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146B1 - 보온 보냉 기능이 개선된 포장 박스 - Google Patents

보온 보냉 기능이 개선된 포장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146B1
KR102113146B1 KR1020190005243A KR20190005243A KR102113146B1 KR 102113146 B1 KR102113146 B1 KR 102113146B1 KR 1020190005243 A KR1020190005243 A KR 1020190005243A KR 20190005243 A KR20190005243 A KR 20190005243A KR 102113146 B1 KR102113146 B1 KR 102113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box
packaging member
seal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주)지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즐 filed Critical (주)지즐
Priority to KR1020190005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semi-rigid container folded up from one or more blanks
    • B65D81/385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semi-rigid container folded up from one or more blanks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e.g. laminated or foam filling betwee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 B65D81/0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filled with fluid, e.g. infla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8Double sided adhesive tape, e.g. for suspension of the container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 박스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포장 박스는 박스 형태로 접어지는 제1 포장부재, 및 상기 제1 포장부재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제1 포장부재를 박스 형태로 접을 때 보온 또는 보냉이 필요한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박스형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제2 포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포장부재는, 상기 박스형 수용공간에 근접 배치되며 에어층을 구비하는 내피부재, 및 상기 내피부재의 외부에 밀착되는 필름 소재로 이루어지는 외피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온 보냉 기능이 개선된 포장 박스{PACKING BOX WITH IMPROVED INSULATION AND COOLING FUNCTION}
본 발명은 보온 보냉 기능이 개선된 보온재가 결합된 종이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PE 필름과 종이를 쉽게 분리 가능하도록 접착하고,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를 이용하는 동시에 이중의 씰링 구조를 적용하여 보온 보냉 기능이 개선된 포장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보온, 보냉이 요구되는 내용물들을 저장 및 운반하기 위해 제작되는 포장 박스는 대부분 스티로폼 등의 재질로 제작된다.
스티로폼 재질로 제작된 포장 박스는 방수, 보온, 보냉 효과가 우수하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스티로폼 재질로 성형 제작된 포장 박스는 일정한 부피를 유지하도록 압축 성형되는 것이므로, 제작상 소요되는 비용은 물론 이의 보관 및 운반에도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종이 또는 골판지 등으로 제작된 포장 박스의 경우 제작이 용이하고, 펼쳐서 여러 개를 적층시켜 보관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보온, 보냉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7-0005956호(2017.01.17. 공고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보온 보냉 기능을 갖는 포장용 박스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스티로폼 소재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를 적용하여 보온 또는 보냉 기능을 향상시킨 포장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중의 씰링 구조를 적용하여 보온 또는 보냉 기능을 향상시킨 포장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이상자와 보온 역할을 하는 봉투형태의 PE 보온재가 제함 작업 중에 자동으로 큐빅형태로 조립되며, 사용 후 두 재질의 분리배출이 가능한 친환경 포장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구성이 우수하며 비용 절감이 가능한 포장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는 박스 형태로 접어지는 제1 포장부재; 및 상기 제1 포장부재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제1 포장부재를 박스 형태로 접을 때 보온 또는 보냉이 필요한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박스형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제2 포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포장부재는, 상기 박스형 수용공간에 근접 배치되며 에어층을 구비하는 내피부재; 및 상기 내피부재의 외부에 밀착되는 필름 소재로 이루어지는 외피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내피부재는, PE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층이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PE 에어 