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879B1 - 모바일 디바이스들 상의 데이터 시각화물들을 보고 이들과 상호대화하기 위한 확대 툴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들 상의 데이터 시각화물들을 보고 이들과 상호대화하기 위한 확대 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879B1
KR102147879B1 KR1020147015213A KR20147015213A KR102147879B1 KR 102147879 B1 KR102147879 B1 KR 102147879B1 KR 1020147015213 A KR1020147015213 A KR 1020147015213A KR 20147015213 A KR20147015213 A KR 20147015213A KR 102147879 B1 KR102147879 B1 KR 102147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
touch screen
finger
enlarged portion
single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5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5734A (ko
Inventor
브랜든 요시모토
후 장
프래산트 싱
Original Assignee
오라클 인터내셔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라클 인터내셔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오라클 인터내셔날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105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Details, e.g. road map scale, orientation, zooming, illumination, level of detail, scrolling of road map or positioning of current position mark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04Context-preserving transformations, e.g. by using an importance map
    • G06T3/053Detail-in-context present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5Virtual magnifying lens, i.e. window or frame movable on top of displayed information to enlarge it for better reading or sel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Zooming at least part of an image, i.e. enlarging it or shrinking 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9G2340/145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related to small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확대 툴이 제약된 또는 제한된 뷰잉 스크린을 가진 모바일 디바이스 및 어떤 다른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트를 확대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된다.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트를 확대하기 위한 확대 툴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터치스크린 상의 위치 선택을 수신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크린 상의 위치의 포지션을 결정하고, 스크린의 확대할 부분을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스크린의 상기 부분을 확대하고 상기 스크린 상에 상기 확대된 부분을 오버레이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들 상의 데이터 시각화물들을 보고 이들과 상호대화하기 위한 확대 툴{MAGNIFYING TOOL FOR VIEWING AND INTERACTING WITH DATA VISUALIZATIONS ON MOBILE DEVICES}
저작권 공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부분은 저작권 보호를 받는 내용을 포함한다. 저작권자는 미국특허상표청의 특허 파일 또는 기록에 나타난 대로 본 특허 문서 또는 특허 개시내용을 어느 누군가가 팩시밀리 재생하는 것은 반대하지 않지만, 그 밖의 모든 것은 저작권으로 보호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모바일 통신들 및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제약된 또는 제한된 뷰잉 스크린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들 및 어떤 다른 디바이스 상의 데이터의 시각화물(visualization)들을 보고 이들과 상호대화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확대 툴(tool)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많은 서로 다른 형태들의 데이터의 시각화물에 존재하는 밀집한(dense) 데이터를 이해하는 것은 하나의 문제이다. 스크린 사이즈가 제한된 모바일 디바이스들 상에서 이러한 문제는 점점 심각해지고 있는 바, 그 이유는 데이터를 구별하고 기술하기에는 너무 적은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다루는 일 방법은 데이터 상에서 줌인(zoon in)하기 위해 핀치(pinch)와 같은 터치 제스쳐들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이는 작은 객체들을 보는 데 있어 효과적이지만, 사용자의 시야를 컨텐트의 더 작은 부분 전체에 제약해서, 이들이 주변 데이터 상의 컨텍스트를 잃어버리게 한다. 또한, 이전에는, 사용자들은 텍스트 내에서 커서의 포지션을 확대시킴으로서 그 텍스트 내에 커서를 세밀하게 포지셔닝할 수 있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확대 툴이 제약된 또는 제한된 뷰잉 스크린을 가진 모바일 디바이스 및 어떤 다른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트를 확대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된다.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트를 확대하기 위한 확대 툴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터치스크린 상의 위치 선택을 수신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크린 상의 위치의 포지션을 결정하고, 스크린의 확대할 부분을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스크린의 상기 부분을 확대하고 상기 스크린 상에 상기 확대된 부분을 오버레이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확대를 위한 장치가 제공되는 바, 상기 장치는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의 위치 선택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과, 상기 디바이스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상의 위치의 포지션을 결정하고 상기 스크린의 확대할 부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과; 그리고 상기 스크린의 상기 부분을 확대하고, 상기 스크린 상에 상기 확대된 부분을 오버레이하도록 구성된 확대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스크린의 상기 확대된 부분의 중심에 위치된 요소에 대한 툴팁(tooltip)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의 상기 확대된 부분은 상기 스크린 