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747Y1 - 재활용이 용이한 포장용 안전 봉투 - Google Patents

재활용이 용이한 포장용 안전 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747Y1
KR200431747Y1 KR20060024359U KR20060024359U KR200431747Y1 KR 200431747 Y1 KR200431747 Y1 KR 200431747Y1 KR 20060024359 U KR20060024359 U KR 20060024359U KR 20060024359 U KR20060024359 U KR 20060024359U KR 200431747 Y1 KR200431747 Y1 KR 2004317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thelial
outer shell
shell
attached
ed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24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주)지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즐 filed Critical (주)지즐
Priority to KR20060024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7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7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7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재활용이 용이한 포장용 안전 봉투가 개시된다. 본 고안은, 포장용 안전 봉투에 있어서, 상부 외피; 하부 외피; 완충력을 가질 수 있도록 공기 거품 형상으로 제조된 상부 내피 및 하부 내피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 및 내피는 분리작업없이 재활용가능하도록 서로 동일한 재료이며, 상기 내피는 상기 외피보다 크기가 작으며, 상기 상부 내피와 상기 하부 내피는 테두리 부분 중 봉투의 폐쇄 부분에서 열접합을 이용하여 부착되고, 상기 상부 외피와 상기 하부 외피는 테두리부분 중 폐쇄 부분에서 열접합을 이용하여 부착되고, 상기 상부 외피와 상부 내피는 테두리 부분 중 개방 부분에서 열접합을 이용하여 부착되고, 상기 하부 외피와 하부 내피는 테두리 부분 중 개방 부분에서 열접합을 이용하여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재활용이 용이하도록 내피와 외피를 동일한 재료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며, 효율적인 부착방법인 열접합의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재활용이 용이한 포장용 안전 봉투{Safe Envelope for easy recycle}
도 1은 종래의 포장용 안전 봉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봉투에서 상부 피스와 하부 피스가 접합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봉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안전 봉투의 열접합 부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안전 봉투의 열접합 부위의 측면도이다.
<주요도면부호에 관한 설명>
310: 하부 외피 320: 하부 내피
330: 상부 내피 340: 상부 외피
a1,a2,a3: 접합영역
본 고안은 포장용 안전 봉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새로운 접합구조를 채용하고 재활용시에 내피와 외피의 재질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내피와 외 피를 분리할 필요가 없게 함으로써 재활용이 용이하게 한 포장용 안전 봉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포장용 안전 봉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의 포장용 안전 봉투(100)는 하부 외피(10), 하부 내피(20), 상부 내피(30) 및 상부 외피(40)로 구성된다. 외피(10,40)는 봉투의 외관을 형성하며 일반적으로 펄프재질의 종이로 형성되고, 내피(20,30)는 외피의 내측에 삽입되어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한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수없이 반복된 공기 거품(일명 에어캡 air cap)으로 형성된다.
봉투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이들 내피 혹은 외피(10 내지 40)는 각각 서로 특정 지점에서 접착되어 있다. 일 형태에서, 상부 내피(30)의 상부면은 상부 외피(40)의 하부면에 접착되어 있고, 하부 내피(20)의 하부면은 하부 외피(10)의 상부면에 접착되어 있고, 접착후의 상부 피스(상부 내피+상부 외피)는 접착후의 하부 피스(하부 내피+ 하부 외피)와 봉투 외곽부분에서 접합되어 있다.
