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865B1 - 격발장치와 이를 이용한 신체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격발장치와 이를 이용한 신체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865B1
KR101005865B1 KR1020100069655A KR20100069655A KR101005865B1 KR 101005865 B1 KR101005865 B1 KR 101005865B1 KR 1020100069655 A KR1020100069655 A KR 1020100069655A KR 20100069655 A KR20100069655 A KR 20100069655A KR 101005865 B1 KR101005865 B1 KR 101005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fixing
main body
airbag
trigg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진성
황보성
Original Assignee
황보성
황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보성, 황진성 filed Critical 황보성
Priority to KR1020100069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8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41D13/018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inflatable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8Inflatable equipment characterised by the gas-generating or inflation device
    • B63C9/19Arrangements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Abstract

에어백과 격발장치가 구비된 신체보호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신체보호장치는 에어백이 내장되는 안전복과, 상기 안전복 내에 구성되고 상기 에어백과 연결되는 격발부와, 상기 격발부의 격발 작동시에 상기 에어백에 가스를 분출하여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가스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발부에는 일정 팽창력이 가해질 때 상기 격발부를 동작시키는 연결부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는 탑승 구조물에 걸림되는 고리를 형성하되, 상기 연결부의 일단은 상기 격발부에 대한 연결부의 연결 방향이 비틀어지거나 각도가 변경시 상기 연결부의 팽창력에 따른 상기 격발부의 격발작동오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회전형 결합구를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격발장치와 이를 이용한 신체보호장치{PERCUSSION LOCK AND BODY PROTECTING APPARATUS THAT USE THIS}
본 발명은 격발장치와 이를 이용한 신체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팽창이 가능한 신체보호용 안전복 착용으로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긴급한 상황으로부터 안전복 착용자를 보호하는 한편, 사고 발생시 신체보호용 안전복의 팽창이 오류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격발장치와 이를 이용한 신체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복은 그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지만 오토바이 운전자가 착용하는 신체 보호용 안전복은 주로 조끼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조끼형태의 안전복은 조끼 본체의 가슴, 등, 어깨, 허리 등 신체의 중요 부분에 에어백이 내장되어 있거나 조끼 외부에 외장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에는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가스 카트리지가 가스 분출노즐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어서,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에어백과 격발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에어백장치의 메커니즘에 따라 가스 저장부로부터 가스가 에어백 내부로 분출하면 에어백이 팽창하게 되어 안전복 착용자는 외부의 강한 충격으로부터 보호받게 되는 것이다.
상기 외부 충격은 안전복 착용자가 전혀 예측할 수 없는 긴급한 돌발 상황에서 발생한다. 예를 들면, 에어백을 구비한 안전복 착용자가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을 운행하던 중 충돌, 추돌 등과 같은 사고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안전복에 적용된 에어백이 긴급상황에 맞도록 신속하게 정확히 작동하여 상기 안전복 착용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완화 시킴으로써 신체가 입을 수 있는 부상 정도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신체 보호장치는 긴급상황에서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작동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한 경우가 발생한다. 충돌이나 추돌 등과 같은 긴박한 상황을 겪을 경우, 안전복 착용자의 자세는 전후 상하뿐만 아니라 전 방위 방향으로 자세가 흐트러질 수 있다.
종래의 신체보호장치는, 안전복 착용자가 사고 등의 긴박한 상황에 처하여 그의 자세나 몸놀림의 방향이 전방위로 흐트러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자세나 몸놀림의 방향에 따라서는 작동이 원활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안전복 착용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신체 보호장치는 사고에 의한 충돌이나 추돌시의 압력이 급격하게 발생할 때 에어백의 팽창이 바로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는 반면, 경미한 사고에 의한 충돌이나 추돌시에는 압력이 현저하게 낮아질 수 있는데, 이때 안전복에 내장되어 있는 격발장치와 연결고리의 방향이 약간이라도 틀어질 경우, 격발장치에 의한 에어백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경미한 사고에 의한 안전복 착용자의 부상을 방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해, 종래 신체보호장치는 경미한 사고에 대하여는 에어백의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큰 충격이 가해지는 사고에 의한 안전성에만 치중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에어백이 구비된 종래의 안전복은 그 착용자의 신체 일부만을 보호 할 있고, 가스 저장부로부터 가스가 분출하여 팽창된 에어백이 외부 충돌에 의해 터질 경우 안전복 착용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에어백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옷감재질로 이루어지는 안전복의 내면에 에어백과 에어백 격발부를 구비함으로써, 안전복 착용자가 과중한 사고나 또는 경미한 사고로 인한 긴박한 상황에 처했을 경우 안전복 착용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신체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체보호장치를 구비한 안전복 착용자가 사고로 인한 위험한 상황에서 자세가 흐트러질 경우 안전복 착용자의 자세나 몸놀림의 방향에 상관없이 에어백 격발부의 격발동작이 오류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격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체보호장치의 가스 저장부로부터 가스가 분출하여 에어백의 팽창시 외부 충돌에 의해 에어백의 일부가 터질 경우에도 안전복 착용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신체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충격에 의해 용이하게 파열되지 않으면서도 일상생활에서 착용하여도 불편하지 않는 신체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신체 보호장치는, 에어백이 내장되는 안전복; 상기 