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9918A - 신속 팽창 기능을 갖고 재사용이 가능한 에어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안전복 - Google Patents

신속 팽창 기능을 갖고 재사용이 가능한 에어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안전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9918A
KR20230049918A KR1020210133015A KR20210133015A KR20230049918A KR 20230049918 A KR20230049918 A KR 20230049918A KR 1020210133015 A KR1020210133015 A KR 1020210133015A KR 20210133015 A KR20210133015 A KR 20210133015A KR 20230049918 A KR20230049918 A KR 20230049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gion
sheet
area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한용
전석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크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크마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크마트
Priority to KR1020210133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9918A/ko
Publication of KR20230049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9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41D13/018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inflatable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41D27/245Hems; 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속 팽창 기능을 갖고 재사용이 가능한 에어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안전복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자전거, 오토바이, 킥보드 등의 이동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라이더)가 안전을 위해 착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충돌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주입되는 가스에 의해 신속하게 팽창하는 에어백의 완충 작용을 통해 라이더를 보호할 수 있는 신속 팽창 기능을 갖고 재사용이 가능한 에어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안전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에어백부는 제 1 시트부(First Sheet Part), 제 2 시트부(Second Sheet Part), 상기 제 1 시트부와 상기 제 2 시트부 사이의 상기 내부공간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 상기 제 1 시트부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 2 시트부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접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시트부와 상기 제 2 시트부 사이의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제 1 접합부 및 상기 제 1 접합부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의 내측에서 상기 제 1 시트부의 일부와 상기 제 2 시트부의 일부가 접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속 팽창 기능을 갖고 재사용이 가능한 에어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안전복{REUSABLE AIR BAG APPARATUS WITH QUICK INFLATION AND SAFETY CLOTHING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속 팽창 기능을 갖고 재사용이 가능한 에어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안전복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자전거, 오토바이, 킥보드 등의 이동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라이더)가 안전을 위해 착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충돌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주입되는 가스에 의해 신속하게 팽창하는 에어백의 완충 작용을 통해 라이더를 보호할 수 있는 에어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안전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륜차는 사고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크고, 사고 발생 시 사용자(라이더)의 신체 손상 또는 인명사고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이륜차는 킥보드, 자전거, 오토바이 등의 이동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최근 킥보드, 자전거 등의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이륜차 라이더 안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륜차 라이더의 안전을 위해, 라이더가 착용할 수 있으며, 충돌 등의 사고 발생 시 부풀어 올라 라이더를 보호하는 에어백 장치가 개발되었다.
라이더를 보호하기 위한 종래의 에어백 장치로서 대한민국 등록공개공보 제10-1849050호[문헌 1](2018년 04월 09일 등록, 발명의 명칭 : 에어백 급팽창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안전 자켓)에서는 일자 형태의 에어백과, 에어백에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문헌 1에 따른 기술에서는 사고 발생 시 가스봄베(가스통)의 입구를 신속하게 파괴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문헌 1에 따른 기술에서는 에어백이 일자로 긴 형태를 갖기 때문에 에어백 전체에 가스를 충분히 주입하는데 상대적으로 긴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문헌 1에 따른 기술에서는 에어백을 자켓(안전복) 내부에 설치하는 과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문헌 1에 따른 기술에서는 가스봄베에서 에어백으로 향하는 가스 이동통로의 크기가 작아서 빠른 가스 주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공개공보 제10-1849050호
본 발명은 에어백에서 가스가 주입되는 경로의 길이를 줄인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스통으로부터 에어백으로 향하는 가스 주입 통로의 사이즈를 확장시키는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에어백 장치를 포함하는 안전복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급되는 전력으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발열패드를 포함하는 안전복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내부에 가스 주입을 위한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에어백부(Air Bag Part) 및 상기 내부공간에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가스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부는 제 1 시트부(First Sheet Part), 상기 제 1 시트부와 접합되는 제 2 시트부(Second Sheet Part), 상기 제 1 시트부와 상기 제 2 시트부 사이의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 상기 제 1 시트부와 상기 제 2 시트부 사이의 상기 내부공간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 상기 제 1 시트부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 2 시트부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접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시트부와 상기 제 2 시트부 사이의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제 1 접합부 및 상기 제 1 접합부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의 내측에서 상기 제 1 시트부의 일부와 상기 제 2 시트부의 일부가 접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는 제 2 시트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사고 시 충격에 의해 가스가 새는 것을 충분히 억제하거나 방지하기 위함일 수 있다.
주입구는 제 1 시트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가스 실린더의 위치에 대응하여 가스 주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접합부의 폭은 상기 제 2 접합부의 폭보다 더 넓고, 상기 제 2 접합부의 두께는 상기 제 1 접합부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 2 접합부의 두께를 두껍게 하기 위해 제 1시트부와 제 2 시트부의 사이에 추가적인 시트를 덧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에어백부는 사용자의 상체의 등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후방영역(Rear Area), 사용자의 상체의 좌측 전방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전방영역(First Front Area), 사용자의 상체의 우측 전방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전방영역(Second Front Area), 사용자의 상체의 좌측 옆구리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영역과 상기 제 1 전방영역을 연결하는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 및 사용자의 상체의 우측 옆구리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영역과 상기 제 2 전방영역을 연결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방영역, 상기 제 1 측면영역, 상기 후방영역, 상기 제 2 측면영역 및 상기 제 2 전방영역은 가로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고, 상기 가로방향에 수직하는 세로방향으로 상기 제 1 측면영역 및 상기 제 2 측면영역의 폭은 상기 세로방향으로 상기 후방영역, 상기 제 1 전방영역 및 상기 제 2 전방영역의 폭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제 1 전방영역, 상기 제 1 측면영역, 상기 후방영역, 상기 제 2 측면영역 및 상기 제 2 전방영역의 내부 공간은 서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세로방향을 기준으로, 제 1 측면영역은 상기 후방영역의 하부와 상기 제 1 전방영역의 하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 2 측면영역은 상기 후방영역의 하부와 상기 제 2 전방영역의 하부를 연결할 수 있다.
세로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측면영역과 상기 후방영역의 상측 끝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측면영역과 상기 후방영역의 하측 끝단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 2 측면영역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 1 측면영역 및/또는 제 2 측면영역은 하측의 일부가 세로방향으로 절개된 부분(절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절개영역은 세로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영역의 하측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후방영역에 형성되는 절개영역을 제 2 절개영역이라 하고, 제 1 측면영역 및/또는 제 2 측면영역에 형성되는 절개영역을 제 1 절개영역이라 할 때, 제 1 절개영역의 가로방향으로의 폭은 제 2 절개영역의 가로방향으로의 폭보다 더 작고, 제 1 절개영역의 세로방향으로의 폭은 제 2 절개부의 세로방향으로의 폭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측면영역 및 상기 제 2 측면영역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 2 접합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후방영역, 상기 제 1 전방영역 및 상기 제 2 전방영역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 2 접합부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크고, 상기 제 1 측면영역 및 상기 제 2 측면영역에서 상기 제 1 접합부와 상기 제 2 접합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1 전방영역 및 상기 제 2 전방영역에서 상기 제 1 접합부와 상기 제 2 접합부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대적으로 면적인 작은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서 가스가 충분히 용이하게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제 2 접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세로방향의 폭이 상기 가로방향으로의 폭보다 더 크고, 상기 가로방향으로 상기 제 1 측면영역 및 상기 제 2 측면영역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 2 접합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가로방향으로 상기 후방영역, 상기 제 1 전방영역 및 상기 제 2 전방영역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 2 접합부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클 수 있다.
제 1 측면영역 및 상기 제 2 측면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는 상기 가로방향으로의 폭이 상기 세로방향으로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구와 상기 제 2 접합부 사이의 간격은 인접하는 제 2 접합부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크고, 상기 주입구와 상기 제 1 접합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1 접합부와 상기 제 2 접합부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클 수 있다.
주입구 주변 영역에서 제 2 접합부를 생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스 주입 및 가스 확산을 빠르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상기 주입구와 상기 제 2 접합부 사이의 간격은 인접하는 제 2 접합부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클 수 있다.
주입구를 중심으로 하는 가스 주입 영역의 면적은 상기 배출구를 중심으로 하는 가스 배출 영역의 면적보다 더 클 수 있다.
가스 주입 영역은 주입구로부터 가장 인접한 제 1 접합부 및/또는 제 2 접합부들로 둘러싸인 영역이고,
가스 배출 영역은 배출구로부터 가장 인접한 제 1 접합부 및/또는 제 2 접합부들로 둘러싸인 영역일 수 있다.
주입구를 중심으로 하는 가스 주입 영역에서 제 1 시트부 및/또는 제 2 시트부의 두께는 다른 영역에서 제 1 시트부 및/또는 제 2 시트부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스 주입 영역에서 보조 시트를 제 1 시트부 및/또는 제 2 시트부에 덧대어 합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에어백부는 벨트부(Belt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벨트부의 강도는 에어백부의 강도보다 더 클 수 있다.
벨트부는 에어백부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에어백부를 지지할 수 있다.
벨트부는 제 1 시트부와 제 2 시트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벨트부는 제 1 시트부와 제 2 시트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내측부 및 에어백부로부터 노출되는 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노출부는 내피부와 외피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용 구조물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조적 안정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2 접합부는 상기 세로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 2 접합부들의 사이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 1 시트부 또는 상기 제 2 시트부 중 적어도 하나는 내측 표면의 거칠기가 외측 표면의 거칠기보다 더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복은 외피부(Exterior Part), 상기 외피부에 대항되는 내피부(Interior Part), 상기 외피부와 상기 내피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 공간을 포함하는 에어백부(Air Bag Part) 및 상기 에어백부의 내부 공간에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가스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부와 상기 내피부는 봉제되어 결합되고, 상기 내피부는 상기 외피부와 상기 내피부의 사이로 상기 에어백부를 삽입하기 위한 에어백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부는 상기 에어백부는 제 1 시트부(First Sheet Part), 상기 제 1 시트부와 접합되는 제 2 시트부(Second Sheet Part), 상기 제 1 시트부와 상기 제 2 시트부 사이의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 상기 제 1 시트부와 상기 제 2 시트부 사이의 상기 내부공간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 상기 제 1 시트부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 2 시트부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접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시트부와 상기 제 2 시트부 사이의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제 1 접합부 및 상기 제 1 접합부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의 내측에서 상기 제 1 시트부의 일부와 상기 제 2 시트부의 일부가 접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에어백 장치는 내부에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에어백부(Air Bag Part) 및 상기 내부공간에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가스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입구인 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주입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주입구에 대응되는 제 1 홀(First Hole)을 포함하며, 판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하는 지지판부(Supporting Plate Part), 상기 내부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며, 양쪽 끝단이 개방되고, 측벽(Side Wall)에 제 2 홀(Second Hole) 및 제 3 홀(Third Hole) 형성되는 홀더부(Holder Part), 상기 내부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주입구, 상기 제 1 홀 및 상기 제 2 홀에 대응되는 제 4 홀(Fourth Hole)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와 상기 지지판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판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하는 베이스부(Base Part), 상기 홀더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내부에 가스를 보관하는 가스통, 상기 홀더부의 타측을 막는 마개부(Stopper), 상기 홀더부의 상기 제 3 홀에 설치되는 볼 방아쇠(Ball Trigger), 상기 마개부와 상기 가스통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볼 방아쇠가 상기 제 3 홀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상기 가스통의 입구를 뚫는 공이부(Striker Part) 및 상기 공이부와 상기 마개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볼 방아쇠가 상기 제 3 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공이부와 상기 마개부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스프핑부(Spring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볼 방아쇠에 연결되는 코드부(Cord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코드부의 일단은 볼 방아쇠에 연결되고, 코드부의 타단은 오토바이, 자전거, 퀵보드 등의 탈것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백부는 제 1 시트부(First Sheet Part), 상기 제 1 시트부에 대응되는 제 2 시트부(Second Sheet Part), 상기 내부공간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출구인 배출구, 상기 제 1 시트부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시트부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접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시트부와 상기 제 2 시트부 사이에 마련되는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제 1 접합부 및 상기 제 1 접합부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서 상기 제 1 시트부의 일부와 상기 제 2 시트부의 일부가 접합되어 형성되는 제 2 접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구는 상기 제 1 시트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시트부는 상기 지지판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시트부와 상기 지지판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완충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 1 시트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완충부는 제 1 시트부와 지지판부의 사이에서 제 1 시트부에 부착될 수 있다.
