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949B1 - 고성능 선루프 - Google Patents

고성능 선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949B1
KR102149949B1 KR1020200049527A KR20200049527A KR102149949B1 KR 102149949 B1 KR102149949 B1 KR 102149949B1 KR 1020200049527 A KR1020200049527 A KR 1020200049527A KR 20200049527 A KR20200049527 A KR 20200049527A KR 102149949 B1 KR102149949 B1 KR 102149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unroof
magnetic
moving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연
Original Assignee
최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연 filed Critical 최재연
Priority to KR1020200049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949B1/ko
Priority to KR1020200107052A priority patent/KR20210131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고 전방 및 후방을 향해 구비되는 레일, 레일의 외측 방향에 구비되고 내측면이 개구되도록 “ㄷ” 단면 형상을 갖는 프레임, 윈도우와 연결되고 프레임의 내부에서의 회전을 통해 윈도우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롤러 및 롤러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고 레일의 내부로 형광물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사고 발생 시 레일 내부의 형광물을 통해 선루프의 파손 여부 및 파손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이에 기반한 구조 작전을 용이하게 펼칠 수 있고, 차량 내부의 사용자가 레일 내 형광물을 통해 선루프의 파손 여부 및 파손 위치를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른 차문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성능 선루프{HIGH PERFORMANCE SUN ROOF}
본 발명은 고성능 선루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충돌 등의 사고 상황에서 윈도우의 파손 및 파손 위치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선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래에는 차량이 점진적으로 고급화되어 가는 추세와 고객의 취향 다변화로 인하여 차량의 루프패널(Roof Panel)에 차량 실내의 채광과 차실내의 공기 순환을 위해 선루프가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선루프는 통상적으로 차량의 천정인 루프 패널상에 한개 또는 두개가 장착되고, 선루프의 구동방식으로 서는, 선루프를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방식, 선루프의 뒷부위를 위로 들어올리는 틸팅 방식, 또는 슬라이딩 및 틸팅기능을 겸용하는 복합 방식이 있다. 아울러, 선루프는 루프글래스로 구성되고, 루프글래스의 하부에 롤러 블라인드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롤러 블라인드 장치는 루프 패널의 개구부를 통해 조사되는 햇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선루프는 차량이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을 받거나 화재가 발생하거나 침수 등의 피해를 입는 경우 선루프의 파손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아, 탈출 및 인명 구조에 불필요한 시간을 허비한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에 따라, 선루프의 고유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의도하지 않은 사고가 발생할 시 이를 차량의 외부 및 내부에 위치한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는 선루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1276호 (2013.04.01. 등록)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차량으로의 충격에 대응하여 외부 및 내부에 선루프의 상태를 알리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로 인한 윈도우의 파손 여부 및 파손 위치를 알리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구동 장치 없이도 윈도우의 파손 여부 및 파손 위치를 알릴 수 있는 선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윈도우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고 전방 및 후방을 향해 구비되는 레일, 레일의 외측 방향에 구비되고 내측면이 개구되도록 “ㄷ” 단면 형상을 갖는 프레임, 윈도우와 연결되고 프레임의 내부에서의 회전을 통해 윈도우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롤러 및 롤러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고 레일의 내부로 형광물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사고 발생 시 레일 내부의 형광물을 통해 선루프의 파손 여부 및 파손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이에 기반한 구조 작전을 용이하게 펼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사용자가 레일 내 형광물을 통해 선루프의 파손 여부 및 파손 위치를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른 차문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선루프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프레임 및 분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프레임, 롤러 및 분사부를 나타내는 절단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프레임, 롤러 및 윈도우 간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프레임, 분사부 및 윈도우 간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및 분사부의 회전에 따른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를 나타내는 절단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의 레일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른 파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 및 보관부의 파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어, 이하에서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외측 방향”은 윈도우, 분사부 등의 미리 지정한 구성을 대상으로 외측을 가리키는 방향을 의미하고, “내측 방향”은 상기 “외측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전방”은 선루프가 장착된 차량의 전방을 의미하고, “후방”은 “전방”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보다 명확한 도면 및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선술한 외측 방향 및 내측 방향을 언급하되 도면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 “하측 방향”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용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성능 선루프를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w)는 후술할 레일(10)에 