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949B1 -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949B1
KR102579949B1 KR1020220101439A KR20220101439A KR102579949B1 KR 102579949 B1 KR102579949 B1 KR 102579949B1 KR 1020220101439 A KR1020220101439 A KR 1020220101439A KR 20220101439 A KR20220101439 A KR 20220101439A KR 102579949 B1 KR102579949 B1 KR 102579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g
conveyor
defective product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래용
강두현
유병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제이더블유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제이더블유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101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9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9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54Grading and classifying of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3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involving the calculation of gauges, generating mod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10Scanning
    • G01N2201/104Mechano-optical scan, i.e. object and beam moving

Abstract

수액백을 이송하는 과정 중 수액백 내부에 충진된 수액에 대한 영상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이물질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여 불량품을 선별할 수 있는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일렬로 정렬된 복수개의 수액백을 파지하는 복수개의 집게유닛이 구비되며, 각 집게유닛에 의해 파지된 수액백을 미리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지그부와, 수액백 내부의 수액에 침전된 이물질이 부유될 수 있도록 수액백을 파지한 집게유닛을 축회전시키는 유동부와, 상기 수액백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유동부를 통해 축회전된 수액백의 내부를 촬영하여 제1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제1 촬영부와, 상기 제1 촬영부의 후방에서 수액백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유동부를 통해 축회전된 수액백의 내부를 촬영하여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제2 촬영부, 및 패턴학습모델이 구비되어 상기 제1,2 촬영부로부터 제공된 제1,2 영상정보를 상기 패턴학습모델로 분석하며, 이물질이 존재하는 수액백의 검출 시 불량품으로 선정하는 불량품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액백 내부에 수용된 수액의 내부에서 자연 발생된 기포와 수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구분하여 이물질이 포함된 수액백을 선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FOREIGN MATERIAL INSPECTION IN INFUSION SOLUTION BAG}
본 발명은 수액백 내부에 충진된 수액을 검사하는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액백을 이송하는 과정 중 수액백 내부에 충진된 수액에 대한 영상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이물질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여 불량품을 선별할 수 있는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 제품의 경우에는 미세한 이물질이 시약에 포함된 경우에도 의료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되는 의료 제품 하나 하나마다 양품인지 불량품인지를 선별해 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제품의 출하 전에 다양한 정밀검사를 통해 양품인지 불량품인지를 선별하기 위한 과정이 진행된다.
이러한 정밀검사 중 하나인 비전검사(vision inspection)는, 실러(sealer) 도포 상태, 프레임(frame) 결합 상태, 마킹(marking) 상태, 리드(lead)나 볼 그리드(ball grid)의 파손여부, 크랙(crack), 스크래치(scratch) 여부 등과 같은 부품의 외관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최근 제품의 생산 과정은 공정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자동화 생산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며, 따라서 비전검사 장치는 공정라인 상의 곳곳에 설치되어 공정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수액백에 대해 비전검사를 수행하고 있다.
기존의 비전검사 장치의 비전검사 방식은 수액백을 촬영한 촬영영상과 기 저장된 양품영상을 비교하여 양품인지 아니면 불량품인지를 선별해내는 방식 등 매우 단순한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비전검사 방식은 비전검사 방식 자체의 정확도가 100% 보장되지 않는 한, 검사 결과 양품을 불량품으로 선별하는 경우나 불량품을 양품으로 선별하는 경우 등의 오류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 비전검사 방식자체의 정확도가 완벽하게 보장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국 여러 번의 검사 오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공정라인에서 비전검사를 수행하는 비전검사 장치의 검사 결과에 잦은 오류가 발생하게 되면, 공정라인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공정라인 상의 곳곳에 설치된 비전검사 장치들을 관리하는 관리자 입장에서도 관리에 어려움이 생길 수밖에 없다.
한편, 의약품의 이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입력영상의 신호처리를 통해 이동하는 이물질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감시영역을 벗어나기까지 계속해서 추적할 수 있는 기술을 활용하여, 입력된 영상정보에서 움직이는 이물질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추적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이물질 추적 시스템이 국내외적으로 다양하게 제안되어 왔다.
영상정보를 통하여 이동물체를 추적하는 대표적인 방법들로는 두 프레임간의 차신호를 이용한 추적기법, 코릴레이션(Correlation: Block Matching Algorithm)을 이용한 추적기법, 간섭 맵(disturbance map)을 이용한 추적기법, 칼라 분포를 이용한 추적기법, 광류(optical flow)를 이용한 추적기법 등이 있다.