제 2 완충부는 베이스부와 제 1 시트부의 사이에서 제 1 시트부에 부착될 수 있다.
제 1 완충부 및/또는 제 2 완충부는 제 1 시트부와 동일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완충부 및/또는 제 2 완충부는 제 1 시트부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시트부에서 지지판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은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베이스부의 두께는 지지판부의 두께보다 더 두껍고, 지지판부의 면적은 베이스부의 면적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제 1 완충부의 면적은 지지판부의 면적보다 더 작고, 제 2 완충부의 면적은 베이스부의 면적보다 더 클 수 있다.
제 1 완충부의 면적과 제 2 완충부의 면적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제 2 접합부 사이의 간격은 인접하는 상기 제 2 접합부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크고, 상기 세로방향으로 상기 지지판의 일측 끝단과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끝단 사이의 간격은 상기 지지판의 타측 끝단과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 끝단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크고, 상기 세로방향으로 상기 지지판의 일측 끝단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끝단보다 더 돌출되고, 상기 세로방향으로 상기 지지판의 타측 끝단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 끝단보다 더 돌출되고, 상기 홀더부의 일측 끝단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끝단보다 더 돌출되고, 상기 홀더부의 타측 끝단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 끝단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부는 상기 세로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스통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부분, 상기 제 2 홀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부분, 상기 제 3 홀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3 부분, 상기 마개부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4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홀더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블로킹부(Block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3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제 2 부분과 상기 제 4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블로킹부와 상기 제 2 홀의 경계부분에 마련되는 통로부(Passage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로부는 상기 제 2 홀 및 상기 제 4 홀과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스통에 보관된 가스가 통로부, 제 2 홀(H2), 제 4 홀(H4) 및 주입구를 통해 에어백부의 내부공간으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주입될 수 있다.
블로킹부는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블로킹부의 내부직경은 제 2 부분의 내부직경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제 2 부분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홀더부의 내부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가로방향으로의 폭이 상기 가로방향으로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의 폭보다 더 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4 부분은 상기 가로방향으로의 폭이 상기 가로방향으로 상기 제 3 부분의 폭보다 더 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공이부는 바디부(Body Part), 상기 바디부의 측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3 홀에 대응되고, 상기 볼 방아쇠가 안착되는 함몰부, 상기 가스통을 향하도록 상기 바디부의 머리부분에 배치되는 침부(Needle Part), 상기 함몰부와 상기 침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바디부를 둘레를 감싸는 링(Ring)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하는 패킹부(Packing Part) 및 상기 패킹부와 상기 침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바디부의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감소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로부터 상기 볼 방아쇠가 이탈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기 머리부분에 대항되는 바닥부분을 밀고, 상기 감소부는 상기 블로킹부와 접촉하고, 상기 침부는 일측이 열린 파이프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끝단에 위치하며 뾰족한 끝단을 갖는 부분을 포함하는 팁부(Tip Part) 및 상기 기둥부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개구부(Opening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가 상기 바디부를 감싸도록 상기 바디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패킹부의 외부직경은 상기 바디부의 외부직경 및 상기 감소부의 외부직경보다 더 크고,
상기 패킹부는 상기 바디부에 비해 탄력성이 더 큰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킹부는 고무 재질, 수지 재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소부는 상기 감소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Cutt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고, 상기 감소부가 상기 블로킹부와 접촉하는 경우에, 상기 절개부는 상기 통로부 및 상기 제 2 홀과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안전복은 내피부(Interior Part), 상기 내피부에 대응되는 외피부(Exterior Part), 상기 내피부와 상기 외피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에어백부(Air Bag Part) 및 상기 내부공간에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가스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부와 상기 외피부는 봉제되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에어백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입구인 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주입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주입구에 대응되는 제 1 홀(First Hole)을 포함하며, 판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하는 지지판부(Supporting Plate Part), 상기 외피부의 외부에 위치하며, 양쪽이 열린 파이프(Pipe)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하고, 측벽(Side Wall)에 제 2 홀(Second Hole) 및 제 3 홀(Third Hole) 형성되는 홀더부(Holder Part), 상기 외피부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주입구, 상기 제 1 홀 및 상기 제 2 홀에 대응되는 제 4 홀(Fourth Hole)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와 상기 지지판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판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하는 베이스부(Base Part), 상기 홀더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내부에 가스를 보관하는 가스통, 상기 홀더부의 타측을 막는 마개부(Stopper), 상기 홀더부의 상기 제 3 홀에 설치되는 볼 방아쇠(Ball Trigger), 상기 마개부와 상기 가스통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볼 방아쇠가 상기 제 3 홀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상기 가스통의 입구를 뚫는 공이부(Striker Part) 및 상기 공이부와 상기 마개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볼 방아쇠가 상기 제 3 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공이부와 상기 마개부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스프핑부(Spring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부 및 상기 베이스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외피부에 배치되는 제 1 포켓부(First Pocket Part) 및 제 2 포켓부(Second Pocket Part)를 더 포함하고, 홀더부 및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 1 포켓부에 대응하고, 상기 가스통은 상기 제 2 포켓부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안전복은 내피부(Interior Part), 상기 내피부에 대응되는 외피부(Exterior Part), 상기 내피부와 상기 외피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에어백부(Air Bag Part), 상기 내부공간에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가스주입부, 상기 내피부에 부착되는 발열패드부(Heating Pad Part) 및 상기 발열패드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부와 상기 외피부는 봉제되어 서로 결합되고, 상기 발열패드부는 외부층(Outer Layer), 상기 외부층에 대응되고, 상기 외부층과 결합되며, 상기 내피부를 향하는 내부층(Inner Layer) 및 상기 외부층과 상기 내부층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력 공급부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해 열을 방출하는 발열부(Heating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패드부는 내피부의 외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내피부의 내측면은 에어백을 향할 수 있다.
내피부는 발열패드부와 에어백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공급부는 상기 내피부와 상기 에어백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층의 열전달율은 외부층의 열전달율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내부층은 열차단층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에어백부는 제 1 시트부(First Sheet Part), 상기 제 1 시트부에 대응되는 제 2 시트부(Second Sheet Part), 상기 내부공간에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입구인 주입구, 상기 내부공간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출구인 배출구, 상기 제 1 시트부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시트부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접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시트부와 상기 제 2 시트부 사이에 마련되는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제 1 접합부 및 상기 제 1 합착부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서 상기 제 1 시트부의 일부와 상기 제 2 시트부의 일부가 접합되어 형성되는 제 2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패드부와 상기 에어백부가 중첩하는 영역에서, 상기 제 1 시트부의 두께는 인접 영역에서의 상기 제 1 시트부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패드부는 상기 내피부와의 탈부착을 위해 상기 내부층의 표면에 부착되는 제 1 벨크로부(First Velcro Part)를 더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발열패드부는 복수의 상기 제 1 벨크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패드부가 상기 내피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벨크로부의 사이 영역에서 상기 내부층과 상기 내피부의 사이에는 공기층(Air Gap)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공급부는 배터리부로부터 상기 발열부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거나 전력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를 수용하는 허브부(Hub Part)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부는 상기 내피부에 배치되고, 상기 허브부는 상기 내피부에 연결되는 바텀부(Bottom Part) 및 상기 바텀부에 배치되며, 상기 바텀부로부터 상기 내피부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마운드부(Mound Part)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부의 면적은 상기 마운드부의 면적보다 더 넓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바텀부와 상기 마운드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마운드부를 누르는 경우 스위치부가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될 수 있다.
상기 마운드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단자 개구부 및 상기 단자 개구부의 주변에 위치하고, 상기 마운드부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단자 개구부를 가리는 차양부(Awning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허브부는 복수의 단자 개구부와 차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단자부는 허브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패드부는 상기 발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단자부(First Terminal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공급부는 상기 스위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단자부(Second Terminal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자부와 상기 제 2 단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코드부(Connectiong Cord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코드부는 상기 제 1 단자부에 대응되는 제 1 잭(First Jack), 상기 제 2 단자부에 대응되는 제 2 잭(Second Jack), 상기 제 1 잭과 상기 제 2 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코드부(Cord Part), 상기 코드부를 덮는 커버부(Cover Part) 및 상기 커버부에 배치되며, 상기 내피부와의 탈부착을 위한 제 2 벨크로부(Second Velcro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부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전극에 대향되는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라인의 전기저항은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의 전기저장보다 더 클 수 있다.
연결라인을 발열전극이라고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제 1 전극, 상기 제 2 전극 및 상기 연결라인을 덮는 커버전극(Cover Electrod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전극의 전기저항은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의 전기저항보다 더 크고,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전극은 탄소(Carbon)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전극과 연결라인은 동일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은 각각 제 1 금속층과 상기 제 1 금속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금속층을 포함하는 코어전극(Core Electrode) 및 상기 제 1 금속층과 상기 제 2 금속층의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 금속층과 제 2 금속층의 적어도 일부가 접촉할 수 있다.
코어전극은 접힌 금속 판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코어전극의 접힌 부분에 보조전극이 위치할 수 있다.
발열부는 접힌 부분(Folded Part)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안전복의 형태에 대응하여 발열부의 형태도 변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접힌 부분에서 열 발생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에서 가스가 주입되는 경로의 길이를 줄임으로써, 에어백 전체에 가스가 고르게 주입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라이더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가스통으로부터 에어백으로 향하는 가스 주입 통로의 사이즈를 확장시킴으로써, 가스통이 공급하는 가스가 빠르고 효과적으로 에어백으로 주입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라이더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복은 내피부에 부착되는 발열패드부를 포함함으로써 라이더에게 안락한 라이딩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포함하는 안전복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3은 에어백부 및 그와 관련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 내지 도 55는 가스 주입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6 내지 도 80은 발열패드부를 포함하는 안전복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 그를 포함하는 안전복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과 교차(수직)할 수 있다.
제 1 방향(DR1)은 가로방향이라 하고, 제 2 방향(DR2)은 세로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라이더)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 또는 안전복을 착용하고 서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라이더가 서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지면과 수평한 방향을 제 1 방향(DR1)이라 하고, 높이 방향을 제 2 방향(DR2)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포함하는 안전복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복(1)은 에어백부(Air Bag Part, 10) 및 가스주입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부(10)와 가스주입부(20)를 통칭하여 에어백 장치(Air Bag Apparatus)라고 할 수 있다.
에어백부(10)는 내부에 가스 주입을 위한 내부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주입부(20)는 에어백부(10)의 내부공간에 가스를 주입(공급)할 수 있다.
에어백부(10)는 가스주입부(20)가 주입하는 가스에 의해 부풀어오를 수 있다.
이를 위해, 에어백부(10)는 주입되는 가스에 의해 부풀어오를 수 있는 튜브(Tube)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백부(10)는 튜브부(Tube Part)라고 칭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안전복(1)은 에어백부(10) 및 가스주입부(20)를 수용할 수 있으며, 라이더가 착용할 수 있는 의류(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부(10)는 의류(30)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주입부(20)는 의류(30)의 외피에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복(1)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3은 에어백부 및 그와 관련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에어백부(10)는 배출구(EH)와 주입구(IH)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구(IH)는 에어백부(10)의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홀(Hole)일 수 있다.
배출구(EH)는 에어백부(10)의 내부공간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홀일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에어백부(10)는 배출구(EH)를 막는 캡(Ca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에어백부(10)가 배출구(EH)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에어백부(10)에 주입된 가스를 배출구(EH)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서 에어백부(10)의 재사용이 용이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에어백부(10)는 제 1 시트부(First Sheet Part, 100)와 제 2 시트부(Second Sheet Part, 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시트부(100)는 라이더를 기준으로 외부를 향하고, 제 2 시트부(110)는 라이더를 향할 수 있다.