안전복내에 구성되고 상기 에어백과 연결되는 격발부; 상기 격발부의 격발 작동시에 상기 에어백에 가스를 분출하여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가스저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격발부에는 일정 팽창력이 가해질 때 상기 격발부를 동작시키는 연결부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는 탑승 구조물에 걸림되는 고리를 형성하되,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는 상기 격발부에 대한 연결부의 연결 방향이 비틀어지거나 각도가 변경시 상기 연결부의 팽창력에 따른 상기 격발부의 격발작동오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회전형 결합구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격발부는, 상기 회전형 결합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와 가스분출로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내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연결부의 팽창력에 따라 상기 고정부로부터 회전형 결합구의 이탈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격발이동체; 상기 본체내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에 의한 상기 격발이동체의 이동 제한이 해제될 때 상기 격발이동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일정압력을 가지는 탄성부재; 상기 격발이동체의 일면에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격발이동체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하는 격침부와; 및, 상기 본체내의 타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팽창가스가 충진되며, 상기 격침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충진된 팽창가스를 상기 가스분출로와 가스공급라인을 통해 에어백으로 분출시키는 가스 저장부;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회전형 결합구에는 로드가 연장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격발이동체에는 상기 고정부의 걸림이 가능한 요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에 축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의 선단에는 외부로부터 일정압력을 받기까지 상기 회전형 결합구를 고정시키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후단에는 상기 격발이동체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격발이동체의 요홈에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스분출로에는 에어백으로 팽창가스를 여러갈래 방향으로 분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가스분출노즐이 결합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에는 격발부의 격발동작을 마친 후 이탈되어 있는 회전형 결합구를 상기 고정부에 재 안착시키고, 동시에 격발동작 후 팽창가스가 분출된 가스저장부를 교환시에는 공간을 확보하여 상기 가스저장부를 나사공으로부터 용이하게 교환하며, 상기 교환되는 새로운 가스저장부를 나사공에 체결한 후에는 가스저장부를 수용하여 상기 가스저장부를 보호하는 고정레버를 하나의 축부로 연결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에 포함되는 걸림부에 의해 회전형 결합구의 걸림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는 상기 회전형 결합구의 안착을 위한 반구형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와 반구형 요홈의 후방측으로는 각각 상기 회전형 결합구를 측부에서 끼움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U자형의 장착홀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에어백은 복수로 이루어지는 가스분출노즐의 각각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팽창가스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착용자의 머리와 목 및 척추 등과 같은 상체부위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다수의 공간으로 분할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에어백은 안전복 내에서 삽입된 후 에어기둥으로 팽창이 이루어지는 입체적인 두께를 가지는 열가소성폴리우레탄(TPU; Thermo plastic Polyurethan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백의 초기 입체적인 두께는 0.5t 이내이고, 팽창시에는 Φ80∼Φ110 범위내 굵기의 에어기둥 형상으로 팽창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전복은 상기 에어백을 감싸는 내피와 외피로 구성하고, 상기 에어백은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착탈 방식으로 결합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전복은 상기 에어백을 감싸는 내피와 외피, 또는 하나의 외피로만 구성하되, 상기 에어백은 입체적인 두께로서 상기 안전복내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또는 외피의 내측면에 코팅처리방식으로 접착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발장치와 이를 이용한 신체보호장치는 회전형 결합구가 구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구형상의 회전형 결합구 및 격발부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고정레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상기 회전형 결합구에 소정의 힘이 작용할 경우 그 힘의 방향과는 상관없이 용이하게 회전형 결합구가 고정부를 이탈하여 신체보호장치를 구비한 조끼 또는 구명 튜브와 같은 안전복에 팽창가스가 신속하게 주입되며, 이에따라 신체보호기능을 가지는 안전복 착용자가 긴박한 위험 상황에서 어떠한 몸동작을 취하더라도 회전형 결합구에 의해 격발기능을 통한 팽창가스 분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충돌 또는 추돌 등과 같은 사고 상황에서 신체를 보호받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체보호장치에 적용되는 격발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상면도.
도 3은 도 1의 배면도.
도 4는 도 2의 A-A를 절단한 단면도로서 회전형 결합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격발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격발이 시작되어 회전형 결합구가 이탈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격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격발 후 회전형 결합구의 재장착을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격발 후 고정레버를 이용하여 회전형 결합구의 재장착을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스 저장부를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회전형 결합구와 가스 저장부를 재장착 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서 신체보호장치에 적용되는 격발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회전형 결합구가 장착홀에 위치하는 상태를 보인 도 11에 대한 단면도.
도 13은 회전형 결합구가 반구형 요홈과 걸림부에 걸린 상태를 보인 도 11에 대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에어백의 입체 패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에어백의 입체 패턴도가 적용된 안전복의 정면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에어백의 입체 패턴도가 적용된 안전복의 배면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안전복의 정면 개략도.
