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162B1 - 습식처리법을 이용한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 - Google Patents

습식처리법을 이용한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162B1
KR102143162B1 KR1020190084176A KR20190084176A KR102143162B1 KR 102143162 B1 KR102143162 B1 KR 102143162B1 KR 1020190084176 A KR1020190084176 A KR 1020190084176A KR 20190084176 A KR20190084176 A KR 20190084176A KR 102143162 B1 KR102143162 B1 KR 102143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zinc
plating wastewater
nickel
recov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중
사디아 일리야스
라지브 란잔 스리바스타바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파이살라바드 농업대학교
두이탄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파이살라바드 농업대학교, 두이탄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84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162B1/ko
Priority to PCT/KR2020/005414 priority patent/WO202101057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22B3/0005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20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3/26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liquid-liquid extraction using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3/00Obtaining nickel or cobalt
    • C22B23/04Obtaining nickel or cobalt by wet processes
    • C22B23/0407Leach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3/00Obtaining nickel or cobalt
    • C22B23/04Obtaining nickel or cobalt by wet processes
    • C22B23/0453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Abstract

본 발명은 도금폐수 내에 크롬(Cr), 니켈(Ni) 및 아연(Zn)을 선택적으로 침전시켜 회수할 수 있는 습식처리법을 이용한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금폐수에 잔류하는 다양한 성분의 중금속을 선택적/독립적으로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으며, 회수된 중금속은 재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습식처리법을 이용한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 {Recovery method of residual metals via hydrometallurgical treatment of electroplating solution}
본 발명은 습식처리법을 이용한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금폐수 내에 크롬(Cr), 니켈(Ni) 및 아연(Zn)을 선택적으로 침전시켜 회수할 수 있는 습식처리법을 이용한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제성장과 더불어 급변하는 산업화로 인해 중금속의 수요량은 하루가 다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유독성으로 인하여 인체 및 생태계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하천 및 토양 등의 환경에 심각한 오염원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금속의 주요 배출원으로는 산업폐수, 도시하수, 농약 살포 등이 있으며, 산업체 중에서는 도금 공장이나 제련, 피혁, 안료 및 제약 업체 등에서 카드뮴, 아연, 구리, 니켈, 납, 수은, 크롬 등 생물체에 유해한 중금속을 과량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함량의 중금속 슬러지로 인한 오염문제와 함께 유효자원이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폐수 중의 중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처리 방법이 수반되어야 한다.
한편, 미국 특허 제2,671,712호에는 수성 스트림에 존재하는 다른 금속 이온의 분리를 위하여, 산소 존재 하에 석출에 의해 코발트(Co), 황(S) 또는 다른 원소를 산성 수용액에 첨가하여 니켈(Ni) 및 아연(Zn)을 분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미국특허 제2,933,370호에는 니켈(Ni)을 포함하는 아연(Zn)의 공동 석출(co-precipitation)을 제어하기 위하여 산소를 배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아울러, 미국 특허 제3,441,372호에는 석출 외에 인산 에스테르를 산성 용액으로부터 아연(Zn)을 분리하는데 사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연구는 대부분 수용액 내에서 단일 금속 시스템 또는 임의의 금속 이온을 사용하는 독립형이거나, 때로는 독성이 약한 부가가치 제품으로서의 회복과 관련이 없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수성 스트림으로부터 유가 금속을 회수하는 효과적인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미국 등록특허 제2,671,712호 미국 등록특허 제2,933,370호 미국 등록특허 제3,441,37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금폐수 내에 크롬(Cr), 니켈(Ni) 및 아연(Zn)을 선택적으로 침전시켜 회수할 수 있는 습식처리법을 이용한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크롬(Cr), 니켈(Ni) 및 아연(Zn)을 함유하는 도금폐수가 담긴 반응조에 유기용매를 투입한 후 6가 크롬을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상기 6가 크롬을 포함하는 유기용액을 반응조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반응조로부터 분리된 유기용액에 유기산을 첨가하여 6가 크롬을 3가 크롬으로 환원시킨 후, 상기 3가 크롬을 회수하는 단계; 및
