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389B1 -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 Google Patents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389B1
KR101822389B1 KR1020160020019A KR20160020019A KR101822389B1 KR 101822389 B1 KR101822389 B1 KR 101822389B1 KR 1020160020019 A KR1020160020019 A KR 1020160020019A KR 20160020019 A KR20160020019 A KR 20160020019A KR 101822389 B1 KR101822389 B1 KR 101822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it
copolymer
impregnated
impregnating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8389A (ko
Inventor
조성렬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피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피월드 filed Critical (주)에스엔피월드
Priority to KR1020160020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389B1/ko
Publication of KR20170098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4Platelets; Flakes
    • A61K8/0258Layered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는 부정형 섬유구조로 형성되어 공극률이 높아서 종래의 기포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폴리 에스테르 또는 폴리 에테르 타입의 발포 우레탄 함침부재나 발포 NBR 함침부재보다 화장료 조성물을 다량으로 함침할 수 있도록 하고, 일정한 범위의 경도값을 가지고 있어서 화장도구나 손으로 스폰지를 가압할 때 겔상 또는 액상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이 적당량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발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부정형 섬유구조로 형성되어 있어서 종래의 폴리 에스테르 또는 폴리 에테르 타입의 발포 우레탄 함침부재나 발포 NBR 함침부재보다 신축성이 향상되어 상기 함침부재를 가압하면 함침부재 하부까지 충분하게 눌러져서 함침부재 하부에 남아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함침부재 상측에 폴리에스터 스크린망을 형성하여 상기 함침부재로부터 배출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토출량을 조절하며, 화장료 조성물을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에 함침시키고, 이를 콤팩트 타입의 용기에 포장하여 사용자의 휴대성 및 사용 편리성을 증진시키도록 하는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함침부재는 화장료 조성물이 포함되고, 상기 함침부재는 애스커(ASKER) 경도기 F형(Type F) 기준으로 15 내지 40의 경도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하고, 상기 함침부재는 20 내지 25 ㎍/㎣의 밀도를 가지며, 상기 함침부재는 부정형 섬유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함침부재를 구성하는 섬유의 굵기는 20 내지 60 ㎛이며, 상기 함침부재 상단에는 스크린망이 라미네이팅으로 되며, 상기 함침부재의 상측에는 상기 함침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구가 끼워지되, 상기 고정구에는 스크린망이 고주파 접합 또는 초음파 접합으로 되고, 상기 스크린망의 재질은 폴리에스터 섬유이고, 단일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린망의 폴리에스터 섬유의 굵기가 20 내지 25 ㎛이며, 상기 스크린망은 폴리에스터 섬유 사이에 우레탄폼이 형성되어 이중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Cosmetics containing 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copolymer sponge}
본 발명은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는 부정형 섬유구조로 형성되어 공극률이 높아서 종래의 기포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폴리 에스테르 또는 폴리 에테르 타입의 발포 우레탄 함침부재나 발포 NBR 함침부재보다 화장료 조성물을 다량으로 함침할 수 있도록 하는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는 일정한 범위의 경도값을 가지고 있어서 화장도구나 손으로 함침부재를 가압할 때 겔상 또는 액상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이 적당량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는 발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부정형 섬유구조로 형성되어 있어서 종래의 폴리 에스테르 또는 폴리 에테르 타입의 발포 우레탄 함침부재나 발포 NBR 함침부재보다 신축성이 향상되어 상기 함침부재를 가압하면 함침부재 하부까지 충분하게 눌러져서 함침부재 하부에 남아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 상측에 폴리에스터 스크린망을 형성하여 상기 함침부재로부터 배출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을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에 함침시키고, 이를 콤팩트 타입의 용기에 포장하여 사용자의 휴대성 및 사용 편리성을 증진시키도록 하는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색조 화장료 조성물 중 파운데이션은 피부의 결점을 은폐하여 주고, 자연스러운 피부톤의 메이크업 효과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색조 화장료이며, 크게 형태에 따라 파우더 파운데이션, 고형 파운데이션, 유성 파운데이션, 유화형 파운데이션으로 나눌 수 있다.
