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484B1 - 보냉 케이스용 진공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보냉용 상자 - Google Patents

보냉 케이스용 진공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보냉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484B1
KR102144484B1 KR1020190151048A KR20190151048A KR102144484B1 KR 102144484 B1 KR102144484 B1 KR 102144484B1 KR 1020190151048 A KR1020190151048 A KR 1020190151048A KR 20190151048 A KR20190151048 A KR 20190151048A KR 102144484 B1 KR102144484 B1 KR 102144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insulation
insulation panel
panel
vacuum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호
이재우
Original Assignee
(주)에프엠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프엠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에프엠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151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보냉용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진공단열패널로서, 상기 진공단열패널은, 상기 보냉용 케이스의 내측면들 중 제1내측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제1진공단열부 및 상기 제1진공단열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내측면에 인접하는 제2내측면을 향하도록 일체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진공단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진공단열부와 상기 제2진공단열부에 의하여, 상기 제1내측면과 상기 제2내측면 사이의 모서리가 커버되어, 상기 보냉용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커버된 모서리의 열전달이 억제되는 보냉 케이스용 진공단열패널을 제공한다.
따라서 진공단열패널이 플레이트 형태가 아닌 접힌 형태로 형성되어 접착제나 접착테이프 없이도 보냉 패키징 장치의 모서리를 통한 열교환을 최소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냉 케이스용 진공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보냉용 상자{Vacuum insulation panel for cold insulation case and cold insulation box using the vacuum insulation panel}
본 발명은 보냉 케이스용 진공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보냉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써, 보냉용 상자의 히트 브리지(heat bridge)를 줄이기 위해서 진공단열패널을 접힌 구조로 형성하여 보냉용 상자의 모서리부에 배치하는 보냉 케이스용 진공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보냉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진공단열재는 일반적으로 단열성능이 우레탄 대비 8 내지 10배 우수하다. 따라서 단열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진공단열패널(Vacuum Insulation Panel)을 적용하면 같은 단열효능을 갖도록 구성할 때 용기의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냉매를 적게 사용할 수 있으며, 패키지의 무게를 감소시켜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진공단열재는 냉장고의 단열소재나 바이오 의약품 등의 운송 패키지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만 진공단열패널은 일반적으로 사각의 플레이트 형태로 제작되는데, 이는 진공단열패널이 굽히거나 접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유로 진공단열패널의 이용하여 단열 용기를 구성할 경우, 진공단열패널의 모서리부는 접착제나 접착 테이프 등으로 연결하여 히트브리지를 최소화해야만 보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착제나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만으로는 열출입을 최소화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10860호
본 발명은 보냉용 상자의 히트 브리지(heat bridge)를 줄이기 위해서 진공단열패널을 접힌 구조로 형성하여 보냉용 상자의 모서리부에 배치하는 보냉 케이스용 진공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보냉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보냉용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진공단열패널로서, 상기 진공단열패널은, 상기 보냉용 케이스의 내측면들 중 제1내측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제1진공단열부 및 상기 제1진공단열부의 일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내측면에 인접하는 제2내측면을 향하도록 일체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진공단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진공단열부와 상기 제2진공단열부에 의하여, 상기 제1내측면과 상기 제2내측면 사이의 모서리가 커버되어, 상기 보냉용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기 커버된 모서리의 열전달이 억제되는 보냉 케이스용 진공단열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제1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면 모서리들에 각각 일대일 대응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각 내측면 모서리에 대응되는 부분이 접혀서 상기 내측면 모서리를 커버하는 제1진공단열패널들,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의 내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제1상변화 물질이 저장된 피씨엠(PCM, Phase Change Material) 모듈들 및 상기 피씨엠 모듈들에 의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 배치되고,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을 보관할 수 있는 제2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보냉용 상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제1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측면들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제1진공단열패널들,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내측면 모서리들에 각각 일대일 대응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각 내측면 모서리에 대응되는 부분이 접혀서 상기 내측면 모서리를 커버하는 제2진공단열패널들, 상기 제2진공단열패널들의 내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제1상변화 물질이 저장된 제1피씨엠(PCM, Phase Change Material) 모듈들 및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에 의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 배치되고,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을 보관할 수 있는 제2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보냉용 상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냉 케이스용 