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050B1 - 에어백 급팽창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안전 자켓 - Google Patents

에어백 급팽창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안전 자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050B1
KR101849050B1 KR1020170057073A KR20170057073A KR101849050B1 KR 101849050 B1 KR101849050 B1 KR 101849050B1 KR 1020170057073 A KR1020170057073 A KR 1020170057073A KR 20170057073 A KR20170057073 A KR 20170057073A KR 101849050 B1 KR101849050 B1 KR 101849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gas
bundle
ball
inj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
Original Assignee
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 filed Critical 김용
Priority to KR1020170057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0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41D13/018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inflatable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60R22/14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incorporating enlarged restraint areas, e.g. vests, nets, crash pads, optionally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A41D2600/102Motorcycl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A41D2600/104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에어백 급팽창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안전 자켓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의 시트 내면 가스주입공 주변에 접착제 또는 고주파에 의하여 접합된 내측밀착판과, 에어백의 시트 외면 가스주입공 주변에 접착제 또는 고주파에 의하여 접합 되어 상기 에어백의 시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내측밀착판과 접착 부위에서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결합 되고, 상기 에어백의 가스주입공에 연통 되는 슬리브가 형성된 외측밀착판에 의하여 에어백의 가스 주입공 주변을 보강하여 사고 발생시 에어백의 가스 주입공 주변이 파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에어백 급팽창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안전 자켓{RAPID EXPANSION DEVICE FOR AIRBAG AND SAFETY JACKET THEREWITH}
본 발명은 안전 자켓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오토바이, 자전거 등의 이동수단을 타는 라이더(rider)가 이동 중 충돌 등의 사고를 당하였을 때, 순간 팽창하는 에어백에 의한 완충 작용을 통해 라이더의 신체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에어백 급팽창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안전 자켓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0356106호에는,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의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주행중 사고로 떨어졌을 때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용 에어백을 갖춘 구명조끼가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제10-0356106호 발명은 에어백부를 연속 에어백부(가슴 에어백부, 등에어백부, 측면에어백부 일체형)와, 목 에어백부와, 허리 에어백부의 3개의 에어백부로 분리하고, 이들 각 에어백부를 가스발생기와 호스에 의하여 연결한다. 이 가스발생기는 탄산가스 및 질소가스로 충전된 가스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가동 구형상 핀이 가스 카트리지에 부착된 미끄럼 부재와 맞물려 있어 가동 구형상 핀에 연결된 끈을 잡아당김으로써, 가동 구형상 핀은 가스발생기의 케이싱으로부터 제거되고, 스프링에 의해 가스 카트리지를 정지된 격침(23) 방향으로 진행하게 하여 가스 카트리지 마개를 천공함으로써 가스를 발생시킨다.
등록특허 제10-1230437호에는, 노약자나 환자들이 균형을 잃어 넘어지는 낙상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충격을 완충하여 신체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착용자의 상체에 착복되어지며 에어공급장치 및 착용자의 낙상시 기본 설정값 보다 빠른 속도를 감지하여 에어공급장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가속도센서가 구비된 콘트롤러가 설치되는 외피와, 외피의 내면에 벨크로테이프(찍찍이)나 단추 지퍼와 같은 착탈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에어공급장치와 연계설치되어 에어를 공급받아 팽창되어 낙상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완화시켜 주는 에어백이 삽입설치되는 포켓이 구비된 내피를 포함하는 에어조끼가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제10-1230437호 발명은 내피에 배면커버부, 측면커버부 및 두부커버부를 형성하고, 이들 각 커버부에 서로 분리되어 독립된 에어백을 설치하고, 가속도센서의 낙상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전자솔레노이드밸브가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전자솔레노이드밸브와 연결설치된 CO2카트리지에 충전되어 있던 압축가스가 전자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분배기로 분출되고, 이와같이 분배기로 분출된 압축가스는 분배기에 연결된 호스를 통해 내피의 포켓에 삽입된 각각의 에어백에 공급되어져 에어백이 순식간에 팽창되어 진다.
이처럼 종래 완충용 에어백을 갖춘 구명조끼는 조끼 본체의 가슴, 옆구리, 등, 목 등에 대응하는 부분에 각각 분리된 완충용 에어백부를 가지고 있으며, 각 에어백부는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가스 카트리지와 호스에 의하여 연결된다.
