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418B1 - 구명의 겸용 에어백 - Google Patents

구명의 겸용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418B1
KR102401418B1 KR1020200111204A KR20200111204A KR102401418B1 KR 102401418 B1 KR102401418 B1 KR 102401418B1 KR 1020200111204 A KR1020200111204 A KR 1020200111204A KR 20200111204 A KR20200111204 A KR 20200111204A KR 102401418 B1 KR102401418 B1 KR 102401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internal pressure
predetermined value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6700A (ko
Inventor
배경란
Original Assignee
세이프웨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프웨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이프웨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66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63C9/12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having gas-filled compartments
    • B63C9/125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having gas-filled compartments 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8Inflatable equipment characterised by the gas-generating or inflation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4Arrangements of inflating valves or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29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명의 겸용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명의 겸용 에어백은 인체의 목을 둘러싸고 인체의 가슴 방향에 배치되는 제1 에어백(100), 인체의 등 방향에 배치되는 제2 에어백(200), 제1 에어백(10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제1 에어백(100)을 개방시켜 제1 에어백(100)으로부터 유체를 배출시키고, 제1 에어백(10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하이면, 제1 에어백(100)을 폐쇄시키는 제1 벤트수단(300), 및 제2 에어백(20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제2 에어백(200)을 개방시켜 제2 에어백(200)으로부터 유체를 배출시키는 제2 벤트수단(4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구명의 겸용 에어백{Airbag having an additional function as a lifesaving}
본 발명은 구명의 겸용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은 사고 발생시 인명을 보호해 주는 중요한 안전장비이다. 이러한 에어백은 자동차 분야에서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인체에 착용될 수 있는 웨어러블 에어백(wearable airbag) 형태로도 개발되고 있다.
웨어러블 에어백은 산업 현장에서 낙상시 작업자를 보호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모터사이클, 자전거, 스키 등 레포츠 분야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한편, 해양 플랜트 등 수상 작업 현장에서도 낙상시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위해서 웨어러블 에어백이 사용될 수 있다. 수상 작업 현장에서는 작업자가 낙상시 구조물에 충돌하는 경우도 있지만, 바로 바다에 추락하거나 구조물에 1차 충돌후 바다에 추락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웨어러블 에어백은 팽창시 부력을 갖으므로, 작업자가 바다 등 수중으로 추락하는 경우 어느 정도 구명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웨어러블 에어백은 통상 충격으로부터 인체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 인체의 전방과 후방에서 에어백이 팽창되므로, 작업자가 수중으로 추락하면, 인체의 전방과 후방에서 부력이 작용하여 작업자가 수중에서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특히, 작업자가 1차 충돌로 의식을 잃은 상태에서 수중에 추락하면, 인체의 전방과 후방에 작용하는 부력에 의해서 호흡 기관이 수중에 위치되면서 작업자가 익사할 수도 있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존재한다.