이러한 추적기법들은 입력영상으로부터 이동물체를 추출하는데 각각 그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개개의 실험결과를 분석하였을 때, 속도나 정확성면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노출되어 상용화에는 다소 어려움이 따르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01237호(2020.04.17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66045호(2020.10.08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17174호(2001.11.29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05207호(2020.09.07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수액백 내부에서 부유하는 이물질과 자연스럽게 생성된 기포가 구분될 수 있도록 유동상태에서 수액백에 대한 영상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이물질이 존재하는 수액백을 검출하는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침전된 이물질이 부유하도록 회전된 수액백을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2회 촬영하여 분석함으로써 기포를 이물질로 오판하지 않고 검사결과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수액백 이물질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일렬로 정렬된 복수개의 수액백을 파지하는 복수개의 집게유닛이 구비되며, 각 집게유닛에 의해 파지된 수액백을 미리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지그부와, 각 집게유닛에 설치되어 수액백 내부의 수액에 침전된 이물질이 부유될 수 있도록 수액백을 파지한 집게유닛을 축회전시키는 유동부와, 상기 수액백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유동부를 통해 축회전된 수액백의 내부를 촬영하여 제1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제1 촬영부와, 상기 제1 촬영부의 후방에서 수액백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유동부를 통해 축회전된 수액백의 내부를 촬영하여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제2 촬영부, 및 수액백 내 기포와 이물질의 움직임에 대한 영상으로 학습된 패턴학습모델이 구비되고, 상기 제1,2 촬영부로부터 제공된 제1,2 영상정보를 상기 패턴학습모델로 분석하며, 이물질이 존재하는 수액백의 검출 시 상기 수액백을 불량품으로 선정하는 불량품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그부가 일렬로 정렬된 복수개의 수액백을 복수개의 집게유닛으로 파지하고, 각 집게유닛에 설치된 유동부가 집게유닛을 축회전시켜 수액백에 침전된 이물질을 부유시키는 회전단계와, 제1 촬영부가 축회전 된 수액백의 내부를 미리 지정된 시간 후 촬영하여 제1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1차 이물질정보 수집단계와, 제어부가 상기 제1 영상정보를 생성한 수액백을 이동시키는 이동단계와, 상기 유동부가 집게유닛을 축회전시켜 이동된 수액백에 침전된 이물질을 부유시키는 재회전단계와, 제2 촬영부가 축회전 된 수액백의 내부를 미리 지정된 시간 후 촬영하여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2차 이물질정보 수집단계, 및 상기 제1,2 촬영부로부터 제공된 제1,2 영상정보를 패턴학습모델로 분석하며, 이물질이 존재하는 수액백이 검출되면 상기 수액백을 불량품으로 선정하는 불량품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불량품 검출단계를 포함하는 수액백 이물질 검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액백 내부에 수용된 수액의 내부에서 자연 발생된 기포와 수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구분하여 이물질이 포함된 수액백을 선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이 액체와 광학적으로 구별되기 어려울 정도로 잘 섞여 있는 경우에도 이물질의 움직임을 활성화시켜 액체에 섞여 있는 이물질의 검사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비전검사를 수행하는 비전검사장치의 검사 결과의 신뢰도를 개선하여, 공정라인의 생산성 및 관리 편의성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수액백을 회전시킬 때 공기방울이 생성되더라도 수액백에 대한 비전검사를 소정간격으로 2회 실시하여 공기방울과 이물질의 움직임을 구분할 수 있으므로, 수액백 검수에 대한 정확도가 상승된다. 특히, 2차에 걸쳐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를 수행하는 것은 동일한 성능의 비전검사 소프투웨어와 동일한 조건의 수액백을 중복으로 검사함으로써, 판정율을 높일 수 있다. 예컨대, 1차와 2차에서 모두 70%의 판정율을 갖는다면, 본 발명은 최종적으로 90% 이상의 판정율을 갖추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부 및 유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이물질 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수액 내 이물질의 유무를 검사하여 불량품을 선별하는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이하,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은 일렬로 정렬된 복수개의 수액백을 미리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지그부(100)와, 상기 지그부(100)에 설치되어 수액백 내부의 이물질이 부유될 수 있도록 수액백을 움직여주는 유동부(200)와, 상기 유동부(200)를 통해 수액이 유동된 수액백을 촬영하여 제1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제1 촬영부(300)와, 상기 유동부(200)를 통해 수액이 유동된 수액백을 촬영하여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제2 촬영부(400), 및 상기 제1 촬영부(300)와 제2 촬영부(400)로부터 제공된 제1 영상정보와 제2 영상정보를 기포 및 이물질에 대한 패턴학습모델로 분석하여 이물질이 존재하는 수액백을 불량품을 선정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중앙회전부(600), 어댑터부(700), 후방 컨베이어(800), 불량품 검출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은 중앙회전부(600) 및 어댑터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회전부(600)는 수액백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축회전되는 것으로, 수액백을 파지한 지그부(100)가 수액백에 대한 이물질 검사 과정 중에 원형라인을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중앙회전부(600)는 세부구성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고 제어부(500)에 연결되며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고 구동유닛에 연결되며 구동유닛으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에 의해 축회전되는 중앙회전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어댑터부(700)는 상기 중앙회전부(600)에 설치되어 중앙회전부(600)의 축회전에 따라 연동하는 것으로, 중앙회전부(600)의 축회전에 따라 지그부(100)가 연동하도록 중앙회전부(600)와 지그부(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어댑터부(700)는 중앙회전부(60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구비되어 지그부(100)와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판이 포함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부(7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회전부를 중심으로 중앙회전부의 주변 공간을 6분할하는 제1 연결판 내지 제6 연결판(710~760)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연결판(710)은 중앙회전부의 