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835B1 - 발포스펀지를 이용한 배관세척방법 - Google Patents

발포스펀지를 이용한 배관세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835B1
KR102141835B1 KR1020200008080A KR20200008080A KR102141835B1 KR 102141835 B1 KR102141835 B1 KR 102141835B1 KR 1020200008080 A KR1020200008080 A KR 1020200008080A KR 20200008080 A KR20200008080 A KR 20200008080A KR 102141835 B1 KR102141835 B1 KR 102141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shing
pressure water
ball
high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성
Original Assignee
김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성 filed Critical 김재성
Priority to KR1020200008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5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 B08B9/05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the cleaning devices conforming to, or being conformable to, substantially the same cross-section of the pipes, e.g. pigs or moles
    • B08B9/0552Spherically shaped pigs
    • B08B1/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볼을 사용하여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을 더욱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배관을 흐르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세척 방법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발포스펀지를 이용한 배관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스펀지를 이용한 배관세척방법은, 연결관의 내부에 소정 지름을 가지는 발포스펀지 재질의 세척볼을 삽입하는 세척볼 삽입 단계; 상기 배관의 일단에 연결관을 설치하는 연결관 설치 단계; 상기 연결관에 고압수관을 연결하는 고압수관 연결 단계; 상기 고압수관 연결 단계를 통해 상기 연결관에 상기 고압수관이 연결되고 나면, 상기 고압수관을 통해 소정 압력의 고압수를 상기 배관 쪽으로 공급하여 세척하는 배관 세척 단계; 및 상기 배관 내부로 공급되는 고압수로 인해 상기 세척볼이 상기 배관의 타단 쪽으로 배출되는 것을 회수하는 세척볼 회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 세척 단계는, 크기와 재질이 서로 다른 상기 세척볼을 이용하여 복수 회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포스펀지를 이용한 배관세척방법{Pipe cleaning method using foam sponge}
본 발명은 발포스펀지를 이용한 배관세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포스펀지를 이용하여 배관 내부에 쌓인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배관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 등의 유체가 흐르도록 연결되는 배관의 내부에는 장기간 사용됨에 따라 오염물질이 내측면에 부착되어 배관이 협소해지게 되는 문제가 있고, 이러한 문제로 인해 유체의 흐름이 저하되거나 또는 배관을 따라 흐르는 유체가 오염물질이나 세균 등으로 인해 오염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배관의 내부를 세척하여 내부의 오염물질(스케일)을 제거하고 있는데, 종래에는 단순히 배관의 전, 후단을 분리한 다음, 별도의 고압 공기나 물 등을 배관 내부로 공급하여 고압에 의해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배관 내측면에 강하게 부착된 오염물질을 확실하게 제거하기가 어렵고, 따라서 배관을 세척한 후에도 오염물질이 유체와 함께 배출되는 등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배관 내측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더욱 확실하게 제거하기 위한 방법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0778430호의 배관 세척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배관 세척 방법(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배관세척방법은, 세척볼을 세척 대상 배관에 투입하는 단계; 물을 세척 대상 배관에 공급함과 동시에 압축 공기를 일정한 간격으로 세척 대상 배관에 공급하여 세척볼을 세척 대상 배관 내부로 이송시키는 단계; 압축 공기에 의하여 세척볼을 세척 대상 배관에서 인출하는 단계; 상기 압축 공기에 의하여 세척볼을 세척 대상 배관에서 인출하는 단계 후에 세척 대상 배관에 물을 순환시켜 배관 내부에 떨어진 스케일을 배출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배관세척방법은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배관 내부에 부착된 오염물질의 성분과 부착 강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에도 세척볼을 물과 압축공기만을 이용하여 배관 내부를 세척하기 때문에 배관 내부의 오염물이 확실하게 제거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세척볼은 단순히 스펀지 등의 재질로 된 탄성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관 내부에 강하게 부착된 오염물질의 외측면을 따라 쉽게 변형될 수 있고, 이 때문에 세척볼을 사용하더라도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이 제거되는 효과가 담보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세척볼을 사용하여 배관 내부에 강하게 부착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세척 방법을 쉽게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배관세척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0778430 B1 (2007. 