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990B1 -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열 성능이 우수한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열 성능이 우수한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990B1
KR102147990B1 KR1020200022466A KR20200022466A KR102147990B1 KR 102147990 B1 KR102147990 B1 KR 102147990B1 KR 1020200022466 A KR1020200022466 A KR 1020200022466A KR 20200022466 A KR20200022466 A KR 20200022466A KR 102147990 B1 KR102147990 B1 KR 102147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lyurea
mixed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철
김언곤
Original Assignee
유진건설 주식회사
김언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건설 주식회사, 김언곤 filed Critical 유진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2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9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2Polyu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09Processes comprising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involving reaction of a part of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with each other in the reaction mixture
    • C08G18/092Processes comprising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involving reaction of a part of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with each other in the reaction mixture oligomerisation to isocyanurat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15Monohydroxy compounds
    • C08G18/282Alkanols, cycloalkanols or arylalkanols including terpene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발명에 의하면,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에틸포스핀, 1-클로로-2메틸프로판, 메틸싸이클로펜탄, 에틸싸이클로뷰탄, 1,2-디브로모헥산 및 메틸비닐케톤을 혼합하여 폴리우레아 A액을 제조하고 아릴아민, 페닐하이드라진, 1-프로판올, 싸이클로헥사논, 싸이클로펜타디엔, 메틸아이오다이드 및 2-플로로-4-나이트로-메톡시벤젠을 혼합하여 폴리우레아 B액을 제조한 후, A액과 B액을 소정의 부피비로 혼합한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열 성능이 우수한 방수공법{Polyurea waterproof ag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xcellent thermo shield function waterproof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에틸포스핀, 1-클로로-2메틸프로판, 메틸싸이클로펜탄, 에틸싸이클로뷰탄, 1,2-디브로모헥산 및 메틸비닐케톤을 혼합하여 폴리우레아 A액을 제조하고 아릴아민, 페닐하이드라진, 1-프로판올, 싸이클로헥사논, 싸이클로펜타디엔, 메틸아이오다이드 및 2-플로로-4-나이트로-메톡시벤젠을 혼합하여 폴리우레아 B액을 제조한 후, A액과 B액을 소정의 부피비로 혼합한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열 성능이 우수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분에 의한 부식이나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방수 또는 방식 처리를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방수 처리는 일반적으로 방수용 수지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종래 일반적인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방수 공법은, 등록특허 10-1215403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방수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표면에 묻은 오염물을 제거하고 평탄화하는 전처리 단계와, 상기 전처리된 표면에 프라이머를 코팅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폴리우레아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폴리우레아의 분자는 보통의 경우 유연성을 크게 하는 요소와 경도를 크게 하는 요소들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에 의하면, 유연성을 크게 하는 요소는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것으로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알킬디올 등으로 중량 평균분자량이 400-5000 사이일 때 유연성이 커지고, 경도를 크게 하려면 높은 Tg를 갖고 있으며 준결정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가 낮은 분자량의 사슬 확장자에 결합하면 경도가 커진다.
일반적으로 폴리우레아는 사슬 확장자와 낮은 분자량 을 갖는 디아민류와 합성되어 우레아 단위체를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폴리우레아는 선택된 물질이나 분자량, 또는 반응되는 비율 등의 기타 다양한 요소에 의하여 그 성질이 폭 넓게 변화되어 나타난다. 즉, 그 성질이 부스러지기 쉬운 물질에서 단단한 물질 또는 부드러운 물질, 더 나아가서는 어떤 점성을 갖는 물질로 변화가 가능하다. 특히 폴리우레아의 경우에는 지방산의 아미드 에스테르 결합이 혼합된 결합을 가지므로 고온에서의 성질은 이들 폴리에스테르계와 폴리아미드계의 중간적 성질을 가지고 있다.
폴리우레아의 합성은 부가반응과 축합반응의 두 개의 큰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부가반응은 불포화 단량체가 반응 개시 단계, 전개 단계, 종결 단계에서 반응하여 일어난다. 보통 단량체들은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는 간단한 분자들인데 개시단계에서 두 개의 이중결합 중 하나가 깨지면서 반응 하는데 미반응 단량체가 거의 희박할 때까지 빠르게 반응이 진행된다.