주변 공간을 6분할하는 구간 중 임의의 제1 지점에서 일렬로 정렬된 복수개의 수액백을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제2 연결판(720)은 상기 제1 지점에 인접한 제2 지점에서 수액백에 구비된 튜브를 촬영하는 제3 촬영부(45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제3 연결판(730)은 상기 제2 지점과 인접한 제3 지점에서 제1 촬영부(3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제4 연결판(740)은 상기 제3 지점과 인접한 제4 지점에 배치되며, 제5 연결판(750)은 상기 제4 지점과 인접한 제5 지점에서 제2 촬영부(4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제6 연결판(760)은 상기 제5 지점과 인접한 제6 지점에서 후방 컨베이어(8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또한, 어댑터부(700)는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이 6개로 나뉘어진 지점에서 각각의 검사과정이 진행되도록 제1 연결판 내지 제6 연결판(710~760)이 서로 일정한 내각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연결판(710)에 설치된 제1 지그부(100)는 수액백이 일렬로 정렬된 제1 지점(6시 방향)에서 상기 수액백을 파지하고, 중앙회전부(600)의 회전에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지점에 이웃한 제2 지점(4시 방향)에 도착한 후 상기 제2 지점에 설치된 제3 촬영부(450)를 통해 수액백의 튜브가 촬영되도록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이어서, 유동부(200)는 수액백 내부의 수액이 유동하도록 제2 지점에 위치한 수액백을 다수회 회전시키고, 제1 연결판(710)은 중앙회전부(600)의 회전에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지점에 이웃한 제3 지점(2시 방향)에 도착한 후 상기 제3 지점에 설치된 제1 촬영부(300)를 통해 수액백의 내부가 촬영되도록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그 다음, 제1 연결판(710)은 중앙회전부(600)의 회전에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3 지점에 이웃한 제4 지점(12시 방향)에 도착한 후, 유동부(200)가 수액백 내부의 수액이 유동하도록 제4 지점에 위치한 수액백을 다수회 회전시킨다. 이 후, 제1 연결판(710)은 중앙회전부(600)의 회전에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4 지점에 이웃한 제5 지점(10시 방향)에 도착한 후 제5 지점에 설치된 제2 촬영부(400)를 통해 수액백의 내부가 촬영되도록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그 다음, 제1 연결판(710)은 중앙회전부(600)의 회전에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5 지점에 이웃한 제6 지점(8시 방향)에 도착한 후 제6 지점에서 비전검사가 완료된 수액백이 제1 지그부(100)로 분리되어 후방 컨베이어(800)로 투입되도록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마지막으로, 제1 연결판(710)은 중앙회전부(600)의 회전에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6 지점에 이웃한 제1 지점에 도착한 후 전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은 지그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지그부(100)는 일렬로 정렬된 복수개의 수액백을 파지하는 복수개의 집게유닛(110)이 구비되는 것으로, 각 집게유닛(110)에 의해 파지된 수액백을 미리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지그부(100)는 어댑터부(700)의 연결판에 설치될 수 있으며, 어댑터부(700)의 회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1 지점, 제2 지점, 제3 지점, 제4 지점, 제5 지점, 제6 지점을 반복적으로 통과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지그부(100)는 도 3과 같이 제1 연결판(710)에 설치된 제1 지그부와, 제2 연결판(720)에 설치된 제2 지그부와, 제3 연결판(730)에 설치된 제3 지그부와, 제4 연결판(740)에 설치된 제4 지그부와, 제5 연결판(750)에 설치된 제5 지그부, 및 제6 연결판(760)에 설치된 제6 지그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지그부(100)는 수액백의 중앙이 가려지지 않게 상단 양측을 파지할 수 있도록 양측 말단에 제1 집게와 제2 집게가 구비된 복수개의 집게유닛(110)과, 상기 복수개의 집게유닛(11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120), 및 상기 제1 집게와 제2 집게의 말단이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도록 각 집게유닛(110)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20)에는 5개의 집게유닛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집게유닛(110)은 수액백의 중앙 상단을 파지하는 대신 수액백의 좌측 상단과 우측 상단을 파지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수액백을 파지한 상태에서 수액백에 대한 영상촬영이 진행되더라도 수액백 내부의 기포와 이물질의 유동을 원활히 관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은 유동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부(200)는 각 집게유닛(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액백 내부의 수액에 침전된 이물질이 부유될 수 있도록 수액백을 파지한 집게유닛(110)을 축회전시킨다.
이러한 유동부(200)는 각각의 지그부(100)에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지그부(100)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싱예에 따른 지그부 및 유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동부(200)는 도 5와 같이 하우징(120)에 설치되어 지그부(100)에 구비된 다수개의 집게유닛(110)이 동시에 축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유닛(210)과, 상기 제2 구동유닛(210)에 설치되어 제2 구동유닛(210)으로부터 제공된 구동력에 의해 축회전하는 구동풀리(미도시)와, 각 집게유닛(110)의 상단에 설치되어 집게유닛(110)과 연동하는 메인풀리(220)와, 상기 메인풀리(220)가 축회전될 수 있도록 메인풀리(220)를 지그부(100)의 하우징(120)에 설치하는 지지대(230)와, 상기 구동풀리와 메인풀리(220)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메인풀리(220)로 전달하는 회전벨트(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유동부(200)는 구동풀리와 메인풀리(220)의 사이나, 메인풀리(220)와 메인풀리(220)의 사이에 회전벨트(240)의 텐션을 팽팽하게 유지시키는 보조풀리(250)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수액백이 제1 지점에서 지그부의 집게유닛에 의해 파지된 후 상기 제1 지점에 이웃한 제2 지점으로 이동되면, 상기 유동부(200)는 수액백이 180도로 회전되도록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수액백을 180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는, 제3 촬영부(450)에 의해 수액백의 후면이 촬영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은 제3 촬영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촬영부(450)는 지그부(100)에 의해 이동하는 수액백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어부(5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3 촬영부(450)는 마주보는 수액백의 전면을 먼저 촬영한 후 유동부(200)에 의해 회전된 수액백의 후면을 촬영하여 수액백의 튜브와 관련된 제3 영상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3 영상정보를 제어부(500)로 제공한다.
