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629B1 - 비전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비전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629B1
KR102150629B1 KR1020180098069A KR20180098069A KR102150629B1 KR 102150629 B1 KR102150629 B1 KR 102150629B1 KR 1020180098069 A KR1020180098069 A KR 1020180098069A KR 20180098069 A KR20180098069 A KR 20180098069A KR 102150629 B1 KR102150629 B1 KR 102150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spection
inspection object
bel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211A (ko
Inventor
서경준
임정묵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8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6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G01B11/069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of objects while mov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3Visual insp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비전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검사 대상물을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검사 대상물 이송 경로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송되는 검사 대상물을 검사하여 불량 여부를 판별하는 검사부, 상기 검사부를 통과한 상기 검사 대상물을 불량 여부에 따라 분류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공급부와 이웃하고 상기 검사 대상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에 위치하여 상기 공급부와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 이음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 감지로 상기 벨트 이음부가 상기 공급부와 이웃하게 위치하면, 상기 공급부는 상기 검사 대상물의 투입을 중단하여 상기 검사 대상물이 상기 벨트 이음부에 위치하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비전검사 장치{VISION INSP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단, 원피, 시트 등은 품질검사를 위해 상처, 색상, 크기, 형상 등을 검사하게 된다. 이러한 검사를 검사자가 육안으로 실시할 많은 수량으로 인해 집중력 저하, 피로도 증가 등으로 인하여 검사 정확성이 크게 떨어짐은 물론, 신뢰도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검사자의 개인 판단에 의한 검사는 신뢰도가 떨어지므로, 신뢰할 수 있는 수치화된 데이터를 확보하기가 어려웠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conveyer)를 따라 이송되는 원단, 원피, 시트 등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그 영상을 입력 정보와 비교하여 불량 유무를 판별하는 비전검사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전검사 장치는 육안 검사에 비하여 검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나, 원단, 원피 시트 등의 검사 대상물이 컨베이어의 벨트에 밀착되지 않아 형상, 크기 등 검사 시 오차가 발생하여 정확도가 떨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불량이 발생한 검사 대상물이 불량 상태 별로 수거되지 않고 한 곳에 수거되어 섞이므로 수거된 검사 대상물의 불량 상태를 파악할 수 없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82654호 (2017.02.13.) 등록특허 제10-1065607호 (2011.09.09.)
본 발명은 크기, 형상 등의 검사를 위해 이송되는 검사 대상물이 이송부 상에서 들뜨지 않고 밀착될 수 있도록 하며, 불량이 발생한 검사 대상물에 분량 종류를 표시하여 수거된 검사 대상물의 분량 종류를 확인할 수 있는 비전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비전검사 장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검사 대상물을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검사 대상물 이송 경로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송되는 검사 대상물을 검사하여 불량 여부를 판별하는 검사부, 상기 검사부를 통과한 상기 검사 대상물을 불량 여부에 따라 분류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공급부와 이웃하고 상기 검사 대상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에 위치하여 상기 공급부와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 이음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 감지로 상기 벨트 이음부가 상기 공급부와 이웃하게 위치하면, 상기 공급부는 상기 검사 대상물의 투입을 중단하여 상기 검사 대상물이 상기 벨트 이음부에 위치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배출부는, 불량이 발생한 상기 검사 대상물에 불량 종류를 표시하고 불량이 발생한 검사 대상물과 불량이 발생하지 않은 검사 대상물을 분류하여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검사부를 통과한 상기 검사 대상물을 새는 카운트부, 불량이 발생한 검사 대상물을 검사 종류별로 표시하는 마킹부 및 불량이 발생한 검사 대상물과 불량이 발생하지 않은 검사 대상물을 분류하는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게이트는 불량 검사 대상물이 도달하면 개방되고 정상 검사 대상물이 도달하면 닫히며, 상기 정상 검사 대상물은 상기 게이트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검사부는, 상기 컨베이어 경로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검사 대상물을 눌러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에 밀착되도록 하는 누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는, 상기 벨트의 구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설치 프레임 및 상기 설치 프레임과 연결되어 있고 통과하는 검사 대상물을 벨트에 밀착되도록 눌러주는 누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는, 일단이 상기 설치 프레임과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벨트와 접하며 통과하는 검사 대상물을 눌러주는 누름바 및 상기 누름바 타단 위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누름바를 눌러 상기 검사 대상물을 눌러주는 누름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누름바는 상기 검사 대상물이 상기 누름롤러의 회전방향으로 들뜨지 않도록 눌러줄 수 있다.