캡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에어층에는 공기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피부재는, 은박 PET 필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포장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내피부재 간의 겹침 부위를 접착시켜 상기 박스형 수용공간을 1차 씰링하는 제1 씰링부; 및 상기 제1 씰링부의 외측에서 설정 크기의 폭으로 일정하게 밀봉되어 상기 박스형 수용공간을 2차 씰링하는 제2 씰링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씰링부는, 상기 내피부재 간의 겹침 부위를 양면테이프나 접착제로 접착시켜 형성하며, 상기 제2 씰링부는, 상기 제1 씰링부의 외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설정 크기의 폭으로 열 씰링 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포장부재는 골판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포장부재는, 박스 형태로 접을 때, 정면에 배치되는 정면부와, 상기 정면부에 마주하여 배치되며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부와, 상기 정면부 및 상기 후면부 사이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면부 및 상기 후면부 각각의 내부와 상기 제2 포장부재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고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고정부는, 일면은 상기 정면부 및 상기 후면부 각각의 내부에 접착 고정되고, 타면은 상기 제2 포장부재의 외부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고정부는, 상기 정면부 및 상기 후면부 각각의 높이 중심에서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정면부 및 상기 후면부 각각의 가로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측면부 각각의 좌우 중심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직선 형상의 접지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제1 포장부재를 박스 형태로 접을 때, 상기 한 쌍의 측면부가 상기 정면부 및 상기 후면부에 직각으로 펴지도록 외력이 가해지는 부위로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급 시에는 한 쌍의 측면부는 접지부를 기준으로 반으로 접혀 형성되고, 제1 포장부재를 박스 형태로 접을 때에 접지부에 힘을 가하여 한 쌍의 측면부를 90도로 펼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정면부 및 후면부 각각의 내부와 제2 포장부재 사이로만 접착고정부를 배치시킬 수 있어 박스 형태로 접을 때 제2 포장부재가 뒤틀리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만일, 정면부 및 후면부는 물론 측면부에도 접착고정부를 배치시킬 경우 박스 형태로 접을 때 제2 포장부재가 뒤틀리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인 포장 박스에 의하면 기존의 스티로폼 소재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를 적용하여 보온 또는 보냉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인 포장 박스에 의하면 제1, 2 씰링부에 의한 이중의 씰링 구조가 적용되어 보온 또는 보냉 기능을 한층 더 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인 포장 박스에 의하면 기존의 스티로폼 소재에 비해 골판지 소재로 이루어진 제1 포장부재는 표면강도가 높아 배송 중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에어층을 갖는 내피부재의 완충 효과로 인해 제품의 안전한 배송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포장 박스에 의하면 기존의 스티로폼 소재에 비해 비용이 절감되며 부피가 줄어들어 물류비용 절감에도 유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인 포장 박스에 의하면 박스 형태로 접어지는 제1 포장부재의 내측에 제2 포장부재를 수용시켜 판재 형태로 공급하되, 사용 시 제1 포장부재를 박스 형태로 접을 때 제2 포장부재도 함께 박스 형상을 가지게 되어, 보온 또는 보냉이 필요한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박스형 수용공간이 손쉽게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포장부재와 제2 포장부재의 분리가 가능함으로 사용 후 분리배출이 용이하다. 이로써, 보관이 편리하고, 포장 작업이 쉬우며,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에 구성되는 제2 포장부재의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에 구성되는 제2 포장부재의 개념도.
도 4는 도 3의 Ⅳ 영역 단면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에 구성되는 제2 포장부재의 제1, 2 씰링부 형성 전, 후 모습을 나타낸 사진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에 구성되는 제1 포장부재의 전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의 사용 전 보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의 사용 시 제1 포장부재를 박스 형태로 접어 제2 포장부재의 박스형 수용공간 내부로 내용물을 담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의 사용 시 제2 포장부재 내부의 박스형 수용공간을 보여주는 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의 사용 시 제2 포장부재의 상단부를 씰링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의 사용 시 제1 포장부재를 테이프로 밀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1000)는 제1 포장부재(100), 및 제2 포장부재(200)를 포함한다.
제1 포장부재(100)는 박스 형태로 접혀 조립되는 부재로서, 골판지 등의 종이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제2 포장부재(200)는 제1 포장부재(100)의 내측에 수용된다.