대부분의 경우 부가반응은 부생산물을 만들지 않고 진행된다. 축합 또는 단계적 성장 반응은 단량체들이 고분자의 사슬을 형성하기 위해 만들어진 단계에서 이중 작용기를 갖는 분자와 반응할 때 일어난다. 이는 작은 분자량을 갖는 분자들 간의 축합반응과 유사하다. 이때 작은 분자인 물이나 이산화탄소 같은 물질은 제거되기도 한다.
부가반응은 균일 고분자나 공중합체로 구분할 수 있는데, 공중합체의 미세한 형태는 무작위, 교차, 덩어리 형태로 나눌 수 있지만 이는 반응 조건이나 농도, 단량체의 반응성 비율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더군다나 최종 반응 생성물인 고분자들의 반응 후 분자량이나 분자량의 분포 등을 제어하는 것은 사슬 형태를 변화시키는 시약을 사용하여 제어하는 축합반응보다도 더 어려운 것이다. 반응성의 조절은 음이온 고분자화법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거의 단일 연쇄상 분포의 합성도 가능하다. 축합반응은 공중합 고분자물질을 만들 때도 사용 된다. 이중 작용기를 갖는 단량체 들은 사슬형 고분자를 만들기 위해 이용되고 삼중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것은 삼차원적 공간에 교차 결합 고분자 망을 구성할 수도 있다.
폴리우레아는 관능기를 갖는 폴리옥시에테르 폴리아민 혼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의 반응으로 형성되는 엘라스토머 특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 아민과 이소시아네이트의 급속한 반응성 때문에, 일반적으로 상온에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없으며 특수한 스프레이 장비를 이용하여 도장작업을 진행한다. 그리고 폴리우레아는 합성고무와 같은 엘라스토머 성질을 가지므로 난연성이 저조하여 화재에 취약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에틸포스핀, 1-클로로-2메틸프로판, 메틸싸이클로펜탄, 에틸싸이클로뷰탄, 1,2-디브로모헥산 및 메틸비닐케톤을 혼합하여 폴리우레아 A액을 제조하고 아릴아민, 페닐하이드라진, 1-프로판올, 싸이클로헥사논, 싸이클로펜타디엔, 메틸아이오다이드 및 2-플로로-4-나이트로-메톡시벤젠을 혼합하여 폴리우레아 B액을 제조한 후, A액과 B액을 소정의 부피비로 혼합한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열 성능이 우수한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소시아누레이트 100중량부에 트리에틸포스핀 70-90중량부, 1-클로로-2메틸프로판 60-80중량부, 메틸싸이클로펜탄 50-70중량부, 에틸싸이클로뷰탄 40-60중량부, 1,2-디브로모헥산 30-50중량부 및 메틸비닐케톤 20-40중량부가 혼합되고 50℃-70℃의 온도에서 승온된 후 3-5시간 반응되어 제조되는 A액과, 아릴아민 100중량부에 페닐하이드라진 60-80중량부, 1-프로판올 50-70중량부, 싸이클로헥사논 40-60중량부, 싸이클로펜타디엔 30-50중량부, 메틸아이오다이드 20-40중량부 및 2-플로로-4-나이트로-메톡시벤젠 10-30중량부이 혼합되어 제조되는 B액을 포함하고, 상기 A액과 B액이 5:5 내지 7:3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소시아누레이트 100중량부에 트리에틸포스핀 70-90중량부, 1-클로로-2메틸프로판 60-80중량부, 메틸싸이클로펜탄 50-70중량부, 에틸싸이클로뷰탄 40-60중량부, 1,2-디브로모헥산 30-50중량부 및 메틸비닐케톤 20-40중량부가 혼합되고 50℃-70℃의 온도에서 승온된 후 3-5시간 반응되어 폴리우레아 A액이 제조되는 단계와; 아릴아민 100중량부에 페닐하이드라진 60-80중량부, 1-프로판올 50-70중량부, 싸이클로헥사논 40-60중량부, 싸이클로펜타디엔 30-50중량부, 메틸아이오다이드 20-40중량부 및 2-플로로-4-나이트로-메톡시벤젠 10-30중량부이 혼합되어 폴리우레아 B액이 제조되는 단계와; 상기 A액과 B액이 5:5 내지 7:3의 부피비로 혼합되어 제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시공 표면이 전처리되는 단계와; 상기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가 제조되는 단계와; 도포 또는 분사수단에 의해 상기 시공 표면에 소정의 두께로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가 도포 또는 분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공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에틸포스핀, 