유기용액이 분리된 도금폐수부터 니켈 및 아연을 침전시켜, 상기 니켈 및 아연을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반응조에 투입되는 유기용매는, 3가 크롬이 제거된 유기용매이며, 상기 3가 크롬이 제거된 유기용매를 도금폐수가 담긴 반응조로 주입하여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에 따르면, 도금폐수에 잔류하는 다양한 성분의 중금속을 선택적/독립적으로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으며, 회수된 중금속은 재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도금 폐수 용액 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도금 폐수 용액 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3은 크롬(Cr) 3.2 g/L, 니켈(Ni) 1.6 g/L 및 아연(Zn) 1.2 g/L 를 함유하는 1.2 M HCl 의 수성 공급물로부터 유기매체의 추출 농도에 따른 금속의 추출 반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아스코르브산 용액 농도에 따른 크롬의 스트리핑 농도(질량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Cr을 회수한 라피네이트에서 DMG 대비 Ni2+ 몰비에 따른 니켈의 침전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Ni2+ 를 회수한 여액에서 옥살산 대비 Zn2+몰비에 따른 아연의 침전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습식처리법을 이용한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금폐수 내에 크롬(Cr), 니켈(Ni) 및 아연(Zn)을 선택적으로 침전시켜 회수할 수 있는 습식처리법을 이용한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도금 폐수 용액 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2는 도금 폐수 용액 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은 크롬(Cr), 니켈(Ni) 및 아연(Zn)을 함유하는 도금폐수가 담긴 반응조에 유기용매를 투입한 후 6가 크롬을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상기 6가 크롬을 포함하는 유기용액을 반응조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반응조로부터 분리된 유기용액에 유기산을 첨가하여 6가 크롬을 3가 크롬으로 환원시킨 후, 상기 3가 크롬을 회수하는 단계; 및
유기용액이 분리된 도금폐수부터 니켈 및 아연을 침전시켜, 상기 니켈 및 아연을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반응조에 투입되는 유기용매는, 3가 크롬이 제거된 유기용매이며, 상기 3가 크롬이 제거된 유기용매를 도금폐수가 담긴 반응조로 주입하여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라피네이트" 라 함은, 용제 추출 또는 분자체 등에 의한 흡착으로 추출 또는 흡착되지 않은 성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금폐수에서 특정 물질을 추출(침전)하여 제거한 후에 남는 물질이나 액체 또는 용액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응폐수에서 크롬을 분리하고 남은 반응폐수를 의미할 수 있으며, 크롬 및 아연을 분리하고 남은 반응폐수를 의미할 수 있다.
먼저, 크롬(Cr), 니켈(Ni) 및 아연(Zn)을 함유하는 도금폐수가 담긴 반응조에 유기용매를 투입한 후 6가 크롬을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상기 6가 크롬을 포함하는 유기용액을 반응조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S110)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반응폐수로부터 6가 크룸을 추출하기에 앞서, 도금폐수가 담긴 반응조에 산용액을 주입하여 도금폐수를 pH 2 내지 4 범위로 pH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양태로서, 상기 도금폐수의 pH는 2.6 내지 3.0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산용액은 HCl 용액일 수 있으며, 1 내지 1.5 M 농도의 HCl 용액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4 M 농도 또는 약 1.2 M의 HCl 용액일 수 있다.
한편, 도금폐수의 산성도를 pH 2 내지 4 범위로 조절하는 이유는 용액 내 H+ 이온과 후술하게되는 유기인화합물의 이온과 이온교환이 잘 이루어지기 때문이며, 산성 영역에서 용액 내에서 6가 크롬과의 반응성을 개선시키기 위함이다. 만일, 상술한 pH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6가 크롬의 추출 반응이 느려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으로, 상기 도금폐수를 포함하는 반응조에 유기용매를 투입한 후 6가 크롬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기용매는 정제된 케로젠(kerosene)일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에 유기인계 에스테르(organophosphorus ester)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트리옥틸포스핀(C24H51OP) 및 트리부틸포스페이트(C4H9)3PO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유기용매는 정제된 케로젠에 유기인계 에스테르를 10 내지 100 vol % 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6가 크롬은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도금 폐수 중 6가 크롬을 추출할 수 있다. 6가 크롬은 용액 중에서 크롬산(CrO4 2-)이나 중크롬산(Cr2O7 2-) 의 음이온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유기 용매의 유기인계 에스테르 화합물과 반응하여 추출될 수 있다.
