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707B1 -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능을 갖는 김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 Google Patents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능을 갖는 김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707B1
KR102148707B1 KR1020190021068A KR20190021068A KR102148707B1 KR 102148707 B1 KR102148707 B1 KR 102148707B1 KR 1020190021068 A KR1020190021068 A KR 1020190021068A KR 20190021068 A KR20190021068 A KR 20190021068A KR 102148707 B1 KR102148707 B1 KR 102148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administration
wikim31
depression
lactobacillus sake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학종
김남희
박효경
이지은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21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707B1/ko
Priority to JP2021571492A priority patent/JP2022520904A/ja
Priority to CN202080015045.XA priority patent/CN113556945A/zh
Priority to AU2020225096A priority patent/AU2020225096A1/en
Priority to PCT/KR2020/002490 priority patent/WO2020171633A1/ko
Priority to US17/432,812 priority patent/US20220118034A1/en
Priority to EP20760061.0A priority patent/EP3928637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2Anxi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79Sakei
    • A23Y2220/77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Lactobacillus sakei WIKIM31; 수탁번호 KFCC11654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Lactobacillus sakei WIKIM31; 수탁번호 KFCC11654P) 균주는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와 같은 정신 장애의 예방, 개선 및 치료 용도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능을 갖는 김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Lactobacillus sakei having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depression or anxiety disorders}
본 발명은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Lactobacillus sakei WIKIM31)에 관한 것이다.
퇴행성 뇌질환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발생하는 퇴행성 질환 중에서도 뇌에서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퇴행성 뇌질환은 주요 증상과 침범되는 뇌 부위를 고려해 구분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알츠하이머병과 파킨슨병이 있다. 퇴행성 뇌질환은 노화에 따른 신경 퇴화와 유전적, 환경적 요인들로 인해 단백질이 응집되어 신경세포가 사멸되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진 바 없다.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은 퇴행성 뇌질환 중에서 유병율이 알츠하이머 질환에 이어 2위에 해당하는 질환으로서, 50세 이상의 인구 중에서 약 1% 정도가 이 질환으로 고통 받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파킨슨병은 떨림, 경직, 행동이 느려짐 및 자세 이상증 등을 주된 증상으로 하는 질병이며, 뇌에서 도파민(dopamine)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부족하게 되어 생기는 만성 질환이다. 도파민은 뇌의 흑색질이라는 신경세포에서 생성되며, 흑색질의 신경세포는 뇌의 운동피질 및 기타 여러 부위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다. 파킨슨병은 흑색질에서 기저핵의 기능을 조절하기 위해 분비되는 물질인 도파민이 부족하면 발병하게 된다.
파킨슨병의 주요 증상으로는 1) 운동완만(bradykinesia), 2) 안정시 진전(tremor-at-rest), 3) 근육경직(muscle rigidity), 4) 자세 반사 이상(loss of postural reflexes), 5) 비정상적으로 구부정한 자세(flexed posture), 6) 동작동결(freezing) 등의 운동 실조 증상이 대표적이다. 또한, 파킨슨병 질환의 진행 동안에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증상으로는 자율신경 장애, 수면 장애, 후각 또는 온도의 감각 장애뿐만 아니라, 우울증과 인지 장애까지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우울증과 불안장애와 같은 정신적 증상은 파킨슨병을 앓는 환자의 40 내지 50%에서 나타나며, 삶의 질을 악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현재 파킨슨병의 치료법으로는 약물 치료법, 수술 치료법 및 물리 치료법 등이 있는데, 약물 치료의 경우, 일반적으로 뇌에서 부족해진 도파민을 보충해주고, 도파민의 부족으로 인한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을 맞추어 신경세포의 파괴를 예방 또는 지연시키고자 하는 목적과 기타 우울증 등의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약물들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파킨슨병의 약물 치료제로는 L-DOPA와 같은 도파민 대체 약물 및 도파민 수용체에 작용하는 약물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약물들은 사멸된 신경세포를 다시 재생시키는 것이 불가하기 때문에 증상의 조절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고, 장기간 투여 시에는 불수의적인 운동(dyskinesia), 구토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난다. 따라서, 증상의 개선과 더불어 안전성이 확보된 신경보호 효과가 있는 약물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는 파킨슨병을 갖는 환자에서 유발되는 장내 균총의 변화가 파킨슨병의 진행과 병태생리학적으로 관련됨이 보고 되었으며, 더욱이 파킨슨병 동물 모델에 대변세균총이식(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FMT)한 결과, 신경염증 조절 작용에 의해 신경보호 효과가 나타남이 알려졌다(비특허문헌 1).