상의 상기 위치의 포지션 위에 디스플레이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의 확대할 부분은 상기 스크린 상의 위치의 포지션 및 거리 메트릭(metric)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은 터치스크린이고, 상기 위치 선택은 상기 스크린을 터치하는 사용자를 통해 수신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스크린 상의 복수의 위치들의 복수의 선택들을 연속적으로(in succession)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장치는 상기 복수의 위치들을 트랙킹하도록 구성된 트랙킹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선택들 각각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위치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스크린의 상기 확대된 부분을 갱신하도록 구성된 갱신 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기술한 바에 따른 장치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바이스 상의 컨텐트를 확대하는 장치가 제공되는 바, 상기 장치는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의 위치 선택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디바이스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상의 위치의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스크린의 확대할 부분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과; 그리고 상기 스크린의 상기 부분을 확대하고 상기 스크린 상에 상기 확대된 부분을 오버레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스크린의 상기 확대된 부분의 중심에 위치된 요소에 대한 툴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의 상기 확대된 부분은 상기 스크린 상의 위치의 포지션 위에 디스플레이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의 확대할 부분은 상기 스크린 상의 위치의 포지션 및 거리 메트릭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은 터치스크린이고, 상기 위치 선택은 상기 스크린을 터치하는 사용자를 통해 수신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스크린 상의 복수의 위치들의 복수의 선택들을 연속적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위치들을 트랙킹하기 위한 수단과; 그리고 상기 복수의 선택들 각각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위치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스크린의 상기 확대된 부분을 갱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들의 도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도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확대된 컨텐트의 도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컨텐트를 확대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대 장치를 도시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발명은 첨부 도면의 도면에서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닌 단지 예로서 도시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참조는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에 대한 것이 아니며, 이러한 참조들은 다양한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특정 구현들이 논의되지만, 이러한 특정 구현은 예시적인 목적으로만 제공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관련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다른 컴포넌트들 및 구성들이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더욱이, 특정 예들에서,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제시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이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분명할 것이다. 다른 예들에서, 잘 알려진 특징들은 본 발명을 모호하게 만들지 않도록 매우 상세하게는 설명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확대 렌즈가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과 같은 밀집한 데이터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일 시간 기간 동안 스크린을 터치할 때, 확대 렌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나타나며, 확대하지 않으면 가시적이지않을 수 있는 세부사항들을 확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확대 렌즈는 스크린의 부분 상에만 나타나서, 사용자가 주변 데이터 상의 컨텍스트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 확대 렌즈는 너무 밀집하게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상호대화할 수 없었던 이러한 작은 데이터 객체들과 상호대화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십자선(crosshair)이 확대 렌즈 내에 나타날 수 있고, 현재의 상호대화 타겟을 표시한다. 이는 모바일 데이터 시각화물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모바일 데이터 시각화물들이 큰 데이터 셋트들을 유용하게 디스플레이하게 한다. 이는 또한, 사용자가 이 모바일 데이터 시각화물과 보다 쉽게 상호대화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들의 도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 하드웨어(102), (모바일 디바이스들용의 모바일 프로세서, 저-전력 프로세서, 또는 다른 특수화된 중앙 처리 유닛과 같은) 프로세서, 메모리(106) 및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108)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하드웨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4)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4)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터치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와 상호대화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또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들 및 스피커들(116)을 포함할 수 있다. 