘라 121℃의 증류수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때, 증류수 온도는 121℃를 넘기지 않았다. 2시간 경과 후, 증류수 용액을 분별깔데기에 넣고 클로로포름 용액을 투입 후 상층과 하층을 분리하여 클로로포름에 용해된 용출 성분을 추출하여 농도를 측정하였다.
두 번째는 피부와 닿게 될 용기 부분을 10㎠ 크기로 잘라 135℃의 증류수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때, 증류수 온도는 135℃를 넘기지 않았다. 1시간 경과 후, 증류수 용액을 분별깔데기에 넣고 클로로포름 용액을 투입후 상층과 하층을 분리하여 클로로포름에 용해된 용출 성분을 추출하여 농도를 측정하였다. 증류수 외에 접착제에서 용출될 수 있는 물질은 저분자량의 첨가제 등이 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의 용출 테스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21℃/2시간
(mg/㎠)
135℃/1시간
(mg/㎠)
실시예 1 0.0009 0.0014
비교예(1) 0.0001 0.0003
비교예(2) 0.0002 0.0006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의 용출 성능은 21℃/2시간에서 0.0009 mg/㎠, 135℃/1시간에서 0.0014 mg/㎠로 용출 성능이 매우 우수한 물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비교예 1의 경우, 용출 성능이 매우 낮고 비교예 2의 경우에도 용출성능이 비교예 1에 비해 약간 높은 정도이나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그 일부를 예시한 정도에 불과하며,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나타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동일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요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물의 많은 변화, 수정 및 대체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쿠션부 및 상기 함침된 화장료가 뿜어져 나오는 용출부의 이중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쿠션부로 사용하기 위한 습식 또는 건식 폴리우레탄 폼과 상기 용출부로 사용하기 위한 폴리우레탄 폼 또는 루비셀을 각각 일정 크기의 시트 형태로 제공하는 공정;
    각각의 폴리우레탄 폼 시트를 압축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상기 폴리우레탄 폼의 내부에 존재하는 다수의 기공 셀들을 터뜨려 상기 폴리우레탄 폼을 통기 가능한 오픈 셀 구조로 전환시키는 탈막 공정;
    상기 탈막 공정에 의해 오픈 셀 구조를 갖게 된 상층부의 폴리우레탄 폼과 하층부의 폴리우레탄 폼을 일정한 수단에 의해 접합시키는 접합 공정;
    상기 접합 공정에 의해 형성된 폴리우레탄 폼의 이중층 시트를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 및
    상기 건조 공정에 의해 건조된 폴리우레탄 폼의 이중층 시트를 일정한 형상으로 절단하는 절단 공정을 포함하는 쿠션 패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공정은 수성 접착제 또는 열접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패드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공정은 1차 건조 단계와 2차 건조 단계로 나누어 수행되고, 상기 절단 공정은 상기 1차 건조 단계와 2차 건조 단계 사이에 수행되되, 상기 1차 건조단계는 UV 건조방식이 사용되고 상기 2차 건조 단계는 열풍 건조방식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패드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공정은 프레스의 절단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1차 건조된 폴리우레탄 폼의 이중층 시트를 실제로 화장품 용기에 삽입되는 크기의 쿠션 패드로 절단하는 가열프레싱 공정으로서, 상기 가열프레싱을 위한 절단 금형은 고정된 형태의 하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동작하는 상부 금형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금형은 열원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가열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표면에는 서로 간에 상하 대응하는 복수의 커터날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패드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터날들은 둥근 원 형상의 일정한 깊이를 가지며, 상기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커터날들 상호간에는 상기 상부 금형의 하강으로 인해 적어도 어느 일측이 다른 일측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쿠션 패드의 절단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패드의 제조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공정에서 상기 쿠션부와 상기 용출부의 경계면에 위치하는 상기 쿠션 패드의 에지 부분은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에 의해 가해지는 일정한 열과 압력에 의해 열접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패드의 제조방법.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은 120∼200℃로 가열되고, 상기 하부 금형은 200∼290℃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패드의 제조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건조 단계는 상기 절단된 쿠션 패드를 열풍기 내부에서 40∼80℃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패드의 제조방법.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패드는 상층부와 하층부의 둘레단이 각각 일정한 곡률의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패드의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패드의 상층부와 하층부의 둘레단에 각각 일정한 곡률의 라운드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은 각각의 커터날들의 내벽과 천장 또는 바닥이 일정한 곡률의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패드의 제조방법.
  11. 피부에 도포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하고 퍼프가 접할 때 화장료를 상단면 전체로 고르게 뿜어져 나오도록 구성된, 제1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로서,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되는 쿠션부 및 상기 함침된 화장료가 뿜어져 나오는 용출부의 이중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습식 또는 건식 폴리우레탄 폼으로 구성하고 상기 용출부는 폴리우레탄 폼 또는 루비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폼은 통기 가능한 오픈 셀(opened cell) 구조와 통기되지 않는 클로즈 셀(closed cell)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
KR1020190002303A 2019-01-08 2019-01-08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와 그 제조방법 KR102151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303A KR102151004B1 (ko) 2019-01-08 2019-01-08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303A KR102151004B1 (ko) 2019-01-08 2019-01-08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405A KR20200086405A (ko) 2020-07-17
KR102151004B1 true KR102151004B1 (ko) 2020-09-03

Family

ID=71832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303A KR102151004B1 (ko) 2019-01-08 2019-01-08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0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159B1 (ko) * 2020-07-22 2021-05-06 주식회사 이노코아 우레탄 코팅층을 갖는 함침재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우레탄 코팅층을 갖는 함침재
KR102649230B1 (ko) * 2021-01-19 2024-03-21 한국전력공사 친환경 폴리우레탄 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63312B1 (ko) * 2022-07-08 2023-08-04 주식회사 비엘비 화장용 퍼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681B1 (ko) * 2015-12-02 2018-02-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퍼프
KR102544620B1 (ko) * 2016-08-16 2023-06-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퍼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405A (ko) 2020-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1004B1 (ko)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와 그 제조방법
US10435529B2 (en) Air-permeable spong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air-permeable sponge by using the same
US3781231A (en) Physically reinforced hydrophilic foam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US3793241A (en) Dimensionally stable hydrophilic foam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US3530489A (en) Footwear manufacture
CA2862840C (en) Cosmetic composition carrier containing urethane foam layer structure
EP1124461B1 (en) Custom-formable shoe insert
KR101972072B1 (ko)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우레탄 폼
US3839138A (en) Dimensionally stable hydrophilic foam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JP2002058734A (ja) ポリウレタン発泡体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70245724A1 (en) Hydrophilic open cell foam
KR101811273B1 (ko) 개선된 폴리우레탄 마스크 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7123907A (ja) 化粧塗布用パフ
KR20180094399A (ko) 접착층을 포함하는 담지체 및 담지체의 제조방법
WO2022248558A1 (en) Multilayered composite material comprising foamed granules
TW202034816A (zh) 化妝品組成物載體
JP2000308678A (ja) 機能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およびその製造法
TWI723333B (zh) 組合有生物膳食纖維組合物的含浸材料以及上述含浸材料的製造方法
KR101822389B1 (ko)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822387B1 (ko)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102456B1 (ko) 함침 스폰지
KR101759684B1 (ko) 겔상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연속 기포형 니트릴 고무 스폰지
MXPA01004275A (en) Custom-formable shoe insert
KR20220086881A (ko) 제1 및 제2 화장료 조성물을 동시에 배출하기 위한 담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EP1321057A2 (en) Custom-formable shoe inse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