제2 포장부재(200)는 제1 포장부재(100)를 박스 형태로 접을 때 제1 포장부재(100)와 함께 박스 형태로 접혀 박스형 수용공간(290)을 제공한다.
제2 포장부재(200)의 내측에 형성된 박스형 수용공간(290)에는 보온 또는 보냉이 필요한 내용물이 담겨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포장부재(200)는 내피부재(210), 및 외피부재(230)를 포함한다.
내피부재(210)는 박스형 수용공간(290)에 근접 배치되며 에어층(111)을 구비한다.
예컨대, 내피부재(210)는 PE 소재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하나의 에어층(111)을 구비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내피부재(210)를 PE 에어 캡 등의 명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PE 소재는 PS 소재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으며, 공기를 포함하는 에어층(111) 역시 열전도율이 매우 낮다. 따라서 기존의 스티로폼 등의 소재에 비해 보온 보냉 기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외피부재(230)는 내피부재(210)의 외부에 밀착되는 필름 소재의 부재를 말한다.
예컨대, 외피부재(230)는 은박 PET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피부재(210)의 외측에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도포 또는 코팅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일체형 구조를 이루어 단일의 소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포장부재(200)의 경우, 스티로폼 보다 플라스틱 사용량이 대략 1/4 정도로 감소된다. 또한 내피부재(210)에 사용되는 PE 소재의 경우 비열계수가 높아 소각 시 오염가스 배출량이 스티로폼에 비해 줄어들어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에 구성되는 제2 포장부재의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에 구성되는 제2 포장부재의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포장부재(200)의 전체 외형을 사진 및 도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포장부재(200)는 박스 형태로 접어지기 전에 상단부(201)만 개방된 봉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내용물의 포장 전에 제2 포장부재(200)의 상단부(201)는 개방된 형태로 제공되고, 양측단부(202, 203)와 하단부(204)만이 제1, 2 씰링부(250, 270, 도 3 참조)에 의해 이중 씰링 처리되어 봉투 형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제2 포장부재(200)의 개방된 상단부(201)를 통해 내용물은 제2 포장부재(200)의 내부로 수용된다. 그리고 내용물을 수용한 다음에, 개방된 상단부(201)에 제1, 2 씰링부(250, 270)를 형성하여 이중의 씰링 구조로 밀봉한다. 이로써 보온 보냉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도 11 참조).
제1 씰링부(2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포장부재(20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씰링부(2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씰링부(250)의 외측에서 설정 크기의 폭으로 일정하게 형성되어 제2 포장부재(200)의 최 외곽 테두리 부위를 한차례 더 밀봉한다.
도 4는 도 3의 Ⅳ 영역 단면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씰링부(250)는 제2 포장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씰링부(250)는 제2 포장부재의 내측 수용공간(29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내피부재(210, 210') 사이의 겹쳐지는 부위를 접착시킨다. 이로써, 수용공간(290)을 1차 씰링 하여 보온 보냉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씰링부(250)는 서로 마주하는 내피부재(210, 210')의 겹침 부위를 접착시키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 폭(S1)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것이 좋다.
제2 씰링부(270)는 제1 씰링부(110)의 외측, 다시 말해 제2 포장부재(200)의 최 외곽 테두리 부위에서 설정 크기의 폭(S2)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2 씰링부(270)는 열 씰링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외피부재(210)를 통해 두께 방향으로 열 씰링 작업을 실시하여 수용공간(290)을 2차 씰링 한다. 이로써, 제2 포장부재의 보온 보냉 기능은 한층 더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1 씰링부(250)의 폭(S1) 크기는 제2 씰링부(270)의 폭(S2) 크기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 있다(도 4 참조). 다만, 이러한 형상은 하나의 예시적인 것으로 도시된 것과 다른 형태로 폭(S1, S2) 크기의 변형이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에 구성되는 제2 포장부재의 제1, 2 씰링부 형성 전, 후 모습을 나타낸 사진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포장부재(200)의 상단부(201)는 개방된다. 따라서 개방된 상단부(201)를 통해 수용공간(290) 내부로 내용물을 투입할 수 있다.
