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755B1 -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기능성 벌사료 - Google Patents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기능성 벌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755B1
KR102147755B1 KR1020180138850A KR20180138850A KR102147755B1 KR 102147755 B1 KR102147755 B1 KR 102147755B1 KR 1020180138850 A KR1020180138850 A KR 1020180138850A KR 20180138850 A KR20180138850 A KR 20180138850A KR 102147755 B1 KR102147755 B1 KR 102147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unctional food
functional
bee feed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5320A (ko
Inventor
윤준하
Original Assignee
윤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준하 filed Critical 윤준하
Priority to KR1020180138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755B1/ko
Publication of KR20200055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9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insects, e.g. bees or silkwor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력 개선과 피로회복에 효능을 가지는 기능성 식품을 준비하는 기능성 식품 준비단계(S1); 거정석 분말을 준비하는 거정석 분말 준비단계(S2); 상기 기능성 식품 40 중량%와 증류수 6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80℃의 온도로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기능성 식품 액기스 추출단계(S3); 벌꿀 10∼20 중량%, 설탕 40∼50 중량%, 증류수 20∼30 중량%, 상기 기능성 식품 액기스 10∼20 중량%, 및 상기 거정석 분말 1∼2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30∼40℃의 온도에서 10분간 교반하는 교반단계(S4); 및 상기 교반에 의해 혼합되어 형성되는 기능성 벌사료를 수득하는 기능성 벌사료의 수득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기능성 벌사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기능성 벌사료{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Bee Feed And Functional Bee Feed Obtained By The Same}
본 발명은 면역력 개선과 피로회복에 효능을 가지는 기능성 식품을 준비하는 기능성 식품 준비단계(S1); 거정석 분말을 준비하는 거정석 분말 준비단계(S2); 상기 기능성 식품 40 중량%와 증류수 6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80℃의 온도로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기능성 식품 액기스 추출단계(S3); 벌꿀 10∼20 중량%, 설탕 40∼50 중량%, 증류수 20∼30 중량%, 상기 기능성 식품 액기스 10∼20 중량%, 및 상기 거정석 분말 1∼2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30∼40℃의 온도에서 10분간 교반하는 교반단계(S4); 및 상기 교반에 의해 혼합되어 형성되는 기능성 벌사료를 수득하는 기능성 벌사료의 수득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기능성 벌사료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양봉산업은 꿀벌의 생태와 습성을 활용하여 고급 건강식품을 생산하고 소득을 얻는 산업분야로 대표적인 건강식품이 벌꿀이다. 벌꿀은 꿀벌이 먹이를 채취하여 수확한 꿀을 말하는데, 꿀벌이 꿀의 밀원을 채취하는 시기인 여름철의 개화기에는 자연에서 먹이를 원활하게 채취할 수 있으나 장마철과 같은 때에는 자연에서 먹이를 채취하기 어려우므로 꿀 수확량이 줄어들고, 꿀벌이 아사하는 상황도 발생된다.