상기 누름바는 상기 설치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검사부는, 상기 검사 대상물의 색상을 검사하는 색상 검사부, 상기 검사 대상물의 두께를 검사하는 두께 측정부 및 상기 검사 대상물의 형상 및 결점을 검사하는 형상 결점 검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두께 측정부와 상기 형상 결점 검사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형상 결점 검사부는 상기 누름부를 통과한 상기 검사 대상물 부위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두께 측정부는, 상기 벨트의 구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설치 프레임, 상기 설치 프레임 양측에 위치하고 일단이 상기 설치 프레임과 연결된 한 쌍의 브래킷, 일단과 타단이 상기 한 쌍의 브래킷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벨트와 접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와 접하는 측정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송되는 상기 검사 대상물은 상기 롤러와 상기 벨트 사이를 통과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검사 대상물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브래킷 일단을 기준으로 들리며 상기 측정 게이지는 상기 롤러의 들린 정도를 측정하여 상기 검사 대상물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 게이지는, 상기 검사 대상물의 두께를 측정하고 투입되는 상기 검사 대상물을 카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누름롤러가 누름바를 누르고 검사 대상물이 누름바 아래를 통과하므로 누름롤러 회전방향으로 들리지 않는다. 이에 검사 대상물이 들리면서 발생할 수 있는 형상, 넓이 측정에 따른 오차를 예방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가 벨트 이음부를 감지하면 공급부는 구동하지 않는다. 이에 검사 대상물은 벨트 이음부 위로 공급되지 않는다. 벨트 이음부에 의한 측정 오차가 발생하지 않아 보다 정확한 두께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불량 검사 대상물과 정상 검사 대상물을 분류하고 분류된 불량 검사 대상물에 불량 종류가 표시되므로 검사 완료 후 작업자는 분류된 불량 검사 대상물 내에서 검사 대상물을 불량 종류별로 분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비전검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공급부와 이송부의 일부분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1의 두께 측정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1의 누름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도 1의 배출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도 5의 게이트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비전검사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비전검사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급부와 이송부의 일부분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1의 두께 측정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1의 누름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5는 도 1의 배출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비전검사 장치(100)는 이송부(20), 공급부(10), 검사부(30) 및 배출부(40)를 포함하며 원단, 원피, 시트 등(이하, 검사 대상물이라 함)을 품질검사 함에 있어 크기, 형상 등의 검사를 위해 이송되는 검사 대상물이 이송부 상에서 들뜨지 않고 밀착될 수 있도록 하며, 불량이 발생한 검사 대상물에 분량 종류를 표시하여 수거된 검사 대상물의 분량 종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공급부(10), 이송부(20) 및 배출부(40)는 각각 컨베이어를 포함하며 공급부(10), 이송부(20) 및 배출부(40)의 컨베이어는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컨베이어는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구동한다. 여기서 컨베이어의 세부적인 구성은 공지된 구성의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검사부(30)는 이송부(20)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검사부(30)와 이송부(20)는 복수의 패널(도시하지 않음)로 가려져 있다. 패널은 검사부(30)가 검사 대상물을 촬영하고 검사할 때 바람, 먼지 등으로부터 검사 대상물을 보호한다. 복수의 패널은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패널 개방으로 이송부(20) 및 검사부(30)를 점검할 수 있다.
공급부(10)와 배출부(40)의 컨베이어는 패널 외부로 노출되어 검사 대상물의 공급 및 배출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면 [도 2]를 더 참고하면 공급부(10)는 이송부(20)로 검사 대상물(1)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공급부(10)의 컨베이어에는 검사 대상물(1)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 따위를 제거하기 위한 청소롤러(11) 및 브러시(12)가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다. 청소롤러(11)와 브러시(12)는 양단이 컨베이어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으며 컨베이어의 벨트와 접하고 있다. 청소롤러(11)는 벨트와 접하여 회전한다. 청소롤러(11)의 표면은 실리콘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청소롤러(11)는 검사 대상물(1)이 벨트와 청소롤러(11) 사이를 통과할 때 회전하면서 검사 대상물(1)에 묻은 이물질을 떼어낸다. 청소롤러(11)를 통과한 검사 대상물(1)은 벨트와 브러시(12) 사이를 통과한다. 브러시(12)는 떼어진 이물질을 닦아내고 검사 대상물(1)의 표면을 정리한다.
이송부(20)의 컨베이어는 공급부(10)의 컨베이어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이송부(20)의 컨베이어 선단과 공급부(10)의 컨베이어 후단이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공급부(10)의 후단을 통과한 검사 대상물은 이송부(20)의 선단으로 유입되어 벨트를 따라 이동한다. 여기서 벨트는 양단이 연결된 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이송부(20)의 벨트는 띠의 양단을 연결한 벨트 이음부(20a)를 갖는다.
