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001B1 -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 - Google Patents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001B1
KR102142001B1 KR1020190029161A KR20190029161A KR102142001B1 KR 102142001 B1 KR102142001 B1 KR 102142001B1 KR 1020190029161 A KR1020190029161 A KR 1020190029161A KR 20190029161 A KR20190029161 A KR 20190029161A KR 102142001 B1 KR102142001 B1 KR 102142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ember
fluid
inclined surface
forc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경철
민성기
조범근
김훈희
Original Assignee
비앤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앤알(주) filed Critical 비앤알(주)
Priority to PCT/KR2019/00296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184760A1/ko
Priority to KR1020190029161A priority patent/KR1021420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41D13/018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inflatable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06H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은 관형으로 형성된 일측에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홀(121)이 형성되고, 타측에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홀(111)이 형성된 본체(100), 및 본체(100)에 구비되어,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일방향(A)으로 작용하고, 타방향(B)으로 소정 강도의 대항력이 작용하며, 배출홀(111)로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되, 일방향(A)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되면, 배출홀(111)로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재(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Mechanical Vent Means for Airbag}
본 발명은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고령화로 인하여 노인 인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노인의 안전사고가 중요한 사회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안전사고 중에서도 낙상사고는 노인들에게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노인층의 주요 사망원인 중 하나이다. 낙상사고로 인하여, 골반 및 고관절 골절이 가장 자주 발생하는데, 노인들의 경우 약해진 신체능력 때문에 수술이 어렵고, 수술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더라도 회복에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낙상사고 발생시 신체충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2차 상해는 머리, 목, 척추 등의 상해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낙상사고로 인하여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보호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낙상사고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서, 엉덩이 보호대(hip protector)와 착용형 에어백(wearable airbag) 등과 같은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엉덩이 보호대는 착용시 불편함을 유발하여 사용자들이 착용을 원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엉덩이 보호대는 기대할 수 있는 보호성능을 나타내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착용형 에어백은 낙상사고로 인하여 발생하는 둔부부위의 1차 상해로부터는 우수한 보호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착용형 에어백은 지면 등과의 충격으로 발생하는 에어백의 반발력으로 인하여 다른 신체부위에 2차 상해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지면 등과의 충격으로 발생하는 에어백의 반발력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에어백으로부터 유체를 배출시키는 벤트홀이 도입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홀은 상시 개방되어 에어백의 전개 시간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에어백의 전개 후에 개방되는 에어백용 벤트홀이 개발되었지만, 한번 개방되고 나면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별도의 전기적 신호로 개방시키므로 정확한 개방시점을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KR 10-1093780 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인플레이터에서 유체가 분사되는 순간(유체의 압력이 소정치 이상인 첫번째 순간)에는 유체를 배출시키지 않고, 보호수단(에어백)이 지면 등에 충돌하는 순간(유체의 압력이 소정치 이상인 두번째 순간)에는 유체를 배출시킴으로써, 지면 등과의 충돌로 발생하는 보호수단(에어백)의 반발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은 관형으로 형성된 일측에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일방향으로 작용하고, 타방향으로 소정 강도의 대항력이 작용하며, 상기 배출홀로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되,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되면, 상기 배출홀로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클 때, 상기 이동부재는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미만까지만 이동되어, 상기 배출홀로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작을 때, 상기 이동부재는 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배출홀로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클 때, 상기 이동부재는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되어, 상기 배출홀로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이동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본체에 대해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서 가이드되며,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클 때,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미만까지만 이동되도록 가이드되고, 이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작을 때,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서 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되며, 이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클 때,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되도록 가이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본체에 대해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서 회전하고,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클 때, 상기 이동부재는 일방향으로 이동된 후 제1 각도만큼 회전되고 정지하도록 가이드되며, 이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작을 