이에 따라, 양봉업자는 자연에서 먹이를 충분히 얻지 못하는 꿀벌이 아사하지 않도록 인위적으로 설탕물을 물로 희석시켜 공급하였으나 꿀벌에 이러한 설탕물을 식이시키면 비타민과 단백질, 그리고 무기질이 부족하여 영양의 불균형을 초래함으로서 꿀벌이 면역력이 약해져 쉽게 병에 걸릴 수 있는 문제가 있고, 활동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다량의 꿀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꿀벌에 설탕물을 식이하여 꿀벌이 생산하는 벌꿀을 사람이 먹는 경우에 이러한 벌꿀이 사람의 면역력 개선, 피로회복, 항산화 효과, 혈액순환 증진 중 하나 이상에 기여하는 바가 없거나 적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4915호(2014.04.07.)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기능성 벌사료는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꿀벌의 면역력을 개선하여 병에 걸리지 않게 하고, 생존율을 증가시켜 다량의 꿀을 얻을 수 있게 하는 기능성 벌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꿀벌이 생산하는 벌꿀을 사람이 먹는 경우에 이러한 벌꿀이 사람의 면역력 개선, 피로회복, 항산화 효과, 혈액순환 증진 중 하나 이상에 기여하게 하는 기능성 벌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면역력 개선과 피로회복에 효능을 가지는 기능성 식품을 준비하는 기능성 식품 준비단계(S1); 거정석 분말을 준비하는 거정석 분말 준비단계(S2); 상기 기능성 식품 40 중량%와 증류수 6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80℃의 온도로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기능성 식품 액기스 추출단계(S3); 벌꿀 10∼20 중량%, 설탕 40∼50 중량%, 증류수 20∼30 중량%, 상기 기능성 식품 액기스 10∼20 중량%, 및 상기 거정석 분말 1∼2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30∼40℃의 온도에서 10분간 교반하는 교반단계(S4); 및 상기 교반에 의해 혼합되어 형성되는 기능성 벌사료를 수득하는 기능성 벌사료의 수득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정석 분말 준비단계(S2)는, 거정석을 마쇄기에 투입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파쇄하는 거정석 파쇄단계(S2-1); 상기 파쇄된 거정석을 상기 마쇄기에 투입하는 투입단계(S2-2); 상기 마쇄기에 투입된 거정석을 상기 마쇄기로 마쇄하는 마쇄단계(S2-3); 및 상기 마쇄된 거정석을 수득하는 거정석 수득단계(S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능성 식품 액기스 추출단계(S3)는 상기 기능성 식품 40 중량%와 증류수 6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80℃의 온도로 3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1차 추출단계(S3-1); 상기 1차 추출단계(S3-1)에서 추출된 기능성 식품 액기스 40 중량%와 함께 상기 기능성 식품 40 중량% 및 증류수 2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70∼85℃의 온도로 2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2차 추출단계(S3-2); 및 상기 2차 추출단계(S3-2)에서 추출된 기능성 식품 액기스 45 중량%와 함께 상기 기능성 식품 45 중량% 및 증류수 1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70℃의 온도로 1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3차 추출단계(S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능성 식품이 홍삼, 생강, 및 오미자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정석 분말은 17∼35㎛의 입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벌사료는 상기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기능성 벌사료는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첫째, 꿀벌의 면역력을 개선하여 병에 걸리지 않게 하고, 생존율을 증가시켜 다량의 꿀을 얻을 수 있게 하는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기능성 벌사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꿀벌이 생산하는 벌꿀을 사람이 먹는 경우에 이러한 벌꿀이 사람의 면역력 개선, 피로회복, 항산화 효과, 혈액순환 증진 중 하나 이상에 기여하게 하는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기능성 벌사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2는 도 1의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 중 거정석 분말 준비단계를 세분화하여 단계별로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살펴보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기능성 벌사료에 관하여 