예를 들면, 제3 촬영부(450)는 도 3과 같이 4시 방향에 위치한 제2 지점으로 이동한 수액백과 마주보도록 제2 지점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3 촬영부(450)는 수액백 튜브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유닛과, 상기 조명유닛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조사된 수액백 튜브를 촬영하는 카메라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유닛은 수액백의 튜브 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색 정보를 위한 컬러(color)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이물질의 색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면 어떠한 촬영 장치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컬러 카메라로는 단관식 카메라, 2관식 카메라, 3관식 카메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3관식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3관식 카메라는 3원색에 각각 하나씩 3개의 촬상관을 써서 컬러 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이다. 이러한 3관식 카메라는 피사체의 색을 RGB(적녹청)로 분해하여 촬영하므로 색의 재현성이 높고, 수평 해상도를 500본 이상 실현할 수도 있으며, 주로 TV 카메라에 이용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은 제1 촬영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촬영부(300)는 지그부(100)에 의해 이동하는 수액백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어부(5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촬영부(300)는 수액백 내부에 충진된 수액에 포함된 이물질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액백의 전방에서 조명을 제공하는 제1 조명유닛(310)과, 상기 제1 조명유닛(310)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조사된 수액백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유닛(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제1 촬영부(300)는 수액백의 아래 방향에서 수액백을 향하여 조명을 제공하는 제2 조명유닛(3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유닛(320)은 유동부(200)를 통해 축회전되어 침전물이 유동할 수 있는 수액백의 내부를 촬영하여 제1 영상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영상정보를 제어부(500)로 제공한다.
예를 들면, 제1 촬영부(300)는 도 3과 같이 2시 방향에 위치한 제3 지점으로 이동한 수액백과 마주보도록 제3 지점에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은 제2 촬영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촬영부(400)는 지그부(100)에 의해 이동하는 수액백의 이동경로 상에서 제1 촬영부(300)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어부(5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2 촬영부(400)는 수액백 내부에 충진된 수액에 포함된 이물질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액백의 전방에서 조명을 제공하는 제3 조명유닛(410)과, 상기 제3 조명유닛(410)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조사된 수액백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유닛(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제2 촬영부(400)는 수액백의 아래 방향에서 수액백을 향하여 조명을 제공하는 제4 조명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카메라유닛(420)은 제1 촬영부(300)에 비해 안정화된 수액백의 내부를 촬영하여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2 영상정보를 제어부(500)로 제공한다.
예를 들면, 제2 촬영부(400)는 도 3과 같이 10시 방향에 위치한 제5 지점으로 이동한 수액백과 마주보도록 제5 지점에 설치된다. 이때, 수액백은 제3 지점으로부터 제4 지점을 통과해 제5 지점으로 이동하는 과정 중에 내부 수액의 움직임이 다시 유동되므로, 침전된 상태의 이물질이 다시 부유하게 된다.
전술한 조명유닛은 밝기 조절을 위해 백라이트 조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의 밝기 조절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조명 장치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백라이트는 뒤(back)에서 비추는 빛(light)의 조합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LCD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므로 백라이트 유닛이 후면에서 빛을 비춰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백라이트는 램프의 종류에 따라 또는 장착 형태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는 램프 종류에 따라 CCFL이나 LED로 분류될 수 있으나, CCFL보다 휘도가 높아 화면이 밝고 선명도가 우수한 LED 백라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백라이트는 장착 형태에 따라 직하형과, 에지(Edge)형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직하형은 패널 뒷면 전체에 LED를 균일하게 부착하여 빛을 쏘는 형태이고, 에지형은 LED를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하고, 그 빛이 중앙까지 전방으로 반사하는 원리이다.
