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064B1 -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 - Google Patents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064B1
KR102600064B1 KR1020200005537A KR20200005537A KR102600064B1 KR 102600064 B1 KR102600064 B1 KR 102600064B1 KR 1020200005537 A KR1020200005537 A KR 1020200005537A KR 20200005537 A KR20200005537 A KR 20200005537A KR 102600064 B1 KR102600064 B1 KR 102600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control
passage member
flow path
control pass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2047A (ko
Inventor
박정연
김창규
윤지현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5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064B1/ko
Priority to EP21740764.2A priority patent/EP4092182A4/en
Priority to PCT/KR2021/000149 priority patent/WO2021145602A1/ko
Priority to CN202180009525.XA priority patent/CN114945719A/zh
Priority to US17/793,176 priority patent/US20230056925A1/en
Publication of KR20210092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26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spray heads moved along a closed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8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 B05B7/168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involving vaporisation of the material to be sprayed or of an atomising-fluid-generating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with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veral discharge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부(100);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열된 유체를 분사하는 이동분사부(200); 및 상기 가열부(100) 및 상기 이동분사부(200)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분사부(200)의 이동에 따라 단위부재(310) 당 특정한 범위의 각도로 굽혀지거나 펴지는 굽힘제어유로부재(300);를 포함하는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10)를 제공한다.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300)를 통해 상기 가열된 유체가 상기 이동분사부(200)에 공급된다.
이에, 본 발명은 이동분사부(200)의 분사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유로부재(300)의 설치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유로부재(300)에서 응결수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유로부재(300)의 내구력 및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FLUID INJECTION DEVICE WITH BEND-CONTROLLED FLOW PATH COMPONENTS}
본 발명은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사장치의 이동에 따라 유로부재가 변형되더라도 유로부재의 굽힘각을 제어하여 유로부재의 내구성 및 결합력이 향상되고 분사장치의 분사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유로부재에서 응결수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의류를 간편하게 처리 또는 관리하는 장치로서, 별도의 세탁과정 없이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거나, 의류의 먼지 또는 냄새를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가진 의류처리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다음과 같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99914호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는 열풍을 발생시키는 열풍발생장치, 상기 스팀발생장치 및 열풍발생장치에서 생성된 스팀 및 열풍 중에 적어도 하나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하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에 고정되는 제1 노즐장치 및 상기 스팀발생장치 및 열풍발생장치에서 생성된 스팀 및 열풍 중에 적어도 하나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하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노즐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스팀/열풍발생장치 및 이동 가능한 분사장치(제2 노즐장치)와 연결되어 스팀/열풍발생장치에서 생성된 스팀/열풍을 이동 가능한 분사장치(제2 노즐장치)에 공급하는 유로부재(예컨대, 호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개시하지 않는다.
이동 가능한 분사장치에 고온/고압의 스팀/열풍을 공급하는 유로부재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스팀/열풍발생장치가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분사장치가 이동하면 스팀/열풍발생장치 및 분사장치 간 연결이 유지되도록 유로부재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동하거나 변형되어야 한다. 수동으로 이동하거나 변형되는 예를 들면, 유로부재가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된 경우에, 분사장치가 이동하면 분사장치와 결합된 유로부재의 단부에는 외력이 작용하여 분사장치와 함께 이동할 수 있고 단부의 이동에 따라 유로부재의 나머지 부분이 굽혀지거나 펴질 수 있다.
분사장치의 이동에 따라 유로부재가 이동하거나 변형되면 유로부재에는 장력, 응력 등의 힘이 작용하여 유로부재가 손상되거나 분사장치 등과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로부재의 단부(유로부재가 분사장치와 연결되는 지점) 또는 굴곡부(유로부재가 변형되어 굽혀지는 지점)에는 힘이 작용하여 유로부재가 손상되거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더욱이, 유로부재에 고온/고압의 스팀/열풍이 흐르는 경우에는 유로부재의 단부 또는 굴곡부 등에는 높은 압력이 가해져서 유로부재가 용이하게 손상되거나 결합 해제될 수 있다.
