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460B1 - 땅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땅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460B1
KR102149460B1 KR1020170071025A KR20170071025A KR102149460B1 KR 102149460 B1 KR102149460 B1 KR 102149460B1 KR 1020170071025 A KR1020170071025 A KR 1020170071025A KR 20170071025 A KR20170071025 A KR 20170071025A KR 102149460 B1 KR102149460 B1 KR 102149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teoporosis
pharmaceutical composition
peanut
extract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1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3996A (ko
Inventor
박소영
조은상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71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460B1/ko
Publication of KR20180133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땅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땅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식용으로 사용되는 식물인 땅콩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으로서, 식용 가능한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그 유효성분으로 하므로, 부작용이나 세포 독성에 대한 문제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에 현저한 효과를 발휘하여 의약품이나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Description

땅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rachis hypogaea Extract for Treatment or Prevention of Osteoporosis}
본 발명은 땅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골다공증은 그 증세 자체보다는 골의 약화에 따라 용이하게 초래되는 각종 골절, 특히 대퇴골 골절 또는 척추골절 등이 장기간 활동을 제한하여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노인층 사망의 15%에 대한 원인제공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골량은 유전적 요인, 영양 섭취, 호르몬의 변화, 운동 및 생활 습관의 차이 등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골다공증의 원인으로는 노령, 운동 부족, 저체중, 흡연, 저칼슘 식이, 폐경, 난소 절제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여성의 경우 30세 이후부터 골 감소가 지속적으로 진행되며, 폐경기에 이르면 호르몬 변화에 의해 골 감소가 급격히 진행된다. 즉, 폐경기에 이르면 에스트로겐 농도가 급속히 감소하는데, 이 때 IL-7(interleukin-7)에 의한 것처럼 B-임파구(B-lymphocyte)가 다량 생성되어 골수(bone marrow)에 B 세포 전구체(pre-B cell)가 축적되고 이로 인해 IL-6의 양이 증가하여 파골 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므로 결국 골량이 감소하게 된다.
골다공증은 정도에 차이는 있으나 노년층, 특히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게 있어서는 피할 수 없는 증상으로, 선진국에서는 인구가 노령화됨에 따라 골다공증 및 그 치료제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골질환 치료와 관련되어 약 1300억 달러의 시장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앞으로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세계적인 각 연구 기관과 제약회사에서는 골질환 치료제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골다공증은 원인불명의 골다공증, 폐경기 이후 여성호르몬 부족에 의해 나타나는 타입 Ⅰ 골다공증, 고령화된 노인층의 남녀에게 발견되는 타입 Ⅱ 골다공증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타입 I 및 타입 Ⅱ 골다공증은 많은 경우 내분비 장애에 의하여 유발되고 이외에도 질병, 영양실조 또는 칼슘 이온의 흡수 감소로 인한 칼슘, 인산염 및 비타민 D 등의 결핍으로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골다공증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는 칼슘 보강 제재가 최근에 그 효과가 유의하지 못함이 보고되었으며, 에스트로겐이나 칼시토닌을 이용한 호르몬 요법에 있어서도 역시 치료효과가 유의하지 못함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에스트로겐이나 칼시토닌을 포함한 호르몬 요법의 경우 골밀도를 증가시키고, 직장암의 발생을 감소시킨다는 보고도 있으나, 유방암, 심근경색, 정맥 혈전증 등의 부작용이 보고된 바 있다. 또한, 골다공증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는 비스포스포네이트는 파골세포를 억제하는 골흡수 억제제로서 새로운 대체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으나, 올바르지 않은 경구 투여시 상기도에 병소가 관찰되기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골다공증은 약물의 단기 투여만으로는 치료할 수 없고 약물의 장기 투여가 필수적인 질환이므로, 새로운 작용 및 골격구조를 가지면서 독성 및 부작용이 적어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신물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조골세포 배양시 나타나는 조골세포 분화표지 인자들은 세포의 증식 및 분화의 정도에 따라 달리 발현되며, 일반적으로 증식기, 기질 성숙기, 석회화의 3단계 과정을 거쳐 골을 형성한 다. 골표지 인자 중 특히 alkaline phosphatase(이하 ALP)는 조골세포의 분화 초기에 나타나는 표지인자로써 기질 성숙기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기질 성숙기 후반에 최대로 발현되고 석회화 단계에서는 감소한다. 따라서, ALP 활성은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의 지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골다공증의 치료 및 예방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던 중 땅콩 추출물의 특별한 용도를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2410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00760호
본 발명은 땅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땅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땅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땅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식용으로 사용되는 식물인 땅콩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으로서, 식용 가능한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그 유효성분으로 하므로, 부작용이나 세포 독성에 대한 문제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에 현저한 효과를 발휘하여 의약품이나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땅콩 추출물의 안전성을 측정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땅콩 추출물의 ALP 활성을 측정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땅콩 추출물 중 에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의 활성을 비교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땅콩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땅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땅콩은 콩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 식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땅콩 추출물은 생땅콩을 추출한 것일 수도 있고 볶은 것을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볶은 땅콩을 추출한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볶은 땅콩의 추출물은 생땅콩의 추출물보다 더 나은 ALP(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나타내었다(도 2 참조).
