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990B1 - 수용공간 형성 및 분리가 용이한 봉투형 포장지를 갖는 포장용 박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용공간 형성 및 분리가 용이한 봉투형 포장지를 갖는 포장용 박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6990B1 KR102116990B1 KR1020190049725A KR20190049725A KR102116990B1 KR 102116990 B1 KR102116990 B1 KR 102116990B1 KR 1020190049725 A KR1020190049725 A KR 1020190049725A KR 20190049725 A KR20190049725 A KR 20190049725A KR 102116990 B1 KR102116990 B1 KR 1021169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ckaging box
- wrapping paper
- adhesive
- adhesive portion
- box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B65D81/382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e.g. laminated or foam filling between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4—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areas coated with adhesi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수용공간 형성 및 분리가 용이한 봉투형 포장지를 갖는 포장용 박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공간 형성 및 분리가 용이한 봉투형 포장지를 갖는 포장용 박스는, 재단되어 펼쳐진 포장용 박스의 상부덮개와 하부덮개를 제외한 각 내측면들에 점 형태의 접착부를 각 내측면들의 수만큼 또는 각 내측면들의 수를 포함한 수보다 많은 수로 형성하되, 상기 접착부는 상기 내측면의 상부영역 또는 전체영역에 각각 형성하고, 상부에만 개구부가 형성된 봉투형 포장지의 외측면을 상기 내측면에 점 형태로 된 상기 접착부로 부착하여 각 상기 내측면에 결합시키고, 상기 포장용 박스를 상자 형태로 펼쳐 조립할 때 각 상기 내측면에 부착된 상기 포장지가 펼쳐지면서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재활용을 위하여 상기 포장지를 당길 때 상기 포장지가 점 형태의 상기 접착부로부터 떨어져 상기 포장용 박스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용공간 형성 및 분리가 용이한 봉투형 포장지를 갖는 포장용 박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용 박스의 내부에서 포장되는 내용물을 보호하거나 보온 또는 보냉하기 위한 포장지를 부착하되, 포장지의 일부를 점 형태로 부착함으로써 포장용 박스와 일체화시키고, 재활용을 위한 포장용 박스와의 분리시에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며, 포장용 박스의 펼침시 내부의 포장지가 펼쳐지면서 개구부가 개장방되어 수용공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수용공간 형성 및 분리가 용이한 봉투형 포장지를 갖는 포장용 박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온 또는 보냉이 요구되는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 등의 내용물들을 저장 또는 운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포장용 박스는 대부분 종이, 골판지, 스티로폼 등 여러가지 재질로 제작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포장용 박스를 스티로폼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방수 및 보온, 보냉효과는 물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지만, 성형 제작된 박스체가 내용물을 담기 위해 일정한 부피를 유지하도록 압축 성형되는 것이므로, 보관과 운반에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함으로써 하는 문제와 많은 제작비용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종이와 골판지로 제작되는 포장용 박스는 제작이 용이하고 펼쳐서 적층한 상태로 보관하다가 사용시 간단하게 조립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물류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그 구성재료가 종이의 재질이기 때문에 방수성이 크게 떨어지며, 보온, 보냉 효과 역시 기대하는 만큼에 이르지 못하는 동시에 외부 충격에 의해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내용물이 제대로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30461호(공고일 : 2017.04.28)는 보온 및 보냉 기능을 갖는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포장용 박스는, 은박 발포지를 내부에 설치해야 하는 작업을 함으로써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접혀진 상태의 포장용 박스를 펼쳐 조립한 후 내부에 은박 발포지를 삽입하여 설치해야 함으로써 포장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19521호(공고일 : 2015.05.12일)에는 보냉용 포장 박스가 개시되어 있다. 보냉용 포장 박스는 부피가 큰 스티로폼을 대신하여 단열 기능을 갖는 알루미늄 호일 및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박스를 제작함으로써, 배송용 일회용 스티로폼 박스를 대체할 수 있어 보관 및 운송 시 공간 활용이 유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포장 박스는, 단열재부가 알루미늄 호일층, 폴리에스터층, 폴리에틸렌층, 알루미늄 호일층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단열재부 전체가 접착제에 의해 박스부에 접착되어 있었기 때문에, 재활용을 위하여 단열재부를 박스부에서 분리하기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고 따라서 재활용이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51690호(공고일 : 2019.02.25일)에는, 그루브라인이 형성된 진공단열시트를 이용한 접철식 단열상자가 개시되어 있다. 