개시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면역력 개선과 피로회복에 효능이 나타나는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기능성 벌사료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고, 도 2는 도 1의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 중 거정석 분말 준비단계를 세분화하여 단계별로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은, 기능성 식품 준비단계(S1), 거정석 분말 준비단계(S2), 기능성 식품 액기스 추출단계(S3), 교반단계(S4), 및 기능성 벌사료의 수득단계(S5)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 식품 준비단계(S1)는 면역력 개선과 피로회복에 효능을 가지는 기능성 식품을 준비하는 단계인데, 상기 기능성 식품은 홍삼, 생강, 및 오미자 중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홍삼, 생강, 및 오미자 중 하나 이상 대신에 면역력 개선, 피로회복, 항산화 효과, 혈액순환 증진 중 하나 이상에 기여할 수 있는 다른 기능성 식품(예, 매실, 두릅, 꽃송이버섯, 유자, 아스파라거스, 또는 양파)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홍삼은 숙취제거, 노화방지, 항피로 & 항스트레스효과, 혈액순환, 면역기능, 골다공증 예방, 빈혈치료, 남성불임치료효과, 고혈압 및 당뇨병 개선에 기여하며, 이외에도 많은 효능이 있으나 이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생강은 피로회복, 면역력 강화, 소화불량 개선, 감기완화, 콜레스테롤 감소, 생리통 완화, 천식 완화, 관절염 완화, 항암 효과 등의 효능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도 많은 효능이 있으나 이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오미자는 피로회복, 면역력 강화, 간겅강 개선, 피부미용, 기침완화, 갈증해소, 혈액순환, 눈건강 개선, 당뇨 개선 등의 효능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도 많은 효능이 있으나 이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거정석 분말 준비단계(S2)는 거정석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거정석 분말 준비단계(S2)는, 거정석을 마쇄기에 투입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파쇄하는 거정석 파쇄단계(S2-1); 상기 파쇄된 거정석을 상기 마쇄기에 투입하는 투입단계(S2-2); 상기 마쇄기에 투입된 거정석을 상기 마쇄기로 마쇄하는 마쇄단계(S2-3); 및 상기 마쇄된 거정석을 수득하는 거정석 수득단계(S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거정석 분말은 17∼35㎛의 입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정석은 페그마타이트라고도 불리우며 심성암을 함유하는 암맥에서 발견되는 조립질 화성암으로서, 심성암이 되고 남은 마그마의 잔액에 염소, 플루오르, 물 등의 휘발성 물질들이 농집하여 서서히 냉각되어 생긴다. 따라서 베릴륨, 우라늄, 니오브, 탄탈, 세륨 등의 희소광물이 많이 침전되어 있고, 특히 국내 유일의 페그마타이트 광산에서 생산하는 거정석에는 인체의 재생능력을 돕는 유익한 생리필수 미네랄들이 가장 이상적인 조화를 이루면서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거정석은 피부질환 치료, 간암치료, 중금속 제거, 노화방지, 혈액정화, 살균작용, 혈압조절작용, 골다공증, 골절, 충치의 치료에 효능을 가진다.
상기 기능성 식품 액기스 추출단계(S3)는 상기 기능성 식품 40 중량%와 증류수 6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80℃의 온도로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기능성 식품 액기스가 40 중량% 미만이면 상기 기능성 식품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기 때문에 상기 기능성 식품이 가지는 효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어렵고, 상기 기능성 식품 액기스가 40 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기능성 식품이 상대적으로 많아지기 때문에 추출되는 상기 기능성 식품 액기스가 찐득찐득해지면서 점도가 올라가서 후술하는 교반단계(S4)에서 다른 성분들과 교반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 액기스 추출단계(S3)는 상기 기능성 식품 40 중량%와 증류수 6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80℃의 온도로 3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1차 추출단계(S3-1)만을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능성 식품 액기스 추출단계(S3)는 상기 기능성 식품 40 중량%와 증류수 6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80℃의 온도로 3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1차 추출단계(S3-1); 상기 1차 추출단계(S3-1)에서 추출된 