때, 상기 이동부재는 타방향으로 이동된 후 제2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가이드되고, 이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클 때, 상기 이동부재는 일방향으로 이동된 후 제3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가이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도록 연장된 돌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가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미만까지만 이동될 때,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홀이 폐쇄됨으로써, 상기 배출홀로 상기 유체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이동부재가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될 때,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관통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관통홀이 개방됨으로써, 상기 관통홀을 통해서 상기 배출홀로 상기 유체가 전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일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제1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하도록 경사진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타측에는 상기 제1 경사면과 반대로 경사진 제3-1 경사면, 상기 제3-1 경사면의 일단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면, 및 상기 제1 연장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경사면과 반대로 경사진 제3-2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3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제3-1 경사면과 상기 제3-2 경사면에 대응하도록 경사진 제4 경사면, 및 상기 제4 경사면의 일단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면을 포함하는 제4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클 때, 상기 이동부재는 일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제4 경사면이 상기 제3-1 경사면에 접촉되어 제1 각도만큼 회전되고, 상기 제2 연장면이 상기 제1 연장면에 접촉되어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미만까지만 이동되고, 이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작을 때, 상기 이동부재는 타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제2 경사면이 상기 제1 경사면에 접촉되어 제2 각도만큼 회전되며, 이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클 때, 상기 이동부재는 일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제4 경사면이 상기 제3-2 경사면에 접촉되어 제3 각도만큼 회전되며,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타측과 마주보는 상기 이동부재의 일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타측에는 철부와 요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클 때,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돌기가 상기 철부에 접촉됨으로써 일방향으로 소정거리까지만 이동되고, 이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작을 때,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돌기가 상기 철부와 분리되며, 이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클 때,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돌기가 상기 요부에 삽입됨으로써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3-2 경사면의 일단이 상기 제3-1 경사면의 일단에 비해서 일방향 쪽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의 양단 사이의 일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 연장면이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3-2 경사면은, 상기 제1 연장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경사진 제3-2a 경사면, 상기 제3-2a 경사면의 일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된 제5 연장면, 및 상기 제5 연장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경사진 제3-2b 경사면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3-1 경사면, 상기 제1 연장면, 및 상기 제3-2 경사면의 조합은 다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를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가이드부는 인접한 상기 제3-1 경사면의 타단과 상기 제3-2 경사면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6 연장면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대항력은 상기 본체와 상기 이동부재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도록 연장된 돌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에는 직경이 변화하면서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양단이 상기 본체의 일측과 상기 단차에 접촉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관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배출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유입홀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에 있어서, 사용자의 소정부위에 장착된 보호수단을 팽창시키기 위해서 인플레이터에서 유체가 분사되는 순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커지고, 이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작아지며, 이후, 상기 보호수단이 임의의 물체에 충돌하는 순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커진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플레이터에서 유체가 분사되는 순간(유체의 압력이 소정치 이상인 첫번째 순간)에는 유체를 배출시키지 않고, 보호수단(에어백)이 지면 등에 충돌하는 순간(유체의 압력이 소정치 이상인 두번째 순간)에는 유체를 배출시켜, 지면 등과의 충돌로 발생하는 보호수단의 반발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다른 신체부위에 2차 상해가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부에 의해서 보호수단(에어백)이 지면 등에 충돌하는 순간에 유체를 배출시키므로, 별도의 전기적 신호 없이도 정확한 시점에 유체의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를 배출시킨 후에도, 본체를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경사면 등에 의해서 별도의 조작 없이도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의 작동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이 설치된 에어백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의 내부 압력을 시간에 따라 도시한 그래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의 결합 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및