제 1 시트부(100)와 제 2 시트부(110)는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시트부(100)의 테두리부(100E)와 제 2 시트부(110)의 테두리부(110E)가 열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그러면,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시트부(100)와 제 2 시트부(110)의 사이에 가스가 주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GS)이 마련될 수 있다. 내부공간(GS)은 가스주입공간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공간(GS)은 제 1 접합부(12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제 1 접합부(120)는 제 1 시트부(100)의 테두리부(100E)의 적어도 일부와 제 2 시트부(110)의 테두리부(110E)의 적어도 일부가 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접합부(120)는 제 1 시트부(100)와 제 2 시트부(110)의 열접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내부공간(GS)에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IH)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에어백부(10)의 제 1 시트부(10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스주입부(20)를 의류(30)의 외피에 배치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내부공간(GS)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EH)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에어백부(10)의 제 2 시트부(1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등에 의해 캡이 배출구(EH)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에어백부(10)는 제 2 접합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접합부(130)는 제 1 접합부(120)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의 내측에서 제 1 시트부(100)의 일부와 제 2 시트부(110)의 일부가 접합(열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접합부(130)는 제 1 시트부(100)와 제 2 시트부(110)의 열접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제 2 접합부(130)는 가스가 주입된 상태에서 에어백부(10)의 전체적인 두께를 균일하게 유지하면서도, 라이더를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접합부(120)와 제 2 접합부(130)를 비교하면, 제 1 접합부(120)의 폭(W1)은 제 2 접합부(W2)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접합부(120)는 충분히 강하고 안정적으로 내부공간(GS)을 구획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 2 접합부(130)의 폭(W2)을 제 1 접합부(120)의 폭(W1)보다 더 작게 하면, 제 1 시트부(100) 및/또는 제 2 시트부(110)가 파괴될 정도로 과도하게 많은 양의 가스가 주입되거나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이 가해지는 극단적인 상황에서, 제 2 접합부(130)에서 제 1 시트부(100)와 제 2 시트부(110)가 분리될 수 있어서 제 1 시트부(100) 및/또는 제 2 시트부(110)를 파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6을 살펴보면, 제 2 접합부(130)의 두께(T2)는 제 1 접합부(120)의 두께(T1)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에어백부(10)의 라이더에 대한 지지력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제 2 접합부(130)의 두께(T2)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기 위해, 도 6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접합부(130)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 1 시트부(100)와 제 2 시트부(110)의 사이에 추가적인 시트(131)를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추가적인 시트(131)의 두께는 제 1 시트부(100)의 두께 및/또는 제 2 시트부(11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충분히 유사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접합부(130)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 1 시트부(100)와 제 2 시트부(110)의 사이에 배치되는 추가적인 시트(131)를 제 1 보조시트(131)라고 칭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 2 접합부(130)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 1 시트부(100)와 제 2 시트부(110)의 사이에 제 1 보조시트(131)를 배치하기 위해, 먼저 도 7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시트부(100)의 내측면에 제 1 접착층(132)를 이용하여 제 1 보조시트(131)를 부착할 수 있다.
이후, 도 7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시트부(110)와 제 1 보조시트(131)를 밀착시키고, 제 2 시트부(110) 및/또는 제 1 보조시트(131)의 적어도 일부가 녹을 수 있을 정도의 열을 가할 수 있다.
그러면, 도 7의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접합부(130)에 대응되는 영역에서는 제 1 시트부(100), 제 1 접착층(132), 제 1 보조시트(131) 및 제 2 시트부(110)가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제 2 접합부(130)의 두께(T2)를 충분히 두껍게 하기 위해서는 제 1 보조시트(131)의 두께(T23)를 제 1 시트부(100)의 두께(T21) 및/또는 제 2 시트부(110)의 두께(T22)보다 더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는,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시트부(100)와 제 2 시트부(110)의 사이에 제 1 보조시트(131)와 제 2 보조시트(133)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세하게는, 제 2 접합부(130)에 대응되는 영역에서는 제 1 시트부(100), 제 1 접착층(132), 제 1 보조시트(131), 제 2 접착층(134), 제 2 보조시트(133) 및 제 2 시트부(110)가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 2 접착부(130)의 두께(T2)를 더욱 충분히 두껍게 할 수 있다.
도 9의 (A)를 살펴보면, 제 2 접합부(130)에서 제 1 시트부(100)와 제 1 보조시트(131)가 접하는 부분의 폭(W3)은 제 2 시트부(110)와 제 1 보조시트(131)가 접하는 부분의 폭(W4)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9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시트부(100)의 최대 깊이(D1)는 제 2 시트부(110)의 최대 깊이(D2)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인접하는 두 개의 제 2 접합부(130)의 사이에 영역에서의 제 1 시트부(100)의 표면과 제 2 접합부(130)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 1 시트부(100)의 표면의 높이 차이를 D1이라 하고, 인접하는 두 개의 제 2 접합부(130)의 사이에 영역에서의 제 2 시트부(110)의 표면과 제 2 접합부(130)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 2 시트부(110)의 표면의 높이 차이를 D2라 하자.
여기서, D2는 D1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라이더)에게 더욱 안락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을 살펴보면, 제 2 접합부(130)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자세하게는, 가로방향(제 1 방향(DR1))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130)는 세로방향(제 2 방향(DR2))으로 인접하는 제 2 접합부(130)들의 사이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도 10의 (A)에서 a1 및 a3 영역에서 가로방향(DR1)으로 인접하는 제 2 접합부(130)는 중첩할 수 있다.
아울러, a2 영역에서 가로방향(DR1)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130)는 세로방향(DR2)으로 인접하는 제 2 접합부(130)들의 사이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충돌 등의 사고 발생 시에 에어백부(10)에 빠르고 효과적으로 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
도면에 표시된 화살표는 가스 주입 경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0의 (B)를 살펴보면, 세로방향(DR2)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130)의 길이(W6)는 세로방향(DR2)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제 2 접합부(130)들의 사이 간격(W7)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 2 접합부(130)는 가로방향(DR1)으로의 폭(W5)이 세로방향(DR2)으로의 폭(W6)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에어백부(10)에 더욱 빠르고 효과적으로 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
한편, 에어백부(10)를 복수의 영역(Area)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세하게는,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에어백부(10)는 후방영역(Rear Area, 11), 제 1 전방영역(First Front Area, 12), 제 2 전방영역(Second Front Area, 13),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 14) 및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 15)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영역(11)은 사용자의 상체의 등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방영역(12)은 사용자의 상체의 좌측 전방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전방영역(13)은 사용자의 상체의 우측 전방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측면영역(14)은 사용자의 상체의 좌측 옆구리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후방영역(11)과 제 1 전방영역(12)을 연결할 수 있다.
제 2 측면영역(15)은 사용자의 상체의 우측 옆구리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후방영역(11)과 제 2 전방영역(13)을 연결할 수 있다.
도 11에서와 같은 영역 구분은 설명을 편의와 이해를 돕기 위해 임의로 설정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방영역(12)은 사용자의 상체의 우측 전방부분에 대응되고, 제 2 전방영역(13)은 사용자의 상체의 좌측 전방부분에 대응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을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에어백부(10)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 1 전방영역(12)은 사용자의 상체의 좌측 전방부분에 대응되고, 제 2 전방영역(13)은 사용자의 상체의 우측 전방부분에 대응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전방영역(12), 제 1 측면영역(14), 후방영역(11), 제 2 측면영역(15) 및 제 2 전방영역(13)은 가로방향(DR1)으로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전방영역(12), 제 1 측면영역(14), 후방영역(11), 제 2 측면영역(15) 및 제 2 전방영역(13)의 내부 공간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세로방향(DR2)으로 제 1 측면영역(14) 및 제 2 측면영역(15)의 폭(Wa)은 세로방향(DR2)으로 후방영역(11)의 폭(W9) 및 제 1 전방영역(12) 및 제 2 전방영역(13)의 폭(W8)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에어백부(10)에 가스가 주입된 상태에서 에어백부(10)를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다.
세로방향(DR2)을 기준으로, 제 1 측면영역(14)은 후방영역(11)의 하부와 제 1 전방영역(12)의 하부를 연결하고, 제 2 측면영역(15)은 후방영역(11)의 하부와 제 2 전방영역(13)의 하부를 연결할 수 있다.
도 12의 (A)를 살펴보면,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은 하측의 일부가 세로방향(DR2)으로 절개된 부분(16a, 절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 형성된 절개영역(16a)을 제 1 절개영역(16a)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에어백부(10)에 가스가 주입된 상태에서 에어백부(10)를 더욱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다.
도 12의 (B)를 살펴보면, 후방영역(11)은 하측의 일부가 세로방향(DR2)으로 절개된 제 2 절개영역(16b)을 포함할 수 있다.
세로방향(DR2)으로 제 2 절개영역(16b)의 깊이(D4)는 제 1 절개영역(16a)의 깊이(D3)보다 더 깊을 수 있다.
또는, 가로방향(DR1)으로 제 2 절개영역(16b)의 폭(W11)은 제 1 절개영역(16a)의 폭(W10)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에어백부(10)에 가스가 주입된 상태에서 에어백부(10)를 더욱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에어백부(10)를 충분히 밀착시킬 수 있다.
가로방향(DR1)으로 제 2 절개영역(16b)은 세로방향(DR2)으로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보다 더 연장된 부분(a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에어백부(10)를 사용자에게 더욱 밀착시킬 수 있다.
도 13을 살펴보면,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 형성된 절개영역(16a)의 가로방향(DR1)으로의 폭을 충분히 넓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세로방향(DR2)을 기준으로, 제 1 측면영역(14)과 후방영역(11)의 상측 끝단 사이의 거리(W13)는 제 1 측면영역(14)과 후방영역(11)의 하측 끝단 사이의 거리(W12)보다 더 큰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제 2 측면영역(15)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4를 살펴보면,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130)는 다른 영역(제 1 전방영역(12), 제 2 전방영역(13) 및/또는 후방영역(11))에 형성되는 제 2 접합부(130)와 다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130)는 가로방향(DR1)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130)는 가로방향(DR1)으로의 폭이 세로방향(DR2)으로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에어백부(10)에 주입된 가스가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은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을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통과할 수 있으며,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서 에어백부(10)의 물리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서 복수의 제 2 접합부(130)들을 세로방향(DR2)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서 인접하는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17)은 후방영역(11), 제 1 전방영역(12) 및 제 2 전방영역(13)에서 인접하는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16)보다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세로방향(DR2)으로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서 인접하는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17)은 후방영역(11), 제 1 전방영역(12) 및 제 2 전방영역(13)에서 인접하는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16)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서 가스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서 제 1 접합부(120)와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19)은 제 1 전방영역(12), 제 2 전방영역(13) 및 후방영역(11)에서 제 1 접합부(120)와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18)보다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세로방향(DR2)으로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서 제 1 접합부(120)와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19)은 제 1 전방영역(12), 제 2 전방영역(13) 및 후방영역(11)에서 제 1 접합부(120)와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18)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서 가스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서 제 1 접합부(120)와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19)은 제 2 접합부(130)들 사이의 간격(W17)보다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세로방향(DR2)으로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서 제 1 접합부(120)와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19)은 제 2 접합부(130)들 사이의 간격(W17)보다 더 클 수 있다.
아울러, 제 1 전방영역(12), 제 2 전방영역(13) 및 후방영역(11)에서 제 1 접합부(120)와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18)은 제 2 접합부(130)들 사이의 간격(W16)보다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방영역(12), 제 2 전방영역(13) 및 후방영역(11)에서 제 1 접합부(120)와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18)은 제 2 접합부(130)들 사이의 간격(W16)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15를 살펴보면,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130)의 길이는 다른 영역(제 1 전방영역(12), 제 2 전방영역(13) 및/또는 후방영역(11))에 형성되는 제 2 접합부(130)의 길이와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130)의 길이(W15)는 제 1 전방영역(12), 제 2 전방영역(13) 및/또는 후방영역(11)에 형성되는 제 2 접합부(130)의 길이(W14)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서 가스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5에서는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 형성되는 제 2 접합부(130)는 세로방향(DR2)의 폭이 가로방향(DR1)으로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서 가로방향(DR1)으로 인접하는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20)은 후방영역(11), 제 1 전방영역(12) 및 제 2 전방영역(13)에서 세로방향(DR2)으로 인접하는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16)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에어백부(10)에 주입된 가스가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은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을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통과할 수 있으며,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서 에어백부(10)의 물리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서 제 1 접합부(120)와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21)은 제 1 전방영역(12), 제 2 전방영역(13) 및 후방영역(11)에서 제 1 접합부(120)와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18)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16을 살펴보면,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130)는 가로방향(DR1)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를 가지면서도,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서 복수의 제 2 접합부(130)들을 세로방향(DR2)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130)의 길이(W15)는 제 1 전방영역(12), 제 2 전방영역(13) 및/또는 후방영역(11)에 형성되는 제 2 접합부(130)의 길이(W14)보다 더 짧을 수 있다.