이러한 배경 하에서 최근 유산균을 이용한 파킨슨병의 예방 및 치료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파킨슨병의 증상 중 변비를 제외한 운동 실조 증상 및 우울증이나 불안장애와 같은 정신적 증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유산균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바, 파킨슨병에 의한 운동 실조 증상과 함께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를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유산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Xin Fang, Microbial treatment: the potential application for Parkinson's disease, Neurological Sciences, 2018
본 발명은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Lactobacillus sakei WIKIM31) 균주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퇴행성 뇌질환을 갖는 개체에서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 증상에 대한 개선 효능을 갖는 균주를 찾고자 노력한 결과, 김치로부터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Lactobacillus sakei WIKIM31) 균주를 직접 투여한 후 마우스 모델에 파킨슨병을 유도한 결과, 마우스의 우울증, 불안장애와 같은 정신적 증상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Lactobacillus sakei WIKIM31) 균주는 김치 유래의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균주이다. 비록 본 발명에서의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 균주를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수탁번호 KFCC11654P로 기탁된 균주를 사용하였으나, 이의 입수 경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Lactobacillus sakei WIKIM31; 수탁번호 KFCC11654P) 균주는 그람 양성균이고 호기적 조건과 혐기적 조건에서 모두 성장이 가능한 통성 혐기성(facultative anaerobe)이며, 간균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Lactobacillus sakei WIKIM31; 수탁번호 KFCC11654P),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이의 발효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은 생균체 또는 사균체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또한 건조 또는 동결건조된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다양한 조성물 내에 포함시키기 적합한 유산균의 형태 및 제제화 방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은 공지의 액체 배지 또는 고체 배지에서 배양시켜 수득한 배양물이거나,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이거나,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이거나, 상기 균주와 추가의 성분을 함께 배양하여 수득한 발효물이거나, 상기 균주를 유기용매로 추출한 추출물, 상기 균주의 세포막을 용해시키거나, 파쇄 또는 균질화 처리한 용해물(또는 파쇄물) 등의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생균 또는 사균으로 존재하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 균주를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Lactobacillus sakei WIKIM31; 수탁번호 KFCC11654P),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 균주는 김치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으며, 앞서 기술한 모든 내용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우울증”은 주로 슬픔, 무미, 감정의 상실, 무쾌감증(쾌감의 결여), 또는 환각, 망상 등의 행동을 시행하는 신경정신 장애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신운동의 저하, 염세와 절망에 사로잡히게 되고 자살의욕을 느껴 자살기도에까지 이르게 되는 질병을 말한다. 상기 우울증은 식욕 저하, 불면, 변비, 성욕감퇴 또는 면역기능 저하로 인한 질병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짐 등 다양한 신체적 증상을 동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활동성이 감소하는 증상을 의미한다. 또한, “불안 장애”는 불안한 감정으로 인한 심장 박동 증가, 호흡수 증가, 공황장애, 공포, 발한 등의 신체적 또는 행동 증상이 나타나는 신경정신 장애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절부절 못하고 밀폐된 공간에서 구석으로만 위치하려는 것을 의미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불안장애의 예로는 공포장애, 공황장애, 범불안장애, 강박장애 등이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우울증과 불안장애는 퇴행성 뇌질환을 갖는 개체에서의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일 수 있다.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루게릭병(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크로이츠펠트-야콥병(Creutzgeldt-Jacob disease), 뇌졸중(stroke),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학습장애(learning disorder), 인지장애(cognitive impairment) 및 기억력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Lactobacillus sakei WIKIM31; 수탁번호 KFCC11654P)의 투여에 따른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에 대한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동물 모델에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 균주를 투여하고 파킨슨병을 유도한 후 오픈필드(open field)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 균주를 섭취시킨 실험군에서 전체적인 움직임(운동량)이 증가하였으며, 탐색행동과 중심 부위(center zone)에서 머문 시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를 갖는 개체에서 움직임 없이 가만히 있는 시간이 길게 나타나는 것을 고려하면,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 균주의 투여에 의해 운동량이 증가한 결과로부터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를 예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활용될 경우,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또는 조미료, 음료, 바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발효유 등의 음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 또는 이의 배양물로 이루어지는 발효용 유산균 스타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당, 옥수수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비타민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 