기능성 식품 액기스 40 중량%와 함께 상기 기능성 식품 40 중량% 및 증류수 2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70∼85℃의 온도로 2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2차 추출단계(S3-2); 및 상기 2차 추출단계(S3-2)에서 추출된 기능성 식품 액기스 45 중량%와 함께 상기 기능성 식품 45 중량% 및 증류수 1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70℃의 온도로 1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3차 추출단계(S3-3)을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기능성 식품 액기스 추출단계(S3)는 홍삼 40 중량%와 증류수 6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80℃의 온도로 3시간 동안 삶아 홍삼 액기스를 추출하는 1차 추출단계(S3-1); 상기 1차 추출단계(S3-1)에서 추출된 홍삼 액기스 40 중량%와 함께 상기 홍삼 40 중량% 및 증류수 2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70∼85℃의 온도로 2시간 동안 삶아 홍삼 액기스를 추출하는 2차 추출단계(S3-2); 및 상기 2차 추출단계(S3-2)에서 추출된 홍삼 액기스 45 중량%와 함께 상기 홍삼 45 중량% 및 증류수 1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70℃의 온도로 1시간 동안 삶아 홍삼 액기스를 추출하는 3차 추출단계(S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홍삼 액기스는 상기 홍삼의 성분 함량이 더 높아져 상기 기능성 식품이 가지는 효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상기 기능성 식품 액기스 추출단계(S3)는 홍삼 70 중량%, 생강 10 중량%, 및 오미자 20 중량%로 구성되는 기능성 식품 40 중량%와 증류수 6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80℃의 온도로 3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1차 추출단계(S3-1); 상기 1차 추출단계(S3-1)에서 추출된 기능성 식품 액기스 40 중량%와 함께 홍삼 70 중량%, 생강 10 중량%, 및 오미자 20 중량%로 구성되는 기능성 식품 40 중량% 및 증류수 2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70∼85℃의 온도로 2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2차 추출단계(S3-2); 및 상기 2차 추출단계(S3-2)에서 추출된 기능성 식품 액기스 45 중량%와 함께 홍삼 70 중량%, 생강 10 중량%, 및 오미자 20 중량%로 구성되는 기능성 식품 45 중량% 및 증류수 1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70℃의 온도로 1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3차 추출단계(S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기능성 식품 액기스는 상기 홍삼, 생강 및 오미자의 성분 함량이 더 높아져 상기 기능성 식품이 가지는 효능을 더욱 높일 수 있을 뿐아니라 홍삼, 생강 및 오미자가 가지고 있는 특성적인 강하거나 독한 맛을 중화시켜서 꿀벌이 더 선호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예컨대, 상기 기능성 식품 액기스 추출단계(S3)는 홍삼 90 중량%와 생강 10 중량%로 구성되는 기능성 식품 40 중량%와 증류수 6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80℃의 온도로 3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1차 추출단계(S3-1); 상기 1차 추출단계(S3-1)에서 추출된 기능성 식품 액기스 40 중량%와 함께 홍삼 90 중량%와 생강 10 중량%로 구성되는 기능성 식품 40 중량% 및 증류수 2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70∼85℃의 온도로 2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2차 추출단계(S3-2); 및 상기 2차 추출단계(S3-2)에서 추출된 기능성 식품 액기스 45 중량%와 함께 홍삼 90 중량%와 생강 10 중량%로 구성되는 기능성 식품 45 중량% 및 증류수 1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70℃의 온도로 1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3차 추출단계(S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기능성 식품 액기스는 상기 홍삼과 생강의 성분 함량이 더 높아져 상기 기능성 식품이 가지는 효능을 더욱 높일 수 있을 뿐아니라 홍삼과 생강이 가지고 있는 특성적인 강하거나 독한 맛을 중화시켜서 꿀벌이 더 선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예컨대, 상기 기능성 식품 액기스 추출단계(S3)는 오미자 90 중량%와 생강 10 중량%로 구성되는 기능성 식품 40 중량%와 증류수 6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80℃의 온도로 3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1차 추출단계(S3-1); 상기 1차 