KR 10-1969385 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인체의 전방에 배치된 에어백(제1 에어백)만 부력이 유지되고, 인체의 후방에 배치된 에어백(제2 에어백)은 부력이 제거됨으로써, 착용자가 수중에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구명의 겸용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의 겸용 에어백은 인체의 목을 둘러싸고 인체의 가슴 방향에 배치되는 제1 에어백, 인체의 등 방향에 배치되는 제2 에어백, 상기 제1 에어백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에어백을 개방시켜 상기 제1 에어백으로부터 유체를 배출시키고, 상기 제1 에어백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하이면, 상기 제1 에어백을 폐쇄시키는 제1 벤트수단, 및 상기 제2 에어백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상기 제2 에어백을 개방시켜 상기 제2 에어백으로부터 유체를 배출시키는 제2 벤트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의 겸용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제2 벤트수단은 상기 제2 에어백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상기 제2 에어백을 개방시키고, 이후 상기 제2 에어백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하로 전환되어도, 상기 제2 에어백을 개방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의 겸용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제2 벤트수단은, 상기 제2 에어백을 관통하는 제2 관통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관통홀을 폐쇄하고, 상기 제2 에어백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팽창되는 폐쇄수단, 및 상기 폐쇄수단과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상기 폐쇄수단이 팽창되면, 상기 폐쇄수단에 접촉되어 상기 폐쇄수단을 관통하는 개방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의 겸용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폐쇄수단은 판형의 탄성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수단은 니들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의 겸용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제2 벤트수단은, 상기 제2 에어백을 관통하는 제2 관통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관통홀을 폐쇄하되, 상기 제2 에어백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절곡되어 상기 제2 관통홀을 개방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의 겸용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포함하는 판형의 탄성체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의 겸용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제2 벤트수단은, 상기 개폐수단에 접착되어 상기 개폐수단을 폐쇄하되, 상기 제2 에어백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찢어지는 필름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의 겸용 에어백에 있어서, 착용자가 수중에 추락한 때, 상기 제1 에어백은 부력이 유지되고, 상기 제2 에어백은 부력이 제거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의 전방에 배치된 에어백(제1 에어백)만 부력이 유지되고, 인체의 후방에 배치된 에어백(제2 에어백)은 부력이 제거됨으로써, 착용자가 수중에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착용자가 1차 충돌로 의식을 잃은 상태에서 수중에 추락하더라도, 인체의 전방에 배치된 에어백(제1 에어백)만 부력이 유지되므로, 호흡 기관이 수면 위에 위치됨으로써, 착용자가 익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의 겸용 에어백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의 겸용 에어백의 제1 벤트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의 겸용 에어백의 제1 벤트수단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의 겸용 에어백의 제2 벤트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의 겸용 에어백의 제2 벤트수단의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의 겸용 에어백의 제2 벤트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와 단면도, 및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의 겸용 에어백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와 제1,2 벤트수단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의 겸용 에어백의 사시도이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구명의 겸용 에어백은 착용자가 낙상시 제1,2 에어백(100, 200)이 유체에 의해서 팽창되어 충격으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른 구명의 겸용 에어백은 착용자가 바다 등 수중으로 추락시 인체에 부력을 제공하는 구명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구명의 겸용 에어백은 인체의 목을 둘러싸고 인체의 가슴 방향에 배치되는 제1 에어백(100), 인체의 등 방향에 배치되는 제2 에어백(200), 제1 에어백(10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제1 에어백(100)을 개방시켜 제1 에어백(100)으로부터 유체를 배출시키고, 제1 에어백(10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하이면, 제1 에어백(100)을 폐쇄시키는 제1 벤트수단(300), 및 제2 에어백(20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제2 에어백(200)을 개방시켜 제2 에어백(200)으로부터 유체를 배출시키는 제2 벤트수단(40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에어백(100)은 인체의 전방에 배치되어 충격을 흡수하고 수중에서 부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 에어백(100)은 팽창시 인체의 목을 둘러싸고 인체의 가슴 방향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 에어백(100)은 전체적으로 역 U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네스(harness)나 작업복 등에 수용되었다가 팽창될 수 있다. 