도 18은 도 17의 배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복을 착용한 오토바이 운전자가 오토바이를 탑승한 상태에서 충돌사고가 발생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 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순서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에어백장치에 적용되는 격발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를 절단한 단면도로서 회전형 결합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격발부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발부(1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격발부(10)는 가스분출로(30)를 가지는 본체(11), 탄성부재(12), 격발이동체(13), 격침부(14), 가스저장부(20), 연결부(40), 고정부(50), 그리고 고정레버(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의 내부 일측에는 탄성력을 갖는 상기 탄성부재(12)가 위치하고, 상기 탄성부재(12)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부재(12)의 탄성력에 의해 본체(11)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격발이동체(13)가 구성된다.
상기 본체(11)의 내부에서 상기 탄성부재(12)와 나란하게 구성되는 상기 격발이동체(13)의 일측과 반대되는 방향의 타측면에는 격침부(14)가 돌출 구성된다.
상기 격침부(14)에 대응하는 방향으로는 상기 격침부(14)에 의해 파공될 수 있도록 팽창가스(예; 질소가스)를 저장한 가스 저장부(20)가 이웃하여 위치하는데, 상기 가스 저장부(20)는 상기 본체(11)의 외부에 형성된 나사공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나사공에 체결된 가스저장부(20)와 상기 본체(11)의 사이에는 상기 가스저장부(20)로부터 분출되는 팽창가스를 에어백에 분출시키도록 팽창가스의 분출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스분출로(30)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1)의 측벽 외부에는 외부에서 당기는 일정압력이 작용하였을 때 그 당기는 일정압력의 방향각도와는 상관없이 신속하게 상기 가스저장부(20)에 구멍을 천공할 수 있도록 상기 격발이동체(13)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어하는 연결부(40)가 상기 본체(11)의 외측에 이웃하여 결합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40)는 구형상의 회전형 결합구(41)와, 상기 회전형 결합구(4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로드(42)와, 상기 회전형 결합구(41)가 외부의 힘을 전달 받을 수 있도록 상기 로드(42)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체(와이어)(43)를 매개로 외부의 장치(미도시)와 연결되는 고리(4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형 결합구(41)가 가동 구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형 결합구(41)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로드(42)의 방향에 상관없이 상기 회전형 결합구(41)가 상기 고정부(50)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회전형 결합구(41)가 구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형상의 회전형 결합구(41)는 상기 고정부(50)안에서 방향에 따라 특이하게 걸리는 현상이 없게 되므로, 상기 로드(42)에 작용하는 일정한 인장력(당김) 방향에 상관없이 상기 회전형 결합구(41)가 상기 고정부(50)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40)는 플라스틱 종류나 금속종류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의 측벽 외부에는 상기 격발부(10)가 격발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평상시에는 상기 연결부(40)의 가동 구형상의 회전형 결합구(41)와 상기 격발이동체(13)를 고정시키도록 고정부(50)가 더 구비되며, 상기 격발이동체(13)의 측부 둘레에는 요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50)는 외부로부터 일정압력을 받기까지는 상기 가동 구형상의 회전형 결합구(41)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걸림부(51)와, 상기 격발이동체(13)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격발이동체(13)의 요홈(15)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본체(11)의 측벽을 통과하여 상기 요홈(15)에 걸림되는 걸림돌기(52)가 돌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50)는 상기 본체(11)에 축부(53)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50)에 포함되는 걸림부(51)에 의해 회전형 결합구(41)의 걸림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1)에는 상기 회전형 결합구(41)의 안착을 위한 반구형 요홈(11a)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51)와 반구형 요홈(11a)의 후방측으로는 각각 상기 회전형 결합구(41)를 측부에서 끼움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U자형의 장착홀(h1)(h2)이 구성되도록 하였다.
즉, 상기 회전형 결합구(41)는 상기 걸림부(51)와 반구형 요홈(11a)의 후방측에 형성되면서 고정레버(60)의 회전에 따른 해제동작과는 관계없이 서로 마주보는 상기 U자형의 장착홀(h1)(h2)에 끼움 삽입이 이루어진 후 전진이동하여, 상기 반구형 요홈(11a)에 안착됨은 물론, 상기 반구형 요홈(11a)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51)에 의해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격발부(10)를 구성하는 본체(11)에 마련되는 가스분출로(30)는 제 1 공간부(31), 제 2 공간부(32), 제 3 공간부(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공간부(31)는 상기 격침부(14)를 수용할 수 있도록 본체(11)와 상기 가스저장부(20)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스저장부(20)로부터 1차로 팽창가스가 유입되는 공간이다.