추출단계(S3-1)에서 추출된 기능성 식품 액기스 40 중량%와 함께 오미자 90 중량%와 생강 10 중량%로 구성되는 기능성 식품 40 중량% 및 증류수 2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70∼85℃의 온도로 2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2차 추출단계(S3-2); 및 상기 2차 추출단계(S3-2)에서 추출된 기능성 식품 액기스 45 중량%와 함께 오미자 90 중량%와 생강 10 중량%로 구성되는 기능성 식품 45 중량% 및 증류수 1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70℃의 온도로 1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3차 추출단계(S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기능성 식품 액기스는 상기 오미자와 생강의 성분 함량이 더 높아져 상기 기능성 식품이 가지는 효능을 더욱 높일 수 있을 뿐아니라 오미자와 생강이 가지고 있는 특성적인 강하거나 독한 맛을 중화시켜서 꿀벌이 더 선호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예컨대, 상기 기능성 식품 액기스 추출단계(S3)는 홍삼 90 중량%와 생강 10 중량%로 구성되는 기능성 식품 40 중량%와 증류수 6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80℃의 온도로 3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1차 추출단계(S3-1); 상기 1차 추출단계(S3-1)에서 추출된 기능성 식품 액기스 40 중량%와 함께 오미자 90 중량%와 생강 10 중량%로 구성되는 기능성 식품 40 중량% 및 증류수 2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70∼85℃의 온도로 2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2차 추출단계(S3-2); 및 상기 2차 추출단계(S3-2)에서 추출된 기능성 식품 액기스 45 중량%와 함께 오미자 90 중량%와 생강 10 중량%로 구성되는 기능성 식품 45 중량% 및 증류수 1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70℃의 온도로 1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3차 추출단계(S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기능성 식품 액기스는 상기 홍삼, 오미자, 및 생강의 성분 함량이 더 높아져 상기 기능성 식품이 가지는 효능을 더욱 높일 수 있을 뿐아니라 홍삼 및 생강과 오미자가 어우러져 홍삼 및 생강이 가지고 있는 특성적인 강하거나 독한 맛을 중화시켜 달게 만들어서 꿀벌이 더 선호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교반단계(S4)는 벌꿀 10∼20 중량%, 설탕 40∼50 중량%, 증류수 20∼30 중량%, 상기 기능성 식품 액기스 10∼20 중량%, 및 상기 거정석 분말 1∼2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30∼40℃의 온도에서 교반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혼합물 내의 벌꿀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꿀벌을 유인하는 유인력이 떨어지고 상기 혼합물 내의 벌꿀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면 꿀벌 구입 비용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식품 액기스가 10 중량% 미만이면 상기 기능성 식품이 가지는 효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어렵고, 상기 기능성 식품 액기스가 10 중량% 미만이면 상기 기능성 식품이 20 중량%를 초과하면 벌사료로 사용하기에는 기능성 식품을 구입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과다해짐과 동시에 상기 기능성 식품의 과다 섭취로 인한 부작용이 동반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기능성 벌사료의 수득단계(S5)는 상기 교반에 의해 혼합되어 형성되는 기능성 벌사료를 수득하는 단계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벌사료는 상기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을 구성하고 실험을 통해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벌사료의 효과에 대해서 면밀하게 파악하고자 한다.
종래의 벌사료로서 설탕에 물을 중량%를 기준으로 60 중량%:40 중량%의 비로 혼합한 설탕물로 준비한 것을 대조군 1로 하고, 설탕에 물을 중량%를 기준으로 60 중량%:40 중량%의 비로 혼합한 설탕물로 준비한 것을 대조군 2로 하며,
