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293B1 - 케이블 체인 - Google Patents

케이블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293B1
KR102150293B1 KR1020187032023A KR20187032023A KR102150293B1 KR 102150293 B1 KR102150293 B1 KR 102150293B1 KR 1020187032023 A KR1020187032023 A KR 1020187032023A KR 20187032023 A KR20187032023 A KR 20187032023A KR 102150293 B1 KR102150293 B1 KR 102150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unit member
upper wall
body portion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0738A (ko
Inventor
히데오 마츠우라
슈마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쿠니모리 카가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니모리 카가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쿠니모리 카가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50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단위 부재(10A, 10B)는 우측벽(11R) 및 좌측벽(11L)과, 이들의 상부를 폐쇄 가능한 상부벽(12)과,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벽(13)을 구비하고, 수지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체인(1)은 단위 부재(1OA, 10B)의 우측벽(11R) 및 좌측벽(11L)을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복수의 단위 부재(10A, 10B)를 굴곡 가능하게 연결하여 형성된다. 상부벽(12)과 하부벽(13)은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요성이 있는 상부벽 박벽부(122)와 하부벽 박벽부(132)를 각각 갖는다. 단위 부재(10A)의 상부벽 박벽부(122)와 하부벽 박벽부(132)는 각각 단위 부재(10A, 10B) 사이의 상대 회동의 과정에 있어서 단위 부재(10B)의 상부벽 본체부(121)와 하부벽 본체부(131)에 대하여 항상 일부가 겹쳐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체인
본 발명은 급전이나 전기신호의 송수신에 사용하는 케이블이나, 공기 등의 유체를 공급하는 호스라고 한 케이블류를 굴곡 가능한 상태에서 보호하는 케이블 체인에 관한다.
급전이나 전기신호의 송수신에 사용하는 케이블이나, 공기 등의 유체를 공급하는 호스라고 한 케이블류는 일단을 고정하여 타단을 이동시키면, 일부가 과도하게 굴곡하거나 마모되거나 해서 손상을 받을 우려가 있다. 그래서, 횡단면이 직사각형의 프레임상으로 내부 공간에 케이블류를 수용하고, 케이블류가 손상을 받지 않을 정도의 곡률반경으로 굴곡 가능한 케이블 체인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4885125호 공보에 기재된 케이블 체인은 복수의 단위 부재를 일렬로 연결하는 것만으로 조립할 수 있고, 단위 부재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1개의 단위 부재를 얻기 위해서, 복수의 부재를 조립하는 시간을 요구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 케이블 체인은 그 길이를, 연결하는 단위 부재의 수를 바꾸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 케이블 체인의 단위 부재는 횡단면이 직사각형의 프레임상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과, 이 한 쌍의 측벽 사이에 있어서,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부벽과,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벽의 4개의 벽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웃하는 단위 부재는 내부 공간이 연속하도록 한 쌍의 측벽 사이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복수의 단위 부재가 이와 같이 연결됨으로써 케이블 체인이 형성되고, 케이블류는 그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여기에서, 이웃하는 단위 부재는 내부 공간이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 신장 상태로부터 상부벽측이 내주측이 되도록 굴곡할 수 있다. 그리고, 최대로 굴곡한 상태에서는 인접하는 측벽끼리가 접촉함으로써 더 이상 굴곡하지 않게 되어 있고, 이 때 인접하는 상부벽의 단부끼리가 접촉한다. 즉, 이웃하는 단위 부재의 상부벽 단부 사이의 간격은 최대로 굴곡한 상태로부터 신장 상태에 가까이 갈수록 열리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웃하는 단위 부재의 상부는 최대로 굴곡한 상태로부터 신장 상태에 가까이 갈수록 개구가 열리고, 이 개구에서는 케이블 체인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케이블류가 드러내진다.