11. 15.) KR 10-1326144 B1 (2013. 10. 31.) KR 10-2002-0087918 A (2002. 11. 23.) KR 10-2016324 B1 (2019. 08. 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관세척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척볼을 사용하여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을 더욱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배관을 흐르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세척 방법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발포스펀지를 이용한 배관세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스펀지를 이용한 배관세척방법은, 연결관의 내부에 소정 지름을 가지는 발포스펀지 재질의 세척볼을 삽입하는 세척볼 삽입 단계; 상기 배관의 일단에 연결관을 설치하는 연결관 설치 단계; 상기 연결관에 고압수관을 연결하는 고압수관 연결 단계; 상기 고압수관 연결 단계를 통해 상기 연결관에 상기 고압수관이 연결되고 나면, 상기 고압수관을 통해 소정 압력의 고압수를 상기 배관 쪽으로 공급하여 세척하는 배관 세척 단계; 및 상기 배관 내부로 공급되는 고압수로 인해 상기 세척볼이 상기 배관의 타단 쪽으로 배출되는 것을 회수하는 세척볼 회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 세척 단계는, 크기와 재질이 서로 다른 상기 세척볼을 이용하여 복수 회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고압수관 연결 단계는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배관의 내부로 고압의 질소를 공급하는 질소공급관을 연결하는 질소공급관 연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압수관 연결 단계는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배관의 내부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배관을 연결하는 에어배관 연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의 상기 배관 세척 단계는 용존산소수 또는 오존살균수가 상기 고압수관을 통해 상기 배관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여 세척이 진행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세척볼 삽입 단계의 상기 세척볼의 지름이 상기 배관의 지름보다 5 ~ 30㎜ 큰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볼이 배관 내부에 삽입된 다음, 고압수에 더하여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압축공기, 산소, 질소, 용존산소수 및 오존살균수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가 선택되어 세척이 진행되므로 배관 내부에 강하게 부착된 오염물질을 더욱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세척볼은 소정 지름을 가지는 볼바디의 외측면에 무수한 브러시가 돌출된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오염물질에 의해 세척볼이 쉽게 수축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의해 세척볼을 이용한 오염물질의 제거 성능을 담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스펀지를 이용한 배관세척방법의 예를 보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볼의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관의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관에 세척볼이 삽입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관에 배관이 연결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관에 고압수관, 질소공급관 및 에어배관이 연결된 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연결관의 삽입공을 통해 세척볼을 재투입하는 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세척볼을 사용하여 배관 내부의 오염물질을 더욱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배관을 흐르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세척 방법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발포스펀지를 이용한 배관세척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볼 삽입 단계(S10), 연결관 설치 단계(S20), 고압수관 연결 단계(S30), 배관 세척 단계(S40) 및 세척볼 회수 단계(S50)를 포함한다.
(1) 세척볼 삽입 단계(S10)
이 단계는 소정 길이를 가지면서 세척이 필요한 배관(1)의 일단에 조립되는 연결관(20)의 내부에 소정 지름을 가지는 세척볼(10)을 삽입하는 것으로, 이때 세척볼(10)은 배관(1)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종류 또는 오염물질(스케일)의 상태에 따라 세척볼(10)의 크기와 재질이 선택되어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세척볼(10)은 소정 지름을 가지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스펀지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소정 지름의 볼바디(11)와, 상기 볼바디(11)의 외측면을 따라 소정 길이 돌출되는 복수의 브러시(12)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세척볼(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20)의 내부에 삽입되면, 연결관(20)의 지름에 맞추어 세척볼(10)이 적절하게 압축되고, 그 결과 세척볼(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연결관(20)의 내측면에 밀착된 다음, 고압의 물 또는 공기에 의해 배관(1)을 따라 이동되게 된다.