상기 제 2 공간부(32)는 상기 제 1 공간부(31)로 유입된 팽창가스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상기 제 1 공간부(31)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제 3 공간부(33)는 상기 제 2 공간부(32)로 유입되는 팽창가스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상기 제 2 공간부(32)와 연통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분출로(30)의 공간부 개수는 임의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제 3 공간부(33)의 일측에는 가스저장부(20)로부터 분출되는 팽창가스가 제 1 공간부(31), 제 2 공간부(32), 제 3 공간부(33)를 통과하여 에어백으로 여러 갈래 방향으로 나뉘어 분출되도록 복수의 가스분출노즐(35)이 나란히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분출노즐(35)의 개수는 에어백의 설계 또는 종류에 따라 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격발부(10)는 상기 고정부(50)와 하나의 축부(53)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한 고정레버(60)를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50)와 상기 고정레버(60)와의 동작적 연결구성은 임의로 설계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일예로, 상기 고정레버(60)의 일단을 잡고 가스저장부(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열게 되면 상기 고정레버(60)의 타단은 회전형 결합구(41)의 이탈동작으로 인해 오픈되어 벌어져 있는 상태의 상기 고정부(50)와 접촉하여 가압하는 방식으로 상기 고정부(50)를 닫게 할 수도 있다. 그러한 방법으로 상기 고정레버(60)는 상기 고정부(50)와 연동하여 격발이동체(13)가 격발동작을 마친 후 이탈되어 있는 회전형 결합구(41)를 상기 고정부(50)에 재 안착할 수 있게 한다. 동시에, 상기 고정레버(60)는 격발부(10)의 격발동작이 끝난 후 가스가 분출되어 버린 가스저장부(20)를 교환할 때 공간을 확보해주어 가스저장부(20)를 나사공(16)으로부터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레버(60)는 교환되는 새로운 가스저장부(20)를 나사공(16)에 체결한 후에는 가스저장부(20)를 수용하여 상기 가스저장부(2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격발부(10)의 동작을 첨부된 도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격발이 시작되어 회전형 결합구가 이탈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격발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은 격발 후 회전형 결합구의 재 장착을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격발 후 고정레버를 이용하여 회전형 결합구의 재 장착을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9는 가스 저장부를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회전형 결합구와 가스 저장부를 재장착 한 후의 상태를 보여준다.
우선,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격발부(10)가 격발을 시작하여 회전형 결합구(41)가 고정부(50)로부터 이탈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연결부(40)의 고리(44)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장치(미도시)로부터 외부압력이 발생하고, 상기 외부압력이 상기 연결부(40)를 통해 고정부(50)의 걸림부(51)와 본체(11)의 반구형 요홈(11a)을 통해 이탈이 방지되도록 고정된 회전형 결합구(41)에 전달시, 상기 외부압력이 상기 고정부(50)의 걸림부(51)가 유지하는 고정압력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회전형 결합구(41)가 상기 걸림부(51)를 바깥쪽으로 벌리면서 이탈한다.
이때, 상기 회전형 결합구(41)가 가동 구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도면에서 보여주듯이 연결부(40)의 로드(42)가 인장력을 전방위 각도로 상기 회전형 결합구(41)에 전달한다 해도 상기 걸림부(51)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부(50)는 축부(53)를 통해 상기 본체(11)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형 결합구(41)를 고정하고 있는데, 외부압력에 의해 상기 회전형 결합구(41)가 상기 고정부(50)의 걸림부(51)로부터 이탈시, 상기 고정부(50)는 상기 축부(53)를 통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부(50)에 형성되면서 격발이동체(13)의 요홈(15)에 걸림되어 있던 걸림돌기(52)도 상기 요홈(15)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걸림돌기(52)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상기 격발이동체(13)는 탄성부재(1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본체(11)내에서 가스저장부(20)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한다.
그러면, 상기 격발이동체(13)의 일측에 돌출 구성되는 격침부(14)는 가스저장부(20)의 일면을 파공시키게 된다.
즉,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한 격발동작에 따라 격발부(10)의 격발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는 회전형 결합구(41)가 고정부(50)를 완전히 이탈한 상태이다. 상기 격침부(14)가 연결되어 있는 상기 격발이동체(13)의 일단이 상기 본체(11)의 상단(길이방향을 기준으로)에 도달하여 멈추게 될 때까지, 상기 격침부(14)는 상기 가스저장부(20)를 파공하게 되고, 이때 상기 가스저장부(20)에 압축되어 있는 팽창가스(예; 질소가스 또는 탄산가스)가 가스분출로(30)를 통해 가스분출노즐(35)의 방향으로 분출된다.