장착되어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개방 및 폐쇄되는 구성을 의미하고 종래의 선루프용 윈도우(w)를 뜻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선루프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10), 프레임(20) 및 분사부(4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선루프는 윈도우(w)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는 레일(10), 레일(1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는 프레임(20), 프레임(20)의 내부에 위치하고 레일(10)의 내부로 형광물(b)을 분사하는 분사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레일(10)은 프레임(20)의 양측면 방향(도 2의 우상측 방향 및 좌하측 방향을 의미함) 뿐만 아니라, 윈도우(w)의 전방 및 후방에도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윈도우(w)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한 레일(10)에는 후술할 롤러(30)가 구비되지 않아야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사부(40)는 하나 이상 구비되어 사각 틀 형태의 레일(10)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10), 프레임(20), 롤러(30) 및 분사부(40)를 나타내는 절단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10), 프레임(20), 롤러(30) 및 윈도우(w) 간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10), 프레임(20), 분사부(40) 및 윈도우(w) 간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30) 및 분사부(40)의 회전에 따른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레일(10)은 윈도우(w)가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레일(10)은 윈도우(w)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롤러(30) 및 분사부(40)가 레일(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 및 이동함으로써, 윈도우(w)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레일(10)은 프레임(20)의 내측 방향(도 3의 좌하측 방향 및 도 4의 좌측 방향을 뜻함)에 위치하고, 전방 및 후방을 향해 형성된다. 또한, 윈도우(w)의 외측 방향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윈도우(w) 및 프레임(20)의 사이에 배치되는 레일(10)은 외측 방향(도 3의 우상측 방향 및 도 4의 우측 방향을 뜻함) 및 내측 방향에 가이드홈(11)이 더 구비되고, 내부는 개구된다. 이를 통해 레일(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분사부(40) 내 구성인 파손 유도부(470) 및 롤러(30)의 구동축이 상기 가이드홈(11)에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분사부(40) 및 롤러(30)가 프레임(20)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레일(10)은 반투명한 아크릴 재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보관부(430) 내 형광물(b)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어 차량의 외부 및 내부에서 윈도우(w)의 파손 여부 및 파손 위치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가이드홈(11)은 레일(10)의 외측 방향 및 내측 방향에 형성되어 윈도우(w), 분사부(40) 및 롤러(30)를 용이하게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로로서, 후술할 파손 유도부(470)의 일단 및 롤러(30)의 구동축이 관통 삽입된다. 따라서, 별도의 경로 제공 수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윈도우(w)의 이동을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어 선루프의 간소화를 유도할 수 있다.
프레임(20)은 분사부(40) 및 롤러(30)가 위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레일(1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프레임(20)은 사각 틀 형태로 구비되고 내측 방향에 레일(10) 및 윈도우(w)가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또한, 프레임(20)은 내측 방향을 향하는 내측면이 개구되어 “ㄷ”단면 형상을 갖는다. 이를 통해 분사부(40) 및 롤러(30)는 프레임(2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선술한 가이드홈(11)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선루프와 비교했을 때 롤러(30)를 배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어 선루프의 설치 공정에서의 간소화 및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롤러(30)는 윈도우(w)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직접적인 구성이다. 이를 위해, 롤러(30)는 구동축이 윈도우(w)와 연결되고 프레임(20)의 내부에 위치하며, 회전을 통해 프레임(20)의 내부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여 윈도우(w)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선술한 바와 같이 구동축은 가이드홈(11)에 삽입되어 레일(10)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분사부(40)는 레일(10)의 내부로 형광물(b)을 분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롤러(30)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고, 분사부(40)와 연결되어 레일 방향을 향하는 파손 유도부(470)는 가이드홈(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레일(1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파손 유도부(470)의 외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배출홈(471)은 레일(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파손 유도부(470)는 후술할 보관부(430)의 파손으로 인해 외부로 배출되는 형광물(b)을 배출홈(471)을 이용하여 레일(10)의 내부를 향해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8 및 도 9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분사부(40)에는 별도의 연결축(401)이 프레임(20)의 외측 방향(도 5의 우측 방향을 의미함)을 향해 형성되고, 상기 연결축(401)은 프레임(20)의 내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음각홈에 삽입됨으로써 보다 견고한 프레임(20) 내 분사부(40)의 위치 고정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40)를 나타내는 절단 사시도로서, 내부 구성을 보다 용이하게 도시하기 위해 케이스(410)를 일부 절단하고, 상기 케이스(410) 및 바디부(42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402)을 생략하여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40)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430)의 레일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른 파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경우 돌출부 및 계합부(421)를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레일(10) 및 프레임(20)을 생략하여 도시한다.
