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192B1 - 시트 벨트용 프리텐셔너 - Google Patents

시트 벨트용 프리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192B1
KR100221192B1 KR1019960069109A KR19960069109A KR100221192B1 KR 100221192 B1 KR100221192 B1 KR 100221192B1 KR 1019960069109 A KR1019960069109 A KR 1019960069109A KR 19960069109 A KR19960069109 A KR 19960069109A KR 100221192 B1 KR100221192 B1 KR 100221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locking
compression spring
wire
lock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9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0307A (ko
Inventor
김성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69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1192B1/ko
Publication of KR19980050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1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60R22/1954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벨트용 프리텐셔너에 관한 것이고, 내부공간(12)의 일측에 내주둘레를 따라 압축스프링(19)의 일측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걸림편(13)을 형성하고, 그 일측에는 일단이 스프링의 탄지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되는 상하 한 쌍의 록킹핀(20)이 대향 구비되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내에서 일측단은 시트벨트와 연결되는 와이어(16)가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압축스프링(19)의 복원력 발생시 상기 와이어(16)를 당기며 이동될 수 있도록 피스톤(18)이 돌출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압축스프링(19)을 압축시킨 상태에서 상기 록킹핀(20)의 선단부가 슬라이드 걸림될 수 있도록 록킹홈(17)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양단이 스프링으로 탄지되어 차량에 큰 충격량 발생시 상기 록킹핀(20)의 선단부를 밀어 내도록 된 센서매스(15)를 굽하는 장력조절케이스(1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본원발명은 차량충돌시 센서매스가 이동하여 잠금된 록킹핀을 장력조절케이스의 록킹홈으로부터 해제시키고, 동시에 압축스프링이 복원력에 의하여 이동되어 시트벨트와 연결된 와이어를 당기는 구조로 차량 충돌시 벨트 착용자에 대한 상해정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실킬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시트벨트용 프리텐셔너
본 발명은 시트벨트용 프리텐셔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제조원가를 다운시키며 벨트 착용자에 대한 상해정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게 되는 시트벨트용 프리텐셔너(Pretensiner for seat belt)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트벨트는 자동차가 충돌되는 경우 탑승자를 본래의 위치에 억제시켜 상해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안전장치로서, 허리를 구속하는 랩벨트와 상체를 구속하는 숄더 벨트를 조합한 3점식 시트벨트가 널리 이용된다. 시트벨트에는 프리텐셔너가 설치되며, 상기 프리텐셔너는 충동시 벨트 착용자에 대한 시트벨트의 압박정도를 감소시키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제1도를 참조하면, 선행기술에 따른 시트벨트용 프리텐셔너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프리텐셔너는 차량충돌시 센서매스(1)가 이동되어 록킹핀(2)을 해제시키면, 상기 센서매스(1) 상부에 위치한 압축된 압축스프링(3)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4)이 이동되고 시트벨트 버클과 연결된 와이어(5)를 당기게 되어 벨트 착용자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키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된 선행기술의 프리텐셔너는 차량충돌을 감지하는 센서매스와 시트벨트 버클과 와이어에 의해 연결된 피스톤 및 스프링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프리텐셔너의 부피가 크며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의 상승과 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래 프리텐셔너의 구조를 일체형으로 단순화시키므로써 제조원가를 다운시키고 벨트 착용자에 대한 상해정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시트벨트용 프리텐셔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시트벨트용 프리텐셔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5 : 센서매스 2,20: 록킹핀
3,19 : 압축스프링 4,18 : 피스톤
5,16 : 와이어 11 : 하우징
12 : 공간 13 : 걸림편
14 : 장력조절 케이스 17 : 록킹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공간의 일측에 내주둘레를 따라 압축스프링의 일측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걸림편을 형성하고, 그 일측에는 일단이 스프링의 탄지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되는 상하 한 쌍의 록킹핀이 대향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서 일측단은 시트벨트와 연결되는 와이어가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압축스프링의 복원력 발생시 상기 와이어를 당기며 이동될 수 있도록 피스톤이 돌출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압축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에서 상기 록킹핀의 선단부가 슬라이드 걸림될 수 있도록 록킹홈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양단이 스프링으로 탄지되어 차량에 큰 충격량 발생시 상기 록킹핀의 선단부를 밀어 내도록 된 센서매스를 굽하는 장력조절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시트벨트용 프리텐셔너는 차량충돌시 센서매스가 이동하여 잠금된 록킹핀을 장력조절 케이스의 록킹홈으로부터 해제시키고, 동시에 압축스프링이 복원력에 의하여 이동되어 시트벨트와 연결된 와이어를 당기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고,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용 프리텐셔너의 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내에 이동가능하게 내장되며 시트벨트와 연결되는 와이어(16)를 당기도록 된 장력조절 케이스(14)와, 상기 장력조절 케이스(14)내에 구비되는 센서매스(15)와, 상기 하우징(11)내에서 상기 장력조절 케이스(14)를 이동시키도록 된 압축스프링(1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은, 내부 공간(12)에 상기 장력조절 케이스(14)가 구비되고, 내주면 일측에는 걸림편(13)이 둘레를 따라 소정폭 돌출되며, 상기 걸림편(13)의 정반에는 상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브래킷에 힌지된 록킹핀(20)이 스프링의 탄지력을 가지며 상하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장력조절 케이스(14)의 이동을 억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력조절 케이스(14)는, 내부에 좌우단이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차량충돌량에 따라 좌우 이동되는 센서매스(15)가 내장되고, 일측단부에는 시트벨트 버클과 연결된 와이어(16)가 연결되며, 외주둘레면에는 상기 록킹핀(20)의 선단부가 걸림 고정되도록 상하 한 쌍의 록킹홈(17)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 케이스(14)의 타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피스톤(18)이 구비되어 상기 압축스프링(19)을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압축스프링(19)은, 상기 장력조절 케이스(14)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측이 피스톤(18)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11)의 걸림편(13)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매스(15)는 소정의 무게를 가지며 차량의 큰 충돌시 좌우단의 스프링을 압축시키며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일측 외주면에 돌출된 산과 그 사이에 골이 형성되어져 상기 장력조절 케이스(14)의 록킹홈(17)을 슬라이드 통과하는 록킹핀(20)의 선단에 골에 근접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시트벨트용 프리텐셔너를 설치하고자 하면, 먼저 센서매스(15)가 내장된 장력조절 케이스(14)를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장력조절 케이스(14)는 압축스프링(19)을 압축시키며 이동하게 되고, 연속해서 장력조절 케이스(14)의 록킹홈(17)에 하우징(11)내의 록킹핀(20) 선단이 슬라이드 통과하여 상기 센서매스(15)의 골에 근접설치시키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장력조절 케이스(14)의 록킹홈(17)에 걸림 고정되는 록킹핀(20)은 일정한계 즉, 차량충돌시 발생되는 충격량에 의해서는 해제 또는 부서질 수 있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후, 차량이 주량중 충돌사고가 발생되게 되면, 먼저 좌우로 소정폭 이동되던 센서매스(15)가 큰 충격력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이동되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록킹핀(20)의 선단을 타격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록킹핀(20)은 순간적인 타격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장력조절 케이스(14)의 록킹홈(17)으로부터 해제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압축스프링(19)은 제2도에 도시된 점선과 같이, 복원력을 발생하게 되며 순간적으로 상기 장력조절 케이스(14)를 밀게 되고, 이동되는 장력조절 케이스(14)는 시트벨트 버클과 연결된 와이어(16)를 당겨 차량 충돌에 의해 전방이동되는 시트벨트 착용자를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용 프리텐셔너는, 구조를 간단하게 일체화 시키므로 프리텐셔너의 크기가 축소되어 공간 활용을 증대시켰고, 이로인한 제조원가가 다운되고, 벨트 착용자에 대한 상해정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