파우더 파운데이션은 아름다운 마무리 화장과 피부색 보정을 위하여 착색 안료와 백색안료가 고형 백분보다 많이 배합되며, 착색안료와 무기안료가 경우에 따라 다른 비율로 배합된다. 광택효과를 얻기 위해 운모 티탄계의 펄안료 등도 사용되지만 다른 파운데이션에 비해 사용감이 건조하며, 피지에 의해 뭉칠 수 있으며, 화장 지속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고형 파운데이션은 물을 머금은 스펀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청량 감 때문에 여름철에 많이 이용된다. 젖은 스펀지로 사용한 경우, 크리미한 감촉을 내기 위하여 친수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는데, 이 때 물과 섞여서 사용할 때에는 유화상태가 된다. 사용 감촉이 산뜻하고, 얇게 발라져서 상쾌한 마무리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물에 젖은 스펀지를 이용함으로 2차 오염으로 인한 피부 트러블을 유발 할 수 있고, 피지 컨트롤 능력이 떨어진다.
유성 파운데이션은 콤팩트 타입과 스틱 타입으로 분류되며, 에몰리언트 효과가 높기 때문에 겨울철에 주로 이용된다. 피부에 잘 펴발리고 부착성이 좋아서 화장이 잘 지워지지 않고 커버력이 우수한 특징이 있으나, 사용감이 무겁고 답답하다.
그리고 유화형 파운데이션은 촉촉한 사용감과 우수한 트리트먼트 기능으로, 파운데이션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저점도의 액상 타입은 가벼운 느낌과 촉촉한 수분감을 부여하여 산뜻한 사용감을 나타낸다.
상기 유화형 파운데이션은 튜브나 펌프, 자(jar)타입 용기에 내용물을 담아 사용하고 있으나 휴대성이 떨어지고 소비자가 원하는 양을 정량적으로 토출하기 어려우며 손으로 직접 피부에 도포해야하므로 화장료가 손에 묻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고체형 파운데이션이나 유성 파운데이션과 같이 휴대가 용이한 콤팩트 타입의 용기에 담기에는 상기 유화형 파운데이션의 점도가 매우 낮아 자(jar) 타입의 용기에 저장하기 어려워 콤팩트 타입의 용기에는 포장할 수가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고 제10-1257628호, 제10-1355051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유중수형 타입의 자외선 차단제를 에테르 폴리머 또는 에스테르 폴리머 타입의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킨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퍼프를 이용하여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된 화장료를 찍어서 피부에 도포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발포 우레탄 폼은 고분자 사슬 내 우레탄 결합(-NH-COO-)을 갖는 고분자로서 2가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Polyol) 등의 활성 수소화합물과의 결합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사용한 발포 우레탄 폼은 발열반응과 함께 진행되어, 열과 고압의 가스를 발생시키면서 폴리우레탄이 발포가 되는데, 이 때 발포 두께가 얇게 성형된 부분에서 가스가 집중되어 압력이 가해지면서 폴리우레탄이 점차 부풀어 올라 내상에 변형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인 TDI(tolulene diisocyanate), MDI(Methylenediphenyl diisocyanate)를 사용하게 되는데 자외선에 의해 Quinon imide 구조를 취하여 발포 우레탄 폼의 황변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 함유된 발포 우레탄 폼은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실리콘 오일이나 극성이 높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같은 활성물질과 반응하여 시간이 경과하면서 상기 발포 우레탄 폼이 부풀어 오르거나 녹아서 찢어지는 현상 등과 같이 내구성이 저하되어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발포 우레탄 폼의 기공 사이즈에 따라 내용물의 배출량과 안정성이 불균일하거나 큰 경우에는 함침된 내용물의 저장성이 떨어져 흘러내리고 너무 작은 경우에는 함침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발포 우렌탄 폼의 탄성 경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화장도구나 손으로 누를 때 일정한 압력에서 내용물의 배출이 어려우며 너무 낮은 경우에는 과량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발포 우레탄 폼 제조 시 촉매제로 아민을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아민은 발포 우레탄 폼 제조 시 열에 의해 대부분 휘발하지만, 일부가 남아있어서 후각이 예민한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3028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개선된 사용감을 가지는 발포 폼에 관한 것으로,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폴리염화 비닐, 폴리에틸렌, EVA(Ethylene Vinyl Acetate), 라텍스, 실리콘, 피막 타입,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PVA(PolyVinyl Alcohol), 실리콘제 엘라스토머, 니트릴, 부틸, 폴리에테르 및 네오프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발포 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은 작은 기포 크기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할 수 있는 빈 공간이 작아 그 내부로 화장료 조성물의 충전이 잘 되지 않고, 충전을 시키더라도 팽창율이 높아 스펀지의 변형이 일어나며 배출이 원활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는 부정형 섬유구조로 형성되어 공극률이 높아서 종래의 기포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폴리 