상기 볶은 땅콩은 생땅콩을 50 내지 150℃에서 로스팅한 것이 바람직하다. 로스팅 온도가 50도 보다 낮으면 볶은 땅콩의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150도 보다 높으면 땅콩이 탈 수 있다. 로스팅 시간은 10 내지 60분이 바람직하다. 로스팅 시간이 10분 보다 짧으면 생땅콩이 볶은 땅콩으로 변환되지 않을 수 있고, 60분 보다 길면 시간 지체가 길어 상업적 사용을 위한 비용이 증가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땅콩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냉침추출법, 온침추출법, 열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등일 수 있으며,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 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땅콩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 용매는 물 및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물은 바람직하게는 열수가 좋다. 열수 추출은 냉수 추출에 비해 시간 대비 효율의 측면에서 더 바람직한 결과를 야기한다. 상기 열수는 70 내지 100℃인 것이 좋다. 70도 미만인 경우 추출효율이 감소하고 100도를 초과하는 경우 열수가 증발되어 추출이 어렵다.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 수 1 내지 3의 알코올, 또는 그의 희석수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 좋다. 메탄올 추출의 경우 추출 후 잔류된 메탄올로 인해 독성이 야기될 우려가 있으며 프로판올의 경우 비용 대비 효과 측면에서 에탄올 보다 경제성이 떨어지며 용매 잔류시 에탄올 보다 식용으로 섭취하기에 부적당한 단점이 있다.
에탄올 추출에 있어서는 에탄올이 20 %(v/v) 내지 99 %(v/v)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온도는, 4℃ 내지 1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시간은 12시간 내지 120시간일 수 있다. 상기 추출온도가 4℃ 보다 낮은 경우 추출이 잘 안 될 수 있으며, 150℃를 넘는 경우 추출물이 변성될 수 있다. 상기 추출시간이 12시간보다 낮은 경우 유효성분이 일부 추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120시간을 넘길 경우 유효성분 이외의 불순물 성분이 함께 추출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땅콩 추출물은 땅콩을 껍질과 함께 갈아 추출 용매로 추출 후, 땅콩 찌꺼기를 제거하고, 필터 페이퍼로 여과한 다음 여액을 진공회전농축기 또는 진공건조기를 사용하여 농축한 후, 실온에서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매우 안전한 천연물 추출물로서, 인체에 독성을 미치지 아니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땅콩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도 1).
본 발명의 땅콩 추출물은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땅콩 추출물, 특히 볶은 땅콩의 에탄올 또는 열수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상승된 ALP 활성 효과를 발휘하였다(도 2).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골다공증이란 조골세포의 미분화, 발현 저조, 미발현 등 조골세포의 비정상으로 인해 야기되는 모든 질병을 포함하며, 특별히 인간의 노화로 진행되는 골조직의 약화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땅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환자의 중증도, 상태, 체내에서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률 및 병용되는 약물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1일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0.1 mg/kg(체중) 내지 500 mg/kg(체중), 0.1 mg/kg(체중) 내지 400 mg/kg(체중) 또는 1 mg/kg(체중) 내지 300 mg/kg(체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땅콩 추출물은 상기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내에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내 땅콩 추출물의 함량은 0.001 중량% 내지 99.9 중량%, 0.1 중량% 내지 99 중량% 또는 1 중량% 내지 5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성물의 사용태양 및 사용방법에 따라 상기 화합물의 함량은 바람직한 함량으로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및 생리식염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또한, 땅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pH 조절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알긴산 및 그의 염, 펙트산 및 그의 염, 보호성 콜로라이드, 글리세린,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공지의 골도공증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당업계에 알려진 물질, 예컨대, 인간 부갑상선 호르몬(hPTH), 성장 호르몬, 에스트로겐, 비스포스포네이트, 칼시토닌 등의 물질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땅콩 추출물을 약제로 사용하는 경우 투여방법은 경구 또는 비경구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환제, 산제, 현탁화제, 시럽제, 주사제 및 과립제 등이 포함되고, 이러한 제제는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형태는 크림, 로션제, 연고제, 경고제, 액제, 에어로솔제, 유동엑스제, 엘릭서, 침제, 향낭, 패취제 또는 주사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i) 땅콩을 땅콩 껍질과 함께 분쇄하여 분쇄물을 얻는 단계;
ii) C1 내지 C3 알코올 또는 열수에서 추출하여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iii) 상기 추출액을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
