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507B1 - 에어백용 벤트수단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 Google Patents

에어백용 벤트수단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507B1
KR102620507B1 KR1020200108467A KR20200108467A KR102620507B1 KR 102620507 B1 KR102620507 B1 KR 102620507B1 KR 1020200108467 A KR1020200108467 A KR 1020200108467A KR 20200108467 A KR20200108467 A KR 20200108467A KR 102620507 B1 KR102620507 B1 KR 102620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opening
closing
exhaust port
ven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7516A (ko
Inventor
배경란
Original Assignee
세이프웨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프웨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이프웨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8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507B1/ko
Publication of KR20220027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41D13/018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inflatable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7/00Safety equipment
    • B62J27/20Airbags specially adapted for motorcyc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3Bicycles; Tr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용 벤트수단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20)은 에어백(10)에 고정되고, 에어백(10)의 내외부를 소통시키는 배기구(130)가 형성된 고정부(100), 고정부(100)에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배기구(130)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개폐부(200), 및 개폐부(200)가 배기구(130)를 폐쇄하도록 개폐부(2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백용 벤트수단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Vent Means for Airbag and Airbag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에어백용 벤트수단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은 사고 발생시 인명을 보호해 주는 중요한 안전장비이다. 이러한 에어백은 자동차 분야에서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인체에 착용될 수 있는 웨어러블 에어백(wearable airbag) 형태로도 개발되고 있다. 웨어러블 에어백은 산업 현장에서 낙상시 작업자를 보호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모터사이클, 자전거, 스키 등 레포츠 분야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은 지면이나 구조물 등과 충돌시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해서 신체의 다른 부*에 2차 상해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지면이나 구조물 등과 충돌시 발생하는 반발력을 저감시키는 벤트홀이 도입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벤트홀은 단순히 개방되어 에어백으로부터 유체가 계속 배출되므로 에어백의 내부 압력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특히, 벤트홀를 통해서 유체가 과도하게 배출되면, 에어백의 내부 압력이 너무 떨어져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KR 10-1969385 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배기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와 개폐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구비함으로써, 에어백의 내부 압력에 따라 배기구를 개폐하여 에어백의 팽창시와 충돌시 에어백의 내부 압력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는 에어백용 벤트수단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은 에어백에 고정되고, 상기 에어백의 내외부를 소통시키는 배기구가 형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기구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가 상기 배기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개폐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에 작용하는 상기 에어백의 내부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보다 크면, 상기 개폐부가 상기 배기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기구가 개방되고, 상기 개폐부에 작용하는 상기 에어백의 내부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탄성부의 탄성보다 작으면, 상기 개폐부가 상기 배기구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기구가 폐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은 조절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관형으로 형성되고, 내면에 제1 나사선이 형성되는 제1 고정체, 및 관형으로 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제1 나사선과 나사결합되는 제2 나사선이 형성된 제2 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체와 상기 제2 고정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에어백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관형으로 형성되되,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에 상기 배기구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에는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의 일면이 상기 에어백의 내부와 마주볼 때, 상기 개폐부는, 상기 차단부의 타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배기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체결홀을 통과하고, 상기 탄성부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일단은 상기 차단부의 일면에 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말단에 지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말단에 구비된 조절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의 일단은 상기 차단부의 일면에 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의 타단은 상기 조절부재에 지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차단부의 일면과의 간격이 