도 2는 상부 피스와 하부 피스가 접합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부 피스(상부 외피 + 상부 내피)는 접착되어 있으며, 하부 피스(하부 내피 + 하부 외피)도 서로 접착된 상태이다. 외피(10,40)은 펄프 재질 즉 종이로 형성되고, 내피(20,30)은 합성 수지, 주로 PE 재질이 널리 사용된다. 이 상태에서, 봉투의 테두리 부분 중에서 폐쇄부분(a,b,c)은 상부 피스 및 하부 피스가 서로 접합된다. 접합 방법은 열접합이 널리 이용된다. 열 접합은 테두리 부분에 열 및 압력을 가함으로써(도 2의 화살표 부분) 상부 내피(30)과 하부 내피(20)에 열이 가해지는 부분(도 2의 테두리의 빗금부분)이 열에 의해 일시적으로 용융되어 서로 부착되게 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 때 외피(10,40)는 펄프 재질로서 용융점이 내피 (20,30)보다 높기 때문에 외피(10,40)는 손상되지 않는 상태에서 내피(20,30)사이의 접합이 발생한다. 내피(20,30)는 열접합에 의해 서로 부착되고, 각 내피(20,30)는 접착제에 의해 각각 외피(10,40)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결국 봉투의 테두리 부분은 모두 부착되어 폐쇄된 상태가 된다. 물론, 봉투의 중앙부분(e) 혹은 봉투의 테두리 부분중에서 개방 부분(d)는 열접합을 수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안전 봉투에 의하면, 재활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이러한 열접합 방법을 원할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외피의 용융점이 내피의 용융점보다 높아야 한다(즉 열접합시에는 외피의 용융점보다는 낮고, 내피의 용융점보다는 높은 열을 가해야 함). 이러한 용융점의 차이를 가지게 하기 위해서는 외피 및 내피를 서로 다른 재료로 제조할 수 밖에 없는데, 이는 재활용시에 많은 어려움을 가지게 한다. 즉, 외피(종이)와 내피(합성수지)는 재활용을 위해 서로 분리되어 수거되어야 하는데, 서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재활용을 위해선 상부 내피와 상부 외피 및 하부 내피와 하부 외피의 분리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작업은 재활용에서 불가능하거나 적어도 매우 번거로운 일이며, 재활용을 위한 새로운 공정의 추가로 많은 비용과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재활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외피와 내피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게 제조한다면, 내피에 열이 전달되기 이전에 외피가 용융상태가 됨으로 인해 상기 테두리의 폐쇄부분에 열접합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안전봉투의 제조 공정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봉투의 구조는 재활용하기 위해 내피와 외피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면, 그 적용과정이 접착제를 이용한 부착방법보다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을 가지는 부착방법인 열접합 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재활용이 좀더 용이한 구조를 가지면서 안전 봉투의 제조도 용이한 안전 봉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포장용 안전 봉투는, 상부 외피; 하부 외피; 완충력을 가질 수 있도록 공기 거품 형상으로 제조된 상부 내피; 및 완충력을 가질 수 있도록 공기 거품 형상으로 제조된 하부 내피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 및 내피는 분리작업없이 재활용가능하도록 서로 동일한 재료이며, 상기 내피는 상기 외피보다 크기가 작으며, 상기 상부 내피와 상기 하부 내피는 테두리 부분 중 봉투의 폐쇄 부분에서 열접합을 이용하여 부착되고, 상기 상부 외피와 상기 하부 외피는 테두리부분 중 폐쇄 부분에서 열접합을 이용하여 부착되고, 상기 상부 외피와 상부 내피는 테두리 부분 중 개방 부분에서 열접합을 이용하여 부착되고, 상기 하부 외피와 하부 내피는 테두리 부분 중 개방 부분에서 열접합을 이용하여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봉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 봉투(300)는 상부 외피(340), 상부 내피(330), 하부 내피(320) 및 하부 외피(310)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외피(310,340)는 PE 등의 합성수지로서 내피(320,340)과 동일한 재료이며, 내피의 크기는 외피의 크기보다 작다.
본 고안에서, 모든 내피 및 외피는 열접합 면에서 2개이상 겹치지 않는다. 즉, 상부 내피(330)와 하부 내피(320)는 테두리 부분 중 폐쇄 부분(a3)에서 열접합을 이용하여 부착되어 있고(내부 피스 = 상부 내피 + 하부 내피), 상부 외피(340)과 하부 외피(310)는 테두리부분 중 폐쇄 부분(a2)에서 열접합을 이용하여 부착되어 있고(외부 피스 = 상부 외피 + 하부 외피), 상부 외피(340)와 상부 내피(330)는 테두리 부분 중 개방 부분(a1)에서 열접합을 이용하여 부착되어 있고, 하부 외피(310)와 하부 내피(320)는 테두리 부분 중 개방 부분(a1)에서 열접합을 이용하여 부착되어 있다.
열접합면에서 2개층보다 더 많은 층이 겹치지 않게 함으로써 외피와 내피를 동일한 재료로 사용하더라도 열접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 봉투(300)의 제조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 내피(330)와 하부 내피(320)를 테두리 부분 중 폐쇄 부분(a3)에서 열접합을 이용하여 부착함으로써 내부 피스(상부 내피 + 하부 내피)를 생성한 다(과정 h1 = h11,h12,h13).
다음으로, 상부 외피(340)과 하부 외피(310)를 테두리부분 중 폐쇄 부분(a2)에서 열접합을 이용하여 부착함으로써 외부 피스(상부 외피 + 하부 외피)를 생성한다(과정 h3 = h31,h32,h33).
다음으로, 내부 피스를 외부 피스로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상부 외피(340)와 상부 내피(330)를 테두리 부분 중 개방 부분(a1)에서 열접합을 이용하여 부착하고(과정 h21), 하부 외피(310)와 하부 내피(320)를 테두리 부분 중 개방 부분(a1)에서 열접합을 이용하여 부착한다(과정 h22).