iv) 상기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C1 내지 C3 알코올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 좋고, 상기 에탄올은 20 %(v/v) 내지 99 %(v/v) 수용액인 것이 좋으며, 상기 열수는 70 내지 100℃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은 땅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땅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생체조절기능을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골다공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다공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본 발명의 땅콩 추출물을 전체 식품 중량의 0.001 내지 99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땅콩 추출물의 제조
껍질이 포함된 땅콩 6kg을 믹서기로 분쇄한 후 추출천에 담은 뒤, 80% 에탄올과 열수 10L를 각각 추출용매로 하여 3회씩 각 30L를 추출하였다. 24시간 상온에 침지시킨 후 filter paper (ADVANTEC 5A 150mm)로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회전농축기 (EYELA)와 진공건조기 (소리테크 VO-500)를 사용하여 12시간동안 농축하였고, 이 과정을 3번 반복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땅콩 추출물의 세포독성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땅콩 추출물에 대하여 MTT 실험법을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MC3T3-E1 세포를 96well plate에 2x104 개씩 분주하고 추출물을 최종 농도 100 μg/mL 농도로 처리한 후 overnight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5 mg/ml 농도의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약 (MTT, Sigma aldrich, USA) 10 μl를 배양 중인 세포의 배지에 넣고 3시간 배양하였다. 3시간 뒤 배지를 제거하고 Dimethyl sulfoxide(DMSO, Biosesang) 100 μl을 넣어 30분간 용해 시킨 후 Emax precision micro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생땅콩과 볶은 땅콩의 에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 모두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도 1 참조).
실시예 3. 땅콩 추출물의 조골세포 분화촉진 검사
pre-osteoblastic cell인 MC3T3-E1 세포 2x104 개를 96 well plate에 α-MEM 배지로 분주하고 밤새 배양하였다.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 α-MEM 배지에 dexamethasone 0.1 μM, vitamin C 50 μM, β-glycerophosphate 10 mM을 넣은 분화배지를 만들어 샘플과 함께 3일간 배양하였다. 이후 분화한 세포의 세포막을 lysis buffer를 사용해 lysis 시키고 pNPP (기질) 50 μL 와 37℃에서 1시간 반응시킨 뒤 흡광도의 변화를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하였다. 이 때 사용한 땅콩 추출물의 최종 농도는 100 μg/mL 였다. ALP 활성은 DMSO만을 처리한 컨트롤군에 대한 퍼센트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100, 50 ug/mL의 농도에서 볶은 땅콩 추출물이 생땅콩 추출물에 비해 높은 ALP 활성을 보였다. 또한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다소 높은 활성을 보였다(도 2 참조).
실시예 4. 추출 용매 종류에 따른 땅콩 추출물의 효과 비교
추출 방법에 따른 ALP활성을 비교해 하기 위해 볶은 땅콩의 에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을 각각 100, 50, 25 ug/mL의 최종농도로 MC3T3-E1 세포에 처리한 후 ALP 활성을 측정하였다. MC3T3-E1 세포 2x104 개를 96 well plate에 α-MEM 배지로 분주하고 밤새 배양하였다.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 α-MEM 배지에 dexamethasone 0.1 μM, vitamin C 50 μM, β-glycerophosphate 10 mM을 넣은 분화배지를 만들어 볶은 땅콩의 에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을 각각 100, 50, 25 ug/mL의 최종농도로 처리한 후 3일간 배양함. 이후 분화한 세포의 세포막을 lysis buffer를 사용해 lysis 시키고 pNPP (기질) 50 μL 와 37℃에서 1 시간 반응시킨 뒤 흡광도의 변화를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볶은 땅콩의 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 모두 효과를 농도의존적으로 효과를 나타냈지만 에탄올 추출물이 좀 더 일관성 있는 효과를 보였다(도 3).
실시예 5. 땅콩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볶은 땅콩의 pre-osteoblastic MC3T3-L1 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효과가 항산화 활성과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DPPH를 이용한 DPPH 라디컬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0.2 mM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시약 (Sigma aldrich, USA)를 96 well plate에 190 μl 씩 분주 한 후 볶은 땅콩 에탄올 추출물 (최종농도 750, 500, 250, 125 ug/mL) 또는 Ascorbic acid (최종농도 25, 12.5, 6.25, 3.1 ug/mL)를 DPPH 시약이 들어 있는 well에 10 μl/씩 처리하였다. 이후 37℃에서 1시간 동안 빛을 차광 시킨 후 반응시킨 뒤 DPPH 라디컬 소거능을 5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볶은 땅콩 에탄올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는 것을 보였으며 750 ug/mL의 추출물은 ascorbic acid 12.5 ug/mL 에 가까운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하기에 기재된 제조예는 단순 참조용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제조예에 기재된 구성성분의 함유량은 골다공증의 정도, 목적 및 상황에 따라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변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제조예 1. 산제의 제조
땅콩 추출물 100 mg
유당 300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정제의 제조
땅콩 추출물 10 mg
유당 100mg
옥수수 전분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캡슐제의 제조
땅콩 추출물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유당 14.8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였다.