이때, 제1 에어백(100)은 인플레이터 등으로부터 유체가 공급되어 팽창될 수 있다. 여기서, 인플레이터는 감지 센서가 착용자의 낙상을 감지할 때 유체를 제1 에어백(10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 에어백(100)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봉제과정 없이 제직상태에서 한번에 만든 OPW 에어백(one piece woven airbag)일 수 있다. 한편, 제1 에어백(100)에는 제1 에어백(100)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제1 벤트수단(30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제1 벤트수단(300)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제2 에어백(200)은 인체의 후방에 배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2 에어백(200)은 팽창시 인체의 등 방향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2 에어백(200)은 전체적으로 역 U자 형 또는 U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에어백(100)과 동일하게 하네스(harness)나 작업복 등에 수용되었다가 팽창될 수 있다. 또한, 제2 에어백(200)은 예를 들어 OPW 에어백(one piece woven airbag)일 수 있고, 인플레이터 등으로부터 유체가 공급되어 팽창될 수 있다. 한편, 제2 에어백(200)에는 제2 에어백(200)의 내부 압력에 따라 제2 에어백(200)으로부터 유체를 배출시키는 제2 벤트수단(40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제2 벤트수단(400)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제1 벤트수단(300)은 제1 에어백(100)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 벤트수단(300)은 제1 에어백(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벤트수단(300)은 제1 에어백(100)의 하측 말단에 배치되어, 보관시 제1 에어백(100)이 접히는데 방해가 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1 벤트수단(300)은 제1 에어백(10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제1 에어백(100)을 개방시켜 유체를 배출시키고, 제1 에어백(10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하이면, 제1 에어백(100)을 폐쇄시킨다. 즉, 제1 벤트수단(300)은 제1 에어백(100)의 내부 압력에 따라 제1 에어백(100)을 개방시키거나 페쇄시켜, 제1 에어백(100)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에어백(100)이 인플레이터 등으로부터 유체를 소정치 이상 공급받으면(또는 제1 에어백(100)이 구조물 등에 충돌하면), 제1 에어백(10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제1 벤트수단(300)은 제1 에어백(100)으로부터 유체를 배출시켜 제1 에어백(100)의 내부 압력을 낮춤으로써, 구조물 등에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반발력을 감소시켜 인체에 2차 상해가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벤트수단(300)이 제1 에어백(100)을 개방시켜 유체를 배출시키면, 제1 에어백(100)의 내부 압력은 소정값 이하로 감소할 수 있다. 이때, 제1 벤트수단(300)은 제1 에어백(100)을 폐쇄시켜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착용자가 바다 등 수중에 추락하더라도, 제1 벤트수단(300)에 의해서 폐쇄된 제1 에어백(100)은 부력이 유지됨으로써, 구명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벤트수단(300)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310), 개폐부(320), 및 탄성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부(31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1 에어백(100)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110)에 배치된다. 이때, 제1 고정부(310)는 관형의 제1 고정체(311)와 제1 고정체(311)의 내측에 나사결합된 관형의 제2 고정체(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체(311)는 제1 에어백(100)의 제1 관통홀(110) 주변에 고정되고, 제2 고정체(313)는 제1 에어백(100)의 제1 관통홀(110)을 폐쇄시키는 차단부(314)를 포함하되, 차단부(314)에는 제1 에어백(100)의 내외를 유체 소통시키는 제1 배기구(315)와 개폐부재(323)가 삽입되는 체결홀(31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320)는 제1 고정부(310)에 대해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제1 배기구(315)를 폐쇄하거나 개방한다. 구체적으로, 개폐부(320)는 체결홀(317)에 삽입된 볼트형의 가이드부재(321)와 가이드부재(321)의 말단에 구비되어 차단부(314)의 외측에서 제1 배기구(315)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판형의 개폐부재(32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재(321)가 체결홀(317)에 삽입되어 고정부(31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개폐부재(323)는 가이드부재(321)와 함께 이동하면서 제1 배기구(315)를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배기구(315)와 마주보는 개폐부재(323)의 일면에는 탄성재질의 밀봉부재(340)가 구비되어, 개폐부재(323)가 제1 배기구(315)를 폐쇄할 때 완전한 밀봉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탄성부(330)는 개폐부(320, 개폐부재(323))에 제1 배기구(315)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330)는 예를 들어 압축 스프링일 수 있고, 압축 스프링의 내부에 가이드부재(321)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330)의 양단이 차단부(314)와 가이드부재(321)의 말단에 구비된 조절부재(350)에 걸려서 개폐부(32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조절부재(350)는 가이드부재(321)의 말단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가이드부재(321)와의 나사결합 정도에 따라 탄성부(33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조절부재(350)에 의해서 개폐부(320)가 제1 배기구(315)를 개폐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벤트수단(300)의 작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1 에어백(10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제1 배기구(315)를 통해서 개폐부(320, 개폐부재(323))에는 탄성부(330)의 탄성력 이상의 힘이 전달된다. 