도 9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의 작동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이 설치된 에어백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의 내부 압력을 시간에 따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수단(2000)은 사용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보호수단(2000)은 전체적으로 케이스(2100)와 보호부재(2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2100)는 사용자의 소정부위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케이스(2100)는 사용자의 허리에 장착될 수 있도록 벨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호부재(2200)는 케이스(2100)의 내부에 수용되었다가, 사용자가 낙상하기 시작하면, 유체가 주입되어 팽창됨으로써 사용자를 실질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부재(2200)는 사용자의 허리에 장착된 케이스(2100)의 내부에 수용되었다가, 인플레이터(inflator) 등에 의해서 유체가 주입되면 스커트 형태로 팽창되어 사용자의 둔부(골반 및 고관절 부위)를 감싸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보호수단(2000)의 일측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10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1000)은 보호수단(2000)에 주입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1000)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낙상시 직접적인 충격이 전달되지 않으면서, 관절 움직임의 영향을 최소화로 받으며,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서 가려지지 않는 요추 부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수단(2000)에는 연결부재(2500)가 유체소통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연결부재(2500)에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1000)과 인플레이터(300)가 마주보도록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인플레이터(300)가 유체가 주입되면 연결부재(2500)를 통해서 보호수단(2000)으로 전달되어 보호수단(2000)이 팽창될 수 있다. 동시에, 인플레이터(300)가 주입한 유체는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1000)에도 전달된다. 또한,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1000)은 보호수단(2000)이 임의의 물체(지면 등)에 충돌하는 순간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켜, 임의의 물체(지면 등)와의 충돌로 발생하는 보호수단의 반발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다른 신체부위에 2차 상해가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보호수단(2000)이 임의의 물체(지면 등)에 충돌하는 순간에만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1000)으로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해서,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1000)의 내부 압력 변화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수단(2000)을 팽창시키기 위해서 인플레이터(3000)에서 유체가 분사되는 순간(X), 인플레이터(3000)에서 분사되는 유체에 의해서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1000)의 내부 압력은 소정치(α) 이상으로 높아진다. 이후, 보호수단이 팽창되는 순간(Y),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1000)의 내부 압력은 소정치(α) 이하로 낮아진다. 이후, 보호수단(2000)이 임의의 물체(지면 등)에 충돌하는 순간(Z), 보호수단(2000)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서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1000)의 내부 압력은 다시 소정치(α) 이상으로 높아진다. 즉,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1000)의 내부 압력은 2번에 걸쳐 소정치(α) 이상으로 높아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1000)은 내부 압력이 첫번째로 소정치(α) 이상 높아질 때(X) 유체를 배출시키지 않고, 두번째로 소정치(α) 이상 높아질 때(Z)만 유체를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 내부 압력이 두번째로 소정치(α) 이상으로 높아질 때(Z)만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해서,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1000)은 독창적인 구성을 포함하는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서 기술하도록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은 관형으로 형성된 일측에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홀(121)이 형성되고, 타측에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홀(111)이 형성된 본체(100), 및 본체(100)에 구비되어,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일방향(A)으로 작용하고, 타방향(B)으로 소정 강도의 대항력이 작용하며, 배출홀(111)로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되, 일방향(A)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되면, 배출홀(111)로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전체적으로 관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홀(12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홀(1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유입홀(121)로 유입되는 유체는 인플레이터나 보호수단으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0)는 하우징(110)과 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0)는 관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 공간에는 이동부재(200)가 삽입되고, 일단에 배출홀(111)이 형성되며, 타단에 개방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120)는 하우징(110)을 개방부(115)를 커버(120)하도록 하우징(110)에 결합되고, 유입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120)에는 일방향(A)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돌출부재(1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재(125)는 이동부재(200)에 형성된 관통홀(210)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0)의 내부에는 이동부재(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10, 430)가 형성되는데,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부재(20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본체(100,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고,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여기서, 이동부재(200)에는 유입홀(121)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일방향(A, 본체(100)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작용하고, 타방향(B)으로(본체(100)의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소정 강도의 대항력이 작용한다. 이때, 이동부재(200)에 작용하는 소정 강도의 대항력은 본체(100)와 이동부재(200)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일 수 있다. 