상기 일본 특허 4885125호 공보에 기재된 케이블 체인은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상술한 케이블 체인의 상부에서 열리는 개구로부터 케이블류의 일부가 내부 공간 이외로 밀려나와 손상을 받는 것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상기 개구를 좁히고 내부 공간의 폐쇄도를 높이기 위해서, 이웃하는 단위 부재의 상부벽의 단부끼리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상부벽을 케이블 체인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신장시키는 것도 고려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부벽을 신장시키면, 최대로 굴곡한 상태에서는 이웃하는 상부벽의 단부끼리가 접촉하기 때문에, 이웃하는 단위 부재의 상대 회동 각도가 작게 제한되고, 나아가서는 케이블 체인을 작은 곡률반경으로 굴곡할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이 케이블 체인은 케이블류의 일부가 내부 공간 이외로 밀려나와 손상을 받는 것을 막기 위해서 내부 공간의 폐쇄도를 향상시키는 것과, 작은 곡률반경으로 굴곡시키는 것의 양립은 곤란했다. 그래서, 케이블 체인은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조립이 용이할뿐만 아니라, 굴곡의 전체 과정에서 내부 공간이 높은 폐쇄도로 폐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은 내부에 케이블류를 굴곡 가능하게 유지하는 케이블 체인으로서, 복수의 단위 부재를 갖고, 상기 단위 부재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대향하는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의 상부끼리 사이를 폐쇄 가능한 상부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벽이 수지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웃하는 상기 단위 부재는 상기 제 1 측벽끼리 및 상기 제 2 측벽끼리가 부분적으로 겹쳐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상부벽은 상부벽 본체부와 상부벽 박벽부를 갖고, 상기 상부벽 본체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 1 측벽의 상부에 대하여, 상기 상부벽 본체부보다 박육으로 형성된 힌지를 통해서 곡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 2 측벽의 상부에 대하여 로킹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벽 박벽부는 가요성이 있고, 상기 상부벽 본체부의 상기 타단부가 상기 제 2 측벽의 상부에 대하여 로킹된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 본체부로부터 상기 케이블 체인이 연장되는 방향의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상부벽 박벽부의 상기 일방향의 길이는 이웃하는 상기 단위 부재의 상대 회동의 과정에서 항상 인접하는 상기 단위 부재의 상기 상부벽 본체부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길이이고, 이웃하는 상기 단위 부재의 상대 회동의 과정에서 상기 상부벽 박벽부가 인접하는 상기 단위 부재의 상기 상부벽 본체부의 상면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해지고 있고, 상기 하부벽은 하부벽 본체부와 하부벽 박벽부를 갖고, 상기 하부벽 본체부는 상기 한 쌍의 측벽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부벽 박벽부는 가요성이 있고, 상기 하부벽 본체부로부터 상기 상부벽 박벽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하부벽 박벽부의 상기 일방향의 길이는 이웃하는 상기 단위 부재의 상대 회동의 과정에서 항상 인접하는 상기 단위 부재의 상기 하부벽 본체부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길이로 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측벽은 상기 하부벽 본체부와의 연결부를 따라 내측으로 개구되고, 상기 하부벽 본체부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인접하는 상기 단위 부재의 상기 하부벽 박벽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 가능한 한 쌍의 홈을 갖는 케이블 체인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단위 부재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단위 부재를 얻기 위해 복수의 부재를 조립하는 시간을 요구하지 않고 조립이 간편하다. 그리고, 케이블 체인은 그 길이를, 연결하는 단위 부재의 수를 바꾸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단위 부재는 상부벽에 케이블 체인이 연장되는 방향의 일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부벽 박벽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벽 박벽부의 일방향을 향하는 길이는 이웃하는 단위 부재의 상대 회동의 과정에서 항상 인접하는 단위 부재의 상부벽 본체부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길이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부벽 박벽부의 「인접하는 단위 부재의 상부벽 본체부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겹친다」란 상부벽 박벽부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부벽 박벽부의 일부와 인접하는 단위 부재의 상부벽 본체부가 서로 겹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은 당연하고, 상부벽 박벽부의 단부와 인접하는 단위 부재의 상부벽 본체부의 단부가 일치한 상태가 되는 것도 포함한다. 따라서, 인접하는 단위 부재 사이는 상대 회동의 과정에서 항상 상부벽 본체부와 상부벽 박벽부에 의해서 상측이 폐쇄되어 있다. 또한, 단위 부재는 하부벽에 상술의 일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하부벽 박벽부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벽 박벽부의 일방향을 향하는 길이는 이웃하는 단위 부재의 상대 회동의 과정에서 항상 인접하는 단위 부재의 하부벽 본체부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길이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단위 부재 사이는 상대 회동의 과정에서 항상 하부벽 본체부와 하부벽 박벽부에 의해서 하측이 폐쇄되어 있다. 또한, 이웃하는 단위 부재는 한 쌍의 측벽의 일방끼리 및 타방끼리가 부분적으로 겹쳐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양쪽 측면에서도 높은 폐쇄도로 폐쇄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블 체인은 굴곡의 전체 과정에서 상하 양면 및 양쪽 측면에서 높은 폐쇄도로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류의 일부가 내부 공간 이외로 밀려나와 손상을 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타방향측에 인접하는 단위 부재의 하부벽 박벽부는 단위 부재의 한 쌍의 측벽과 하부벽 본체부의 연결부를 따라서 내측에 개구를 구비하는 한 쌍의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된다. 이 때문에, 하부벽 박벽부는 굴곡의 전체 과정에서 면외 방향으로 변형하는 것이 억제되어, 안정하게 하측을 폐쇄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한 쌍의 측벽은 상기 상부벽 본체부가 상기 폐쇄 상태에 있을 때에, 인접하는 상기 단위 부재의 상기 상부벽 박벽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에서 유지 가능한 상기 상부벽 본체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간한 위치에서 내측에 대향하는 한 쌍의 클로를 갖는 케이블 체인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측벽이 갖는 한 쌍의 클로는 상부벽 본체부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에, 인접하는 단위 부재의 상부벽 박벽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에서 유지한다. 이 때문에, 상부벽의 상부벽 박벽부는 면외 방향으로 변형하는 것이 억제되어, 안정하게 상측을 폐쇄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단위 부재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 체인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단위 부재는 가요성이 높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벽 박벽부 및 하부벽 박벽부의 높은 가요성이 확보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벽 박벽부는 상부벽 본체부와 한 쌍의 클로 사이에서, 하부벽 박벽부는 한 쌍의 홈 사이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함과 아울러, 용이하게 굴곡하므로 인접하는 단위 부재 사이의 상대 회동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케이블 체인이 케이블류의 굴곡으로 추종하여 원활하게 굴곡할 수 있다.