선술한 바와 같이, 분사부(40)는 형광물(b)을 레일(10)의 내부로 공급하여 차량 내부 및 외부의 사람이 상기 형광물(b)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분사부(40)는 케이스(410), 바디부(420), 보관부(430), 이탈 방지부(460), 파손 유도부(470) 및 배출홈(471)을 포함한다. 또한, 분사부(40)는 유입홈(422), 탄성체(440), 마개부(450), 돌륜부(451) 및 계합부(421)를 포함한다.
케이스(410)는 후술할 바디부(420)의 견고한 위치 고정 및 의도하지 않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와 동시에 케이는 바디부(420)의 보호를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케이스(410)는 바디부(420)의 외측 방향에 구비되고, 프레임 방향(도 8 및 도 9의 상측 방향을 의미함)이 개구되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케이스(410)는 선술한 별도의 연결수단(402)을 통해 바디부(420)와 연결된다.
바디부(420)는 후술할 보관부(430)를 수용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바디부(420)는 레일 방향(도 8 및 도 9의 하측 방향을 의미함)을 향하는 일단 방향이 개구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케이스(410)의 내측 방향에 위치한다. 또한, 바디부(420)는 별도의 연결수단(402)을 통해 케이스(410)와 연결되고, 프레임 방향에는 선술한 연결축(401)이 구비되어 프레임(20)과 연결된다. 개구되어 형성된 바디부(420)의 내부에는 후술할 보관부(430), 마개부(450) 및 탄성체(440)가 위치함으로써, 보관부(430)의 수용 및 탄성체(440)에 의한 보관부(430)의 레일 방향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유입홈(422)은 후술할 마개부(450)의 제거를 유도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유입홈(422)은 프레임(20)의 내부로 유입된 열 및 수증기가 바디부(42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경로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여 마개부(450)가 용융 및 제거되고 탄성체(440)가 보관부(430)를 레일 방향으로 밀어내는 것을 유도한다. 이를 위해, 유입홈(422)은 바디부(420)의 외주면에 관통되도록 구비된다.
보관부(430)는 형광물(b)을 보관하고, 필요 시에 파손되어 내부에 위치한 형광물(b)을 레일(10)의 내부에 분사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보관부(430)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바디부(420)의 내부에 삽입된다. 또한, 보관부(430)의 레일 방향을 향하는 일단은 보관부(43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보관부(430)의 내부에는 형광 분말 및 물 등의 유체의 혼합체로 구성된 형광물(b)이 구비된다. 한편, 보관부(430)의 프레임 방향을 향하는 타단은 후술할 마개부(450)와 접하고, 탄성에 의해 신장하는 탄성체(440)에 의해 레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손 유도부(470)와 충돌함으로써 파손되어, 내부에 구비된 형광물(b)을 외부로 배출한다.