한편, 개방된 상단부(201)의 테두리를 따라 제1 씰링부(250)의 형성을 위한 양면테이프가 구비된다. 따라서 내용물의 포장 시 양면테이프의 이형지를 제거한 후 상단부(201)를 밀봉하여 1차적으로 씰링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포장부재(200)의 상단부(201)에 제1, 2 씰링부(250, 270)가 형성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중의 씰링 구조를 적용하여 보온 보냉 기능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에 구성되는 제1 포장부재의 전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의 사용 전 보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를 구성하는 제1 포장부재(100)는 골판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포장부재(100)는 박스 형태로 접을 때, 정면에 배치되는 정면부(101)와, 정면부(101)에 마주하여 배치되며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부(102)와, 정면부(101) 및 후면부(102) 사이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부(103, 104)를 포함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부(101)(및 후면부(102, 도 7 참조))의 내부와 제2 포장부재(20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고정부(300)가 더 구비된다.
접착고정부(300)의 일면은 정면부(101)(및 후면부(102, 도 7 참조))의 내부에 접착 고정되며, 접착고정부(300)의 타면은 제2 포장부재(200)의 외부에 접착 고정된다. 이로써, 제1 포장부재(100)의 내부에 수용된 제2 포장부재(200)는 제1 포장부재(100)의 형상 변화에 연동하여 제1 포장부재(100)와 같은 박스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접착고정부(300)는 정면부(101)(및 후면부(102, 도 7 참조))의 높이 중심에서 가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착고정부(300)는 정면부(101)(및 후면부(102, 도 7 참조))의 가로 길이(즉, 가로 폭 크기)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는데, 이보다 조금 짧은 길이를 가져도 무방하다.
그리고 접착고정부(300)는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한 쌍의 측면부(103, 104) 각각의 좌우 중심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직선 형상의 접지부(105, 10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접지부(105, 106)는 제1 포장부재(100)의 보관 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면부(103, 104)를 반으로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제1 포장부재(100)를 박스 형태로 접을 때 외력이 가해지는 부위로서, 접지부(105, 106)에 외력이 가해지면 한 쌍의 측면부(103, 104)는 펼쳐져 정면부(101)와 후면부(102)에 직각을 이루어 박스 형상의 측면을 형성한다.
만일 접지부(105, 106)가 없다면 접착고정부(300)는 정면부(101)(및 후면부(102, 도 7 참조))와 함께 측면부(103, 104)까지 연결되어 배치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형성될 경우 제1 포장부재(100)를 박스 형태로 접을 때 제2 포장부재(200)가 뒤틀리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접지부(105, 106)를 통해 제1 포장부재(100)의 측면부(103, 104)가 반으로 접혀 보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면부(101)(및 후면부(102, 도 7 참조))의 내부와 제2 포장부재(200) 외부 사이에만 접착고정부(300)가 가로로 배치되어, 제1 포장부재(100)를 박스 형태로 접을 때 제2 포장부재(200)가 뒤틀어지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의 사용 시 제1 포장부재를 박스 형태로 접어 제2 포장부재의 박스형 수용공간 내부로 내용물을 담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포장부재(200)가 내측에 수용된 제1 포장부재(100)의 접지부(105, 106)에 힘을 가하여 밀어주면 도 9에 도시된 박스 형태의 포장 박스(1000)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제2 포장부재(200)는 박스형 수용공간을 제공하며, 이 수용공간을 통해 보온 또는 보냉이 필요한 내용물(10)을 담아 보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의 사용 시 제2 포장부재 내부의 박스형 수용공간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포장부재(100, 도 8 참조)가 박스 형상을 가짐에 따라 그 내측에 접착 고정된 제2 포장부재(200) 역시 박스 형상을 가지게 되는데, 이로써 내용물을 담아 보관할 수 있는 박스형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의 사용 시 제2 포장부재의 상단부를 씰링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박스의 사용 시 제1 포장부재를 테이프로 밀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내측의 박스형 수용공간으로 내용물을 담아 보관한 다음 제2 포장부재(200)의 개방된 상단부(201)에 제1, 2 씰링부(250, 270)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1 포장부재(100)의 상단을 접어 포장 박스를 밀봉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포장부재(100)의 