벨트 이음부(20a) 부위는 띠의 양단이 겹치어 있으므로 다른 부위와는 두께 보다 얇다. 이러한 벨트 이음부(20a)에 검사 대상물이 놓여 검사를 실시할 경우 두께 형상 등에 있어 오차가 발생한다. 즉, 검사 대상물이 벨트 이음부(20a)에 위치한 상태에서 그 두께를 측정할 경우 실제 두께보다 얇게 측정될 수 있다. 오차 발생으로 정상 검사 대상물이 불량 검사 대상물로 판별될 수 있다. 이에 오차 발생 방지를 위해 이송부(20)는 벨트 이음부(20a)를 감지하는 센서부(21)를 포함한다.
센서부(21)는 이송부(20)의 컨베이어 선단에 배치되어 있고 벨트 이음부(20a)가 컨베이어의 선단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한다. 센서부(21)가 벨트 이음부(20a)를 감지하면 공급부(10)의 컨베이어는 정지하여 검사 대상물(1)이 이송부(20)의 컨베이어로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송부(20)의 컨베이어는 지속적으로 구동하며 벨트 이음부(20a)가 이송부(20)의 컨베이어 선단을 통과하면 공급부(10)의 컨베이어는 다시 구동하여 검사 대상물(1)을 이송부(20)로 공급한다.
센서부(21)가 벨트 이음부(20a)를 감지하면 공급부(10)는 구동하지 않는다. 검사 대상물(1)이 벨트 이음부(20a) 위에 놓이지 않으므로 벨트 이음부(20a)의 두께에 의한 측정 오차가 발생하지 않아 보다 정확한 두께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송부(20)의 컨베이어 선단에는 벨트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 따위를 제거하기 위한 브러시 따위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이물질이 제거된 벨트 위로 검사 대상물이 유입되므로 벨트 표면에 묻은 이물질에 의한 오차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검사부(30)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 색상 검사부(31), 두께 측정부(32), 누름부(33) 및 형상 결점 검사부(34)를 포함하며, 이송부(20)의 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검사 대상물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그 영상과 샘플 데이터를 비교하여 불량 유무를 판별한다. 또한 검사부(30)는 카메라 촬영으로 영상을 판독하여 얼룩, 스크래치 등에 의한 불량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검사부(30)는 조명등(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며 조명등은 카메라가 촬영하는 검사 대상물(1) 주변을 비춘다.
색상 검사부(31), 두께 측정부(32), 누름부(33) 및 형상 결점 검사부(34)는 이송부(20)의 컨베이어 선단에서 후단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검사부의 순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는 여러 정상 제품(이하, 샘플이라 함)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샘플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샘플 종류, 샘플 데이터 및 검사 결과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샘플 데이터는 색상, 형상, 크기, 두께 등일 수 있다.
색상 검사부(31)와 형상 결점 검사부(34)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검사 대상물을 촬영하고, 촬영 영상과 샘플 데이터를 비교하여 불량 여부를 판별한다. 여기서, 검사 대상물이 A 제품이라고 할 때 작업자는 제어부를 통해 A 제품에 대한 검사를 실시한다고 입력한다. 이에 표시부에는 A 제품에 대한 샘플 데이터가 표시된다.
색상 검사부(31)는 이송되는 검사 대상물을 촬영한다. 제어부는 촬영된 영상의 검사 대상물의 색상과 입력된 샘플에 대한 색상을 비교하여 샘플 데이터에 충족하면 정상 검사 대상물로 판별하고 샘플 데이터에 충족하지 않으면 불량 검사 대상물로 판별한다. 불량 검사 대상물과 정상 검사 대상물은 배출부(40)에서 분류되며 불량 검사 대상물은 색상 불량 표시가 표시되어 배출된다.
이러한 색상 검사부(31)의 세부 적인 설명은 공지된 구성의 비전검사 장치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 [도 3]을 더 참고하면, 두께 측정부(32)는 설치 프레임(321), 한 쌍의 브래킷(322a, 322b), 롤러(323) 및 측정 게이지(324)를 포함하며, 검사 대상물(1)의 두께를 측정하는 동시에 이송부(20)로 공급된 검사 대상물을 카운트한다.
설치 프레임(321)은 이송부(20)의 이송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양단이 컨베이어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설치 프레임(321)은 컨베이어의 벨트와 이격되어 있다.
한 쌍의 브래킷(322a, 322b)은 서로 떨어져 있으며 일단이 자유단 형태로 설치 프레임(321)에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브래킷(322a, 322b) 타단은 벨트를 향한다.