도 17을 살펴보면,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130)는 가로방향(DR1)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 각도(θ1)로 비스듬히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측면영역(14)에서 제 2-1 접합부(130a)는 사선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지고, 제 2-2 접합부(130b)는 가로방향(DR1)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 2-1 접합부(130a)와 제 2-2 접합부(130b)는 세로방향(DR2)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제 2-2 접합부(130b)를 기준으로 제 2-1 접합부(130a)는 소정 각도(θ1)로 비스듬히 기울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1 접합부(130a)가 제 1 전방영역(12)에서 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후방영역(11)으로 가스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제 2 측면영역(15)에서는 도 17과 대칭으로 제 2-1 접합부(130a)와 제 2-2 접합부(130b)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8을 살펴보면,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서는 하나의 제 2 접합부(130)가 배치되고, 그 하나의 제 2 접합부(130)는 가로방향(DR2)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 배치되는 제 2 접합부(130)의 길이 및 폭은 제 1 전방영역(12), 제 2 전방영역(13) 및/또는 후방영역(11)에 배치되는 제 2 접합부(130)의 길이 및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19를 살펴보면,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130)가 세로방향(DR2)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130)는 가로방향(DR1)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θ1)로 기울어지는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측면영역(14) 및/또는 제 2 측면영역(15)에서의 충분한 공간 확보를 위해 절개영역이 생략될 수 있다.
도 20을 살펴보면, 제 1 전방영역(12) 및 제 2 전방영역(13)에서 가로방향(DR1)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23)은 제 1 접합부(120)와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22)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아울러, 제 1 전방영역(12), 제 2 전방영역(13) 및 후방영역(11)에서 세로방향(DR2)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16)은 제 1 접합부(120)와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18)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에어백부(10)의 테두리 영역에서 충분한 쿠션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1을 살펴보면, 에어백부(10)의 제 1 전방영역(12)에서는 가스 주입을 위한 주입구(IH)의 주변에 신속하고 효과적인 가스 주입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주입구(IH)와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은 인접하는 제 2 접합부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로방향(DR1)으로 주입구(IH)와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25)은 인접하는 가로방향(DR1)으로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23)보다 더 클 수 있다. 아울러, 세로방향(DR2)으로 주입구(IH)와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27)은 인접하는 세로방향(DR1)으로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16)보다 더 클 수 있다.
아울러, 가로방향(DR1)으로 주입구(IH)와 제 1 접합부(120) 사이의 간격(W24)은 가로방향(DR1)으로 제 1 접합부(120)와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22)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에어백부(10)의 내부공간(GS)으로 가스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주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스 주입 시의 충격으로 에어백부(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주입구(IH)를 기준으로 주변 영역을 주입 영역(IAR)이라 하고, 배출구(EH)를 기준으로 주변 영역을 배출 영역(EAR)이라 할 때, 주입 영역(IAR)의 넓이는 배출 영역(EAR)의 넓이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22의 (A) 및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로방향(DR1)으로 주입구(IH)와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25)은 가로방향(DR1)으로 배출구(EH)와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31)보다 더 클 수 있다.
세로방향(DR2)으로 주입구(IH)와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27)은 세로방향(DR2)으로 배출구(EH)와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30)보다 더 클 수 있다.
아울러, 가로방향(DR1)으로 주입구(IH)와 제 1 접합부(120) 사이의 간격(W24)은 세로방향(DR2)으로 배출구(EH)와 제 1 접합부(120) 사이의 간격(W32)보다 더 클 수 있다.
한편, 에어백부(10)로의 가스 주입 시 주입충격에 의해 에어백부(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보조시트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3 내지 도 2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입구(IH)에 대응하여 제 3 보조시트(140)를 배치하고, 배출구(EH)에 대응하여 제 4 보조시트(141)를 배치할 수 있다.
제 4 보조시트(141)는 배출구(EH)에 대응되는 홀(EH)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3 보조시트(140)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130)와 중첩할 수 있다.
또는, 제 3 보조시트(140)는 제 1 접합부(120)의 일부와 중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에어백부(10)에서 제 3 보조시트(140)와 중첩하는 영역을 제 1 보조시트 영역(AAR1)이라고 칭할 수 있다.
A3-A4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도 2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보조시트 영역(AAR1)에서는 제 3 보조시트(140)는 제 1 시트부(100)와 제 2 시트부(1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보조시트 영역(AAR1)에서 제 2 접합부(130)의 두께는 제 1 보조시트 영역(AAR1)에 인접하는 제 2 접합부(130)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A5-A6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도 26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보조시트 영역(AAR1)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130)는 제 3 보조시트(140)와 중첩하는 영역(130e1) 및 제 3 보조시트(140)와 중첩하지 않는 영역(130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접합부(130)에서는 제 3 보조시트(140)와 중첩하는 영역(130e1)에서는 제 1 시트부(100)와 제 2 시트부(110)의 사이에 제 3 보조시트(140)가 위치할 수 있다.
제 2 접합부(130)에서는 제 3 보조시트(140)와 중첩하는 영역(130e1)에서의 두께는 제 3 보조시트(140)와 중첩하지 않는 영역(130e2)에서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A7-A8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도 26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접합부(120)는 제 3 보조시트(140)와 중첩하는 영역 및 제 3 보조시트(140)와 중첩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접합부(120)에서는 제 3 보조시트(140)와 중첩하는 영역에서는 제 1 시트부(100)와 제 2 시트부(110)의 사이에 제 3 보조시트(140)가 위치할 수 있다.
제 1 접합부(120)에서는 제 3 보조시트(140)와 중첩하는 영역에서의 두께는 제 3 보조시트(140)와 중첩하지 않는 영역에서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도 2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에어백부(10)에서 제 4 보조시트(141)와 중첩하는 영역을 제 2 보조시트 영역(AAR2)이라고 칭할 수 있다.
제 4 보조시트(141)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접합부(130)와 중첩할 수 있다.
아울러, 제 4 보조시트(141)는 제 1 접합부(120)의 일부와 중첩할 수 있다.
도 27의 내용은 앞선 도 26의 (A) 및 (B)를 통해 충분히 이해될 수 있다.
에어백부(10)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에어백부(10)의 벽두께를 전체적으로 두껍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에어백부(10)이 전체 무게가 과도하게 증가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 3 보조시트(140) 및/또는 제 4 보조시트(141)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에어백부(10)에서 주입구(IH) 및/또는 배출구(EH)의 주변의 강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에어백부(10)의 전체적인 무게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제 1 시트부(100) 및/또는 제 2 시트부(110)의 안쪽면(내측 표면, IRS)의 거칠기는 외부면(외측 표면, ORS)의 거칠기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시트부(100)의 안쪽면(IRS)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돌기부(100P)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 2 시트부(110)의 안쪽면(IRS)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돌기부(110P)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시트부(100)와 제 2 시트부(110)가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거나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제 1 돌기부(100P) 및/또는 제 2 돌기부(110P)는 충분히 높은 온도의 열에 녹을 수 있는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시트부(100)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돌기부(100P)가 형성되거나, 제 2 시트부(110)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돌기부(110P)가 형성되더라도 제 1 접합부(120) 및 제 2 접합부(130)의 접합력을 약화시키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에어백부(10)는 벨트부(Belt Part, 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에어백부(10)에는 에어백부(10)를 가로방향(DR1)으로 가로지르는 타입으로 벨트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벨트부(150)는 제 1 시트부(100) 및 제 2 시트부(110)보다 강성이 큰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벨트부(150)는 플라스틱 재질 혹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에어백부(10)가 벨트부(15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에어백부(10)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벨트부(150)는 에어백부(10)의 전체적인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의류(30)의 내부에서 에어백부(10)가 충분히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도록 할 수 있다.
에어백부(10)에 벨트부(150)를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해, 에어백부(10)는 제 3 접합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접합부(121)는 제 1 시트부(100)의 테두리부의 일부와 제 2 시트부(110)의 테두리부의 일부가 열접합 등의 방식에 의해 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벨트부(150)는 제 1 시트부(100)와 제 2 시트부(11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A9-A10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도 3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벨트부(150)는 제 1 접합부(120)와 제 3 접합부(121)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을 포함할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세로방향(DR2)으로 벨트부(150)의 일측에는 제 1 접합부(120)가 위치하고, 벨트부(150)의 타측에는 제 3 접합부(121)가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세로방향(DR2)으로 제 1 접합부(120)의 폭(W1)은 제 3 접합부(121)의 폭(W33)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31을 살펴보면, 가로방향(DR1)으로 벨트부(150)의 양쪽 끝단(151, 152)은 에어백부(10)의 제 1 시트부(100) 및 제 2 시트부(110)로부터 더 돌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벨트부(150)의 양쪽 끝단(151, 152)을 의류(30)에 연결 혹은 고정할 수 있어서 에어백부(10)를 의류(30)에 설치하는데 있어서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벨트부(150)의 양쪽 끝단(151, 152)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의류(30)의 내피부와 외피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용 구조물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2를 살펴보면, 에어백부(10)는 의류(30)의 외피부(Exterior Part, 31)와 내피부(Interior Part, 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에어백부(10)로의 가스 주입 시에 에어백부(10)가 사용자(라이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의류(30)의 외피부(31)와 내피부(32)는 봉제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의류(30)는 외피부(31)에 배치되는 제 1 포켓부(First Pocket Part, 34)와 제 2 포켓부(Second Pocket Part, 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포켓부(34)와 제 2 포켓부(35)는 가스 주입부(20)를 안정적으로 배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포켓부(34)는 가스 주입부(20)의 홀더부 및 베이스부에 대응되고, 가스 주입부(20)의 가스통은 제 2 포켓부(35)에 대응될 수 있다.
도 35를 살펴보면, 의류(30)는 에어백부(10)를 삽입하기 위한 에어백 삽입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 삽입부(33)는 세로방향(DR2)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에어백부(10)를 에어백 삽입부(33)를 통해 용이하게 의류(30)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스 주입부(20)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4 내지 도 55는 가스 주입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34를 살펴보면, 에어백부(10)의 내부공간(GS)에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가스 주입부(20)는 지지판부(Supporting Plate Part, 210), 홀더부(Holder Part, 200), 베이스부(Base Part, 220), 가스통(240), 마개부(Stopper, 230), 볼 방아쇠(Ball Trigger, 250), 공이부(Striker Part, 미도시) 및 스프핑부(Spring Part,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부(210)는, 에어백부(10)의 내부공간(GS)의 안쪽에 위치하고, 판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하며, 가스 주입부(20)를 지지할 수 있다.
홀더부(200)는 에어백부(10)의 내부공간(GS)의 외부에 위치하며, 양쪽이 열린 파이프(Pipe)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홀더부(2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공이부와 스프링부를 수용할 수 있다.
베이스부(220)는 에어백부(10)의 내부공간(GS)의 외부에 위치하고, 판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하며, 홀더부(200)와 지지판부(2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220)는 지지판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류, 핀, 리벳 등의 제 1 체결수단(FM1)에 의해 베이스부(220)와 지지판부(210)가 연결될 수 있다.
가스통(240)은 홀더부(200)의 일측에 연결되고, 내부에 가스를 보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스통(240)은 고압으로 압축된 가스를 보관할 수 있다.
마개부(230)는 홀더부(200)의 타측에 연결되어, 타측을 막을 수 있다.