도 1은 케이블 체인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상부벽이 닫힌 폐쇄 상태의 단위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부벽이 열린 개방 상태의 단위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부벽이 열린 개방 상태의 단위 부재의 좌측벽을 제외한 부분에 대해서, 좌측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연결된 2개의 단위 부재가 신장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2개의 단위 부재에 있어서의 VI-VI 단면도이다.
도 7은 연결된 2개의 단위 부재가 최대 굴곡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측면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의 케이블 체인(1)에 대해서, 도 1~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체인(1)은 복수의 단위 부재(10)가 일렬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고, 각 연결 부분에서 굴곡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위 부재(10)는 횡단면이 직사각형의 프레임상으로 되어 있고, 그 내부 공간에 케이블류(2)가 삽입 통과되어 케이블류(2)를 굴곡 가능하게 유지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케이블 체인이 연장되는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하고 케이블 체인이 굴곡하는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해서 방향을 정한다. 상, 하, 전, 후, 좌, 우의 방향을 도 2 이후의 각 도 중에 화살표로 나타내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방향에 관한 기술은 이들의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 2~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위 부재(10(1OA, 10B))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좌우 한 쌍의 우측벽(11R), 좌측벽(11L)과, 우측벽(11R)과 좌측벽(11L) 사이에 있어서,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부벽(12)과,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벽(13)을 구비한다. 우측벽(11R)과, 좌측벽(11L)과, 상부벽(12)과, 하부벽(13)은 일체로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단위 부재(10)는 가요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폴리에틸렌 수지나, 폴리아미드 수지나, 엘라스토머로 형성되어도 좋다.
도 3 및 도 4에는 상부벽(12)이 열린 개방 상태의 단위 부재(10)의 사시도가 나타내어지고 있고, 단위 부재(10)는 이 상태에 인젝션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제조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벽(12)이 열린 개방 상태에서는 케이블류(2)를 단위 부재(10)의 상측으로부터 우측벽(11R), 좌측벽(11L) 및 하부벽(13)으로 둘러싸여지는 내부 영역에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류(2)를 우측벽(11R), 좌측벽(11L) 및 하부벽(13)으로 둘러싸여지는 단위 부재(10)의 내부에 수용하면, 상부벽(12)을 닫은 폐쇄 상태로 한다. 도 2에는 상부벽(12)이 닫힌 폐쇄 상태의 단위 부재(10)의 사시도가 나타내어지고 있고, 도 1에 나타내는 케이블 체인(1)의 사용시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위 부재(10)는 상부벽(12)을 닫은 폐쇄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전방측의 단위 부재(10A)와 후방측의 단위 부재(1OB)가 나타내어져 있지만, 이후의 설명에서는 전방측의 단위 부재(10A)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5~도 7에서는 연결된 단위 부재(10A)와 단위 부재(10B)가 나타내어져 있지만, 전방측의 단위 부재(10A)는 실선으로 나타내어져 있고, 후방측의 단위 부재(10B)는 2점 쇄선으로 나타냈다.
우측벽(11R)과 좌측벽(11L)은 도 2나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의 좌우방향의 중간의 평면에 관해서 거의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우선 우측벽(11R)과 좌측벽(11L)이 공통하는 구조에 대해서 대표로서 우측벽(11R)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좌측벽(11L)은 우측벽(11R)에 대응하는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우측벽(11R)과 좌측벽(11L)의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공통하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벽(11R)은 우측방으로부터 보아 장축을 전후방향으로 한 대략 둥근 직사각형 형상의 판상 부재이다. 전방측은 좌측면(내측면)이 좌측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원형으로 노치된 전방 외벽(11RF)으로서 형성되고, 후방측은 우측면(외측면)이 우측방으로부터 보아 대략 원형으로 노치된 후 내벽(11RR)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 외벽(11RF)과 후방 내벽(11RR) 사이가 본체부(11RB)로서 형성되어 있고, 본체부(11RB)는 내측의 전방면에 내면 단차(11R1a)와, 외측의 후방면에 외면 단차(11R1b)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 외벽(11RF)과 후방 내벽(11RR)의 두께는 동일하고, 우측벽(11R)의 본체부(11RB)의 두께의 반분 정도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외벽(11RF)의 우측면(외측면)은 본체부(11RB)의 우측면(외측면)과 동일 평면이 되고, 후방 내벽(11RR)의 좌측면(내측면)은 본체부(11RB)의 좌측면(내측면)과 동일 평면으로 되어 있다. 전방 외벽(11RF)의 중앙부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원구멍(11R2)이 설치되고, 후방 내벽(11RR)의 중앙부에는 우측방향(외측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는 원통 형상의 원통 돌기(11R3)가 설치되어 있다. 단위 부재(10A)의 원통 돌기(11R3)는 단위 부재(10B)의 원구멍(11R2)에 회동 가능하게 감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전방 외벽(11RF)의 좌측면에는 전단에 원호 형상의 노치부(11R4)와, 노치부(11R4)로부터 원구멍(11R2)에 걸쳐서 연장되는 좌측(내측)으로 개구되는 연결홈(11R5)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홈(11R5)의 깊이는 노치부(11R4)로부터 원구멍(11R2)을 향함에 따라 점차 얕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1RB) 전방측의 하단부에는 후술하는 하부벽(13)의 박육(薄肉)부(131b) 사이에서 형성되는 좌측방(내측)으로 개구를 가져 횡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홈(11R6)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홈(11R6)은 후단부가 본체부(11RB)의 전후방향 중앙부에 위치하고, 전단부는 원구멍(11R2)의 약간 후방으로 바닥면이 전방 외벽(11RF)의 좌측면에 일치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딩홈(11R6)의 상단 외주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본체부(11RB)로부터는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덮개부(11R61)가 설치되고 있다. 슬라이딩홈(11R6)에는 단위 부재(10A)와 단위 부재(10B)가 연결되었을 때, 후술하는 하부벽(13)에 설치된 하부벽 박벽부(132)의 우단부가 삽입되어, 단위 부재(10A)와 단위 부재(10B)의 상대 회동에 따라 슬라이딩한다.