제조예 4. 주사제의 제조
(주사용 여과 후) 땅콩 추출물 10 mg
만니톨 200 mg
Na2HPO412H2O 30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5. 땅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땅콩 추출물 10 mg
비타민 C 50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비오틴 10 ㎍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통상의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 함량으로 타정하여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였다.

Claims (16)

  1. 땅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땅콩은 생땅콩을 50 내지 150℃에서 로스팅한 볶은 땅콩인 것인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볶은 땅콩은 생땅콩을 50 내지 150℃에서 10 내지 60분 동안 로스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땅콩 추출물은 땅콩을 C1 내지 C3의 알코올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1 내지 C3의 알코올은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은 20 %(v/v) 내지 99 %(v/v)의 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땅콩 추출물은 땅콩을 열수(熱水)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는 7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정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환제, 산제, 현탁화제, 시럽제, 주사제 및 과립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제로 제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것인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12. i) 땅콩을 땅콩 껍질과 함께 분쇄하여 분쇄물을 얻는 단계;
    ii) C1 내지 C3 알코올 또는 열수에서 추출하여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iii) 상기 추출액을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
    iv) 상기 여과액을 감압농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1 내지 C3 알코올은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은 20 %(v/v) 내지 99 %(v/v)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는 7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6. 땅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개선 또는 예방용 기능성 식품으로서,
    상기 땅콩은 생땅콩을 50 내지 150℃에서 로스팅한 볶은 땅콩인 것인 기능성 식품.
KR1020170071025A 2017-06-07 2017-06-07 땅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149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025A KR102149460B1 (ko) 2017-06-07 2017-06-07 땅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025A KR102149460B1 (ko) 2017-06-07 2017-06-07 땅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996A KR20180133996A (ko) 2018-12-18
KR102149460B1 true KR102149460B1 (ko) 2020-08-31

Family

ID=64952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1025A KR102149460B1 (ko) 2017-06-07 2017-06-07 땅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4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389B1 (ko) * 2019-12-05 2021-12-3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삼원네이처 좁은잎천선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뼈 건강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210B1 (ko) 2009-05-18 2010-12-15 한성균 사설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선불카드 통화 방법 및 시스템
KR101299861B1 (ko) 2011-06-24 2013-08-23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 클리닝 장치
KR20150093053A (ko) * 2014-02-06 2015-08-17 주식회사 강남식품 발아 땅콩에서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이를 통해 제조된 발아 땅콩 추출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996A (ko) 201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3517B2 (ja) 成年女性、高齢者及び亜健康状態の人々に適用できる健康保持製品組成物
CN101856114B (zh) 一种具有增加骨密度功能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KR102140163B1 (ko) 새싹땅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686490B1 (ko) 흑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대사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350001A (zh) 可提取包括文冠果总皂甙、粗脂肪、粗蛋白、糖的果壳
KR100585445B1 (ko) 혼합 생약재를 이용한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제 조성물
WO2020010904A1 (zh) 一种降三高含片及其制备方法
JP2002179585A (ja) 骨代謝改善剤及び骨粗鬆症の予防又は治療用飲食物
KR100703180B1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질환의 예방 및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TW200934506A (en) Herbal medicine for osteoporosis and related conditions
JP6026639B2 (ja) フジバカマ属の抽出物を含有する骨代謝疾患の予防及び治療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330289A (ja) 生薬材抽出物混合物および骨粗鬆症の予防または治療剤
KR102149460B1 (ko) 땅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100295B1 (ko) 간세포 보호 효과 및 골 밀도 증가 효과를 갖는 쿠메스테롤 함유 발아발효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05105125A1 (ja) 骨粗鬆症予防または治療剤
KR101193540B1 (ko) 황기,계지 및 황백의 혼합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및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80628B1 (ko) 숙지황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16969B1 (ko) 새싹땅콩 추출물 및 갈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05596402A (zh) 一种预防糖尿病及老年痴呆的保健制品
CN108619483B (zh) 一种可平衡膳食营养的降糖膳食蚕蛹提取生物蛋白
KR20110097463A (ko)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경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1184758A (zh) 一种包括功劳木醇提取物和虫草素的组合物、制剂及其应用
KR20130091160A (ko) 사철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533283B1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2573629B1 (ko) 갯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갱년기증후군 완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