진공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보냉용 상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진공단열패널이 플레이트 형태가 아닌 접힌 형태로 형성되어 접착제나 접착테이프 없이도 보냉용 상자의 모서리를 통한 열교환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이는 한층의 플레이트 형태의 진공단열재를 모서리부끼리 양면단열테이프 등으로 접착하여 사용한 경우보다 단열 성능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단열 효과가 일반적인 단열 구조보다 우수하므로 일반적인 단열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한 단열 성능을 갖도록 할 때, 냉매량 사용을 줄여 전체 보냉용 상자의 중량 및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셋째, 일반적인 단열 구조를 사용한 경우보다단열 중량 및 체적이 작아서 항공운임료 등을 절약할 수 있고, 직접 운반하는 것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냉용 상자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보냉용 상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보냉용 상자의 Ⅲ-Ⅲ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냉용 상자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보냉용 상자의 각 위치별 온도를 외부 온도를 달리한 상태에서 측정한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1에 보냉용 상자의 계절별 냉장온도 유지와 관련된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냉용 상자(100)는 외부 케이스(110), 하부 진공단열패널(VIP, Vacuum Insulation Panel)(120), 측면 진공단열패널들(130, 140, 150), 제1피씨엠(PCM, Phase Change Material) 모듈(160), 내부 케이스(170), 제2피씨엠 모듈(180) 및 상부 진공단열패널(190)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케이스(110)는 내부에 제1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직육면체 형태의 카튼(carton) 상자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외부 케이스(110)는 종이나 합성수지 그 외의 소재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외부 케이스(110)는 상기 외부 케이스(110) 내부에 포함되는 상기 보냉용 상자(100)의 다른 구성들이 외력에 의해 직접적인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부 케이스(110)는 상면에 개폐 가능한 덮개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들은 상기 외부 케이스(110)의 측면 각각에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기 덮개들 중 일부의 내측면에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쿠션(110a)이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들 중 일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덮개를 덮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접착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진공단열패널(120)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 진공단열패널(120)은 제1하부 진공단열패널(121) 및 제2하부 진공단열패널(1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하부 진공단열패널(121)은 상기 외부 케이스(110)의 내측 하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2하부 진공단열패널(122)은 상기 제1하부 진공단열패널(121)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1하부 진공단열패널(121)과 상기 제2하부 진공단열패널(122)은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제1하부 진공단열패널(121)과 상기 제2하부 진공단열패널(122)를 접착부재로 접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하부 진공단열패널(121)은 10mm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2하부 진공단열패널(122)은 20mm 두께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하부 진공단열패널(121)은 상기 제2하부 진공단열패널(122)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하부 진공단열패널(122)이 상기 제1하부 진공단열패널(121) 상에 밀착되어 배치될 때, 상기 제1하부 진공단열패널(12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하부 진공 단열패널(122)이 차지한 공간 외에 여분의 공간이 남게된다. 상기 남은 공간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들이 배치된다. 즉, 상기 제2하부 진공단열패널(121)과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들이 밀착 결합하여 직육면체 형상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제2하부 진공단열패널(121)과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들이 맞닿아 결합하는 모서리 부분에는 열출입이 많아 냉기 손실이 클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하부 진공단열패널(121)과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에 의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하면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갖는 상기 제1하부 진공단열패널(121)이 상기 제2하부 진공단열패널(121)과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의 결합하는 모서리 부분에서 유출되는 냉기를 차단해서 히트 브리지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제1하부 진공단열패널(121) 및 상기 제2하부 진공단열패널(122)의 종류 및 두께는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측면 진공단열패널들(130, 140, 150)은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130),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1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130)들은 상기 외부 케이스(110)의 내측 측면들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130)들은 직사각형 형상의 제1진공단열부(131) 및 제2진공단열부(132)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130)들은 상기 외부 케이스(110)의 내측 측면들의 모서리에 밀착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접힌 구조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진공단열부(131)가 상기 외부 케이스(110)의 내측면들 중 제1내측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진공단열부(132)가 상기 제1진공단열부(131)의 일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내측면에 인접하는 제2내측면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연장된다. 이 때 상기 제1진공단열부(131) 및 상기 제2진공단열부(132)는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ㄱ"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130)들은 일반적인 상기 진공단열패널들이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것과 달리 접힌 구조 또는 꺾인 구조를 갖는다. 