다음에, 우측벽(11R)과 좌측벽(11L)에서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벽(11R)의 상부에는 전방 돌기부(11R7)와 후방 돌기부(11R8)가 상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전방 돌기부(11R7)는 후방 돌기부(11R8)보다 상방을 향하여 높게 연장되어 형성됨과 아울러, 전방측에 전하방을 향하여 경사하는 경사면부(11R71)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부(11R71)의 전단부는 그 전후방향의 위치가 원구멍(11R2)의 중심의 전후방향의 위치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후방 돌기부(11R8)의 후방측의 면의 전후방향의 위치는 원통 돌기(11R3)의 중심의 전후방향의 위치보다 약간 전방의 위치로 되어 있다. 후방 돌기부(11R8)의 상면부에는 박육의 힌지부(11R81)가 설치되고, 힌지부(11R81)에 의해 후술하는 상부벽(12)과 연결되어 있다. 단위 부재(10A)와 단위 부재(10B)가 연결되어 상대 회전되었을 때, 후방 돌기부(11R8)의 후방측의 면은 전방 돌기부(11R7)의 경사면부(11R71)에 접촉하여 회동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전방 돌기부(11R7)의 상단부에는 좌측방으로 돌출하는 클로(11R9)가 설치되어 있다. 클로(11R9)의 하면은 후방 돌기부(11R8)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2~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벽(11L)의 상부에는 일체 돌기부(11L7)가 상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일체 돌기부(11L7)의 상방으로의 돌출 높이는 전방 돌기부(11R7)의 돌출 높이와 동일하다. 일체 돌기부(11L7)의 전방측에 전하방을 향하여 경사하는 경사면부(11L71)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부(11L71)의 전단부는 그 전후방향의 위치가 원구멍(11L2)의 중심의 전후방향의 위치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일체 돌기부(11L7)의 후방측의 면의 전후방향의 위치는 원통 돌기(11L3)의 중심의 전후방향의 위치보다 약간 전방의 위치로 되어 있다. 즉, 측면에서 볼 때 우측벽(11R)의 경사면부(11R71)와 좌측벽(11L)의 경사면부(11L71)는 겹쳐져 있고, 우측벽(11R)의 후방 돌기부(P11R8)의 후방측의 면의 전후방향의 위치와 좌측벽(11L)의 일체 돌기부(11L7)의 후방측의 면의 전후방향의 위치와는 일치하고 있다. 단위 부재(10A)와 단위 부재(10B)가 연결되어 상대 회전되었을 때, 일체 돌기부(11L7)의 후방측의 면은 일체 돌기부(11L7)의 경사면부(11L71)에 접촉하여 회동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일체 돌기부(11L7)의 상단부에는 클로(11R9)에 대향하는 위치에 우측방으로 돌출하는 클로(11L9)가 설치되어 있다. 클로(11L9)의 하면의 상하방향의 높이는 클로(11R9)의 하면과 동일하다. 일체 돌기부(11L7)의 후방부에는 좌우로 관통하는 횡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의 로킹 구멍(11L72)이 설치되어 있다. 로킹 구멍(11L72)의 상단부측은 좌우방향으로 비스듬히 노치되어 사면부(11L7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킹 구멍(11L72)의 상부측의 벽에는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돌기(11L72a)가 형성되어 있다. 사면부(11L73)는 후술하는 상부벽(12)을 폐쇄 상태로 할 때에 상부벽(12)의 로킹 클로(123)를 원활하게 로킹 구멍(11L72) 안으로 인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돌기(11L72a)는 로킹 구멍(11L72) 안으로 들어간 로킹 클로(123)가 용이하게 빠져나오지 않도록 로킹 클로(123)의 구멍(123a)에 맞물려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벽(12)은 상부벽 본체부(121)와, 상부벽 박벽부(122)를 구비한다. 상부벽 본체부(121)는 좌우방향의 길이가 우측벽(11R)의 우측면으로부터 좌측벽(11L)의 우측면까지의 길이로, 전후방향의 길이가 후방 돌기부(11R8)의 후방면으로부터 클로(11R9)의 전단부까지의 길이 정도이다. 상부벽 본체부(121)는 전후방향의 길이가 후방 돌기부(11R8)의 전후방향의 길이에 거의 동일한 후육(厚肉)부(121a)와, 전후방향의 길이가 클로(11R9)의 전후방향의 길이에 거의 동일한 박육부(121b)와, 후육부(121a)와 박육부(121b)를 연결하는 경사부(121c)를 갖는다. 