상단에 테이프(110)를 부착하여 포장 박스(100)를 이용한 내용물 포장 작업을 완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기존의 스티로폼 소재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를 적용하여 보온 또는 보냉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2 씰링부에 의한 이중의 씰링 구조가 적용되어 보온 또는 보냉 기능을 한층 더 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스티로폼 소재에 비해 골판지 소재로 이루어진 제1 포장부재는 표면강도가 높아 배송 중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에어층을 갖는 내피부재의 완충 효과로 인해 제품의 안전한 배송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스티로폼 소재에 비해 비용이 절감되며 부피가 줄어들어 물류비용 절감에도 유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박스 형태로 접어지는 제1 포장부재의 내측에 제2 포장부재를 수용시켜 판재 형태로 공급하되, 사용 시 제1 포장부재를 박스 형태로 접을 때 제2 포장부재도 함께 박스 형상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보온 또는 보냉이 필요한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박스형 수용공간이 손쉽게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보관이 편리하고, 포장 작업이 손쉬운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제1 포장부재
101: 정면부
102: 후면부
103, 104: 측면부
105: 접지부
110: 테이프
200: 제2 포장부재
201: 상단부
202, 203: 양측단부
204: 하단부
210, 210': 내피부재
211: 에어층
230, 230': 외피부재
250: 제1 씰링부
270: 제2 씰링부
290: 수용공간
300: 접착고정부
1000: 포장 박스

Claims (9)

  1. 박스 형태로 접어지는 제1 포장부재; 및 상기 제1 포장부재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제1 포장부재를 박스 형태로 접을 때 보온 또는 보냉이 필요한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박스형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제2 포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포장부재는, 상기 수용공간에 근접 배치되며 에어층을 구비하는 내피부재; 및
    상기 내피부재의 외부에 밀착되는 필름 소재로 이루어지는 외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포장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내피부재 간의 겹침 부위를 접착시켜 상기 수용공간을 1차 씰링하는 제1 씰링부; 및
    상기 제1 씰링부의 외측에서 설정 크기의 폭으로 일정하게 밀봉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2차 씰링하는 제2 씰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씰링부는, 상기 내피부재 간의 겹침 부위를 양면테이프나 접착제로 접착시켜 형성하며, 상기 제2 씰링부는, 상기 제1 씰링부의 외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설정 크기의 폭으로 열 씰링 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포장부재는, 박스 형태로 접을 때, 정면에 배치되는 정면부와, 상기 정면부에 마주하여 배치되며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부와, 상기 정면부 및 상기 후면부 사이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면부 및 상기 후면부 각각의 내부와 상기 제2 포장부재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고정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2 포장부재는 봉투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제2 포장부재가 상기 제1 포장부재의 제함 작업 중에 자동으로 큐빅형태로 조립되며,
    상기 한 쌍의 측면부 각각의 좌우 중심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직선 형상의 접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 기능이 개선된 포장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부재는,
    PE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층이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 기능이 개선된 포장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재는,
    은박 PET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 기능이 개선된 포장 박스.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장부재는 골판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 기능이 개선된 포장 박스.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고정부는,
    일면은 상기 정면부 및 상기 후면부 각각의 내부에 접착 고정되고, 타면은 상기 제2 포장부재의 외부에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 기능이 개선된 포장 박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고정부는,
    상기 정면부 및 상기 후면부 각각의 높이 중심에서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보냉 기능이 개선된 포장 박스.