탄성부재(300)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200)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홀(210)이 형성되고, 이러한 관통홀(210)에는 직경이 변화하면서 단차(215)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300)는 일단이 본체(100)의 일측에 접촉되고 타단이 단차(215)에 접촉되어, 이동부재(200)에 소정 강도의 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동부재(200)는 일방향(A)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되면, 유입홀(121)로 유입된 유체가 배출홀(111)로 배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서, 이동부재(200)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210)이 형성되고, 본체(100)의 일측(커버(120))에는 관통홀(210)에 삽입되도록 연장된 돌출부재(1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부재(200)가 일방향(A)으로 이동되는 거리에 따라, 돌출부재(125)가 관통홀(21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여 관통홀(210)이 폐쇄되거나, 또는 돌출부재(125)가 관통홀(210)로부터 분리되어 관통홀(210)이 개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부재(200)가 일방향(A)으로 소정거리 미만까지만 이동될 때, 돌출부재(125)는 관통홀(210)에 삽입되어, 관통홀(210)이 폐쇄됨으로써, 배출홀(111)로 상기 유체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이동부재(200)가 일방향(A)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될 때, 돌출부재(125)는 관통홀(210)로부터 분리되어, 관통홀(210)이 개방됨으로써, 관통홀(210)을 통해서 배출홀(111)로 유체가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유체가 배출홀(111)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이동부재(200)의 이동에 따라 관통홀(210)이 개폐됨으로써, 유체가 배출홀(111)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배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로, 이를 참조하여, 유입홀(121)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이동부재(200)가 작동되면서, 유체가 배출홀(111)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배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보호수단을 팽창시키기 위해서 인플레이터에서 유체가 분사되는 순간(도 3에서 내부 압력이 첫번째로 소정치(α) 이상으로 높아지는 순간(X)), 인플레이터에서 분사되는 유체에 의해서 이동부재(200)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대항력(탄성부재(300)의 탄성력)보다 클 수 있다. 이때,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200)는 일방향(A)으로 소정거리 미만까지만 이동되어, 돌출부재(125)로 관통홀(210)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배출홀(111)로 유체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보호수단이 팽창되면서 유체의 압력이 낮아지고(도 3에서 내부 압력이 소정치(α) 이하로 낮아지는 순간(Y)), 그에 따라 이동부재(200)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한 힘이 대항력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200)는 타방향(B)으로 이동되어, 돌출부재(125)로 관통홀(210)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배출홀(111)로 유체가 전달되는 것을 계속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보호수단이 임의의 물체(지면 등)에 충돌하는 순간(도 3에서 내부 압력이 두번째로 소정치(α) 이상으로 높아지는 순간(Z)), 보호수단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서 이동부재(200)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대항력보다 클 수 있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200)는 일방향(A)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되어, 돌출부재(125)가 관통홀(210)로부터 분리되므로, 유체가 관통홀(210)을 거쳐 배출홀(111)로 배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9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참고로, 도 9 내지 도 15에서는 이동부재(200)의 이동 과정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서 탄성부재(30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를 참조하여, 이동부재(200)의 작동 과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본체(100)와 이동부재(2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가이드부(410, 420, 430, 440)가 형성되고, 이동부재(200)는 일방향(A)으로 또는 타방향(B)으로 이동될 때 가이드부(410, 420, 430, 440)에 의해서 가이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부재(200)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대항력보다 클 때,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200)는 가이드부(430, 440)에 의해서 일방향(A)으로 이동된 후 제1 각도만큼 회전되고 정지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이동부재(200)는 일방향(A)으로 소정거리 미만까지만 이동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이후, 이동부재(200)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대항력보다 작을 때,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200)는 가이드부(410, 420)에 의해서 타방향(B)으로 이동된 후 제2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이후, 이동부재(200)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대항력보다 클 때,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200)는 가이드부(430, 440)에 의해서 일방향(A)으로 이동된 후 제3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이동부재(200)는 일방향(A)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상술한 가이드부(410, 420, 430, 440)는 제1 가이드부(410), 제2 가이드부(420), 제3 가이드부(430), 및 제4 가이드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부(410)는 본체(100)의 일측(커버(120))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일방향(A)에 대해서 경사진 제1 경사면(413)을 포함한다. 또한, 제2 가이드부(420)는 본체(100)의 일측과 가까운 이동부재(200)의 말단에 형성되고, 제1 경사면(413)에 대응하도록 경사진 제2 경사면(423)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3 가이드부(430)는 본체(100)의 타측(하우징(110)의 내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1 경사면(413)과 반대로 경사진 제3-1 경사면(433), 제3-1 경사면(433)의 일단(본체(100)의 일측(커버(120))과 가장 먼 말단)으로부터 타방향(B)으로 연장된 제1 연장면(435), 및 제1 연장면(435)의 일단(본체(100)의 일측(커버(120))과 가장 가까운 말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경사면(413)과 반대로 경사진 제3-2 경사면(437)을 포함한다. 또한, 제4 가이드부(440)는 본체(100)의 타측과 가까운 이동부재(200)의 말단에 형성되고, 제3-1 경사면(433)과 제3-2 경사면(437)에 대응하도록 경사진 제4 경사면(443), 및 제4 경사면(443)의 일단(본체(100)의 일측(커버(120))과 가장 먼 말단)으로부터 타방향(B)으로 연장된 제2 연장면(445)을 포함한다.
