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776B1 -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776B1
KR101204776B1 KR1020090074155A KR20090074155A KR101204776B1 KR 101204776 B1 KR101204776 B1 KR 101204776B1 KR 1020090074155 A KR1020090074155 A KR 1020090074155A KR 20090074155 A KR20090074155 A KR 20090074155A KR 101204776 B1 KR101204776 B1 KR 101204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weight
present
feed additive
livest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6576A (ko
Inventor
김동린
Original Assignee
(주)케이알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알그린 filed Critical (주)케이알그린
Priority to KR1020090074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776B1/ko
Publication of KR20110016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다양한 영양소에 의하여 가축의 성장 속도가 증가하면서도 사료효율이 좋아 사육비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료 사용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면역력을 강화할 수 있는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에 제공된다. 50~500 메쉬로 분쇄한 천연 광물질 95~99중량%를 준비한다. 상기 준비된 천연 광물질 95~99중량%에 오미자 추출물 1~ 5중량%를 배합한다. 사료에 첨가되는 사료 첨가제의 효과는 다양한 영양소에 의하여 성장속도가 증가하면서도 사료효율이 좋아 사육비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료 사용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면역력이 강화되어 항생제 사용을 80%가량 줄일 수 있다.
사료 첨가제, 천연 광물, 오미자 추출물

Description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Feed additive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연 광물질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축산업 부분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사료이고, 사료는 가축의 영양 요구도에 의해 결정되며, 특히 금속 이온 또는 광물질은 필수 영양 원소이다.
그러나 몇몇 금속 이온이나 광물질은 가축 내 세포 대사에 필수 원소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축산업 구조에 의해 자연적인 섭취가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물질들은 섭취 가능한 상태로 인위적으로 사료에 첨가하여야 한다.
종래 방법은 화학적으로 합성된 유기 형태의 금속 또는 광물을 사용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유기 형태의 금속으로는 금속과 단일 아미노산의 킬레이트 결합(킬레이트 미네랄), 금속과 단백질 또는 분해 단백질의 킬레이트 결합(메탈 펩타이드, 메탈 프로테네이트), 미네랄과 유기산의 킬레이트 결합, 금속과 기타 천연물질의 천연 결합 등이 있다.
하지만, 화학 합성에 의한 유기 형태의 금속 또는 광물의 경우도 독성 문제점을 야기한다.
한편, 미생물을 이용하여 무기 태금속 또는 광물을 유기태 금속 또는 광물로 전환하는 방법이 있으나, 그 생산 농도가 낮으며 또한, 산업상 이용이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영양소에 의하여 가축의 성장 속도가 증가하면서도 사료효율이 좋아 사육비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료 사용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면역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은 50~500 메쉬로 분쇄한 맥반석 95~ 99중량%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맥반석 95~99중량%에 오미자 추출물 1~5중량%를 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은 다양한 영양소에 의하여 성장속도가 증가하면서도 사료효율이 좋아 사육비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료 사용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면역력이 강화되어 항생제 사용을 80%가량 줄일 수 있다.
사료 첨가제(BIOSTONE)는 생체 활성화 메커니즘을 융합하여 계획되고 설계되어 자연 치유력을 극대화시키고 시고, 쓰고, 달고, 맵고, 짠 다섯 가지의 맛을 고루 내어 오행의 기운을 골고루 느낄 수 있는 오미자 추출물과 천연미네랄 광물질을 가축에 결합하여 건강한 축산물을 생산할 목적으로 개발하게 되었다.
아주 미세한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당히 큰 표면력이 있어, 섭취 시 많은 양의 피해를 주거나 현재 사회 문제가 되고 있는 다이옥신 등의 유독성이 있는 물질들을 흡수하고 결합하여 배출을 촉진하며 놀라운 항균력이 있다.
작은 입자들로 이루어진 사료 첨가제는 장내에 미세한 안마를 해주어 소화를 촉진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유독성분 및 세균까지도 흡수, 중화, 결합하여 배출을 촉진하므로 장이 해독되며 혈액을 해독시켜 준다.
가축에 과다한 약품이나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은 육질을 떨어뜨리고, 형질을 저하하며, 유익한 박테리아까지 죽이기 때문에 절대 바람직한 현상이 아니며, 가축의 스트레스를 유발시키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는 일체의 생화학 성분이 첨가되지 않은 순수 천연 미네랄 성분에 오미자추출물로 구성되며, 가장 안전하고 뛰어난 항균성이 있기 때문에 항생제의 사용을 파격적으로 줄일 수 있다.