제조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Lactobacillus sakei WIKIM31; 수탁번호 KFCC11654P),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이의 발효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료상 유효량의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이의 발효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대상체”는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포유동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 또는 동물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대상체는 퇴행성 뇌질환을 갖는 개체 중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 증상을 보이는 개체일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된 “퇴행성 뇌질환”은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루게릭병(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크로이츠펠트-야콥병(Creutzgeldt-Jacob disease), 뇌졸중(stroke),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학습장애(learning disorder), 인지장애(cognitive impairment) 및 기억력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파킨슨병일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 균주의 투여군에 파킨슨병을 유도한 결과, 음성 대조군(PBS 섭취군)에 비해 전체적인 운동량이 증가하고, 행동탐색과 중심 부위(center zone)에 머문 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 균주를 통해 파킨슨병 마우스 모델의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가 개선됨을 확인함으로써,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약학 조성물은 경구,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또는 흉골내 등의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상당히 자극하지 않고 투여 성분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또는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및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조직 또는 장기에 주입하기에 적합한 주사제의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또한, 등장성 멸균 용액, 또는 경우에 따라 멸균수나 생리식염수를 첨가하여 주사 가능한 용액이 될 수 있는 건조 제제(특히 동결 건조 제제)로 제형화할 수도 있다. 또한, 표적 기관에 특이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표적 기관 특이적 항체 또는 기타 리간드를 상기 담체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충진제, 부형제, 붕해제, 결합제 및 활택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상 투여시에 근육 정맥, 또는 복강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주사를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Hank 용액, Ringer 용액, 또는 생리 식염수 버퍼와 같은 약리학적으로 맞는 버퍼로 제형될 수 있다. 점막 투과 투여를 위해서, 통과할 배리어에 적합한 비침투성제가 제형에 사용된다. 그러한 비침투성제들은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량"은 목적하는 치료되어야 할 특정 질환의 발병 또는 진행을 지연하거나 전적으로 중지시키는 데 필요한 양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의 유효량은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이루는데 요구되는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유효량은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다른 성분의 종류 및 함량,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적합한 총 1일 사용량은 올바른 의학적 판단 범위 내에서 처치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본 발명의 목적상,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 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치료”는 이롭거나 바람직한 임상적 결과를 수득하기 위한 접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이롭거나 바람직한 임상적 결과는 비제한적으로, 증상의 완화, 질병 범위의 감소, 질병 상태의 안정화(즉, 악화되지 않음), 질병 진행의 지연 또는 속도의 감소, 질병 상태의 개선 또는 일시적 완화 및 경감(부분적이거나 전체적으로), 검출 가능하거나 또는 검출되지 않거나의 여부를 포함한다. 또한, “치료”는 치료를 받지 않았을 때 예상되는 생존율과 비교하여 생존율을 늘이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치료”는 치료학적 치료 및 예방적 또는 예방 조치 방법 모두를 가리킨다. 상기 치료들은 예방되는 장애뿐만 아니라 이미 발생한 장애에 있어서 요구되는 치료를 포함한다. 질병을 “완화”하는 것은 치료를 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질병 상태의 범위 및/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임상적 징후가 감소되거나 및/또는 진행의 시간적 추이(time course)가 늦춰지거나 길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Lactobacillus sakei WIKIM31; 수탁번호 KFCC11654P) 균주의 양은 1회를 기준으로 약 106 내지 1012 cfu/ml일 수 있으며, 예컨대 107 내지 1011 cfu/ml, 108 내지 1010 cfu/ml일 수 있다. 균주를 투여할 경우에는 생균 상태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섭취 전에 사멸시키거나 감쇄(attenuation) 상태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배양 상등액 등을 사용하여 제조할 경우에는 열처리 과정을 통한 멸균화 과정을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최소의 효능을 가지는데 필요한 균주량 및 일일 섭취 정도는 섭취자의 신체 또는 건강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약 106 내지 1012 cfu/ml일 수 있으며, 예컨대 107 내지 1011 cfu/ml, 108 내지 1010 cfu/m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Lactobacillus sakei WIKIM31; 수탁번호 KFCC11654P) 균주는 우울증과 불안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정신 장애의 예방, 개선 및 치료 용도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파킨슨병을 갖는 마우스 모델에서의 오픈 필드 테스트(open filed test)를 수행한 결과이다(brown: 마우스의 일반적인 움직임(X, Y 원적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움직임; blue: 마우스의 탐색 행동(X, Y, Z1 축의 원적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움직임, Naive: 무처리군, MPTP: 음성 대조군(PBS 섭취 후 파킨슨병 유발), WIKIM31: WIKIM31 섭취군(WIKIM31 섭취 후 파킨슨병 유발)).