따라서, 탄성부(330)가 수축되면서 개폐부(320, 개폐부재(323))는 제1 배기구(31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배기구(315)가 개방될 수 있다(즉, 제1 에어백(100)의 제1 관통홀(110)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에어백(10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하이면, 제1 배기구(315)를 통해서 개폐부(320, 개폐부재(323))에는 탄성부(330)의 탄성력보다 작은 힘이 전달된다. 따라서, 탄성부(330)가 수축되면서 개폐부(320, 개폐부재(323))는 제1 배기구(315)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배기구(315)가 폐쇄될 수 있다(즉, 제1 에어백(100)의 제1 관통홀(110)이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제2 벤트수단(400, 도 1 참조)은 제2 에어백(200)의 내부 압력에 따라 제2 에어백(200)으로부터 유체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2 벤트수단(400)은 제2 에어백(2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벤트수단(400)은 제2 에어백(200)의 상측에 배치되어, 보관시 제2 에어백(200)이 접히는데 방해가 되지 않고, 착용자가 바다 등 수중에 추락했을 때 수면 위에 위치되어 유체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벤트수단(400)은 제2 에어백(20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제2 에어백(200)을 개방시켜 제2 에어백(200)으로부터 기체를 배출시킨다. 즉, 제2 벤트수단(400)은 제2 에어백(200)의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이면, 제2 에어백(200)을 개방시켜 유체를 배출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2 에어백(200)이 인플레이터 등으로부터 유체를 소정치 이상 공급받으면(또는 제2 에어백(200)이 구조물 등에 충돌하면), 제2 에어백(20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제2 벤트수단(400)은 제2 에어백(200)으로부터 유체를 배출시켜 제2 에어백(200)의 내부 압력을 낮춤으로써, 구조물 등에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반발력을 감소시켜 인체에 2차 상해가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유체가 배출되어, 제2 에어백(20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후로 전환되어도, 제2 벤트수단(400)은 여전히 제2 에어백(200)을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에어백(200)으로부터 유체가 계속 배출되므로, 착용자가 바다 등 수중에 추락한 때 제2 에어백(200)의 부력은 제거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구명의 겸용 에어백은 착용자가 바다 등 수중에 추락한 때, 인체의 전방에 배치된 제1 에어백(100)은 제1 벤트수단(300)을 이용하여 부력이 유지되고, 인체의 후방에 배치된 제2 에어백(200)은 제2 벤트수단(400)을 이용하여 부력이 제거됨으로써, 착용자가 수중에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착용자가 1차 충돌로 의식을 잃은 상태에서 바다 등 수중에 추락하더라도, 인체의 전방에 배치된 제1 에어백(100)만 부력이 유지되므로, 호흡 기관이 수면 위에 위치됨으로써, 착용자가 익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벤트수단(400)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부(410), 폐쇄수단(420), 및 개방수단(4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고정부(41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2 에어백(200)을 관통하는 제2 관통홀(210)에 배치된다. 이때, 제2 고정부(410)는 관형의 제3 고정체(411), 제3 고정체(411)의 내측에 나사결합된 관형의 제4 고정체(413), 및 제4 고정체(413)의 내측에 나사결합되고 제2 배기구(417)가 형성된 관형의 제5 고정체(4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고정체(411)는 제2 에어백(200)의 제2 관통홀(210) 주변에 고정되고, 마주보는 제4 고정체(413)의 일면과 제5 고정체(415)의 일면 사이에는 폐쇄수단(420)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폐쇄수단(420)은 제2 에어백(200)을 관통하는 제2 관통홀(210)에 배치되어 제2 관통홀(210)을 폐쇄하고, 제2 에어백(200)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개방수단(430) 방향으로 팽창된다. 예를 들어, 폐쇄수단(420)은 고무판 등 탄성재질의 판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방수단(430)은 제5 고정체(415)에 구비되어, 첨예한 말단이 폐쇄수단(420)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폐쇄수단(420)이 개방수단(430) 방향으로 팽창되면, 폐쇄수단(420)에 의해서 폐쇄수단(420)이 관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방수단(430)은 말단이 첨예한 니들(needle)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2 벤트수단(400)의 작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2 에어백(20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폐쇄수단(420)에 자체 탄성력 이상의 힘이 전달된다. 따라서, 폐쇄수단(420)이 개방수단(430) 방향으로 팽창되면서, 폐쇄수단(420)은 개방수단(430)에 접촉되어 찢어지면서 개방될 수 있다(즉, 제2 에어백(200)의 제2 관통홀(210)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개방수단(430)에 의해서 폐쇄수단(420)이 찢어져 개방되므로, 제2 에어백(200)의 제2 관통홀(210)은 제2 에어백(200)의 내부 압력 변화와 무관하게 계속 개방을 유지한다.