그러나, 에어백을 신체 각부에 대응하여 분리하여 형성하고, 가스 카트리지의 압축가스를 호스를 통해 전달하는 기존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 때문에 실제 사고시 에어백 팽창이 실패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우선, 에어백은 고압가스에 의하여 팽창할 수 있도록 폴리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합성고무 등의 가요성(可撓性:flexible) 소재로 만들어지고, 에어백과 가스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호스도 에어백 소재와 같은 가요성 소재로 만들어진다. 에어백과 호스를 연결할 때는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고주파 접합을 한다. 이와 같이 연결된 에어백과 호스 연결부위는 사고 발생시 고압 가스가 호스를 통해 에어백에 완전히 충전될 때 빈번하게 터져 버린다. 에어백과 호스의 연결부위가 고압가스의 압력을 견디지 못하기 때문이다.
다음, 에어백과 가스 카트리지를 호스에 의하여 연결할 경우, 조끼를 입고 활동하는 과정에서 호스의 꼬임이 발생할 수 있다. 사고는 극히 예외적인 상황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안전 조끼를 입고 여러가지 활동을 하는 반면, 호스는 조끼의 천 내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눈에 띄지 않기 때문에 호스의 꼬임이 발생해도 그대로 방치하게 된다. 호스의 꼬임이 발생하면, 사고 발생시 압축가스가 에어백에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완충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
다음, 에어백과 가스 카트리지를 호스에 의하여 연결할 경우, 에어백에의 가스 충전시간이 지연되는 단점이 있다. 오토바이나 자전기 라이더용 안전자켓은 충돌 즉시 또는 충돌 후 최단시간 내에 가스 카트리지 내의 압축가스가 에어백에 채워 져야 한다. 그러나, 에어백에 호스의 직경은 가스 카트리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반면, 에어백의 직경은 호스의 직경보다 수십배 크다. 따라서, 압축가스를 호스를 통해 에어백으로 이송할 경우, 압축가스 이송시간 및 에어백 팽창시간이 길어 오토바이나 자전기 라이더의 사고에 신속히 대응하기 어렵다.
다음, 등록특허 제10-1230437호에서처럼 가속도센서와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하여 가스 카트리지의 공기배출을 제어할 경우 반드시 콘트롤러와 배터리를 구비하여야 한다. 그러나, 안전조끼는 입고 활동하는 과정에서 비나 눈 등에 젖을 수 있기 때문에 등록특허 제10-1230437호에서처럼 고압 가스 배출이 가속도센서와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하여 제어될 경우, 콘트롤러의 오동작, 배터리의 방전 등으로 실제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는 가스 카트리지의 고압가스 에어백에 충전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오토바이나 자전거 운전자용 안전조끼는 가스 카트리지 공기배출을 가속도센서와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하여 하는 것보다는 등록특허 제10-0356106호에서처럼 격침에 의한 카트리지 밀폐막 천공방식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안전 조끼를 입고 생활하는 가운데 가스 카트리지와 케이싱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기 쉽다. 가스 카트리지와 케이싱 사이의 접촉면적이 넓기 때문에, 가스 카트리지와 케이싱 사이에는 이물질이 끼기 쉽고, 어느 한 지점에 작은 이물질이 유입되어도, 가스 카트리지 전체가 움직이기 어렵다. 따라서, 이물질이 유입된 상태에서는 작은 이물질이 유입되어도 스프링이 가스 카트리지를 격침 방향으로 원활히 밀 수 없기 때문에 가스 카트리지 밀폐막을 천공할 수 없다. 따라서, 격침에 의한 카트리지 밀폐막 천공방식을 사용하더라도, 등록특허 제10-0356106호에서처럼 가스발생기의 케이싱 내부에서 가스 카트리지를 이동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경우, 사고 발생시 에어백에 공기가 충전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356106호(등록일자 : 2002.09.27)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30437호(등록일자 : 2013.01.3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안전조끼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과제는 