6가 크롬을 포함하는 유기 용액은 유기상과 수상으로 상 분리되므로, 상기 6가 크롬을 포함하는 유기상을 분리함으로써, 상기 도금폐수로부터 6가 크롬 분리가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금폐수 내에 유기인계 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용매를 첨가하게 되면, 상기 화합물은 도금폐수 내에 존재하는 크롬의 음이온과 선택적으로 반응하여 추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추출된 유기용액은 상분리에 의하여 유기상과 수상으로 분리되고, 상기 유기상을 반응조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도금 폐수로부터 용매추출법에 의해 직접 6가 크롬을 분리/회수하는 경우, 공정이 상당히 간편하고, 반응시간이 빨라 대용량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반응조로부터 분리된 유기용액에 유기산을 첨가하여 6가 크롬을 3가 크롬으로 환원시킨 후, 상기 3가 크롬을 회수하는 단계(S12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6가 크롬은 독성이 강한 중금속으로 수질 및 토양오염 등에 많은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6가 크롬을 3가 크롬으로 환원함으로써 환경 문제를 친환경적으로 줄일 수 있다. 상기 3가 크롬은 6가 크롬에 비해 독성이 덜하고, 제거가 용이할 수 있다.
이때, 제공되는 유기산은 상기 6가 크롬의 환원을 위한 것으로, 구연산(citric acid), 옥살산(oxalic acid), 말론산(malonic acid), 사과산(mal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초산(acet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젖산(lactic acid), 포름산(formic acid),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부티르산(butyric acid), 이미노디아세트산(iminodiacetic acid), 글리옥실산(glyoxylic acid),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락트산(Lactic acid), 말레산(maleic acid), 아크릴산(acrylic acid), 발레산(valeric acid), 피발산(pivalicacid), n-헥산산(hexanoic acid), t-옥탄산(octanoic acid), 2-에칠-헥산산(2-ethyl-hexanoic acid), 네오데칸산(neodecanoic acid), 라우르산(lauric acid), 스테아린산(stearic acid), 올레산(oleic acid), 나프텐산(naphthenic acid), 도데칸산(dodecanoic acid) 및 리놀레산(linole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일 수 있다.
한편, 반응조로부터 분리된 유기용액에 상술한 유기산을 첨가할 수 있으며, 유기산 용액이 상기 유기용액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평균 1.5 내지 4 M 의 유기산 용액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평균 2 M 의 유기산 용액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용액은 유기용액과 동일한 부피비로 제공될 수 있으며, 유기산 용액이 제공된 유기용액은 평균 5 내지 30 분 동안 정체시킬 시킬 수 있다. 또는 7 내지 20분 동안 정체시킬 수 있으며, 평균 10 분 동안 정체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정체 후 상분리된 유기산 용액내의 크롬은 환원된 형태로 회수될 수 있다.
한편, 반응조에 투입되는 유기용매는, 3가 크롬이 제거된 유기용매이며, 상기 3가 크롬이 제거된 유기용매를 도금폐수가 담긴 반응조로 주입하여 순환될 수 있다. 즉, 3가 크롬을 회수하고 남은 유기용매는 다시 반응조로 투입됨으로써 크롬 분리를 위한 유기용매로 재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중금속 분리를 위한 자원 등을 절약할 수 있으며, 비용 등이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
유기용액이 분리된 도금폐수부터 니켈 및 아연을 침전시켜, 상기 니켈 및 아연을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크롬이 제거된 도금폐수(라피네이트)는 석회 또는 NaOH 분말을 이용하여 pH 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aOH 분말을 사용하여 수용액의 pH 를 pH 5로 천천히 상승시키고, 평균 200 rpm 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상기 용액에 NaOH 고체 분말을 첨가하여 도금폐수에 남아있는 임의의 금속 이온을 침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기용액이 분리된 도금폐수(크롬이 제거된 도금폐수)에 니켈과 아연을 선택적으로 침전시켜 회수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크롬이 추출된 유기용액을 분리한 도금폐수로부터 니켈 및 아연을 침전시켜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단계는, 유기용액이 분리된 도금폐수에 니켈을 침전시켜, 상기 니켈을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단계; 니켈이 제거된 도금폐수에 아연을 침전시켜, 상기 아연을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크롬이 제거된 도금폐수에서 니켈을 회수한 후, 아연을 회수할 수 있다.