한편, 세척볼(10)이 배관(1) 내측면에 밀착되어 수압 또는 공압에 의해 배관(1)을 따라 이동될 때, 오염물질 두께에 따라 배관(1)의 지름이 다소 협소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세척볼(10)이 쉽게 탄성 변형되게 되면 배관(1) 내측면에 강하게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바디(11)의 내부에는 소정 지름의 심재부(11A)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심재부(11A)는 볼바디(11)와 달리 탄성 변형되지 않는 경질 소재로 이루어지고, 이에 의해 심재부(11A)의 외측면을 감싸는 볼바디(11)가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폭(지름)이 심재부(11A)에 의해 자연스럽게 제한되게 되면서 세척볼(10)이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브러시(12)는 볼바디(11)와 동일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볼바디(11)를 이루는 소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성이 있는 가는 굵기의 금속사 또는 합성수지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다음 일체가 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재질로 브러시(12)가 형성된 다음, 오염물질(스케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강성의 브러시(12)를 가지는 세척볼(10)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금속 재질의 배관(1)인 경우 내부에 녹 등과 같이 배관(1)의 내측면에 강건하게 부착된 형태의 오염물질이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금속사 또는 경질의 브러시(12)가 구비된 세척볼(10)을 이용하여 배관(1)의 세척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의 배관(1)인 경우 배관(1)의 내부에 유체의 종류에 따라 물 때 등이 오염물질로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연질의 브러시(12)가 구비된 세척볼(10)을 이용하여 배관(1)의 세척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세척볼(10)은 배관(1)의 지름에 맞추어 배관(1)에 삽입되는 세척볼(10)의 지름이 결정되는데, 이 경우 브러시(12)를 제외한 볼바디(11)의 지름(D)을 기준으로 배관(1)의 지름보다 5 ~ 30㎜ 큰 세척볼(10)이 사용되게 된다.
이때 세척볼(10)의 지름이 배관(1)의 지름보다 5㎜미만으로 큰 것을 사용하게 되면 배관(1)의 내측면에 탄성 밀착되는 힘이 약하여 배관(1) 내측면에 강하게 부착된 오염물질을 쉽게 제거하지 못하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이와 반대로 세척볼(10)의 지름이 배관(1)의 지름보다 30㎜를 초과하는 크기로 사용하게 되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효율은 크게 차이가 없으면서도 배관(1)을 따라 세척볼(10)이 이송되기가 어려워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의 물 또는 공기가 사용되어야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2) 연결관 설치 단계(S20)
이 단계는 상기 세척볼 삽입 단계(S10)를 통해 연결관(20)의 내부에 소정 지름을 가지는 세척볼(10)이 삽입되고 나면, 해당 연결관(20)을 배관(1)의 일단에 연결하는 것으로, 이때 연결관(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소정 지름의 유로(도면부호 없음)가 형성되면서 양단이 상기 유로와 연통되도록 개방되는 소정 길이의 본체(21)와, 상기 본체(21)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유로와 직교하도록 분기된 유로를 형성하는 제1 연결부(22)와, 상기 본체(21)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연결부(22)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또 다른 분기 유로를 형성하는 제2 연결부(23)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21)의 일단에는 배관(1)에 조립되거나 또는 배관(1)의 지름에 맞는 리듀서(도시하지 않음)가 나사 조립되기 위한 결합부(21A)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후술되는 고압수관(30)이 연결됨과 동시에 본체(21)의 유로를 차폐하는 제1 밸브(24)가 설치된다.
또한, 제1, 2 연결부(22, 23)에는 각각 제2 밸브(25)와 제3 밸브(26)가 연결되고, 이에 의해 제1, 2 연결부(22, 23)를 통해 후술되는 질소공급관(31) 또는 에어배관(32)이 쉽게 연결될 수 있으면서도 2종 이상의 세척물을 사용하더라도 본체(21) 내부의 기밀이 담보될 수 있다.