이와 같이, LED가 촘촘히 배치된 직하형은 한층 밝은 화면을 구현하지만, LED 개수가 많아 디스플레이 두께가 두꺼워지고 원가가 올라간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에지형의 경우 LED를 사각 테두리에 배치하여 직하형보다는 상대적으로 빛이 약하지만, 얇은 디스플레이의 구현이 가능하다. 즉, 직하형은 밝기, 에지형은 슬림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백라이트의 대표적인 구조로는 램프 커버와, 램프와, 반사 시트와, 도광판과, 확산 시트와, 수직의 프리즘시트와, 수평의 프리즘 시트가 순차 적층되어 한장의 시트로 형성되는 것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은 후방 컨베이어(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컨베이어(800)는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한 후 지그부(100)로부터 분리된 수액백을 이송시키는 것으로, 비전검사를 완료한 수액백이 이송 컨베이어 또는 반송 컨베이어로 수송되도록 선별과정을 거치는 공간을 제공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후방 컨베이어(800)는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한 수액백이 진입한 선단이 상기 수액백을 배출하는 후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기울어지게 설치된 롤러컨베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방 컨베이어(80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수액백이 자유 낙하로 반송 컨베이어를 향하여 떨어지는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된 제1 컨베이어 롤러유닛과 제2 컨베이어 롤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유닛과 제2 컨베이어 롤러유닛은 복수개의 컨베이어 롤러를 포함하며, 제1 컨베이어 롤러유닛과 제2 컨베이어 롤러유닛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은 불량품 검출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량품 검출부(900)는 후방 컨베이어(8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500)로부터 제공된 불량품 식별정보에 따라 후방 컨베이어(800)를 통과하는 수액백을 분류하여 반송 컨베이어로 이송시킨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불량품 검출부(900)는 제1 컨베이어 롤러유닛과 제2 컨베이어 롤러유닛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3 컨베이어 롤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불량품 검출부(900)는 제1 컨베이어 롤러유닛 또는 제2 컨베이어 롤러유닛 방향으로 제3 컨베이어 롤러유닛이 이동할 수 있도록 제3 컨베이어 롤러유닛에 설치되어 제3 컨베이어 롤러유닛에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레일, 및 제3 컨베이어 롤러유닛을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컨베이어 롤러유닛은 기본적으로 제1 컨베이어 롤러유닛을 통과한 수액백이 제2 컨베이어 롤러유닛으로 진입하도록 제1 컨베이어 롤러유닛과 제2 컨베이어 롤러유닛의 사이에서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불량품 검출부(900)는 제어부(500)로부터 전송된 불량품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수액백이 제1 컨베이어 롤러유닛과 제2 컨베이어 롤러유닛의 사이의 빈 공간으로 떨어져 반송 컨베이어에 안착되도록 제3 컨베이어 롤러유닛이 초기 위치를 벗어나도록 이동한 후, 소정시간 이후에 제3 컨베이어 롤러유닛이 초기위치로 회동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은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에 포함된 세부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지그부(100), 유동부(200), 제1 촬영부(300), 제2 촬영부(400), 제3 촬영부(450), 중앙회전부(600), 후방 컨베이어(800), 불량품 검출부(900)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수액백 내 기포와 이물질의 움직임에 대한 영상으로 학습된 패턴학습모델을 이물질 판독 알고리즘으로 구비한다. 이러한 패턴학습모델은 기포와 이물질에 대한 발생 가능한 모든 패턴 샘플을 사전에 촬영한 후 딥러닝을 통해 학습시키며, 영상정보 상의 기포 및 이물질과 매칭되는 패턴을 찾아내어 이물질이 존재하는 수액백을 분류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제1 촬영부(300)와 제2 촬영부(400)로부터 제공된 제1 영상정보와 제2 영상정보로부터 차 영상(subtraction image) 방법을 통해 이물질과 기포의 움직임 데이터를 추출한다.
아울러, 제어부(500)는 제1 영상정보와 제2 영상정보로부터 추출된 움직임 데이터를 상기 패턴학습모델로 분석하여 이물질이 존재하는 수액백을 검출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500)는 제1 촬영부(300)와 제2 촬영부(400)로부터 제공된 제1 영상정보와 제2 영상정보를 패턴학습모델로 분석하고, 이물질이 존재하는 수액백의 검출 시 상기 수액백을 불량품으로 선정하는 불량품 식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불량품 식별정보를 불량품 검출부(900)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후방 컨베이어(800)에 도달한 지그부(100)로부터 수액백이 분리되도록 집게유닛 제어신호를 지그부(100)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500)는 후방 컨베이어(800)에 설치되어 후방 컨베이어(800)의 상부로 이송된 수액백을 감지하는 센서부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액백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집게유닛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후방 컨베이어(800)의 상부에 위치한 지그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수액백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불량품으로 선정된 수액백의 식별정보를 생성하며, 불량품으로 반송할 수액백의 식별정보를 불량품 검출부(9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불량품 검출부(900)가 후방 컨베이어(800)의 라인별로 설치된 경우, 제어부(500)는 수액백의 위치와 매칭된 불량품 검출부(900)를 선정하고, 선정된 불량품 검출부(900)로 반송대상인 수액백의 식별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미리 저장된 소켓불량 