조절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말단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에 나사결합되고, 말단이 상기 가이드부재를 가압하는 정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가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해서 나사결합에 의해서 이동하는 방향과 상기 정지부재가 상기 조절부재에 대해서 나사결합에 의해서 이동하는 방향은 평행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압축 스프링이고, 상기 압축 스프링의 내부에 상기 가이드부재가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의 타면과 마주보는 상기 개폐부재의 일면에는 탄성재질로 형성된 밀봉부재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고정부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소정거리는 상기 개폐부재의 두께보다 크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은 상술한 에어백용 벤트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와 개폐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구비함으로써, 에어백의 내부 압력에 따라 배기구를 개폐하여 에어백의 팽창시와 충돌시 에어백의 내부 압력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백용 벤트수단은 종래의 벤트홀과 달리 최종적으로 개폐부재로 배기구를 폐쇄하므로, 충분한의 충격 흡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의 단면도, 및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20)은 에어백(10)에 고정되고, 에어백(10)의 내외부를 소통시키는 배기구(130)가 형성된 고정부(100), 고정부(100)에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배기구(130)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개폐부(200), 및 개폐부(200)가 배기구(130)를 폐쇄하도록 개폐부(2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00)는 에어백(10)의 내외부를 소통시키고 개폐부(200)와 탄성부(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고정부(100)는 전체적으로 관형으로 형성되어, 에어백(10)의 관통홀(15)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00)는 제1 고정체(110)와 제2 고정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체(110)는 관형으로 형성되고, 내면에 제1 나사선(115)이 형성된 제1 본체부(111), 및 제1 본체부(111)의 일단(에어백(10)의 내부와 가까운 말단)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장부(113)의 일면(상면)에는 에어백(10)의 관통홀(15)에 인접한 영역이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체(120)는 관형으로 형성되고, 외면에 제2 나사선(125)이 형성된 제2 본체부(121), 및 제2 본체부(121)의 일단(에어백(10)의 내부와 먼 말단)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본체부(121)의 제2 나사선(125)은 제1 본체부(111)의 제1 나사선(115)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고정체(120)는 제1 고정체(110)의 내측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2 연장부(123)가 제1 본체부(111)의 타단(에어백(10)의 내부와 먼 말단)에 걸리면서, 제1 본체부(111)의 제1 나사선(115)과 제2 본체부(121)의 제2 나사선(125)이 견고하게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제1 고정체(110)에 에어백(10)이 결합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고정체(120)에 에어백(10)이 결합되거나, 제1 고정체(110)와 제2 고정체(120) 사이에 에어백(10)이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고정부(100)의 제2 고정체(120)는 관형으로 형성되되,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는 차단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부(127)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고정부(100, 제2 고정체(120))에서 유체가 소통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차단부(127)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배기구(130)가 형성되고, 이러한 배기구(130)를 통해서 에어백(10)의 내외부가 소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차단부(127)에는 중심에 일면(하면)과 타면(상면)을 관통하는 체결홀(129)이 형성되고, 이러한 체결홀(129)에는 개폐부(200)의 가이드부재(220)가 통과되는데, 이에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을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개폐부(200)는 고정부(100)에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배기구(130)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개폐부(200)는 개폐부재(210)와 가이드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단부(127)의 일면(하면)이 에어백(10)의 내부와 마주볼 때, 개폐부재(210)는 차단부(127)의 타면(상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배기구(130)를 개폐한다. 또한, 가이드부재(220)는 개폐부재(210)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되어, 차단부(127)의 체결홀(129)을 통과한다. 즉, 가이드부재(220)는 차단부(127)의 체결홀(129)을 통해서 에어백(10)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가이드부재(220)는 탄성부(300)로부터 에어백(10)의 내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따라서, 가이드부재(220)에 제공된 탄성력에 의해서 개폐부재(210)는 배기구(130)와 접촉되어 배기구(130)를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개폐부재(210)는 제1 삽입홀(215)이 형성된 환형의 판형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부재(220)는 헤드가 제1 삽입홀(215)에 걸리는 볼트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127)는 고정부(100, 제2 고정체(120))의 말단(상단, 에어백(10)의 내부와 먼 말단)으로부터 고정부(100, 제2 고정체(120))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거리(A)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정거리(A)는 개폐부재(210)의 두께(B)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개폐부재(210)는 고정부(100, 제2 고정체(120))의 내측에 배치되므로, 외부의 물체에 의해서 개폐부재(210)의 작동이 방해받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차단부(127)의 타단(상면)과 마주보는 개폐부재(210)의 일면(하면)에는 탄성재질의 밀봉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밀봉부재(230)에 의해서 개폐부재(210)가 배기구(130)를 폐쇄할 때 완전한 