롤러(323)는 이송부(20)의 이송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양단이 한 쌍의 브래킷(322a, 322b) 타단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롤러(323)는 벨트와 접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색상 검사부(31)를 통과한 검사 대상물(1)은 롤러(323)와 벨트 사이를 통과한다. 롤러(323)는 검사 대상물(1)의 두께만큼 들릴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브래킷(322a, 322b)은 설치 프레임(321)을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한편, 검사 대상물(1)이 롤러(323)와 벨트 사이를 통과할 때 롤러(323)의 중량에 의해 검사 대상물이 눌리지 않도록 롤러(323)는 중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측정 게이지(324)는 후도계(pachymeter)를 포함한다. 후도계의 본체는 누름부(33)의 설치 프레임(331)과 연결되어 있으며, 후도계의 측정자는 롤러(323)와 접하고 있다. 그러나 후도계의 본체는 이송부(20)의 컨베이어 프레임에 연결될 수도 있다.
롤러(323)가 벨트와 접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후도계의 본체에 측정 값은 "0"으로 표시된다. 그러나 검사 대상물(1) 통과로 롤러(323)가 벨트 표면으로부터 검사 대상물(1) 두께만큼 들리면 롤러(323)가 후도계의 측정자를 가압하게 되며 후도계의 본체에 표시되는 측정값이 변화한다.
롤러(323)는 검사 대상물(1)이 통과하는 동안 들리어 있으며 후도계 본체에는 측정값이 표시된다. 이때 검사 대상물(1)의 가공 상태에 따라 검사 대상물이 통과하는 동안 측정값은 변화(증감)하거나 변화하지 않고 일정하게 표시될 수 있다.
측정된 값은 제어부로 전송된다. 제어부는 검사 대상물이 통과하는 동한 측정된 값을 평균값으로 계산한다. 제어부는 평균값을 샘플 데이터와 비교하여 오차 범위 내에 위치하면 정상 두께 판별하고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두께 불량으로 판별한다. 불량 검사 대상물과 정상 검사 대상물은 배출부(40)에서 분류되며 불량 검사 대상물은 두께 불량 표시가 표시되어 배출된다.
검사 대상물(1)이 롤러(323)를 통과하면 롤러(323)가 벨트와 접하게 되면서 후도계의 본체에 측정값이 다시 "0"으로 표시된다.
한편, 후도계의 본체에 표시된 측정값이 "0"보다 큰 값이 표시되면 제어부는 검사 대상물이 공급되었음을 인지하고 검사 대상물을 카운트하게 된다. 여기서 색상 검사와 동시에 카운트되거나, 색상 검사 완료 후 카운트될 수 있다. 이는 검사 대상물의 형상, 넓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제어부는 첫 번째 검사 대상물, 두 번째 검사 대상물 세 번째 검사 대상물을 인지할 수 있다. 첫 번째 검사 대상물이 불량으로 판별되고 세 번째 검사 대상물이 정상으로 판별되면 배출부는 첫 번째 검사 대상물을 분량으로 분류하고 세 번째 검사 대상물은 정상으로 분류한다.
도면 [도 4]를 더 참고하면, 누름부(33)는 설치 프레임(331) 및 누름부재(332)를 포함하며 두께 측정부(32)에서 검사를 완료한 검사 대상물을 벨트에 밀착시켜 형상 결점 검사부(34)에서 형상 검사 시 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설치 프레임(331)은 이송부(20)의 이송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양단이 컨베이어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누름부재(332)는 누름바(332b) 및 누름롤러(332a)를 포함하며 검사 대상물(1)을 눌러 벨트에 밀착되도록 한다.
누름바(332b)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합성수지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누름바(332b)는 일단이 설치 프레임(331)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벨트와 접하고 있다. 검사 대상물(1)은 누름바(332b)와 벨트 사이를 통과한다. 누름바(332b)는 유선형으로 구부러져 탄성력이 발생하며 탄성력이 벨트 방향으로 가해진다. 누름바(332b)는 설치 프레임(33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검사 대상물(1)이 누름바(332b) 타측과 벨트 사이를 통과하면 누름바(332b) 타측은 검사 대상물(1)을 벨트 방향으로 눌러준다. 이에 검사 대상물(1)은 벨트에 밀착되어 이송될 수 있다.
누름롤러(332a)는 누름바(332b) 타단과 접하여 양단이 컨베이어의 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누름롤러(332a)는 누름바(332b)를 벨트 방향으로 눌러 검사 대상물(1)이 벨트에 밀착되도록 한다.