  1. 내부공간(12)의 일측에 내주둘레를 따라 압축스프링(19)의 일측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걸림편(13)을 형성하고, 그 일측에는 일단이 스프링의 탄지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되는 상하 한 쌍의 록킹핀(20)이 대향 구비되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내에서 일측단은 시트벨트와 연결되는 와이어(16)가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압축스프링(19)의 복원력 발생시 상기 와이어(16)를 당기며 이동될 수 있도록 피스톤(18)이 돌출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압축스프링(19)을 압축시킨 상태에서 상기 록킹핀(20)의 선단부가 슬라이드 걸림될 수 있도록 록킹홈(17)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양단이 스프링으로 탄지되어 차량에 큰 충격량 발생시 상기 록킹핀(20)의 선단부를 밀어 내도록 된 센서매스(15)를 굽하는 장력조절케이스(1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용 프리텐셔너.
KR1019960069109A 1996-12-20 1996-12-20 시트 벨트용 프리텐셔너 KR100221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109A KR100221192B1 (ko) 1996-12-20 1996-12-20 시트 벨트용 프리텐셔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109A KR100221192B1 (ko) 1996-12-20 1996-12-20 시트 벨트용 프리텐셔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307A KR19980050307A (ko) 1998-09-15
KR100221192B1 true KR100221192B1 (ko) 1999-10-01

Family

ID=19489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9109A KR100221192B1 (ko) 1996-12-20 1996-12-20 시트 벨트용 프리텐셔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11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436B1 (ko) * 2002-06-15 2004-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시트벨트 로드리미터
KR100650323B1 (ko) * 2005-06-03 2006-11-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
KR200489140Y1 (ko) * 2017-07-19 2019-08-28 (주)드림테크 안내판 걸이 장치
KR20210012338A (ko) 2019-07-24 2021-0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프리텐셔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307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1132B2 (en) Dynamic cinching latch plate
US20080179927A1 (en) Belt guiding mechanism and child vehicle seat
KR100221192B1 (ko) 시트 벨트용 프리텐셔너
US6126241A (en) Buckle tensioner for a safety belt system
US6443487B1 (en) Passenger protecting apparatus
US5997097A (en) Restraining device
US4108471A (en) Seat belt system
EP0385232A1 (en) Comfort feature
KR20040051139A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리트랙터 장치
JP2000326823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387848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앵커리지
KR0150904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940007464Y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JPS63222957A (ja) 自動車のシ−トベルト装置
KR200140889Y1 (ko) 프리텐셔너로 보강된 자동차용 안전벨트
KR0132314Y1 (ko) 자동차의 이중 로킹해제형 시트 벨트
KR100221191B1 (ko) 차량용 시트벨트 버클
KR960012099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KR100206434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
KR100568669B1 (ko) 3점식 시트벨트의 구속력 향상장치
KR0148668B1 (ko) 자동차 시트트랙의 로드 리미터
KR890007002Y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WO2003082637A1 (en) A safety device
KR19990029224U (ko) 승객 보호용 시트벨트 버클
KR930000372Y1 (ko) 자동차 좌석의 어린이 보호 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