도 2는 파킨슨병을 갖는 마우스 모델에서의 오픈 필드 테스트 수행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a)는 플라스틱 상자 내부에서 마우스가 움직인 거리를 통해 전체 운동량을 나타낸 것이며, (b)는 중심 부위에서 머문 시간을 나타낸 것이고, (c)는 마우스가 뒷발로 중심을 잡으며 일어나는 행동을 나타낸 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 균주 배양액의 준비
김치로부터 유래하고,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수탁번호 KFCC11654P로 수탁된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Lactobacillus sakei WIKIM31) 균주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 균주는 MRS 배지에서 30℃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균체를 8,0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PBS로 헹궈서 남아있는 배지 성분을 제거하였다. PBS를 이용하여 1×1010 CFU/mL 균수로 정량화하였으며, 0.2 ㎖ (1×109 CFU)씩 존재를 이용하여 실험 동물에 주 5회 경구투여하고, 음성 및 양성 대조군에는 멸균 PBS를 투여하였다.
실시예 2: 동물모델에서의 우울증 및 불안장애 증상 예방 또는 개선 효과 확인
8주령의 수컷 생쥐 (C57BL/6)를 일주일간 사육실에서 적응하게 하고, 30일간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Lactobacillus sakei WIKIM31)를 경구 투여하였다. 이후 MPTP (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를 복강내 주사하여 파킨슨병을 유발한 후,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의 효과를 확인하여 도 1 및 2에 나타내었다. 이때, 도 1 및 2에서 Naive는 정상 마우스 모델이며, MPTP는 PBS를 경구 투여한 후 파킨슨병을 유발한 마우스 모델이고, WIKIM31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를 경구 투여한 후 파킨슨병을 유발한 마우스 모델이다.
파킨슨병을 갖는 동물모델에 불안증상을 평가하기 위해 오픈필드(open field) 분석을 수행하였다. 오픈필드 분석은 도망치거나 숨을 수 없는 넓은 새로운 공간에 실험동물을 노출시킨 후 탐색행동을 관찰하여 이를 바탕으로 실험동물의 불안 수준을 검사하기 위해 실시한다. 오픈필드 분석에 사용되는 사각형 모양의 플라스틱 상자(가로 45cm, 세로 45cm, 높이 40cm)의 영역은 3 x 3으로 나눈다. 마우스가 오픈필드 내에서 위치하는 구역 분석, 마우스의 이동 거리 등의 활동성 분석 그리고 뒷발로 중심을 잡으며 일어나 탐색 행동하는 시간(rearing)을 분석하여 실험동물의 불안 정도를 알 수 있다. 이때, 동물의 행동은 TSE Multi Conditioning system (TSE systems, USA) Actimot 비디오 추적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비디오 카메라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100 cm인 천장 중앙부에 설치하였고, 각각의 오픈필드 테스트용 플라스틱 상자(가로 45cm, 세로 45cm, 높이 40cm)를 찍을 수 있게 하였다. 오픈필드 내 동물의 위치는 ActiMot 프레임 (TSE systems, USA)의 원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 분석하였다. 마우스를 플라스틱 상자 안에서 1분 동안 적응시키고, 다음 10분 동안의 행동을 기록하였다. 플라스틱 상자의 중심 부위(center zone)는 가로 15cm, 세로 15cm로 지정하였다.