에어백과 호스간의 연결부위 손상이나 호스 꼬임의 염려가 없는 에어백 급팽창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안전 자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과제는 에어백에의 압축가스 충전 시간을 최소화하여 오토바이나 자전거 라이더의 사고 발생시 최단시간 내에 에어백이 팽창하게 할 수 있는 에어백 급팽창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안전 자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3과제는 격침에 의한 압축가스 카트리지 밀폐막 천공방식을 사용하면서도 사고 발생시 압축가스 카트리지 밀폐막 천공실패를 예방할 수 있는 에어백 급팽창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안전 자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들은, 가스주입공와 가스배출관이 형성된 유연성 시트 소재의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의 시트 내면 가스주입공 주변에 접착제 또는 고주파에 의하여 접합 된 내측밀착판과, 상기 에어백의 시트 외면 가스주입공 주변에 접착제 또는 고주파에 의하여 접합 되어 상기 에어백의 시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내측밀착판과 접착 부위에서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결합 되고, 상기 에어백의 가스주입공에 연통 되는 슬리브가 형성된 외측밀착판과, 가스 봄베연결관과 상기 가스 봄베연결관에 연통되고 상기 외측밀착판의 슬리브에 조립되는 가스주입관과 상기 가스 봄베연결관에 격침공을 통해 연결되고 공이뭉치를 내부에 수용하며 일측에는 구형키를 삽입할 수 있는 키홈이 형성된 공이뭉치수용관이 일체로 형성된 봄베홀더와, 상기 봄베홀더의 가스 봄베연결관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압축가스가 충전되며 입구는 밀폐막에 의하여 폐쇄된 가스봄베와, 상기 봄베홀더의 공이뭉치수용관 내부에 마련되고 선단에는 상기 가스 봄베의 밀폐막을 뚫을 수 있는 격침이 마련되며 일측에는 상기 공이뭉치수용관의 키홈에 연속되는 키홈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후진용암나사관이 형성된 공이뭉치와, 상기 공이뭉치수용관에 결합된 스프링수용캡과, 상기 스프링수용캡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공이뭉치에 접하여 압축되어 있어 있는 압축코일스프링과, 상기 공이뭉치수용관의 키홈과 상기 공이뭉치의 키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공이뭉치의 전진을 차단하고 연결된 와이어에 의하여 키홈에서 이탈할 수 있게 설치된 구형키를 포함하는 에어백 급팽창 장치에 의하여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에어백은, 조끼의 내피 및 외피 사이에 마련되고 전장(全長)이 균일한 폭으로 연속되어 인체의 가슴, 배, 등, 목을 모두 감쌀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백 급팽창 장치를 상기 외측밀착판에 의하여 안전 자켓의 외피 또는 내피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 카트리지 또는 가스 봄베와 에어백을 연결하는 호스가 불필요하며, 가스 충전시 에어백의 가스주입공 주변이 손상되지 않게 견고하게 보강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의 가스주입공 주변에 내측밀착판과 외측밀착판이 접착제나 고주파에 의하여 넓은 면적으로 접착될 뿐만 아니라 내측밀착판과 외측밀착판이 조립되어 압착되어 있고 가스는 외측밀착판의 슬리브를 통해 유입되므로, 에어백에 순간적으로 고압 가스가 완전히 충전되더라도 에어백의 가수 주입구 주변이 손상될 염려가 없다. 따라서, 에어백과 종래의 호스 연결부위가 사고 발생시 고압 가스가 호스를 통해 에어백에 완전히 충전될 때 빈번하게 터져 버리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에어백과 가스 카트리지를 호스에 의하여 연결하지 않고 봄베 홀더의 가스주입관을 통해 외측밀착판의 슬리브와 직접 연결하기 때문에 조끼를 입고 활동을 하더라도 호스의 꼬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압축가스를 호스를 통해 에어백으로 이송할 경우, 압축가스 이송시간 및 에어백 팽창시간이 길어 오토바이나 자전기 라이더의 사고에 신속히 대응하기 어렵지만, 봄베홀더에서 직접 에어백에 가스가 투입되므로 압축가스 이송시간 및 에어백 팽창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오토바이나 자전기 라이더의 사고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안전조끼가 조끼 본체의 가슴, 옆구리, 등, 목 등에 대응하는 