이 단열상자는, 내면에 진공단열시트가 부착되어 구비된 것이나, 내면에 진공단열시트 전체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었기 때문에, 재활용을 위하여 진공단열시트를 상자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39591호(공고일 : 2018.03.22)에는 보온 및 보냉기능이 향상된 택배 포장용 박스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택배 포장용 박스는, 포장용 박스의 내곽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형성하고, 외곽에는 알루미늄 필름층을 형성하며, 그 사이에 에어캡에어캡시트층을 형성하여 보온 및 보냉 기능을 향상시킨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택배 포장용 박스는, 포장용 박스의 내곽과 외곽에 형성된 폴리에틸렌 필름과 알루미늄 필름층을 분리하기 곤란하여 포장용 박스를 재활용하기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포장용 박스의 내곽과 외곽에 폴리에틸렌 필름과 알루미늄 필름층 전체가 접착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를 떼어내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됨으로써, 종이재로 이루어진 포장용 박스를 재활용하기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포장용 박스들은, 내용물의 보호, 단열, 보온 등의 목적으로 부착되는 단열재들이 접착제에 의해 그 전체가 접착되어 있었기 때문에 상자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단열재를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재로 된 포장용 박스에 봉투형 포장지를 구비시켜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한 완충, 보온 또는 보냉의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포장용 박스와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최소한의 접착부를 형성함으로써 포장용 박스와 포장지의 재활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장지를 포장용 박스에 용이하게 부착하여 일체화시킬 수 있고, 포장용 박스를 펼침과 동시에 포장지도 펼쳐져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재단되어 펼쳐진 포장용 박스의 상부덮개와 하부덮개를 제외한 각 내측면들에 점 형태의 접착부를 각 내측면들의 수만큼 또는 각 내측면들의 수를 포함한 수보다 많은 수로 형성하되, 상기 접착부는 상기 내측면의 상부영역 또는 전체영역에 각각 형성하고, 상부에만 개구부가 형성된 봉투형 포장지의 외측면을 상기 내측면에 점 형태로 된 상기 접착부로 부착하여 각 상기 내측면에 결합시키고, 상기 포장용 박스를 상자 형태로 펼쳐 조립할 때 각 상기 내측면에 부착된 상기 포장지가 펼쳐지면서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재활용을 위하여 상기 포장지를 당길 때 상기 포장지가 점 형태의 상기 접착부로부터 떨어져 상기 포장용 박스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공간 형성 및 분리가 용이한 봉투형 포장지를 갖는 포장용 박스.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상부영역은, 상기 상부덮개의 상부 접힘선 및 상기 하부덮개의 하부 접힘선과 평행한 내측면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접힘선과 상기 내측면 중심선 사이의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착부는, 상기 포장용 박스를 조립하여 펼칠 때 각 내측면이 상기 포장지의 외측면을 바깥쪽 여러 방향으로 당겨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영역에 형성되되,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상부 접힘선 또는 상기 내측면 중심선과 평행한 1줄 이상으로 형성되거나, 지그재그 또는 불규칙적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는, 상기 포장용 박스를 조립하여 펼칠 때 각 내측면이 상기 포장지의 외측면을 바깥쪽 여러 방향으로 당겨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여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영역에 형성되되, 상기 내측면 중심선의 중간에서 직각으로 교차하는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수직 중심선에 접하는 중앙영역,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는, 상기 포장용 박스를 조립하여 펼칠 때 각 내측면이 상기 포장지의 외측면을 바깥쪽 여러 방향으로 당겨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여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영역에 형성되되, 각 상기 내측면의 중간부에 1개씩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는, 핫멜트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포장지는, 에어캡시트, 발포시트지 또는 알루미늄층이 형성된 발포시트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수용공간 형성 및 분리가 용이한 봉투형 포장지를 갖는 포장용 박스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전개도에 따라 재단된 포장용 박스를 각 내측면들이 상향으로 노출되도록 펼치는 준비단계; b) 각각의 상기 내측면에 접착제를 점 형태로 분사하여 다수의 접착부를 형성하되, 상기 포장용 박스의 내측면과 상부덮개의 경계인 상부 접힘선 및 내측면과 하부덮개의 경계인 하부 접힘선과 평행한 내측면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접힘선과 상기 내측면 중심선 사이의 상부영역에 형성하는 접착부 형성단계; c) 상기 접착부가 형성되면, 봉투 형태로 제작되어 한쪽에만 개구부가 형성되고 평편하게 접혀진 포장지를 상기 접착부로 내측면에 부착시키되, 상기 포장지의 바닥부가 상기 하부 접힘선에 접하거나 근접하도록 내측면 경계선을 기준으로 1개 또는 양쪽 두 개의 각 상기 내측면에 안착시켜 상기 포장지의 저면이 상기 접착부에 의해 상기 내측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1차 포장지 부착단계; 및 d) 상기 포장지의 저면이 한쪽의 상기 내측면에 부착되면, 상기 포장용 박스를, 상기 포장지가 부착된 상기 내측면과 부착되지 않은 부착 전 내측면 사이의 접힘 경계선을 기준으로 접은 후 각 상기 내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내측면의 끝단부에 형성된 결합 접착단을 부착하여 상기 포장지의 상면이 상기 접착부에 의해 상기 부착 전 내측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2차 포장지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공간 형성 및 분리가 용이한 봉투형 포장지를 갖는 포장용 박스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접착부를, 상기 포장용 박스를 펼쳐 조립할 때 각 내측면이 상기 포장지의 외측면을 바깥쪽 여러 방향으로 당겨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영역에 형성하되,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상부 접힘선 또는 상기 내측면 중심선과 평행한 1줄 이상으로 형성하거나, 지그재그 또는 불규칙적인 위치에 형성하거나, 상기 내측면 중심선의 중간에서 직각으로 교차하는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수직 중심선에 접하는 중앙영역,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에 각각 형성하거나, 각 상기 내측면의 중간부에 1개씩 각각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포장지의 개구부 한쪽에 이형지를 갖는 접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이재로 