볼 방아쇠(250)는 홀더부(200)에 형성된 홀에 설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공이부는 홀더부(200)에서 마개부(230)와 가스통(240)의 사이에 배치되고, 볼 방아쇠(250)가 홀더부(200)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가스통(240)의 입구를 뚫을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프링부는 홀더부(200)에서 공이부와 마개부(230)의 사이에 배치되고, 공이부와 마개부(230)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가스 주입부(20)의 각 부분에 대해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5의 (A) 및 (B)를 살펴보면, 지지판부(210)는 에어백부(10)의 주입구(IH)에 대응되는 제 1 홀(First Hole, H1)을 포함하며, 판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판부(210)는 제 1 체결수단(FM1)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 1 체결홀(FH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체결홀(FH1)은 제 1 홀(H1)의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35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판부(210)는 상측부분(211)과 하측부분(2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측부분(211)은 가스 주입부(20)의 가스통(240)에 대응될 수 있다.
하측부분(212)은 가스 주입부(20)의 베이스부(220)에 대응될 수 있다.
하측부분(212)에는 복수의 제 1 체결홀(FH1)과 제 1 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가로방향(DR1)으로 하측부분(212)의 평균폭은 상측부분(211)의 평균폭보다 더 클 수 있다.
또는, 가로방향(DR1)으로 하측부분(212)의 하부폭(S1)은 상측부분(211)의 상부폭(S2)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판부(210)가 가스 주입부(20)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으며, 지지판부(21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가스를 보관하는 가스통(240)은 길이가 긴 통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가스통(240)에 대응되는 상측부분(211)의 평균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도 상측부분(211)은 가스통(240)이 사용자(라이더)를 압박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충분히 억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6을 살펴보면, 베이스부(220)는 제 1 체결홀(FH1)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 2 체결홀(FH2) 및 제 1 홀(H1)에 대응되는 제 4 홀(H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체결수단(FM1)은 제 1 체결홀(FH1)과 제 2 체결홀(FH2)을 통해 베이스부(220)와 지지판부(21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37을 살펴보면, 지지판부(210)와 베이스부(220)의 사이에 제 1 시트부(100)의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지지판부(210)와 베이스부(220)는 제 1 시트부(1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판부(210)와 베이스부(2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홀(H1), 주입구(IH) 및 제 4 홀(H4)이 중첩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지지판부(210)와 베이스부(2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홀(H1), 주입구(IH) 및 제 4 홀(H4)이 연결될 수 있다.
세로방향(DR2)으로 지지판부(210)의 폭(S3)은 세로방향(DR2)으로 베이스부(220)의 폭(S4)보다 더 클 수 있다.
아울러, 지지판부(210)의 면적은 베이스부(220)의 면적보다 더 넓을 수 있다.
한편, 지지판부(210)와 베이스부(220)의 사이에 영역에서 제 1 시트부(100)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38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판부(210)와 제 1 시트부(100)의 사이에 제 5 보조시트(210a)를 배치하고, 베이스부(220)와 제 1 시트부(100)의 사이에 제 6 보조시트(220a)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시트부(100)와 제 5 보조시트(210a)의 사이 및 제 1 시트부(100)와 제 6 보조시트(220a)의 사이에 각각 소정의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판부(210)와 베이스부(220)의 사이에서 에어백부(10)의 물리적 강도를 향상시키고, 에어백부(10)의 내부공간(GS)을 더욱 효과적으로 밀봉할 수 있다.
제 5 보조시트(210a) 및 제 6 보조시트(220a)가 지지판부(210)와 베이스부(220)의 사이에서 충분한 탄력성을 제공하는 것을 고려하면, 제 5 보조시트(210a)를 제 1 완충부라고 칭하고 제 6 보조시트(220a)를 제 2 완충부라고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5 보조시트(210a) 및 제 6 보조시트(220a)의 재질은 제 1 시트부(100)의 재질과 동일할 수 있다.
또는, 제 5 보조시트(210a) 및 제 6 보조시트(220a)의 두께는 제 1 시트부(100)의 두께와 동일한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 5 보조시트(210a) 및 제 6 보조시트(220a)에 의해, 지지판부(210)와 베이스부(220)의 사이에 영역에서 제 1 시트부(100)의 두께는 인접하는 다른 영역에서의 제 1 시트부(100)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판부(210)와 베이스부(220)의 사이에 영역에서 제 1 시트부(100)의 두께는 지지판부(210)와는 중첩하지만 베이스부(220)와는 중첩하는 않는 영역에서 제 1 시트부(100)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여기서, 제 5 보조시트(210a)의 면적은 지지판부(210)의 면적보다 더 작고, 제 6 보조시트(220a)의 면적은 베이스부(220)의 면적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아울러, 제 5 보조시트(210a)와 제 6 보조시트(220a)의 면적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또는, 도 38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220)의 두께(S5)는 지지판부(210)의 두께(S6)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판부(210)가 가스 주입부(20)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지지판부(21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도 39를 살펴보면, 홀더부(200)는 일측에 제 1 개구부(OP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개구부(OP1)는 홀더부(200)의 양쪽 개구부 중 하나일 수 있다.
제 1 개구부(OP1)의 내측면에는 제 1 나사선부(HX1)가 형성될 수 있다.
홀더부(200)의 측벽(Side Wall)에는 제 3 홀(Third Hole, H3)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부(200)의 제 3 홀(H3)에는 볼 방아쇠(250)가 배치될 수 있다.
볼 방아쇠(250)에는 줄(251)의 일단 부분이 연결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줄(251)의 타단 부분은 오토바이, 자전거, 킥보드 등의 이동수단에 연결될 수 있다.
홀더부(200)에는 공이부(270)와 스프링부(260)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홀더부(200)의 타측에는 마개부(23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40 내지 도 41을 살펴보면, 홀더부(200)는 세로방향(DR2)을 기준으로 제 1 부분(201), 제 2 부분(202), 제 3 부분(203) 및 제 4 부분(20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 1 부분(201)은 가스통(240)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부분(202)은 제 1 부분(201)에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부분(202)에는 제 2 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홀(H2)은 제 4 홀(H4), 주입구(IH), 및 제 1 홀(H1)에 대응될 수 있다.
제 3 부분(203)은 제 3 홀(H3)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4 부분(204)은 마개부(230)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로방향(DR2)을 기준으로 제 2 부분(202)은 제 1 부분(201)과 제 3 부분(203)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 3 부분(203)은 제 2 부분(202)과 제 4 부분(204)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0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3 부분(203)의 높이(S8)는 제 1 부분(201) 및 제 2 부분(202)의 높이(S7)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아울러, 제 4 부분(204)의 높이(S9)는 제 1 부분(201) 및 제 2 부분(202)의 높이(S7)보다 더 클 수 있다.
아울러, 도 40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3 부분(203)의 가로방향(DR1)으로의 폭(S11)은 제 1 부분(201) 및 제 2 부분(202)의 폭(S10)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3 부분(203)에서 볼 방아쇠(250)를 위한 제 3 홀(H3)을 형성하는데 용이할 수 있으며, 제 3 홀(H3)에 배치된 볼 방아쇠(250)가 공이부(270)를 효과적으로 단속할 수 있다.
아울러, 제 4 부분(204)의 폭(S12)은 제 3 부분(203)의 폭(S11)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다 큰 사이즈의 마개부(230)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부(26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4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홀더부(200)는 양쪽 끝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1에는 홀더부(200)의 단면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자세하게는, 홀더부(200)의 일측 끝단에는 제 1 개구부(OP1)가 형성되고, 홀더부(200)의 타측 끝단에는 제 2 개구부(OP2)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홀더부(200)의 제 1 부분(201)에 제 1 개구부(OP1)가 위치하고, 제 4 부분(204)에 제 2 개구부(OP2)가 위치할 수 있다.
제 2 개구부(OP2)의 직경(S14)은 제 1 개구부(OP1)의 직경(S13)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41의 (A)와 (B)를 비교하면, 도 41의 (B)의 경우에서 (A)의 경우에 비해 제 1 개구부(OP1)의 직경(S13)과 제 2 개구부(OP2)의 직경(S14)의 차이가 더 클 수 있다.
홀더부(200)에서 제 2 홀(H2)과 제 3 홀(H3)은 반대방향을 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홀더부(200)의 제 2 부분(202)의 측벽에 제 2 홀(H2)이 형성되고, 제 2 홀(H2)은 도 41을 기준으로 하부를 향할 수 있다.
홀더부(200)의 제 3 부분(203)의 측벽에 형성되는 제 3 홀(H3)은 도 41을 기준으로 상부를 향할 수 있다.
홀더부(200)의 제 1 부분(201)은 내부에 제 1 공간(SP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공간(SP1)은 홀더부(200)에 가스통(240)을 연결하기 위한 공간일 수 있다.
홀더부(200)에 가스통(240)을 안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 1 공간(SP1)의 내측 벽면에는 제 1 나사선부(HX1)가 형성될 수 있다.
홀더부(200)의 제 4 부분(204)은 내부에 제 2 공간(S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공간(SP2)은 홀더부(200)에 마개부(230)를 연결하고, 스프링부(260)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일 수 있다.
홀더부(200)에 마개부(230)를 안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 2 공간(SP2)의 내측 벽면에는 제 2 나사선부(HX2)가 형성될 수 있다.
홀더부(200)의 제 3 부분(203)은 내부에 제 3 공간(SP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공간(SP3)은 홀더부(200) 내에서 공이부(270)가 배치되고, 공이부(270)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일 수 있다.
제 1 공간(SP1), 제 2 공간(SP2) 및 제 3 공간(SP3)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제 3 홀(H3) 및 제 2 홀(H2)은 제 1 공간(SP1), 제 2 공간(SP2) 및 제 3 공간(SP3)에 연결될 수 있다.
홀더부(200)의 제 1 부분(201)과 제 2 부분(202)의 경계 부분에는 홀더부(200)의 내측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블로킹부(Blocking Part, 20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2의 (A)를 살펴보면, 홀더부(200)의 제 1 부분(201)에는 가스통(240)이 연결될 수 있다.
홀더부(200)와 가스통(240)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 가스통(240)의 끝단 부분에는 제 1 나사선부(HX1)에 대응되는 제 3 나사선부(부호 미지정)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나사선부(HX1)와 제 3 나사선부가 맞물리면서 가스통(240)은 홀더부(200)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가스통(240)이 홀더부(200)에 연결된 상태에서, 가스통(240)의 끝단은 블로킹부(205)에 충분히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홀더부(200)의 제 4 부분(204)에는 마개부(230)가 연결될 수 있다.
홀더부(200)와 마개부(230)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 마개부(230)는 제 2 나사선부(HX2)에 대응되는 제 4 나사선부(부호 미지정)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나사선부(HX2)와 제 4 나사선부가 맞물리면서 마개부(230)는 홀더부(200)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마개부(230)가 홀더부(200)에 연결된 상태에서, 마개부(230)는 스프링부(260)를 강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홀더부(200)의 내부에는 공이부(270)와 스프링부(260)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홀더부(200)의 내부에서 블로킹부(205)와 마개부(230)의 사이에 공이부(270)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공이부(270)와 마개부(230)의 사이에 스프링부(26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프링부(260)는 충분히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홀더부(200)의 제 3 홀(H3)에는 볼 방아쇠(250)가 배치될 수 있다.
볼 방아쇠(250)는 홀더부(200)의 제 3 홀(H3)에 배치된 상태에서, 스프링부(260)의 압축 상태를 유지(Yuji)함으로써, 공이부(270)를 단속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히 될 수 있다.
도 42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공이부(270)는 스프링부(260)와 가스통(2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볼 방아쇠(250)가 제 3 홀(H3)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부(260)가 확장되면서 공이부(270)를 가스통(240)을 향해 충분히 강하게 밀어낼 수 있다.
그러면, 스프링부(260)가 미는 힘에 의해 공이부(270)는 가스통(240)의 입구를 뚫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면, 가스통(240)에 담긴 가스가 분출되어 제 2 홀(H2)을 통해 에어백부(10)의 내부공간(GS)으로 진입하고, 에어백부(10)를 부풀릴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에어백부(10)가 충분히 부풀어 오르는 경우에는 에어백부(10)는 사용자(라이더)를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홀더부(200)의 제 2 부분(202)은 제 3 부분(203)으로부터 제 2 홀(H2)로 접근할수록 내부의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3 홀(H3)에 인접하는 영역에서 홀더부(200)의 제 2 부분(202)의 내부 직경(S15)은 제 2 홀(H2)에 인접하는 영역에서 홀더부(200)의 제 2 부분(202)의 내부 직경(S16)보다 더 클 수 있다.