부분에 각각 분리된 완충용 에어백부를 가지는 반면, 본 발명은 전장(全長)이 균일한 폭으로 연속되어 인체의 가슴, 배, 등, 목을 모두 감쌀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되기 때문에, 에어백 전체가 일시에 순간적으로 팽창하여 오토바이나 자전기 라이더의 사고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 카트리지와 케이싱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될 염려가 없고, 가스봄베는 봄베홀더에 의하여 외측밀착판에 항상 연결되어 있으며, 구형키가 빠지면 압축코일스프링이 봄베홀더의 공이뭉치수용관 내부에 수용된 공이뭉치를 밀어 공이뭉치의 격침이 밀폐막을 열게 되므로 사고 발생시 격침에 의한 밀폐막의 천공 실패 확율이 거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급팽창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브라켓을 해체하여 봄베홀더를 외측밀착판으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한 부분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급팽창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내측밀착판을 에어백 시트 내면의 가스주입공 주변에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내측밀착판과 외측밀착판을 에어백 시트 내면과 외면의 가스주입공 주변에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분해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내측밀착판과 외측밀착판을 나사체결하고, 봄베홀더에 가스봄베, 공이뭉치, 압축코일스프링, 스프링수용캡 및 구형키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분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급팽창 장치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8은 구형키를 뺀상태에서 공이뭉치의 격침이 전진하여 가스봄베의 밀폐막을 뚫은 상태를 보여주는 조립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이뭉치를 조립된 상태로 상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이뭉치를 조립된 상태로 하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이뭉치를 분해된 상태로 상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이뭉치를 분해된 상태로 하방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급팽창 장치를 갖는 안전 자켓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급팽창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안전 자켓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1)은, 신체 부위별로 나뉘어져 있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1)은 전장(全長)이 균일한 폭으로 연속되어 인체의 가슴, 배, 등, 목을 모두 감쌀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되어 있다. 에어백(1)에는 가스봄베(17)가 봄베홀더(23) 및 상부고정판(9)에 의하여 직접 연결되어, 가스봄베(17)와 에어백(1) 사이의 가스 전달 경로가 최소로 단축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1)에는 가스주입공(도 2의 부호 7)와 가스배출관(2)이 형성다. 가스배출관(2)은 사고로 충전된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용이다. 상기 에어백(1)은 합성고무, 우레탄수지, 실리콘수지 등 가요성 소재의 시트로 만들어져 압축공기가 충전될 때 팽창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1)은 자켓(200)의 내피 및 외피 사이에 가슴, 배, 등, 목을 모두를 감쌀 수 있게 배열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는, 상기 에어백(1)의 시트 내면 가스주입공(7) 주변에 접착제(5)에 의하여 접합 된 내측밀착판(3)과, 상기 에어백(1)의 시트 외면 가스주입공(7) 주변에 접착제(5)에 의하여 접합 되어 상기 에어백(1)의 시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내측밀착판(3)과 접착 부위에서 볼트(b) 및 너트(n)에 의하여 결합 되고, 상기 에어백(1)의 가스주입공(7)에 연통 되는 슬리브(11)가 형성된 외측밀착판(9)을 구비한 데 있다.