된 포장용 박스에 봉투형 포장지가 점 형태의 접착부에 의해 부착되어 구비됨으로써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한 완충의 기능은 물론, 보온 또는 보냉의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포장용 박스와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포장용 박스와 포장지의 재활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봉투형 포장지가 포장용 박스를 펼침과 동시에 펼쳐져 개구부가 개방되면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포장지를 포장용 박스 내부에 설치하고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펼침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며, 이로 인하여 포장용 박스에 포장지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 기계화도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용공간 형성 및 분리가 용이한 봉투형 포장지를 갖는 포장용 박스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장용 박스에 포장지가 부착되는 상태를 표현한 분해 전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포장용 박스에 포장지가 결합된 상태를 표현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포장용 박스가 펼쳐진 상태를 표현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포장용 박스를 표현한 사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접착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접착부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접착부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공간 형성 및 분리가 용이한 봉투형 포장지를 갖는 포장용 박스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장용 박스에 포장지가 부착되는 상태를 표현한 분해 전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포장용 박스에 포장지가 결합된 상태를 표현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포장용 박스가 펼쳐진 상태를 표현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포장용 박스를 표현한 사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접착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접착부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접착부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공간 형성 및 분리가 용이한 봉투형 포장지를 갖는 포장용 박스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용공간 형성 및 분리가 용이한 봉투형 포장지를 갖는 포장용 박스를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장용 박스에 포장지가 부착되는 상태를 표현한 분해 전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포장용 박스에 포장지가 결합된 상태를 표현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4, 는 도 3에 도시된 포장용 박스가 펼쳐진 상태를 표현한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포장용 박스를 표현한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 형성 및 분리가 용이한 봉투형 포장지를 갖는 포장용 박스(10)는, 포장용 박스(10)를 상자 형태로 펼쳐 조립할 때 각 내측면(16A,16B,16C,16D)에 부착된 포장지(30)가 펼쳐지면서 개구부(32)가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34)을 형성하고, 재활용을 위하여 포장지(30)를 당길 때 포장지(30)가 점 형태의 접착부(20)로부터 떨어져 포장용 박스(10)와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포장용 박스(10)는, 재단되어 펼쳐진 포장용 박스(10)의 상부덮개(12)와 하부덮개(14)를 제외한 각 내측면(16A,16B,16C,16D)들에 점 형태의 접착부(20)를 상기 내측면(16A,16B,16C,16D)들의 수만큼 또는 내측면(16A,16B,16C,16D)들의 수를 포함한 수보다 많게 형성하되, 접착부(20)는 내측면(16)의 상부영역(16E) 또는 전체영역(16F)에 각각 형성하고, 상부에만 개구부(32)가 형성된 봉투형 포장지(30)의 외측면을 내측면(16)에 점 형태로 된 접착부(20)로 부착하여 각 내측면(16A,16B,16C,16D)에 결합시켜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포장용 박스(10)는, 합성수지재 또는 종이재로 이루어지며, 종이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내측면들(16A,16B,16C,16D)을 포함한 상부덮개(12) 및 하부덮개(14)의 내면에는 발수코팅층이 형성된다. 이 발수코팅층은 내용물에서 발생되는 물기 또는 습기에 의해 종이재로 된 포장용 박스(10)의 내측면(16A,16B,16C,16D)이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포장용 박스(10)는 매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접는 방식, 크기, 조립된 형태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박스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들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박스(10)는 삼각형, 사각형, 원통형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형태에 구애받지 않는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육면체로 된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포장용 박스(10)의 한 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내측면(16A,16B,16C,16D)들과, 각 내측면(16A,16B,16C,16D)들의 상부와 하부에서 연장된 상부덮개(12)들 및 하부덮개(14)들, 그리고 어느 한쪽의 내측면(16A 또는 16D)의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 접착단(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내측면(16A,16B,16C,16D)들은 포장용 박스(10)를 펼쳐 접어 육면체를 형성하였을 때 내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부영역((16E)은, 상부덮개(12)의 상부 접힘선(11) 및 하부덮개(14)의 하부 접힘선(13)과 평행한 내측면 중심선(15)을 기준으로, 상부 접힘선(11)과 내측면 중심선(15) 사이의 영역을 의미하고, 전체영역(16F)은, 각 내측면(16A,16B,16C,16D) 전체를 의미한다.