이때, 상기 분출된 팽창가스는 일차적으로 제 1 공간부(31)로 유입되고, 이어서 제 1 공간부(31)로 유입된 가스는 상기 격침부(14)가 통과하고 있는 본체(11)의 측벽을 통해 빠져 나가지 않고 곧바로 제 2 공간부(32)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격침부(14)가 통과하기 때문에 틈새가 있는 본체(11)의 상단 벽을 통해 팽창가스가 새지 않는 이유는, 탄성부재(12)의 탄성력이 상기 격발이동체(13)를 밀치는 압력이 상기 팽창가스의 분출압보다 큰 압력으로 본체(11)의 상단을 막고 있고, 또한 상기 격발이동체(13)와 상기 격침부(14)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기 격침부(14)의 둘레를 따라 밀접하게 고무(또는 실리콘) 형태의 실링부재(7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실링부재(70)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11)의 상단이 밀접하게 밀폐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상기 분출되는 팽창가스가 제 1 공간부(31)을 통해 제 2 공간부(32)로 유입되어 팽창가스의 분출 방향이 변경되고, 상기 제 2 공간부(32)를 통한 팽창가스가 다시 방향을 바꾸어 제 3 공간부(33)에 유입되고, 최종적으로 가스분출노즐(35)를 통해 에어백(101)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가스저장부(20)로부터 분출된 팽창가스가 제 1 공간부(31), 제 2 공간부(32), 제 3 공간부(33)를 통하는 동안 방향을 변경하기 때문에, 고압으로 분출되는 가스가 갑자기 팽창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인 가스의 저온화 현상을 어느 정도 완화시켜주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상기 제 1 공간부(31), 제 2 공간부(32), 제 3 공간부(33)를 통해 팽창가스가 에어백(101)으로 분출되기 때문에 상기 팽창가스가 분출할 때 폭발음과 같은 소음도 어느 정도 완화시켜 주는 효과도 있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격발이 완전히 종료된 후, 가스저장부(20)에 팽창가스가 남아있지 않은 상태에서 가스저장부(20)를 새것으로 교환하기 위해 가스저장부(20)를 격발부(10)에서 제거하고, 회전형 결합구(41)을 다시 본체(11)에 축부(53)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50)의 걸림부(51)이 걸리도록 하는 재장착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격발 후 가스저장부(20)가 나사공(16)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다. 아울러 고정레버(60)를 가스저장부(20)가 위치하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당김에 의해 회전형 결합구(41)가 고정부(50)에 정확히 안착되는 동시에 가스저장부(20)가 격발부(1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해주는 상태를 나타낸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정레버(60)의 일단을 잡고 가스저장부(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열게 되면, 상기 고정레버(60)의 타단은 회전형 결합구(41)의 이탈동작으로 인해 오픈되어 있는 상태의 상기 고정부(50)와 접촉하여 가압하는 방식으로 상기 고정부(50)를 닫게 하고, 상기 회전형 결합구(41)를 상기 고정부(50)에 의해 안착되게 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형 결합구(41)는 고정부(50)에 안착되고 고정레버(60)가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고정레버(60)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새로운 가스저장부(20)를 나사공(16)에 체결한 후 상기 고정레버(60)를 가스저장부(20)이 방향으로 밀어 원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고정레버(60)는 격발부(10)의 격발동작이 끝난 후 팽창가스가 분출되어 버린 가스저장부(20)를 교환할 때 공간을 확보해주어 가스저장부를 나사 공(16)으로부터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교환되는 새로운 가스저장부(20)를 나사공(16)에 체결한 후에는 가스저장부를 수용하여 가스저장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첨부된 도 10은 회전형 결합구(41) 및 가스저장부(20)가 재장착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회전형 결합구(41)가 고정부(50)의 걸림부(51)이 걸림 고정되고, 새로운 가스저장부(20)가 나사공(16)에 체결 되어 고정레버(60)가 완전히 원 위치됨으로써 재장착 동작이 완료되는 것이다. 외관상은 처음에 격발 전 회전형 결합구(41)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4와 동일하다.
한편, 첨부된 도 11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레버(60)의 회전 동작과 관계없이 상기 회전형 결합구(41)를 상기 고정부(50)의 걸림부(51)로 걸림동작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본체(11)와 고정부(50)에 마련되면서 서로 마주보는 U자형의 장착홀(h1)(h2)로 회전형 결합구(41)를 끼움시킨 후 상기 회전형 결합구(41)를 전방측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회전형 결합구(41)는 본체(11)에 마련된 반구형 요홈(11a)에 안착이 이루어지고, 이와동시에 상기 회전형 결합구(41)의 상측은 상기 고정부(50)의 선단측인 걸림부(51)에 의해 걸림동작되어 그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격발부(10)를 에어백(101)이 구비되어 있는 안전복(100)에 대한 구조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에어백의 입체 패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에어백의 입체 패턴도가 적용된 안전복의 정면 개략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에어백의 입체 패턴도가 적용된 안전복의 배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신체 보호용 안전복(100)은 외부에서 작용하는 압력의 방향각도와는 상관없이 신속하게 작동하여 가스저장부(20)에 구멍을 천공할 수 있도록 격발이동체(13)와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40)를 포함하는 격발부(10)를 포함한다. 