도면에는, 가스주입공(7) 부근에서 내측밀착판(3)과 외측밀착판(9)을 에어백(1) 시트에 부착함에 있어서, 접착제(3)를 사용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접착제(3)에 의한 부착에 갈음하여 고주파 접합을 하거나, 다른 대체수단에 의한 접합을 할 수도 있다. 상기 내측밀착판(3)과 외측밀착판(9)은 얇고 넓은 판상의 합성수지 사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밀착판(3)과 외측밀착판(9)의 에어백(1)과의 접합면은 평탄하게 성형하고, 접착제(5)에 의한 접합면적은 가스주입공(7)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에 주입공(7)의 반지름의 2배으로 확장하여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밀착판(3) 하부에는 섬유질 패드(15)를 더 부착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에어백(1)의 가스주입공(7) 부근이 판상의 내측밀착판(3)과 외측밀착판(9)에 의하여 보강되어, 에어백(1)에 가스가 완전히 충전되더라도 가스주입공(1) 부위가 파열되거나 찢어질 염려가 없고, 가스 누설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가스봄베(17)는 내부에 질소가스 또는 탄산가스가 압축저장되고 입구가 밀폐막(19)에 의하여 폐쇄된 용기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봄베(17)는 봄베홀더(23)에 의하여 상기 외측밀착판(9)의 슬리브(11)에 결합한다. 상기 봄베홀더(23)는, 가스 봄베연결관(25)과, 상기 가스 봄베연결관(25)에 연통되고 상기 외측밀착판(9)의 슬리브(11)에 조립되는 가스주입관(27)과, 상기 가스 봄베연결관(25)에 격침공(33)을 통해 연결되고 공이뭉치(43)를 내부에 수용하며 일측에는 구형키(91)를 삽입할 수 있는 키홈(35)이 형성된 공이뭉치수용관(29)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봄베홀더(23)는 합성수지에 의하여 일체형의 사출물로 성형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밀착판(9)에는 에어백(1)의 가스주입공(7)에 연결되는 슬리브(11)가 형성될 뿐만 아니라, 봄베홀더(23)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13a,13b)와, 상기 봄베홀더(23)를 브라켓(82,83)에 의하여 외측밀착판(9)에 나사(s)로 고정하기 위한 탭(t)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봄베홀더(23)의 가스 봄베연결관(25)에는 가스봄베(17)가 결합되고, 가스봄베(17)의 내부에는 에어백(1)에 토출할 압축가스가 충전되며 가스봄베(17)의 입구는 고압가스를 견딜 수 있는 밀폐막(19)에 의하여 폐쇄된다. 사고 발생시 상기 밀폐막(19)을 파괴하여 가스봄베(17) 내의 압축가스를 에어백(1)으로 토출하게 할 수 있는 공이뭉치(43)는 상기 봄베홀더(23)의 공이뭉치수용관(29) 내부에 마련된다.
종래에는 가스봄베 파열용 격침(51)으로 내부가 채워진 봉상(棒狀)의 철심 끝에 첨두를 형성한 두꺼운 봉상바늘격침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봉상바늘격침은 가스봄베(17)의 밀폐막(19)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스 배출을 제대로 하지 못하였다. 봉상바늘격침이 밀폐막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스 유로를 막아버리기 때문이다.
도 3과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이뭉치(43)는 키홈(49)이 형성된 공이몸체(45)와 상기 봄베홀더(23)의 밀폐막(19)을 뚫어서 파괴할 수 있게 첨두가 형성된 격침(51)과 가스봄베(17)를 사용한 후 교체하고 공이뭉치를 원위치로 복원시킬 때 공이뭉치(43)를 공구에 의하여 나사체결하여 후진시키기 위한 암나사관(47)으로 이루어진다. 원통형의 공이몸체(45)의 선단에 격침(51)을 결합하고, 공이몸체(45)의 후단에는 공이몸체(45)와 일체로 후진암나사관(47)을 형성하되, 상기 격침(51)을 중공(中空)형 관체(53)에 첨두를 형성하고, 관체(53)의 상하방에 내부 중공(中空)과 연통되는 상부개구(55) 및 하부개구(57)를 형성하여 격침(51)에 의한 밀폐막 가스 유로 막음 현상을 해결하였다. 이러한 구조의 격침이 밀폐막을 뚫을 경우 가스봄베(17) 내의 압축가스는 격침(51)의 중공(中空)과 상부개구(55) 및 하부개구(57)를 통해 급격히 배출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이뭉치(43)는 봄베홀더(23)의 공이뭉치수용관(29) 내에 공이뭉치수용관(29)의 키홈(35)과 공이뭉치(43)의 키홈(49)이 상하 방향으로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구형키(91)가 상기 두 키홈(35,49)에 삽입된다. 상기 공이뭉치수용관(29) 내에서 구형키(91)와 결합된 공이뭉치(43) 후방에는 압축코일스프링(73)이 삽입되고, 상기 압축코일스프링(73)의 대부분은 상기 공이뭉치수용관(29)에 나사(37,77)에 의하여 조립되는 스프링수용캡(75)에 수용된다. 공이뭉치(43)가 구형키(91) 의하여 공이뭉치수용관(29) 내에서 정지된 상태에서 공이뭉치(43)를 밀착되어 압축코일스프링(47)이 조립되어 수축하면, 구형키(91)가 이탈하였을 때 압축코일스프링(47)의 복원력은 상기 공이뭉치(43)를 가스봄베(17)의 밀폐막(19) 방향으로 전진시켜 밀폐막(19)을 파괴한다. 