에스테르 또는 폴리 에테르 타입의 발포 우레탄 함침부재나 발포 NBR 함침부재보다 화장료 조성물을 다량으로 함침할 수 있도록 하는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는 일정한 범위의 경도값을 가지고 있어서 화장도구나 손으로 함침부재를 가압할 때 겔상 또는 액상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이 적당량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는 발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부정형 섬유구조로 형성되어 있어서 종래의 폴리 에스테르 또는 폴리 에테르 타입의 발포 우레탄 함침부재나 발포 NBR 함침부재보다 신축성이 향상되어 상기 함침부재를 가압하면 함침부재 하부까지 충분하게 눌러져서 함침부재 하부에 남아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 상측에 폴리에스터 스크린망을 형성하여 상기 함침부재로부터 배출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을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에 함침시키고, 이를 콤팩트 타입의 용기에 포장하여 사용자의 휴대성 및 사용 편리성을 증진시키도록 하는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함침부재는 화장료 조성물이 포함되고, 상기 함침부재는 애스커(ASKER) 경도기 F형(Type F) 기준으로 15 내지 40의 경도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는 20 내지 25 ㎍/㎣의 밀도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는 부정형 섬유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구성하는 섬유의 굵기는 20 내지 6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 상단에는 스크린망이 라미네이팅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의 상측에는 상기 함침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구가 끼워지되, 상기 고정구에는 스크린망이 고주파 접합 또는 초음파 접합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크린망의 재질은 폴리에스터 섬유이고, 단일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크린망의 폴리에스터 섬유의 굵기가 20 내지 25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스크린망은 폴리에스터 섬유 사이에 우레탄폼이 형성되어 이중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은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는 부정형 섬유구조로 형성되어 공극률이 높아서 종래의 기포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폴리 에스테르 또는 폴리 에테르 타입의 발포 우레탄 함침부재나 발포 NBR 함침부재보다 화장료 조성물을 다량으로 함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은 일정한 범위의 경도값을 가지고 있어서 화장도구나 손으로 함침부재를 가압할 때 겔상 또는 액상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이 적당량으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은 발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부정형 섬유구조로 형성되어 있어서 종래의 폴리 에스테르 또는 폴리 에테르 타입의 발포 우레탄 함침부재나 발포 NBR 함침부재보다 신축성이 향상되어 상기 함침부재를 가압하면 함침부재 하부까지 충분하게 눌러져서 함침부재 하부에 남아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은 상기 함침부재 상측에 폴리에스터 스크린망을 형성하여 상기 함침부재로부터 배출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은 화장료 조성물을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에 함침시키고, 이를 콤팩트 타입의 용기에 포장하여 사용자의 휴대성 및 사용 편리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의 실물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의 SEM 50 배율 평면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의 SEM 150 배율 평면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의 SEM 35 배율 평면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애스커(ASKER) 경도기 F형(Type F)를 이용하여 경도측정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에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시킨 후 콤팩트 용기에 내장되는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에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시킨 후 화장도구를 함침부재에 찍어서 화장료 조성물이 묻혀지는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섬유로 이루어진 스크린망을 고정구에 접합된 실물 평면도와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섬유로 이루어진 스크린망의 SEM 50 배율 평면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섬유로 이루어진 스크린망의 SEM 700 배율 평면 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섬유로 이루어진 스크린망의 SEM 35 배율 측단면 사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에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시킨 후 스크린망이 접합된 고정구를 콤팩트 용기에 삽입되는 사진.