먼저, 크롬을 포함하는 유기용액이 분리된 도금폐수부터 니켈을 선택적으로 침전시켜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크롬이 추출된 유기용액을 분리한 도금폐수를 평균 온도 60 내지 90 ℃ 의 온도로 승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금폐수의 온도는 60 내지 90 ℃ 의 온도로 승온시킬 수 있으며, 60 내지 80℃의 온도로 승온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평균 80℃의 온도로 승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금폐수에 착화제를 첨가하여 니켈-착화제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착화제는 디메틸글라이옥심(DMG, dimethylglyoxime)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DMG는 니켈과 상이한 몰비로 첨가되어, Ni-DMG 복합체를 약 60 분 동안 침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니켈-착화제 복합체를 도금폐수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니켈을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DMG 는 니켈과 약 2:1의 몰비로 침전될 수 있다. 이렇게 침전된 침전물은 평균 80 내지 100 ℃ 또는 평균 90 ℃ 의 온도에서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고, 니켈-착화제 복합체를 회수할 수 있다.
크롬을 포함하는 유기용액이 분리된 도금폐수부터 아연을 선택적으로 침전시켜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니켈이 제거된 도금폐수에 아연을 침전시켜, 상기 아연을 선택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기용액이 분리된 도금폐수를 평균 온도 40 내지 60 ℃ 의 온도로 승온시키는 단계, 상기 유기용액이 분리된 도금폐수에 착화제를 첨가하여, 아연-착화제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아연-착화제 복합체를 유기용액이 분리된 도금폐수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아연을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아연을 침전시키기 위한 착화제는 글리콜산(glycoll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옥살산(oxalic acid), 타타르산(tartaric acid),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옥살산일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용액에서 상기 옥살산과 아연의 몰비는 1 내지 4:1 몰비, 1.5 내지 3:1 몰비 또는 2:1 몰비일 때, 아연이 용이하게 침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연-착화제 복합체가 침전된 침전물을 분리사여, 상기 침전물을 평균 70 내지 100 ℃ 의 온도에서 건조시키고, 건조된 침전물을 평균 400 내지 700 ℃ 의 온도에서 하소시켜, 산화아연(ZnO) 분말을 수득하여, 상기 아연을 회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금폐수에 잔류하는 크롬(Cr), 니켈(Ni) 및 아연(Zn) 등의 중금속을 선택적/독립적으로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으며, 회수된 중금속은 재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습식처리법을 이용한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
실시예 1. 유기매체의 농도에 따른 금속의 추출 반응
실시예에서 습식처리법을 이용하여 도금폐수 내의 잔류 금속을 회수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성 스트림(aqueous stream)은 1.2M의 HCl 용액에서 잔류금속 이온 크롬(Cr) 3.2 g/L, 니켈(Ni) 1.6 g/L, 아연(Zn) 1.2 g/L 를 처리하였다.
구체적으로, 여러 농도의 유기매체는 정제된 케로젠(kerosene)에서 각각 10 vol. %, 20 vol.%, 40 vol.%, 60 vol.%, 및 80 vol.% 농도로 희석된 유기 인 에스테르의 예비 평형 상태에 의해 구성된다. 한편, 희석하지 않은 유기 인 에스테르는 100 vol.% 농도로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100 mL 의 수용액을 250 mL 의 유리 분별 깔때기에서 상술한 농도로 혼합하지 않은 유기인 매질과 접촉시켰다. 그리고, 5분 동안 소정 온도 범위까지 승온시켰다. 바람직하게는 평균 25 내지 30 ℃ 의 온도에서 평형시간을 유지하였다.
상기 용액은 수용액 및 유기상 모두를 정체시키는 시간을 제공함으로써 분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약 10분의 정체 시간을 가졌다.
그리고, 하부에 상분리된 수성 스트림을 적절하게 희석한 후, 바람직하게는 HCl 용액에 5 vol.% 를 희석한 후 라피네이트 내의 금속 이온 농도를 알기 위하여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크롬(Cr) 3.2 g/L, 니켈(Ni) 1.6 g/L 및 아연(Zn) 1.2 g/L 를 함유하는 1.2 M HCl 의 수성 공급물로부터 유기매체의 농도에 따른 금속의 추출 반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희석되지 않은 유기 인계 에스테르 매질을 사용하는 경우, 약 92% 의 Cr(Ⅵ)이 추출되는 것을 알 수 잇다. Ni(Ⅱ)과 Zn(Ⅱ)은 아주 적은 양인 3% 가 추출되었다.
실시예 2. 아스코르브산 용액을 이용한 크롬(Cr) 회수
수용액과의 3 단계 접촉은 희석하지 않은 유기 인산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평균 28(±2)℃ 의 온도에서 5분간 평형상태를 유지한 유기 인산 에스테르로 수행하였다.