박육부(121b)의 두께는 후육부(121a)의 두께의 1/2 정도이고, 박육부(121b)의 좌우방향의 길이는 후육부(121a)의 좌우방향의 길이보다 짧다. 이것은 도 3에 나타내는 개방 상태로부터 도 2에 나타내는 폐쇄 상태로 하는 과정에서 전방 돌기부(11R7)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도 3에 나타내는 개방 상태에 있어서, 후육부(121a)의 좌측면의 하단부는 힌지부(11R81)에 의해 우측벽(11R)의 후방 돌기부(11R8)의 우측면의 상부에 연결되어 좌측하방으로 곡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후육부(121a)의 상단부에는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로킹 클로(123)가 설치되어 있다. 로킹 클로(123)의 대략 중앙부에는 우측으로 개구하는 구멍(123a)이 설치되어 있다. 로킹 클로(123)는 상부벽(12)을 도 2에 나타내는 폐쇄 상태로 했을 때, 좌측벽(11L)의 로킹 구멍(11L72)에 맞물리고, 돌기(11L72a)가 구멍(123a)에 맞물린다. 상부벽 본체부(121)의 후육부(121a)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상부벽 박벽부(122)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상부벽 박벽부(122)의 전후방향의 길이는 상부벽 본체부(121)의 전후방향의 길이(후육부(121a)의 후단으로부터 박육부(121b)의 전단에 걸친 길이)와 거의 동일하다. 또한, 상부벽 박벽부(122)의 두께는 상부벽 본체부(121)의 전방측의 후육부(121a)의 두께의 1/4 정도이다. 이것에 의해, 상부벽 박벽부(122)는 가요성이 우수하여 용이하게 면외방향으로 변형한다. 상부벽 박벽부(122)의 상면과 상부벽 본체부(121)의 상면은 동일 평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폐쇄 상태에 있어서, 클로(11R9)의 하면과 상부벽 본체부(121)의 박육부(121b)의 상면 사이 및 클로(11L9)의 하면과 상부벽 본체부(121)의 박육부(121b)의 상면 사이에는 이웃하는 단위 부재(10)의 상부벽 박벽부(122)의 좌우 단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감(遊嵌)하는 간격이 형성된다. 즉,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위 부재(10B)와 단위 부재(10A)가 연결될 때, 단위 부재(10B)의 이 간극 안에 이웃하는 단위 부재(10A)의 상부벽 박벽부(122)가 삽입된다.
도 2~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벽(13)은 하부벽 본체부(131)와 하부벽 박벽부(132)를 구비한다. 하부벽 본체부(131)는 전단부가 원구멍(11R2) 및 원구멍(11L2)의 중심 위치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후단부가 원통 돌기(11R3) 및 원통돌기(11L3)의 중심축 위치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하부벽 본체부(131)는 전후방향의 길이가 하부벽 본체부(131)의 전후방향의 길이의 1/3 정도인 후육부(131a)와, 전후방향의 길이가 하부벽 본체부(131)의 전후방향의 길이의 1/2 정도인 박육부(131b)와, 후육부(131a)와 박육부(131b)를 연결하는 경사부(131c)를 갖는다. 박육부(131b)의 두께는 후육부(121a)의 두께 정도이고, 후육부(131a)의 두께는 박육부(131b)의 두께의 2배 정도이다. 후육부(131a)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후육부(131a)의 하면과 평행하게 하부벽 박벽부(132)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벽 박벽부(132)의 하면의 높이는 박육부(131b)의 상면보다 조금 상방의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하부벽 박벽부(132)의 두께는 상부벽 박벽부(122)와 같은 정도이고, 전후방향의 길이는 박육부(131b)의 전후방향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다. 이것에 의해, 하부벽 박벽부(132)는 가요성이 우수하여 용이하게 면외방향으로 변형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위 부재(10B)와 단위 부재(10A)가 연결될 때, 후방측의 단위 부재(10B)의 우측벽(11R)의 슬라이딩홈(11R6)(도 4 참조)과 좌측벽(11L)의 슬라이딩홈(11L6) 중에, 전방측의 단위 부재(10A)의 하부벽 박벽부(132)의 좌우 단부가 삽입된다.