가축에 대한 항생제 치료 약물 오용은 건강을 유지시키는 건전생명체에서 질병을 유발시키는 불량 박테리아로 나쁘게 전환한다.
항생제를 통하여 세균은 죽지만 이것들의 독과 사체는 결합조직으로 밀려나 퇴적하게 된다. 결합조직이 수용한계를 초과하면 유독성분이 다시 순환계로 유입되어 만성질병이 발생되는 것이다.
특히, 질병이 발생한 장에는 상당히 많은 박테리아가 존재하며 장 내용물을 비정상적으로 발효시켜 많은 양의 가스를 발생하고 유독한 장 가스가 혈관으로 유입되어 가축의 건강이 위험에 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는 알칼리와 산 비율의 균형을 이루도록 혈액의 산성화를 방지한다.
질소를 포함한 배출 물을 중화하며, 산성인 혈액의 PH 값의 균형을 이루게 하여 면역체를 최고로 강화시키는 능력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는 가축의 질병에 대한 강한 응집력을 부여해주고 항생제를 파격적으로 줄일 수 있고 사람들의 안전한 먹을거리를 제공하는데 기여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는 천연 광물질 95~99중량%; 상기 천연 광물질에 배합한 오미자 추출물 1~5중량%로 구성된다.
상기 천연 광물질은 맥반석, 흑운모, 거정석, 견운모, 및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 제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은 50~500 메쉬로 분쇄한 천연 광물질(맥반석, 흑운모, 거정석, 견운모, 화강암 등) 95~99중량%를 준비하고, 상기 천연 광물질 95~99중량%에 오미자 추출물 1~5중량%를 배합하여 제조한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일반사료에 돼지(0.5%~1%), 닭(0.3%~0.5%),소(0.5%~0.8%) 활어(0.5%~0.8%)의 비율로 첨가하여 가축에게 급여하게 된다.
도 1~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로 사육된 가축이 산란계의 경우 산란율 증가효과, 난각 개선효과, 난황색 개선효과, 및 계란 신선도 개선효과를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예를 들면, 상기 사료 첨가제(BIOSTONE)로 사육된 가축은 산란계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5.32%의 산란율 증가효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71%의 난각 개선효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71%의 난황색 개선효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7.66%의 계란 신선도 개선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BIOSTONE)를 산란계용 사료에 소량(0.3~0.5%)첨가할 경우 산란생산성 및 최고 품질의 계란 생산이 가능하다.
특히, 난각 두께의 개선은 급여 후 2주 이내에 뚜렷한 개선효과가 있고, 배설물의 냄새를 줄이며, 설사를 방지하는 등의 효과가 입증되어 특수 미네랄 강화 사료 첨가제로서 그 효능이 확실하게 입증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는 양이온 치환능력이 높고, 발효 과정 중에 미량무기물의 유기태화가 진행되어 칼슘의 흡수를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미자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영양소 이용성을 높이도록 설계되었으며, 장내 유해 가스의 흡착 및 연변 방지 효과 등으로 사육환경을 개선하고, 항생제 사용을 최소화함으로 항생제 대체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은 천연광물질에 오미자 추출물을 혼합하여 급여함으로써 가축 사육환경을 개선함과 동시에 고급 브랜드 육의 생산을 통하여 축산농가의 경쟁력을 높이고 소비자들은 고급육을 싼 가격에 접할 수 있어 축산업의 경쟁력 향상에 그게 기여할 수 있다.
표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를 산란계용 사료에 0.3% 첨가할 경우 산란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구분 사육 기간 사료 첨가제 비고
육추기 0~3주 0.3% 질병 및 건강상태에 따라 0.5%로 증가 급여
항생제 사용 최저
육성초기 4~7주 0.3%
육성기 8~16주 0.3%
예비산란기 17주~산란 1% 0.3%
산란기 산란 1%~도태 0.3%
도 5~도 8은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를 육계에 적용한 경우 육성률 증가효과, 평균체중 증가 효과, 생산지수 증가 효과, 및 사료 요구율 개선 효과의 예들이 각각 설명되어 있다.
