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372Y1 - 자동차 좌석의 어린이 보호 벨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좌석의 어린이 보호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372Y1
KR930000372Y1 KR2019900016411U KR900016411U KR930000372Y1 KR 930000372 Y1 KR930000372 Y1 KR 930000372Y1 KR 2019900016411 U KR2019900016411 U KR 2019900016411U KR 900016411 U KR900016411 U KR 900016411U KR 930000372 Y1 KR930000372 Y1 KR 9300003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child
seat belt
seat
childr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64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선홍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성중·알. 제이. 스트래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성중·알. 제이. 스트래미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64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3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3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372Y1/ko

Link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좌석의 어린이 보호 벨트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조 설명도.
제3도의 (a), (b), (c)는 본 고안의 작동 순서의 설명도.
본 고안은 과속, 급정지 등 관성운동이 빈번히 발생하는 자동차 운행중에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벨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소에는 일반 자석과 같이 사용하다 필요시에만 좌석에서 인출하여 착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 이와같은 목적으로서 어린이 보호좌석이 개발된 것이 있으나 이는 별도의 보호대가 설치된 안전의자에 좌석벨트가 설치된 일반적인 구조이며 이는 어린이 보호용 안전의자를 일반 좌석에 기존의 좌석벨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그 안전의자에 어린이를 앉혀 놓고 다시 안전의자에 설치된 어린이 보호용 좌석벨트를 착용시키는 복잡한 구조이어서 탈, 장착이 번거러워 사용이 기피되고 또 어린이 탑승때마다 별도로 휴대해야 될 뿐아니라 가격이 고가인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좌석은 기존의 좌석벨트를 성인용이므로 별도의 어린이 보호용 좌석벨트를 추가로 구비하지만 별도의 어린이 좌석은 생략케한 것으로서 그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어린이 보호용 좌석벨트는 일반 좌석벨트와 같은 재질의 섬유재 웨빙(2)이 이를 유지하며 좌우 스라이딩 가능한 웨빙서포트(1)에 끼워져 있는데 웨빙서포트(1)의 하단부는 젖혀질 수 있는 힌지(3)에 설치되어 있다.
또 웨빙(2) 양쪽 끝단부에는 결착 및 웨빙길이 조절기능인 버클(4), (4')이 설치되고, 좌석의 백쿠션(5)에 버클(6), (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석의 언더쿠션(7)에는 젖혀질 수 있는 구조로 된 패드(8)가 설치되어 웨빙(2)과 웨빙 서포트(1)를 접어서 내장시킬 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평상시 상태(어린이가 탑승치 않을때)에서 웨빙서포트(1)와 웨빙(2)은 접혀져 패드(8)밑면에 내장되고 필요시(어린이 탑승시)에는 패드 손잡이를 잡고 패드(8)를 위로 젖히면서 웨빙서포트(1)와 웨빙(2)을 꺼낸 후 다시 패드(8)를 원래의 위치로 닫은 다음 웨빙(2) 양쪽끝의 버클(4), (4')를 백쿠션(5)에 내장되어 있는 버클(6), (6')에 결착을 시킴으로써 작용하는 것이며 이때 어린이의 체위에 따라서 웨빙(2)의 길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즉, 웨빙의 한쪽 끝을 잡아당기면 웨빙은 조여지면서 웨빙서포트(1)가 움직이고 버클(4), (4')는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역지 방지 및 조절기능이 있다.
또, 역순으로 버클(4)을 조금 비틀고 웨빙을 역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웨빙(2)의 길이는 확장이 되고 웨빙서포트(1)의 위치도 본래의 위치로 환원이 되어지는 것이다.
이와같이 웨빙버포트(1)는 탄력적인 동작을 하며 웨빙(2)을 유지할 수 있는 지지력이 있다.
본 고안의 어린이 보호용 좌석벨트의 탈리시에는 버클(6), (6')의 취부구의 상하 여유있는 틈 사이로 손가락을 넣고 착용때와 역순으로 패드(8)를 젖히고 웨빙(2)과 웨빙서포트(1)를 접어서 패트(8)밑에 내장시키고 다시 패드(8)를 닫으면 좌석은 동일하게 환원이 되므로 어린이 승객이외의 탑승자의 사용에도 아무런 불편함이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원과 같은 "T"자형의 어린이 보호 좌석벨트는 어린이를 안전하게 감아서 잡아주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좌석벨트장치는 별도의 안전의자 등을 필요시에마다 휴대를 하는 불편함이 없고, 항상 차내에 어린이 보호용 좌석벨트가 비치되어 있으므로 편리하고, 종전의 안전의자 등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며 또 1세부터 10세정도의 어린이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착용이 가능하며 최근 사회적으로 어린이 보호용 좌석벨트의 개발 필요성에 따라 적절하고 따라서 본 고안의 제품을 승응차등에 적용한다면 어린이를 보호한다는 안전성있는 자동차의 이미지를 심어주고 어린이를 안전사고에서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섬유재 웨빙(2)이 좌우 스라이딩 가능하게 웨빙 서포트(1)에 끼워지고 웨빙(2) 양쪽 끝단부에는 결착 및 웨빙길이 조절기능인 버클(4), (4')이 설치된 공지의 어린이 보호용 좌석벨트의 구조에 있어서, 좌석의 언더 쿠션(7)에 젖혀질 수 있는 구조의 패드(8)를 설치하여 웨빙(2)과 웨빙서포트(1)를 접어서 내장, 펼쳐서 인출시킬 수 있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의 어린이 보호벨트.
KR2019900016411U 1990-10-29 1990-10-29 자동차 좌석의 어린이 보호 벨트 KR9300003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6411U KR930000372Y1 (ko) 1990-10-29 1990-10-29 자동차 좌석의 어린이 보호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6411U KR930000372Y1 (ko) 1990-10-29 1990-10-29 자동차 좌석의 어린이 보호 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372Y1 true KR930000372Y1 (ko) 1993-01-30

Family

ID=1930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6411U KR930000372Y1 (ko) 1990-10-29 1990-10-29 자동차 좌석의 어린이 보호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3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4183A (en) Shock absorber for vehicle seat belt
US6367882B1 (en) Slip-retarding upper torso restraint harness and system
US6109689A (en) Vehicular seat motion damping system
US4183582A (en) Emergency passive restraint protective system for vehicle occupants
US5161824A (en) Safety belt with protective pad
US3028200A (en) Safety harness
CN1972827A (zh) 用于车辆座椅安全带的肩垫
US3043625A (en) Safety belt
KR930000372Y1 (ko) 자동차 좌석의 어린이 보호 벨트
KR102381749B1 (ko) 벨트가이드장치 및 이를 갖춘 안전벨트장치
US4323267A (en) Passive vehicle seat belt system
KR102249205B1 (ko) 아동용 안전시트
KR101397631B1 (ko) 인장압축식 완충댐퍼가 구비된 아동용 안전벨트
KR0168307B1 (ko) 자동차 시트의 유아용 보호조끼
KR960010532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벨트 걸이장치
JPS6131880Y2 (ko)
KR0150309B1 (ko) 자동차의 유아 보호용 좌석
KR200243991Y1 (ko) 자동차용 연소자 보호장치
KR200213499Y1 (ko) 어린이용 안전밸트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KR0165780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KR910006990Y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Seat belt)
KR100438025B1 (ko) 자동차용 연소자 보호장치
KR19980023559U (ko) 유아보호용 자동차 시트벨트
KR930001859Y1 (ko) 자동차용 안전 벨트의 충격완화구
KR100461251B1 (ko) 차량용 안전벨트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