이는 상기 외부 케이스(110) 내측의 측면들이 맞닿는 모서리 부분에서의 히트 브리지(heat bridge)를 줄이기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130)들이 접힌 구조 또는 꺾인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130)들은 상기 외부 케이스(110)의 내측 모서리에서 서로 접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외부 케이스(110)의 내측 측면들에서 서로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130)들이 상기 외부 케이스(110)의 내측 모서리에서 접할 때 보다 상기 외부 케이스(110)의 모서리들을 통한 열교환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130)들은 두께가 5mm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130)의 두께를 2mm 내지 12mm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이 때 진공단열패널로 형성되는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130)의 심재로는 유리섬유를 사용한다.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들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들은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들(130)에 의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들은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130)들과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들은 아래쪽으로는 상기 제2하부 진공단열패널(122)과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위쪽으로는 상기 제1상부 진공단열패널(191)과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들은 서로 접하는 부분이 상기 외부 케이스(110)의 내측 모서리 부분이므로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130)들과 상이하다. 따라서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130) 및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들을 통과하여 열이 교환되기 어렵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들은 각각 20mm 두께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들의 종류 및 두께는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150)들은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들에 의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150)들은 5mm 두께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150)의 두께를 2mm 내지 12mm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150)들은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들과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150)들은 이하에서 설명하겠지만, 상기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150)들에 의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 배치되는 상기 내부 케이스(170)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특히 상기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150)들은 상기 내부 케이스(170)의 외측 측면들의 모서리에 밀착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접힌 구조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150)들은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들(130)과 유사한 "ㄱ" 형상을 갖는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150)들이 상기 내부 케이스(170)의 외측 모서리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150)들이 상기 내부 케이스(170)의 모서리에서 발생하는 열교환을 1차적으로 줄이고,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50)들이 상기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150)들의 접하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열교환을 2차적으로 줄이고,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130)들이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들의 접하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열교환을 3차적으로 줄인다. 즉,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기 내부 케이스(170)의 냉기는 교차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150),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 및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130)를 모두 통과해야만 상기 외부 케이스(110)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상기 내부 케이스(170)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쉽게 유출되기 어렵다. 그러므로 본원 발명에 의한 보냉용 상자(100)는 일반적으로 모서리 부분에서 접하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진공단열패널을 3중으로 배치한 경우보다 보냉 효과가 크게 우수하다.
상기 제1피씨엠 모듈(160)은 상기 하부 진공단열패널(12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1피씨엠 모듈(160)은 상기 내부 케이스(170)의 제2저장 공간에 보관되는 상기 대상물이 요구되는 온도를 유지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피씨엠 모듈(160)은 0℃에서 상변화 하는 물질, 예를 들면 물을 포함한다. 물론 상기 제1피씨엠 모듈(160)에 포함된 상기 상변화 물질은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내부 케이스(170)는 상기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150)들에 의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케이스(170)는 상기 제1피씨엠 모듈(160) 상에 배치된다. 이 때 상기 내부 케이스(170)와 상기 제1피씨엠 모듈(160) 사이에는 제1스펀지(160')가 배치된다. 이는 상기 내부 케이스(170)와 상기 제1피씨엠 모듈(160)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케이스(170)는 단프라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내부 케이스(170)의 소재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상기 내부 케이스(170)는 상부가 개구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170)의 내부에는 상기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을 보관할 수 있는 제2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 케이스(170)는 상기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150)들과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150)들은 상기 내부 케이스(170)의 외측 측면들의 모서리를 둘러싸서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150)들 상호간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170)의 외측 모시리가 아닌 외측 측면들에서 접한다.