접착부(20)는, 핫멜트 접착제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접착제를 점 형태로 각 내측면(16A,16B,16C,16D)에 분사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용융상태의 핫멜트 접착제를 내측면(16A,16B,16C,16D)들에 점 형태로 분사하여 접착부(2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접착부(20)의 크기는 대략 5 - 20mm의 직경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포장지(30)를 각 내측면(16A,16B,16C,16D)에 접착시키는 접착력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포장용 박스(10)로부터 포장지(30)를 분리할 때에는 쉽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5mm이하로 형성할 경우에는 분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나 접착력이 저하되고, 20mm 이상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접착력은 높으나 분리시 포장지(30)가 찢어지는 현상 등이 발생될 수도 있으므로 9-11mm의 직경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착부(20)를 소정 크기의 점 형태로 형성하는 것은, 분리시 포장용 박스(10)와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위한 것이다. 즉, 접착부(20)를 선 형태나 면 형태로 형성할 경우에는, 접착제를 도포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과 재료(접착제)가 소모될 뿐만 아니라 포장지(30)를 분리하는 작업시 포장지(30)가 포장용 박스(10)와 쉽게 분리되는 않게 되거나 포장지(30)가 찢어져 분리를 어렵게 하기 대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점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다.
전술한 접착부(20)는, 포장용 박스(10)를 조립하여 펼칠 때 각 내측면(16A,16B,16C,16D)들이 포장지(30)의 외측면을 바깥쪽 여러 방향으로 당겨 개구부(32)를 개방하여 내부에 수용공간(34)을 형성하도록 상부영역(16E)에 형성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내측면(16A,16B,16C,16D)들의 각 상부영역(16E) 중간부에 1개씩 각각 형성된다. 이때, 각 내측면(16A,16B,16C,16D)들에 각각 형성되는 접착부(20)는, 수직 중심선(17)을 기준으로 좌측영역(16E-1)에 형성되거나, 중간영역(16E-2)에 형성되거나 우측영역(16E-3)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영역(16E-2)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착부(20)를 각 내측면(16A,16B,16C,16D)들에 하나씩만 형성하는 것은, 접착부(20)를 형성하는 시간이나 공정을 최소화하고, 접착제의 소모를 줄이며, 최소한의 접착제 양 또는 최소한의 접착영역만으로 포장지(30)를 포장용 박스(10)에 접착시켜 추후 분리시 용이한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하나의 내측면(16) 당 1개의 접착부(20)만 형성되어도 포장용 박스(10)를 펼칠 때 포장지(30)의 펼침이 가능하기 때문에 접착부(20)를 각 내측면(16A,16B,16C,16D)들에 하나씩만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접착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착부(20)는, 상부영역(16E)에,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상부 접힘선(11) 또는 내측면 중심선(15)과 평행한 1줄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이 접착부(20)가 다수개로 이루어져 1줄 이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포장지(30)가 보다 향상된 접착력으로 각 내측면(16A,16B,16C,16D)들에 부착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접착부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접착부(20)는, 상부영역(16E)에, 지그재그 또는 불규칙적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이 접착부(20)가 상부영역(16E)에 지그재그 또는 불규칙적인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포장지(30)가 보다 향상된 접착력으로 각 내측면(16A,16B,16C,16D)들에 부착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접착부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접착부(20)는, 상부영역(16E)에, 내측면 중심선(15)의 중간에서 직각으로 교차하는 수직 중심선(17)을 기준으로, 수직 중심선(17)에 접하는 중앙영역(16E-2), 좌측영역(16E-1) 및 우측영역(16E-3)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이 접착부(20)가 상부영역(16E)의 수직 중심선(17)에 접하는 중앙영역(16E-2), 좌측영역(16E-1) 및 우측영역(16E-3)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포장지(30)가 보다 향상된 접착력으로 각 내측면(16A,16B,16C,16D)들에 부착될 수 있다.