단위 부재(10A)와 단위 부재(10B)가 연결되어 신장 상태로부터 굴곡 상태에 이르는 상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단위 부재(10A)와 단위 부재(10B)가 연결되어 케이블 체인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똑바로 신장된 신장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7에, 단위 부재(10A)와 단위 부재(10B)가 연결되어 상대적으로 최대 각도 굴곡된 최대 굴곡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장 상태에 있어서, 단위 부재(10A)의 상부벽 박벽부(122)의 후단은 단위 부재(10B)의 상부벽 본체부(121)의 박육부(121b)와 클로(11R9) 사이, 및 상부벽 본체부(121)의 박육부(121b)와 클로(11L9) 사이에 위치하고, 상부벽 본체부(121)의 박육부(121b)와 겹쳐져 있다. 이것에 의해, 단위 부재(10A)와 단위 부재(10B)의 상부는 단위 부재(10A)의 상부벽(12)과 단위 부재(10B)의 상부벽(12)에 의해 간극없이 덮여져 있다. 또한, 단위 부재(10A)의 하부벽 본체부(131)의 후단부와 단위 부재(10B)의 하부벽 본체부(131)의 전단부는 접촉함과 아울러, 단위 부재(10A)의 하부벽 박벽부(132)의 후단부측은 단위 부재(10B)의 좌우의 슬라이딩홈(11R6)과 슬라이딩홈(11L6)에 삽입되어 하부벽 본체부(131)의 박육부(131b)와 겹쳐져 있다. 이것에 의해, 단위 부재(10A)와 단위 부재(10B)의 하부는 단위 부재(10A)의 하부벽(13)과 단위 부재(10B)의 하부벽(13)에 의해 간극없이 덮여져 있다. 또한, 단위 부재(10A)의 후방 내벽(11RR)과 단위 부재(10B)의 전방 외벽(11RF)은 밀착되고, 마찬가지로, 단위 부재(10A)의 후방 내벽(11LR)과 단위 부재(10B)의 전방 외벽(11LF)은 밀착되어 있다(도 6 참조). 이것에 의해, 단위 부재(10A)와 단위 부재(10B)의 측부는 단위 부재(10A)의 우측벽(11R) 및 좌측벽(11L)과, 단위 부재(10B)의 우측벽(11R) 및 좌측벽(11L)에 의해서 간극없이 덮여져 있다. 또한, 단위 부재(10A)와 단위 부재(10B)의 전후방향으로 다른 단위 부재가 마찬가지로 연결됨으로써 케이블 체인(1)이 구성된다. 즉, 케이블 체인(1)은 상하 양면 및 양쪽 측면을 높은 폐쇄도로 폐쇄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블류(2)의 일부가 내부 공간 이외로 밀려나와 손상을 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굴곡 상태에 있어서, 단위 부재(10A)의 상부벽 박벽부(122)의 후단은 단위 부재(10B)의 상부벽 본체부(121)의 후육부(121a)의 후단부 근방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부벽 박벽부(122)의 전단은 상면을 클로(11R9) 및 클로(11L9)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압박되어, 상부벽 박벽부(122)의 하면이 상부벽 본체부(121)의 후육부(121a)의 상면에 겹쳐져 있다. 이것에 의해, 단위 부재(10A)와 단위 부재(10B)의 상부는 단위 부재(10A)의 상부벽(12)과 단위 부재(108)의 상부벽(12)에 의해 간극없이 덮여져 있다. 또한, 단위 부재(10A)의 하부벽 본체부(131)의 후단부와 단위 부재(10B)의 하부벽 본체부(131)의 전단부는 격리함과 아울러, 단위 부재(10A)의 하부벽 박벽부(132)의 후단부측은 단위 부재(10B)의 좌우 단부는 슬라이딩홈(11R6)과 슬라이딩홈(11L6)의 전단부에 위치하여 하부벽 본체부(131)의 박육부(131b)의 전단부측과 겹쳐져 있다. 이것에 의해, 단위 부재(10A)와 단위 부재(10B)의 하부는 단위 부재(10A)의 하부벽(13)과 단위 부재(10B)의 하부벽(13)에 의해 간극없이 덮여져 있다. 또한, 단위 부재(10A)의 후방 내벽(11RR)과 단위 부재(10B)의 전방 외벽(11RF)은 밀착되고, 마찬가지로, 단위 부재(10A)의 후방 내벽(11LR)과 단위 부재(10B) 전방 외벽(11LF)은 밀착되어 있다(도 6 참조). 이것에 의해, 단위 부재(10A)와 단위 부재(10B)의 측부는 단위 부재(10A)의 우측벽(11R) 및 좌측벽(11L)과, 단위 부재(10B)의 우측벽(11R) 및 좌측벽(11L)에 의해 간극없이 덮여져 있다. 즉, 최대 굴곡 상태에 있어서도, 케이블 체인(1)은 상하 양면 및 양쪽 측면을 높은 폐쇄도로 폐쇄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블류(2)의 일부가 내부 공간 이외로 밀려나와 손상을 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5에 있어서의 신장 상태에 있어서도, 도 7에 있어서의 최대 굴곡 상태에 있어서도, 케이블 체인(1)은 그 내부를 높은 폐쇄도로 폐쇄하고 있고, 이들 상태 사이의 굴곡의 전체 과정에서 항상 내부를 높은 폐쇄도로 폐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단위 부재(1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단위 부재(10)를 얻기 위해서, 복수의 부재를 조립하는 시간을 요구하지 않고 조립이 간편하다. 그리고, 케이블 체인(1)은 그 길이를 연결하는 단위 부재(10)의 수를 바꾸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단위 부재(10A)는 상부벽(12)에 케이블 체인(1)이 연장되는 방향의 일방향인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부벽 박벽부(122)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벽 박벽부(122)의 후방을 향하는 길이는 단위 부재(10A)와 단위 부재(10B)의 상대 회동의 과정에서 항상 인접하는 단위 부재(10B)의 상부벽(12)의 상부벽 본체부(121)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길이로 되어 있다. 또한, 상부벽 박벽부(122)의 「인접하는 단위 부재(10B)의 상부벽 본체부(121)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겹친다」란 상부(상부벽 박벽부(122)에 수직한 방향)에서 보아 상부벽 박벽부(122)의 일부와 인접하는 단위 부재(10B)의 상부벽 본체부(121)가 겹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은 당연하고, 상부벽 박벽부(122)의 단부와 인접하는 단위 부재(10B)의 상부벽 본체부(121)의 단부가 일치한 상태가 되는 것도 포함한다. 따라서, 단위 부재(10A)와 단위 부재(10B) 사이는 상대 회동의 과정에서 항상 상부벽(12)의 상부벽 본체부(121)와 상부벽 박벽부(122)에 의해 상측이 폐쇄되어 있다. 또한, 단위 부재(10A)는 하부벽(13)에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하부벽 박벽부(132)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벽 박벽부(132)의 후방을 향하는 길이는 단위 부재(10A)와 단위 부재(10B)의 상대 회동의 과정에서 항상 인접하는 단위 부재(10B)의 하부벽 본체부(131)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길이로 되어 있다. 따라서, 단위 부재(10A)와 단위 부재(10B) 사이는 상대 회동의 과정에서 항상 하부벽(13)의 하부벽 본체부(131)와 하부벽 박벽부(132)에 의해 하측이 폐쇄되어 있다. 또한, 단위 부재(10A)와 단위 부재(10B)는 우측벽(11R)끼리 및 좌측벽(11L)까리가 부분적으로 겹쳐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양쪽 측면측에 있어서도 높은 폐쇄도로 폐쇄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블 체인(1)은 굴곡의 전체 과정에서 상측, 하측 및 좌우 양측에서 높은 폐쇄도로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류(2)의 일부가 내부 공간 이외로 밀려나와 손상을 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방측(타방향측)에 인접하는 단위 부재(10A)의 하부벽 박벽부(132)는 후방측의 단위 부재(10B)의 한 쌍의 측벽(11R, 11L)과 하부벽 본체부(131)의 연결부를 따라, 내측에 개구를 구비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홈(11R6, 11L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된다. 