키보드들, 트랙패드들, 및 다른 입력 디바이스들과 같은 추가적인 입력 디바이스들(118)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포함되거나 또는 연결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또한, 블루투스(120), WiFi(122) 및 다양한 셀룰러 및/또는 데이터 네트워크들(124)와 같은 복수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들 및/또는 프로토콜들을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 기술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은 어떤 수의 다른 무선 또는 유선 매체를 통해 통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및 설정들(130), 안드로이드, iOS, 윈도우즈 폰 7 및 8, 및 기타 등등과 같은 운영 체제, 및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13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도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터치-감응형 스크린(터치스크린)(20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터치-감응형 스크린 상에 다양한 서로 다른 컨텐트가 디스플레이된다. 이 예에서, 스캐터 그래프(scatter graph)(204)가 도시된다. 스캐터 그래프들에서, 표식(marker)들은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될 때 거의 항상 크기가 작고 그 수가 많게 나타난다. 추가적인 정보가 (데이터팁으로 지칭되기도 하는)툴팁의 형태로 이용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적인 정보는 스캐터 그래프 상의 표식을 선택함으로써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러나, 그래프 상의 표식들이 얼마나 밀집하게 디스플레이되는지를 고려할 때,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의도되는 표식을 신뢰성있게 선택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전의 시스템들에서, 사용자는 차트의 부분 상에서 줌인하고, 그 다음 개별적인 표식들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줌인했을 때, 이들은 오직 자신이 줌인 한 차트의 작은 부분을 볼수 있어서, (축(axe)들 및 다른 표식들과의 관계와 같은) 차트의 컨텍스트를 손실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확대된 컨텐트의 도해이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터치하거나 홀딩(holding)함으로써 사용자는 그래프 상에 오버레이된 확대 렌즈(300)를 띄울(bring up) 수 있다. 확대 렌즈는 그래프의 부분을 확대하고, 그래프 상의 윈도우에 그 부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304)의 스크린(302) 상에 도시된 데이터와 보다 정밀하게 상호대화하게 할 수 있다. 확대 렌즈는 사용자가 데이터팁을 보기 위해 아이템을 타겟팅하는 동안 세밀한 조정을 하기 위해 자신의 손가락을 움직임에 따라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확대 렌즈의 중심에 관심있는 아이템 또는 요소를 포지셔닝하고, 그 요소와 상호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정보(306)는 확대 렌즈에 도시된 요소에 대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확대 렌즈는 모바일 또는 "터치" 디바이스 상의 데이터 시각화물과 상호대화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 아래/가까이 있는 컨텐트를 확대하는 플로팅 윈도우(floating window)이다. 데이터 시각화 툴(DVT) 컴포넌트들에서, (데이터팁으로서도 지칭되는)툴팁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특별한 조각에 관한 정보에 액세스하는 것은 종종 중요하다. 데스크탑 상에서는, 이러한 액세스는 힘들지 않은 바, 그 이유는 마우스 포인터가 작은 아이템들을 매우 정밀하게 타겟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터치 디바이스들 상에서는, 마우스 포인터가 없어서, 사용자는 그래프와 상호대화하고 데이터팁들에 액세스하기 위해 자신의 손가락을 사용할 것이다. 그러나, 데이터가 전형적으로 손가락 사이즈보다 시각적으로 작기 때문에, 손가락은 이 데이터를 완전히 커버해서, 무엇이 현재 액세스되고 있는지 알기 어렵게 할 것이다. 이는 많은 데이터가 타이트한 공간에 무리를 이루고(clustered) 있을 때 훨씬 더 어렵다. 확대 렌즈는 작은/무리를 이룬 데이터 포인트들 또는 시각적 요소들에 관한 컨텍스트 정보를 보는 것이 터치 디바이스 상의 태스크(task)에 필수적인 경우의 데이터 시각화물에 걸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확대 렌즈는 복수의 서로 다른 타입의 시각화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막대(bar) 그래프에서의 가는(thin) 막대들과 같은 다른 차트들이 있다. 추가적으로, 맵(map)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들 상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피쳐(feature)이고, 확대 렌즈는 특별한 위치에 있는 레스토랑의 위치들을 보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면서도, 맵 상에서 레스토랑의 위치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 간의 시각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린의 부분 상에서 단순히 줌인함이 없이, 상기 스크린 상에 도시된 컨텐트의 부분을 확대시킴으로써, 사용자는 가치있는 컨텍스트 정보를 유지해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유용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확대 렌즈는 데이터의 보다 상세한 층(layer)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맵 상의 스테이트(state)에 의해 선거 데이터를 볼 때, 렌즈는 컨텐츠의 국가 레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에서, 확대는 선택(option)에 따를 수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일반적인 스케일에서 시각화물을 보게 할 수 있다.
확대 렌즈는 필요로 되지 않을 때, 축소 버튼(collapse button)을 누름으로써, 스크린 상의 다른 위치를 터치함으로써, 스크린과의 접촉을 해제함으로써, 제스쳐 또는 다른 유사한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사라지게(dismissed) 할 수 있다. 이는 스크린의 전체 공간이 다른 목적들을 위해 활용(reclaim)될 수 있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컨텐트를 확대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방법은 프로세서(104)가 메모리(106)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108)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때 프로세서(10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400)에서, 스크린 상의 위치 선택이 수신된다. 이는 스크린 상의 특별한 위치 상에 손가락을 터치하고 누른 채(holding down)로 있음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단계(402)에서, 스크린 상의 위치의 포지션이 결정된다. 단계(404)에서, 스크린의 확대할 부분이 결정된다. 이는 상기 포지션 및 거리 메트릭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의 원형 부분이 확대될 것이라면, 거리 메트릭은 소정 반경(radius)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거리 메트릭은 요소들이 확대되는 컨텐트에서 얼마나 밀집하게 나타나는지에 좌우되어 동적으로 계산될 수 있고, 상기 요소들은 사용자가 상호대화할 수 있는 데이터 포인트들 또는 다른 아이템들일 수 있다. 