또한, 분사장치의 이동에 따라 유로부재가 변형되어 유로부재의 형태(예컨대, 굽혀진 형태)가 달라지면 분사장치의 분사압력이 크게 달라질 수 있고 유로부재에서 응결수가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다. 분사장치의 분사압력이 달라지면 예컨대, 의류의 주름이 제대로 펴지지 않거나 의류가 크게 손상될 수 있고, 유로부재에서 응결수가 생성되면 유로가 막힐 수 있고 응결수가 분사되어 예컨대, 의류가 크게 손상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11-0099914(2011.09.09.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로부재의 굽힘각을 제어하여 분사장치의 이동에 따라 유로부재가 변형되더라도 유로부재의 내구성 및 결합력이 향상되고 분사장치의 분사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유로부재에서 응결수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로부재의 설치공간이 최소화되는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로부재가 단순하고 일정한 형태로 안정적으로 변형되는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로부재에서 직선구간이 최대화되는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유로부재의 굽힘각을 제어하는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성능이 향상되는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로부재(300)의 특정한 부분이 집중적으로 굽혀져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로부재에서 응결수가 생성되더라도 응결수에 의해 유로가 막히거나 응결수가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로부재들 간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연결되는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동시에 소음이 저감되는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부(100);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열된 유체를 분사하는 이동분사부(200); 및 상기 가열부(100) 및 상기 이동분사부(200)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분사부(200)의 이동에 따라 단위부재(310) 당 특정한 범위의 각도로 굽혀지거나 펴지는 굽힘제어유로부재(300);를 포함하는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10)를 제공한다.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300)를 통해 상기 가열된 유체가 상기 이동분사부(200)에 공급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단위부재(310) 당 일방향으로 굽혀지는 최대각도가 타방향으로 굽혀지는 최대각도보다 더 크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300)는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만 굽혀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300)는 일측에서 굽혀져 일부분이 뒤집어지고 상기 뒤집어진 일부분의 단부가 상기 이동분사부(200)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분사부(200)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300)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300)는 일측에서 굽혀져 일부분이 상하로 뒤집어지고 상기 뒤집어진 일부분은 타부분보다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일부분의 단부는 상기 이동분사부(200)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일부분을 펼치면 일부분이 상기 일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기울어지거나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단부가 상기 이동분사부(200)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분사부(200)는 상기 일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기울어지거나 수평을 이루는 기울기로 돌출된 돌출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부는 상기 돌출부(220)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10)는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하단에 배치되어 굽힘제어유로부재(300)를 지지하는 지지부(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600)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6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상기 지지대(610)의 상부단면은 유선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10)는 일단부가 상기 이동분사부(200)에 결합되는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일단부에 반대되는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타단부와 연통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열부(100)와 연결되는 제2유로부재(40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유로부재(400)의 적어도 일부분이 고정되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유로부재(400),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300) 및 상기 이동분사부(200)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2유로부재(400),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300) 및 상기 이동분사부(200)는 서로 연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10)는 일단부가 상기 복수 개의 제2유로부재(400)의 타단부와 연통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열부(100)와 연결되는 제3유로부재(50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300)는 단위체인(310a) 당 특정한 범위의 각도로 굽혀지는 체인 및 상기 체인의 굽힘에 추종하도록 체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체인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플레서블(flexible)한 제1유로부재(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유로부재(350)는 상기 체인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체인의 외부가 단열재로 피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열부(100) 및 이동분사부(200)와 연결되는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이동분사부(200)의 이동에 따라 단위부재(310) 당 특정한 범위의 각도로 굽혀지거나 펴질 수 있다. 따라서, 유로부재(300)가 임의의 형태가 아니라 일정한 형태로 굽혀지게 되므로, 이동분사부(200)의 분사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유로부재(300)의 이동/변형공간이 일정하여 유로부재(300)의 설치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유로부재(300)가 단순한 형태로 굽혀지게 되므로, 유로부재(300)에서 응결수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응결수에 의해 유로가 막히거나 응결수가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로부재(300)가 단순한 형태로 완만하게 굽혀지게 되므로, 고온/고압의 유체가 흐르더라도 압력증가로 인한 유로부재(300)의 손상 또는 이동분사부(200) 등과의 결합해제가 억제되어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유로부재(300)의 내구력 및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단위부재(310) 당 일방향으로 굽혀지는 최대각도가 타방향으로 굽혀지는 최대각도보다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유로부재(300)가 일방향으로 편중되어 굽혀지게 되므로 유로부재(300)가 단순하고 일정한 형태로 안정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일방향으로만 굽혀질 수 있다. 