상술한 제1,2,3,4 가이드부(410, 420, 430, 440)에 의해서 이동부재(200)는 다음과 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우선, 이동부재(200)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대항력보다 클 때,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200)는 일방향(A)으로 이동된다. 다음,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200)는 제4 경사면(443)이 제3-1 경사면(433)에 접촉되어 제1 각도만큼 회전되고 제2 연장면(445)이 제1 연장면(435)에 접촉되어 일방향(A)으로 소정거리 미만까지만 이동된다. 즉, 제2 연장면(445)과 제1 연장면(435)이 접촉되면서 이동부재(200)는 정지되는 것이다.
이후, 이동부재(200)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대항력보다 작을 때,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200)는 타방향(B)으로 이동된다. 다음,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200)는 제2 경사면(423)이 제1 경사면(413)에 접촉되어 제2 각도만큼 회전된다.
이후, 이동부재(200)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대항력보다 클 때,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200)는 일방향(A)으로 이동된다. 다음,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200)는 제4 경사면(443)이 제3-2 경사면(437)에 접촉되어 제3 각도만큼 회전되며, 일방향(A)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된다. 즉, 이전 단계에서 이동부재(200)가 제2 각도만큼 회전되면서(도 12 내지 도 13 참조), 제2 연장면(445)이 제1 연장면(435)에 접촉되지 않고, 제4 경사면(443)이 제3-2 경사면(437)에 접촉되어 일방향(A)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이동부재(200)가 처음에는 일방향(A)으로 소정거리 미만까지만 이동되다가(도 11 참조), 두번째는 일방향(A)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될 수 있도록(도 15 참조), 제3-2 경사면(437)의 일단(본체(100)의 일측(커버(120))와 가장 먼 말단)은 제3-1 경사면(433)의 일단(본체(100)의 일측(커버(120))와 가장 먼 말단)에 비해서 일방향(A) 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200)가 제2 각도만큼 회전되어, 제2 연장면(455)이 제1 연장면(435)에 접촉하지 않도록(도 12 내지 도 13 참조), 제1 경사면(413)의 양단 사이의 일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연장면(435)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본체(100)의 종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제1 경사면(413)의 양단 사이에 제1 연장면(435)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3-2 경사면(437)은 제3-2a 경사면(437a), 제5 연장면(437b), 및 제3-2b 경사면(437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2a 경사면(437a)은 제1 연장면(435)의 일단(본체(100)의 일측(커버(120))과 가장 가까운 말단)으로부터 경사지도록 연장된다. 또한, 제5 연장면(437b)은 제3-2a 경사면(437a)의 일단(본체(100)의 일측(커버(120))과 가장 먼 말단)으로부터 일방향(A)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3-2b 경사면(437c)은 제5 연장면(437b)의 일단(본체(100)의 일측(커버(120))과 가장 먼 말단)으로부터 경사지도록 연장된다.