한편, 제2 벤트수단(400)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벤트수단(400)은 개폐수단(44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개폐수단(440)은 제2 에어백(200)을 관통하는 제2 관통홀(210)에 배치되어, 제2 관통홀(210)을 폐쇄하되, 제2 에어백(200)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절곡되어 제2 관통홀(210)을 개방한다. 이때, 개폐수단(440)은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절개된 절개부(443)를 포함하는 판상의 탄성체(445)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벤트수단(400)은 필름부재(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필름부재(450)는 개폐수단(440)에 접착되어 개폐수단(440)을 폐쇄하되, 제2 에어백(20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찢어진다. 즉, 필름부재(450)를 개폐수단(440)에 추가로 접착시켜 밀봉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제2 에어백(20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하일 때 개폐수단(440)이 임의로 절곡되어 제2 관통홀(210)을 개방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명의 겸용 에어백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와 제1,2 벤트수단의 단면도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구명의 겸용 에어백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낙상하기 전에는 제1,2 에어백(100, 200)은 접혀서 하네스나 작업복 등에 수용된 상태이다. 이때, 제1,2 에어백(100, 200)에는 유체가 공급되기 전이므로,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하이다. 따라서, 제1,2 벤트수단(300, 400)은 제1,2 에어백(100, 200)을 각각 폐쇄시킨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제1 벤트수단(300)의 개폐부(320, 개폐부재(323))가 제1 배기구(315)에 접촉되어 제1 배기구(315)가 폐쇄된 상태이고, 제2 벤트수단(400)의 폐쇄수단(420)이 개방수단(430)에 의해서 찢어지기 전이다.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낙상하면, 감지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킴으로써, 제1,2 에어백(100, 200)에 유체를 공급한다. 따라서, 제1,2 에어백(100, 200)은 팽창될 수 있고, 이때 제1,2 에어백(100, 200)의 내부 압력은 증가하다가, 소정값 이상이 될 수 있다(또는 제1,2 에어백(100, 200)이 구조물 등에 충돌해서 제1,2 에어백(100, 20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될 수도 있다). 제1,2 에어백(100, 20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하일 때는 제1,2 벤트수단(300, 400)이 제1,2 에어백(100, 200)을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지만, 제1,2 에어백(100, 20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일 때 제1,2 벤트수단(300, 400)이 제1,2 에어백(100, 200)을 개방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에어백(10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 되면, 제1 벤트수단(300)는 탄성부(330)가 수축되면서 개폐부(320, 개폐부재(323))가 제1 배기구(315)로부터 이격되어 제1 배기구(315)가 개방된다. 따라서, 제1 에어백(100) 내부의 유체는 제1 배기구(315)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어, 제1 에어백(100)의 내부 압력은 감소할 수 있다.
제1 에어백(100)과 유사하게, 제2 에어백(200)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 되면, 제2 벤트수단(400)은 폐쇄수단(420)이 팽창하여, 개방수단(430)에 의해서 폐쇄수단(420)이 찢어지면서 개방된다. 따라서, 제2 에어백(100) 내부의 유체는 제2 배기구(417)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어, 제2 에어백(200)의 내부 압력은 감소할 수 있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바다 등 수중에 추락했을 때, 제1 에어백(100)의 내부 압력은 소정값 이하로 낮아진 상태이므로, 제1 벤트수단(300)은 탄성부(300)가 팽창되면서 개폐부(320, 개폐부재(323))가 제1 배기구(315)에 접촉되어 제1 배기구(315)가 폐쇄된다. 따라서, 제1 에어백(100) 내부의 유체는 더이상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제1 에어백(100)이 일정한 부력이 유지될 수 있다.