판독 알고리즘에 따라 제3 촬영부(450)로부터 제공된 제3 영상정보를 미리 저장된 양품영상과 비교분석하여 수액백의 소켓 불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0)는 수액백의 소켓이 불량으로 판단되면 여러 개의 수액백 중 불량품으로 선정된 수액백을 구분할 수 있는 불량품 식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불량품으로 반송할 수액백에 대한 불량품 식별정보를 불량품 검출부(9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제3 영상정보와 양품영상의 비교결과 일치율이,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 이상이면 수액백을 양품으로 판단하고, 일치율 제2 임계값 미만이면 수액백을 불량품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은 전방 컨베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컨베이어는 수액백의 이송속도를 조절하여 수액백이 일정간격으로 정렬시키는 것으로, 선단으로 투입된 수액백이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후단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이동면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전방 컨베이어는 무한궤도를 갖는 제1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제1 선반과,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는 제1 서보모터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은 이송 컨베이어(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20)는 후방 컨베이어(800)의 후방에 설치된 것으로, 정상제품으로 분류되어 후방 컨베이어(800)를 통과한 수액백을 후단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이송 컨베이어(20)는 무한궤도를 갖는 제2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제2 선반과,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는 제2 서보모터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은 반송 컨베이어(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송 컨베이어(30)는 후방 컨베이어(800)에 설치된 불량품 검출모듈의 아래 방향에 설치된 것으로, 불량품 검출모듈에 의해 제1 컨베이어 롤러유닛과 제2 컨베이어 롤러유닛 사이의 빈 공간으로 투입된 수액백이 안착될 공간을 제공한 후 상기 수액백을 후단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반송 컨베이어(30)는 무한궤도를 갖는 제3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3 컨베이어 벨트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제3 선반과,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3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는 제3 서보모터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이물질 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이물질 검사 방법은 수액백에 침전된 이물질이 부유될 수 있도록 수액백을 흔들어주는 회전단계(S100)와, 수액백의 내부에서 부유하는 이물질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수액백을 촬영하여 제1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1차 이물질정보 수집단계(S200)와, 이물질의 움직임을 비교하기 위해 수액백을 미리 경로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S300)와, 이동과정 중 수액백에 침전된 이물질이 다시 부유될 수 있도록 흔들어주는 재회전단계(S400)와, 수액백의 내부에서 부유하는 이물질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수액백을 촬영하여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2차 이물질정보 수집단계(S500)와, 제1,2 영상정보를 패턴학습모델로 분석하여 이물질이 존재하는 수액백을 검출하는 불량품 검출단계(S60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단계(S100)에서는 지그부(100)가 일렬로 정렬된 복수개의 수액백을 복수개의 집게유닛(110)으로 파지하고, 각 집게유닛(110)에 설치된 유동부(200)가 집게유닛(110)을 축회전시켜 수액백에 침전된 이물질을 부유시킨다. 예를 들면, 회전단계(S100)에서 지그부(100)는 제1 지점에서 일렬로 정렬된 수액백을 파지한 후 중앙회전부(600)의 회전에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해 제2 지점을 거쳐 제3 지점으로 수액백을 이송한다. 그리고 유동부(200)는 지그부(100)가 제2 지점에 도착한 후 제3 지점에 도착하기 전까지 수액백을 파지하고 있는 집게유닛(110)을 다수 회로 회전시킨다.
상기 1차 이물질정보 수집단계(S200)에서는 제1 촬영부(300)가 축회전된 수액백의 내부를 미리 지정된 시간 후 촬영하여 제1 영상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영상정보를 제어부(500)로 제공한다. 예를 들면, 1차 이물질정보 수집단계(S200)에서 제1 촬영부(300)는 제3 지점에 도착한 수액백의 내부에 수용된 수액의 움직임을 1.5초 대기 후 촬영하여 제1 영상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미리 지정된 시간이 경화된 후 영상을 촬영하는 것은 소정의 안정화 시간 동안 일정 크기 이상의 기포가 수액백의 경계수면 위로 떠오르거나 사라지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이동단계(S300)에서는 제어부(500)가 제1 영상정보를 생성한 수액백을 미리 지정된 경로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이동단계(S300)에서 제어부(500)는 중앙회전부(600)를 회전시켜 지그부(100)가 파지하고 있는 수액백을 제3 지점에서 제4 지점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재회전단계(S400)에서는 각 집게유닛(110)에 설치된 유동부(200)가 집게유닛(110)을 축회전시켜 이동단계(S300)를 통해 이동하는 과정 중 수액백에 침전된 이물질을 다시 부유시킨다. 예를 들면, 재회전단계(S400)에서 유동부(200)는 제4 지점에서 제5 지점에 도착하기 전까지 수액백을 파지하고 있는 집게유닛(110)을 다수 회로 회전시킨다.
상기 2차 이물질정보 수집단계(S500)에서는 제2 촬영부(400)가 1차 이물질정보 수집단계(S200)와 같이 수액의 움직임이 활성화된 수액백의 내부를 미리 지정된 시간 후 촬영하여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제2 영상정보를 제어부(500)로 제공한다.