침전 시간은 10분 후의 라피네이트를 분석하여 3 단계의 접촉 후 최종 라피네이트 중의 금속 농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99% Cr(Ⅵ) 을 유기상으로 추출하는 것을 보여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Cr(Ⅵ) 이 추출된 금속 함유 유기용액은 바람직하게 약한 환원성 산으로 스트리핑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농도의 아스코르브산 용액으로 스트리핑 된다.
금속을 함유하는 유기 매질은 환원성 산 용액으로 평형을 이루고, 바람직하게는 평균 28(±2)℃ 의 실온에서 10분 동안 두 용액의 같은 부피에서 평형을 이루도록 한다. 각각의 평형 및 침전한 후 스트리핑된 수용액을 수집하여 그 내부의 금속 농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아스코르브산 용액 농도에 따른 크롬의 스트리핑 농도(질량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2.0 M 아스코르브산 용액을 상기 금속을 함유하는 유기 매질에 접촉시키는 경우, 독성이 적은 Cr(Ⅲ) 이 환원된 형태로 금속을 약 99 % 회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Cr(Ⅲ) 이 제거된 유기물은 물로 씻어 내고 추출 목적으로 재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3. 아연 회수
크롬이 제거된 라피네이트를 유기 비커에서 pH 조절하였다. 수용액의 pH 는 석회 또는 NaOH 의 알칼리성 고체 분말을 사용하여, pH 를 조절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액에 석회 또는 NaOH 고체 분말을 사용하여, pH 5.0으로 천천히 상승시키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액을 200 rpm 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상기 NaOH 고체 분말을 서서히 첨가하여 수용액 중의 임의의 금속 이온의 침전을 제어하였다.
그 후, 상기 수용액에 침전제를 첨가하기 전에 수용액을 약 80 ℃ 로 예열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액에 착화제로 DMG 를 Ni(Ⅱ)과 상이한 몰비로 첨가하여, Ni-DMG 착물을 60분 동안 침전시킨다.
다음으로 슬러리를 진공 여과 장치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여액을 수집하여 금속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Cr을 회수한 라피네이트에서 DMG 대비 Ni2+ 몰비에 따른 니켈의 침전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약 99% 의 Ni(Ⅱ) 이 DMG: Ni(Ⅱ) 의 2:1 몰비로 침전된 것을 보여준다.
수득된 침전물 덩어리는 증류수로 3회 정도 세척하였으며, 평균 90℃ 에서 밤새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고 고순도의 Ni-DMG 생성물의 건조된 침전물을 회수하였다.
실시예 4. 니켈 회수
실시예 3에서 얻은 여액을 다른 유리 비커에 수집하고, 평균 50 ℃ 에서 가열하였다.
그리고, 상기 여액에 유기산인 옥살산을 첨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액을 200 rpm 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옥살산을 첨가하였다.
그리고, 실온에서 약 30분 동안 상기 용액을 방치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용액을 진공 여과 장치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여액을 수집하여 금속 농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은 Ni2+ 를 회수한 여액에서 옥살산 대비 Zn2+몰비에 따른 아연의 침전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용액에서 옥살산:Zn(Ⅱ)가 2:1 몰 비일 때, 아연의 99% 이상이 침전됨을 보여준다.
수득된 침전물 덩어리는 증류수로 3회 정도 세척하였으며, 평균 90℃ 에서 밤새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였다. 그리고, 침전물을 약 600 ℃ 의 고온에서 하소시켜 고순도 ZnO 분말을 수득하였다.