탄성체(440)는 보관부(430)를 바디부(420)의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탄성체(440)는 스프링 등의 탄성을 갖는 신축수단으로 구비되고, 일단은 보관부(430)의 타단을 향해 구비되며 타단은 보관부(430)의 내면과 연결된다. 이를 통해 탄성체(440)는 보관부(43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체(440)는 후술할 마개부(450)가 제거될 시 복원력을 이용해 일단이 보관부(430)의 타단과 접촉 및 레일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보관부(430)를 파손 유도부(47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마개부(450)는 탄성체(440)의 의도하지 않은 시장을 억제하고, 제거 시 탄성체(440) 및 보관부(430) 간의 충돌을 유발한다. 이를 위해 마개부(450)는 보관부(430) 및 탄성체(440)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마개부(450)는 외주면이 바디부(420)의 내주면과 견고하게 면접촉하기 위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마개부(450)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돌륜부(451)는 후술할 계합부(421)와의 계합을 통해 의도하지 않은 레일 방향으로의 이동이 억제된다. 또한, 마개부(450)는 습기 및 화염에 의해 용융될 수 있는 스펀지, 섬유 재질의 집합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프레임(20)의 내부로 침투하는 열 및 수증기에 의해 용융 및 제거되어 탄성체(440) 및 보관부(430)의 충돌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마개부(450)가 의도적으로 열 및 수증기에 취약한 재질로 구비됨으로써, 분사부(40)는 차량의 침수 및 화재로 인한 윈도우(w)의 파손 상태를 용이하게 알릴 수 있다.
돌륜부(451)는 마개부(450)가 바디부(420)의 내부에서 의도하지 않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돌륜부(451)는 마개부(45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돌기의 집합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돌륜부(451)는 마개부(45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후술할 계합부(421)와 접함으로써, 마찰력을 이용하여 마개부(450)가 바디부(42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계합부(421)는 선술한 돌륜부(451)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마찰력을 극대화하여 마개부(45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계합부(421)는 바디부(420)의 내주면에 음각 형성되되 돌륜부(451)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도록 구비된다(도 8 참조). 상기와 같은 계합부(421)를 통해 돌륜부(451)는 마개부(450)와 면접촉하며 마찰력이 극대화되고, 이에 따라 마개부(450)는 의도하지 않은 바디부(420)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돌륜부(451) 및 계합부(421)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했을 때 탄성체(440)가 보관부(430)를 레일 방향으로 밀어내지 않도록 위치 고정시키는 별도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어, 선택적인 보관부(430)의 이동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즉, 무분별한 보관부(430)의 이동 및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탈 방지부(460)는 외력에 의해 바디부(420)가 케이스(410)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이탈 방지부(460)는 바디부(42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고 상측 방향이 케이스(410)에 삽입됨으로써 외주면이 상기 케이스(410)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이탈 방지부(460)는 케이스(41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탈 방지부(460)는 레일 방향을 향하는 일단 및 프레임 방향을 향하는 타단이 개구되되, 내주면의 직경은 바디부(420)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비된다. 이를 통해, 이탈 방지부(460)는 탄성체(440)의 복원력에 의해 레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보관부(430)와 저촉되지 않으면서도 바디부(420)의 이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탈 방지부(46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산부(490)의 이탈 또한 방지한다. 상세하게, 비산부(490)는 바디부(42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고 후술할 이동부(480)에 의해 레일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이 과정에서 비산부(490)가 지나치게 이동하여 케이스(410)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파손 유도부(470)는 선술한 바와 같이 보관부(430)의 파손을 유도한다. 상세하게, 파손 유도부(470)는 탄성체(440)에 의해 레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보관부(430)와 충돌하여, 상기 보관부(430)의 파손 및 내부에 위치한 형광물(b)의 유출을 유도한다. 