예를 들면, 2차 이물질정보 수집단계(S500)에서 제어부(500)는 중앙회전부(600)를 회전시켜 지그부(100)가 파지하고 있는 수액백을 제4 지점에서 제5 지점으로 이동시키고, 제2 촬영부(400)는 제5 지점에 도착한 수액백의 내부에 수용된 수액의 움직임을 1.5초 대기 후 촬영하여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미리 지정된 시간이 경화된 후 영상을 촬영하는 것은 소정의 안정화 시간 동안 일정 크기 이상의 기포가 수액백의 경계수면 위로 떠오르거나 사라지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불량품 검출단계(S600)에서는 제1 촬영부(300)로부터 제공된 제1 영상정보와 제2 촬영부(400)로부터 제공된 제2 영상정보를 수신한 제어부(500)가 상기 제1 영상정보와 제2 영상정보를 패턴학습모델로 분석하고, 이물질이 존재하는 수액백이 검출되면 상기 수액백을 불량품으로 선정하는 불량품 식별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불량품 검출단계(S600)에서 제어부(500)는 제1,2 영상정보를 패턴학습모델로 분석하여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불량품 식별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불량품 식별정보를 불량품 검출부(900)로 제공한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이물질 검사 방법은 2차 이물질정보 수집단계(S500)와 불량품 검출단계(S600)의 사이에는 분리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단계는 제어부(500)가 지그부(100)를 제어하여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한 수액백을 후방 컨베이어(800)로 투입하는 단계로, 비전검사가 완료된 수액백의 이동경로를 분류하기 위해 후방 컨베이어(800)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분리단계에서 제어부(500)는 중앙회전부(600)를 회전시켜 지그부(100)가 파지하고 있는 수액백을 제5 지점에서 제6 지점으로 이동시키고, 비전검사가 완료된 수액백이 지그부(100)로 분리되어 후방 컨베이어(800)로 투입되도록 지그부(100)를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이물질 검사 방법은 불량품 검출단계(S600) 이후에 반송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반송단계는 불량품 검출부(900)가 제어부(500)로부터 제공된 불량품 식별정보에 따라 후방 컨베이어(800)를 통과하는 수액백을 반송 컨베이어로 이송시킨다. 예를 들면, 반송단계에서 불량품 검출부(900)는 불량품 식별정보의 대상인 수액백이 후방 컨베이어(800)의 제1 컨베이어 롤러유닛과 제2 컨베이어 롤러유닛의 사이로 투입되어 반송 컨베이어에 안착되도록 구동유닛을 동작시켜 가이드레일을 따라 제3 컨베이어 롤러유닛을 제1 컨베이어 롤러유닛이나 제2 컨베이어 롤러유닛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회전단계(S100), 1차 이물질정보 수집단계(S200), 이동단계(S300), 재회전단계(S400), 2차 이물질정보 수집단계(S500), 불량품 검출단계(S600), 분리단계, 반송단계에서는 전술한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에 포함된 세부구성들이 사용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지그부 110 : 집게유닛
120 : 하우징 130 : 제1 구동유닛
200 : 유동부 210 : 제2 구동유닛
220 : 메인풀리 230 : 지지대
240 : 회전벨트 250 : 보조풀리
300 : 제1 촬영부 310 : 제1 조명유닛
320 : 제1 카메라유닛 330 : 제2 조명유닛
400 : 제2 촬영부 410 : 제3 조명유닛
420 : 제2 카메라유닛 450 : 제3 촬영부
452 : 조명유닛 454 : 카메라유닛
500 : 제어부 600 : 중앙회전부
700 : 어댑터부 710 : 제1 연결판
720 : 제2 연결판 730 : 제3 연결판
740 : 제4 연결판 750 : 제5 연결판
760 : 제6 연결판 800 : 후방 컨베이어
900 : 불량품 검출부

Claims (11)

  1. 일렬로 정렬된 복수개의 수액백을 파지하는 복수개의 집게유닛이 구비되며, 각 집게유닛에 의해 파지된 수액백을 미리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지그부;
    각 집게유닛에 설치되어 수액백 내부의 수액에 침전된 이물질이 부유될 수 있도록 수액백을 파지한 집게유닛을 축회전시키는 유동부;
    상기 수액백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유동부를 통해 축회전된 수액백의 내부를 촬영하여 제1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제1 촬영부;
    상기 제1 촬영부의 후방에서 수액백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되며, 상기 유동부를 통해 축회전된 수액백의 내부를 촬영하여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제2 촬영부;
    수액백 내 기포와 이물질의 움직임에 대한 영상으로 학습된 패턴학습모델이 구비되고, 상기 제1,2 촬영부로부터 제공된 제1,2 영상정보를 상기 패턴학습모델로 분석하며, 이물질이 존재하는 수액백의 검출 시 상기 수액백을 불량품으로 선정하는 불량품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지그부로부터 분리된 수액백을 이송시키고, 상기 수액백이 진입한 선단이 상기 수액백을 배출하는 후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기울어지게 설치된 롤러컨베이어이며, 서로 이격된 제1 컨베이어 롤러유닛과 제2 컨베이어 롤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후방 컨베이어; 및
    상기 후방 컨베이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불량품 식별정보에 따라 후방 컨베이어를 통과하는 수액백을 반송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불량품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방 컨베이어에 도달한 지그부로부터 수액백이 분리되도록 집게유닛 제어신호를 상기 지그부로 제공하며,
    상기 불량품 검출부는 상기 제1 컨베이어 롤러유닛과 제2 컨베이어 롤러유닛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컨베이어 롤러유닛을 통과한 수액백이 제2 컨베이어 롤러유닛으로 진입하도록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불량품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수액백이 제1 컨베이어 롤러유닛과 제2 컨베이어 롤러유닛의 사이의 빈 공간으로 떨어져 반송 컨베이어에 안착되도록 이동하는 제3 컨베이어 롤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백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축회전되는 중앙회전부; 및
    상기 중앙회전부에 설치되어 중앙회전부의 축회전에 따라 연동하며, 중앙회전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지그부와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판이 포함된 어댑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는
    상기 중앙회전부를 중심으로 중앙회전부의 주변 공간을 6분할하는 제1 연결판 내지 제6 연결판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는
    상기 제1 연결판 내지 제6 연결판이 서로 일정한 내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
  8. 제6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수액백이 제1 지점에서 지그부의 집게유닛에 의해 파지된 후 상기 제1 지점에 이웃한 제2 지점으로 이동되면, 상기 유동부는 수액백이 180도로 회전되도록 집게유닛을 180도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상기 수액백의 중앙이 가려지지 않게 상단 양측을 파지할 수 있도록 양측 말단에 제1 집게와 제2 집게가 구비된 복수개의 집게유닛과,