따라서, 유로부재(300)가 더욱 단순하고 일정한 형태로 안정적으로 변형될 뿐만 아니라 유로부재(300)에서 직선구간이 최대화될 수 있으므로, 고온/고압의 유체가 더욱 용이하게 흐를 수 있어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유로부재(300)의 내구력이 향상될 수 있고 이동분사부(200) 등과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일측에서 굽혀져 일부분이 뒤집어지고 뒤집어진 일부분의 단부가 이동분사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유로부재(300)가 굴곡이 최소화되는 단순한 형태로 일정하게 변형되면서 이동분사부(200)와 연결될 수 있고 유로부재(300)의 설치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분사부(200)의 이동에 따라 유로부재(300)에서 굽혀지게 되는 부분이 달라지므로, 유로부재(300)의 특정한 부분이 집중적으로 굽혀져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분사부(200)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측에서 굽혀져 일부분이 상하로 뒤집어지고 뒤집어진 일부분이 타부분보다 상부에 배치되며 뒤집어진 일부분의 단부가 이동분사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유로부재(300)에서 응결수가 생성되더라도 응결수가 상부에 위치하는 이동분사부(200)로 이동하지 못하고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흐르게 되므로, 응결수에 의해 유로가 막히거나 응결수가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일측에서 굽혀져 뒤집어진 일부분의 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뒤집어진 일부분을 펼치면 뒤집어진 일부분이 상기 일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기울어지거나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단부가 이동분사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유로부재(300)에서 응결수가 생성되더라도 응결수가 상부에 위치하는 이동분사부(200)로 이동하지 못하고 중력에 의해 아래로 용이하게 흐르게 되므로, 응결수에 의해 유로가 막히거나 응결수가 분사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동분사부(200)가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일부분이 뒤집어지게 굽혀진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일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기울어지거나 수평을 이루는 기울기로 돌출된 돌출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뒤집어진 일부분의 단부는 상기 돌출부(22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뒤집어진 일부분이 아래로 기울어지거나 수평을 이루는 기울기로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부단면이 유선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지지대(610)가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하단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소음발생을 최소화하면서 굽힘제어유로부재(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굽힘제어유로부재(300)와 연통되는 제2유로부재(4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유체분사장치(10)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유로부재(400)와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가열부(100)와 연결된 유로부재가 굽힘제어유로부재(300)에 직접 연결될 필요 없이 구조가 단순하고 고정설치된 제2유로부재(400)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체인 및 제1유로부재(3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유로부재(350)가 체인에 고정되지 않아서 이동분사부(200)의 이동에 따라 제1유로부재(350)가 움직이더라도, 제1유로부재(350)와 연결된 제2유로부재(350)가 유체분사장치(10)에 고정설치되므로, 가열부(100)와 연결된 유로부재가 제2유로부재(400)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열부(100)와 연결되는 제3유로부재(500)가 유체분사장치(10)에 고정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유로부재(400)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부(100)와 복수 개의 이동분사부(200)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이동분사부(200)가 개별적으로 이동하여 복수 개의 제1유로부재(350)가 개별적으로 움직이더라도 각각의 제1유로부재(350)와 연결된 각각의 제2유로부재(350)가 유체분사장치(10)에 고정설치되므로, 제3유로부재(500)가 복수 개의 제2유로부재(400)와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단위체인(310a) 당 특정한 범위의 각도로 굽혀지는 체인 및 체인의 굽힘에 추종하도록 체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체인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플레서블(flexible)한 제1유로부재(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유로부재의 굽힘각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유로부재(350)가 체인의 내부에 배치되고 체인의 외부가 단열재로 피복될 수 있다. 따라서, 체인과 제1유로부재(35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단열성능이 향상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응결수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유체분사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확대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유체분사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체인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굽힘/회전이 제어되는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반드시 모두 포함되어야만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유체분사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확대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유체분사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10)는 가열부(100), 이동분사부(200), 굽힘제어유로부재(300), 제2유로부재(400) 및 제3유로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열부]
가열부(100)는 굽힘제어유로부재(300)와 연결될 수 있고 굽힘제어유로부재(300)를 통해 이동분사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가열부(100)는 제3유로(500) 및/또는 제2유로(400)와 연결될 수 있고 제3유로(500) 및/또는 제2유로(400) 통해 굽힘제어유로부재(300)와 연결될 수 있다.
가열부(100)는 유체를 가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체는 예를 들면 물 또는 공기에 해당할 수 있다.