밀봉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부재(230)는 고무판일 수 있고, 중심에 제2 삽입홀(235)이 형성되어 제2 삽입홀(235)에 가이드부재(22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300)는 개폐부(200)가 배기구(130)를 폐쇄하도록 개폐부(2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탄성부(300)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고, 압축 스프링의 내부에 가이드부재(22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300)의 일단(상단)이 차단부(127)의 일면(하면)에 지지되고, 탄성부(300)의 타단(하단)이 가이드부재(220)의 말단에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탄성부(300)가 개폐부(200)에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에어백(10)의 내부 압력에 따라 개폐부재(210)는 배기구(130)를 개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기구(130)를 통해서 개폐부재(210)에 작용하는 에어백(10)의 내부 압력에 의한 힘이 탄성부(300)의 탄성력보다 크면, 탄성부(300)가 수축되면서 개폐부재(210)는 배기구(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기구(130)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배기구(130)를 통해서 개폐부재(210)에 작용하는 에어백(10)의 내부 압력에 의한 힘이 탄성부(300)의 탄성력보다 작으면, 탄성부(300)가 팽창하면서 개폐부재(210)는 배기구(130)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기구(130)가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10)의 내부 압력에 따라 개폐부재(210)가 배기구(130)를 개폐함으로써, 에어백(10)의 내부 압력은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백(10)이 인플레이터 등으로부터 유체를 소정치 이상 공급받으면(또는 에어백(10)이 지면이나 구조물에 충돌하면), 에어백(10)의 내부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이때, 개폐부재(210)에 작용하는 에어백(10)의 내부 압력에 의한 힘이 탄성부(300)의 탄성력보다 커지면서, 개폐부재(210)는 배기구(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기구(130)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개방된 배기구(130)로부터 유체가 소정치 이상 배출되면, 에어백(10)의 내부 압력이 감소할 수 있다. 이때, 개폐부재(210)에 작용하는 에어백(10)의 내부 압력에 의한 힘이 탄성부(300)의 탄성력보다 작아지면서 개폐부재(210)는 배기구(130)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기구(130)가 폐쇄될 수 있다. 즉, 에어백(10)의 내부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면, 에어백용 벤트수단(20)은 에어백(10)으로부터 유체를 배출시키고, 에어백(10)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 에어백용 벤트수단(20)은 에어백(10)으로부터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국, 에어백용 벤트수단(20)이 에어백(10)에 구비됨으로써, 에어백(10)의 팽창시와 충돌시에 에어백(10)의 내부 압력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지면이나 구조물에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반발력을 감소시켜 인체에 2차 상해가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백용 벤트수단(20)은 종래의 벤트홀과 달리 최종적으로 개폐부재(210)로 배기구(130)를 폐쇄하므로, 충분한 충격 흡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300)가 개폐부(200)에 제공하는 탄성력은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재(220)의 말단에는 조절부재(400)가 구비되고, 이때 탄성부(300)의 일단(상단)이 차단부(127)의 일면(하면)에 지지되고, 탄성부(300)의 타단(하단)이 조절부재(400)에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절부재(400)는 차단부(127)의 일면(하면)과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부재(400)는 가이드부재(220)의 말단에 나사결합되어, 가이드부재(220)와의 나사결합 정도에 따라 차단부(127)의 일면(하면)과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탄성부(30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부재(400)와 가이드부재(220) 사이의 나사결합 정도에 따라 조절부재(400)와 차단부(127)의 일면(하면)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면(도 4 참조), 탄성부(300)는 팽창되어 상대적으로 약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역으로, 조절부재(400)와 가이드부재(220) 사이의 나사결합 정도에 따라 조절부재(400)와 차단부(127)의 일면(하면)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아지면(도 5 참조), 탄성부(300)는 수축되어 상대적으로 강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탄성부(300)의 탄성력을 조절하면, 개폐부(200)가 배기구(130)를 개폐시키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조절부재(400)는 관형으로 형성되어 내면이 가이드부재(220)의 말단과 나사결합되는 제3 본체부(410), 및 제3 본체부(410)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제3 연장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연장부(420)의 일면(상면)에는 탄성부(300)의 타단(하단)이 지지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재(400)와 가이드부재(220) 사이의 나사결합 정도를 고정하기 위해서, 정지부재(50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정지부재(500)는 조절부재(400)에 나사결합되고, 말단(상단)이 가이드부재(220)를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조절부재(400)가 가이드부재(220)에 대해서 나사결합에 의해서 이동하는 방향(X)과 정지부재(500)가 조절부재(400)에 대해서 나사결합에 의해서 이동하는 방향(Y)은 평행할 수 있다(즉, 양자 모두 도면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조절부재(400)를 회전시켜 가이드부재(220)의 말단에 적절한 정도로 나사결합시킨 후(도 6 참조), 정지부재(500)를 회전시켜 가이드부재(220)를 가압하면(도 7 참조), 조절부재(400)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조절부재(400)와 가이드부재(220) 사이의 나사결합 정도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조절부재(400)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무두볼트일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20)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20)은 에어백(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백용 벤트수단(20)은 에어백(10)이 접히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에어백(10)의 하단이나 상단에 구비될수 있다.