이를 위해, 파손부는 보관부(43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고, 일단이 가이드홈(11)을 통과하여 레일(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파손 유도부(470)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배출홈(471)이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어 관통 형성된다. 이를 통해, 보관부(430) 내 형광물(b)은 보관부(430) 및 파손 유도부(470) 간의 충돌로 인해 보관부(430)의 외부로 배출된 이후 상기 배출홈(471)을 통과하여 파손 유도부(470)의 외부로 배출되어 레일(10)의 내부로 분사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를 통해, 차량 사고 발생 시 구조자는 레일(10) 내부의 형광물(b)을 파악하고 선루프의 파손 위치를 파악하여, 이에 기반한 구조 작전을 펼칠 수 있어, 보다 용이한 인명 구조가 가능하다. 또한, 차량 내부의 사용자가 레일(10) 내 형광물(b)을 통해 선루프의 파손 여부 및 파손 위치를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른 차문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40) 및 보관부(430)의 파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성능 선루프는 이동부(480), 제1 자성부(423), 제2 자성부(481), 제3 자성부(424), 비산부(490) 및 연결부(4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480)는 차량 측면을 향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보관물이 이동 및 분쇄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이동부(480)는 케이스(410)의 내부에 위치하고 바디부(420)로부터 레일 방향에 구비된다. 또한, 이동부(480)는 프레임 방향을 향하는 타단이 돌출되어 바디부(420)의 일단 방향에 삽입된다. 또한, 이동부(480)의 일면 및 타면은 보관부(430)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개구되고, 상기 이동부(480)의 레일 방향에는 비산부(49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480) 및 비산부(490)는 별도로 구비되는 연결부(48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한편, 이동부(480)에는 제2 자성부(481)가 내설되고, 제1 자성부(423) 및 제3 자성부(424)와의 자력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제1 자성부(423)는 제2 자성부(481)와의 자력을 통해 이동부(480)가 레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제1 자성부(423)는 바디부(420)에 내설되고 호 단면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되며, 바디부(4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형 배열을 갖도록 복수 개 구비된다.
제3 자성부(424)는 제2 자성부(481)와의 자력을 통해 이동부(480)가 과도하게 이동하여 바디부(42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제3 자성부(424)는 바디부(420)에 내설되되 제1 자성부(423)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레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3 자성부(424)는 환 형태로 구비된다. 이는 제1 자성부(423)보다 제3 자성부(424)의 자력이 더 크도록 설계하여 이동부(480)의 과도한 레일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2 자성부(481)는 제1 자성부(423) 및 제3 자성부(424)와의 자력을 통해 이동부(480)의 위치 고정을 유도한다. 이를 위해, 제2 자성부(481)는 이동부(480)의 타단에 내설되고 제1 자성부(423)와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제2 자성부(481)는 제1 자성부(423)와 동일하게 호 단면 형상을 갖고 바디부(4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형 배열을 갖도록 복수 구비된다.
비산부(490)는 보관부(430)와의 충돌을 통해 상기 보관부(430)를 파손시키고 형광물(b)을 배출 및 비산시키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비산부(490)는 보관부(430)를 파손시키고 형광물(b)을 레일 방향으로 비산시킨다. 이를 위해, 비산부(490)는 이동부(480)로부터 레일 방향에 위치한다. 상세하게, 비산부(490)는 이동부(480) 및 이탈 방지부(460)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비산부(490)는 타면이 보관부(430)의 일단과 접하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직경은 이탈 방지부(460)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비되어 케이스(41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비산부(490)는 일면 및 타면에 복수의 통공이 구비되어 형광물(b)의 크기를 줄인 상태로 파손 유도부(470)를 향하도록 유도한다. 이를 통해, 형광물(b)은 보다 작은 크기로 파손 유도부(470)의 외부로 배출되어 레일(10)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보다 작은 양으로도 파손 위치 표시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광물(b)의 배출 과정을 설명한다.