단계(406)에서, 스크린의 부분은 확대되고, 상기 스크린의 확대된 부분은 스크린의 컨텐트 상에 오버레이된다. 확대 렌즈는 손가락의 현재 포지션 위에 시각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확대 렌즈는 주변 컨텐트가 가시적으로 유지되도록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여전히 스크린을 터치하면서 자신의 손가락을 스크린 주위로 움직임에 따라 복수의 위치들이 스크린 상에서 연속적으로 선택될 때, 선택되는 포지션은 트랙킹되며, 확대 렌즈의 컨텐트는 이에 따라 갱신된다. 추가적으로, 툴팁은 스크린의 확대된 부분의 중심에 위치된 요소에 대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스크린으로부터 자신의 손가락을 접촉 해제(release)하거나 제거할 때, 확대 렌즈는 사라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대 장치(500)를 도시한다. 장치(500)는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의 위치 선택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502)과, 상기 디바이스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상의 위치의 포지션을 결정하고 스크린의 확대할 부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504)과; 그리고 상기 스크린의 상기 부분을 확대하고 상기 스크린 상에 상기 확대된 부분을 오버레이하도록 구성된 확대 유닛(50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장치(500)는 상기 스크린의 확대된 부분의 중심에 위치된 요소에 대해 툴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유닛(50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의 확대된 부분은 상기 스크린 상의 위치의 포지션 위에 디스플레이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의 확대할 부분은 상기 스크린 상의 위치의 포지션 및 거리 메트릭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은 터치스크린이고, 상기 위치 선택은 상기 스크린을 터치하는 사용자를 통해 수신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 유닛(502)은 상기 스크린 상에 복수의 위치들의 복수의 선택들을 연속적으로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장치(502)는 상기 복수의 위치들을 트랙킹하도록 구성된 트랙킹 유닛(510) 및 상기 복수의 선택들 각각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위치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스크린의 상기 확대된 부분을 갱신하도록 구성된 갱신 유닛(51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 기술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부 예들은 상기 장치(500)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600)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유닛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이들은 범용 단일 또는 멀티-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현장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어떤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어떤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컨대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계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어떤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유닛들은 소정 기능에 특정한 회로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확대 렌즈 기능은 ADF 태그 API, 예컨대 magnifyl_ens="off (default) | auto"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오토(auto)" 디폴트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또는 "터치" 디바이스들에 대해, 확대 렌즈는 스캐터 그래프들과 같이 시각적으로 밀집한 컨텐트의 특정한 경우를 위해서만 인에이블(enable)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스크탑 디바이스들에 대해, 확대 렌즈는 디폴트로 디스에이블된다.
적절한 소프트웨어 코딩은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분명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시들에 근거하여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준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분명할 바와 같이, ASIC들의 준비에 의해 또는 종래의 컴포넌트 회로들의 적절한 네트워크를 상호연결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제시된 특징들 중 어느 것을 수행하도록 범용 또는 특수화된 컴퓨팅 프로세서(들)/디바이스(들)을 프로그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명령어들이 저장된 스토리지 매체(들)인 컴퓨터 프로그램 물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매체는 이들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음의 플로피 디스크(disk)들, 광학 디스크(disc)들, DVD, CD-ROM들, 마이크로드라이브들, 자기-광학 디스크(disk)들, 홀로그래픽 스토리지, ROM들, RAM들, PRAM들, EPROM들, EEPROM들, DRAM들, VRAM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자기 또는 광학 카드들, (분자 메모리 IC들을 포함하는)나노시스템들을 포함하는 어떤 타입의 물리적 매체; 페이퍼 또는 페이퍼에 기반한 매체; 및 명령어들 및/또는 정보 저장하기에 적절한 어떤 타입의 매체 또는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물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그리고 하나 이상의 공중 및/또는 사설 네트워크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송은 본 명세서에 제시된 기능들 중 어느 것을 수행하도록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전송은 복수의 개별 전송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스토리지 매체는 비 일시적이다(즉, 전송되는 과정에 있지 않고, 물리적 디바이스 상에 유지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들의 상기 상세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위해 제공되었다. 본 설명은 완전한 것이으로 의도되거나 또는 정확히 개시된 형태들로만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많은 수정들 및 변형들이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분명할 것이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 및 이의 실용적 응용을 가장 잘 설명하기 위해 선택 및 기술되었으며, 그럼으로써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이 본 발명을 이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 및 이의 균등물에 의해 한정되어야 함이 의도된다.