상기 내부 케이스(170)와 상기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150)들 사이에는 제2피씨엠 모듈(미도시)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케이스(170)의 측면들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2피씨엠 모듈(미도시)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내부 케이스(170)는 상기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을 상기 내부 케이스(170)의 제2저장 공간에 배치하여 상기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이 상기 제2피씨엠 모듈(미도시)들로부터 생성되는 냉기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막는다. 즉, 상기 내부 케이스(170)는 상기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이 상기 제2피씨엠 모듈(미도시)로부터 생성되는 냉기에 직접 노출되어 요구되는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로 내려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피씨엠 모듈(미도시)은 상기 제1피씨엠 모듈(160)보다 높은 온도에서 상변화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피씨엠 모듈(미도시)은 5℃에서 상변화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피씨엠 모듈(180)은 상기 내부 케이스(170) 상에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제3피씨엠 모듈(180)과 상기 내부 케이스(170) 사이에는 제2스펀지(180')가 배치된다. 이는 상기 제3피씨엠 모듈(180)과 상기 내부 케이스(170)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3피씨엠 모듈은 상기 제1피씨엠 모듈(160)과 동일한 온도에서 상변화 하는 물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피씨엠 모듈은 상기 제2피씨엠 모듈(미도시) 보다 낮은 온도에서 상변화 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진공단열패널(190)들은 상기 제3피씨엠 모듈(18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상부 진공단열패널(190)은 상기 보냉용 상자(100) 내부의 냉기가 상기 보냉용 상자(100)의 상부를 통해서 유출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된다. 상기 상부 진공 단열패널(190)은 제1상부 진공단열패널(191) 및 제2상부 진공단열패널(192)을 포함한다. 상기 제1상부 진공단열패널(191) 및 상기 제2상부 진공단열패널(192)은 접착재로 접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상부 진공단열패널(191) 및 상기 제2상부 진공단열패널(192)는 각각 15mm 두께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상부 진공단열패널(192)은 상기 제1상부 진공단열패널(191)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상부 진공단열패널(191)이 상기 제2상부 진공단열패널(192)에 밀착되어 배치될 때, 상기 제2상부 진공단열패널(19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상부 진공단열패널(191)이 차지한 공간 외에 여분의 공간이 남게된다. 상기 남은 공간에는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들이 배치된다. 즉, 상기 제1상부 진공단열패널(191)과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들은 밀착 결합하여 직육면체 형상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제1상부 진공단열패널(191)과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들이 맞닿아 결합하는 모서리 부분에는 열출입이 많아 냉기 손실이 클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상부 진공단열패널(191)과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에 의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하면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갖는 상기 제2상부 진공단열패널(192)이 상기 제1상부 진공단열패널(191)과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의 맞닿는 모서리 부분에서 유출되는 냉기를 차단해서 히트 브리지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191) 및 상기 제2상부 진공단열패널(192)의 두께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냉용 상자(100)에서, 하부 진공단열패널(120)의 두께는 제1하부 진공단열패널(121)의 10mm와 제2하부 진공단열패널(122)의 20mm의 합인 30mm이고, 상기 측면 진공단열패널(130, 140, 150)의 두께는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130)의 5mm와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의 20mm와 상기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150)의 5mm의 합인 30mm이며, 상기 상부 진공단열패널(190)의 두께는 상기 제1상부 진공단열패널(191)의 15mm와 상기 제2상부 진공단열패널(192)의 15mm의 합인 30mm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보냉용 상자(100)의 경우 하부, 측면 및 상부의 진공단열패널의 두께의 합이 모두 동일하여 모든 방향으로 골고루 균일한 단열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인 진공단열패널은 표피부가 얇아서 날카로운 것에 진공이 풀리거나, 실링부가 풀려서 진공이 풀어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보냉용 상자(100)는 진공단열패널을 2중 또는 3중으로 교차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진공단열패널의 진공이 풀리더라도 나머지 진공단열패널들이 진공을 유지하여 성능이 급속히 저하되지 않는다. 그리고 다수의 진공단열패널을 사용함으로써 성능 저하 위험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가의 의약품 등 물품을 장시간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보냉용 상자(100)는 효율적인 진공단열패널 구성을 통하여 단열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냉매량을 적게 사용할 수 있고, 저장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항공료 등 운송비용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보냉용 상자(100) 내부에서 냉기가 외부로 흐르는 경로를 나타낸다. 물론 도면상에서는 냉기로 표현했지만 상기 경로는 일반적인 공기의 흐름 경로도 포함된다. 따라서 경로를 통해서 냉기 외의 다른 공기가 흘러 나갈 수도 있고, 상기 냉기가 외부로 흐르는 경로의 역 경로로 공기가 흘러 들어올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내부 케이스(170)와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150) 사이의 냉기는 상기 제3진공단열패널(150)들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150)이 맞닿아 있는 부분을 통해 유출된다. 상기 유출된 냉기는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로 향하는데, 상기 냉기가 상기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150)들로부터 유출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 부분은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들이 맞닿는 부분이 아니다. 그러므로 상기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150)을 통해서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에 도달한 냉기는 두 개의 인접하는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들이 맞닿는 부분을 향해서 우회한다. 즉 상기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150)들과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들 사이의 냉기는 흐르는 경로가 길어지게 되어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들을 통하여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130) 방향으로 전달되기 어렵다.
그리고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의 모서리를 통해 유출된 냉기는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130)로 향하는데, 상기 냉기가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들로부터 유출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130) 부분은 인접하는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130)들이 맞닿는 부분이 아니다. 그러므로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을 통해서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130)에 도달한 냉기는 두 개의 인접하는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130)들이 맞닿는 부분을 향해서 우회한다. 즉,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들과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130)들 사이의 냉기는 흐르는 경로가 또 한 번 길어지게 되어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130)들을 통하여 외부 케이스(110) 방향으로 전달되기 어렵다.