이동부(480)는 제1 자성부(423) 및 제2 자성부(481) 간의 자력을 통해 타단이 바디부(420)의 일단 방향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차량의 측면 방향(레일 방향, 도 10의 하측 방향을 의미함)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체(440)가 보관부(430)를 레일 방향으로 밀어냄과 동시에, 제1 자성부(423) 및 제2 자성부(481) 간의 자력보다 외력이 크기 때문에 이동부(480)는 레일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 과정에서 이동부(480)는 제2 자성부(481) 및 제3 자성부(424) 간의 자력, 비산부(490) 및 이탈 방지부(460) 간의 충돌로 인해 케이스(410)의 외부로 이동하지 않고 이동이 중지된다. 또한, 보관부(430)는 상기와 같은 배치에서의 이탈 방지부(460)와 충돌하게 되고, 이로 인한 충격에 의해 보관부(430)는 파손되고 형광물(b)이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통해,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450)가 구비되지 않거나 상기 마개부(450)가 용융 및 제거되지 않는 경우에도 보관부(430)를 용이하게 레일 방향으로 이동 및 파손시켜 형광물(b)을 배출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도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w: 윈도우 b: 형광물
10: 레일 20: 프레임
30: 롤러 40: 분사부
420: 바디부 430: 보관부
440: 탄성체 450: 마개부
470: 파손 유도부 480: 이동부
490: 비산부

Claims (8)

  1. 윈도우(w)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고 전방 및 후방을 향해 구비되는 레일(10);
    상기 레일(10)의 외측 방향에 구비되고, 내측면이 개구되도록 “ㄷ” 단면 형상을 갖는 프레임(20);
    상기 윈도우(w)와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20)의 내부에서의 회전을 통해 상기 윈도우(w)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롤러(30); 및
    상기 롤러(30)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레일(10)의 내부로 형광물(b)을 분사하는 분사부(40);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부(40)는,
    상기 레일(10)을 향하는 일단 방향이 개구된 바디부(420);
    상기 바디부(420)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바디부(420)의 외부로 노출되고, 내부에 상기 형광물(b)을 보관하는 보관부(430); 및
    상기 바디부(420)의 내부에 위치하고, 일단이 상기 보관부(430)의 타단과 접하는 탄성체(44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관부(430)는 상기 탄성체(44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레일(10)의 내부로 이동 및 파손됨으로써, 상기 형광물(b)을 상기 레일(10)의 내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선루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430) 및 탄성체(440)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체(440)의 신장을 억제하는 마개부(450); 및
    상기 마개부(45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륜부(451);
    상기 바디부(420)의 내주면에 위치하되 상기 돌륜부(451)에 대응하여 음각 형성되는 계합부(42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450)는 상기 돌륜부(451) 및 계합부(421) 간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바디부(420)의 내부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선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420)의 외면에 형성되어 내부와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20)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열 및 수증기를 유입시키는 유입홈(422)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450)가 상기 열 및 수증기에 노출되어 용융 및 제거됨으로써, 상기 탄성체(440)는 상기 보관부(430)를 상기 레일(10)을 향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선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420)의 일단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 방향을 향하는 타단이 돌출되어 상기 바디부(420)의 레일 방향에 삽입되는 이동부(480);
    상기 이동부(480)로부터 상기 레일 방향에 위치하고, 타면이 상기 보관부(430)의 일단과 접하며 상기 보관부(430)의 외부로 배출된 상기 형광물(b)을 비산시키는 비산부(4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선루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420)에 내설되는 제1 자성부(423);
    상기 제1 자성부(423)와 대응하도록 상기 이동부(480)의 타단에 내설되는 제2 자성부(481); 및
    상기 바디부(420)에 내설되되 상기 제1 자성부(423)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는 제3 자성부(42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480)는 상기 제1 자성부(423) 및 제2 자성부(481) 간의 자력에 의해 위치 고정되고, 상기 제2 자성부(481) 및 제3 자성부(424) 간의 자력에 의해 상기 레일 방향으로의 이동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선루프.
  7.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430)로부터 상기 레일 방향에 위치하고 일단이 상기 레일(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레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보관부(430)와 접하여 파손을 유도하는 파손 유도부(470); 및
    상기 파손 유도부(470)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배출홈(471);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형광물(b)은 상기 보관부(430)의 외부로 이동한 후 상기 배출홈(471)을 따라 상기 파손 유도부(470)의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레일(1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선루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10)의 외측 방향 및 내측 방향에 위치하는 가이드홈(11)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30)의 구동축 및 상기 파손 유도부(470)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홈(11)에 관통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선루프.