따라서, 구형키(91)가 키홈(35,49)에 삽입된 상태에서 압축코일스프링(73)은 상기 스프링수용캡(75) 내부에서 상기 공이뭉치(43)에 접하여 압축되어 있다가, 구형키(91)가 키홈(35,49)에서 이탈하면, 압축코일스프링(73)은 상기 스프링수용캡(75) 내부에서 상기 공이뭉치(43)에 접하여 신장해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형키(91)가 키홈(35,49)에서 이탈한 후 다시 구형키(91)를 키홈(35,49)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프링수용캡(79)을 푼 후 압축코일스프링(73) 빼내고 공이뭉치(43)를 이동시켜 두개의 키홈(35,49)을 일치시켜 구형키(91)를 삽입시키면 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공이뭉치(43) 후단에 후진용암나사관(47)을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수용캡(75)에 공구구멍(79)을 형성하면, 선단에 상기 후진용암나사관(47)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가 형성된 공구를 상기 공구구멍(79)을 통해 삽입하여 후진용암나사관(47)에 체결한 후 당김으로써 압축코일스프링(73)을 압축시키고 공이뭉치(43)의 키홈(49)을 공이뭉치수용관(29)의 키홈(35)에 일치시켜 구형키(91)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구형키(91)가 이탈한 후 다시 삽입하기 위하여 스프링수용캡(75)과 압축코일스프링(73)을 분리할 필요가 없다. 스프링수용캡(75) 후단에 브라켓(83)에 조립하여 봄베홀더(23)를 외측밀착판(9)에 고정할 경우에는 브라켓(83)에도 상기 스프링수용캡(75)의 공구구멍(79)에 연결되는 공구구멍(85)을 형성하면, 구형키(91)의 이탈 후 재삽입을 위하여 브라켓(83)도 분리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상태에서 상기 구형키(91)는 상기 공이뭉치수용관(29)의 키홈(35)과 상기 공이뭉치(43)의 키홈(49)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공이뭉치(43)의 전진을 차단하고 연결된 와이어(97)에 의하여 키홈(35,49)에서 이탈할 수 있게 설치된다. 와이어(97)는 연장되어 오토바이나 자전거의 핸들이나 바디에 연결되고, 사고시 라이더(rider)가 오토바이나 자전거로부터 추락할 경우, 구형키(91)는 이탈하고, 공이뭉치(43)는 압축코일스프링(73)의 복원력에 의하여 공이뭉치(43)를 가스봄베(17) 방향으로 추진하여, 공이뭉치(43)의 격침(51)이 가스봄베(17)의 밀폐막(19)을 파열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형키(91)는 내부의 볼(93)과 상기 볼(93)을 감싸는 구면을 갖는 링(95)으로 구성하고, 상기 링(95)의 외면이 상기 공이뭉치 수용관(29)의 키홈(35)의 내벽 또는 공이뭉치(43)의 키홈(49)의 내벽과 접촉하게 하고, 상기 볼(93)은 링(95) 내부에서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볼(93)에 와이어(97)를 연결하고 와이어(97)의 방향에 따라 볼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사고 발생시 와이어(97)의 꺾임이 발생하지 않아 사고 발생시 구형키(91)가 와이어(97)의 견인 방향으로 적절히 이탈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이뭉치수용관(29) 외주면에는 밴드형상의 슬라이드락(69)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드락(69)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급팽창 장치를 갖는 안전 자켓을 착용하지 않을 때 실수에 의한 와이어(97) 견인으로 구형키(91)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상기 슬라이드락(69)에는 상기 구형키(91)의 와이어(97)가 삽입될 수 있는 슬롯(71)이 형성된다. 구형키(91)가 키홈(35,49)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락(69)을 상기 공이뭉치수용관(29) 외주면에서 구형키(9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구형키(91)의 와이어(97)가 슬롯(71)에 삽입되고 구형키(91)는 와이어(97)에 의한 견인이 있더라도 키홈(35,49)에서 이탈하지 않게 되어 안전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97)에는 필요에 따라 접속구(99), 코일타입의 연장선(101) 및 오토바이나 자전거에 연결하기 위한 고리(103)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1)은 자켓의 내피 및 외피 사이에 마련되고 전장(全長)이 균일한 폭으로 연속되어 인체의 가슴, 배, 등, 목을 모두 감쌀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급팽창 장치를 안전 자켓에 착용함에 있어서는, 에어백(1)을 자켓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배치하고, 외측밀착판(9)을 자켓의 외피 또는 내피에 고정하여 착용할 수 있다.