상기 격발부(10)의 구체적인 구성은 첨부된 도 4에 나타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복(100)내에 내장되는 상기 격발부(10)의 위치는 안전복의 설계에 따라 임의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격발부(10)는 연결부(40)의 고리(44)를 통해 외부장치, 예를 들면 오토바이 등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복(100)은 상기 격발부(10)의 상기 가스저장부(20)로부터 분출되는 팽창가스가 유입되는 에어백(101)을 포함한다. 상기 안전복(100)은 상기 에어백(101)을 감싸는 외피(102) 및 내피(103) 또는 외피(102)로만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에어백(101)의 디자인은 그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모습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격발부(10)는 외부 충격이 작용할 때 가스저장부로부터 분출하는 팽창가스를 여러 갈래로 에어백 내부로 분출하는 복수의 가스분출노즐(36)을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에어백은 첨부된 도 14 내지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복수의 가스분출노즐(35)의 각각으로부터 독립적으로 가스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나의 안전복(100)에 U자형과 L자형 및 역L자형의 입체 패턴을 가지는 복수의 에어백(102a)(102b)(102c)로 구성하거나, 또는 첨부된 도 17 및 도 18에서와 같이 입체패턴을 가지는 복수의 직선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에어백(101a)(101b)(101c) (101d)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백(102a,102b,102c)(101a,101b,101c,101d)은 조끼 형상을 가지는 안전복(100)으로 만들어 질 수 있고, 격발부(10)는 그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안전복(100)에 장착되는 위치가 어느 하나에만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변경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이때, 복수의 가스분출노즐(35) 중 제 1 가스분출노즐(35a)은 제 1 에어백(101a)(102a)에 연결되고, 제 2 가스분출노즐(35b)은 제 2 에어백(101b)(102b)에 연결되고, 제 3 가스분출노즐(35c)은 제 3 에어백(101c)(102c)에 연결되고, 제 4 가스분출노즐(35d)은 제 4 에어백(101d)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백(102a,102b,102c)(101a,101b,101c,101d)들은 각각의 가스 분출노즐(35a,35b,35c,35d)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가스를 공급받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102a,102b,102c)(101a,101b,101c,101d) 중 어느 하나가 터진다 해도, 나머지 에어백이 전체로서의 기능을 계속하게 되므로 상기 에어백을 구비한 조끼 착용자는 충돌과 같은 위험한 상황에서도 신체를 보호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에어백(102a,102b,102c)(101a,101b,101c, 101d)은 상기 안전복(100)내에서 삽입된 후 에어기둥으로 팽창이 이루어지는 입체적인 두께의 열가소성폴리우레탄(TPU; Thermo plastic Polyurethane)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입체적인 두께는 초기에는 0.5t 이내이고, 팽창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Φ80∼Φ110 범위내 굵기의 에어기둥 형상으로 팽창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에어백(102a,102b,102c)(101a,101b,101c, 101d)은 안전복(100)을 이루는 외피(102)와 내피(103)의 사이에 착탈 방식으로 결합 구성하거나, 상기 안전복(100)내의 외피(102)와 내피(103) 사이 또는 상기 외피(102)의 내측부위에 코팅처리방식으로 접착 고정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코팅 처리 방식에 의한 접착 고정은 열 융착이나 고주파 융착을 통해 실시하거나, 또는 솔벤잉크나 UV실사(인쇄) 전사 증착을 통해 가능하며, 이에따라 상기 상기 에어백(102a,102b,102c)(101a,101b,101c,101d)은 상기 안전복(100)내의 외피(102)와 내피(103) 사이 또는 상기 외피(102)의 내측부위에 접착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복(100)을 착용하고 오토바이를 탑승한 상태에서 충돌한 순간을 나타낸다.
도 16에서는 오토바이가 어떤 돌발상황에서 안전복(100)을 착용한 탑승자의 자세가 뒤로 젖혀지는 모습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어서 곧바로 뒤로 튕겨 나가가거나, 옆으로 쓰러지거나, 앞으로 부딪히는 연속 동작이 일어 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복(100) 착용자의 자세에 따라 오토바이 고정장치(70)와 격발부(10)의 고리(44)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와 같은 연결부(40)가 여러 각도에서 상기 격발부(10)의 로드(42)를 매개로 상기 회전형 결합구(41)에 일정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형 결합구(41)는 구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40)에 의해 다양한 각도로 상기 회전형 결합구(41)와 연결된 상기 로드(42)가 일정압력으로 당겨진다 해도, 상기 회전형 결합구(41)는 고정부(50)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하게 되고, 그에 따라 격발부의 메커니즘에 의해 상기 격발부(10)는 가스저장부(20)를 파공하여 팽창가스를 에어백(102a,102b,102c)(101a,101b,101c,101d)에 분출하게 된다.