1-클로로-2메틸프로판, 메틸싸이클로펜탄, 에틸싸이클로뷰탄, 1,2-디브로모헥산 및 메틸비닐케톤을 혼합하여 폴리우레아 A액을 제조하고 아릴아민, 페닐하이드라진, 1-프로판올, 싸이클로헥사논, 싸이클로펜타디엔, 메틸아이오다이드 및 2-플로로-4-나이트로-메톡시벤젠을 혼합하여 폴리우레아 B액을 제조한 후, A액과 B액을 소정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난연 성능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는, 기본적으로, 이소시아누레이트에 트리에틸포스핀, 1-클로로-2메틸프로판, 메틸싸이클로펜탄, 에틸싸이클로뷰탄, 1,2-디브로모헥산 및 메틸비닐케톤이 혼합되어 제조되는 폴리우레아 A액과, 아릴아민에 페닐하이드라진, 1-프로판올, 싸이클로헥사논, 싸이클로펜타디엔, 메틸아이오다이드 및 2-플로로-4-나이트로-메톡시벤젠이 혼합되어 제조되는 폴리우레아 B액이 소정의 부피비로 혼합되어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는, 이소시아누레이트 100중량부에 트리에틸포스핀 70-90중량부, 1-클로로-2메틸프로판 60-80중량부, 메틸싸이클로펜탄 50-70중량부, 에틸싸이클로뷰탄 40-60중량부, 1,2-디브로모헥산 30-50중량부 및 메틸비닐케톤 20-40중량부가 혼합되고 50℃-70℃의 온도에서 승온된 후 3-5시간 반응되어 폴리우레아 A액이 제조되고, 아릴아민 100중량부에 페닐하이드라진 60-80중량부, 1-프로판올 50-70중량부, 싸이클로헥사논 40-60중량부, 싸이클로펜타디엔 30-50중량부, 메틸아이오다이드 20-40중량부 및 2-플로로-4-나이트로-메톡시벤젠 10-30중량부이 혼합되어 폴리우레아 B액이 제조된 후, 상기 A액과 B액이 5:5 내지 7:3의 부피비로 혼합되어 제조된다.
여기서, 상기 A액의 혼합물들의 중량부는 이소시아누레이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고, 상기 B액의 혼합물들의 중량부는 아릴아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제조방법은, 이소시아누레이트 100중량부에 트리에틸포스핀 70-90중량부, 1-클로로-2메틸프로판 60-80중량부, 메틸싸이클로펜탄 50-70중량부, 에틸싸이클로뷰탄 40-60중량부, 1,2-디브로모헥산 30-50중량부 및 메틸비닐케톤 20-40중량부가 혼합되고 50℃-70℃의 온도에서 승온된 후 3-5시간 반응되어 폴리우레아 A액이 제조되는 단계와, 아릴아민 100중량부에 페닐하이드라진 60-80중량부, 1-프로판올 50-70중량부, 싸이클로헥사논 40-60중량부, 싸이클로펜타디엔 30-50중량부, 메틸아이오다이드 20-40중량부 및 2-플로로-4-나이트로-메톡시벤젠 10-30중량부이 혼합되어 폴리우레아 B액이 제조되는 단계와, 상기 A액과 B액이 5:5 내지 7:3의 부피비로 혼합되어 제조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A액의 혼합물들의 중량부는 이소시아누레이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고, 상기 B액의 혼합물들의 중량부는 아릴아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는, 콘크리트와의 흡착 및 접착 기능을 제공하는 물질로서, 상기 주제인 A액과 경화제인 B액의 혼합물 또는 조성물의 반응속도를 빠르게 하여 단시간 내에 상기 혼합물들이 프리폴리머로 전환되도록 하고 반응을 종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트리에틸포스핀은, 상기 조성물들과의 반응 시간을 결정하고 흡착 기능을 제공하는 물질로서,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70-90중량부가 혼합되는데, 상기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들의 반응속도가 너무 빨라지게 되어 교반성 및 시공성이 저하되고, 상기 중량부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들의 반응속도가 너무 느려지게 되어 작업 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범위의 중량부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클로로-2-메틸프로판은, 상기 조성물들과 반응하여 도막층을 형성하는 물질로서,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60-80중량부가 혼합되는데, 상기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성이 