도 13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에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시킨 후 화장도구를 스크린망에 찍어서 화장료 조성물이 묻혀지는 사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섬유 사이에 우레탄폼이 형성된 스크린망을 고정구에 접합된 실물 평면도와 배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섬유 사이에 우레탄폼이 형성된 스크린망의 SEM 50 배율 평면 사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섬유 사이에 우레탄폼이 형성된 스크린망의 SEM 700 배율 평면 사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섬유 사이에 우레탄폼이 형성된 스크린망의 SEM 35 배율 측단면 사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고,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는 변형 안정성, 내수성, 저장 안정성 등의 우수함을 확인하고,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의 경도값을 제시하여 겔상 또는 액상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이 적당량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의 실물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의 SEM 50 배율 평면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의 SEM 150 배율 평면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의 SEM 35 배율 평면 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애스커(ASKER) 경도기 F형(Type F)를 이용하여 경도측정을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에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시킨 후 콤팩트 용기에 내장되는 사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에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시킨 후 화장도구를 함침부재에 찍어서 화장료 조성물이 묻혀지는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섬유로 이루어진 스크린망을 고정구에 접합된 실물 평면도와 배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섬유로 이루어진 스크린망의 SEM 50 배율 평면 사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섬유로 이루어진 스크린망의 SEM 700 배율 평면 사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섬유로 이루어진 스크린망의 SEM 35 배율 측단면 사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에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시킨 후 스크린망이 접합된 고정구를 콤팩트 용기에 삽입되는 사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에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시킨 후 화장도구를 스크린망에 찍어서 화장료 조성물이 묻혀지는 사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섬유 사이에 우레탄폼이 형성된 스크린망을 고정구에 접합된 실물 평면도와 배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섬유 사이에 우레탄폼이 형성된 스크린망의 SEM 50 배율 평면 사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섬유 사이에 우레탄폼이 형성된 스크린망의 SEM 700 배율 평면 사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터 섬유 사이에 우레탄폼이 형성된 스크린망의 SEM 35 배율 측단면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10)로 이루어지되, 상기 함침부재(10)는 화장료 조성물이 포함되고, 상기 함침부재는 애스커(ASKER) 경도기 F형(Type F) 기준으로 15 내지 40의 경도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상기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는 ethylene glycol(에틸렌 글라이콜)에 isophthalic acid(아이소프탈산)과 te terephthalic acid(테레프탈산)을 각각 첨가한 후 용융 중축합법(melt polycondensation)을 이용하여 linear oligomer ethylene glycol-isophthalate(선형 올리고머 에틸렌 글라이콜-아이소프탈산)과 linear oligomer ethylene glycol-terephthalate(선형 올리고머 에틸렌 글라이콜-테레프탈산)을 각각 제조하고, 상기 linear oligomer ethylene glycol-isophthalate(선형 올리고머 에틸렌 글라이콜-아이소프탈산)과 linear oligomer ethylene glycol-terephthalate(선형 올리고머 에틸렌 글라이콜-테레프탈산)을 다시 용융 중축합법을 이용하여 하기 화학식 1과 같은 고분자 공중합체가 제조된다.