아울러, 제 3 홀(H3)에서 제 2 홀(H2)로 접근할수록 제 2 부분(202)의 내부 직경은 S15에서 S16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볼 방아쇠(250)가 제 3 홀(H3)로부터 이탈함으로써 스프링부(260)가 공이부(270)를 가스통(240)을 향해 밀어내는 과정에서, 공이부(270)를 홀더부(200)의 내부 측벽에 밀착시킬 수 있어서 공이부(270)와 홀더부(200)의 내부 측벽의 사이로 가스가 새는 것을 방지하거나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도 44를 살펴보면, 베이스부(220)는 홀더부(2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홀더부(200)는 베이스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부(220)는 홀더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부(220)는 홀더부(2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4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로방향(DR1)으로 베이스부(220)의 폭(S19)은 홀더부(200)의 폭(S20)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44의 (A)는 관찰자가 세로방향(DR2)으로 홀더부(200)의 제 1 부분(201)을 바라보는 상황에서 홀더부(200)와 베이스부(220)의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44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220)의 제 4 홀(H4)은 홀더부(200)의 제 2 홀(H2)에 대응(연결)될 수 있다.
세로방향(DR2)으로 베이스부(220)의 폭은 홀더부(200)의 폭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세로방향(DR2)으로 홀더부(200)의 일측은 베이스부(220)보다 소정 폭(S17) 만큼 더 돌출(연장)될 수 있다.
아울러, 세로방향(DR2)으로 홀더부(200)의 타측은 베이스부(220)보다 소정 폭(S18) 만큼 더 돌출(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부(220)에서 제 4 홀(H4)을 기준으로, 제 4 홀(H4)부터 베이스부(220)의 일측 사이의 간격(S26)은 제 4 홀(H4)로부터 베이스부(220)의 타측 사이의 간격(S27)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220)의 일측은 홀더부(200)의 제 1 개구부(OP1)를 향하고, 베이스부(220)의 타측은 홀더부(200)의 제 2 개구부(OP2)를 향할 수 있다.
도 45를 살펴보면, 홀더부(200)에 가스통(240)이 연결될 상태에서, 세로방향(DR2)으로 가스통(240)은 지지판부(210)보다 소정 폭(S21) 만큼 더 돌출(연장)될 수 있다.
가스통(240)의 관점에서는, 가스통(240)에서 지지판부(210)와 중첩되는 부분의 폭(S22)은 지지판부(210)와 중첩되지 않는 부분(지지판부(210)보다 더 연장되는 부분)의 폭(S21)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판부(210)는 가스통(240)이 사용자(라이더)를 압박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하면서도 안전복(1)의 전체 무게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판부(210)의 관점에서 보면, 지지판부(210)에서 베이스부(220)의 일측보다 더 돌출(연장)되는 부분의 폭(S30)은 베이스부(220)의 타측보다 더 돌출(연장)되는 부분의 폭(S31)보다 더 클 수 있다.
아울러, 홀더부(200)는 지지판부(210)의 타측보다 소정 폭(S23) 만큼 더 돌출(연장)될 수 있다.
도 46의 (A)를 살펴보면, 블로킹부(205)가 형성된 부분에서 홀더부(200)의 내부 공간의 직경(S25)은 홀더부(200)의 제 2 부분(202)에서의 내부 공간의 직경(S24)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부(260)가 공이부(270)를 밀어내는 경우에, 공이부(270)는 블로킹부(205)에 걸려 더 이상 앞으로 진입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이부(270)가 가스통(240)의 입구부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6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블로킹부(205)는 링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블로킹부(205)는 통로부(Passage Part, PA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로부(PAP)는 블로킹부(205)의 일부가 생략되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블로킹부(205)는 일부가 생략된 링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홀더부(200)의 제 1 부분(201)에서 A13-A14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도 47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47의 (A)는 가스통(240)이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홀더부(200)의 제 1 부분(201)에서 A11-A12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도 47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블로킹부(205)에 의해 홀더부(200)의 내부 직경(S25)이 도 47의 (A)에 비해 작아질 수 있다.
아울러, 블로킹부(205)의 통로부(PAP)가 제 2 홀(H2) 및 제 4 홀(H4)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블로킹부(205)의 통로부(PAP)는 제 2 홀(H2) 및 제 4 홀(H4)과 중첩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블로킹부(205)의 통로부(PAP)는 제 2 홀(H2) 및 제 4 홀(H4)과 연통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48을 살펴보면, 블로킹부(205)의 일부가 생략되어 형성되는 통로부(PAP)가 제 2 홀(H2) 및 제 4 홀(H4)과 연통되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4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홀더부(200)에 가스통(240)이 연결되면, 가스통(240)의 입구(241)가 블로킹부(205)에 충분히 근접할 수 있다.
가스통(240)의 입구(241)는 가스가 분출되는 곳으로서, 가스통(240)의 출구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 3 홀(H3)로부터 볼 방아쇠(250)가 이탈하면, 공이부(270)는 스프링부(260)가 미는 힘에 의해 가스통(240)을 향해 이동하여 가스통(240)의 입구(241)를 파괴할 수 있다.
그러면, 가스통(240)에 보관되어 있던 고압의 가스가 통로부(PAP), 제 2 홀(H2) 및 제 4 홀(H4)을 통해 에어백부(10)로 공급될 수 있다.
가스통(240)의 입구(241)를 파괴하기 위한 공이부(270)는 바디부(Body Part, 271), 함몰부(272), 침부(Needle Part, 273), 패킹부(Packing Part, 274) 및 감소부(275)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271)는 원통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272)는 바디부(271)의 측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함몰부(272)는 제 3 홀(H3)에 대응될 수 있으며, 함몰부(272)가 제 3 홀(H3)에 대응되는 경우에 함몰부(272)에는 볼 방아쇠(250)가 안착될 수 있다.
침부(273)는 가스통(240)의 입구(241)를 파괴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디부(271)의 머리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침부(273)는 가스통(240)을 향할 수 있다.
패킹부(274)는 바디부(271)에서 함몰부(272)와 침부(273) 사이에 배치되고, 바디부(271)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바디부(27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패킹부(274)는 링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274)는 공이부(270)와 홀더부(200)의 내부 공간의 사이의 틈새로 가스가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패킹부(274)는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감소부(275)는 패킹부(274)와 침부(273)의 사이에 위치하며, 바디부(271)의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이부(270)에서 함몰부(272)로부터 볼 방아쇠(250)가 이탈하는 경우, 스프링부(260)는 바디부(271)의 머리부분에 대항되는 바닥부분을 밀어낼 수 있다.
그러면, 공이부(270)가 가스통(240)을 향해 이동하고, 여기서 공이부(270)의 감소부(275)는 블로킹부(205)와 접촉할 수 있다.
감소부(275)가 블로킹부(205)에 접촉하면 공이부(270)의 가스통(240)을 향한 이동이 저지될 수 있다.
도 50을 살펴보면, 침부(273)는 기둥부(273a), 팁부(Tip Part, 273b) 및 개구부(Opening Part, 273c)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부(273a)는 일측이 열린 파이프 형태를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둥부(273a)는 내부에 가스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팁부(273b)는 기둥부(273a)의 끝단에 위치하며 뾰족한 끝단을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팁부(273b)는 기둥부(273a)의 내부 통로를 개방하기 위한 팁 개구부(273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팁부(273b)는 가스통(240)의 입구(241)를 파괴할 수 있다.
개구부(273c)는 기둥부(273a)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73c)에 의해 기둥부(273a)의 내부 통로는 충분히 개방될 수 있다.
공이부(270)가 가스통(240)에 충분히 근접하게 되면, 공이부(270)의 침부(273)가 가스통(240)의 입구(241)를 파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침부(273)의 적어도 일부는 가스통(24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이처럼 침부(273)의 적어도 일부가 가스통(240)의 내부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가스통(240)에 보관되어 있는 가스는 팁부(273b)의 팁 개구부(273d)를 통해 기둥부(273a)의 내부 통로로 진입하고, 이후 개구부(273c)를 통해 침부(273)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처럼, 침부(273)의 외부로 방출된 가스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로부(PAP), 제 2 홀(H2) 및 제 4 홀(H4)을 통해 에어백부(10)로 주입될 수 있다.
도 51을 살펴보면, 공이부(270)의 감소부(275)는 감소부(275)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Cutting Part, 275a)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275a)를 함몰부라고 칭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절개부(275a)는 침부(273)의 개구부(273c)와 연통될 수 있다.
도 52의 (A) 및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방법으로 공이부(270)가 가스통(240)의 입구(241)를 파괴하는 경우에, 공이부(270)의 감소부(275)는 홀더부(200)의 블로킹부(205)와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절개부(275a)는 통로부(PAP), 제 2 홀(H2) 및 제 4 홀(H4)과 연통될 수 있다.
가스통(240)의 입구(241)가 파괴되면, 침부(273)의 개구부(273c)를 통해 배출된 가스는 절개부(275a)를 통해 통로부(PAP), 제 2 홀(H2) 및 제 4 홀(H4)로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스통(240)에 담겨있던 가스가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에어백부(10)로 주입될 수 있다. 그러면, 에어백부(10)는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팽창할 수 있다.
가스통(240)의 가스를 에어백부(10)로 보다 빠르게 주입하기 위해, 도 5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침부(273)는 두께 보강부(273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두께 보강부(273e)의 직경은 기둥부(273a)의 직경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침부(273)가 파괴하는 가스통(240)의 입구(241)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가스통(240)의 가스를 에어백부(10)로 주입할 수 있다.
도 54를 살펴보면, 두께 보강부(273e)는 세로방향(DR2)으로 절개부(275a)와 중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스통(240)으로부터의 가스 주입 통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55를 살펴보면, 가스 주입부(20)는 에어백부(10)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가스 주입부(20)는 에어백부(10)의 제 1 시트부(100)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판부(210)는 에어백부(10)의 내부, 즉 제 1 시트부(100)와 제 2 시트부(110)의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가스통(240)으로부터 에어백부(10)로 가스를 보다 빠르게 주입하기 위해, 가스 주입부(20)에 인접하는 영역에는 제 2 접합부(130)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220)와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은 인접하는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로방향(DR1)으로 베이스부(220)와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28)은 인접하는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23)보다 더 클 수 있다.
아울러, 세로방향(DR2)으로 베이스부(220)와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은 인접하는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16)보다 더 클 수 있다.
가로방향(DR1)으로 베이스부(220)와 제 1 접합부(120) 사이의 간격(W29)은 제 1 접합부(120)와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22)보다 더 클 수 있다.
가로방향(DR1)으로 베이스부(220)와 제 2 접합부(130) 사이의 간격(W28)은 제 2 접합부(130)들 사이의 간격(W23)보다 더 클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발열패드부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6 내지 도 80은 발열패드부를 포함하는 안전복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5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복(1)은 적어도 하나의 발열패드부(Heating Pad Part, 40)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패드부(40)는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라이더)는 추운 날씨에서도 안락함을 느낄 수 있다.
발열패드부(40)는 제 1 발열패드부(41), 제 2 발열패드부(42) 및 제 3 발열패드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발열패드부(41)는 사용자의 오른쪽 어깨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발열패드부(42)는 사용자의 등허리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발열패드부(43)는 사용자의 왼쪽 어깨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발열패드부(40)가 제 1, 2, 3 발열패드부(41, 42, 43)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발열패드부(40)는 하나의 단일 패드(Single Pad)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2개 혹은 4개 이상의 발열패드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발열패드부(40)의 위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57을 살펴보면, 발열패드부(40)는 의류(30)의 내피부(32)에 부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발열패드부(40)는 내피부(32)의 외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발열패드부(40)는 내피부(32)에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복(1)은 발열패드부(4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50)는 배터리부(51)와 스위치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부(51)는 발열패드부(4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부(51)는 의류(30)에 마련된 배터리 수용부(미도시)에 수용될 수 있다.
