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143B1 -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프레스 금형 - Google Patents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프레스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143B1
KR102141143B1 KR1020180167408A KR20180167408A KR102141143B1 KR 102141143 B1 KR102141143 B1 KR 102141143B1 KR 1020180167408 A KR1020180167408 A KR 1020180167408A KR 20180167408 A KR20180167408 A KR 20180167408A KR 102141143 B1 KR102141143 B1 KR 102141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blocks
lift
lower mold
m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7965A (ko
Inventor
도상현
서종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영
Priority to KR1020180167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143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4/00Special deep-drawing arrangements in, or in connection with, presses
    • B21D24/10Devices controlling or operating blank holders independently, or in conjunction with dies
    • B21D24/14Devices controlling or operating blank holders independently, or in conjunction with die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2Ejec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프레스 금형에 관한 것이다. 하형은 상면에 성형부가 형성된다. 상형은 하형의 상측에 배치되어 하형과 형합 또는 형분리되는 것으로, 하형과의 사이에 적재되는 판재를 하형과 형합시 가압해서 부품으로 성형하도록 하면에 성형부가 형성된다. 블랭크 홀더는 하형과 상형의 형합시 상면에 얹어진 판재를 규제하도록 하형의 주변에 설치된다. 리프트 기구는 성형 후 부품을 블랭크 홀더로부터 리프트시키는 것으로, 블랭크 홀더의 상면을 통해 각각 출몰 동작하는 리프트 블록들과, 리프트 블록들에 탄성력을 가하여 리프트 블록들을 각각 돌출시킨 상태로 지지하는 리프트 블록용 스프링들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프레스 금형{Press mold including lift function}
본 발명은 차체 부품 등과 같은 부품을 프레스 성형하기 위한 금형에 관한 기술이다.
차체 부품 등과 같은 부품은 프레스 금형에 의해 프레스 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다. 프레스 금형은 상형과 하형 사이에 판재를 둔 상태로 상형과 하형을 형합시켜 판재를 가압함으로써, 판재를 소성 변형시켜 성형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부품 성형 후, 상형과 하형이 형분리되면, 부품이 하형에 안착되어 있어야 하지만, 성형시 강한 형합으로 인하여 상형에 부품이 소착되어 취출이 곤란할 때가 있다. 이와 반대로, 부품이 하형에 소착되어 취출이 곤란할 때가 있다.
또한, 판재를 가열하여 성형성을 높인 온간 상태에서 성형하는 온간 성형시, 100℃~200℃로 가열된 상형 또는 하형에 부품이 소착될 경우, 소착된 부품을 취출하기 위해 작업자가 프레스 금형 내에 들어가야 하므로 안전사고에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성형된 부품 취출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프레스 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프레스 금형은 하형과, 상형과, 블랭크 홀더(blank holder), 및 리프트 기구를 포함한다. 하형은 상면에 성형부가 형성된다. 상형은 하형의 상측에 배치되어 하형과 형합 또는 형분리되는 것으로, 하형과의 사이에 적재되는 판재를 하형과 형합시 가압해서 부품으로 성형하도록 하면에 성형부가 형성된다. 블랭크 홀더는 하형과 상형의 형합시 상면에 얹어진 판재를 규제하도록 하형의 주변에 설치된다. 리프트 기구는 성형 후 부품을 블랭크 홀더로부터 리프트시키는 것으로, 블랭크 홀더의 상면을 통해 각각 출몰 동작하는 리프트 블록들과, 리프트 블록들에 탄성력을 가하여 리프트 블록들을 각각 돌출시킨 상태로 지지하는 리프트 블록용 스프링들을 구비한다.