도면상으로는 한 방향으로만 진행하는 냉기 흐름을 표시 했지만, 이러한 냉기의 흐름은 각각의 상기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150)이 패널이 인접하는 부분, 각각의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이 인접하는 부분, 각각의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130)인 인접하는 모든 부분에서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는 도면상으로 표시된 흐름만을 갖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냉기는 각각의 진공단열패널들의 인접하는 부분뿐만아니라 각각의 진공단열패널들 자체의 면들을 통해서도 유출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진공단열패널들 자체의 면들의 통해서 유출되는 냉기의 양은 상기 진공단열패널들이 인접하여 맞닿는 부분에서 냉기가 유출되는 양에 비해 작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냉용 상자(100)의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130) 및 상기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150)과 같은 "ㄱ" 형상의 진공단열패널들을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140)들과 교차하여 중첩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보냉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냉용 상자(200)는 외부 케이스(210), 하부 진공단열패널(220), 측면 진공단열패널(230, 240)들, 제1피씨엠 모듈(250)들, 저장 케이스(260), 내부 케이스(270), 제2피씨엠 모듈(280) 및 상부 진공단열패널(29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따른 보냉용 상자(20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기 보냉용 상자(200)의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외부 케이스(210)는 카튼 상자보다 강성이 더 강한 소재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부 케이스(210)가 폴리 프로필렌 소재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든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냉용 상자(210)는 도 1에 따른 보냉용 상자(100)에 비해 내부 구성품들이 외부 충격으로부터 더 잘 보호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210)의 외형 변화가 거의 없으므로 상기 외부 케이스(210)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품들이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잘 정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진공단열패널(220)은 상기 외부 케이스(210)의 내측 하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하부 진공단열패널(220)은 도 1에 따른 하부 진공단열패널(120)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측면 진공단열패널(230, 240)은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230)들 및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240)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230)들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230)들은 상기 외부 케이스(210)의 내측 측면에 밀착하도록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230)들은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210)의 내측 측면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230)은 상기 하부 진공단열패널(220)과 함께 상기 외부 케이스(210)의 내측면에 단단히 서로 고정되어 외력에 의한 움직임을 줄인다. 상기 외부 케이스(210)의 강성이 강하므로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230)들은 상기 외부 케이스(210)의 내측 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230)들은 20mm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240)들은 상기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230)들에 의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240)들은 도 1에 따른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150)과 유사한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240)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저장 케이스(260)는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240)들에 의해 한정된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저장 케이스(260)는 직육면체 구조로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장 케이스(260)는 상기 저장 케이스(260)의 저장 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내부 케이스(270) 및 상기 제1피씨엠 모듈(25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저장 케이스(260)는 상기 내부 케이스(270)와 상기 제1피씨엠 모듈(250)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 및 상기 내부 케이스(270)로부터 상기 외부 케이스(210) 방향으로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저장 케이스(260)는 ABS 수지로 형성된다.
상기 제1피씨엠 모듈(250)들은 상기 저장 케이스(260)의 저장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제1피씨엠 모듈(250)들은 상기 저장 케이스(26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 케이스(260) 내부에 상기 제1피씨엠 모듈(250)들이 배치되어 있지만, 상기 저장 케이스(260)는 제거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 때는 상기 제1피시엠 모듈(250)들이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240)들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 내에서 상기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240)들과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그 외에 상기 제1피씨엠 모듈(250)들은 도 1에 따른 상기 제2피씨엠 모듈(180)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저장 케이스(260)는 상기 제1피씨엠 모듈(250)들에 의해 한정된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저장 케이스(260)는 직육면체 구조로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장 케이스(260)는 상기 저장 케이스(260)의 저장 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내부 케이스(27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저장 케이스(260)는 상기 내부 케이스(270)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 및 상기 내부 케이스(270)로부터 상기 외부 케이스(210) 방향으로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저장 케이스(260)는 ABS 수지로 형성된다.