한편, 누름롤러(332a)가 검사 대상물(1)에 직접 하면 검사 대상물(1)이 누름롤러(332a)를 벗어난 부분에서 누름롤러(332a) 회전방향으로 들리면서 벨트 표면에서 떨어질 수 있다. 이에 검사 대상물(1)이 벨트 표면에 밀착되어 있지 않아 형상이 형성되고, 넓이 측정 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형상과 넓이가 정밀하게 측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누름롤러(332a)가 누름바(332b)를 누르고 검사 대상물(1)이 누름바(332b) 아래를 통과하므로 누름롤러(332a) 회전방향으로 들리지 않으므로 검사 대상물(1)이 들리면서 발생한 형상, 넓이 측정에 따른 오차를 예방할 수 있다.
형상 결점 검사부(34)는 누름부(33)를 통과한 검사 대상물(1)의 형상, 넓이, 표면 흠결을 검사한다. 형상 결점 검사부(34)는 누름바(332b) 타단을 벗어난 검사 대상물(1)을 촬영한다.
제어부는 형상 결점 검사부(34)에서 촬영된 영상과 입력된 샘플의 형상, 넓이 등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오차 범위 내에 위치하면 형상, 넓이 등을 정상으로 판별하고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불량으로 판별한다. 누름부(33)에 의해 검사 대상물이 벨트 표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검사 대상물의 들뜸에 의한 오차가 발생하지 않아 보다 정확한 형상과 넓이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형상 결점 검사부(34)에서 촬영된 영상을 통해 검사 대상물의 표면에 스크래치, 얼룩 따위가 있는지 검사한다. 예컨대, 스크래치, 얼룩 등의 형성 길이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으면 정상으로 판별하고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불량으로 판별한다. 불량 검사 대상물과 정상 검사 대상물은 배출부(40)에서 분류되며 불량 검사 대상물은 형상, 결점 불량 표시가 표시되어 배출된다.
이러한 형상 결점 검사부(34)의 세부 적인 설명은 공지된 구성의 비전검사 장치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 [도 5]를 더 참고하면, 배출부(40)는 마킹부(41), 카운트부(42) 및 게이트(43)를 포함하며 불량 검사 대상물과 정상 검사 대상물을 분류하고 불량 검사 대상물에 대해서는 불량 종류를 표시하여 작업자가 불량 종류 표시를 보고 불량 검사 대상물을 불량 종류별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한다.
마킹부(41), 카운트부(42) 및 게이트(43)는 이송부(20) 후단에 위치하며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배출부(40)의 컨베이어는 이송부(20)의 컨베이어 후단과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다.
카운트부(42)는 설치 프레임(421) 한 쌍의 브래킷(422a, 422b), 롤러(423) 및 측정 게이지(424)를 포함하며 배출되는 검사 대상물(1)을 센다. 측정 게이지(424)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카운트부(42)는 도면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두께 측정부(32)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카운트부(42)는 검사 대상물(1)의 두께는 측정하지 않고 통과하는 검사 대상물을 카운트한다. 즉, 롤러(423)가 벨트에 접하여 있는 경우 측정 게이지(424)에 "0"이 표시되고 롤러(423)와 벨트 사이로 검사 대상물(1)이 통과하면 롤러(423)가 들리면서 측정 게이지(424)에 "0" 보다 큰 수가 표시된다. 이에 제어부는 카운트부(42)를 통해 이송부(20) 후단을 통과하는 검사 대상물을 세며 몇 번째로 공급된 검사 대상물이 배출되는지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된 검사 대상물 중 첫 번째 검사 대상물이 불량인 경우 카운트부(42) 카운트로 제어부는 첫 번째 검사 대상물이 배출됨을 인지하고 마킹부(41)와 게이트(43)를 작동시켜 검사 대상물(1)에 불량 표시를 하고 게이트(43)를 열어 불량 검사 대상물을 분류한다. 그러나 공급된 검사 대상물 중 두 번째 검사 대상물이 정상인 경우 카운트부(42) 카운트로 제어부는 정상 검사 대상물인 두 번째 검사 대상물이 배출됨을 인지하고 마킹부(41)와 게이트(43)를 작동시키지 않고 정상 검사 대상물을 분류한다.
마킹부(41)는 설치 프레임(411) 및 제1 마킹부재(412) 및 제2 마킹부재(413)를 포함한다.
설치 프레임(411)은 이송부(20)의 이송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양단이 컨베이어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마킹부재(412) 및 제2 마킹부재(413)는 설치 프레임(411)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마킹부재(412) 및 제2 마킹부재(413)는 설치 프레임(411) 상에서 직선이동 할 수 있다.