추가적인 양상으로,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프레스 금형은 성형 후 부품을 상형으로부터 밀어내는 푸싱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싱 기구는 상형의 성형부 하면을 통해 각각 출몰 동작하는 푸싱 블록들과, 푸싱 블록들에 탄성력을 가하여 푸싱 블록들을 각각 돌출시킨 상태로 지지하는 푸싱 블록용 스프링들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 성형 후 하형 또는 상형에 소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품 취출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온간 성형시에도 부품을 안전하게 취출할 수 있으므로, 부품 취출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프레스 금형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상형과 하형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푸싱 기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프레스 금형에 의해 부품을 성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프레스 금형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상형과 하형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푸싱 기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프레스 금형에 의해 부품을 성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프레스 금형(100)은 하형(110)과, 상형(120)과, 블랭크 홀더(130), 및 리프트 기구(140)를 포함한다.
하형(110)은 상면에 성형부(111)가 형성된다. 하형(110)의 성형부(111)는 부품(1')의 하면 형상과 반대되는 형상을 갖는다. 하형(110)은 상형(120)과의 사이에 부품(1')으로 성형될 판재(1)를 공급받는다. 여기서, 판재(1)는 예열된 상태로 하형(110)과 상형(120) 사이로 공급될 수 있다.
상형(120)은 하형(110)의 상측에 배치되어 하형(110)과 형합 또는 형분리된다. 상형(120)은 하형(110)에 대해 승강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형(120)은 유압식 또는 기계식 프레스장치의 가동 프레임(미도시)에 연결되어, 가동 프레임이 승강 동작할 때, 가동 프레임과 함께 승강 동작할 수 있다.
상형(120)은 하형(110)과의 사이에 적재되는 판재(1)를 하형(110)과 형합시 가압해서 부품(1')으로 성형하도록 하면에 성형부(121)가 형성된다. 상형(120)의 성형부(121)는 하형(110)의 성형부(111)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형(120)의 성형부(121)는 부품(1')의 상면 형상과 반대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하형(110)과 상형(120)의 형합시, 하형(110)의 성형부(111)와 상형(120)의 성형부(121) 사이에 위치한 판재(1)가 성형부들(111, 121)에 의해 가압되면서 부품(1')으로 성형될 수 있다. 하형(110)과 상형(120)이 판재(1)를 온간 성형할 경우 히터를 각각 내장할 수 있다. 따라서, 하형(110)과 상형(120)은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판재(1)를 가열함에 따라 온간 성형할 수 있다.
블랭크 홀더(130)는 하형(110)과 상형(120)의 형합시 상면에 얹어진 판재(1)를 규제하도록 하형(110)의 주변에 설치된다. 블랭크 홀더(130)는 하형(110)의 주변에 배치되어 쿠션수단(13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쿠션수단(136)은 가스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져, 블랭크 홀더(130)를 일정 압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블랭크 홀더(130)는 지지 프레임(137)에 의해 승강 지지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형(120)이 하형(110)에 대해 형분리되어 있을 때, 블랭크 홀더(130)는 쿠션수단(136)에 의해 하형(110)보다 높게 들어올려진 상태로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판재(1)가 블랭크 홀더(130)의 상면에 얹어진다. 이후, 상형(120)이 하강하여 하형(110)과 형합되어 판재(1)를 부품(1')으로 성형한다. 이때, 상형(120)은 블랭크 홀더(130)와 함께 판재(1)를 잡은 상태로 하강하게 되므로, 판재(1)를 규제한 상태로 성형시킬 수 있게 된다.
리프트 기구(140)는 성형 후 부품(1')을 블랭크 홀더(130)로부터 리프트시키는 것으로, 리프트 블록(141)들과, 리프트 블록용 스프링(142)들을 구비한다. 리프트 블록(141)들은 블랭크 홀더(130)의 상면을 통해 각각 출몰 동작한다.
리프트 블록(141)들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리프트 블록(141)들은 하형(110)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배치됨으로써, 성형 후 부품(1')의 양쪽에서 블랭크 홀더(130)로부터 돌출되어 부품(1')을 리프트시킨 상태로 안정되게 거치할 수 있다. 리프트 블록(141)들의 각 상면은 편평하게 형성되어 부품(1')을 안정되게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리프트 블록(141)들의 각 상면은 부품(1')을 안정된 자세로 거치할 수 있는 면적을 갖는다.