Claims (25)

  1.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디바이스 상의 컨텐트(content)를 확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에서 하나 이상의 축에 배열된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을 포함하는 그래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이며;
    상기 그래프의 디스플레이에 응답하여 확대 프로세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제1 위치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터치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제1 위치(location)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터치의 제1 포지션(position)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포지션에서 데이터 요소들의 제1 밀도(density)에 따라 제1 거리 메트릭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터치의 상기 제1 포지션 및 상기 제1 거리 메트릭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터치의 상기 제1 포지션에 응답하여 확대하기 위한 상기 그래프의 제1 부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1 부분을 확대하고, 상기 제1 포지션으로부터 대체된 상기 터치스크린의 그래프 상에 상기 그래프의 제1 확대된 부분을 오버레이(overlay)하여, 상기 제1 확대된 부분을 보는 것이 손가락에 의해 가리지 않도록, 상기 그래프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활성화된 상기 확대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단계;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1 확대된 부분에서 중심에 위치된 상기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 중 제1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를 자동적으로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를 자동적으로 식별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추가적 사용자 액션을 요구하지 않고,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1 확대된 부분의 완전한 외부에,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1 확대된 부분에서 중심에 위치된 상기 식별된 제1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에 대한 툴팁(tooltip)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툴팁은 상기 제1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상기 그래프에 제시되지 않았으며;
    상기 손가락이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동하는 동안 상기 손가락을 추적(tracking)함으로써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제2 위치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손가락이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동하는 동안 상기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터치의 제2 포지션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포지션에서 데이터 요소들의 제2 밀도에 따라 제2 거리 메트릭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터치의 상기 제2 포지션 및 상기 제2 거리 메트릭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터치의 상기 제2 포지션에 응답하여 확대하기 위한 상기 그래프의 제2 부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2 부분을 확대하고, 상기 제2 포지션으로부터 대체된 상기 터치스크린의 그래프 상에 상기 그래프의 제2 확대된 부분을 오버레이하여, 상기 제2 확대된 부분을 보는 것이 손가락에 의해 가리지 않도록, 상기 그래프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활성화된 상기 확대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단계;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2 확대된 부분에서 중심에 위치된 상기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 중 제2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를 자동적으로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2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를 자동적으로 식별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추가적 사용자 액션을 요구하지 않고,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2 확대된 부분의 완전한 외부에,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2 확대된 부분에서 중심에 위치된 상기 식별된 제2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에 대한 툴팁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툴팁은 상기 제1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상기 그래프에 제시되지 않았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확대할 상기 그래프의 제1 부분과 확대할 상기 그래프의 제2 부분은 원형(circular)이고, 상기 제1 거리 메트릭과 상기 제2 거리 메트릭은 확대할 상기 그래프의 제1 부분의 제1 반경과 확대할 상기 그래프의 제2 부분의 제2 반경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이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동하는 동안 복수의 위치들을 통해 상기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터치를 추적함에 응답하여, 그리고 복수의 상이한 특정한 식별된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들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손가락을 추적하는 것 외에 추가적 사용자 입력을 요구하지 않고, 복수의 상이한 특정한 식별된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들에 대한 복수의 상이한 단일의 특정한 툴팁들을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의 확대된 부분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터치의 위치의 포지션 위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지션으로부터 대체된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상기 그래프에 오버레이된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1 확대된 부분에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 중 상기 제1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를 표시하는 십자선(crosshair)을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십자선과 상기 제1 확대된 부분을 보는 것이 손가락에 의해 가리지 않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포지션으로부터 대체된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상기 그래프에 오버레이된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2 확대된 부분에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 중 상기 제2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를 표시하는 십자선을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십자선과 상기 제2 확대된 부분을 보는 것이 손가락에 의해 가리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는 스캐터 그래프(scatter graph) 및 바 그래프(bar graph)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복수의 위치들의 복수의 선택들을 연속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손가락이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동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위치들을 추적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위치들 각각에서 보이는 요소들의 밀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위치들 각각에 대한 거리 메트릭을 동적으로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선택들 각각이 추가적 사용자 액션을 요구하지 않고 수신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위치들 각각과 거리 메트릭에 대응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기 확대된 부분 및 상기 툴팁을 자동적으로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트를 확대하기 위한 확대 툴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프로세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을 포함하는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단계들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에서 하나 이상의 축에 배열된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을 포함하는 그래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그래프의 