오픈필드 분석 결과, PBS를 처리한 음성 대조군에 비해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Lactobacillus sakei WIKIM31)의 섭취군에서 전체 운동량이 증가하였으며(도 1 및 도 2의 (a)), 중심 부위에서 머문 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의 (b)). 또한,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탐색 행동 시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도 2의 (c)).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Lactobacillus sakei WIKIM31)의 섭취를 통해 MPTP 약물에 의한 우울증과 불안 장애 증상이 유의적으로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 < 0.05).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내) KFCC11654P 20160304

Claims (10)

  1.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Lactobacillus sakei WIKIM31; 수탁번호 KFCC11654P),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건강기능식품인 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음료, 바 또는 발효유인 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는 퇴행성 뇌질환을 갖는 개체에서의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인 식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퇴행성 뇌질환은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루게릭병(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크로이츠펠트-야콥병(Creutzgeldt-Jacob disease), 뇌졸중(stroke),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학습장애(learning disorder), 인지장애(cognitive impairment) 및 기억력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식품 조성물.
  6.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Lactobacillus sakei WIKIM31; 수탁번호 KFCC11654P),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이의 발효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는 퇴행성 뇌질환을 갖는 개체에서의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인 약학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퇴행성 뇌질환은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루게릭병(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크로이츠펠트-야콥병(Creutzgeldt-Jacob disease), 뇌졸중(stroke),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학습장애(learning disorder), 인지장애(cognitive impairment) 및 기억력 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약학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 정맥내 투여, 복강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및 직장내 투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투여 경로로 투여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WIKIM31을 1×106 CFU/ml 내지 1×1012 CFU/ml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190021068A 2019-02-22 2019-02-22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능을 갖는 김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KR102148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068A KR102148707B1 (ko) 2019-02-22 2019-02-22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능을 갖는 김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JP2021571492A JP2022520904A (ja) 2019-02-22 2020-02-20 うつ病及び不安障害の予防、改善又は治療効能を有するキムチ乳酸菌ラクトバチルスサケイ
CN202080015045.XA CN113556945A (zh) 2019-02-22 2020-02-20 对抑郁症及焦虑症具有预防、改善或治疗功效的作为泡菜乳酸菌的沙克乳酸杆菌
AU2020225096A AU2020225096A1 (en) 2019-02-22 2020-02-20 Kimchi Lactobacillus Sakei having prophylactic, ameliorating or therapeutic effect on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s
PCT/KR2020/002490 WO2020171633A1 (ko) 2019-02-22 2020-02-20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능을 갖는 김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US17/432,812 US20220118034A1 (en) 2019-02-22 2020-02-20 Kimchi lactobacillus sakei having prophylactic, ameliorating or therapeutic effect on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s
EP20760061.0A EP3928637A4 (en) 2019-02-22 2020-02-20 KIMCHI'S LACTOBACILLUS SAKEI HAVING A PROPHYLACTIC, ATTENUATING OR THERAPEUTIC EFFECT ON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068A KR102148707B1 (ko) 2019-02-22 2019-02-22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능을 갖는 김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707B1 true KR102148707B1 (ko) 2020-08-31

Family

ID=72144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068A KR102148707B1 (ko) 2019-02-22 2019-02-22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능을 갖는 김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118034A1 (ko)
EP (1) EP3928637A4 (ko)
JP (1) JP2022520904A (ko)
KR (1) KR102148707B1 (ko)
CN (1) CN113556945A (ko)
AU (1) AU2020225096A1 (ko)
WO (1) WO202017163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9514A1 (ko) * 2020-08-20 2022-02-24 주식회사 리스큐어바이오사이언시스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세포밖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WO2022065568A1 (ko) * 2020-09-23 2022-03-31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290B1 (ko) * 2007-10-25 2010-02-16 두두원발효(주)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요구르트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36033B1 (ko) * 2016-05-09 2017-05-17 한국식품연구원 항비만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KR20180019474A (ko) * 2016-08-16 2018-02-26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유래 소포를 포함하는 정신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6455A (ja) * 2005-10-07 2007-05-24 Fuji Chem Ind Co Ltd 脳機能障害の改善剤