한편, 착용자가 낙상하기 전 에어백(10)은 접혀서 하네스나 작업복 등에 수용된 상태이다. 이때, 에어백(10)에는 유체가 공급되기 전이므로, 에어백(10)의 내부 압력은 소정값 이하이다. 따라서, 에어백용 벤트수단(20)의 개폐부재(210)는 배기구(130)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낙상하면, 감지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킴으로써, 에어백(10)에 유체를 공급한다. 따라서, 에어백(10)은 팽창될 수 있고,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서 에어백(10)의 내부 압력은 증가하다가 소정값 이상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백(1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 되면, 에어백용 벤트수단(20)의 탄성부(300)가 수축되면서 개폐부재(210)가 배기구(130)로부터 이격되어 배기구(130)가 개방된다. 따라서, 에어백(10) 내부의 유체는 배기구(13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어, 에어백(10)의 내부 압력은 감소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서만 에어백(1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서는 에어백(1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하로 유지되다가, 에어백(10)이 지면이나 구조물에 충돌하면 충격에 의해서 에어백(1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백(1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 되면, 에어백용 벤트수단(20)의 탄성부(300)가 수축되면서 개폐부재(210)가 배기구(130)로부터 이격되어 배기구(130)가 개방된다. 따라서, 에어백(10) 내부의 유체는 배기구(13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어, 에어백(10)의 내부 압력은 감소할 수 있다.
결국, 에어백(10)이 지면이나 구조물에 충돌하기 전이나, 지면이나 구조물에 충돌하는 순간, 개폐부재(210)가 배기구(130)로부터 이격되어 배기구(130)가 개방됨으로써, 유체는 배기구(13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어, 에어백(10)의 내부 압력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지면이나 구조물에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반발력을 감소시켜 인체에 2차 상해가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1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하로 낮아지면, 에어백용 벤트수단(20)은 탄성부(300)가 팽창되면서 개폐부재(210)가 배기구(130)에 접촉되어 배기구(130)가 폐쇄된다. 따라서, 에어백(10) 내부의 유체는 더이상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에어백(10)은 일정한 내부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결국, 에어백용 벤트수단(20)은 최종적으로 개폐부재(210)로 배기구(130)를 폐쇄하므로, 충분한 충격 흡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에어백용 벤트수단(20) 자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에어백용 벤트수단(20)을 포함하는 에어백(10)까지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에어백 15: 관통홀
20: 에어백용 벤트수단 100: 고정부
110: 제1 고정체 111: 제1 본체부
113: 제1 연장부 115: 제1 나사선
120: 제2 고정체 121: 제2 본체부
123: 제2 연장부 125: 제2 나사선
127: 차단부 129: 체결홀
130: 배기구 200: 개폐부
210: 개폐부재 215: 제1 삽입홀
220: 가이드부재 230: 밀봉부재
235: 제2 삽입홀 300: 탄성부
400: 조절부재 410: 제3 본체부
420: 제3 연장부 500: 정지부재

Claims (16)

  1. 에어백에 고정되고, 상기 에어백의 내외부를 소통시키는 배기구가 형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기구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가 상기 배기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개폐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관형으로 형성되고, 내면에 제1 나사선이 형성되는 제1 고정체; 및
    관형으로 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제1 나사선과 나사결합되는 제2 나사선이 형성된 제2 고정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체와 상기 제2 고정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에어백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는 관형으로 형성되되,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에 상기 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에는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의 일면이 상기 에어백의 내부와 마주볼 때,
    상기 개폐부는,
    상기 차단부의 타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배기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개폐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체결홀을 통과하고, 상기 탄성부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는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는 에어백용 벤트수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에 작용하는 상기 에어백의 내부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보다 크면, 상기 개폐부가 상기 배기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기구가 개방되고,