디스플레이에 응답하여 확대 프로세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제1 위치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터치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제1 위치(location)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터치의 제1 포지션(position)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포지션에서 데이터 요소들의 제1 밀도(density)에 따라 제1 거리 메트릭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터치의 상기 제1 포지션 및 상기 제1 거리 메트릭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터치의 상기 제1 포지션에 응답하여 확대하기 위한 상기 그래프의 제1 부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1 부분을 확대하고, 상기 제1 포지션으로부터 대체된 상기 터치스크린의 그래프 상에 상기 그래프의 제1 확대된 부분을 오버레이(overlay)하여, 상기 제1 확대된 부분을 보는 것이 손가락에 의해 가리지 않도록, 상기 그래프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활성화된 상기 확대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단계;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1 확대된 부분에서 중심에 위치된 상기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 중 제1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를 자동적으로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를 자동적으로 식별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추가적 사용자 액션을 요구하지 않고,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1 확대된 부분의 완전한 외부에,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1 확대된 부분에서 중심에 위치된 상기 식별된 제1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에 대한 툴팁(tooltip)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툴팁은 상기 제1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상기 그래프에 제시되지 않았으며;
    상기 손가락이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동하는 동안 상기 손가락을 추적(tracking)함으로써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제2 위치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손가락이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동하는 동안 상기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터치의 제2 포지션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포지션에서 데이터 요소들의 제2 밀도에 따라 제2 거리 메트릭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터치의 상기 제2 포지션 및 상기 제2 거리 메트릭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터치의 상기 제2 포지션에 응답하여 확대하기 위한 상기 그래프의 제2 부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2 부분을 확대하고, 상기 제2 포지션으로부터 대체된 상기 터치스크린의 그래프 상에 상기 그래프의 제2 확대된 부분을 오버레이하여, 상기 제2 확대된 부분을 보는 것이 손가락에 의해 가리지 않도록, 상기 그래프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활성화된 상기 확대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단계;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2 확대된 부분에서 중심에 위치된 상기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 중 제2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를 자동적으로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2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를 자동적으로 식별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추가적 사용자 액션을 요구하지 않고,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2 확대된 부분의 완전한 외부에,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2 확대된 부분에서 중심에 위치된 상기 식별된 제2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에 대한 툴팁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툴팁은 상기 제1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상기 그래프에 제시되지 않았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확대할 상기 그래프의 제1 부분과 확대할 상기 그래프의 제2 부분은 원형(circular)이고, 상기 제1 거리 메트릭과 상기 제2 거리 메트릭은 확대할 상기 그래프의 제1 부분의 제1 반경과 확대할 상기 그래프의 제2 부분의 제2 반경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이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동하는 동안 복수의 위치들을 통해 상기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터치를 추적함에 응답하여, 그리고 복수의 상이한 특정한 식별된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들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손가락을 추적하는 것 외에 추가적 사용자 입력을 요구하지 않고, 복수의 상이한 특정한 식별된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들에 대한 복수의 상이한 단일의 특정한 툴팁들을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의 제1 확대된 부분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제1 위치의 제1 포지션 위에 그리고 그로부터 대체되어 디스플레이되어, 상기 제1 확대된 부분을 보는 것이 손가락에 의해 가리지 않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지션으로부터 대체된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상기 그래프에 오버레이된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1 확대된 부분에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 중 상기 제1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를 표시하는 십자선(crosshair)을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십자선과 상기 제1 확대된 부분을 보는 것이 손가락에 의해 가리지 않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포지션으로부터 대체된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상기 그래프에 오버레이된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2 확대된 부분에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 중 상기 제2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를 표시하는 십자선을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십자선과 상기 제2 확대된 부분을 보는 것이 손가락에 의해 가리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복수의 위치들의 복수의 선택들을 연속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손가락이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동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위치들을 추적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위치들 각각에서 보이는 요소들의 밀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위치들 각각에 대한 거리 메트릭을 동적으로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선택들 각각이 추가적 사용자 액션을 요구하지 않고 수신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위치들 각각과 거리 메트릭에 대응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기 확대된 부분 및 상기 툴팁을 자동적으로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4. 삭제
  15. 삭제