이와 같이, 제3-2 경사면(437)은 제3-2a 경사면(437a), 제5 연장면(437b), 및 제3-2b 경사면(437c)을 포함하므로, 이동부재(200)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대항력보다 클 때, 이동부재(200)는 일방향(A)으로 이동된 후, 제4 경사면(443)이 제3-2a 경사면(437a)에 접촉되어 일정각도 회전된다(도 14 참조). 다음, 이동부재(200)는 일방향(A)으로 이동된 후, 제4 경사면(443)이 제3-2b 경사면(437c)에 접촉되어(도 15 참조), 최종적으로 일방향(A)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면(413)은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경사면(413)은 본체(100)의 내벽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부(410)는 인접한 제1 경사면(413)의 일단과 제1 경사면(413)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3 연장면(41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가이드부(410)는 제1 경사면(413) -> 제3 연장면(415) -> 제1 경사면(413) -> 제3 연장면(415) 순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가이드부(420)는 제3 연장면(415)에 대응하도록 제2 경사면(423)의 일단(본체(100)의 일측(커버(120))과 가장 가까운 말단)으로부터 일방향(A)으로 연장된 제4 연장면(425)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200)에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작용하기 전, 이동부재(200)는 대항력에 의해서 제4 연장면(425)이 제3 연장면(415)에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제3 연장면(415)이 제3-1 경사면(433)의 양단 사이의 일지점에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되므로, 이동부재(200)는 인플레이터 등이 오작동하더라도 언제나 제4 연장면(425)이 제3 연장면(415)에 접촉되어 고정됨으로써,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제1 경사면(413)이 본체(100)의 내벽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과 유사하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1 경사면(433), 제1 연장면(435), 및 제3-2 경사면(437)의 조합은 다수개가 구비되어, 본체(100)의 내벽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가이드부(430)는 인접한 제3-1 경사면(433)의 타단(본체(100)의 일측(커버(120))과 가장 가까운 말단)과 제3-2 경사면(437)의 일단(본체(100)의 일측(커버(120))과 가장 먼 말단)을 연결하는 제6 연장면(439)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 가이드부(430)는 제3-1 경사면(433) -> 제1 연장면(435) -> 제3-2 경사면(437) -> 제6 연장면(439) -> 제3-1 경사면(433) -> 제1 연장면(435) -> 제3-2 경사면(437) 순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경사면(413)이 본체(100)의 내벽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이와 유사하게 제3-1 경사면(433), 제1 경사면(413), 및 제3-2 경사면(437)의 조합이 본체(100)의 내벽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되므로, 이동부재(200)는 제2,4 경사면(423, 425)가 반복적으로 제1,3-1,3-2 경사면(413, 433, 437)과 접촉되면서 가이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은 유체를 배출시킨 후에도, 별도의 조작 없이도 재사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20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가이드부(410, 420, 430, 440) 이외에 돌기(220), 철부(135), 및 요부(130)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0)의 타측과 마주보는 이동부재(200)의 일면에는 돌출된 돌기(220)가 형성되고, 본체(100)의 타측에는 돌기(220)와 마주보도록 철부(135)와 요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부재(200)의 회전 정도에 따라 돌기(220)는 철부(135)에 접촉되거나 요부(13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이동부재(200)가 일방향(A)으로 이동되는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부재(200)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대항력보다 클 때, 이동부재(200)는 일방향(A)으로 이동된 후 제1 각도만큼 회전되면서 돌기(220)가 철부(135)에 접촉될 수 있다(도 11 참조). 따라서, 이동부재(200)는 일방향(A)으로 소정거리까지만 이동될 수 있다. 즉, 돌기(220) 및 철부(135)는 제2 연장면(445) 및 제1 연장면(435)과 함께 이동부재(200)가 소정거리까지만 이동되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이동부재(200)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대항력보다 작을 때, 이동부재(200)는 타방향(B)으로 이동되면서 돌기(220)가 상기 철부(135)와 분리된 후, 제2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도 13 참조).