상기 내부 케이스(270)는 상기 저장 케이스(260)의 저장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내부 케이스(270)는 도 1에 따른 내부 케이스(170)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피씨엠 모듈(280)은 상기 내부 케이스(27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2피씨엠 모듈(280)은 상기 제1피씨엠 모듈(250)보다 낮은 온도에서 상변화 하는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제2피씨엠 모듈(280)은 도 1에 따른 상기 제3피씨엠 모듈(180)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부 진공단열패널(290)은 상기 제2피씨엠 모듈(28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상부 진공단열패널(290)은 도 1에 따른 상부 진공단열패널(190)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도 1에 따른 보냉용 상자(100)의 각 위치별 온도를 측정한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외부 온도가 높은 경우 상기 보냉용 상자(100)의 초기 온도는 각각의 부분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략적으로 2℃ 내지 5℃ 범위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보냉용 상자(100)의 각각의 부분들은 약 78시간 동안 8℃를 초과하는 온도까지 상승하지 않고 있다. 즉, 도 1에 따른 보냉용 상자(100)를 이용하면 약 44℃의 외부 온도에서 약 78시간 동안 2℃ 내지 8℃ 범위에서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을 보관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외부 온도가 낮은 경우 상기 보냉용 상자(100)의 초기 온도는 각각의 부분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략적으로 4℃ 내지 7℃ 범위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보냉용 상자(100)의 각각의 부분들은 약 90시간 동안 2℃ 미만의 온도까지 하강하지 않고 있다. 즉, 도 1에 따른 보냉용 상자(100)를 이용하면 약 ??6℃의 외부 온도에서 약 90시간 동안 2℃ 내지 8℃ 범위에서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을 보관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와 유사한 실험을 공인시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이에 따르면 도 5에 대한 설명에서와 같이 도 1에 따른 보냉용 상자(100)를 이용하면 외부 온도가 43℃ 이상으로 높거나 ??5℃ 이하로 낮아지더라도 상기 보냉용 상자(100)의 온도는 72시간 이상 2℃ 내지 8℃ 범위에서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을 이용하면 적정한 온도 유지가 필요한 바이오 의약품이나 고가의 소재의 보관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보냉용 상자
110, 210: 외부 케이스
120, 220: 하부 진공단열패널
121: 제1하부 진공단열패널
122: 제2하부 진공단열패널
130, 230: 제1측면 진공단열패널
131: 제1진공단열부
132: 제2진공단열부
140, 240: 제2측면 진공단열패널
150: 제3측면 진공단열패널
160, 250: 제1피씨엠 모듈
160': 제1스펀지
170, 270: 내부 케이스
180, 280: 제2피씨엠 모듈
180': 제2스펀지
190, 290: 상부 진공단열패널
191: 제1상부 진공단열패널
192: 제2상부 진공단열패널
260: 저장 케이스

Claims (15)

  1. 삭제
  2. 내부에 제1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면 모서리들에 각각 일대일 대응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각 내측면 모서리에 대응되는 부분이 접혀서 상기 내측면 모서리를 커버하되, 일체로 형성되는 네 개의 제1진공단열패널들;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의 내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변화 물질이 저장된 피씨엠(PCM, Phase Change Material) 모듈들; 및
    상기 피씨엠 모듈들에 의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 배치되고,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을 보관할 수 있는 제2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네 개의 제1진공단열패널들 중 첫번째 제1진공단열패널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전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전면이 상기 외부 케이스의 우측면과 접하는 모서리까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1진공단열부 및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전면과 접하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우측면 모서리로부터 상기 외부 케이스의 우측면 중심까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2진공단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네 개의 제1진공단열패널들 중 두번째 제1진공단열패널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우측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외부 케이스의 우측면이 상기 외부 케이스의 후면과 접하는 모서리까지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의 우측면의 중심에서 상기 첫번째 제1진공단열패널의 제2진공단열부와 밀착되는 제1진공단열부 및 상기 외부 케이스의 우측면과 상기 외부 케이스의 후면이 접하는 모서리로부터 상기 외부 케이스의 후면 중심까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2진공단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네 개의 제1진공단열패널들 중 세번째 제1진공단열패널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후면의 중심에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후면이 상기 외부 케이스의 좌측면과 접하는 모서리까지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의 후면의 중심에서 상기 두번째 제1진공단열패널의 제2진공단열부와 밀착되는 제1진공단열부 및 상기 외부 케이스의 후면과 상기 외부 케이스의 좌측면이 접하는 모서리로부터 상기 외부 케이스의 좌측면 중심까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2진공단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네 개의 제1진공단열패널들 중 네번째 제1진공단열패널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좌측면의 중심에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좌측면이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전면과 접하는 모서리까지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의 좌측면의 중심에서 상기 세번째 제1진공단열패널의 제2진공단열부와 밀착되는 제1진공단열부 및 상기 외부 케이스의 좌측면과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전면이 접하는 모서리로부터 상기 외부 케이스의 전면 중심까지 대응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첫번째 제1진공단열패널의 제1진공단열부와 밀착되는 제2진공단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과 상기 피씨엠 모듈들 사이에 배치되고,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제2진공단열패널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진공단열패널들과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측 모서리들에 접힌 구조로 배치되는 제3진공단열패널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면들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피씨엠 모듈들은,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측 하면에 배치되는 제1피씨엠 모듈 및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제2피씨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 하면 상에 배치되는 하부 진공단열패널 및 상기 내부 케이스 상면 상에 배치되는 상부 진공단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진공단열패널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제1하부 진공단열패널 및 제2하부 진공단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부 진공단열패널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 하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하부 진공단열패널은 상기 제1하부 진공단열패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하부 진공단열패널은 상기 제2하부 진공단열패널보다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하부 진공단열패널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하부 진공단열패널이 차지한 공간 외에 여분의 공간이 있고,