[ 화학식 1 ]
Figure 112016016907914-pat00001
본 발명은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를 가지고 함침부재 제조에 적용하였으며, 도 1 내지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함침부재(10)는 부정형 섬유구조로 형성되어 공극률이 높아서 종래의 기포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폴리 에스테르 또는 폴리 에테르 타입의 발포 우레탄 함침부재나 발포 NBR 함침부재보다 화장료 조성물을 다량으로 함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함침부재(10)는 발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부정형 섬유구조로 형성되어 있어서 종래의 폴리 에스테르 또는 폴리 에테르 타입의 발포 우레탄 함침부재나 발포 NBR 함침부재보다 신축성이 향상되어 상기 함침부재를 가압하면 함침부재 하부까지 충분하게 눌러져서 함침부재 하부에 남아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함침부재(10)를 구성하는 섬유의 굵기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 내지 60 ㎛이며,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5 ㎛이다.
상기 섬유의 굵기가 20 ㎛ 미만이면 함침부재 내의 공극이 확장되어 화장료 조성물이 다량으로 배출되고, 인장강도가 약해져서 화장도구로 함침부재를 눌러서 화장료 조성물을 묻힐 때 함침부재의 섬유가 쉽게 끊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60 ㎛ 초과이면 함침부재 내의 공극이 축소되어 화장료 조성물이 용이하게 배출되지 않으며, 신축성을 떨어트려 상기 함침부재를 가압하면 함침부재 하부까지 충분하게 눌러지지 않아 함침부재 하부에 남아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모두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종래의 폴리 에스테르 또는 폴리 에테르 타입의 발포 우레탄 함침부재는 자외선에 의해 Quinon imide 구조를 취하여 황변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함침부재(10)는 자외선에 의해 Quinon imide 구조가 만들어지지 않기 때문에 황변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1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애스커(ASKER) 경도기 F형(Type F) 기준으로 15 내지 40의 경도를 가진 것으로, 25 내지 35의 경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경도는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되기 전의 경도를 의미한다.
상기 경도가 15 미만이면 함침부재가 너무 부드러워서 겔상 또는 액상 화장료 조성물이 과도하게 배출되어 나오는 문제가 있으며, 경도가 40 초과이면 함침부재가 딱딱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충전이 어렵고 겔상 또는 액상 화장료 조성물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10)는 20 내지 25 ㎍/㎣의 밀도를 가진 것으로, 상기 함침부재(10) 내부에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밀도 범위일 때 함침부재(10) 내부에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하다.
상기 함침부재(10)의 밀도가 20 ㎍/㎣ 미만이면 인장강도, 탄성도, 경도가 낮아 내구성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고, 함침부재(10) 내에 구성된 섬유의 표면장력이 약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잡아둘 수 없으므로 함침력이 떨어져서 화장료 조성물이 침적되는 문제가 있으며, 25 ㎍/㎣ 초과이면 전체 부피에서 함침부재(10)의 기공율이 낮고, 이로 인해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할 수 있는 체적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도 6 내지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10)에 함침시킨 후 콤팩트 타입의 용기(100)에 담는다. 이는 휴대성과 화장용이성에서 콤팩트 타입의 용기(100)가 튜브나 펌프 타입의 용기에 비해 휴대성이 우수하지만, 흐름성이 있는 화장료의 경우 용기에서 넘쳐 흐르거나 오염되기 쉬우므로 흐름성이 있는 화장료의 경우 흐름성을 급격하게 낮추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10)에 함침시켜 콤팩트 타입의 용기(100)에 내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2 내지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10)의 상측에는 상기 함침부재(1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구(20)가 끼워지되, 상기 고정구(20)에는 스크린망(30)이 고주파 접합 또는 초음파 접합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침부재(10)는 고정구(20)에 의해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정구(20) 내측에는 스크린망(30)이 고주파 접합 또는 초음파 접합이 되어 스크린망(30)이 쉽게 떨어지지 않으며, 화장도구나 손으로 스크린망(30)을 누를 때 팽팽하게 늘어져 함침부재(10)로부터 배출되는 화장료 조성물이 용이하게 토출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스크린망(30)의 재질은 폴리에스터 섬유이고, 함침부재(10)와 동일한 PEIT를 사용할 수 있으며, Polyglycolic acid (PGA), Polylactic acid (PLA), Polycaprolactone (PCL), Polyhydroxyalkanoate (PHA), Polyhydroxybutyrate (PHB), Polyethylene adipate (PEA), Polybutylene succinate (PBS), Poly(3-hydroxybutyrate-co-3-hydroxyvalerate) (PHBV),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및 Vectra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8 내지 11에서는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망(30)은 폴리에스터 섬유이고, 단일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의 굵기는 20 내지 25 ㎛이다.