1 : 에어백 2 : 공기배출관
3 : 내측밀착판 5 : 접착제
7 : 가스주입공 9 : 외측밀착판
11 : 슬리브 13a,13b : 거치대
15 : 패드 17 : 가스봄베
19 : 밀폐막 21 : 수나사
23 : 봄베홀더 25 : 봄베연결관
27 : 가스주입관 29 : 공이뭉치수용관
31 : 격벽 33 : 격침공
35 : 키홈 37 : 수나사
39 : 암나사 41 : 오링
43 : 공이뭉치 45 : 공이몸체
47 : 후진용암나사관 49 : 키홈
51 : 격침 53 : 관체
55 : 상부개구 57 : 하부개구
59 : 핀공 61 : 오링
63 : 격침설치공 65 : 핀공
67 : 핀 69 : 슬라이드락
71 : 슬롯 73 : 압축코일스프링
75 : 스프링수용캡 77 : 암나사
79 : 공구구멍 81 : 패킹
82, 83 : 브라켓 85 : 공구구멍
91 : 구형키 93 : 볼
95 : 링 97 : 와이어
99 : 접속구 101 : 연장선
103 : 고리 200 : 자켓

Claims (3)

  1. 가스주입공와 가스배출관이 형성된 가요성 시트 소재의 에어백;
    상기 에어백의 시트 내면 가스주입공 주변에 접착제 또는 고주파에 의하여 접합된 내측밀착판;
    상기 에어백의 시트 외면 가스주입공 주변에 접착제 또는 고주파에 의하여 접합되어 상기 에어백의 시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내측밀착판과 접착 부위에서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에어백의 가스주입공에 연통되는 슬리브가 형성된 외측밀착판;
    가스 봄베연결관과, 상기 가스 봄베연결관에 연통되고 상기 외측밀착판의 슬리브에 조립되는 가스주입관과, 상기 가스 봄베연결관에 격침공을 통해 연결되고 공이뭉치를 내부에 수용하며 일측에는 구형키를 삽입할 수 있는 키홈이 형성된 공이뭉치수용관이 일체로 형성된 봄베홀더;
    상기 봄베홀더의 가스 봄베연결관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압축가스가 충전되며 입구는 밀폐막에 의하여 폐쇄된 가스봄베;
    상기 봄베홀더의 공이뭉치수용관 내부에 마련되고 선단에는 상기 가스 봄베의 밀폐막을 뚫을 수 있는 격침이 마련되며 일측에는 상기 공이뭉치수용관의 키홈에 연속되는 키홈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후진용암나사관이 형성된 공이뭉치;
    상기 공이뭉치수용관에 결합된 스프링수용캡;
    상기 스프링수용캡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공이뭉치에 접하여 압축되어 있는 압축코일스프링;
    상기 공이뭉치수용관의 키홈과 상기 공이뭉치의 키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공이뭉치의 전진을 차단하고 연결된 와이어에 의하여 키홈에서 이탈할 수 있게 설치된 구형키;를 포함하는 에어백 급팽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자켓의 내피 및 외피 사이에 마련되고 전장(全長)이 균일한 폭으로 연속되어 인체의 가슴, 배, 등, 목을 모두 감쌀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급팽창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에어백 급팽창 장치를 상기 외측밀착판에 의하여 외피 또는 내피에 고정한 안전 자켓.