(3) 고압수관 연결 단계(S30)
이 단계는 상기 연결관 설치 단계(S20)를 통해 연결관(20)의 일단에 배관(1)이 연결되고 나면, 제1 밸브(24) 쪽에 고압수관(30)의 일단을 연결하는 것으로, 이때 고압수관(30)의 타단 쪽에는 수조 등의 내부에 설치된 펌프가 연결된다.
이때 수조에는 용존산소수 또는 오존살균수가 저장되어 고압수관(30)을 통해 용존산소수 또는 오존살균수가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용존산소수 또는 오존살균수가 세척수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배관(1) 내부의 오염물질과 함께 미생물 및 세균 등이 함께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고압수관(30)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연결관(20)을 통해 배관(1)의 내부로 고압의 질소 또는 압축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질소공급관(31)과 에어배관(32)이 선택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는데(S31, S32), 이 경우 제2, 3 밸브(25, 26)에 질소공급관(31)과 에어배관(32)이 각각 연결되고, 이에 의해 제2, 3 밸브(25, 26)의 개도량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고압수관(30)을 통해 공급되는 고압수에 질소와 압축공기가 소정 비율로 혼합되어 배관(1) 쪽으로 흐를 수 있게 된다.
(4) 배관 세척 단계(S40)
이 단계는 고압수관 연결 단계(S30)를 통해 연결관(20)에 고압수관(30)이 연결되고 나면, 제1 밸브(24)를 개방하여 배관(1) 쪽으로 고압의 물을 공급하고, 이를 통해 세척볼(10)이 연결관(20)의 내부에서 배관(1)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여 배관(1) 내부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이때 세척볼(10)이 배관(1)의 타단 쪽으로 배출될 때까지 고압수관(30)을 통해 고압의 물이 공급된 다음, 배관(1) 내부에 잔존하는 오염물질이 완전히 배출될 때까지 고압수관(30)을 통해 2~3분간 지속하여 고압수가 공급된 다음, 1차 세척을 완료하게 된다.
이렇게 1차 세척이 완료되고 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20)의 삽입공(27)을 커버하는 마개(27A)를 개방하여 또 다른 종류의 세척볼(10)을 연결관(20)의 내부에 삽입하고, 위 과정이 복수 회 반복되면서 배관(1) 내부의 세척이 진행된다.
이때 위에서는 삽입공(27)을 통해 세척볼(10)이 재삽입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연결관(20)과 배관(1)을 분리시킨 다음 연결관(10)의 내부에 세척볼(10)이 삽입되어도 무방하다.
(5) 세척볼 회수 단계(S50)
이 단계는 배관 세척 단계(S40)를 통해 배관(1)의 일단에서 타단 쪽으로 세척볼(10)이 통과하여 밖으로 배출되고 나면, 세척볼(10)을 회수한 다음 브러시(12)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세척하여 재사용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척볼이 배관 내부에 삽입된 다음, 고압수에 더하여 배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압축공기, 산소, 질소, 용존산소수 및 오존살균수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가 선택되어 세척이 진행되므로 배관 내부에 강하게 부착된 오염물질이 확실하게 제거될 수 있고, 세척볼은 소정 지름을 가지는 볼바디의 외측면에 무수한 브러시가 돌출된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오염물질에 의해 세척볼이 쉽게 수축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어 세척볼을 이용한 오염물질의 제거 성능이 담보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 배관 10: 세척볼
11: 볼바디 11A: 심재부
12: 브러시 20: 연결관
21: 본체 21A: 결합부
22: 제1 연결부 23: 제2 연결부
23: 제3 연결부 24: 제1 밸브
25: 제2 밸브 26: 제3 밸브
27: 삽입공 27A: 마개
30: 고압수관 31: 질소공급관
32: 에어배관

Claims (5)

  1. 소정 지름을 가지는 발포스펀지 재질의 세척볼(10)을 연결관(20)의 내부에 삽입하는 세척볼 삽입 단계(S10);
    배관(1)의 일단에 상기 연결관(20)을 설치하는 연결관 설치 단계(S20);
    상기 연결관(20)에 고압수관(30)을 연결하는 고압수관 연결 단계(S30);