  16. 명령어들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며, 상기 단계들은: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에서 하나 이상의 축에 배열된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을 포함하는 그래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그래프의 디스플레이에 응답하여 확대 프로세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제1 위치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터치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제1 위치(location)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터치의 제1 포지션(position)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포지션에서 데이터 요소들의 제1 밀도(density)에 따라 제1 거리 메트릭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터치의 상기 제1 포지션 및 상기 제1 거리 메트릭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터치의 상기 제1 포지션에 응답하여 확대하기 위한 상기 그래프의 제1 부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1 부분을 확대하고, 상기 제1 포지션으로부터 대체된 상기 터치스크린의 그래프 상에 상기 그래프의 제1 확대된 부분을 오버레이(overlay)하여, 상기 제1 확대된 부분을 보는 것이 손가락에 의해 가리지 않도록, 상기 그래프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활성화된 상기 확대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단계;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1 확대된 부분에서 중심에 위치된 상기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 중 제1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를 자동적으로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를 자동적으로 식별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추가적 사용자 액션을 요구하지 않고,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1 확대된 부분의 완전한 외부에,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1 확대된 부분에서 중심에 위치된 상기 식별된 제1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에 대한 툴팁(tooltip)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툴팁은 상기 제1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상기 그래프에 제시되지 않았으며;
    상기 손가락이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동하는 동안 상기 손가락을 추적(tracking)함으로써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제2 위치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손가락이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동하는 동안 상기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터치의 제2 포지션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포지션에서 데이터 요소들의 제2 밀도에 따라 제2 거리 메트릭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터치의 상기 제2 포지션 및 상기 제2 거리 메트릭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터치의 상기 제2 포지션에 응답하여 확대하기 위한 상기 그래프의 제2 부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2 부분을 확대하고, 상기 제2 포지션으로부터 대체된 상기 터치스크린의 그래프 상에 상기 그래프의 제2 확대된 부분을 오버레이하여, 상기 제2 확대된 부분을 보는 것이 손가락에 의해 가리지 않도록, 상기 그래프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활성화된 상기 확대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단계;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2 확대된 부분에서 중심에 위치된 상기 복수의 데이터 요소들 중 제2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를 자동적으로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2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를 자동적으로 식별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추가적 사용자 액션을 요구하지 않고,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2 확대된 부분의 완전한 외부에, 상기 그래프의 상기 제2 확대된 부분에서 중심에 위치된 상기 식별된 제2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에 대한 툴팁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툴팁은 상기 제1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는 상기 그래프에 제시되지 않았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
  17. 제16항에 있어서,
    확대할 상기 그래프의 제1 부분과 확대할 상기 그래프의 제2 부분은 원형(circular)이고, 상기 제1 거리 메트릭과 상기 제2 거리 메트릭은 확대할 상기 그래프의 제1 부분의 제1 반경과 확대할 상기 그래프의 제2 부분의 제2 반경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이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동하는 동안 복수의 위치들을 통해 상기 터치스크린의 손가락 터치를 추적함에 응답하여, 그리고 복수의 상이한 특정한 식별된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들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손가락을 추적하는 것 외에 추가적 사용자 입력을 요구하지 않고, 복수의 상이한 특정한 식별된 단일의 특정한 데이터 요소들에 대한 복수의 상이한 단일의 특정한 툴팁들을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의 제1 확대된 부분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제1 위치의 제1 포지션 위에 그리고 그로부터 대체되어 디스플레이되어, 상기 제1 확대된 부분을 보는 것이 손가락에 의해 가리지 않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는 스캐터 그래프(scatter graph) 및 바 그래프(bar graph)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
  21. 삭제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복수의 위치들의 복수의 선택들을 연속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손가락이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동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위치들을 추적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위치들 각각에서 보이는 요소들의 밀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위치들 각각에 대한 거리 메트릭을 동적으로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선택들 각각이 추가적 사용자 액션을 요구하지 않고 수신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위치들 각각과 거리 메트릭에 대응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기 확대된 부분 및 상기 툴팁을 자동적으로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47015213A 2011-12-08 2012-12-07 모바일 디바이스들 상의 데이터 시각화물들을 보고 이들과 상호대화하기 위한 확대 툴 KR102147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68542P 2011-12-08 2011-12-08
US61/568,542 2011-12-08
US13/406,357 2012-02-27
US13/406,357 US9607570B2 (en) 2011-12-08 2012-02-27 Magnifying tool for viewing and interacting with data visualization on mobile devices
PCT/US2012/068545 WO2013086395A1 (en) 2011-12-08 2012-12-07 Magnifying tool for viewing and interacting with data visualizations on mobile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734A KR20140105734A (ko) 2014-09-02
KR102147879B1 true KR102147879B1 (ko) 2020-10-15

Family

ID=48571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5213A KR102147879B1 (ko) 2011-12-08 2012-12-07 모바일 디바이스들 상의 데이터 시각화물들을 보고 이들과 상호대화하기 위한 확대 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07570B2 (ko)
EP (1) EP2788972A1 (ko)
JP (2) JP6396802B2 (ko)
KR (1) KR102147879B1 (ko)
CN (1) CN103959362A (ko)
IN (1) IN2014CN02893A (ko)
WO (1) WO20130863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9262A1 (en) * 2012-05-11 2013-11-14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Input error remediation
TW201421340A (zh) * 2012-11-29 2014-06-01 Egalax Empia Technology Inc 一種放大影像的電子裝置與方法
JP6155835B2 (ja) 2013-05-16 2017-07-05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50062173A1 (en) * 2013-08-30 2015-03-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to Visualize Semantic Data in Contextual Window
US9582161B2 (en) * 2013-08-30 2017-02-28 Adobe Systems Incorporated Configurable animated scatter plots
US9389748B2 (en) * 2013-08-30 2016-07-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sual domain navigation
US9430990B2 (en) * 2013-08-30 2016-08-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esenting a data in a graphical overlay