배터리 수용부는 주머니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스위치부(52)는 스위칭 동작으로 배터리부(51)가 공급하는 전력을 적어도 하나의 발열패드부(40)로 공급하거나, 발열패드부(40)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공급부(50)는 의류(30)의 내피부(32)와 외피부(31)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8을 살펴보면, 발열패드부(40)는 외부층(Outer Layer, 410), 내부층(Inner Layer, 420) 및 발열부(Heating Part, 40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층(410)은 사용자(라이더)측을 향하고, 내부층(420)은 의류(30)의 내피부(32)를 향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내부층(420)은 의류(30)의 외피부(31)와 내피부(32)의 사이에 위치하는 에어백부(10)를 향할 수 있다.
외부층(410)과 내부층(420)의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발열부(400)는 외부층(410)과 내부층(420)의 사이에 위치하며, 전력 공급부(50)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해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발열부(400)는 전력 공급용 코드(401)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발열패드부(40)는 내피부(32)와의 탈부착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 1 벨크로부(First Velcro Part, 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벨크로부(430)는 내부층(4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벨크로부(430)는 발열패드부(40)가 의류(30)의 내피부(32)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발열패드부(40)의 내부층(420)의 열전달율은 외부층(410)의 열전달율보다 낮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발열패드부(40)의 발열부(400)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는, 내부층(420)은 열차단층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5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부층(420)은 제 1 층(421)과 제 2 층(4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층(421)과 제 2 층(422) 중 어느 하나는 열차단층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층(422)이 열차단층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층(422)의 열전도율은 외부층(410)의 열전도율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아울러, 제 2 층(422)의 열전도율은 제 1 층(421)의 열전도율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벨크로부(430)는 제 2 층(422)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층(420)의 열전도율을 외부층(410)의 열전도율보다 더 낮게 하기 위해, 도 60의 (A) 및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부층(420)의 밀도는 외부층(410)의 밀도보다 더 높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60의 (B)와 같은 내부층(420)의 개구율은 도 60의 (A)와 같은 외부층(410)의 개구율보다 더 낮을 수 있다.
도 61의 (A)를 살펴보면, 하나의 발열패드부(40)는 복수의 제 1 벨크로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61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발열패드부(40)가 제 1 벨크로부(430)에 의해 의류(30)의 내피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 1 벨크로부(430)들의 사이 영역에서 내부층(420)과 내피부(32)의 사이에는 공기층(Air Gap, AG)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발열패드부(40)의 발열부(400)에서 발생한 열이 에어백부(10)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도 62를 살펴보면, 발열패드부(40)의 내부층(420)에는 복수의 돌출부(440)가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440)는 열전도율이 충분히 낮을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440)는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발열패드부(40)가 의류(30)의 내피부(32)에 부착된 상태에서, 복수의 돌출부(440)는 발열패드부(40)의 내부층(420)과 내피부(32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발열패드부(40)에서 발생하는 열이 에어백부(10)로 전달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63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발열부(400)는 제 1 전극(402), 제 2 전극(403) 및 연결라인(4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극(402)은 전기 전도성 재질, 예컨대 금속 재질을 포함하고 플러스 전극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전극(402)은 전련 공급부(50)와 제 1 전력 공급용 코드(401a)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전극(403)은 전기 전도성 재질, 예컨대 금속 재질을 포함하고 마이너스 전극일 수 있다. 이러한 제 2 전극(403)은 제 1 전극(402)에 대향되고, 제 1 전극(402)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 전극(403)은 전련 공급부(50)와 제 2 전력 공급용 코드(401b)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라인(404)은 전기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고, 제 1 전극(402)과 제 2 전극(403)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라인(404)의 전기저항은 제 1 전극(402) 및 제 2 전극(403)의 전기저항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열부(400)에 전력이 공급되면 연결라인(404)에서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연결라인(404)을 발열전극이라고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라인(404)은 안정적인 발열 및 가벼운 무게를 고려할 때, 탄소섬유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라인(404)은 탄소섬유와 일반섬유를 혼합하여 직조한 원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연결라인(404)은 발열섬유를 포함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도 63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A15-A16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제 1 전극(402) 및 제 2 전극(403)은 각각 코어전극(Core Electrode, 402a, 403a) 및 보조전극(402b, 403b)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전극(402a, 403a)은 제 1 금속층(402a1, 403a1)과 제 2 금속층(402a2, 403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금속층(402a1, 403a1)과 제 2 금속층(402a2, 403a2)은 각각 전기 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금속층(402a1, 403a1)과 제 2 금속층(402a2, 403a2)은 구리 재질, 알루미늄 재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금속층(402a1, 403a1)과 제 2 금속층(402a2, 403a2)은 일부가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금속층(402a1, 403a1)과 제 2 금속층(402a2, 403a2)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조전극(402b, 403b)은 제 1 금속층(402a1, 403a1)과 제 2 금속층(402a2, 403a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보조전극(402b, 403b)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라인(404)과 연결될 수 있다.
보조전극(402b, 403b)은 탄소섬유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조전극(402b, 403b)은 연결라인(404)과 동일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코어전극(402a, 403a)과 보조전극(402b, 403b) 또는 코어전극(402a, 403a)과 연결라인(404)을 보다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코어전극(402a, 403a)과 보조전극(402b, 403b)간의 전기저항 또는 코어전극(402a, 403a)과 연결라인(404)간의 전기저항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고, 제 1 전극(402) 및 제 2 전극(403)의 전체적인 전기 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4의 (A) 및 (B)를 살펴보면, 제 1 금속층(402a1, 403a1)과 제 2 금속층(402a2, 403a2)은 금속 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 1 금속층(402a1, 403a1)과 제 2 금속층(402a2, 403a2)은 보조전극(402b, 403b)을 사이에 두고 서로 합착될 수 있다.
제 1 금속층(402a1, 403a1)과 제 2 금속층(402a2, 403a2)이 보조전극(402b, 403b)을 충분히 덮기 위해, 제 1 금속층(402a1, 403a1)의 폭(Y1) 및 제 2 금속층(402a2, 403a2)의 폭(Y2)은 보조전극(402b, 403b)의 폭(Y3)보다 더 클 수 있다.
연결라인(404)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발열부(400)의 단면을 살펴보면, 도 65의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Y4영역에서는 제 1 금속층(402a1, 403a1)과 제 2 금속층(402a2, 403a2)이 서로 밀착(접촉)될 수 있다.
발열부(400)에서 Y4영역의 안쪽에 위치하는 Y5영역에서는 제 1 금속층(402a1, 403a1)과 제 2 금속층(402a2, 403a2)의 사이에 보조전극(402b, 403b)이 위치할 수 있다.
발열부(400)에서 Y5영역의 안쪽에 위치하는 Y6영역에서는 제 1 금속층(402a1, 403a1)과 제 2 금속층(402a2, 403a2)의 사이에 연결라인(404)이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연결라인(404)에 대응되지 않는 부분에서 발열부(400)의 단면을 살펴보면, 도 65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Y7영역에서는 제 1 금속층(402a1, 403a1)과 제 2 금속층(402a2, 403a2)이 서로 밀착(접촉)될 수 있다.
발열부(400)에서 Y7영역의 안쪽에 위치하는 Y8영역에서는 제 1 금속층(402a1, 403a1)과 제 2 금속층(402a2, 403a2)의 사이에 보조전극(402b, 403b)이 위치할 수 있다.
발열부(400)에서 Y8영역의 안쪽에 위치하는 Y9영역에서는 다시 제 1 금속층(402a1, 403a1)과 제 2 금속층(402a2, 403a2)이 밀착(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전극(402)과 제 2 전극(403)의 전체적인 전기저항을 충분히 낮출 수 있다.
도 66의 (A)를 살펴보면, 제 1 전극(402) 및 제 2 전극(403)의 코어전극(402a, 403a)은 하나의 금속 판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제 1 전극(402) 및 제 2 전극(403)의 제 1 금속층(402a1, 403a1)과 제 2 금속층(402a2, 403a2)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66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금속 판을 포함하는 코어전극(402a, 403a)을 접어서 보조전극(402b, 403b)을 덮는 것이 가능하다.
코어전극(402a, 403a)을 접은 상태에서 제 1 금속층(402a1, 403a1)과 제 2 금속층(402a2, 403a2)을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전극(402)과 제 2 전극(403)의 형성 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으며, 제 1 전극(402)과 제 2 전극(403)의 전체적인 전기저항을 낮출 수 있다.
도 67의 (A) 및 (B)를 살펴보면, 발열부(400)는 커버전극(Cover Electrode, 4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전극(405)은 제 1 전극(402), 제 2 전극(403) 및 연결라인(404)을 덮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커버전극(405)의 전기저항은 제 1 전극(402)의 전기저항 및 제 2 전극(403)의 전기저항보다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전극(405)은 탄소섬유 등의 탄소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발열부(400)에 전력이 공급되면, 커버전극(405)의 충분히 넓은 영역에서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커버전극(405)은 제 1 전력 공급용 코드(401a)와 제 2 전력 공급용 코드(401b)의 일부는 덮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68의 (A)를 살펴보면, 커버전극(405)을 포함하는 발열부(400)를 소정의 폴딩라인(FL)을 따라 접을 수 있다.
그러면, 도 68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발열부(400)는 일부가 접혀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발열부(400)는 일부가 접혀져서 형성된 접힌 부분(Folded Part)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라인(404) 및 커버전극(405)은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재질, 예컨대 탄소섬유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열부(400)의 일부를 접는 경우에도 전기적 단락되는 등 제 1 전극(402) 및/또는 제 2 전극(403)이 손상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발열부(400)의 적어도 일부를 접는 경우에는 접힌 부분에서는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사용자(라이더)의 특정 부분에 발열부(400)의 접힌 부분을 대응시키면 발열부(400)에서 발생한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라이더)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안전복(1)의 형태에 대응하여 발열부(400)의 형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발열패드부(41)의 외부층(410) 및 내부층(420)이 코너의 일부가 생략된 형태를 갖는 경우에, 발열부(400)를 코너 부분을 접어서 외부층(410)과 내부층(420)의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70을 살펴보면, 전력 공급부(50)는 허브부(Hub Part, 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허브부(53)는 배터리부(51)로부터 발열부(400)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거나 전력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스위치부(52)를 수용할 수 있다.
허브부(53)는 의류(30)의 내피부(32)에 배치될 수 있다.
허브부(53)는 바텀부(Bottom Part, 500) 및 마운드부(Mound Part, 510)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부(500)는 의류(30)의 내피부(32)에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마운드부(510)는 바텀부(500)에 배치될 수 있다.
마운드부(510)는 바텀부(500)로부터 내피부(32)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텀부(500)의 면적은 마운드부(510)의 면적보다 더 넓을 수 있다.
도 71을 살펴보면, 스위치부(52)는 허브부(53)의 마운드부(510)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스위치부(52)는 바텀부(500)와 마운드부(5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라이더)가 허브부(53)의 마운드부(510)를 누르는 경우에 스위치부(52)가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위치부(52)는 발열패드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아울러 배터리부(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라이더)에 의해 스위치부(52)가 턴-온되는 경우에 배터리부(51)가 공급하는 전력이 적어도 하나의 발열패드부(40)로 공급될 수 있다.
마운드부(510)에 스위치부(52)를 배치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마운드부(510)의 높이(Y10)는 바텀부(500)의 높이(Y11)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도 72를 살펴보면, 허브부(53)는 제 1 단자 개구부(520a) 및 제 1 차양부(First Awning Part, 53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자 개구부(520a)는 마운드부(5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차양부(530a)는 제 1 단자 개구부(520a)의 주변에 위치하여 제 1 단자 개구부(520a)를 가릴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차양부(530a)는 마운드부(51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 1 단자 개구부(520a)는 배터리부(51)에 대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단자 개구부(520a)에는 스위치부(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단자부(First Terminal Part, 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73을 살펴보면, 배터리부(51)는 배터리부(51)를 스위치부(52)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 1 잭(First Jack, 51a)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부(51)는 제 1 잭(51a)을 이용하여 제 1 단자 개구부(520a)를 통해 제 1 단자부(미도시)에 접속하고, 이에 따라 배터리부(51)는 스위치부(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배터리부(51)는 제 1 단자 개구부(520a)를 통해 스위치부(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부(52)와 적어도 하나의 발열패드부(40)가 연결된 것으로 가정하면, 사용자(라이더)는 스위치부(53)를 이용하여 제 1 단자 개구부(520a)를 통해 접속한 배터리부(51)가 공급하는 전력을 발열패드부(40)로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단자 개구부(520a)에서 제 1 잭(51a)를 이탈시키는 경우에는 의류(30)로부터 배터리부(51)를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의류(30)의 수선, 세탁 등이 용이할 수 있다.