[이동분사부]
이동분사부(200)는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 이동분사부(200)는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이동분사부(200)는 도면과 달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이동분사부(200)는 굽힘제어유로부재(300)와 연결될 수 있고 분사구(210, 도 4 및 도 5) 및 돌출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분사구(210)는 굽힘제어유로부재(300)를 통해 공급받은 가열된 유체를 외부로 분사할 수 있다.
돌출부(220)는 특정한 기울기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굽힘제어유로부재(300)와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220)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굽힘제어유로부재]
굽힘제어유로부재(300)는 가열부(100) 및 이동분사부(200)와 연결될 수 있고, 단위부재(310)로 구성될 수 있다.
굽힘제어유로부재(300)는 이동분사부(200)의 이동에 따라 단위부재(310) 당 특정한 범위의 각도로 굽혀지거나 펴질 수 있다. 여기에서 굽혀진다는 것은 단위부재(310)가 회전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굽힘제어유로부재(300)는 도면과 같이, 단위체인(310a, 도 5)으로 구성되는 체인 및 상기 체인의 굽힘에 추종하도록 체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체인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플레서블(flexible)한 제1유로부재(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단위체인(310a)은 단위체인(310a) 당 굽힘각도(회전각도)가 제어될 수 있고, 제1유로부재(350)는 예를 들면, 도면과 같이, 체인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단위부재(310)는 예를 들면, 굽힘각도(회전각도)가 제어되는 단위체인(310a) 및 플레서블(flexible)한 재질로 구성되고 단위체인(310a)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유로부재(350)의 일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위부재(310)가 이처럼 구성된 경우에, 단위부재(310)는 단위체인(310a)에 의해 굽힘각도(회전각도)가 제어되므로 단위체인(310a)의 굽힘/회전 제어방법은 단위부재(310)의 굽힘/회전 제어방법에 해당할 수 있다.
단위부재(310) 또는 단위체인(310a)의 굽힘/회전이 제어되는 방법과 관련하여, 도 6 내지 도 8을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체인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굽힘/회전이 제어되는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체인(310a)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311a, 311b) 및 상기 측면플레이트(311a, 311b)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측면플레이트(311a, 311b)의 하부 가장자리 및 상부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312) 및 상부플레이트(3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측면플레이트(311a, 311b)에는 양측에 결합부(313, 315)가 형성되어 다른 단위체인(310a)의 결합부(313, 315)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측면플레이트(311a, 311b) 일측의 가장자리에 하부단턱(316) 및 상부단턱(318)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두 개의 단위체인(310a)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에, 두 개의 단위체인(310a)이 펼쳐진 상태에서, 왼쪽 단위체인(310a)을 기준으로 오른쪽 단위체인(310a)은 시계방향(도 7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으므로 단위체인(310a)은 굽힘/회전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단위체인(310a)이 펼쳐진 상태에서, 오른쪽 단위체인(310a)의 하부플레이트(312)가 왼쪽 단위체인(310a)의 하부단턱(316)에 걸리게 되어 오른쪽 단위체인(310a)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도 8을 참조하면, 두 개의 단위체인(310a)이 펼쳐진 상태에서, 왼쪽 단위체인(310a)을 기준으로 오른쪽 단위체인(310a)은 반시계방향(도 8의 화살표방향)으로 특정한 범위의 각도로만 회전할 수 있으므로 단위체인(310a)은 굽힘/회전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단위체인(310a)이 펼쳐진 상태에서, 오른쪽 단위체인(310a)은 오른쪽 단위체인(310a)의 상부플레이트(314)가 왼쪽 단위체인(310a)의 상부단턱(318)에 걸리게 될 때까지 반시계방향으로 특정한 각도(최대각도)까지 회전할 수 있다. 즉, 오른쪽 단위체인(310a)은 특정한 범위의 각도(최대각도 이하의 각도)로만 회전할 수 있다.