    상기 상부 진공단열패널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제1상부 진공단열패널 및 제2상부 진공단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 진공단열패널은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상부 진공단열패널은 상기 제1상부 진공단열패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상부 진공단열패널은 상기 제1상부 진공단열패널보다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상부 진공단열패널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상부 진공단열패널이 차지한 공간 외에 여분의 공간이 있고,
    상기 제1하부 진공단열패널의 여분의 공간 및 상기 제2상부 진공단열패널의 여분의 공간에는 상기 제2진공단열패널이 배치되어, 상기 제1하부 진공단열패널, 상기 제2하부 진공단열패널, 상기 제1상부 진공단열패널 및 상기 제2상부 진공단열패널 각각과 밀착되는,
    보냉용 상자.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진공단열패널들은 상기 내부 케이스 모서리의 외측 측면들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보냉용 상자.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씨엠 모듈들은,
    상기 내부 케이스의 측면들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3피씨엠 모듈들을 포함하는,
    보냉용 상자.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씨엠 모듈들은,
    상기 내부 케이스의 측면들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3피씨엠 모듈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피씨엠 모듈 및 상기 제2피씨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3피씨엠 모듈들보다 낮은 온도에서 상변화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보냉용 상자.
  11. 내부에 제1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측면들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제1진공단열패널들;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내측면 모서리들에 각각 일대일 대응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각 내측면 모서리에 대응되는 부분이 접혀서 상기 내측면 모서리를 커버하되, 일체로 형성되는 네 개의 제2진공단열패널들;
    상기 제2진공단열패널들의 내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제1상변화 물질이 저장된 제1피씨엠(PCM, Phase Change Material) 모듈들; 및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에 의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 배치되고, 저온 유지가 요구되는 대상물을 보관할 수 있는 제2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네 개의 제2진공단열패널들 중 첫번째 제2진공단열패널은,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전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전면이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우측면과 접하는 모서리까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1진공단열부 및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전면과 접하는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우측면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우측면 중심까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2진공단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네 개의 제2진공단열패널들 중 두번째 제2진공단열패널은,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우측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우측면이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후면과 접하는 모서리까지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우측면의 중심에서 상기 첫번째 제2진공단열패널의 제2진공단열부와 밀착되는 제1진공단열부 및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우측면과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후면이 접하는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후면 중심까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2진공단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네 개의 제2진공단열패널들 중 세번째 제2진공단열패널은,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후면의 중심에서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후면이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좌측면과 접하는 모서리까지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후면의 중심에서 상기 두번째 제2진공단열패널의 제2진공단열부와 밀착되는 제1진공단열부 및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후면과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좌측면이 접하는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좌측면 중심까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2진공단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네 개의 제2진공단열패널들 중 네번째 제2진공단열패널은,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좌측면의 중심에서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좌측면이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전면과 접하는 모서리까지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좌측면의 중심에서 상기 세번째 제2진공단열패널의 제2진공단열부와 밀착되는 제1진공단열부 및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좌측면과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전면이 접하는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1진공단열패널들에 의하여 한정된 직육면체의 전면 중심까지 대응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첫번째 제2진공단열패널의 제1진공단열부와 밀착되는 제2진공단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진공단열패널들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면들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제2피씨엠 모듈 및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측 하면에 배치되는 제3피씨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 하면 상에 배치되는 하부 진공단열패널 및 상기 내부 케이스 상면 상에 배치되는 상부 진공단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진공단열패널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제1하부 진공단열패널 및 제2하부 진공단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부 진공단열패널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 하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하부 진공단열패널은 상기 제1하부 진공단열패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하부 진공단열패널은 상기 제2하부 진공단열패널보다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하부 진공단열패널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하부 진공단열패널이 차지한 공간 외에 여분의 공간이 있고,
    상기 상부 진공단열패널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제1상부 진공단열패널 및 제2상부 진공단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 진공단열패널은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상부 진공단열패널은 상기 제1상부 진공단열패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상부 진공단열패널은 상기 제1상부 진공단열패널보다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상부 진공단열패널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상부 진공단열패널이 차지한 공간 외에 여분의 공간이 있고,
    상기 제1하부 진공단열패널의 여분의 공간 및 상기 제2상부 진공단열패널의 여분의 공간에는 상기 제2진공단열패널이 배치되어, 상기 제1하부 진공단열패널, 상기 제2하부 진공단열패널, 상기 제1상부 진공단열패널 및 상기 제2상부 진공단열패널 각각과 밀착되는,
    보냉용 상자.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과 상기 제2진공단열패널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 및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을 수용할 수 있는 제3저장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저장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보냉용 상자.