이 때문에, 하부벽 박벽부(132)는 굴곡의 전체 과정에서 면외 방향으로 변형하는 것이 억제되고, 안정하여 하측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측벽(11R, 11L)이 갖는 한 쌍의 클로(11R9, 11L9)는 상부벽 본체부(121)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에, 인접하는 단위 부재(10B)의 상부벽 박벽부(122)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에서 유지한다. 이 때문에, 상부벽(12)의 상부벽 박벽부(122)는 면외방향으로 변형하는 것이 억제되고, 안정하여 상측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단위 부재(10)는 가요성이 높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벽 박벽부(122) 및 하부벽 박벽부(132)의 높은 가요성이 확보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벽 박벽부(122)는 상부벽 본체부(121)와 클로(11R9) 및 클로(11L9) 사이에서, 하부벽 박벽부(132)는 슬라이딩홈(11R6) 및 슬라이딩홈(11L6) 사이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함과 아울러, 용이하게 굴곡하므로 단위 부재(10A)와 단위 부재(10B) 사이의 상대 회동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케이블 체인(1)이 케이블류(2)의 굴곡에 추종하여 원활하게 굴곡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의 일부를 변경할 수 있고, 그와 같이 변경한 형태를 다른 실시형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변경을 적당히 조합시킨 형태도 다른 실시형태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위 부재(10)가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단위 부재(10)는 가요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단위 부재(10)를 형성하는 재질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수지나, 폴리아미드 수지나, 엘라스토머이어도 좋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실시형태의 원통 돌기(11R3)는 우측방으로 돌출한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원기둥 형상이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부벽 박벽부(122)와 하부벽 박벽부(132)는 함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연장되는 방향이 동일한 방향이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벽 박벽부(122)와 하부벽 박벽부(132)가 연장되는 방향은 역방향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를 사용하여 설명했지만, 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고 많은 교대, 개량, 변경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첨부된 청구항의 정신과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모든 교대, 개량,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3)

  1. 내부에 케이블류를 굴곡 가능하게 유지하는 케이블 체인으로서,
    복수의 단위 부재를 갖고,
    상기 단위 부재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대향하는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의 상부끼리 사이를 폐쇄 가능한 상부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벽이 수지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웃하는 상기 단위 부재는 상기 제 1 측벽끼리 및 상기 제 2 측벽끼리가 부분적으로 겹쳐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상부벽은 상부벽 본체부와 상부벽 박벽부를 갖고,
    상기 상부벽 본체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 1 측벽의 상부에 대하여, 상기 상부벽 본체부보다 박육으로 형성된 힌지를 통해서 곡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 2 측벽의 상부에 대하여 로킹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벽 박벽부는 가요성이 있고, 상기 상부벽 본체부의 상기 타단부가 상기 제 2 측벽의 상부에 대하여 로킹된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 본체부로부터 상기 케이블 체인이 연장되는 방향의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상부벽 박벽부의 상기 일방향의 길이는 이웃하는 상기 단위 부재의 상대 회동의 과정에서 항상 인접하는 상기 단위 부재의 상기 상부벽 본체부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길이이고,
    이웃하는 상기 단위 부재의 상대 회동의 과정에서 상기 상부벽 박벽부가 인접하는 상기 단위 부재의 상기 상부벽 본체부의 상면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하부벽은 하부벽 본체부와 하부벽 박벽부를 갖고,
    상기 하부벽 본체부는 상기 한 쌍의 측벽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부벽 박벽부는 가요성이 있고, 상기 하부벽 본체부로부터 상기 상부벽 박벽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하부벽 박벽부의 상기 일방향의 길이는 이웃하는 상기 단위 부재의 상대 회동의 과정에서 항상 인접하는 상기 단위 부재의 상기 하부벽 본체부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길이로 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측벽은 상기 하부벽 본체부와의 연결부를 따라 내측으로 개구되고, 상기 하부벽 본체부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인접하는 상기 단위 부재의 상기 하부벽 박벽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 가능한, 한 쌍의 홈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측벽은 상기 상부벽 본체부가 상기 폐쇄 상태에 있을 때에, 인접하는 상기 단위 부재의 상기 상부벽 박벽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에서 유지 가능하고, 상기 상부벽 본체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간한 위치에서 내측에 대향하는, 한 쌍의 클로를 갖는 케이블 체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부재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 체인.