너무 커지게 되어 시공성이 저하되고, 상기 중량부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접착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범위의 중량부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틸싸이클로펜탄은, 도막의 접착 강도 즉,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결정하는 물질로서,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0-70중량부가 혼합되는데, 상기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복합물의 점도가 높아지게 되어 교반 작업이 불편해지고, 상기 중량부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복합물의 저장 안정성이 저조하게 되어 도막층의 접착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범위의 중량부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싸이클로뷰탄은, 상기 메틸싸이클로펜탄과 함께 도막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물질로서,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40-60중량부가 혼합되는데, 상기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복합물의 강도가 높아지게 되어 경화후에 오히려 충격 완화 기능이 저하되어 내구성이 저하되고, 상기 중량부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복합물의 강도가 낮아지게 되어 도막층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범위의 중량부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2-디브로모헥산은, 상기 조성물들의 점도를 조절하여 교반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물질로서,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30-50중량부가 혼합되는데, 상기와 같은 중량부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도막 방수제의 전반적인 점도와 혼합율 등의 물리적 특성이 저하되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틸비닐케톤은, 상기 1,2-디브로모헥산와 함께 조성물들의 점도를 조절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물질로서, 상기 이소시아누레이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0-40중량부가 혼합되는데, 상기와 같은 중량부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점도가 높은 경우에는 분사나 도포시 평탄화 작업이 불편하고 반대로 점도가 낮은 경우에는 경사면에 흡착되지 못하고 흐르게 되는 등의 작업성이 저하되므로 상기와 같은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A액은, 이소시아누레이트에 트리에틸포스핀, 1-클로로-2메틸프로판, 메틸싸이클로펜탄, 에틸싸이클로뷰탄, 1,2-디브로모헥산 및 메틸비닐케톤이 혼합된 후, 50-70℃의 온도로 승온되고 3-5시간 반응되어 제조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A액의 조성물들이 혼합 및 적하되는 온도를 50-70℃로 한정하는 것은, 적하온도 즉, 교반온도가 상기 온도보다 낮으면 팽윤율이 저하되고, 교반온도가 상기 온도보다 높으면 과팽윤이 발생되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범위의 교반온도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액의 조성물들이 적하되는 시간이 3-5시간으로 한정하는 것은, 적하시간 즉, 교반시간이 상기 시간 보다 짧으면 팽윤이 잘 안되고, 교반시간이 상기 시간보다 길면 고증점이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범위의 교반시간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릴아민은, 도막 방수 시공시 부착력 증대와 보관시 층분리 현상을 방지하여 방수성을 제공하는 2액 가교형 합성수지도료이다.