반면, 제2 에어백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하로 낮아지더라도, 제2 벤트수단(400)은 제2 배기구(417)를 계속 개방시킨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2 에어백(100) 내부의 유체는 제2 배기구(417)를 통해서 계속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에어백(200)으로부터 외부로 유체가 배출되면, 제2 에어백(200)의 부력은 점차 감소할 수 있다.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에어백(200)은 제2 벤트수단(400)에 의해서 계속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2 에어백(200) 내부의 유체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에어백(200)의 부력이 제거될 수 있다. 결국, 착용자가 바다 등 수중에 추락한 때, 인체의 전방에 배치된 제1 에어백(100)은 제1 벤트수단(300)을 이용하여 부력이 유지되고, 제2 에어백(200)은 제2 벤트수단(400)을 이용하여 부력이 제거됨으로써, 착용자는 수중에서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착용자가 1차 충돌로 의식을 잃은 상태에서 바다 등 수중에 추락하는 경우, 에어백의 과도한 부력으로 수중에서 자세가 흩틀어지면서 호흡 기관이 수중에 위치되어 익사할 우려가 있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구명의 겸용 에어백은 착용자가 1차 충돌로 의식을 잃은 상태에서 바다 등 수중에 추락하더라도, 인체의 전방에 배치된 제1 에어백(100)만 부력이 유지되고, 인체의 후방에 배치된 제2 에어백(200)은 부력이 제거되므로, 호흡 기관이 수면 위에 위치됨으로써(도 10의 사시도 참조), 착용자가 익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제1 에어백 110: 제1 관통홀
200: 제2 에어백 210: 제2 관통홀
300: 제1 벤트수단 310: 제1 고정부
311: 제1 고정체 313: 제2 고정체
314: 차단부 315: 제1 배기구
317: 체결홀 320: 개폐부
321: 가이드부재 323: 개폐부재
330: 탄성부 340: 밀봉부재
350: 조절부재 400: 제2 벤트수단
410: 제2 고정부 411: 제3 고정체
413: 제4 고정체 415: 제5 고정체
417: 제2 배기구 420: 폐쇄수단
430: 개방수단 440: 개폐수단
443: 절개부 445: 탄성체
440: 필름부재

Claims (8)

  1. 인체의 목을 둘러싸고 인체의 가슴 방향에 배치되는 제1 에어백;
    인체의 등 방향에 배치되는 제2 에어백;
    상기 제1 에어백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상기 제1 에어백을 개방시켜 상기 제1 에어백으로부터 유체를 배출시키고, 상기 제1 에어백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하이면, 상기 제1 에어백을 폐쇄시키는 제1 벤트수단; 및
    상기 제2 에어백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상기 제2 에어백을 개방시켜 상기 제2 에어백으로부터 유체를 배출시키는 제2 벤트수단;
    을 포함하고,
    착용자의 낙상을 감지 센서가 감지하여 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에어백과 상기 제2 에어백에 유체를 공급하고,
    상기 제1 에어백이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유체를 소정치 이상 공급받거나 또는 상기 제1 에어백이 구조물에 충돌하면, 상기 제1 에어백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으로 증가하며,
    상기 제1 벤트수단이 상기 제1 에어백을 개방시켜 유체를 배출시키면, 상기 제1 에어백의 내부 압력은 소정값 이하로 감소되어, 상기 제1 벤트수단이 상기 제1 에어백을 폐쇄시킴으로써, 착용자가 수중에 추락한 때, 상기 제1 벤트수단에 의해서 폐쇄된 상기 제1 에어백은 부력이 유지되고,
    상기 제2 에어백이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유체를 소정치 이상 공급받거나 또는 상기 제2 에어백이 구조물에 충돌하면, 상기 제2 에어백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으로 증가하고,
    상기 제2 벤트수단은 상기 제2 에어백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상기 제2 에어백을 개방시키고, 이후 상기 제2 에어백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하로 전환되어도, 상기 제2 에어백을 개방시킴으로써, 착용자가 수중에 추락한 때, 상기 제2 벤트수단에 의해서 개방된 상기 제2 에어백은 부력이 제거되는 구명의 겸용 에어백.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벤트수단은,
    상기 제2 에어백을 관통하는 제2 관통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관통홀을 폐쇄하고, 상기 제2 에어백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팽창되는 폐쇄수단; 및
    상기 폐쇄수단과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상기 폐쇄수단이 팽창되면, 상기 폐쇄수단에 접촉되어 상기 폐쇄수단을 관통하는 개방수단;