본 발명의 기능성 벌사료로서, 홍삼 70 중량%, 생강 10 중량%, 및 오미자 20 중량%로 구성되는 기능성 식품 40 중량%와 증류수 6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80℃의 온도로 3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1차 추출단계(S3-1); 상기 1차 추출단계(S3-1)에서 추출된 기능성 식품 액기스 40 중량%와 함께 홍삼 70 중량%, 생강 10 중량%, 및 오미자 20 중량%로 구성되는 기능성 식품 40 중량% 및 증류수 2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70∼85℃의 온도로 2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2차 추출단계(S3-2); 및 상기 2차 추출단계(S3-2)에서 추출된 기능성 식품 액기스 45 중량%와 함께 홍삼 70 중량%, 생강 10 중량%, 및 오미자 20 중량%로 구성되는 기능성 식품 45 중량% 및 증류수 1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70℃의 온도로 1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3차 추출단계(S3-3)를 거쳐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고 나서, 벌꿀 15 중량%, 설탕 45 중량%, 증류수 25 중량%, 상기 기능성 식품 액기스 14 중량%, 및 상기 거정석 분말 1 중량%를 35℃의 온도에서 30분간 교반하여 혼합하여 수득되는 기능성 벌사료를 실험군 1로 하고,
홍삼 90 중량%와 생강 10 중량%로 구성되는 기능성 식품 40 중량%와 증류수 6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80℃의 온도로 3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1차 추출단계(S3-1); 상기 1차 추출단계(S3-1)에서 추출된 기능성 식품 액기스 40 중량%와 함께 홍삼 90 중량%와 생강 10 중량%로 구성되는 기능성 식품 40 중량% 및 증류수 2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70∼85℃의 온도로 2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2차 추출단계(S3-2); 및 상기 2차 추출단계(S3-2)에서 추출된 기능성 식품 액기스 45 중량%와 함께 홍삼 90 중량%와 생강 10 중량%로 구성되는 기능성 식품 45 중량% 및 증류수 1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70℃의 온도로 1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3차 추출단계(S3-3)를 거쳐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고 나서, 벌꿀 15 중량%, 설탕 45 중량%, 증류수 25 중량%, 상기 기능성 식품 액기스 14 중량%, 및 상기 거정석 분말 1 중량%를 35℃의 온도에서 30분간 교반하여 혼합하여 수득되는 기능성 벌사료를 실험군 2로 하며,
오미자 90 중량%와 생강 10 중량%로 구성되는 기능성 식품 40 중량%와 증류수 6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80℃의 온도로 3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1차 추출단계(S3-1); 상기 1차 추출단계(S3-1)에서 추출된 기능성 식품 액기스 40 중량%와 함께 오미자 90 중량%와 생강 10 중량%로 구성되는 기능성 식품 40 중량% 및 증류수 2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70∼85℃의 온도로 2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2차 추출단계(S3-2); 및 상기 2차 추출단계(S3-2)에서 추출된 기능성 식품 액기스 45 중량%와 함께 오미자 90 중량%와 생강 10 중량%로 구성되는 기능성 식품 45 중량% 및 증류수 1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70℃의 온도로 1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3차 추출단계(S3-3)를 거쳐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고 나서, 벌꿀 15 중량%, 설탕 45 중량%, 증류수 25 중량%, 상기 기능성 식품 액기스 14 중량%, 및 상기 거정석 분말 1 중량%를 35℃의 온도에서 30분간 교반하여 혼합하여 수득되는 기능성 벌사료를 실험군 3으로 하였다.
이하, 400cm2 표면적을 가지는 원형판 5개를 준비하고, 상기 대조군 1, 2, 및 실험군 1 내지 3의 벌사료를 상기 5개의 원형판 각각에 도포하고 나서 동일한 벌집으로부터 300m의 거리에 각각 두되 서로 30m의 간격을 두도록 하여 배치하였다. 이후, 상기 5개의 원형판에 유인된 꿀벌의 개체수를 2시간 동안 관찰하여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유인된 꿀벌수(마리)
대조군 1이 도포된 원형판 121
대조군 2가 도포된 원형판 130
실험군 1이 도포된 원형판 210
실험군 2가 도포된 원형판 223
실험군 3이 도포된 원형판 231
또한, 40,000 마리의 벌로 구성되는 봉군에 대해 행한 대조군 1, 2와 실험군 1 내지 3의 벌사료를 급이한 후 꿀벌의 생존율을 관찰하여 다음의 표 2에 나타내었고, 꿀벌이 벌사료 급이 후 3일 이내에 사망한 경우를 사망으로 정의하였다.
구분 봉군의 꿀벌수 생존 꿀벌수 사망 꿀벌수 생존율
대조구 1 40,000마리 31,212마리 8,788마리 78.03%
대조구 2 40,000마리 30,023마리 9,977마리 75.06%
실험군 1 40,000마리 40,000마리 - 100%
실험군 2 40,000마리 40,000마리 - 100%
실험군 3 40,000마리 40,000마리 - 100%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꿀벌에 본 발명의 기능성 벌사료를 급이하지 않고 종래의 벌사료를 급이한 대조구 1, 2와 꿀벌에 본 발명의 기능성 벌사료를 급이한 실험구 1 내지 3을 3일 동안 관찰하면서 비교해보니, 실험군 1 내지 3에 있어서의 꿀벌의 생존율이 대조구 1, 2에 포함된 꿀벌의 생존률에 비해 더 높다는 결과를 얻었다.