이 때에, 최대각도는 10도 내지 40도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위체인(310a) 또는 단위부재(310) 당 최대회전(굽힘)각도를 10도 내지 40도로 설정함으로써, 단위부재(310)로 구성된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곡률이 충분히 작아져서 고온/고압의 가열된 유체가 용이하게 흐를 수 있으므로 유로부재의 압력증가로 인한 유로부재의 손상 또는 이동분사부(200) 등과의 결합해제가 억제되어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내구력 및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하부/상부플레이트(312, 314) 또는 하부/상부단턱(316, 318)의 위치 또는 형태를 변경하면 단위체인(310a)이 회전가능한 최대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부단턱(312)이 형성된 위치 및 하부플레이트(316)가 설치된 위치를 상부단턱(314) 및 상부플레이트(318)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로 변경하면, 두 개의 단위체인(310a)이 펼쳐진 상태에서, 오른쪽 단위체인(310a)은 도 7과 달리, 시계방향으로도 특정한 범위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다만, 단위체인(310a)의 굽힘/회전각도를 제어하는 방법은 도 6 내지 도 8에서 살펴본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턱은 측면플레이트(311a, 311b) 일측 가장자리 외의 다른 위치(예컨대, 결합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단턱 외의 다른 구성 또는 다른 방법으로 굽힘/회전이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단위체인(310a)을 포함하는 단위부재(310) 복수 개가 결합되어 구성된 굽힘제어유로부재(300)에 대해 살펴본다.
도 6 내지 도 8의 단위체인(310a)을 포함하는 단위부재(310)가 결합되어 구성된 굽힘제어유로부재(300)는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일방향(반시계방향)으로만 굽혀질 수 있다. 또한, 일방향(시계방향)으로 굽혀질 때에 단위부재(310) 당 특정한 범위 내의 각도로 굽혀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부/상부플레이트(312, 314) 또는 하부/상부단턱(316, 318)의 위치 또는 형태를 변경하면, 단위부재(310)가 결합되어 구성된 굽힘제어유로부재(300)는 도 6 내지 도 8과 달리,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양방향(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다. 또한, 양방향으로 굽혀질 때에 양방향에 대해 각각 단위부재(310) 당 특정한 범위 내의 각도로 굽혀질 수 있다.
또한, 굽힘제어유로부재(300)는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단위부재(310) 당 일방향으로 굽혀지는 최대각도가 타방향으로 굽혀지는 최대각도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열부(100) 및 이동분사부(200)와 연결되는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이동분사부(200)의 이동에 따라 단위부재(310) 당 특정한 범위의 각도로 굽혀지거나 펴짐으로써, 유로부재(300)가 임의의 형태가 아니라 일정한 형태로 굽혀지게 되므로, 이동분사부(200)의 분사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유로부재(300)의 이동/변형공간이 일정하여 유로부재(300)의 설치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유로부재(300)가 단순한 형태로 굽혀지게 되므로, 유로부재(300)에서 응결수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응결수에 의해 유로가 막히거나 응결수가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로부재(300)가 단순한 형태로 완만하게 굽혀지게 되므로, 고온/고압의 유체가 흐르더라도 압력증가로 인한 유로부재(300)의 손상 또는 이동분사부(200) 등과의 결합해제가 억제되어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유로부재(300)의 내구력 및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단위부재(310) 당 일방향으로 굽혀지는 최대각도가 타방향으로 굽혀지는 최대각도보다 더 큼으로써, 유로부재(300)가 일방향으로 편중되어 굽혀지게 되므로 유로부재(300)가 단순하고 일정한 형태로 안정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분사부(200)의 분사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유로부재(300)의 이동/변형공간이 일정하여 유로부재(300)의 설치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유로부재(300)에서 응결수가 생성되는 것이 방지되어 응결수에 의해 유로가 막히거나 응결수가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온/고압의 유체가 흐르더라도 압력증가로 인한 유로부재(300)의 손상 또는 이동분사부(200) 등과의 결합해제가 억제되어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유로부재(300)의 내구력 및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일방향으로만 굽혀짐으로써, 유로부재(300)가 더욱 단순하고 일정한 형태로 안정적으로 변형될 뿐만 아니라 유로부재(300)에서 직선구간이 최대화될 수 있으므로, 고온/고압의 유체가 더욱 용이하게 흐를 수 있어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유로부재(300)의 내구력이 향상될 수 있고 이동분사부(200) 등과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단위체인(310a) 당 특정한 범위의 각도로 굽혀지는 체인 및 체인의 굽힘에 추종하도록 체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체인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플레서블(flexible)한 제1유로부재(35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유로부재의 굽힘각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유로부재(350)는 체인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체인의 외부가 직물 등의 단열재로 피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유로부재(350)가 체인의 내부에 배치되고 체인의 외부가 단열재로 피복됨으로써, 체인과 제1유로부재(35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단열성능이 향상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응결수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체인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자중을 줄일 수 있다.