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로 이루어진 스크린망(30)을 겔상 또는 액상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10) 상측에 구비함으로써, 함침부재(10)로부터 배출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의 굵기가 20 ㎛ 미만이면 폴리에스터 섬유 사이의 공극이 확장되어 화장료 조성물이 과량으로 배출되는 문제가 있으며, 25 ㎛ 초과이면 폴리에스터 섬유의 신축성을 떨어트려 상기 스크린망을 가압하면 함침부재 하부까지 충분하게 눌러지지 않아 함침부재 하부에 남아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모두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4 내지 17에서는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망(30)은 폴리에스터 섬유 사이에 우레탄폼이 형성되고, 이중층으로 이루어져 있으서, 상기 우레탄폼에 의해 스크린망(30)의 신축성과 탄력성이 향상되어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10)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으며, 상기 우레탄폼에 화장료 조성물이 임시로 저장되면서 화장료 조성물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폴리에스터 섬유 사이에 우레탄폼이 형성된 스크린망(30)은 촉감이 부드러워 화장료 조성물이 화장도구나 손에 부드럽게 도포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의 굵기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20 내지 2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10) 상단에는 스크린망(30)이 라미네이팅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미네이팅은 함침부재(10)와 스크린망(30)을 접착제로 붙이거나 가열융착하여 접합되는 것을 말한다.
즉, 본 발명의 함침부재(10)와 스크린망(30)은 라미네이팅으로 접합됨으로써, 함침부재(10)로부터 배출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린망(30)은 다른 실시예의 단일층으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터 섬유로 이루어지거나 또 다른 실시예처럼 폴리에스터 섬유 사이에 우레탄폼이 형성되고, 이중층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의 굵기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20 내지 2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화장료 조성물은 겔상 또는 액상을 가지는 조성물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제형의 액상 내용물일 수 있고, 특히 유화 제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형의 자외선 차단제(선블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가 함유될 수 있으며, 점도가 5,000 내지 15,000 cps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도가 5,000 cps 미만이면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가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이 제조직후 유상과 수상의 분리가 발생하여 함침부재에 함침시 균일한 조성으로 함침시키기 어려우며, 15,000 cps 초과이면 피부에 도포시 끈적이고 무거운 사용감 때문에 제품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 실시예 1 > PEIT ( poly ethylene glycol- isophthalate - terephthalate )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의 제조방법
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를 주원료로 하고, 안료, 가황제,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발포제, 기타 첨가제를 물과 소정 비율로 배합하고, 혼합 교반하여 발포시키고, 이를 몰드에 주입하여 응고시킨 후, 가열로에서 가열하여 가황 반응과 함께 성형시키고, 이를 절단, 건조, 표면가공하여 PEIT 함침부재를 제작하였다.
< 비교예 1 > 함침용 발포 우레탄 함침부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비교하기 위해 함침용 발포 우레탄 함침부재를 제조하였다.
(1) 물, 아민 촉매, 및 실리콘 계면활성제를 혼합하고 20분 동안 충분히 믹싱하여 아민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2)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에스터 폴리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폴리올과 톨루엔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이소시아네이트와 혼합하였다.