블랭크 홀더(130)는 리프트 블록(141)들의 출몰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131)들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홈(131)들은 블랭크 홀더(130)의 상면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131)들은 리프트 블록(141)들을 각 상측 개구를 통해 끼워서 상하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도록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 홈(141)은 블랭크 홀더(130)의 내주를 향한 부위가 트인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리프트 블록(141)을 하형(110)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시킨 상태로 리프트 블록(141)의 출몰 동작을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리프트 블록(141)들은 부품(1')을 더욱 용이하게 리프트시킨 후 안정된 자세로 거치할 수 있다.
리프트 블록용 스프링(142)들은 리프트 블록(141)들에 탄성력을 가하여 리프트 블록(141)들을 각각 돌출시킨 상태로 지지한다. 리프트 블록용 스프링(142)은 리프트 블록(141)의 하측에 배치된 상태로 가이드 홈(131)에 수용됨으로써, 리프트 블록(141)의 돌출 방향으로 리프트 블록(141)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리프트 블록용 스프링(142)은 압축코일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이나 가스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리프트 기구(140)의 작용에 대해,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형(120)이 하형(110)으로부터 형분리된 상태에서, 리프트 블록(141)들은 리프트 블록용 스프링(142)들의 탄성력에 의해 블랭크 홀더(130)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대기한다. 이 상태에서, 판재(1)가 리프트 블록(141)들의 상면에 얹어진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형(120)이 하강하여 하형(110)과 형합되면, 리프트 블록(141)들은 블랭크 홀더(130)로 몰입된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블록(141)들은 블랭크 홀더(130)에 몰입된 상태로 블랭크 홀더(130)와 함께 하강한다. 상형(120)과 하형(110)의 형합에 의해 판재(1)가 부품(1')으로 성형된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형(120)이 상승하여 하형(110)과 형분리되면, 리프트 블록(141)들은 블랭크 홀더(130)에 몰입된 상태로 블랭크 홀더(130)와 함께 상승한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블록(141)들은 블랭크 홀더(130)로부터 돌출되어 부품(1')을 블랭크 홀더(130)로부터 리프트시킨다.
이 과정에서, 부품(1')은 블랭크 홀더(130)와 하형(110)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부품(1')이 블랭크 홀더(130)와 하형(110)에 소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판재(1)를 가열하여 성형성을 높인 온간 상태에서 성형하는 온간 성형시, 100℃~200℃로 가열된 블랭크 홀더(130)와 하형(110)에 부품(1')이 소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성형된 부품(1')을 프레스 금형(100)으로부터 취출할 때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와 달리, 작업자는 소착된 부품을 취출하기 위해 프레스 금형 내에 들어갈 필요가 없게 되므로,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또한, 부품(1')은 성형 후 리프트 블록(141)들에 의해 블랭크 홀더(13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므로, 부품(1')과 블랭크 홀더(130)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취출 기구가 쉽게 진입해서 부품(1')을 취출할 수 있다. 따라서, 온간 성형시에도 부품(1')을 안전하게 취출할 수 있으므로, 부품(1') 취출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스 금형(100)은 성형 후 부품(1')을 상형(110)으로부터 밀어내는 푸싱 기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푸싱 기구(150)는 푸싱 블록(151)들과, 푸싱 블록용 스프링(152)들을 구비한다. 푸싱 블록(151)들은 상형(120)의 성형부(121) 하면을 통해 각각 출몰 동작한다.