  3. 삭제
KR1020187032023A 2017-10-17 2018-06-01 케이블 체인 KR102150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00960A JP6474875B1 (ja) 2017-10-17 2017-10-17 ケーブルチェーン
JPJP-P-2017-200960 2017-10-17
PCT/JP2018/021183 WO2019077795A1 (ja) 2017-10-17 2018-06-01 ケーブルチェー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738A KR20190050738A (ko) 2019-05-13
KR102150293B1 true KR102150293B1 (ko) 2020-09-01

Family

ID=65516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023A KR102150293B1 (ko) 2017-10-17 2018-06-01 케이블 체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74875B1 (ko)
KR (1) KR102150293B1 (ko)
CN (1) CN109937315B (ko)
WO (1) WO20190777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064B1 (ko) * 2020-01-15 2023-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6947A (ja) 2004-03-11 2005-09-22 Tsubakimoto Chain Co 低騒音型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2007536480A (ja) * 2004-05-05 2007-12-13 カーベルシュレップ ゲーエムベーハー 伝動チェーン用チェーンリンク、及び拡大有効断面を有する伝動チェーン
JP2016144302A (ja) * 2015-02-02 2016-08-08 住友電装株式会社 ケーブル保護具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6146A (ja) * 1989-01-09 1990-07-20 Oriental Chain Kogyo Kk 閉鎖形ケーブル支持チェーン
US5836148A (en) * 1996-02-06 1998-11-17 Kunimorikagaku Ltd. Cable chain
JP3585015B2 (ja) * 1996-04-05 2004-11-04 株式会社国盛化学 ケーブルチェーン
JP3716985B2 (ja) * 2002-11-05 2005-11-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支持案内装置
JP3897352B2 (ja) * 2004-04-30 2007-03-2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137117B2 (ja) * 2005-12-27 2008-08-2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6947A (ja) 2004-03-11 2005-09-22 Tsubakimoto Chain Co 低騒音型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2007536480A (ja) * 2004-05-05 2007-12-13 カーベルシュレップ ゲーエムベーハー 伝動チェーン用チェーンリンク、及び拡大有効断面を有する伝動チェーン
JP2016144302A (ja) * 2015-02-02 2016-08-08 住友電装株式会社 ケーブル保護具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77795A1 (ja) 2019-04-25
JP6474875B1 (ja) 2019-02-27
CN109937315A (zh) 2019-06-25
CN109937315B (zh) 2021-01-26
JP2019074153A (ja) 2019-05-16
KR20190050738A (ko) 201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50196B2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コネクタ
JP5189941B2 (ja) コネクタ
US7297871B2 (en) Electric supply apparatus
EP2495826B1 (en) Connector
JP6046571B2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20080009631A (ko) 접어구부림 조립식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US9819112B2 (en) Retaining block and modular plug insert
JP6050197B2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コネクタ
US10153582B2 (en) Wire cover for connector
US20160197461A1 (en) Wire harness and connector
JP6769354B2 (ja) 端子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
JP7011532B2 (ja) ダミーピン
US20080257600A1 (en) Wire Harness Leading-Out Port Structure of Electric Connection Box
WO2015019842A1 (ja) コネクタ
KR102150293B1 (ko) 케이블 체인
JP2010007807A (ja) 屈曲性外装部品
JP6899812B2 (ja) 連結具、及び、ワイヤハーネス
US7013630B2 (en) 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JP2017073300A (ja) コネクタ
JP2017073301A (ja) コネクタ
JP4062097B2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用カバー付コネクタ
US10493929B2 (en) Cable guide attachment structure
JP4636072B2 (ja) コネクタ
JP5673383B2 (ja) ゴム栓
JP2017224473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