    상기 개폐부에 작용하는 상기 에어백의 내부 압력에 의한 힘이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보다 작으면, 상기 개폐부가 상기 배기구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기구가 폐쇄되는 에어백용 벤트수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은 조절가능한 에어백용 벤트수단.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일단은 상기 차단부의 일면에 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말단에 지지되는 에어백용 벤트수단.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말단에 구비된 조절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의 일단은 상기 차단부의 일면에 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의 타단은 상기 조절부재에 지지되는 에어백용 벤트수단.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차단부의 일면과의 간격이 조절되는 에어백용 벤트수단.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말단에 나사결합되는 에어백용 벤트수단.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에 나사결합되고, 말단이 상기 가이드부재를 가압하는 정지부재;
    를 더 포함하는 에어백용 벤트수단.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가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해서 나사결합에 의해서 이동하는 방향과 상기 정지부재가 상기 조절부재에 대해서 나사결합에 의해서 이동하는 방향은 평행한 에어백용 벤트수단.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압축 스프링이고,
    상기 압축 스프링의 내부에 상기 가이드부재가 삽입되는 에어백용 벤트수단.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의 타면과 마주보는 상기 개폐부재의 일면에는 탄성재질로 형성된 밀봉부재가 구비되는 에어백용 벤트수단.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고정부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소정거리는 상기 개폐부재의 두께보다 큰 에어백용 벤트수단.
  16. 청구항 1에 따른 에어백용 벤트수단을 포함하는 에어백.
KR1020200108467A 2020-08-27 2020-08-27 에어백용 벤트수단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KR102620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467A KR102620507B1 (ko) 2020-08-27 2020-08-27 에어백용 벤트수단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467A KR102620507B1 (ko) 2020-08-27 2020-08-27 에어백용 벤트수단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516A KR20220027516A (ko) 2022-03-08
KR102620507B1 true KR102620507B1 (ko) 2024-01-04

Family

ID=80812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467A KR102620507B1 (ko) 2020-08-27 2020-08-27 에어백용 벤트수단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50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972B1 (ko) * 2012-02-08 2013-12-04 (주)씨에스이 진공팩용 체크밸브
KR101834878B1 (ko) * 2016-07-05 2018-03-08 비앤알(주) 에어백용 인플레이터
KR101969385B1 (ko) 2018-10-24 2019-04-17 (주)영신디엔씨 하네스형 안전대의 배낭형 에어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516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5003B2 (en) Side protection device
US9573556B2 (en) Airbag system for vehicle
EP0800961B1 (en) Side impact air bag system
US7874583B2 (en) Airbag arrangement
US8296863B2 (en) Method for a protective helmet with movable outer shell relative to inner shell
US8590064B1 (en) Helmet suspension system
JP2007518622A5 (ko)
US7850203B2 (en) External and internal airbag tether arrangement
KR102620507B1 (ko) 에어백용 벤트수단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KR101780435B1 (ko) 배기홀을 구비한 에어백
JP2010132219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US11648909B2 (en) Side airbag
US11858455B2 (en) Airbag device
KR102401418B1 (ko) 구명의 겸용 에어백
US9878685B2 (en) Airbag apparatus
US20170349134A1 (en) Airbag apparatus for reducing injury
KR101305870B1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0711578B1 (ko) 차량용 에어백 모듈
KR100599573B1 (ko) 운전석 에어백모듈용 인플레이터조립체의 구조
KR102257013B1 (ko) 낙상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완충 튜브
RU17491U1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KR20190074716A (ko) 인플레이터용 소음기
KR100422536B1 (ko) 차량용 다단팽창 에어백
KR20050101978A (ko) 자동차 무릎 보호 장치
KR100398097B1 (ko) 시트 벨트의 프리텐션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