표 1에 도시된 대조구 1, 2를 참조하면, 대조군 1, 2의 봉군의 꿀벌 중 21.97% 및 24.94%는 3일 이내에 사망하였다. 상기 대조군 1, 2의 꿀벌 사망의 대부분은 꿀벌에게 급이되는 설탕물 벌사료에 비타민과 단백질, 그리고 무기질이 부족하여 영양의 불균형을 초래함으로서 꿀벌이 면역력이 약해져 쉽게 병에 죽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대하여 상기 실험군 내지 3은 꿀벌의 면역력을 개선하여 병에 걸리지 않게 하고, 생존율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험군 1 내지 3에 있어서의 꿀벌의 생존율 증가는 궁극적으로 대조군 1, 2에 비하여 다량의 꿀을 얻을 수 있는 결과로 이어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실험군 1 내지 3의 꿀벌이 생산하는 벌꿀을 사람이 먹는 경우에 이러한 벌꿀이 기능성 식품인 홍삼, 생강, 및 오미자 중 하나 이상 성분을 포함하게 됨으로써 사람의 면역력 개선, 피로회복, 항산화 효과, 혈액순환 등에 기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S1 : 기능성 식품 준비단계
S2 : 거정석 분말 준비단계
S2-1 : 거정석 파쇄단계
S2-2 : 투입단계
S2-3 : 마쇄단계
S2-4 : 거정석 수득단계
S3 : 기능성 식품 액기스 추출단계
S3-1 : 1차 추출단계
S3-2 : 2차 추출단계
S3-3 : 3차 추출단계
S4 : 교반단계
S5 : 기능성 벌사료의 수득단계

Claims (6)

  1. 면역력 개선과 피로회복에 효능을 가지는 기능성 식품을 준비하는 기능성 식품 준비단계(S1);
    거정석 분말을 준비하는 거정석 분말 준비단계(S2);
    상기 기능성 식품 40 중량%와 증류수 6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80℃의 온도로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기능성 식품 액기스 추출단계(S3);
    벌꿀 10∼20 중량%, 설탕 40∼50 중량%, 증류수 20∼30 중량%, 상기 기능성 식품 액기스 10∼20 중량%, 및 상기 거정석 분말 1∼2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30∼40℃의 온도에서 10분간 교반하는 교반단계(S4); 및
    상기 교반에 의해 혼합되어 형성되는 기능성 벌사료를 수득하는 기능성 벌사료의 수득단계(S5)를 포함하고,
    상기 거정석 분말 준비단계(S2)는,
    거정석을 마쇄기에 투입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파쇄하는 거정석 파쇄단계(S2-1);
    상기 파쇄된 거정석을 상기 마쇄기에 투입하는 투입단계(S2-2);
    상기 마쇄기에 투입된 거정석을 상기 마쇄기로 마쇄하는 마쇄단계(S2-3); 및
    상기 마쇄된 거정석을 수득하는 거정석 수득단계(S2-4)를 포함하며,
    상기 거정석 분말은 17∼35㎛의 입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식품 액기스 추출단계(S3)는 상기 기능성 식품 40 중량%와 증류수 6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80℃의 온도로 3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1차 추출단계(S3-1);
    상기 1차 추출단계(S3-1)에서 추출된 기능성 식품 액기스 40 중량%와 함께 상기 기능성 식품 40 중량% 및 증류수 2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70∼85℃의 온도로 2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2차 추출단계(S3-2); 및
    상기 2차 추출단계(S3-2)에서 추출된 기능성 식품 액기스 45 중량%와 함께 상기 기능성 식품 45 중량% 및 증류수 10 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60∼70℃의 온도로 1시간 동안 삶아 기능성 식품 액기스를 추출하는 3차 추출단계(S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식품이 홍삼, 생강, 및 오미자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벌사료.