제1 마킹부재(412) 및 제2 마킹부재(413)는 솔레노이드 및 솔레노이드와 연결된 마킹팬을 각각 포함한다. 제어부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는 작동하며 마킹팬은 검사 대상물에 마킹을 한다. 제1 마킹부재(412) 및 제2 마킹부재(413)의 마킹팬 색상은 다르다. 여기서 제1 마킹부재(412) 및 제2 마킹부재(413)는 불량 종류에 따라 동시에 작동하거나 선택된 어느 하나만 작동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마킹부재(412) 및 제2 마킹부재(413)는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카운트부(42) 카운트로 제어부는 색상이 불량한 첫 번째 검사 대상물이 이송부(20) 후단에 도달했음을 인지한다. 이때 제어부는 제1 마킹부재(412)의 솔레노이드가 작동하도록 하여 마킹팬을 검사 대상물에 접촉시킨다. 검사 대상물에는 제1 색상이 표시된다. 이에 작업자는 불량으로 분류된 검사 대상물에서 제1 색상 표시를 보고 색상이 불량임을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첫 번째 검사 대상물이 두께 불량인 경우 제어부는 제2 마킹부재(413)의 솔레노이드가 작동하도록 하여 마킹팬을 검사 대상물에 접촉시킨다. 검사 대상물에는 제2 색상이 표시된다. 작업자는 불량으로 분류된 검사 대상물에서 제2 색상 표시를 보고 두께 불량임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첫 번째 검사 대상물이 형상 불량인 경우 제어부는 제1 마킹부재(412) 및 제2 마킹부재(413)의 솔레노이드를 각각 작동시켜 각 마킹팬을 검사 대상물에 접촉시킨다. 검사 대상물에는 제1 색상과 제2 색상이 동시에 표시된다. 작업자는 불량으로 분류된 검사 대상물에서 제1 색상과 제2 색상이 동시에 표시된 것을 보고 형상 불량임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첫 번째 검사 대상물이 결점 불량인 경우 제어부는 제1 마킹부재(412) 및 제2 마킹부재(413)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이에 분량으로 분류된 검사 대상물에 아무런 표시를 하지 않는다. 작업자는 불량으로 분류된 검사 대상물에서 아무런 표시가 없는 것을 보고 결점 불량임을 인지할 수 있다.
불량 표시법은 비전검사 장치의 설계 및 불량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불량 표시법을 위 표시법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마킹부(41)의 마킹은 카운트부(42)의 카운트와 동시에 진행된다.
도면 [도 6]을 더 참고하면, 게이트(43)는 배출부(40)의 컨베이어와 이송부(20)의 컨베이어 사이에 위치하여 이송부(20) 이송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게이트(43) 배치로 이송부(20)의 컨베이어와 배출부(40)의 컨베이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다.
게이트(43)는 "ㄱ"형상을 포함하며 상면은 컨베이어의 벨트 상부 표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게이트(43) 하단은 이송부(20) 컨베이어의 프레임에 힌지(도시하지 않음) 연결되어 있다. 이송부(20)와 마주하는 게이트(43)의 내측면은 불량 검사 대상물을 가이드하기 위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43)에는 구동부(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부는 제어부 신호로 구동할 수 있다. 구동부 구동에 따라 게이트(43)는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게이트(43)의 상면은 들릴 수 있다. 이때 이송부(20)의 컨베이어와 배출부(40)의 컨베이어 사이에 틈새(G)가 발생한다.
카운트부(42)에서 카운트된 검사 대상물이 불량이 발생한 첫 번째 검사 대상물인 경우 제어부는 게이트(43)의 상면이 들리도록 구동부를 구동시킨다. 게이트(43)의 움직임으로 이송부(20)의 컨베이어와 배출부(40)의 컨베이어 사이에는 [도 6]의 a)와 같이 틈새(G)가 발생한다. 불량이 발생한 검사 대상물(1)은 틈새(G)를 통해 이송부(20)의 컨베이어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 이송부(20)의 컨베이어 아래에는 떨어진 검사 대상물이 담기는 회수용기(B)(도 1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카운트부(42)에서 카운트된 검사 대상물이 불량이 발생하지 않은 두 번째 검사 대상물인 경우 제어부는 게이트(43)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이에 이송부(20)의 컨베이어와 배출부(40)의 컨베이어 사이에는 [도 6]의 b)와 같이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정상 검사 대상물은 게이트(43) 상면을 통하여 배출부(40)의 컨베이어로 이송될 수 있다. 배출부(40)의 컨베이어를 통해 배출된 정상 검사 대상물은 적층된다. 그러나 별도로 마련된 분류함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불량 검사 대상물과 정상 검사 대상물을 분류하고 분류된 불량 검사 대상물에 불량 종류가 표시되므로 검사 완료 후 작업자는 분류된 불량 검사 대상물 내에서 검사 대상물을 불량 종류별로 손쉽게 분류할 수 있다.