    을 포함하는 구명의 겸용 에어백.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폐쇄수단은 판형의 탄성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수단은 니들로 형성되는 구명의 겸용 에어백.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벤트수단은,
    상기 제2 에어백을 관통하는 제2 관통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관통홀을 폐쇄하되, 상기 제2 에어백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절곡되어 상기 제2 관통홀을 개방하는 개폐수단;
    을 포함하는 구명의 겸용 에어백.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포함하는 판형의 탄성체로 형성되는 구명의 겸용 에어백.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벤트수단은,
    상기 개폐수단에 접착되어 상기 개폐수단을 폐쇄하되, 상기 제2 에어백의 내부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찢어지는 필름부재;
    를 더 포함하는 구명의 겸용 에어백.
  8. 삭제
KR1020200111204A 2019-11-28 2020-09-01 구명의 겸용 에어백 KR102401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046 2019-11-28
KR20190156046 2019-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700A KR20210066700A (ko) 2021-06-07
KR102401418B1 true KR102401418B1 (ko) 2022-05-25

Family

ID=76374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204A KR102401418B1 (ko) 2019-11-28 2020-09-01 구명의 겸용 에어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4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592Y1 (ko) * 2002-05-10 2002-07-26 주식회사퀘스트 구명조끼
KR101587469B1 (ko) * 2014-07-30 2016-01-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충격완화용 에어 재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9790A (ja) * 1997-05-30 1998-12-15 Tokyo Seat Kk 浮力付与具
KR101969385B1 (ko) 2018-10-24 2019-04-17 (주)영신디엔씨 하네스형 안전대의 배낭형 에어백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592Y1 (ko) * 2002-05-10 2002-07-26 주식회사퀘스트 구명조끼
KR101587469B1 (ko) * 2014-07-30 2016-01-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충격완화용 에어 재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700A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5633B2 (ja) エアバッグ装置
EP2263921B1 (en) Airbag device
US9573556B2 (en) Airbag system for vehicle
KR950013844A (ko) 차량의 측면 충격에서 차량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6781118B2 (ja) 車の搭乗者拘束装置用の順応型膝用エアバッグ
CN110520333B (zh) 安全气囊装置
EP06702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aining a vehicle occupant
KR100465886B1 (ko) 자동팽창식 조끼
DE102015009327A1 (de) Passiv-Airbag mit Erzeugung einer Lose
JP2008207579A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090016965A (ko) 사이드 에어백의 파이프형 가변 벤트홀
KR101005865B1 (ko) 격발장치와 이를 이용한 신체보호장치
KR102401418B1 (ko) 구명의 겸용 에어백
KR20100065591A (ko) 에어백 시스템
KR101780435B1 (ko) 배기홀을 구비한 에어백
JP2006008016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1708203B1 (ko) 가변형 벤트 기능을 갖는 에어백
JP4595455B2 (ja) 乗員保護装置および乗員保護方法
JP2017074850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738005B2 (ja) シートベルト用エアバッグ
KR102620507B1 (ko) 에어백용 벤트수단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
KR20170136675A (ko) 상해 저감형 에어백장치
KR100529145B1 (ko) 조수석 탑승자 보호용 에어백튜브의 구조
CN213272023U (zh) 充气装置
KR20080050778A (ko) 더미 시험용 가변 벤트 홀 타입 에어백 쿠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