    상기 복수개의 집게유닛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 집게와 제2 집게의 말단이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도록 각 집게유닛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
  10. 지그부가 일렬로 정렬된 복수개의 수액백을 복수개의 집게유닛으로 파지하고, 각 집게유닛에 설치된 유동부가 집게유닛을 축회전시켜 수액백에 침전된 이물질을 부유시키는 회전단계;
    제1 촬영부가 축회전 된 수액백의 내부를 미리 지정된 시간 후 촬영하여 제1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1차 이물질정보 수집단계;
    제어부가 상기 제1 영상정보를 생성한 수액백을 이동시키는 이동단계;
    상기 유동부가 집게유닛을 축회전시켜 이동된 수액백에 침전된 이물질을 부유시키는 재회전단계;
    제2 촬영부가 축회전 된 수액백의 내부를 미리 지정된 시간 후 촬영하여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2차 이물질정보 수집단계;
    상기 제어부가 지그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 영상정보를 생성한 수액백을 후방 컨베이어로 투입하는 분리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1,2 촬영부로부터 제공된 제1,2 영상정보를 패턴학습모델로 분석하며, 이물질이 존재하는 수액백이 검출되면 상기 수액백을 불량품으로 선정하는 불량품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불량품 검출단계;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불량품 식별정보에 따라 불량품 검출부가 불량품 식별정보의 대상인 수액백이 상기 후방 컨베이어의 제1 컨베이어 롤러유닛과 제2 컨베이어 롤러유닛의 사이로 투입되어 반송 컨베이어에 안착되도록 구동유닛을 동작시켜 가이드레일을 따라 제3 컨베이어 롤러유닛을 제1 컨베이어 롤러유닛이나 제2 컨베이어 롤러유닛 방향으로 이동시켜 후방 컨베이어를 통과하는 수액백을 반송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반송단계를 포함하는 수액백 이물질 검사 방법.
  11. 삭제
KR1020220101439A 2022-08-12 2022-08-12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102579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439A KR102579949B1 (ko) 2022-08-12 2022-08-12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439A KR102579949B1 (ko) 2022-08-12 2022-08-12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9949B1 true KR102579949B1 (ko) 2023-09-19

Family

ID=88196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439A KR102579949B1 (ko) 2022-08-12 2022-08-12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94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174B1 (ko) 1999-05-11 2001-12-22 장인순 액체에 포함된 이물질의 광학 검사 방법과 장치
JP2015511717A (ja) * 2012-05-24 2015-04-20 ハミルトン・ボナドゥーツ・アーゲー 生体試料を処理するための試料処理システム
KR20190130523A (ko) * 2019-09-03 2019-11-22 주식회사 하나비전테크 링거수액 이물질 비전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22211A (ko) * 2018-08-22 2020-03-0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비전검사 장치
KR20200094261A (ko) * 2019-01-29 2020-08-0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액백 비전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200105207A (ko) 2019-02-28 2020-09-07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액체에 포함된 이물질 광학검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174B1 (ko) 1999-05-11 2001-12-22 장인순 액체에 포함된 이물질의 광학 검사 방법과 장치
JP2015511717A (ja) * 2012-05-24 2015-04-20 ハミルトン・ボナドゥーツ・アーゲー 生体試料を処理するための試料処理システム
KR20200022211A (ko) * 2018-08-22 2020-03-0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비전검사 장치
KR20200094261A (ko) * 2019-01-29 2020-08-0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액백 비전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2166045B1 (ko) 2019-01-29 2020-10-1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액백 비전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200105207A (ko) 2019-02-28 2020-09-07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액체에 포함된 이물질 광학검사 장치 및 방법
KR20190130523A (ko) * 2019-09-03 2019-11-22 주식회사 하나비전테크 링거수액 이물질 비전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2101237B1 (ko) 2019-09-03 2020-04-17 주식회사 하나비전테크 링거수액 이물질 비전검사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84650B (zh) 一种多光源线阵成像系统及方法
CN100480690C (zh) 检查显示面板的设备和方法
JP3518596B2 (ja) ソフトバッグ総合検査システム
US4976356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optically checking the appearances of chip-type components and sorting the chip-type components
EP2497823B1 (en) Device for harvesting bacterial colony and method therefor
TWI428589B (zh) 視覺檢測設備與方法
CN110044405B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汽车仪表自动化检测装置及方法
US1138629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bio-fluid specimen characterization using neural network having reduced training
US20060244959A1 (en) Inspe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oreign matter
WO2004036198A1 (ja) ガラス壜の検査装置における基準画像の作成方法及び装置
JP2002513463A (ja) 成形容器内の応力検出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7228861A (zh) 液晶面板的缺陷检测装置
TWI388021B (zh) 晶圓測試裝置以及具該裝置的處理設備
KR101499462B1 (ko) 백라이트 유닛의 소형 비전 검사장치
JP2010048602A (ja) プリント基板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102579949B1 (ko) 수액백의 이물질 검사 시스템 및 방법
JP4350553B2 (ja) 錠剤検査システム
CN111610190A (zh) 家用电器外观检查装置
CN107134240A (zh) 设备运行机台
TWM582136U (zh) Detection module and inspection machine
CN206990465U (zh) 液晶面板的缺陷检测装置
JP6975551B2 (ja) 半導体製造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160043236A (ko) 카메라용 렌즈모듈 외관 검사공법
CN106053484A (zh) 一种液晶玻璃表面异物的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KR101719470B1 (ko) 전자부품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