상기 페닐하이드라진은, 도막 방수 시공시 A액과 B액의 조성물들이 신속하게 경화되도록 하는 물질로서, 상기 아릴아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60-80중량부가 첨가되는데, 상기 중량부 보다 적게 첨가되면 경화제의 주요 성분인 폴리머가 주제인 A액과 혼합되기도 전에 보관중 안료 성질의 조성물과 반응되어 경화되고, 상기 중량부 보다 많이 첨가되면 주제인 A액과의 혼합시 교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프로판올은, 상기 페닐하이드라진과 함께 도막 방수 시공시 초고속 경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물질로서, 상기 아릴아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0-70중량부가 첨가되는데, 상기 중량부 보다 적게 첨가되면 교반성이 저하되고, 상기 중량부 보다 많이 첨가되면 결합력이 증대되어 A액과의 혼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싸이클로헥사논은, 도막 방수 시공시 상기 A액과 B액의 혼합액이 분사 장치 또는 도포 장치에 의해 원활하게 분사 또는 도포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물질로서, 상기 아릴아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40-60중량부가 첨가되는데, 상기 중량부 보다 적게 첨가되면 접착 강도가 증가되어 분사 및 도포 작업성이 저하되고, 상기 중량부 보다 많이 첨가되면 접착 강도가 저하되어 접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싸이클로펜타디엔은, 상기 싸이클로헥사논과 함께, 도막 방수 시공시 상기 A액과 B액의 혼합액이 분사 장치 또는 도포 장치에 의해 원활하게 분사 또는 도포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물질로서, 상기 아릴아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30-50중량부가 첨가되는데, 상기 중량부 보다 적게 첨가되면 교반성이 저하되고, 상기 중량부 보다 많이 첨가되면 결합력이 증대되어 주제와의 혼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틸아이오다이드는, 보습 또는 방수 및 열전도율 기능을 통해 난연 성능이 우수해지도록 하는 물질로서, 상기 아릴아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0-40중량부가 첨가되는데, 상기 중량부 보다 적게 첨가되면 보습성, 투습성 및 열전도율이 낮아져 난연 기능이 저하되고, 상기 중량부 보다 많이 첨가되면 오히려 들뜸 현상이 발생되어 투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플로로-4-나이트로-메톡시벤젠은, 상기 메틸아이오다이드와 함께, 도막 방수 시공후 도막층의 접착 강도 향상을 통해 들뜸 또는 분리를 억제하고 이를 통해 난연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물질로서, 상기 아릴아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30중량부가 첨가되는데, 상기 중량부 보다 적게 첨가되면 보습성, 투습성 및 열전도율이 저하되고, 상기 중량부 보다 많이 첨가되면 오히려 들뜸 현상이 발생되어 투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주제인 A액과 경화제인 B액은 5:5 내지 7:3의 부피비로 혼합되도록 하고 있는데, 상기 A액과 B액의 부피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화시간 조절 및 무게평균분자량의 조절에 어려움이 발생되어 경화불량, 들뜸 및 물성 저하로 인하여 균열이 많이 발생하고 난연 성능이 저하되며, 또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범위의 부피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조성물의 효과를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소시아누레이트 100중량부에 트리에틸포스핀 70중량부, 1-클로로-2메틸프로판 60중량부, 메틸싸이클로펜탄 50중량부, 에틸싸이클로뷰탄 40중량부, 1,2-디브로모헥산 30중량부 및 메틸비닐케톤 20중량부가 혼합되고 50℃의 온도에서 승온된 후 3시간 반응되어 폴리우레아 A액이 제조되고, 아릴아민 100중량부에 페닐하이드라진 80중량부, 1-프로판올 70중량부, 싸이클로헥사논 60중량부, 싸이클로펜타디엔 50중량부, 메틸아이오다이드 40중량부 및 2-플로로-4-나이트로-메톡시벤젠 30중량부이 혼합되어 폴리우레아 B액이 제조된 후, 상기 A액과 B액이 5:5의 부피비로 혼합되어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가 제조된다.
이소시아누레이트 100중량부에 트리에틸포스핀 80중량부, 1-클로로-2메틸프로판 70중량부, 메틸싸이클로펜탄 60중량부, 에틸싸이클로뷰탄 50중량부, 1,2-디브로모헥산 40중량부 및 메틸비닐케톤 30중량부가 혼합되고 60℃의 온도에서 승온된 후 4시간 반응되어 폴리우레아 A액이 제조되고, 아릴아민 100중량부에 페닐하이드라진 70중량부, 1-프로판올 60중량부, 싸이클로헥사논 50중량부, 싸이클로펜타디엔 40중량부, 메틸아이오다이드 30중량부 및 2-플로로-4-나이트로-메톡시벤젠 20중량부이 혼합되어 폴리우레아 B액이 제조된 후, 상기 A액과 B액이 6:4의 부피비로 혼합되어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가 제조된다.