KR1020180138850A 2018-11-13 2018-11-13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기능성 벌사료 KR102147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850A KR102147755B1 (ko) 2018-11-13 2018-11-13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기능성 벌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850A KR102147755B1 (ko) 2018-11-13 2018-11-13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기능성 벌사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320A KR20200055320A (ko) 2020-05-21
KR102147755B1 true KR102147755B1 (ko) 2020-08-25

Family

ID=70910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850A KR102147755B1 (ko) 2018-11-13 2018-11-13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기능성 벌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7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2822A (ja) 2004-02-24 2007-08-16 ナットバイオ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ィッド 食品添加物および刺激剤としての、ショウガ(ショウガ属)由来システインプロテアーゼ
KR101204776B1 (ko) * 2009-08-12 2012-11-26 (주)케이알그린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
US20160309720A1 (en) 2015-04-23 2016-10-27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steroid honey bee feeding inhibitor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768A (ko) * 1993-10-30 1995-05-15 문치완 꿀벌 사료 제조방법
KR20100035469A (ko) * 2008-09-26 2010-04-05 동광영농조합법인 조릿대 액기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조릿대 액기스
KR101190575B1 (ko) * 2009-08-18 2012-10-1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키토산 함유 벌꿀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벌꿀
KR101303724B1 (ko) * 2010-09-15 2013-09-04 권순걸 꿀벌에 기능성 물질 추출액을 투여하여 친환경 벌꿀을 생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생산된 친환경 벌꿀
KR101384915B1 (ko) 2012-03-05 2014-04-1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산균이 함유된 양봉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2822A (ja) 2004-02-24 2007-08-16 ナットバイオ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ィッド 食品添加物および刺激剤としての、ショウガ(ショウガ属)由来システインプロテアーゼ
KR101204776B1 (ko) * 2009-08-12 2012-11-26 (주)케이알그린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
US20160309720A1 (en) 2015-04-23 2016-10-27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steroid honey bee feeding inhibi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320A (ko) 2020-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16735B (zh) 一种营养滋补蜜枣罐头及其制备方法
CN101095444A (zh) 一种灵芝袋泡茶及其加工工艺
US20160143973A1 (en) Red ginseng saponin extrac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104274509A (zh) 含有虫草和杜仲雄花的健康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198349A (zh) 一种能提高航天员视力的药食同源固体饮料
KR102147755B1 (ko)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기능성 벌사료
CN107252095A (zh) 复合酵素及其制备方法
CN102802641B (zh) 用于预防或治疗过敏性疾病的包含含氘的水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301201A (zh) 一种提高免疫力辅助抗肿瘤的中草药复方
CN104055935B (zh) 一种协同提高免疫力的中药组合物
CN104055119B (zh) 一种由茶树花和玛咖粉制备的女性保健含片
KR102081672B1 (ko) 옥소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47375B1 (ko) 아사이베리와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101777040B1 (ko) 두개골 골절 회복에 효능이 있는 가미십전대보 조성물
JP2004521854A (ja) 担子菌類とウコギ科植物の有効成分に基づく生理活性組成物
KR102122586B1 (ko) 괭생이모자반 추출박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9247460A (zh) 一种养生补气血提高免疫力坚果保健饮品的制作方法
CN106616099A (zh) 一种可提高小儿食欲的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CN101669626A (zh) 复合型保健植物蛋白系列饮品
CN106880696A (zh) 一种五红素制剂制备方法
KR102091130B1 (ko) 숙취해소용 초콜렛 제조방법
CN105410908B (zh) 用于食疗减肥降脂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00061601A (ko) 천연유래물질을 이용한 아토피 치료제 및 화장품의 제조방법
CN110074297A (zh) 一种改善记忆力的口服液及其制备方法
KR101429568B1 (ko) 강글리오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녹골 추출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