Claims (11)

  1. 크롬(Cr), 니켈(Ni) 및 아연(Zn)을 함유하는 도금폐수가 담긴 반응조에 유기용매를 투입한 후 6가 크롬을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상기 6가 크롬을 포함하는 유기용액을 반응조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반응조로부터 분리된 유기용액에 유기산을 첨가하여 6가 크롬을 3가 크롬으로 환원시킨 후, 상기 3가 크롬을 회수하는 단계; 및
    유기용액이 분리된 도금폐수부터 니켈 및 아연을 침전시켜, 상기 니켈 및 아연을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반응조에 투입되는 유기용매는, 3가 크롬이 제거된 유기용매이며, 상기 3가 크롬이 제거된 유기용매를 도금폐수가 담긴 반응조로 주입하여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기용액이 분리된 도금폐수부터 니켈 및 아연을 침전시켜, 상기 니켈 및 아연을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단계는,
    유기용액이 분리된 도금폐수를 평균 온도 60 내지 90 ℃ 의 온도로 승온시키는 단계;
    유기용액이 분리된 도금폐수에 착화제를 첨가하여 니켈-착화제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니켈-착화제 복합체를 상기 도금폐수부터 제거하여, 상기 니켈을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크롬(Cr), 니켈(Ni) 및 아연(Zn)을 함유하는 도금폐수가 담긴 반응조에 산용액을 주입하여, 도금폐수를 pH 2 내지 4 범위로 pH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유기용액이 분리된 도금폐수부터 니켈 및 아연을 침전시켜, 상기 니켈 및 아연을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단계는,
    상기 니켈-착화제 복합체가 제거된 도금폐수에 아연을 침전시켜, 상기 아연을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착화제 복합체를 형성하는 착화제는, 디메틸글라이옥심(DMG, dimethylglyoxi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유기용액이 분리된 도금폐수부터 니켈 및 아연을 침전시켜, 상기 니켈 및 아연을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단계는,
    유기용액이 분리된 도금폐수를 평균 온도 40 내지 60 ℃ 의 온도로 승온시키는 단계;
    유기용액이 분리된 도금폐수에 착화제를 첨가하여, 아연-착화제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아연-착화제 복합체를 상기 도금폐수부터 제거하여, 상기 아연을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아연을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단계는,
    유기용액이 분리된 도금폐수에서 아연-착화제 복합체를 침전시키는 단계;
    아연-착화제 복합체가 침전된 침전물을 평균 70 내지 100 ℃ 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단계: 및
    건조된 침전물을 평균 400 내지 700 ℃ 의 온도에서 하소시켜, 산화아연(ZnO)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착화제 복합체를 형성하는 착화제는, 옥살산(oxal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옥살산(oxalic acid), 타타르산(tartaric acid),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유기용매는 유기인계 에스테르(organophosphorus ester)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유기인계 에스테르(organophosphorus ester) 화합물은, 트리옥틸포스핀(C24H51OP) 및 트리부틸포스페이트(C4H9)3PO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유기산은, 구연산(citric acid), 옥살산(oxalic acid), 말론산(malonic acid), 사과산(mal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초산(acet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젖산(lactic acid), 포름산(formic acid),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부티르산(butyric acid), 이미노디아세트산(iminodiacetic acid), 글리옥실산(glyoxylic acid),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락트산(Lactic acid), 말레산(maleic acid), 아크릴산(acrylic acid), 발레산(valeric acid), 피발산(pivalicacid), n-헥산산(hexanoic acid), t-옥탄산(octanoic acid), 2-에칠-헥산산(2-ethyl-hexanoic acid), 네오데칸산(neodecanoic acid), 라우르산(lauric acid), 스테아린산(stearic acid), 올레산(oleic acid), 나프텐산(naphthenic acid), 도데칸산(dodecanoic acid) 및 리놀레산(linole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
KR1020190084176A 2019-07-12 2019-07-12 습식처리법을 이용한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 KR102143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176A KR102143162B1 (ko) 2019-07-12 2019-07-12 습식처리법을 이용한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
PCT/KR2020/005414 WO2021010577A1 (ko) 2019-07-12 2020-04-24 습식처리법을 이용한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176A KR102143162B1 (ko) 2019-07-12 2019-07-12 습식처리법을 이용한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162B1 true KR102143162B1 (ko) 2020-08-12

Family

ID=72039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176A KR102143162B1 (ko) 2019-07-12 2019-07-12 습식처리법을 이용한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3162B1 (ko)
WO (1) WO20210105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8635A (zh) * 2021-10-09 2021-12-14 湖南先锋防水科技有限公司 一种不带入污染性铬元素的通用水泥生产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71712A (en) 1951-11-16 1954-03-09 Merre Marcel De Separation of nickel from solutions containing cobalt and nickel