전술한 포장지(30)는, 봉투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부에만 개구부(3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34)이 형성된다. 이러한 포장지(30)는 접착부(20)에 의해 포장용 박스(1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포장될 내용물을 수용하여 내용물을 충격으로부터 완충하여 보호하고, 보냉 또는 보온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포장지(30)는, 에어캡시트, 발포시트지 또는 알루미늄층이 형성된 발포시트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포장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과 저면이 형성되도록 납작하게 접혀진 상태로 포장용 박스(10)에 접착되고, 포자용 박스(10)가 펼쳐질 떼에는 수용공간(34)을 형성하면서 포장용 박스(10)의 내부 형태와 같이 펼쳐진다.
그리고 포장지(30)의 길이(수용공간 깊이)는 내측면(16)의 깊이(상부 접힘선과 하부 접힘선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이는 수용되는 내용물을 충분히 감싸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포장지(30)의 개구부(32)에는 접착 테이프(36)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포장지(30)의 개구부(32) 한쪽에 이형지를 갖는 접착 테이프(36)를 구비시켜, 포장이 완료된 후 개구부(32)를 폐쇄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접착 테이프(36) 대신에 접착제를 라인 형태로 도포한 후 이형지를 부착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접착 테이프(36)에 의해 포장지(30)의 수용공간(34)을 용이하게 밀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용공간 형성 및 분리가 용이한 봉투형 포장지를 갖는 포장용 박스(10)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 내지 도 5를 토대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되었던 포장용 박스(10)의 각 내측면(16A,16B,16C,16D)들에 접착부(20)들을 형성하고, 선택된 한쪽의 내측면(16A,16B)에 포장지(30)를 안착시킨 후 반대 쪽 내측면(16C,16D)이 한쪽의 내측면(16A,16B)과 마주보도록 포장용 박스(10)를 접는다. 이어서 결합 접착단(18)을 한쪽의 내측면(16C) 단부 외측에 부착한다.
전술한 과정으로 포장용 박스(10)가 접혀지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펼쳐 하부덮개(14)를 접어 포장용 박스(10)의 하부를 폐쇄한다. 이와 같이 포장용 박스(10)를 펼칠 때 각 내측면(16A,16B,16C,16D)들이 포장지(30)의 외측면을 각 4방향으로 당기게 되므로 포장지(30)의 개구부(32)는 펼쳐져 개방되고 수용공간(3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포장용 박스(10)가 접힌 상태에서 조립하기 위하여 펼쳐는 동작만으로 포장지(30)가 펼쳐지면서 수용공간(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포장지(30)의 외측면 중에서 각 내측면(16A,16B,16C,16D)에 대응되는 외측면들이 점 형태의 접착부(20)들에 의해 각 내측면(16A,16B,16C,16D)들에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즉, 포장지(30)의 외측면 중에서 각 내측면(16A,16B,16C,16D)에 대응되는 외측면들이 점 형태의 접착부(20)들에 의해 각 내측면(16A,16B,16C,16D)들에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각 내측면(16A,16B,16C,16D)들이 펼쳐질 때 포장지(30)의 각 외측면을 여러 방향(4방향)으로 당기지면서 펼치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포장용 박스(10)를 펼치는 동작만으로 포장지(30)가 포자용 박스의 내부에서 펼쳐지게 되므로 포장지(30)를 포장용 박스(10)의 내부에 삽입하여 펼치 후 그 상태를 유지시키는 등의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포장지(30)의 4곳이 점 형태의 접착부(20)들에 의해 각 내측면(16A,16B,16C,16D)들에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지(30)를 당기는 것만으로도 포장지(30)는 각 내측면(16A,16B,16C,16D)들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수용공간 형성 및 분리가 용이한 봉투형 포장지를 갖는 포장용 박스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 내지 도 8 그리고 도 9를 토대로 설명한다.
a) 준비단계(S1)
준비단계는, 전개도에 따라 재단된 포장용 박스(10)를 각 내측면(16A,16B,16C,16D)들이 상향으로 노출되도록 펼치는 단계이다.
이때, 포장지(30)의 개구부(32) 한쪽에 이형지를 갖는 접착 테이프(36)를 부착한다. 물론, 개구부(32)의 한쪽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형지를 부착할 수도 있다.
b) 접착부 형성단계(S2)
포장용 박스(10)가 펼쳐지면, 각각의 내측면(16A,16B,16C,16D)에 접착제를 점 형태로 분사하여 다수의 접착부(20)를 형성한다. 즉, 포장용 박스(10)의 내측면(16)과 상부덮개(12)의 경계인 상부 접힘선(11) 및 내측면(16)과 하부덮개(14)의 경계인 하부 접힘선(13)과 평행한 내측면 중심선(15)을 기준으로, 상부 접힘선(11)과 내측면 중심선(15) 사이의 상부영역(16E)에 접착부(20)를 형성한다.