(3) 상기 폴리올과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에 상기 아민 혼합물을 첨가하여 상온을 유지한 상태에서 혼합 및 발포하였다.
(4) 송풍설비를 가동하여 상기 발포과정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시킨 후 함침용 발포 우레탄 함침부재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 함침용 발포 NBR 함침부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비교하기 위해 함침용 발포 NBR 함침부재를 제조하였다.
NBR을 주원료로 하고, 안료, 가황제,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발포제, 기타 첨가제를 물과 소정 비율로 배합하고, 혼합 교반하여 발포시키고, 이를 몰드에 주입하여 응고시킨 후, 가열로에서 가열하여 가황 반응과 함께 성형시키고, 이를 절단, 건조, 표면가공하여 발포 NBR 함침부재를 제작하였다.
< 시험예 1 > 함침부재의 변형 안정도 실험
실시예 1의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 비교예 1의 함침용 발포 우레탄 함침부재 및 비교예 2의 함침용 NBR 함침부재는 저점도 겔상 화장료 조성물 구성 원료에 포함되는 에스터 오일, 극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 및 휘발성 실리콘 오일 각각을 함침시켜 80 ℃에서 20분간 유지한 후 함침부재의 부피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함침용 스폰지의 변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에스터 오일 6.7 % 3 % 0.5 %
극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 10 % 4 % 1.2 %
휘발성 실리콘 오일 1.5 % 0.5 % 0.3 %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스터 오일, 극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 휘발성 실리콘 오일에 함침된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2의 함침부재 중에서 비교예 1의 함침부재는 에스터 오일, 극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에 의해 심한 변형을 일으켰지만, 실시예 1의 함침부재는 가장 변형이 없고 저장 안정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시험예 2 > 내수성 실험
실시예 1의 함침부재와 비교예 1 내지 2의 함침부재가 가수분해되는 특성을 평가하고자 10 % 농도의 가성소다, 염산, 및 질산에 실시예 1의 함침부재와 비교예 1 내지 2의 함침부재를 7일간 상온에서 함침시킨 후 상기 함침된 실시예 1의 함침부재와 비교예 1 내지 2의 함침부재를 자연건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함침부재와 비교예 1 내지 2의 함침부재들의 인장시편에 인장력을 가하여 힘을 증가시킬 때 파단점에서의 하중을 인장시편의 파단 단면적으로 나눈 값을 측정하여 파단점에서 인장시편이 늘어난 총 길이에서 인장시편의 원래 길이를 뺀 다음 이 값을 원래의 인장시편 길이를 나눈 백분율 값인 신율을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3
10 % 가성소다 75 % 88 % 98 %
10 % 염산 64 % 76 % 94 %
10 % 질산 51 % 69 % 91 %
상기 표 2에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함침부재의 경우 가수분해에 대하여 안정적이나 비교예 1 내지 2의 함침부재는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함침부재에 균열이 발생하여 내수성이 실시예 1의 함침부재보다 약함을 확인하였다.
< 시험예 3 > 경도에 따른 선호도 실험
저점도 겔상 화장료 조성물을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에 함침시킨 후 화장도구를 이용하여 피부에 도포할 시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의 경도에 따른 선호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실시예 2는 저점도 겔상 화장료 조성물을 경도 10인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에 함침시킨 것이고, 실시예 3은 저점도 겔상 화장료 조성물을 경도 30인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에 함침시킨 것이며, 실시예 4는 저점도 겔상 화장료 조성물을 경도 50인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에 함침시킨 것이다.