이소시아누레이트 100중량부에 트리에틸포스핀 90중량부, 1-클로로-2메틸프로판 80중량부, 메틸싸이클로펜탄 70중량부, 에틸싸이클로뷰탄 60중량부, 1,2-디브로모헥산 50중량부 및 메틸비닐케톤 40중량부가 혼합되고 70℃의 온도에서 승온된 후 5시간 반응되어 폴리우레아 A액이 제조되고, 아릴아민 100중량부에 페닐하이드라진 60중량부, 1-프로판올 50중량부, 싸이클로헥사논 40중량부, 싸이클로펜타디엔 30중량부, 메틸아이오다이드 20중량부 및 2-플로로-4-나이트로-메톡시벤젠 10중량부이 혼합되어 폴리우레아 B액이 제조된 후, 상기 A액과 B액이 7:3의 부피비로 혼합되어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가 제조된다.
한편, 상기 각각의 실시예의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UL94 및 KSF 4922에 의거하여, 시험편을 상기와 같이 제조한 다음 시제품 A사 및 B사와 비교하여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019410719-pat00001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는,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자 구조 내에 강도 및 강인성이 부여되고 방수, 방식, 바닥재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주제와 경화제를 스프레이 장비로 시공을 하면 기존의 도막 방수제에 비하여 내균열성이 우수하여 물성 저하가 발생하지 않고, 이를 통하여 향상된 난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를 이용한 차열 성능이 우수한 방수공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에 의해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가 시공되기 위한 콘크리트 표면이 청소 및 처리된다. 여기서, 콘크리트 표면의 청소는, 콘크리트 표면에 붙어 있는 먼지, 오염물, 또는 오일을 제거하고 시공될 표면의 돌출부가 매끄럽게 처리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후, 상기 실시예1 내지 실시예3들에 대응되는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가 제조된다.
이후, 도포 또는 분사수단에 의해 상기 표면 처리된 시공표면에 소정의 두께로 상기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가 도포 또는 분사된 후 건조되어 도막 시공이 완료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3)

  1. 이소시아누레이트 100중량부에 트리에틸포스핀 70-90중량부, 1-클로로-2메틸프로판 60-80중량부, 메틸싸이클로펜탄 50-70중량부, 에틸싸이클로뷰탄 40-60중량부, 1,2-디브로모헥산 30-50중량부 및 메틸비닐케톤 20-40중량부가 혼합되고 50℃-70℃의 온도에서 승온된 후 3-5시간 반응되어 제조되는 A액과,
    아릴아민 100중량부에 페닐하이드라진 60-80중량부, 1-프로판올 50-70중량부, 싸이클로헥사논 40-60중량부, 싸이클로펜타디엔 30-50중량부, 메틸아이오다이드 20-40중량부 및 2-플로로-4-나이트로-메톡시벤젠 10-30중량부이 혼합되어 제조되는 B액을 포함하고,
    상기 A액과 B액이 5:5 내지 7:3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2. 이소시아누레이트 100중량부에 트리에틸포스핀 70-90중량부, 1-클로로-2메틸프로판 60-80중량부, 메틸싸이클로펜탄 50-70중량부, 에틸싸이클로뷰탄 40-60중량부, 1,2-디브로모헥산 30-50중량부 및 메틸비닐케톤 20-40중량부가 혼합되고 50℃-70℃의 온도에서 승온된 후 3-5시간 반응되어 폴리우레아 A액이 제조되는 단계와;
    아릴아민 100중량부에 페닐하이드라진 60-80중량부, 1-프로판올 50-70중량부, 싸이클로헥사논 40-60중량부, 싸이클로펜타디엔 30-50중량부, 메틸아이오다이드 20-40중량부 및 2-플로로-4-나이트로-메톡시벤젠 10-30중량부이 혼합되어 폴리우레아 B액이 제조되는 단계와;
    상기 A액과 B액이 5:5 내지 7:3의 부피비로 혼합되어 제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제조방법.
  3. 시공 표면이 전처리되는 단계와;
    제1항에 따른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가 제조되는 단계와;
    도포 또는 분사수단에 의해 상기 시공 표면에 소정의 두께로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가 도포 또는 분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를 이용한 차열 성능이 우수한 방수공법.