이때, 접착부(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내측면(16A,16B,16C,16D)에 1개의 점 형태로 형성하거나,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개를 1줄 이상으로 형성하거나, 불규칙적 또는 지그재그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내측면(16)에 3개의 접착부(20)을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내측면(16)의 좌측영역(16E-1), 중간영역(16E-2), 우측영역(16E-3)에 각각 1개씩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c) 제1 포장지 부착단계(S3)
전술한 과정으로 접착부(20)가 형성되면, 봉투 형태로 제작되어 한쪽에만 개구부(32)가 형성되고 평편하게 접혀진 포장지(30)를 접착부(20)로 내측면(16)에 부착시킨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지(30)의 바닥부(35)가 하부 접힘선(13)에 접하거나 근접하도록 내측면 경계선(19)을 기준으로 양쪽 두 개의 각 내측면(16A,16B)에 안착시켜 포장지(30)의 저면(33)이 접착부(20)에 의해 내측면(16A,16B)에 부착되도록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포장용 박스(10)가 육면체인 경우에, 서로 인접한 두 개의 각 내측면(16A,16B)에 안착시킨다. 이 과정으로 포장지(30)의 저면(33) 양쪽은 각 내측면(16A,16B)에 형성된 2개의 각 접착부(20)에 의해 각 내측면(16A,16B)에 부착된다.
이때, 포장지(30)의 바닥부(35)가 하부 접힘선(13)에 접하거나 근접하도록 내측면(16A,16B)에 안착시키는 것은, 바닥부(35)가 하부 접힘선(13)보다 더 하향으로 위치하여 안착될 경우에는, 제함기(미도시 됨)등을 이용하거나 수동으로 하부덮개(14)를 접을 때 바닥부(35)가 간섭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포장용 박스(10)가 삼각형이거나 사각형(육면체) 이상의 다각형(다면체)인 경우에는 1개의 내측면 또는 더 많은 수의 내측면에 포장지(30)를 안착시켜 그 저면을 부착할 수 있다.
d) 제2 포장지 부착단계(S4)
전술한 과정으로 포장지(30)의 저면(33)이 한쪽의 내측면(16A,16B)에 부착되면, 포장용 박스(1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지(30)가 부착된 2곳의 내측면(16A,16B)과 부착되지 않은 부착 전 내측면(16C,16D) 사이의 접힘 경계선(19)을 기준으로 포장지(30)가 부착된 2곳의 내측면(16A,16B)과 부착되지 않은 부착 전 내측면(16C,16D)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는다.
이어서, 맨 우측의 내측면(16D)의 끝단부에 형성된 결합 접착단(18)을 맨 좌측의 내측면(16A)의 단부 외측면에 부착하여 포장지(30)의 상면(37)이 2곳이 양쪽의 접착부(20)에 의해 부착 전 내측면(16C,16D)에 부착되도록 한다.
전술한 과정을 통하여 포장지(30)의 상면(37)과 저면(33)의 각 4곳이 접착부(20)에 의해 각 내측면(16A,16B,16C,16D)에 각각 접착된다. 물론, 접착부(20)가 다수개로 형성된 경우에는 다수곳이 접착 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포장용 박스(10)에 포장지(30)가 접착부(20)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봉투형 포장지(30)를 갖는 포장용 박스(10)를 완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공정은 자동화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과정으로 포장용 박스(10)에 포장지(30)가 내장되어 결합되면, 포장용 박스(10)에 내용물을 담기 위하여 포장용 박스(10)를 펼쳐 조립한다.
이를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의 포장용 박스(10)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 포장용 박스(10)의 내부가 사각형을 이루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각 내측면(16A,16B,16C,16D)들이 서로 직각을 유지하도록 또는 직각에 가깝도록 포장용 박스(10)를 펼치면, 각 내측면(16A,16B,16C,16D)들에 적어도 1곳 이상이 접착부(20)에 의해 접착된 포장지(30)의 상면(37) 및 저면(33) 각 4곳이, 펼쳐지는 각 내측면(16A,16B,16C,16D)들과 함께 펼쳐지면서 개구부(32)가 개방되고 이로 인하여 포장지(30)의 내부에 수용공간(34)이 형성된다.
즉, 각 내측면(16A,16B,16C,16D)들을 펼치는 동작만으로 내부의 포장지(30)도 개구부(32)가 개방되면서 수용공간(34)을 형성하게 된다.
전술한 과정으로 각 내측면(16A,16B,16C,16D)들이 펼쳐지고 포장지(30)가 펼쳐지면, 하부덮개(14)를 접은 후 테이프로 부착하여 포장용 박스(10)의 바닥을 형성하고, 개방된 포장지(30) 내부로 내용물을 넣은 후 접착 테이프(36)를 붙여 개구부(32)를 닫는다.