상기 실시예 2 내지 4를 20, 30대 여성 50명에게 7일간 화장하도록 한 후 사용결과를 비교 평가 하였다.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의 경도에 따른 선호도는 관능평가(5점 척도법)로 이루어진 설문조사로 진행하였으며, 매우 좋음 5 점, 좋음 4 점, 보통 3 점, 나쁨 2 점, 매우 나쁨 1 점으로 하였다. 평가 점수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 경도 (ASKER 경도 F 타입) 선호도
실시예 2 10 2.4
실시예 3 30 4.8
실시예 4 50 3.8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을 경도 30인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에 함침시킨 실시예 3이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 PEIT 공중합체 함침부재
20 : 고정구
30 : 스크린망
31 : 폴리에스터 섬유
32 : 우레탄폼
40 : 애스커 경도기 F형
100 : 용기

Claims (10)

  1.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10)로 이루어지되,
    상기 함침부재(10)는 화장료 조성물이 포함되고,
    상기 함침부재는 애스커(ASKER) 경도기 F형(Type F)(40) 기준으로 15 내지 40의 경도를 가지며,
    상기 함침부재(10) 상단에는 스크린망(30)이 라미네이팅으로 되고,
    상기 스크린망(30)은 폴리에스터 섬유(31) 사이에 우레탄폼(32)이 형성되어 이중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10)는 20 내지 25 ㎍/㎣의 밀도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10)는 부정형 섬유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EIT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10)를 구성하는 섬유의 굵기는 20 내지 6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망(30)의 폴리에스터 섬유(31)의 굵기가 20 내지 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가 함유되며, 점도가 5,000 내지 15,0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160020019A 2016-02-19 2016-02-19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822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019A KR101822389B1 (ko) 2016-02-19 2016-02-19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019A KR101822389B1 (ko) 2016-02-19 2016-02-19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842A Division KR101822387B1 (ko) 2017-06-13 2017-06-13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389A KR20170098389A (ko) 2017-08-30
KR101822389B1 true KR101822389B1 (ko) 2018-01-29

Family

ID=59760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019A KR101822389B1 (ko) 2016-02-19 2016-02-19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3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1202A (ja) * 2003-06-30 2005-01-27 Unitika Tsusho Ltd 化粧用パ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1202A (ja) * 2003-06-30 2005-01-27 Unitika Tsusho Ltd 化粧用パ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389A (ko) 201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3254B2 (en) Urethane foam for use in impregnating cosmetic composition
KR101882197B1 (ko)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함침용 NBR(nitrile butadiene rubber) 스폰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91884B1 (ko)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우레탄 폼
US20210205183A1 (en) Makeup Cosmetic Having Improved Impregnated Material
BRPI0807263A2 (pt) &#34;estrutura compósita, pano de limpeza seco, pano de limpeza úmido e método para formar uma estrutura compósita&#34;
WO2013154391A1 (ko) 발포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JP2002058734A (ja) ポリウレタン発泡体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04575A (ko) 도포용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용기
WO2014185524A1 (ja) 化粧塗布用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および化粧塗布用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EP3289915B1 (en) Applicator having improved contents transfer ability
KR102151004B1 (ko) 화장료 조성물 담지용 쿠션 패드와 그 제조방법
EP3281618B1 (en) Cosmetic composition carrier comprising integrated sponge having layered structure
KR101822387B1 (ko)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822389B1 (ko) PEIT(poly ethylene glycol-isophthalate-terephthalate)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함침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JP2017123907A (ja) 化粧塗布用パフ
CN108366914B (zh) 化妆品支承结构,其制造方法和包括该化妆品支承结构的化妆品
KR20170101373A (ko)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연속 기포형 함침부재
KR101759684B1 (ko) 겔상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연속 기포형 니트릴 고무 스폰지
KR20190114948A (ko)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함침용 NBR(nitrile butadiene rubber) 스폰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81936B1 (ko) 편심된 날개부를 갖는 화장퍼프의 성형방법 및 화장퍼프의 성형장치
KR20170055943A (ko) 종단면 절단형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JP2002159568A (ja) 香料含有具
KR20220008270A (ko) 연속 통기형 스펀지, 및 화장용 퍼프
WO2014046400A1 (ko)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우레탄 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