한편, 굽힘제어유로부재(300)는 상술한 체인 및 제1유로부재(3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굽힘제어유로부재(300)는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단위구조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위구조체는 다른 단위구조체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부분에 단차가 형성되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구조체가 다른 단위구조체와 결합되면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이 서로 연통될 수 있고 관통공을 통해 가열된 유체가 흐를 수 있다.
굽힘제어유로부재(300)는 일측에서 굽혀져 일부분이 뒤집어지고 뒤집어진 일부분의 단부가 이동분사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일측에서 굽혀져 일부분이 뒤집어지고 뒤집어진 일부분의 단부가 이동분사부(200)에 결합됨으로써, 유로부재(300)가 굴곡이 최소화되는 단순한 형태로 일정하게 변형되면서 이동분사부(200)와 연결될 수 있고 유로부재(300)의 설치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분사부(200)의 이동에 따라 유로부재(300)에서 굽혀지게 되는 부분이 달라지므로, 유로부재(300)의 특정한 부분이 집중적으로 굽혀져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굽힘제어유로부재(300)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분사부(200)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일측에서 굽혀져 일부분이 상하로 뒤집어질 수 있고 뒤집어진 일부분은 타부분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뒤집어진 일부분의 단부는 이동분사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분사부(200)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측에서 굽혀져 일부분이 상하로 뒤집어지고 뒤집어진 일부분이 타부분보다 상부에 배치되며 뒤집어진 일부분의 단부가 이동분사부(200)에 결합됨으로써, 유로부재(300)에서 응결수가 생성되더라도 응결수가 상부에 위치하는 이동분사부(200)로 이동하지 못하고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흐르게 되므로, 응결수에 의해 유로가 막히거나 응결수가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유로부재(300)가 굴곡이 최소화되는 단순한 형태로 일정하게 변형되면서 이동분사부(200)와 연결될 수 있고 설치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유로부재(300)의 특정한 부분이 집중적으로 굽혀져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일측에서 굽혀져 뒤집어진 일부분의 단부(이동분사부와 결합된 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뒤집어진 일부분을 펼치면 뒤집어진 일부분이 상기 일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기울어지거나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단부가 이동분사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일측에서 굽혀져 뒤집어진 일부분의 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뒤집어진 일부분을 펼치면 뒤집어진 일부분이 상기 일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기울어지거나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단부가 이동분사부(200)에 결합됨으로써, 유로부재(300)에서 응결수가 생성되더라도 응결수가 상부에 위치하는 이동분사부(200)로 이동하지 못하고 중력에 의해 아래로 용이하게 흐르게 되므로, 응결수에 의해 유로가 막히거나 응결수가 분사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때에, 이동분사부(200)는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상기 굽혀진 일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기울어지거나 수평을 이루는 기울기로 돌출된 돌출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단부(굽힘제어유로부재의 일측에서 굽혀져서 뒤집어진 일부분의 단부)는 상기 돌출부(2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분사부(200)가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일부분이 뒤집어지게 굽혀진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일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기울어지거나 수평을 이루는 기울기로 돌출된 돌출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뒤집어진 일부분의 단부는 상기 돌출부(22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뒤집어진 일부분이 아래로 기울어지거나 수평을 이루는 기울기로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로부재(300)에서 응결수가 생성되더라도 응결수가 상부에 위치하는 이동분사부(200)로 이동하지 못하고 중력에 의해 아래로 용이하게 흐르게 되므로, 응결수에 의해 유로가 막히거나 응결수가 분사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굽힘제어유로부재(300)는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굽힘제어유로부재(300)는 도면과 달리,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더라도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일측에서 굽혀져 일부분이 전후방향으로 뒤집어질 수도 있다. 다만,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기 위해서는 이동분사부(200)가 상하로 이동해야 할 수 있다.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타단부는 타단부와 결합되는 브래킷(700, 도 5)을 통해 유체분사장치(1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타단부는 이동분사부(200)에 결합되는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일단부의 반대편 단부를 의미할 수 있다.
굽힘제어유로부재(300)는 가열부(100)에서 공급된 가열된 유체를 이동분사부(200)에 공급할 수 있다.
[제2유로부재]
제2유로부재(400)는 일단부가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타단부와 연통될 수 있고, 타단부가 가열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타단부는 이동분사부(200)에 결합되는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일단부에 반대되는 단부를 의미할 수 있다.