이어서 상부덮개(12)를 접은 후 테이프로 부착하여 포장을 완료한다
한편, 전술한 과정으로 내용물의 포장에 사용된 포장용 박스(10)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종이재와 필름지인 포장지(30)를 분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내용물이 제거된 포장용 박스(10)를 잡아 고정한 후 포장지(30)를 당기게 되면 포장지(30)의 여러 곳을 각 내측면(16A,16B,16C,16D)들에 부착한 접착부(20)가 떨어지면서 포장지(30)는 포장용 박스(10)와 용이하게 분리된다. 특히 접착부(20)가 각 내측면(16A,16B,16C,16D)당 한 곳만 형성된 경우에는 더욱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접혀진 상태의 포장지(30)를 펼쳐진 포장용 박스(10)에 안착시킨 후 접는 동작만으로 포장지(30)를 포장용 박스(10)의 내부에 부착하여 내장시킬 수 있음으로써 포장지(30)를 포장용 박스(10)에 내장시켜 부착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접혀진 포장용 박스(10)를 펼치는 동작만으로 내장된 포장지(30)도 같이 펼쳐지면서 개구부(32)가 개방되고 수요공간(34)이 형성되므로써 포장지(30)를 포장용 박스(10) 내부에 펼쳐 설치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포장용 박스(10)를 잡아 고정한 후 포장지(30)를 당기는 것만으로 포장지(30)가 포장용 박스(10)에 의해 분리될 수 있음으로써 포장용 박스(10)와 포장지(30)를 분리하여 재활용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포장용 박스 12 : 상부덮개
14 : 하부덮개 16,16A,16B,16C,16D : 내측면
20 : 접착부 30 : 포장지
32 : 개구부 34 : 수용공간
14 : 하부덮개 16,16A,16B,16C,16D : 내측면
20 : 접착부 30 : 포장지
32 : 개구부 34 : 수용공간
Claims (10)
- 재단되어 펼쳐진 포장용 박스의 상부덮개와 하부덮개를 제외한 각 내측면들에 점 형태의 접착부를 각 내측면들의 수를 포함한 수보다 많은 수로 형성하되, 상기 접착부는 상기 내측면의 상부영역에 각각 형성하고,
상부에만 개구부가 형성된 봉투형 포장지의 외측면을 상기 내측면에 점 형태로 된 상기 접착부로 부착하여 각 상기 내측면에 결합시키고,
상기 포장용 박스를 상자 형태로 펼쳐 조립할 때 각 상기 내측면에 부착된 상기 포장지가 펼쳐지면서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재활용을 위하여 상기 포장지를 당길 때 상기 포장지가 점 형태의 상기 접착부로부터 떨어져 상기 포장용 박스와 분리되며,
상기 상부영역은,
상기 상부덮개의 상부 접힘선 및 상기 하부덮개의 하부 접힘선과 평행한 내측면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접힘선과 상기 내측면 중심선 사이의 영역인 것이며,
상기 접착부는 9-11mm의 직경의 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포장용 박스를 펼쳐 조립할 때 각 내측면이 상기 포장지의 외측면을 바깥쪽 여러 방향으로 당겨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영역에 형성되되,
서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상부 접힘선 또는 상기 내측면 중심선과 평행한 1줄 이상으로 지그재그 또는 불규칙적인 위치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접착부는 상기 내측면 중심선의 중간에서 직각으로 교차하는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수직 중심선에 접하는 중앙영역,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에 각각 더 형성되며,
또한, 각 상기 내측면의 중간부에 1개씩 각각 더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접착부는, 핫멜트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포장지는, 에어캡시트, 발포시트지 또는 알루미늄층이 형성된 발포시트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공간 형성 및 분리가 용이한 봉투형 포장지를 갖는 포장용 박스.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9725A KR102116990B1 (ko) | 2019-04-29 | 2019-04-29 | 수용공간 형성 및 분리가 용이한 봉투형 포장지를 갖는 포장용 박스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9725A KR102116990B1 (ko) | 2019-04-29 | 2019-04-29 | 수용공간 형성 및 분리가 용이한 봉투형 포장지를 갖는 포장용 박스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16990B1 true KR102116990B1 (ko) | 2020-05-29 |
Family
ID=70911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9725A KR102116990B1 (ko) | 2019-04-29 | 2019-04-29 | 수용공간 형성 및 분리가 용이한 봉투형 포장지를 갖는 포장용 박스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699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70808A (ko) * | 2020-11-23 | 2022-05-31 | (주)예인디자인팩 | 골판지 보냉 박스 |
KR102435370B1 (ko) * | 2022-03-08 | 2022-08-24 | (주)대명피앤씨 | 자가점착 속지를 이용한 제품 고정형 포장박스 및 그 제조방법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0177U (ja) * | 1992-07-17 | 1994-02-08 | 宇部興産株式会社 | 保冷容器 |