US9658713B2 (en) * 2014-09-22 2017-05-23 Intel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applications for dynamic input mode selection based on whether an identified operating system includes a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ssociated with the input mode
DE102015105433A1 (de) * 2015-04-09 2016-10-13 Atlas Elektronik Gmbh Gestensensitiver Bildschirm und Rechner
CN108540534A (zh) * 2018-03-16 2018-09-14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全屏区域的确定方法及装置
US10782875B2 (en) * 2018-10-17 2020-09-22 Emagine Solutions Technology LLC Touchscreen method for medically precise measurements in ultrasound imag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4300A1 (en) 2009-02-25 2010-08-26 Quinton Alsbury Displaying Bar Charts With A Fish-Eye Distortion Effect
US20110141031A1 (en) 2009-12-15 2011-06-16 Mccullough Ian Patrick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ement and Manipulation of User Interface E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4348A (en) 1996-05-14 1998-05-19 Planetweb, Inc. Method for context-preserving magnification of digital image regions
US5910800A (en) 1997-06-11 1999-06-08 Microsoft Corporation Usage tips for on-screen touch-sensitive controls
JP2001056729A (ja) * 1999-08-18 2001-02-27 Nec Corp 部分拡大表示制御装置
CA2406047A1 (en) * 2002-09-30 2004-03-30 Ali Solehd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gital media and network portals using detail-in-context lenses
JP4205935B2 (ja) 2002-11-28 2009-01-0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コンテンツ検索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4847839B2 (ja) * 2006-10-19 2011-12-28 クラリオン株式会社 地図表示装置
US8503665B1 (en) * 2007-04-18 2013-08-06 William S. Meisel System and method of writing and using scripts in automated, speech-based caller interactions
EP2053497A1 (en) 2007-10-26 2009-04-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Text selection using a touch sensitive screen of a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8201090B2 (en) * 2007-11-13 2012-06-1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rkansas User interface for software applications
EP2079052B1 (en) 2008-01-14 2011-03-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Using a shape-changing display as an adaptive lens for selectively magnifying information displayed onscreen
US8754855B2 (en) * 2008-06-27 2014-06-17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touchpad
KR101480559B1 (ko) * 2008-07-31 2015-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JP4600548B2 (ja) * 2008-08-27 2010-12-15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0118292A1 (en) 2009-04-09 2010-10-14 Dynavox Systems, Llc Calibration free, motion tolerant eye-gaze direction detector with contextually aware computer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methods
US20110084967A1 (en) * 2009-10-09 2011-04-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sualization of Datasets
JP5463934B2 (ja) * 2010-01-27 2014-04-09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3次元入力装置
JP2011203209A (ja) * 2010-03-26 2011-10-13 Seishin Enterprise Co Ltd 粒子性状分析表示装置およびそれ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
US20110314376A1 (en) * 2010-06-18 2011-12-22 Michael Dearman Method and system that displays a tooltip
US20120005045A1 (en) * 2010-07-01 2012-01-05 Baker Scott T Comparing items using a displayed diagram
US8423445B2 (en) * 2010-07-27 2013-04-16 Edward Rotenberg Method and system for three-dimensional presentation of financial data
JP4818478B1 (ja) 2011-04-14 2011-11-16 株式会社アイエスピー 携帯端末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ウェアの起動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4300A1 (en) 2009-02-25 2010-08-26 Quinton Alsbury Displaying Bar Charts With A Fish-Eye Distortion Effect
US20110141031A1 (en) 2009-12-15 2011-06-16 Mccullough Ian Patrick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ement and Manipulation of User Interface El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734A (ko) 2014-09-02
JP6486435B2 (ja) 2019-03-20
JP6396802B2 (ja) 2018-09-26
WO2013086395A1 (en) 2013-06-13
US9607570B2 (en) 2017-03-28
JP2015501052A (ja) 2015-01-08
CN103959362A (zh) 2014-07-30
JP2018022516A (ja) 2018-02-08
IN2014CN02893A (ko) 2015-07-03
EP2788972A1 (en) 2014-10-15
US20130147834A1 (en)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879B1 (ko) 모바일 디바이스들 상의 데이터 시각화물들을 보고 이들과 상호대화하기 위한 확대 툴
US10025477B1 (en) Nested zoom in windows on a touch sensitive device
KR102255830B1 (ko) 복수 개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US9256917B1 (en) Nested zoom in windows on a touch sensitive device
US10001897B2 (en) User interface tools for exploring data visualizations
AU20132230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contents in terminal
US9292161B2 (en) Pointer tool with touch-enabled precise placement
CN110121693B (zh) 多层显示系统中的内容碰撞
US20160283054A1 (en) Map information display device, map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map information display program
JP5620440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994678B2 (en) Techniques for programmable button on bezel of mobile terminal
US20120036428A1 (en) Advanced scrolling
EP3368970B1 (en) Target selection on a small form factor display
JP2012521043A (ja) デュアルモジュール型ポータブルデバイス
WO20111107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uch based routing services
US201302150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object in an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creen
US8640026B2 (en) Word correction in a multi-touch environment
US8928700B1 (en) Simultaneous zoom in windows on a touch sensitive device
CN104991727A (zh) 一种信息显示方法及装置
KR20160004590A (ko)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70132776A (ko) 텍스트 선택 제어들에 대한 개선
US201303007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supplementary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graphic object on a display of an electronic device
CN106547539A (zh) 一种角标显示方法及终端
JP2015200977A (ja) 情報処理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40375576A1 (en) Facilitating touch screen users to select elements in a densely populated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