도면과 같이,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체인 및 제1유로부재(3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경우에는, 제2유로부재(400)는 제1유로부재(350)와 연통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유로부재(400)의 적어도 일부분은 유체분사장치(10)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2유로부재(400)는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타단부와 연통되어 결합되는 결합지점 주변에서 유체분사장치(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굽힘제어유로부재(300)와 연통되는 제2유로부재(4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유체분사장치(10)에 고정되어 설치됨으로써, 제2유로부재(400)와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가열부(100)와 연결된 유로부재가 굽힘제어유로부재(300)에 직접 연결될 필요 없이 구조가 단순하고 고정설치된 제2유로부재(400)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유로부재들 간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체인 및 제1유로부재(3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유로부재(350)가 체인에 고정되지 않아서 이동분사부(200)의 이동에 따라 제1유로부재(350)가 움직이더라도 제1유로부재(350)와 연결된 제2유로부재(350)가 유체분사장치(10)에 고정설치되므로, 가열부(100)와 연결된 유로부재가 제2유로부재(400)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유로부재(400)는 가열부(100)에서 공급된 가열된 유체를 굽힘제어유로부재(300)에 공급할 수 있다.
[제3유로부재]
제3유로부재(500)는 일단부가 복수 개의 제2유로부재(400)의 타단부와 연통될 수 있고 타단부가 가열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각각의 제2유로부재(400)는 도면과 같이, 서로 다른 굽힘제어유로부재(300) 및 이동분사부(200)와 연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열부(100)와 연결되는 제3유로부재(500)가 유체분사장치(10)에 고정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유로부재(400)와 연통됨으로써, 가열부(100)와 복수 개의 이동분사부(200)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이동분사부(200)가 개별적으로 이동하여 복수 개의 제1유로부재(350)가 개별적으로 움직이더라도 각각의 제1유로부재(350)와 연결된 각각의 제2유로부재(350)가 유체분사장치(10)에 고정설치되므로, 제3유로부재(500)가 복수 개의 제2유로부재(400)와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600)는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고,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6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지지대(610)의 상부단면은 유선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단면이 유선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지지대(610)가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하단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소음발생을 최소화하면서 굽힘제어유로부재(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
100: 가열부
200: 이동분사부
210: 분사구 220: 돌출부
300: 굽힘제어유로부재
310: 단위부재 310a: 체인부재
311: 측면플레이트 312: 하부플레이트
313: 결합부 314: 상부플레이트
315: 결합부 316: 하부단턱
318: 상부단턱
400: 제2유로부재
500: 제3유로부재
600: 지지부 610: 지지대
700: 브레킷

Claims (12)

  1.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부(100);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열된 유체를 분사하는 이동분사부(200); 및
    상기 가열부(100) 및 상기 이동분사부(200)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분사부(200)의 이동에 따라 단위부재(310) 당 특정한 범위의 각도로 굽혀지거나 펴지는 굽힘제어유로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300)를 통해 상기 가열된 유체가 상기 이동분사부(200)에 공급되고,
    상기 이동분사부(200)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300)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300)는 일측에서 굽혀져 일부분이 상하로 뒤집어지고 상기 뒤집어진 일부분은 타부분보다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일부분의 단부는 상기 이동분사부(200)에 결합되는,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1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단위부재(310) 당 일방향으로 굽혀지는 최대각도가 타방향으로 굽혀지는 최대각도보다 더 큰,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10).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300)는 굽힘제어유로부재(300)가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만 굽혀지는,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10).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일부분을 펼치면 일부분이 상기 일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기울어지거나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단부가 상기 이동분사부(200)에 결합되는,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10).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동분사부(200)는 상기 일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기울어지거나 수평을 이루는 기울기로 돌출된 돌출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부는 상기 돌출부(220)에 결합되는,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10).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하단에 배치되어 굽힘제어유로부재(300)를 지지하는 지지부(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600)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6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지지대(610)의 상부단면은 유선형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10).
  9.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이동분사부(200)에 결합되는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일단부에 반대되는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타단부와 연통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열부(100)와 연결되는 제2유로부재(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유로부재(400)의 적어도 일부분이 고정되어 설치되는,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10).