육계의 경우는 면역세포 증진으로 인한 항병력 개선, 육성률 증진, 도계 품질향상 등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35%의 육성률 증가효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495%의 평균 체중 증가 효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85%의 생산지수 증가 효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74%의 사료 요구율 개선 효과가 있다.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를 육계용 사료에 0.3% 첨가할 경우 육계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구분 사육 기간 사료 첨가제 비고
초생 추사료 입추~1주령 0.3% 질병 및 건강 상태에 따라 0.5%로 증가급여
항생제 최저사용
육계 전후(C) 1~4주령 0.3%
육계 후기(P) 4주령~출하 0.3%
육계 후기(EP) 4주령~출하 0.3%
상기 사료 첨가제로 생산된 돼지의 경우에는 최근 양돈업계의 가장 큰 문제는 질병피해로 인한 생산성 저하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질병 예방이 양돈 경영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
또한, 출하 일령을 단축시켜 더 많은 돼지를 판매할 수 있어야만 더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다.
그래서 돼지를 더욱 빨리 더욱 튼튼히 키우기 위해 영양소 이용을 극대화하고 면역 기능 향상 및 성장 촉진을 위한 특수처방으로 설계된 사료 첨가제를 실험하였다.
사료 첨가제는 천연광물질에 오미자 추출물을 첨가하여 잘 먹고 잘 큰다는 기존 장점에 면역 증강기능이 한층 강화되어 급여 시 높은 생산성과 수익성 향상을 가져다 줄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특히 모돈에서부터 급여하여 항생제를 투여하지 않고 사료 첨가제를 급여함으로써 면역기능 강화 및 강한 자돈 생산으로 말미암아 질병 발생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모돈들의 방정 징후도 매우 뚜렷하여 비육돈의 비육 효과도 눈에 보일 만큼 달라진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를 돼지에 급여한 경우 보수력 증가효과(12.15% 증가) 및 면역세포 증가효과(18.02% 증가)를 각각 나타낸 그래프들이다.
표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를 돼지 사육용 사료에 첨가할 경우 돼지 사육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사육 기간 사료 첨가제 사용량 비고
0~4주 0.3~0.5% 모돈 및 임신돈부터 급여
항생제 사용 최저
입질 사료 때부터 급여
호흡기 또는 PMWS 증상시 및 설사시 2% 급여
4~5.5주 0.5~1%
5.5~6.5주 0.5~1%
6.5~10주 0.5~1%
10~13.5주 0.5~1%
13.5주~18주 0.5~1%
18~21주 0.5~1%
분만~출하 0.5~1%
표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 성분 분석표를 나타낸다.
시료번호 의뢰
시료명
시험 항목 및 시험 결과 비고
SiO2 Al2O3 Fe2O5 CaO MgO Na2O K2O
문경 맥반석 68.4 15.6 3.07 1.77 0.59 5.04 3.67

시험 방법 JIS M 8852 : 1998
표 5는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대장균에 의한 향균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시험항목 시료구분 초기 농도
(CFU/40P)
24시간후 농도
(CFU/40P)
세균 감소율(%)
대장균에 의한 향균 시험 BLANK 411 1230
사료 첨가제 411 1 99.8
※1) 시험방법: KICM-FIR-1002
2) 사용 균주: escherichia coli ATCC 25922
표 6 및 표 7은 본 발명에 따른 돼지고기 육질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가열감량(%) 보수력(%) 전단력(%) 다즙성(%) 연도(%) 향미(%) 명도(%)
시료 30.17 43.12 3.19 4.15 4.23 4.55 49.11
적색도(%) 황색도(%) PH(%) 단백질(%) 지방(%) 회분(%) 수분(%)
시료 5.02 3.15 5.96 22.03 1.75 1.18 75.15
사료 첨가제 돼지고기 일반돼지고기

지방산
포화 지방산 38.77 42.51
단가 불포화 지방산 51.01 52.12
다가 불포화 지방산 10.89 2.01
총 불포화 지방산 61.90 54.13
이 경우, 총 불포화 지방산이 많은 관계로 육질이 부드럽고 맛이 달고 고소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은 가축의 사료 제조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로 사육된 가축이 산란계의 경우 산란율 증가효과, 난각 개선효과, 난황색 개선효과, 및 계란 신선도 개선 효과의 예들이 각각 나타낸 그래프들이다.