US2933370A (en) 1956-10-30 1960-04-19 Freeport Sulphur Co Process for separating nickel and zinc from acidic aqueous solution containing nickel, zinc, and cobalt
US3441372A (en) 1965-02-01 1969-04-29 Imp Smelting Corp Ltd Solvent extraction process for separation of zinc from cadmium
KR910018313A (ko) * 1990-04-13 1991-11-30 양철우 산업폐수로부터 그속에 용해되어 있는 중금속 및 시안화물의 제거처리방법
JPH0572391A (ja) * 1991-07-05 1993-03-26 Mitsubishi Materials Corp 放射性廃液の処理方法
KR20130015494A (ko) * 2011-08-03 2013-02-1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6가 크롬의 환원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155B1 (ko) * 1999-12-17 2002-10-11 동부한농화학 주식회사 철 및 니켈의 분리, 회수 방법
KR100458402B1 (ko) * 2002-12-27 2004-11-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도금 폐수로부터 용매 추출법을 이용한 중금속의 회수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71712A (en) 1951-11-16 1954-03-09 Merre Marcel De Separation of nickel from solutions containing cobalt and nickel
US2933370A (en) 1956-10-30 1960-04-19 Freeport Sulphur Co Process for separating nickel and zinc from acidic aqueous solution containing nickel, zinc, and cobalt
US3441372A (en) 1965-02-01 1969-04-29 Imp Smelting Corp Ltd Solvent extraction process for separation of zinc from cadmium
KR910018313A (ko) * 1990-04-13 1991-11-30 양철우 산업폐수로부터 그속에 용해되어 있는 중금속 및 시안화물의 제거처리방법
JPH0572391A (ja) * 1991-07-05 1993-03-26 Mitsubishi Materials Corp 放射性廃液の処理方法
KR20130015494A (ko) * 2011-08-03 2013-02-1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6가 크롬의 환원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8635A (zh) * 2021-10-09 2021-12-14 湖南先锋防水科技有限公司 一种不带入污染性铬元素的通用水泥生产方法
CN113788635B (zh) * 2021-10-09 2022-08-16 贵州德隆水泥有限公司 一种不带入污染性铬元素的通用水泥生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10577A1 (ko)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llward et al. The adsorption of Cu, Mn and Zn by iron oxyhydroxide in model estuarine solutions
Auerbach et al. Critical raw materials–Advanced recycling technologies and processes: Recycling of rare earth metals out of end of life magnets by bioleaching with various bacteria as an example of an intelligent recycling strategy
Agrawal et al. Iron and copper recovery/removal from industrial wastes: A review
CZ291247B6 (cs) Způsob zpracování kalu z odpadních vod obsahujících alespoň jeden kov
KR101534417B1 (ko) 황산아연을 함유하는 용액 처리 방법
KR102143162B1 (ko) 습식처리법을 이용한 도금폐수내의 잔류 금속 회수방법
Wu et al. Enhancing Cu-Zn-Cr-Ni Co-extraction from electroplating sludge in acid leaching process by optimizing Fe3+ addition and redox potential
Chen et al. Antimony removal from wastewater by sulfate-reducing bacteria in a bench-scale upflow anaerobic packed-bed reactor
JP2018090844A (ja) イオン交換処理方法、スカンジウムの回収方法
JP3254501B2 (ja) 砒素と鉄とを含有する酸性溶液からの砒素の除去法
CN114182102A (zh) 一种硫酸肼还原浸出含锗氧化锌烟尘中锗的方法
AU2017213939A1 (en) Method for recovering scandium
US4317804A (en) Process for the selective removal of ferric ion from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ferric and other metal ions
KR100926736B1 (ko) 산성광산배수를 이용한 철코팅 모래의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중금속 함유 수 처리방법
KR101441647B1 (ko) 정수장 슬러지로부터 응집제를 제조하는 방법
CN108193052A (zh) 资源化回收利用低含锌酸性废水制备无铵助镀剂的方法
CN110217876B (zh) 一种双滴法原位形成锌铁类水滑石处理三价砷废水的方法
KR101935714B1 (ko) 비부식성 전극을 이용한 지하수 내 철 제거방법 및 제거시스템
Lee et al. Recovery of zinc in spent pickling solution with oxalic acid
US8679350B1 (en) Acidic mine water remediation
JP4862191B2 (ja) セレン含有水の処理方法
JP6316100B2 (ja) 鉱山廃水または浸透水の処理方法
RU2776360C2 (ru) Способ растворения первичной меди металлогенического происхождения, полученной из руд и/или халькопиритовых концентратов, содержащих ее
RU2772003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нцентрата благородных металлов
CN113415864B (zh) 利用铅沉淀转化提升生物羟基磷灰石去除铬阴离子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