JPH0612319U (ja) * | 1992-02-28 | 1994-02-15 |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 折り畳み箱 |
JP2007145385A (ja) * | 2005-11-30 | 2007-06-14 | Hiroyasu Osada | 外箱と内袋とからなる折畳み可能な容器 |
KR101519521B1 (ko) | 2014-06-16 | 2015-05-12 | 주식회사 가자 | 보냉용 포장 박스 |
KR101730461B1 (ko) | 2014-11-10 | 2017-04-28 | 김남섭 | 보온 및 보냉 기능을 갖는 포장용 박스 |
KR101839591B1 (ko) | 2017-09-14 | 2018-03-22 | 나정균 | 보온 및 보냉 기능이 향상된 택배 포장용 박스 |
KR101951690B1 (ko) | 2018-06-15 | 2019-02-25 | 박선우 | 그루브라인이 형성된 진공단열시트를 이용한 접철식 단열상자 및 진공단열시트 그루브라인 성형 장치 |
-
2019
- 2019-04-29 KR KR1020190049725A patent/KR10211699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2319U (ja) * | 1992-02-28 | 1994-02-15 |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 折り畳み箱 |
JPH0610177U (ja) * | 1992-07-17 | 1994-02-08 | 宇部興産株式会社 | 保冷容器 |
JP2007145385A (ja) * | 2005-11-30 | 2007-06-14 | Hiroyasu Osada | 外箱と内袋とからなる折畳み可能な容器 |
KR101519521B1 (ko) | 2014-06-16 | 2015-05-12 | 주식회사 가자 | 보냉용 포장 박스 |
KR101730461B1 (ko) | 2014-11-10 | 2017-04-28 | 김남섭 | 보온 및 보냉 기능을 갖는 포장용 박스 |
KR101839591B1 (ko) | 2017-09-14 | 2018-03-22 | 나정균 | 보온 및 보냉 기능이 향상된 택배 포장용 박스 |
KR101951690B1 (ko) | 2018-06-15 | 2019-02-25 | 박선우 | 그루브라인이 형성된 진공단열시트를 이용한 접철식 단열상자 및 진공단열시트 그루브라인 성형 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70808A (ko) * | 2020-11-23 | 2022-05-31 | (주)예인디자인팩 | 골판지 보냉 박스 |
KR102449382B1 (ko) * | 2020-11-23 | 2022-09-30 | (주)예인디자인팩 | 골판지 보냉 박스 |
KR102435370B1 (ko) * | 2022-03-08 | 2022-08-24 | (주)대명피앤씨 | 자가점착 속지를 이용한 제품 고정형 포장박스 및 그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700267B2 (ja) | ボックス型輸送容器 | |
EP0705203B1 (en) | Article packaging kit, system and method | |
US20080245697A1 (en) | Packaging system for carrying an item, preferably bulky and/or heavy item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 |
KR102116990B1 (ko) | 수용공간 형성 및 분리가 용이한 봉투형 포장지를 갖는 포장용 박스 및 그 제조방법 | |
US20190077576A1 (en) | One-piece insulating container and template for making the same | |
JP4376465B2 (ja) | 製品の耐衝撃性包装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平らなボール紙ブランク | |
EP2157024A1 (en) | Packaging for a pallet | |
KR101983670B1 (ko) | 보냉 박스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021382B1 (ko) | 보온 보냉 단열 박스 | |
US10577146B2 (en) | Overbox packaging system | |
KR102113146B1 (ko) | 보온 보냉 기능이 개선된 포장 박스 | |
WO2007015681A1 (en) | Packaging material and associated packaging system | |
KR20110010315U (ko) | 에어백 포장 | |
EP1379450B1 (en) | Collapsible transport container | |
AU2002249438A1 (en) | Collapsible transport container | |
KR20220163212A (ko) | 지퍼수단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보온보냉 포장파우치 | |
WO2001042092A2 (en) | Insulated packaging container | |
JP7339405B2 (ja) | 梱包箱 | |
KR102208143B1 (ko) | 포장용 상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
JP7118636B2 (ja) | 梱包箱 | |
JP2001171738A (ja) | トレー容器用外装パッケージ | |
US20220112021A1 (en) | Packaging for the cooled storage of at least one product and associated container | |
JP4202442B2 (ja) | 内容物固定機能付き紙箱用ブランク及びそれを用いた紙箱 | |
KR200184300Y1 (ko) | 계란재치판과 골판지를 이용한 계란포장상자 | |
JP2005280795A (ja) | 空気を利用した製品収納用緩衝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