  13. 삭제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피씨엠 모듈은,
    상기 제1피씨엠 모듈들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상변화 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보냉용 상자.
  15. 삭제
KR1020190151048A 2019-11-22 2019-11-22 보냉 케이스용 진공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보냉용 상자 KR102144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048A KR102144484B1 (ko) 2019-11-22 2019-11-22 보냉 케이스용 진공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보냉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048A KR102144484B1 (ko) 2019-11-22 2019-11-22 보냉 케이스용 진공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보냉용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484B1 true KR102144484B1 (ko) 2020-08-13

Family

ID=72043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048A KR102144484B1 (ko) 2019-11-22 2019-11-22 보냉 케이스용 진공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보냉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380A (ko)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에이치티씨 단열 및 방열기능을 갖는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8283A (ja) * 1993-04-16 1994-10-25 Kubota Corp 真空断熱箱体
JP2016158936A (ja) * 2015-03-03 2016-09-05 ワコン株式会社 断熱容器
KR101910860B1 (ko) 2018-02-14 2018-10-23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보냉용 포장 상자
KR101989583B1 (ko) * 2019-01-28 2019-06-14 (주)에프엠에스코리아 보냉 패키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8283A (ja) * 1993-04-16 1994-10-25 Kubota Corp 真空断熱箱体
JP2016158936A (ja) * 2015-03-03 2016-09-05 ワコン株式会社 断熱容器
KR101910860B1 (ko) 2018-02-14 2018-10-23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보냉용 포장 상자
KR101989583B1 (ko) * 2019-01-28 2019-06-14 (주)에프엠에스코리아 보냉 패키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380A (ko)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에이치티씨 단열 및 방열기능을 갖는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3703B2 (en) Packing system for perishable goods
JP2010108199A (ja) 自動販売機の断熱構造
US20150259126A1 (en) Insulated apparatus for shipping and storage and process for fabricating thereof
KR200471021Y1 (ko) 온도 조절이 가능한 박스형 패키징
KR101989583B1 (ko) 보냉 패키징 장치
KR102557078B1 (ko) 온도민감성 화물 수송용 접이식 파레트 컨테이너
KR102228453B1 (ko) 보냉기능이 구비된 와인 배송용포장상자
KR102144484B1 (ko) 보냉 케이스용 진공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보냉용 상자
JP7378979B2 (ja) 定温保管容器
JP2010089802A (ja) 梱包用断熱容器
WO2020255887A1 (ja) 定温容器
KR102328598B1 (ko) 포장상자용 보냉상자
KR102113146B1 (ko) 보온 보냉 기능이 개선된 포장 박스
JP7404083B2 (ja) 断熱容器
KR20150000671U (ko) 온도 조절이 가능한 박스형 패키징
JP2021008311A (ja) 断熱容器及び内容物入り断熱容器
CN114655578A (zh) 用于容纳温度敏感产品的绝缘容器
JP6382596B2 (ja) 冷蔵庫
JP7279348B2 (ja) 断熱容器、内容物入り断熱容器及び断熱容器の組合体
WO2021132619A1 (ja) 定温容器
WO2020255888A1 (ja) 定温容器
KR102469430B1 (ko) 보온 및 보냉 기능을 갖는 포장용 박스
JP2016089962A (ja) 真空断熱材及びこの真空断熱材を用いた冷蔵庫
WO2020255886A1 (ja) 定温容器
KR102208143B1 (ko) 포장용 상자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