KR1020190005243A 2019-01-15 2019-01-15 보온 보냉 기능이 개선된 포장 박스 KR102113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243A KR102113146B1 (ko) 2019-01-15 2019-01-15 보온 보냉 기능이 개선된 포장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243A KR102113146B1 (ko) 2019-01-15 2019-01-15 보온 보냉 기능이 개선된 포장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146B1 true KR102113146B1 (ko) 2020-05-20

Family

ID=70919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243A KR102113146B1 (ko) 2019-01-15 2019-01-15 보온 보냉 기능이 개선된 포장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1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0808A (ko) * 2020-11-23 2022-05-31 (주)예인디자인팩 골판지 보냉 박스
KR102582213B1 (ko) 2023-02-28 2023-09-25 주식회사 아뜨베 보온 및 보냉이 유지되며 빵이 눅눅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갓 구운 빵의 식감을 유지시키며 배달이 가능한 포장상자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177U (ja) * 1992-07-17 1994-02-08 宇部興産株式会社 保冷容器
KR200431747Y1 (ko) * 2006-09-11 2006-11-24 (주)지즐 재활용이 용이한 포장용 안전 봉투
KR20160056368A (ko) * 2014-11-10 2016-05-20 김남섭 보온 및 보냉 기능을 갖는 포장용 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177U (ja) * 1992-07-17 1994-02-08 宇部興産株式会社 保冷容器
KR200431747Y1 (ko) * 2006-09-11 2006-11-24 (주)지즐 재활용이 용이한 포장용 안전 봉투
KR20160056368A (ko) * 2014-11-10 2016-05-20 김남섭 보온 및 보냉 기능을 갖는 포장용 박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0808A (ko) * 2020-11-23 2022-05-31 (주)예인디자인팩 골판지 보냉 박스
KR102449382B1 (ko) * 2020-11-23 2022-09-30 (주)예인디자인팩 골판지 보냉 박스
KR102582213B1 (ko) 2023-02-28 2023-09-25 주식회사 아뜨베 보온 및 보냉이 유지되며 빵이 눅눅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갓 구운 빵의 식감을 유지시키며 배달이 가능한 포장상자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6681B2 (en) Suspension packaging system
KR102113146B1 (ko) 보온 보냉 기능이 개선된 포장 박스
US10442597B1 (en) Retention package with article-loading apertur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080245697A1 (en) Packaging system for carrying an item, preferably bulky and/or heavy item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JP4915510B2 (ja) 集合包装箱
KR102116990B1 (ko) 수용공간 형성 및 분리가 용이한 봉투형 포장지를 갖는 포장용 박스 및 그 제조방법
JP7422500B2 (ja) 包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657167B1 (en) Suspension packaging system
JP2003292051A (ja) 梱包用クッション材、及び段ボールパレット
JP4617850B2 (ja) 真空パックを用いたガラス基板の梱包方法及びその包装体
WO2001042092A2 (en) Insulated packaging container
EP3561416B1 (en) A container for receiving goods to be cooled and method thereof
KR102208143B1 (ko) 포장용 상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N214397635U (zh) 一种防震缓冲包装盒
JP7421672B2 (ja) 包装体
KR101666518B1 (ko) 완충 포장 박스
KR101794815B1 (ko) 에어 튜브 타입 포장 박스
KR200210376Y1 (ko) 골판지를 이용한 칸막이 수납형 제품포장구
JP4104946B2 (ja) 梱包装置
JP3896401B2 (ja) 写真フィルムブリスターパック積層包装体
JP2002145371A (ja) シート状レンズ製品の梱包構造
JP4200694B2 (ja) 包装箱
GB2264289A (en) Packaging element
KR200250917Y1 (ko) 화훼 및 농산물 포장용 용기
JP2003311082A (ja) 全自動電気洗濯機における梱包装置及び梱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