    상기 고압수관 연결 단계(S30)를 통해 상기 연결관(20)에 상기 고압수관(30)이 연결되고 나면, 상기 고압수관(30)을 통해 소정 압력의 고압수를 상기 배관(1) 쪽으로 공급하여 세척하는 배관 세척 단계(S40); 및
    상기 배관(1) 내부로 공급되는 고압수로 인해 상기 세척볼(10)이 상기 배관(1)의 타단 쪽으로 배출되는 것을 회수하는 세척볼 회수 단계(S50);
    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 세척 단계(S40)는,
    크기와 재질이 서로 다른 상기 세척볼(10)을 이용하여 복수 회 진행되고,
    상기 연결관 설치 단계(S20)의 상기 연결관(20)은,
    양단이 유로와 연통되도록 개방되는 소정 길이의 본체(21);
    상기 본체(21)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유로와 직교하도록 분기된 유로를 형성하는 제1 연결부(22); 및
    상기 본체(21)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연결부(22)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또 다른 분기 유로를 형성하는 제2 연결부(23);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21)에는,
    상기 고압수관(30)이 연결됨과 동시에 유로를 차폐하는 제1 밸브(24)가 설치되고,
    상기 제1, 2 연결부(22, 23)에는,
    질소공급관(31)과 에어배관(32)이 연결되는 제2 밸브(25) 및 제3 밸브(26)가 설치되어, 2종 이상의 세척물을 사용하더라도 상기 본체(21) 내부 기밀이 담보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압수관 연결 단계(S30)는,
    상기 연결관(20)을 통해 상기 배관(1)의 내부로 고압의 질소를 공급하는 상기 질소공급관(31)을 상기 제2 밸브(25)에 연결하는 질소공급관 연결 단계(S31); 및
    상기 연결관(20)을 통해 상기 배관(1)의 내부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상기 에어배관(32)을 상기 제3 밸브(26)에 연결하는 에어배관 연결 단계(S32);
    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 세척 단계(S40)에서는,
    상기 제1, 2, 3 밸브(24, 25, 26)의 개도량이 조절되어 상기 고압수관(30)을 통해 공급되는 고압수에 질소와 압축공기가 소정 비율로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관(1) 쪽으로 공급되면서 1차 세척이 진행되며,
    1차 세척이 완료되고 나면, 상기 연결관(20)에 구비되는 삽입공(27)의 마개(27A)가 개방된 다음, 다른 종류의 세척볼이 삽입되어 상기 연결관(20)을 상기 배관(1)에서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복수 회 세척이 반복 진행되고,
    상기 세척볼 삽입 단계(S10)의 상기 세척볼(10)은,
    발포스펀지로 이루어져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소정 지름의 볼바디(11); 및
    상기 볼바디(11)의 외측면을 따라 소정 길이 돌출되는 복수 개의 브러시(12);
    를 포함하고,
    상기 볼바디(11)의 내부에는,
    상기 볼바디(11)와 달리 탄성 변형되지 않는 경질 소재의 심재부(11A)가 구비되며,
    상기 브러시(12)는,
    상기 볼바디(11)를 이루는 소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성이 있는 가는 굵기의 금속사 또는 합성수지사로 이루어진 다음 일체가 되도록 성형되고,
    상기 세척볼 삽입 단계(S10)의 상기 세척볼(10)은,
    상기 브러시(12)를 제외한 상기 볼바디(11)의 지름(D)이 상기 배관(1)의 지름보다 5 ~ 30㎜ 큰 것이 사용되며,
    상기 배관 세척 단계(S40)에서는,
    용존산소수 또는 오존살균수가 상기 고압수관(30)을 통해 상기 배관(1)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여 세척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스펀지를 이용한 배관세척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08080A 2020-01-21 2020-01-21 발포스펀지를 이용한 배관세척방법 KR102141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080A KR102141835B1 (ko) 2020-01-21 2020-01-21 발포스펀지를 이용한 배관세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080A KR102141835B1 (ko) 2020-01-21 2020-01-21 발포스펀지를 이용한 배관세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835B1 true KR102141835B1 (ko) 2020-08-06