이후, 이동부재(200)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대항력보다 클 때, 이동부재(200)는 일방향(A)으로 이동된 후 제3 각도만큼 회전되면서 돌기(220)가 요부(130)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돌기(220)가 요부(130)에 삽입될 수 있다(도 15 참조). 따라서, 이동부재(200)는 일방향(A)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본체 110: 하우징
111: 배출홀 115: 개방부
120: 커버 121: 유입홀
125: 돌출부재 130: 요부
135: 철부 200: 이동부재
210: 관통홀 215: 단차
220: 돌기 300: 탄성부재
410: 제1 가이드부 413: 제1 경사면
415: 제3 연장면 420: 제2 가이드부
423: 제2 경사면 425: 제4 연장면
430: 제3 가이드부 433: 제3-1 경사면
435: 제1 연장면 437: 제3-2 경사면
437a: 제3-2a 경사면 437b: 제5 연장면
437c: 제3-2b 경사면 439: 제6 연장면
440: 제4 가이드부 443: 제4 경사면
445: 제2 연장면 1000: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
2000: 보호수단 A: 일방향
B: 타방향

Claims (15)

  1. 삭제
  2. 관형으로 형성된 일측에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일방향으로 작용하고, 타방향으로 소정 강도의 대항력이 작용하며, 상기 배출홀로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되,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되면, 상기 배출홀로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클 때, 상기 이동부재는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미만까지만 이동되어, 상기 배출홀로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작을 때, 상기 이동부재는 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배출홀로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클 때, 상기 이동부재는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되어, 상기 배출홀로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이동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본체에 대해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서 가이드되며,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클 때,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미만까지만 이동되도록 가이드되고,
    이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작을 때,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서 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되며,
    이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클 때,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되도록 가이드되는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본체에 대해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서 회전하고,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클 때, 상기 이동부재는 일방향으로 이동된 후 제1 각도만큼 회전되고 정지하도록 가이드되며,
    이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작을 때, 상기 이동부재는 타방향으로 이동된 후 제2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가이드되고,
    이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클 때, 상기 이동부재는 일방향으로 이동된 후 제3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가이드되는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도록 연장된 돌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가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미만까지만 이동될 때,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홀이 폐쇄됨으로써, 상기 배출홀로 상기 유체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이동부재가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될 때,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관통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관통홀이 개방됨으로써, 상기 관통홀을 통해서 상기 배출홀로 상기 유체가 전달되는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
  5. 관형으로 형성된 일측에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일방향으로 작용하고, 타방향으로 소정 강도의 대항력이 작용하며, 상기 배출홀로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되,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되면, 상기 배출홀로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클 때, 상기 이동부재는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미만까지만 이동되어, 상기 배출홀로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작을 때, 상기 이동부재는 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배출홀로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클 때, 상기 이동부재는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되어, 상기 배출홀로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일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제1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하도록 경사진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타측에는 상기 제1 경사면과 반대로 경사진 제3-1 경사면, 상기 제3-1 경사면의 일단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면, 및 상기 제1 연장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경사면과 반대로 경사진 제3-2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3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제3-1 경사면과 상기 제3-2 경사면에 대응하도록 경사진 제4 경사면, 및 상기 제4 경사면의 일단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면을 포함하는 제4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클 때, 상기 이동부재는 일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제4 경사면이 상기 제3-1 경사면에 접촉되어 제1 각도만큼 회전되고, 상기 제2 연장면이 상기 제1 연장면에 접촉되어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미만까지만 이동되고,
    이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작을 때, 상기 이동부재는 타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제2 경사면이 상기 제1 경사면에 접촉되어 제2 각도만큼 회전되며,
    이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클 때, 상기 이동부재는 일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제4 경사면이 상기 제3-2 경사면에 접촉되어 제3 각도만큼 회전되며,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되는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타측과 마주보는 상기 이동부재의 일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타측에는 철부와 요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클 때,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돌기가 상기 철부에 접촉됨으로써 일방향으로 소정거리까지만 이동되고,