이어서 동시적으로 상기 분출된 팽창가스가 유입되는 입체패턴을 가지는 에어백(102a,102b,102c)(101a,101b,101c,101d)에 의해 안전복(100)을 팽창시킴으로써 오토바이 탑승자는 충돌로부터 오는 충격을 완화하여 상기 오토바이 운전자의 신체(머리, 목, 척추 등)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격발부 11; 본체
12; 탄성부재 13; 격발이동체
14; 격침부 15; 요홈
16; 나사공 20; 가스저장부
30; 가스분출로 31,32,33; 제 1,2,3 공간부
35; 가스분출노즐 35a,35b,35c,35d; 제 1,2,3,4 가스분출노즐
40; 연결부 41; 회전형 결합구
42; 로드 43; 연결체
44; 고리 50; 고정부
51; 걸림부 52; 걸림돌기
53; 축부 60; 고정레버
70; 실링부재 100; 안전복
101,101a,101b,101c,101d,102a,102b,102c; 에어백

Claims (22)

  1. 에어백이 내장되는 안전복; 상기 안전복내에 구성되고 상기 에어백과 연결되는 격발부; 상기 격발부의 격발 작동시에 상기 에어백에 가스를 분출하여 상기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가스 저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격발부에는 일정 팽창력이 가해질 때 상기 격발부를 동작시키는 연결부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는 탑승 구조물에 걸림되는 고리를 형성하되,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는 상기 격발부에 대한 연결부의 연결 방향이 비틀어지거나 각도 변경시 연결부의 팽창력에 따른 상기 격발부의 격발작동오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회전형 결합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보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부는,
    상기 회전형 결합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와 가스분출로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내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연결부의 팽창력에 따라 상기 고정부로부터 회전형 결합구의 이탈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격발이동체;
    상기 본체내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에 의한 상기 격발이동체의 이동 제한이 해제될 때 상기 격발이동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일정압력을 가지는 탄성부재;
    상기 격발이동체의 일면에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격발이동체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하는 격침부와; 및,
    상기 본체내의 타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팽창가스가 충진되며, 상기 격침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충진된 팽창가스를 상기 가스분출로와 가스공급라인을 통해 에어백으로 분출시키는 가스 저장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보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결합구에는 로드를 연장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보호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이동체에는 고정부의 걸림이 가능한 요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보호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본체에 축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의 선단에는 외부로부터 일정압력을 받기까지 상기 회전형 결합구를 고정시키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후단에는 상기 격발이동체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격발이동체의 요홈에 걸림되는 걸림돌기를 돌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보호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격발부의 격발동작을 마친 후 이탈되어 있는 회전형 결합구를 상기 고정부에 재 안착시키고, 동시에 격발동작 후 팽창가스가 분출된 가스저장부를 교환시에는 공간을 확보하여 상기 가스저장부를 나사공으로부터 용이하게 교환하며, 상기 교환되는 새로운 가스저장부를 나사공에 체결한 후에는 가스저장부를 수용하여 상기 가스저장부를 보호하는 고정레버를 하나의 축부로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보호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분출로에는 에어백으로 팽창가스를 여러갈래 방향으로 분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가스분출노즐을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보호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포함되는 걸림부에 의해 회전형 결합구의 걸림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는 회전형 결합구의 안착을 위한 반구형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와 반구형 요홈의 후방측으로는 각각 상기 회전형 결합구를 측부에서 끼움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U자형의 장착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보호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복수로 이루어지는 가스분출노즐의 각각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팽창가스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착용자의 머리와 목 및 척추 등과 같은 상체부위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다수의 공간으로 분할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보호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안전복 내에서 삽입된 후 에어기둥으로 팽창이 이루어지는 입체적인 두께를 가지는 TPU(Thermo plastic Polyurethane)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보호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초기 입체적인 두께는 0.5t 이내이고, 팽창시에는 Φ80∼Φ110 범위내 굵기의 에어기둥 형상으로 팽창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보호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복은 상기 에어백을 감싸는 내피와 외피로 구성하고, 상기 에어백은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착탈 방식으로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보호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복은 상기 에어백을 감싸는 내피와 외피, 또는 하나의 외피로만 구성하되,
    상기 에어백은 입체적인 두께로서 상기 안전복내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또는 외피의 내측면에 코팅처리방식으로 접착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보호장치.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분출로는,
    격침부를 수용하여 본체와 가스저장부 사이에 형성되고 가스저장부로부터 1차로 팽창가스가 유입되는 제 1 공간부;
    상기 제 1 공간부로 유입된 팽창가스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상기 제 1 공간부와 연통되어 있는 제 2 공간부; 및,
    상기 제 2 공간부로 유입된 팽창가스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상기 제 2 공간 부와 연통되어 있는 제 3 공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보호장치.
  15. 일단에 회전형 결합구를 가지고 타단에는 탑승구조물에 걸림되는 고리를 가지는 연결부;
    상기 회전형 결합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와 가스분출로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내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연결부의 팽창력에 따라 상기 고정부로부터 회전형 결합구의 이탈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격발이동체;
    상기 본체내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에 의한 상기 격발이동체의 이동 제한이 해제될 때 상기 격발이동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일정압력을 가지는 탄성부재;
    상기 격발이동체의 일면에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격발이동체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하는 격침부와; 및,
    상기 본체내의 타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팽창가스가 충진되며, 상기 격침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충진된 팽창가스를 상기 가스분출로와 가스공급라인을 통해 에어백으로 분출시키는 가스 저장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발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결합구에는 로드를 연장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발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이동체에는 고정부의 걸림이 가능한 요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발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본체에 축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의 선단에는 외부로부터 일정압력을 받기까지 상기 회전형 결합구를 고정시키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 후단에는 상기 격발이동체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격발이동체의 요홈에 걸림되는 걸림돌기를 돌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발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격발부의 격발동작을 마친 후 이탈되어 있는 회전형 결합구를 상기 고정부에 재 안착시키고, 동시에 격발동작 후 팽창가스가 분출된 가스저장부를 교환시에는 공간을 확보하여 상기 가스저장부를 나사공으로부터 용이하게 교환하며, 상기 교환되는 새로운 가스저장부를 나사공에 체결한 후에는 가스저장부를 수용하여 상기 가스저장부를 보호하는 고정레버를 하나의 축부로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발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분출로에는 에어백으로 팽창가스를 여러갈래 방향으로 분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가스분출노즐을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발장치.