KR1020200049527A 2020-04-23 2020-04-23 고성능 선루프 KR102149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527A KR102149949B1 (ko) 2020-04-23 2020-04-23 고성능 선루프
KR1020200107052A KR20210131205A (ko) 2020-04-23 2020-08-25 고성능 선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527A KR102149949B1 (ko) 2020-04-23 2020-04-23 고성능 선루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052A Division KR20210131205A (ko) 2020-04-23 2020-08-25 고성능 선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949B1 true KR102149949B1 (ko) 2020-08-31

Family

ID=722342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527A KR102149949B1 (ko) 2020-04-23 2020-04-23 고성능 선루프
KR1020200107052A KR20210131205A (ko) 2020-04-23 2020-08-25 고성능 선루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052A KR20210131205A (ko) 2020-04-23 2020-08-25 고성능 선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499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87164A (zh) * 2022-05-31 2022-09-02 中山市澳多电子科技有限公司 开闭系统及飞行汽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202317A1 (en) 2021-01-19 2022-07-28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and current collector applied thereto,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JP2023553926A (ja) 2021-02-19 2023-12-26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電極組立体、バッテリー、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1680A (ko) * 1994-12-26 1996-07-18 한승준 차량용 선루프
JP2009298341A (ja) * 2008-06-16 2009-12-24 Toyota Industries Corp ウィンドウガラス破損検出装置
KR101251276B1 (ko) 2010-09-17 2013-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선루프용 롤러 블라인드 장치
US20170092993A1 (en) * 2013-03-15 2017-03-30 Elwha Llc Battery damage indic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1680A (ko) * 1994-12-26 1996-07-18 한승준 차량용 선루프
JP2009298341A (ja) * 2008-06-16 2009-12-24 Toyota Industries Corp ウィンドウガラス破損検出装置
KR101251276B1 (ko) 2010-09-17 2013-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선루프용 롤러 블라인드 장치
US20170092993A1 (en) * 2013-03-15 2017-03-30 Elwha Llc Battery damage indic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87164A (zh) * 2022-05-31 2022-09-02 中山市澳多电子科技有限公司 开闭系统及飞行汽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205A (ko)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949B1 (ko) 고성능 선루프
CN101517183B (zh) 热销组件
ES2803625T3 (es) Dispositivo de generación de cortina de aire, especialmente destinado a equipar un vehículo ferroviario
JPH05192877A (ja) 火薬力作動型の固定素子打込み装置
CN201659948U (zh) 一种车用多功能安全锤
CN105620385A (zh) 按钮式应急开关
KR20040042215A (ko) 비상용 해머
CN218305858U (zh) 蓄能式车辆破窗器
JP2006140040A (ja) スライドキーおよびドアスイッチ
CN205858742U (zh) 滑动式开启/关闭机壳的塔扇
CN218376223U (zh) 一种可控制密封件膨胀的环保防火门
KR200320445Y1 (ko) 철침장치용 철침판
KR200148211Y1 (ko) 차량의 사이드실과 도어 로크장치
KR200481835Y1 (ko) 회전식 문턱
KR970073632A (ko)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소화장치
KR100569976B1 (ko) 선루프 드레인 호스를 위한 일원화된 장착 플러그
KR100219091B1 (ko)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제거장치
JPH11310375A (ja) エレベータの扉安全装置
KR101605100B1 (ko) 후드 힌지 승강용 액츄에이터
KR100969022B1 (ko) 차량용 선루프의 선세이드 소음방지구조
KR200156163Y1 (ko) 엘리베이터 조작반의 수동운전 도어장치
CN112546469A (zh) 一种拉动式破窗装置
KR200267071Y1 (ko) 자물쇠
KR100204825B1 (ko) 가스방사장치
KR0124329Y1 (ko) 샤시용 호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