KR101415801B1 (ko) * 2012-06-08 2014-07-08 한국 한의학 연구원 보중익기탕의 유산균 발효물 및 이의 용도
EP2937424B1 (en) * 2014-04-23 2017-03-29 National Yang-Ming University Lactic acid bacterium,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their use
US20180271919A1 (en) * 2015-02-03 2018-09-27 Winclove Holding B.V. Probiotic composition at least comprising bifidobacterium bifidum w23 and capable of controlling intestinal barrier function
KR20170032815A (ko) * 2015-09-15 2017-03-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유산균 및 퇴행성 뇌질환 또는 인지기능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3568460A4 (en) * 2017-01-13 2020-09-23 Bened Biomedical Co., Ltd. NOVEL LACTIC ACID BACTERIA AND THEIR APPLICATIONS
JP7210032B2 (ja) * 2017-06-02 2023-01-23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オタゴ 産後うつ病及び産後不安の少なくとも1つを治療する又は予防するための乳酸菌の使用
KR20200076001A (ko) * 2018-12-18 2020-06-29 동화약품주식회사 체중 및 체지방 감소 효능을 갖는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290B1 (ko) * 2007-10-25 2010-02-16 두두원발효(주)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요구르트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36033B1 (ko) * 2016-05-09 2017-05-17 한국식품연구원 항비만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KR20180019474A (ko) * 2016-08-16 2018-02-26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유래 소포를 포함하는 정신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63957B1 (ko) * 2016-08-16 2019-03-29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락토바실러스 속 세균 유래 소포를 포함하는 정신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Xin Fang, Microbial treatment: the potential application for Parkinson's disease, Neurological Sciences, 2018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9514A1 (ko) * 2020-08-20 2022-02-24 주식회사 리스큐어바이오사이언시스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세포밖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WO2022065568A1 (ko) * 2020-09-23 2022-03-31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probio-65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20904A (ja) 2022-04-01
US20220118034A1 (en) 2022-04-21
EP3928637A4 (en) 2022-12-07
CN113556945A (zh) 2021-10-26
EP3928637A1 (en) 2021-12-29
WO2020171633A1 (ko) 2020-08-27
AU2020225096A1 (en)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01837B2 (ja) ロイコノストック・シトレウムwikim0104を含む肥満または脂肪肝疾患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CN107105742B (zh) 含有白扁豆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预防或改善非酒精性脂肪肝疾病的组合物
US11324794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decrease in intestinal function, comprising bamboo shoot hydrolyzate or fermented bamboo shoot as active ingredient
JP7210751B2 (ja) ペディオコッカスイノピナタスを含む退行性脳疾患の予防、改善又は治療用組成物
KR102148707B1 (ko) 우울증 및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능을 갖는 김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JPWO2008155998A1 (ja) 抗不安抗うつ剤
KR20200061773A (ko) 기억력 개선용 유산균의 배양방법 및 상기 배양방법으로 배양된 유산균
Kurpad Potential of probiotics in hypercholesterolemia: a review of in vitro and in vivo findings
KR101992331B1 (ko) 피부 미백 및 보습개선 활성을 갖는 류코노스톡 시트리움 WiKim005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6975769B2 (ja) 眼疲労の抑制又は改善用組成物
EP4180051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EP4183264A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brain disease comprising pediococcus inopinatus or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therefrom as active ingredient
KR101600884B1 (ko)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변비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US20240108665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sleep disorders,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gut microbiota or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therefrom
KR102404016B1 (ko) 락토코커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균주 및 이의 퇴행성 뇌질환에 대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
RU2791695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облегчения симптомов или лечения нейродегенератив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содержащая pediococcus inopinatus
KR102152174B1 (ko) 큰뱀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2182B1 (ko) 큰뱀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 증상 또는 스트레스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70357B1 (ko) 락토코커스 락티스 q1 균주를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20240038852A (ko) 신규한 복합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20023301A (ko)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세포밖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20220002114A (ko) 프로바이오틱 균주로 발효한 식용 곤충 발효물 및 이의 용도
KR20220112192A (ko) 장내 미생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세포밖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9922815A (zh) 无病率降低抑制剂
CN105147740A (zh) 一种改善脑缺血损伤的药物组合物及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