참고로 위 설명과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비전검사 장치가 원단, 원피, 시트 등의 품질검사를 실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비전검사 장치 적용분야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검사 대상물을 비전 검사하는 것이라면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검사 대상물 100: 비전검사 장치
10: 공급부 11: 청소롤러
12: 브러시 20: 이송부
20a: 벨트 이음부 21: 센서부
30: 검사부 31: 색상 검사부
32: 두께 측정부 321: 설치 프레임
322a, 322b: 브래킷 323: 롤러
324: 측정 게이지 33: 누름부
331: 설치 프레임 332: 누름부재
332a: 누름롤러 332b: 누름바
34: 형상 결점 검사부 40: 배출부
41: 마킹부 411: 설치 프레임
412: 제1 마킹부재 413: 제2 마킹부재
42: 카운트부 421: 설치 프레임
422a, 422b: 브래킷 423: 롤러
424: 측정 게이지 43: 게이트

Claims (10)

  1. 검사 대상물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와 이웃하고 공급된 상기 검사 대상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에 위치하여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 이음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컨베이어의 경로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송되는 상기 검사 대상물을 눌러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에 밀착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누름부를 포함하고, 이송되는 상기 검사 대상물을 검사하여 불량 여부를 판별하는 검사부 및
    상기 검사부를 통과한 상기 검사 대상물을 불량 여부에 따라 분류하는 배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의 감지로 상기 벨트 이음부가 상기 공급부와 이웃하게 위치하면 상기 공급부는 상기 검사 대상물의 공급을 중단하여 상기 검사 대상물이 상기 벨트 이음부에 위치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프레임과 연결된 설치 프레임 및 상기 설치 프레임과 연결되어 있고 이송되는 상기 검사 대상물을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에 밀착되도록 눌러주는 누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재는, 일단이 상기 설치 프레임과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벨트와 접하며 이송되는 상기 검사 대상물을 눌러주는 누름바 및 상기 누름바의 타단과 접하여 양단이 상기 컨베이어의 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누름바의 타단을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 방향으로 눌러주어 이송되는 상기 검사 대상물이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에 밀착되도록 하는 누름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바는 상기 설치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누름바는 유선형으로 구부러져 탄성력이 발생하며 탄성력이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 방향으로 가해지며, 상기 검사 대상물이 상기 누름바의 타측과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 사이를 통과하면 상기 누름바의 타측은 통과하는 검사 대상물을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에 밀착되도록 눌러주어 상기 누름롤러의 회전방향으로 들뜨지 않도록 하는
    비전검사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배출부는, 불량이 발생한 상기 검사 대상물에 불량 종류를 표시하고 불량이 발생한 검사 대상물과 불량이 발생하지 않은 검사 대상물을 분류하여 배출하는 비전검사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검사부를 통과한 상기 검사 대상물을 새는 카운트부,
    불량이 발생한 검사 대상물을 검사 종류별로 표시하는 마킹부 및
    불량이 발생한 검사 대상물과 불량이 발생하지 않은 검사 대상물을 분류하는 게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는 불량 검사 대상물이 도달하면 개방되고 정상 검사 대상물이 도달하면 닫히며, 상기 정상 검사 대상물은 상기 게이트를 통과하는
    비전검사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검사 대상물의 색상을 검사하는 색상 검사부,
    상기 검사 대상물의 두께를 검사하는 두께 측정부 및
    상기 검사 대상물의 형상 및 결점을 검사하는 형상 결점 검사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두께 측정부와 상기 형상 결점 검사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형상 결점 검사부는 상기 누름부를 통과한 상기 검사 대상물의 부위를 촬영하는
    비전검사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두께 측정부는,
    상기 벨트의 구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설치 프레임,
    상기 설치 프레임의 양측에 위치하고 일단이 상기 설치 프레임과 연결된 한 쌍의 브래킷,
    일단과 타단이 상기 한 쌍의 브래킷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벨트와 접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와 접하는 측정 게이지
    를 포함하며,
    이송되는 상기 검사 대상물은 상기 롤러와 상기 벨트 사이를 통과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검사 대상물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브래킷 일단을 기준으로 들리며 상기 측정 게이지는 상기 롤러의 들린 정도를 측정하여 상기 검사 대상물의 두께를 측정하는
    비전검사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측정 게이지는, 상기 검사 대상물의 두께를 측정하고 투입되는 상기 검사 대상물을 카운트하는 비전검사장치.