Family

ID=72040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080A KR102141835B1 (ko) 2020-01-21 2020-01-21 발포스펀지를 이용한 배관세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8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395B1 (ko) * 2020-09-04 2021-05-18 주식회사 이디 저압질소와 크린볼을 이용한 수도배관의 세척장치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918A (ko) 2002-10-28 2002-11-23 안익대 콘덴서 유체수송관 세정장치의 세척볼 스케일제거장치
KR100778430B1 (ko) 2006-05-17 2007-11-21 서동관 배관 세척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배관의 세척 방법
KR101326144B1 (ko) 2013-08-08 2013-11-07 (주)이오렉스 배관의 스케일 제거장치
KR20140002105A (ko) * 2012-06-26 2014-01-08 전남도시가스(주) 관세척장치
JP2016120007A (ja) * 2014-12-24 2016-07-07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管路内の殺菌洗浄装置、及び殺菌洗浄方法
KR102016324B1 (ko) 2017-11-06 2019-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내벽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918A (ko) 2002-10-28 2002-11-23 안익대 콘덴서 유체수송관 세정장치의 세척볼 스케일제거장치
KR100778430B1 (ko) 2006-05-17 2007-11-21 서동관 배관 세척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배관의 세척 방법
KR20140002105A (ko) * 2012-06-26 2014-01-08 전남도시가스(주) 관세척장치
KR101326144B1 (ko) 2013-08-08 2013-11-07 (주)이오렉스 배관의 스케일 제거장치
JP2016120007A (ja) * 2014-12-24 2016-07-07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管路内の殺菌洗浄装置、及び殺菌洗浄方法
KR102016324B1 (ko) 2017-11-06 2019-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내벽 세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395B1 (ko) * 2020-09-04 2021-05-18 주식회사 이디 저압질소와 크린볼을 이용한 수도배관의 세척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00954C (zh) 管道连接装置
KR102141835B1 (ko) 발포스펀지를 이용한 배관세척방법
CN201098110Y (zh) 内窥镜清洗消毒装置
JP4812515B2 (ja) 洗浄アダプタ
KR101690588B1 (ko) 물과 압축공기로 형성된 에어피그를 이용한 관로 세척 방법
WO2007117420A3 (en) Canister for treatment of contaminated fluids
JP4538431B2 (ja) 水道管の洗浄方法とこの方法に使用する水道管の洗管ピグ
EP3057407B1 (de) Zitzengummi und düse
JP4903427B2 (ja) 透析用カプラ
KR101641783B1 (ko) 분사노즐을 이용한 관 세척장치
US20110083707A1 (en) Device for cleaning drain conduits
JP4500334B2 (ja) 水道管の洗管ピグ
JP3645010B2 (ja) 内視鏡洗滌装置
JP2012170890A (ja) オゾン式給水管浄化装置およびオゾン式給水管浄化方法
JP6546503B2 (ja) 浴槽用給湯アダプターおよびそのノズル部材
KR20220062222A (ko) 정수 필터의 패킹 구조
ATE314962T1 (de) Endteil eines flexiblen gefässes für flüssigkeit und methode zur herstellung desgleichen
JP3169514B2 (ja) 内視鏡の掃除用ブラシ挿入補助具
JP2009540884A (ja) 装置コネクタ及び医療用装置コネクタを備えるシステム
JP2008175046A (ja) 水道管の洗浄方法とこの方法に使用する洗管ピグのガイドベラ
US6902666B1 (en) Aquarium filter
JP6456067B2 (ja) 流路接続装置
KR102494191B1 (ko) 상수도 관로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척공법
CN219602057U (zh) 一种桶盖接头装置和清洗剂承装桶
JP2003290139A (ja) 内視鏡の観察窓洗浄用流体供給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