    이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작을 때,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돌기가 상기 철부와 분리되며,
    이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클 때,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돌기가 상기 요부에 삽입됨으로써 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되는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3-2 경사면의 일단이 상기 제3-1 경사면의 일단에 비해서 일방향 쪽에 배치되는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의 양단 사이의 일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 연장면이 배치되는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2 경사면은,
    상기 제1 연장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경사진 제3-2a 경사면;
    상기 제3-2a 경사면의 일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된 제5 연장면; 및
    상기 제5 연장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경사진 제3-2b 경사면;
    을 포함하는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1 경사면, 상기 제1 연장면, 및 상기 제3-2 경사면의 조합은 다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를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가이드부는 인접한 상기 제3-1 경사면의 타단과 상기 제3-2 경사면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6 연장면을 포함하는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
  12.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대항력은 상기 본체와 상기 이동부재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인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도록 연장된 돌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에는 직경이 변화하면서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양단이 상기 본체의 일측과 상기 단차에 접촉되는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
  1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관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배출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유입홀이 형성된 커버;
    를 포함하는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
  1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사용자의 소정부위에 장착된 보호수단을 팽창시키기 위해서 인플레이터에서 유체가 분사되는 순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커지고,
    이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작아지며,
    이후, 상기 보호수단이 임의의 물체에 충돌하는 순간 상기 이동부재에 작용하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대항력보다 커지는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
KR1020190029161A 2019-03-14 2019-03-14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 KR102142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2968 WO2020184760A1 (ko) 2019-03-14 2019-03-14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
KR1020190029161A KR102142001B1 (ko) 2019-03-14 2019-03-14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161A KR102142001B1 (ko) 2019-03-14 2019-03-14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001B1 true KR102142001B1 (ko) 2020-08-06

Family

ID=72040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161A KR102142001B1 (ko) 2019-03-14 2019-03-14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2001B1 (ko)
WO (1) WO2020184760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780B1 (ko) 2011-02-23 2011-12-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체충격 완화장치
KR20160052881A (ko) * 2014-10-29 2016-05-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낙상 보호장치
KR101780435B1 (ko) * 2016-09-12 2017-09-21 비앤알(주) 배기홀을 구비한 에어백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350B1 (ko) * 2011-02-14 2011-08-04 주식회사 시큐어메딕 이륜차 운전자 보호복
US10154695B2 (en) * 2015-12-28 2018-12-18 Xin Jin Personal wearable airbag device for preventing injur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780B1 (ko) 2011-02-23 2011-12-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체충격 완화장치
KR20160052881A (ko) * 2014-10-29 2016-05-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낙상 보호장치
KR101780435B1 (ko) * 2016-09-12 2017-09-21 비앤알(주) 배기홀을 구비한 에어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4760A1 (ko)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9657B2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US5390367A (en) Helmet and shoulder pads having inflatable protective means to protect cervical spine
US9573556B2 (en) Airbag system for vehicle
KR0169560B1 (ko) 팽창식 차량 탑승자 구속구 및 그 구속구를 팽창시키는 방법과 장치
JP2002509586A (ja) 改良された耐衝撃性ヘルメット構造
KR102142001B1 (ko) 에어백용 기계식 벤트수단
JP2002020907A (ja) 自動膨張式胴衣
KR101780435B1 (ko) 배기홀을 구비한 에어백
US20210352975A1 (en) Safety airbag for human body protection
EP3132982B1 (en) Perforator and gas discharge device
JP3730952B2 (ja) 緊急用エアバッグ付緩衝胴衣具
JP2000168473A (ja) 歩行者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KR100500287B1 (ko) 자동차용 에어백 구조
CN213272023U (zh) 充气装置
KR100489986B1 (ko) 충격완화장치를 갖춘 자동차용 안전시트
KR102620507B1 (ko) 에어백용 벤트수단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KR102401418B1 (ko) 구명의 겸용 에어백
KR20200061095A (ko) 레버를 이용한 보호장구 장착용 인플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보호장구
KR100221192B1 (ko) 시트 벨트용 프리텐셔너
KR20180023366A (ko) 충격 저감을 위한 능동형 상체 보호 장치 및 방법
KR200325911Y1 (ko) 에어범퍼의 에어백 스위치장치
KR100422536B1 (ko) 차량용 다단팽창 에어백
CN214028543U (zh) 用于车辆的行人安全气囊装置
US11401993B1 (en) Shock mitigation utilizing quiescent cavitation
KR20240071094A (ko) 착용형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