  21. 제 15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분출로는,
    격침부를 수용하여 본체와 가스저장부 사이에 형성되고 가스저장부로부터 1차로 팽창가스가 유입되는 제 1 공간부;
    상기 제 1 공간부로 유입된 팽창가스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상기 제 1 공간부와 연통되어 있는 제 2 공간부; 및,
    상기 제 2 공간부로 유입된 팽창가스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상기 제 2 공간 부와 연통되어 있는 제 3 공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발장치.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포함되는 걸림부에 의해 회전형 결합구의 걸림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는 회전형 결합구의 안착을 위한 반구형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와 반구형 요홈의 후방측으로는 각각 상기 회전형 결합구를 측부에서 끼움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U자형의 장착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발장치.
KR1020100069655A 2010-07-19 2010-07-19 격발장치와 이를 이용한 신체보호장치 KR101005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655A KR101005865B1 (ko) 2010-07-19 2010-07-19 격발장치와 이를 이용한 신체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655A KR101005865B1 (ko) 2010-07-19 2010-07-19 격발장치와 이를 이용한 신체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5865B1 true KR101005865B1 (ko) 2011-01-05

Family

ID=43615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655A KR101005865B1 (ko) 2010-07-19 2010-07-19 격발장치와 이를 이용한 신체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86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213B1 (ko) * 2012-02-16 2013-04-19 황진성 가스 분사 장치
KR101256214B1 (ko) * 2012-08-29 2013-04-19 황진성 신체 보호 기능을 가지는 안전띠
KR101341377B1 (ko) 2012-03-21 2013-12-13 (주)다스 추락 감지 보호복
CN103689828A (zh) * 2013-11-29 2014-04-02 国网河南省电力公司南阳供电公司 低空作业跌落防护服
KR101849050B1 (ko) 2017-05-04 2018-05-28 김용 에어백 급팽창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안전 자켓
CN110464060A (zh) * 2019-08-29 2019-11-19 苏州圣盾骑甲运动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气囊服的激发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6320A (ja) 1998-10-27 2000-05-09 Safety:Kk 可動球体ピン付小型ガス発生装置
JP2000128075A (ja) 1998-10-27 2000-05-09 Safety:Kk 可動球体ピン付ガス発生装置
JP2003312569A (ja) 2002-04-23 2003-11-06 Prop:Kk 人体用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6320A (ja) 1998-10-27 2000-05-09 Safety:Kk 可動球体ピン付小型ガス発生装置
JP2000128075A (ja) 1998-10-27 2000-05-09 Safety:Kk 可動球体ピン付ガス発生装置
JP2003312569A (ja) 2002-04-23 2003-11-06 Prop:Kk 人体用エアバッグ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213B1 (ko) * 2012-02-16 2013-04-19 황진성 가스 분사 장치
KR101341377B1 (ko) 2012-03-21 2013-12-13 (주)다스 추락 감지 보호복
KR101256214B1 (ko) * 2012-08-29 2013-04-19 황진성 신체 보호 기능을 가지는 안전띠
CN103689828A (zh) * 2013-11-29 2014-04-02 国网河南省电力公司南阳供电公司 低空作业跌落防护服
KR101849050B1 (ko) 2017-05-04 2018-05-28 김용 에어백 급팽창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안전 자켓
CN110464060A (zh) * 2019-08-29 2019-11-19 苏州圣盾骑甲运动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气囊服的激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865B1 (ko) 격발장치와 이를 이용한 신체보호장치
KR100356106B1 (ko) 완충용 에어백을 갖춘 구명조끼
ES2680345T3 (es) Sistema de protección contra impactos
CN107847001A (zh) 头盔
KR101849050B1 (ko) 에어백 급팽창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안전 자켓
KR20100062460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2216133B1 (ko)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JP2010047854A (ja) エアバッグ装備ヘルメット
EP4103005B1 (en) Protective helmet with airbag
JP2002020907A (ja) 自動膨張式胴衣
KR20220108065A (ko) 웨어러블 보호 디바이스
JP2009297375A (ja) 防災フード
JP3730952B2 (ja) 緊急用エアバッグ付緩衝胴衣具
KR100771991B1 (ko) 휴대용 에어백
WO1997010028A1 (fr) Dispositif de protection amortissant les chocs
US20230157399A1 (en) Sports helmet
CA3022258A1 (en) Helmet with inflatable airbag
JP6738005B2 (ja) シートベルト用エアバッグ
KR200442641Y1 (ko) 공기주머니가 내장된 헬멧 장치
EP4178392A1 (en) Wearable protection device
KR20200061095A (ko) 레버를 이용한 보호장구 장착용 인플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보호장구
KR101256214B1 (ko) 신체 보호 기능을 가지는 안전띠
JP2000126320A (ja) 可動球体ピン付小型ガス発生装置
JP2011207414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KR102401418B1 (ko) 구명의 겸용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