KR1020170057073A 2017-05-04 2017-05-04 에어백 급팽창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안전 자켓 KR101849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073A KR101849050B1 (ko) 2017-05-04 2017-05-04 에어백 급팽창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안전 자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073A KR101849050B1 (ko) 2017-05-04 2017-05-04 에어백 급팽창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안전 자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050B1 true KR101849050B1 (ko) 2018-05-28

Family

ID=62451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073A KR101849050B1 (ko) 2017-05-04 2017-05-04 에어백 급팽창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안전 자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05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4059A (zh) * 2019-08-29 2019-11-19 苏州圣盾骑甲运动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气囊服的激发装置以及安全气囊系统
KR20200084148A (ko) 2019-01-02 2020-07-10 김석하 휴대용 구명백
CN113287805A (zh) * 2021-05-27 2021-08-24 郑州大学 一种跌倒防护方法及可穿戴式跌倒防护装置
KR20220003317A (ko) 2020-07-01 2022-01-10 한국전력공사 안전 자켓
KR20230049918A (ko) 2021-10-07 2023-04-14 주식회사 바이크마트 신속 팽창 기능을 갖고 재사용이 가능한 에어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안전복
KR20230049920A (ko) 2021-10-07 2023-04-14 주식회사 바이크마트 신속 팽창 기능을 갖는 에어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안전복
KR20230049922A (ko) 2021-10-07 2023-04-14 주식회사 바이크마트 발열패드를 포함하는 안전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6320A (ja) 1998-10-27 2000-05-09 Safety:Kk 可動球体ピン付小型ガス発生装置
US20080235854A1 (en) 2007-03-30 2008-10-02 Honda Motor Co., Ltd. Air bag jacket
KR101005865B1 (ko) 2010-07-19 2011-01-05 황보성 격발장치와 이를 이용한 신체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6320A (ja) 1998-10-27 2000-05-09 Safety:Kk 可動球体ピン付小型ガス発生装置
US20080235854A1 (en) 2007-03-30 2008-10-02 Honda Motor Co., Ltd. Air bag jacket
KR101005865B1 (ko) 2010-07-19 2011-01-05 황보성 격발장치와 이를 이용한 신체보호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148A (ko) 2019-01-02 2020-07-10 김석하 휴대용 구명백
CN110464059A (zh) * 2019-08-29 2019-11-19 苏州圣盾骑甲运动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气囊服的激发装置以及安全气囊系统
KR20220003317A (ko) 2020-07-01 2022-01-10 한국전력공사 안전 자켓
CN113287805A (zh) * 2021-05-27 2021-08-24 郑州大学 一种跌倒防护方法及可穿戴式跌倒防护装置
KR20230049918A (ko) 2021-10-07 2023-04-14 주식회사 바이크마트 신속 팽창 기능을 갖고 재사용이 가능한 에어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안전복
KR20230049920A (ko) 2021-10-07 2023-04-14 주식회사 바이크마트 신속 팽창 기능을 갖는 에어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안전복
KR20230049922A (ko) 2021-10-07 2023-04-14 주식회사 바이크마트 발열패드를 포함하는 안전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050B1 (ko) 에어백 급팽창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안전 자켓
US6230333B1 (en) Life jacket with cushioning air-bag
US10390580B2 (en) Airbag suitable for head protection
US5091992A (en) Motorcyclist's air strips
US4059852A (en) Inflatable suit for cyclists
EP19479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 bodypart
US6158380A (en) Saving apparatus for persons in avalanches
US7299507B1 (en) Protective harness for a motorcycle rider
EP3206945B1 (en) Inflator with high flow rate
US20110154561A1 (en) Motorcycle rider safety harness
KR101522759B1 (ko) 휴대용 구명팩
KR101005865B1 (ko) 격발장치와 이를 이용한 신체보호장치
JPH09301272A (ja) 水難用救命具
JP3730952B2 (ja) 緊急用エアバッグ付緩衝胴衣具
JP2002193170A (ja) 瞬時膨張装置
KR101683233B1 (ko) 공기주입장치
KR102640453B1 (ko) 휴대용 구명백
JP3060295U (ja) 緊急用ガス噴出装置及び人体用エアバッグ装置
KR102586354B1 (ko) 낙상방지 알고리즘이 적용된 에어백의 교체가 가능한 세이프백
CN211794420U (zh) 一种人体防护安全气囊服
AU738157B3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US20220175060A1 (en) Airbag device
CN211185948U (zh) 一种集充氧自救功能的头部防护气囊装置
JP2002193072A (ja) 膜膨張体
KR102238392B1 (ko) 적어도 하나의 충진식 벌룬이 장착된 구조 장치를 위한 활성화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