KR1020200022466A 2020-02-24 2020-02-24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열 성능이 우수한 방수공법 KR102147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466A KR102147990B1 (ko) 2020-02-24 2020-02-24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열 성능이 우수한 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466A KR102147990B1 (ko) 2020-02-24 2020-02-24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열 성능이 우수한 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990B1 true KR102147990B1 (ko) 2020-08-25

Family

ID=72292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466A KR102147990B1 (ko) 2020-02-24 2020-02-24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열 성능이 우수한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9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611B1 (ko) * 2020-12-01 2021-10-13 이훈 친환경 수처리 시설용 항균성 폴리우레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식공법
KR102312613B1 (ko) * 2020-12-01 2021-10-14 이훈 수처리 시설 바닥재용 항균성 폴리우레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식공법
KR102584415B1 (ko) * 2023-07-14 2023-10-05 주식회사 벽산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제조방법 및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와 crc 복합 패널을 이용한 단열 보강 방수 공법
KR102626293B1 (ko) 2023-08-11 2024-01-18 주식회사 에이피텍 폴리우레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식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2106A (ko) * 2009-01-22 2011-11-09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폴리우레탄 실링 화합물
JP2015127368A (ja) * 2013-12-27 2015-07-09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硬化物
KR20160124803A (ko) * 2014-02-20 2016-10-28 바스프 에스이 폴리이소-우레아
KR101924187B1 (ko) * 2018-07-11 2018-11-30 강병준 난연 성능을 가지는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2106A (ko) * 2009-01-22 2011-11-09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폴리우레탄 실링 화합물
JP2015127368A (ja) * 2013-12-27 2015-07-09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硬化物
KR20160124803A (ko) * 2014-02-20 2016-10-28 바스프 에스이 폴리이소-우레아
KR101924187B1 (ko) * 2018-07-11 2018-11-30 강병준 난연 성능을 가지는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611B1 (ko) * 2020-12-01 2021-10-13 이훈 친환경 수처리 시설용 항균성 폴리우레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식공법
KR102312613B1 (ko) * 2020-12-01 2021-10-14 이훈 수처리 시설 바닥재용 항균성 폴리우레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식공법
KR102584415B1 (ko) * 2023-07-14 2023-10-05 주식회사 벽산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제조방법 및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와 crc 복합 패널을 이용한 단열 보강 방수 공법
KR102626293B1 (ko) 2023-08-11 2024-01-18 주식회사 에이피텍 폴리우레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식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990B1 (ko)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열 성능이 우수한 방수공법
EP1056786B1 (en) Waterborne, ambient temperature curable film-forming compositions
KR101854424B1 (ko) 내균열성이 향상되는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846377B1 (ko)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제와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복합 방수 구조 및 공법
CN110891981B (zh) 用于改进塑料的表面性质的辐射可固化的涂料组合物
US10035924B2 (en) Elimination of application streaks of coatings using short fibers
KR101924187B1 (ko) 난연 성능을 가지는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721908B1 (ko)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01865B1 (ko) 폴리우레아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CN101268103A (zh) 在树脂基质上产生粘附涂层的方法
KR101832433B1 (ko) 열교환성이 우수한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JP3290201B2 (ja) プラスチック基板の下塗り方法、そのための塗料組成物及びその使用
CN101268112A (zh) 用于树脂基质的粘附涂层组合物
CN105778750A (zh) 一种双组分纳米聚苯胺-环氧丙烯酸树脂/聚氨酯互穿网络导电防腐涂料的制备方法
KR102262833B1 (ko)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균열보수제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수 및 방식 공법
CN109735035A (zh) 一种pmma增韧剂及由其制备的高韧性pmma组合物
KR102424600B1 (ko)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JPH07166124A (ja) 塗料用樹脂組成物
JP4331948B2 (ja) 制振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制振・遮音材
JPH05320307A (ja) 液状重合体組成物
KR101000068B1 (ko) 아크릴수분산폴리우레탄 하이브리드 복합 시멘트계 탄성 도막방수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2126468B1 (ko) 수중경화형 변성 에폭시계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KR102126474B1 (ko) 고침투 및 초속경화형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방법
JPH07113062A (ja) 塗料用組成物
JP3084227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