  10.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부(100);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열된 유체를 분사하는 이동분사부(200); 및
    상기 가열부(100) 및 상기 이동분사부(200)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분사부(200)의 이동에 따라 단위부재(310) 당 특정한 범위의 각도로 굽혀지거나 펴지는 굽힘제어유로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300)를 통해 상기 가열된 유체가 상기 이동분사부(200)에 공급되고,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300)는 일측에서 굽혀져 일부분이 뒤집어지고 상기 뒤집어진 일부분의 단부가 상기 이동분사부(200)에 결합되고,
    일단부가 상기 이동분사부(200)에 결합되는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일단부에 반대되는 굽힘제어유로부재(300)의 타단부와 연통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열부(100)와 연결되는 제2유로부재(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유로부재(400)의 적어도 일부분이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유로부재(400),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300) 및 상기 이동분사부(200)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2유로부재(400),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300) 및 상기 이동분사부(200)는 서로 연통되고,
    일단부가 상기 복수 개의 제2유로부재(400)의 타단부와 연통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열부(100)와 연결되는 제3유로부재(500)를 더 포함하는,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10).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굽힘제어유로부재(300)는 단위체인(310a) 당 특정한 범위의 각도로 굽혀지는 체인 및 상기 체인의 굽힘에 추종하도록 체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체인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플레서블(flexible)한 제1유로부재(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10).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부재(350)는 상기 체인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체인의 외부가 단열재로 피복되는,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10).
KR1020200005537A 2020-01-15 2020-01-15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 KR102600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537A KR102600064B1 (ko) 2020-01-15 2020-01-15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
EP21740764.2A EP4092182A4 (en) 2020-01-15 2021-01-06 CLOT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PCT/KR2021/000149 WO2021145602A1 (ko) 2020-01-15 2021-01-06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2180009525.XA CN114945719A (zh) 2020-01-15 2021-01-06 衣物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US17/793,176 US20230056925A1 (en) 2020-01-15 2021-01-06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537A KR102600064B1 (ko) 2020-01-15 2020-01-15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047A KR20210092047A (ko) 2021-07-23
KR102600064B1 true KR102600064B1 (ko) 2023-11-07

Family

ID=77155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537A KR102600064B1 (ko) 2020-01-15 2020-01-15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0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10651A (ja) * 2017-12-18 2019-07-04 ゲイツ・ユニッタ・アジア株式会社 線状体保持構造及びアタッチメン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280B1 (ko) 2010-03-03 2016-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E202013101203U1 (de) * 2013-03-20 2013-03-26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insbesondere für Reinraumanwendungen
KR102496520B1 (ko) * 2016-10-04 2023-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54875B1 (ko) * 2017-05-18 2022-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JP6474875B1 (ja) * 2017-10-17 2019-02-27 株式会社国盛化学 ケーブルチェー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10651A (ja) * 2017-12-18 2019-07-04 ゲイツ・ユニッタ・アジア株式会社 線状体保持構造及びアタッチメ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047A (ko)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57918B (zh) 蒸汽喷射装置以及包括该蒸汽喷射装置的干衣机
KR20150015754A (ko) 건조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JP6378429B2 (ja) 衣類処理装置
CN109652970B (zh) 衣物护理机烫头及具有其的衣物护理机
KR102600064B1 (ko) 굽힘제어유로부재를 구비한 유체분사장치
CN101392450A (zh) 衣物处理装置
CN101349000A (zh) 衣物处理装置
ITPN990015A1 (it) Generatore di vapore per macchine pulitrici, ferri da stiro,macchine per caffe' e simili.
CN106222976A (zh) 衣物处理装置
EP3564434B1 (en) System iron
KR100813049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1926417B1 (ko) 셔츠 건조장치
KR102550354B1 (ko) 시스템 다리미
CN110366620A (zh) 系统熨斗
CN107326628A (zh) 熨烫头及挂烫机
US20230056925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2006340899A (ja) ビルトインタイプの引出式食器洗い機及びその排気システム
KR102291328B1 (ko) 합성수지용 열풍용착기의 열풍 유도구조
CN219862033U (zh) 一种蒸汽发生喷射装置及衣物护理机
KR102604691B1 (ko) 시스템 다리미
CN214193860U (zh) 熨烫柜
EP4069903B1 (en) Garment steamer with two-axis rotatable ironing board
JP4715532B2 (ja) スチームアイロン
JP4872968B2 (ja) スチームアイロン
WO2009083356A1 (en) An ir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