도 4는 본 고안의 안전 봉투의 열접합 부위의 평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역 a2에서 상부 외피와 하부 외피가 열접합되며, 영역 a1에서 상부 외피와 상부 내피가 접합 및 하부 외피와 하부 내피가 열접합되고, 영역 a3에서 상부 내피와 하부 내피가 열접합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안전 봉투의 열접합 부위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서,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 외피(540)는 오직 하부 외피(510)와 열접합되고, 상부 내피(530)는 오직 하부 내피(520)와만 열접합된다. 즉, 봉투의 모든 접합부위에서 각 접합층들이 2개만이 존재하며 종래의 봉투와 같이 접합영역에 4개층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열접합을 용이하게 하며, 내피와 외피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더라도 봉투의 형상을 제조하는데 열접합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한다.
또한, 내피와 외피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봉투를 재활용할 때 내피와 외피를 분리하는 공정을 거칠 필요가 없다.
이제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안전 봉투의 내피와 외피가 동일한 재료로 형성가능하기 때문에 재활용이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봉투의 제조 단계에서 내피와 외피가 겹쳐지는 층이 2개층 뿐이기 때문에 봉투의 제조에 있어서 열접합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3)

  1. 포장용 안전 봉투에 있어서,
    상부 외피;
    하부 외피;
    완충력을 가질 수 있도록 공기 거품 형상으로 제조된 상부 내피; 및
    완충력을 가질 수 있도록 공기 거품 형상으로 제조된 하부 내피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 및 내피는 분리작업없이 재활용가능하도록 서로 동일한 재료이며,
    상기 내피는 상기 외피보다 크기가 작으며,
    상기 상부 내피와 상기 하부 내피는 테두리 부분 중 봉투의 폐쇄 부분에서 열접합을 이용하여 부착되고, 상기 상부 외피와 상기 하부 외피는 테두리부분 중 폐쇄 부분에서 열접합을 이용하여 부착되고, 상기 상부 외피와 상부 내피는 테두리 부분 중 개방 부분에서 열접합을 이용하여 부착되고, 상기 하부 외피와 하부 내피는 테두리 부분 중 개방 부분에서 열접합을 이용하여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봉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및 내피의 재료는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봉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PE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봉투.
KR20060024359U 2006-09-11 2006-09-11 재활용이 용이한 포장용 안전 봉투 KR2004317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24359U KR200431747Y1 (ko) 2006-09-11 2006-09-11 재활용이 용이한 포장용 안전 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24359U KR200431747Y1 (ko) 2006-09-11 2006-09-11 재활용이 용이한 포장용 안전 봉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747Y1 true KR200431747Y1 (ko) 2006-11-24

Family

ID=41780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24359U KR200431747Y1 (ko) 2006-09-11 2006-09-11 재활용이 용이한 포장용 안전 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7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146B1 (ko) * 2019-01-15 2020-05-20 (주)지즐 보온 보냉 기능이 개선된 포장 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146B1 (ko) * 2019-01-15 2020-05-20 (주)지즐 보온 보냉 기능이 개선된 포장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97527B (zh) 薄膜袋
US9096346B2 (en) Flexible package structure with a press-and-pull opening feature
CN103619720A (zh) 密封待被塞或帽闭合的容器的新片密封件及其制造方法
KR20100015384A (ko) 접착제에 의해 결합된 제거탭을 가진 적층 컨테이너 실
JPH08216238A (ja) ブロー成形容器およびその成形用金型
EP3919404B1 (en) Lid-spout assembly for a package, package having a lid-spout assembly and method for molding a lid-spout assembly
AU2014285264B2 (en) Package
KR200431747Y1 (ko) 재활용이 용이한 포장용 안전 봉투
WO2016136269A1 (ja) 包装容器
CN110191653B (zh) 用于安全头盔的外壳
WO2018163078A1 (en) Laminated material for packaging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JP6213544B2 (ja) 蓋付容器、容器および容器の製造方法
JP5943247B2 (ja) カップ状容器
EP2621830A1 (en) Plastic lid with integrally connected film and container comprising said lid
EP3892559B1 (en) Lid-spout assembly for a package and package therewith
SE527799C2 (sv) Tunnväggig plasttub med etikett
CN209441943U (zh) 一种带易拉环的电磁感应封口垫片
JP2004338724A (ja) プルトップ型キャップ
JP2022111610A (ja) チューブ容器
JP3170474U (ja) 合成樹脂製吊下げ袋
CZ184294A3 (en) Process for producing a folding container
EP4159634B1 (en) Opening device for a package, mold for molding an opening device for a package and package having an opening device
CN105083684A (zh) 一种标签件的设置
CN208667578U (zh) 封装盖带结构
JP7413687B2 (ja) 複合紙製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