도 74를 살펴보면, 허브부(53)는 제 2 단자 개구부(520b) 및 제 2 차양부(Second Awning Part, 53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단자 개구부(520b)는 마운드부(5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차양부(530b)는 제 2 단자 개구부(520b)의 주변에 위치하여 제 2 단자 개구부(520b)를 가릴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차양부(530b)는 마운드부(51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 2 단자 개구부(520b)는 발열패드부(40)에 대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단자 개구부(520b)에는 스위치부(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단자부(Second Terminal Part, 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75를 살펴보면, 발열패드부(40)는 발열패드부(40)를 스위치부(52)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 2 잭(Second Jack, 40a)을 포함할 수 있다.
발열패드부(40)는 제 2 잭(40a)을 이용하여 제 2 단자 개구부(520b)를 통해 제 2 단자부(미도시)에 접속하고, 이에 따라 발열패드부(40)는 스위치부(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발열패드부(40)는 제 2 단자 개구부(520b)를 통해 스위치부(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부(52)와 배터리부(51)가 연결된 것으로 가정하면, 사용자(라이더)는 스위치부(53)를 이용하여 제 2 단자 개구부(520b)를 통해 접속한 발열패드부(4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단자 개구부(520b)에서 제 2 잭(40a)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의류(30)의 수선, 세탁 등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도 76을 살펴보면, 허브부(53)는 제 3 단자 개구부(520c), 제 3 차양부(Third Awning Part, 530c), 제 4 단자 개구부(520d) 및 제 4 차양부(Fourth Awning Part, 530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 단자 개구부(520c)는 마운드부(5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3 차양부(530c)는 제 3 단자 개구부(520c)의 주변에 위치하여 제 3 단자 개구부(520c)를 가릴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3 차양부(530c)는 마운드부(51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 4 단자 개구부(520d)는 마운드부(5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4 차양부(530d)는 제 4 단자 개구부(520d)의 주변에 위치하여 제 4 단자 개구부(520d)를 가릴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4 차양부(530d)는 마운드부(51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77을 살펴보면, 제 1 단자 개구부(520a)는 배터리부(51)에 대응될 수 있다.
제 2 단자 개구부(520b)는 발열패드부(40) 중 제 1 발열패드부(41)에 대응될 수 있다.
제 3 단자 개구부(520c)는 발열패드부(40) 중 제 2 발열패드부(42)에 대응될 수 있다.
제 4 단자 개구부(520d)는 발열패드부(40) 중 제 3 발열패드부(43)에 대응될 수 있다.
제 2, 3, 4 단자 개구부(520b, 520c, 520d)에 대한 설명, 제 2, 3, 4 단자 개구부(520b, 520c, 520d)를 통한 제 1, 2, 3 발열패드부(41, 42, 43)와 스위치부(52)의 전기적 연결에 대한 설명은 앞선 도 74 내지 도 75의 설명으로 갈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허브부(53)를 중심으로 배터리부(51), 제 1, 2, 3 발열패드부(41, 42, 43)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처럼, 의류(30)에는 허브부(53)를 설치하고, 발열패드부(40)의 사용 시에 허브부(53)에 배터리부(51), 제 1, 2, 3 발열패드부(41, 42, 43)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30)의 세탁, 수리 시에 발열패드부(40) 및 배터리부(51)를 허브부(53)로부터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발열패드부(40) 및 배터리부(5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소정의 단자 개구부를 배터리부(51)의 충전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도 7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력 공급부(50)는 충전부(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허브부(53)에서 제 1 단자 개구부(520a)는 배터리부(51)의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 개구부(520a)로 사용될 수 있다.
충전부(54)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터리부(51)에 공급하여 배터리부(51)를 충전시킬 수 있다.
충전부(54)는 제 1 단자 개구부(520a)를 통해 외부의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제 1 단자 개구부(520a)에 외부의 전원을 접속하게 되면, 외부의 전원이 공급하는 전력이 충전부(54)를 통해 배터리부(51)로 공급되어 배터리부(51)가 충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배터리부(51)는 스위치부(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의류(30)의 내피부(31)와 외피부(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전복(1)은 연결 코드부(Connectiong Cord part, 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코드부(60)는 발열패드부(40)와 스위치부(5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79의 (A), (B),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결 코드부(60)는 제 A 잭(A Jack, 61), 제 B 잭(B Jack, 62), 코드부(Cord Part, 63), 커버부(Cover Part, 64) 및 제 2 벨크로부(Second Velcro Part, 6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A 잭(61)과 제 B 잭(62)은 서로 대향될 수 있다.
코드부(63)는 제 A 잭(61)과 제 B 잭(6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커버부(64)는 코드부(63)를 덮을 수 있다.
또는, 커버부(64)는 제 A 잭(61)의 일부 및 제 B 잭(62)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 2 벨크로부(65)는 커버부(64)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벨크로부(65)에 의해 연결 코드부(60)는 의류(30)의 내피부(32)와의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80을 살펴보면, 발열패드부(40)는 발열패드부(40)와 연결 코드부(6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패드 단자부(40b)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코드부(60)의 제 A 잭(61)은 패드 단자부(40b)에 대응될 수 있다.
연결 코드부(60)의 제 B 잭(62)은 허브부(53)에 배치되는 단자부(미도시)에 대응될 수 있다.
허브부(53)에 배치되는 단자부, 예컨대 제 1 단자부 또는 제 2 단자부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 있다.
연결 코드부(60)의 제 A 잭(61)이 패드 단자부(40b)에 연결되고, 제 B 잭(62)에 허브부(53)에 배치되는 단자부(미도시)에 연결되면, 발열패드부(40)와 허브부(53)에 배치되는 스위치부(52)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연결 코드부(60)를 이용하여 발열패드부(40)와 스위치부(5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발열패드부(40) 및 연결 코드부(60)를 의류(30)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의류(30)를 세탁 혹은 수리할 수 있어서 의류(30)의 관리에 용이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연결 코드부(60)는 배터리부(51)와 스위치부(52)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배터리부(51)는 연결 코드부(6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내부에 가스 주입을 위한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에어백부(Air Bag Part); 및
    상기 내부공간에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가스주입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부는
    제 1 시트부(First Sheet Part);
    상기 제 1 시트부와 접합되는 제 2 시트부(Second Sheet Part);
    상기 제 1 시트부와 상기 제 2 시트부 사이의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
    상기 제 1 시트부와 상기 제 2 시트부 사이의 상기 내부공간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
    상기 제 1 시트부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 2 시트부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접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시트부와 상기 제 2 시트부 사이의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제 1 접합부; 및
    상기 제 1 접합부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의 내측에서 상기 제 1 시트부의 일부와 상기 제 2 시트부의 일부가 접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접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부는
    사용자의 상체의 등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후방영역(Rear Area);
    사용자의 상체의 좌측 전방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전방영역(First Front Area);
    사용자의 상체의 우측 전방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전방영역(Second Front Area);
    사용자의 상체의 좌측 옆구리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영역과 상기 제 1 전방영역을 연결하는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 및
    사용자의 상체의 우측 옆구리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영역과 상기 제 2 전방영역을 연결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방영역, 상기 제 1 측면영역, 상기 후방영역, 상기 제 2 측면영역 및 상기 제 2 전방영역은 가로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고,
    상기 가로방향에 수직하는 세로방향으로 상기 제 1 측면영역 및 상기 제 2 측면영역의 폭은 상기 세로방향으로 상기 후방영역, 상기 제 1 전방영역 및 상기 제 2 전방영역의 폭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면영역 및 상기 제 2 측면영역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 2 접합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후방영역, 상기 제 1 전방영역 및 상기 제 2 전방영역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 2 접합부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크고,
    상기 제 1 측면영역 및 상기 제 2 측면영역에서 상기 제 1 접합부와 상기 제 2 접합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1 전방영역 및 상기 제 2 전방영역에서 상기 제 1 접합부와 상기 제 2 접합부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와 상기 제 2 접합부 사이의 간격은 인접하는 제 2 접합부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크고,
    상기 주입구와 상기 제 1 접합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1 접합부와 상기 제 2 접합부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2 접합부는 상기 세로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 2 접합부들의 사이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 1 시트부 또는 상기 제 2 시트부 중 적어도 하나는 내측 표면의 거칠기가 외측 표면의 거칠기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6. 외피부(Exterior Part);
    상기 외피부에 대항되는 내피부(Interior Part);
    상기 외피부와 상기 내피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에 공간을 포함하는 에어백부(Air Bag Part); 및
    상기 에어백부의 내부 공간에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가스주입부;
    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부와 상기 내피부는 봉제되어 결합되고,
    상기 내피부는 상기 외피부와 상기 내피부의 사이로 상기 에어백부를 삽입하기 위한 에어백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부는
    상기 에어백부는
    제 1 시트부(First Sheet Part);
    상기 제 1 시트부와 접합되는 제 2 시트부(Second Sheet Part);
    상기 제 1 시트부와 상기 제 2 시트부 사이의 상기 내부공간으로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
    상기 제 1 시트부와 상기 제 2 시트부 사이의 상기 내부공간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
    상기 제 1 시트부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 2 시트부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접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시트부와 상기 제 2 시트부 사이의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제 1 접합부; 및
    상기 제 1 접합부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의 내측에서 상기 제 1 시트부의 일부와 상기 제 2 시트부의 일부가 접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접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복.
KR1020210133015A 2021-10-07 2021-10-07 신속 팽창 기능을 갖고 재사용이 가능한 에어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안전복 KR202300499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015A KR20230049918A (ko) 2021-10-07 2021-10-07 신속 팽창 기능을 갖고 재사용이 가능한 에어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안전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015A KR20230049918A (ko) 2021-10-07 2021-10-07 신속 팽창 기능을 갖고 재사용이 가능한 에어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안전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918A true KR20230049918A (ko) 2023-04-14

Family

ID=85946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015A KR20230049918A (ko) 2021-10-07 2021-10-07 신속 팽창 기능을 갖고 재사용이 가능한 에어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안전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991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050B1 (ko) 2017-05-04 2018-05-28 김용 에어백 급팽창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안전 자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050B1 (ko) 2017-05-04 2018-05-28 김용 에어백 급팽창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안전 자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9173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JP5295820B2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ITRM20000483A1 (it) Capo di abbigliamento strutturato per la protezione del motociclista.
CN102415623B (zh) 用于保护身体部分的系统和方法
US20220144203A1 (en) Roof air bag apparatus for vehicle
US6866291B2 (en) Airbag
CN102145679B (zh) 带有座椅衬垫保护构件的交通工具座椅组件
US8308187B2 (en) Airbag, airbag device, and vehicle
JP2002137780A (ja) 自動二輪車用エアバッグ装置
KR20230049918A (ko) 신속 팽창 기능을 갖고 재사용이 가능한 에어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안전복
KR20230049922A (ko) 발열패드를 포함하는 안전복
KR20230049920A (ko) 신속 팽창 기능을 갖는 에어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안전복
KR100844426B1 (ko) 사이드 에어백이 구비된 시트
JP2002137779A (ja) 自動二輪車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8230346A (ja) 屋外車両用シート
RU2677377C2 (ru) Активный буфер (варианты)
US20020005633A1 (en) Passenger-seat airbag
CN111631478A (zh) 一种气囊式头盔
SE1950615A1 (en) Airbag
KR102372483B1 (ko) 에어 충진이 가능한 휴대용 안전모
JP2021022544A (ja) 電源装置
CN110525555B (zh) 安全气囊
US9714000B1 (en) Active vent actuation system
JP2019206326A (ja) エアバッグ
CN210941681U (zh) 座椅侧气囊装置及其导气袋和气袋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