KR1020180098069A 2018-08-22 2018-08-22 비전검사 장치 KR102150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069A KR102150629B1 (ko) 2018-08-22 2018-08-22 비전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069A KR102150629B1 (ko) 2018-08-22 2018-08-22 비전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211A KR20200022211A (ko) 2020-03-03
KR102150629B1 true KR102150629B1 (ko) 2020-09-02

Family

ID=69938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069A KR102150629B1 (ko) 2018-08-22 2018-08-22 비전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6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506A (ko) * 2020-12-11 2022-06-20 이충기 마스크 끈 검사장치
KR20230018920A (ko) * 2021-07-30 2023-02-07 주식회사 제영에스엠티 재단물 검사 장치
KR20230033411A (ko) * 2021-09-01 2023-03-08 주식회사 그린켐 시트의 두께 측정 및 이물질 검출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949B1 (ko) * 2022-08-12 2023-09-19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8066A (ja) * 2009-02-23 2010-09-09 Toshiba Corp 紙葉類判別装置
KR200482654Y1 (ko) * 2014-11-27 2017-02-20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원피 비전검사장비
JP2018040750A (ja) * 2016-09-09 2018-03-15 フロンティアシステム株式会社 マーキ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1335A (ja) * 1991-02-27 1992-09-28 Fuji Photo Film Co Ltd 版材焼付装置
KR100298597B1 (ko) * 1995-12-29 2001-11-22 이구택 원료이송용컨베이어벨트상의금속편검출방법및그의장치
KR101065607B1 (ko) 2009-05-13 2011-09-19 주식회사 미르기술 비전검사장치 및 비전검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8066A (ja) * 2009-02-23 2010-09-09 Toshiba Corp 紙葉類判別装置
KR200482654Y1 (ko) * 2014-11-27 2017-02-20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원피 비전검사장비
JP2018040750A (ja) * 2016-09-09 2018-03-15 フロンティアシステム株式会社 マーキング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506A (ko) * 2020-12-11 2022-06-20 이충기 마스크 끈 검사장치
KR102433453B1 (ko) 2020-12-11 2022-08-16 이충기 마스크 끈 검사장치
KR20230018920A (ko) * 2021-07-30 2023-02-07 주식회사 제영에스엠티 재단물 검사 장치
KR102623173B1 (ko) * 2021-07-30 2024-01-11 주식회사 제영에스엠티 재단물 검사 장치
KR20230033411A (ko) * 2021-09-01 2023-03-08 주식회사 그린켐 시트의 두께 측정 및 이물질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102621920B1 (ko) * 2021-09-01 2024-01-09 주식회사 그린켐 시트의 두께 측정 및 이물질 검출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211A (ko) 202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0629B1 (ko) 비전검사 장치
US11673166B2 (en) Seed imaging
US8019040B2 (en) X-ray inspection device and production system
JP2002513463A (ja) 成形容器内の応力検出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896840B2 (ja) 卵を詰めたパック商品の検査装置
JP5607734B2 (ja) 離散的な低剛性の透明又は半透明体の欠陥を検査する装置及び方法
WO2017204766A2 (en) A quality control system for semi-finished glass products
US201903184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device cosmetic evaluation
JP4900849B2 (ja) シール部の密封性検査装置
JP2770243B2 (ja) 錠剤成分量検査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894684B1 (ko) 영상 측정장치 및 레이저 깊이 측정장치를 이용한 금속판재표면결함 검사 장치 및 금속판재 표면결함 검사 방법
EP2755006A1 (en) Container liquid leak inspection device
JPH0736004B2 (ja) 検査方法及び装置
KR101682091B1 (ko) 캡 검사장치
JP2004184126A (ja) 布片検査装置
JP2001056270A (ja) 直線偏光板の検査方法及び直線偏光板の検査装置
JP7268341B2 (ja) 検査性能診断装置、検査性能診断方法、検査性能診断装置用のプログラム、および、検査性能診断システム
JP2004361333A (ja) 粒状被検査物状態判別装置
JPH052245B2 (ko)
CN209764745U (zh) 小磁瓦微缺陷视觉检分装置
WO2022138268A1 (ja) X線照射ユニットを備えた装置のx線遮蔽構造
WO2023053986A1 (ja) 物品振分装置および物品検査装置
KR20180014278A (ko) 마스크 팩 시트 검사 장비
JPS60207004A (ja) 表面欠陥検査装置
ITMN20130003A1 (it) Dispositivo di controllo tagli in una macchina di controllo visivo e selezione automat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