도 5~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를 육계에 적용한 경우 육성률 증가효과, 평균체중 증가 효과, 생산지수 증가 효과, 및 사료 요구율 개선 효과의 예들이 각각 설명되어 있는 그래프들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를 돼지에 급여한 경우 보수력 증가 효과 및 면역 세포 증가 효과의 예들을 각각 나타낸 그래프들이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50 ~ 500 메쉬로 분쇄한 맥반석 95~99중량%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맥반석 95~99중량%에 오미자 추출물 1~5중량%를 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
  4. 삭제
KR1020090074155A 2009-08-12 2009-08-12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 KR101204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155A KR101204776B1 (ko) 2009-08-12 2009-08-12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155A KR101204776B1 (ko) 2009-08-12 2009-08-12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576A KR20110016576A (ko) 2011-02-18
KR101204776B1 true KR101204776B1 (ko) 2012-11-26

Family

ID=43774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155A KR101204776B1 (ko) 2009-08-12 2009-08-12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7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607A (ko) 2016-10-31 2016-11-23 문경시 오미자 당 발효물의 부산물을 함유하는 가축사료 첨가제
KR20200055320A (ko) * 2018-11-13 2020-05-21 윤준하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기능성 벌사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626B1 (ko) * 2016-10-17 2018-05-14 (주)칼스엔비티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산란계 생산성 및 계란 품질 향상용 사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방법
KR102322065B1 (ko) * 2019-03-18 2021-11-04 주식회사 케이오씨바이오텍 오미자 줄기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육질 개선을 위한 가축 급이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71548B1 (ko) * 2020-07-02 2022-11-30 한두레축산 영농조합법인 오미자 사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오미자 사료 조성물을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
KR102471549B1 (ko) * 2020-12-23 2022-11-30 한두레축산 영농조합법인 오미자 조성물을 이용한 돼지 사육방법
KR102588124B1 (ko) * 2021-06-29 2023-10-12 김태인 오미자 당 발효물의 부산물을 이용한 가축사료 첨가제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607A (ko) 2016-10-31 2016-11-23 문경시 오미자 당 발효물의 부산물을 함유하는 가축사료 첨가제
KR20200055320A (ko) * 2018-11-13 2020-05-21 윤준하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기능성 벌사료
KR102147755B1 (ko) * 2018-11-13 2020-08-25 윤준하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기능성 벌사료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된 기능성 벌사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576A (ko) 201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28163B (zh) 应用中药材饲料添加剂的生猪饲料配方
KR101204776B1 (ko)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
CN1836548A (zh) 一种猪用系列中草药物复合预混料
CN100429991C (zh) 仔猪断奶饲料
CN102669478B (zh) 一种乳仔猪配合饲料
CN102008030A (zh) 改善猪肉品质的饲料
CN104982385B (zh) EPA和DHA含量高且n‑6PUFA/n‑3PUFA低的功能性猪肉及其生产方法
CN102669477A (zh) 一种乳仔猪饲喂方法及其饲喂用配合饲料
CN107080068A (zh) 一种肉羊育肥饲料及其应用
CN104171369A (zh) 一种添加桑叶粉和桑枝灵芝下脚料粉的畜禽饲料及其用途
JP4854226B2 (ja) 飼料用添加物
KR101600670B1 (ko) 성장율 및 육질 개선을 위한 비육돈 사육용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사육 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돈육
CN109170328A (zh) 一种笼养蛋鸭配合饲料及其制作方法
CN106719428A (zh) 一种猪的养殖方法
US8153173B2 (en) Feedstuff
CN104171726A (zh) 一种环保减排的断奶仔猪饲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Adebayo et al. Essentiality of calcium supplement in the diets of heterobranchus bidorsalis fingerlings
Abbas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Feeds in Poultry Feeding: A review
KR20160141335A (ko) 미네랄 성분이 함유되고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9452477A (zh) 一种断奶仔猪专用配合饲料
El-Sanhoury Efficiency of using rice husks in feeding growing rabbits as anti-aflatoxins
Taufikurrahman et al. UTILIZATION OF FERMENTED FISH WASTE AS MULTIPURPOSE FEED AGAINST THE PERFORMANCE OF ALABIO DUCKS
RU2363237C1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бройлеров мясного кросса
Yang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d social desirability issues in pig feeding
Taguchi et al. Effects of low-phosphorus feed on fish performance, fish quality and effluent phosphorus concentration in maturing Biwa salmon Oncorhynchus masou rhodur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