푸싱 블록(151)들은 상형(120)의 성형부(121)의 양쪽에 배치됨으로써, 성형 후 부품(1')의 양쪽에서 돌출되어 상형(120)의 성형부(121)로부터 부품(1')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푸싱 블록(151)들은 상형(120)의 성형부(121)에 성형각이 상대적으로 크게 변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푸싱 블록(151)들은 하형(110)과 상형(120)의 형합시 상대적으로 큰 각도로 절곡되는 부품(1')의 절곡 부위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부품(1')의 절곡 부위가 상형(120)의 성형부(121)에 끼더라도 푸싱 블록(151)들은 부품(1')의 절곡 부위로 돌출됨으로써, 상형(120)의 성형부(121)로부터 부품(1')을 더욱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푸싱 블록(151)은 상하 방향으로 출몰하도록 동작할 수 있으나, 부품(1')의 형상에 따라 상형(120)의 성형부(121)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해 경사진 방향으로 출몰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푸싱 블록(151)은 하우징(153)에 수용된 상태로 하우징(153)의 내벽을 따라 선형 이동해서 하우징(153)의 출입구를 통해 출몰 동작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푸싱 블록(151)은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푸싱 블록(151)은 돌출된 단이 반구 형태로 이루어져 부품(1')과의 접촉시 부품(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푸싱 블록(151)은 돌출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다른 부위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확경부(151a)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53)은 내벽 지름이 확경부(151a)를 선형 안내할 수 있도록 설정되며, 출입구 지름이 확경부(151a)를 걸어서 푸싱 블록(15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상형(120)의 성형부(121)는 하우징(153)들을 각각 끼워서 장착하기 위한 장착 홈(122)들을 가질 수 있다. 장착 홈(122)들은 상형(120)의 성형부(121) 하면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푸싱 블록용 스프링(152)들은 푸싱 블록(151)들에 탄성력을 가하여 푸싱 블록(151)들을 각각 돌출시킨 상태로 지지한다. 푸싱 블록용 스프링(152)은 푸싱 블록(151)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로 하우징(153)에 수용됨으로써, 푸싱 블록(151)의 돌출 방향으로 푸싱 블록(151)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푸싱 블록용 스프링(152)은 압축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푸싱 기구(150)의 작용에 대해,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형(120)이 하형(110)으로부터 형분리된 상태에서, 푸싱 블록(151)들은 푸싱 블록용 스프링(152)들의 탄성력에 의해 상형(120)의 성형부(121)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대기한다.
이 상태에서, 판재(1)가 리프트 블록(141)들과 블랭크 홀더(130)의 상면에 얹어진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형(120)이 하강하여 하형(110)과 완전히 형협되기 전까지 푸싱 블록(151)들은 상형(120)의 성형부(121)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대기한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형(120)이 하강하여 하형(110)과 완전히 형합되면, 푸싱 블록(151)들은 상형(120)의 성형부(121)에 몰입된 후 몰입된 상태로 상형(120)과 함께 하강한다.
상형(120)과 하형(110)의 형합에 의해 판재(1)가 부품(1')으로 성형된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형(120)이 상승하여 하형(110)과 완전히 형분리되기 전까지 푸싱 블록(151)들은 상형(120)의 성형부(121)에 몰입된 상태로 있는다. 이후, 상형(120)이 상승하여 하형(110)과 완전히 형분리되면, 푸싱 블록(151)들은 상형(120)과 함께 상승하면서 상형(120)의 성형부(121)로부터 돌출되어 부품(1')을 상형(120)의 성형부(121)로부터 분리시킨다.
이 과정에서, 부품(1')은 상형(120)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부품(1')이 상형(120)에 소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판재(1)를 가열하여 성형성을 높인 온간 상태에서 성형하는 온간 성형시, 가열된 상형(120)에 부품(1')이 소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푸싱 기구(150)는 리프트 기구(140)와 함께 부품(1') 취출시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하형 120..상형
130..블랭크 홀더 140..리프트 기구
141..리프트 블록 142..리프트 블록용 스프링
150..푸싱 기구 151..푸싱 블록
152..푸싱 블록용 스프링

Claims (2)

  1. 상면에 성형부가 형성된 하형;
    상기 하형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형과 형합 또는 형분리되는 것으로, 상기 하형과의 사이에 적재되는 판재를 상기 하형과 형합시 가압해서 부품으로 성형하도록 하면에 성형부가 형성된 상형;
    상기 하형과 상형의 형합시 상면에 얹어진 판재를 규제하도록 상기 하형의 주변에 설치되는 블랭크 홀더;
    성형 후 부품을 상기 블랭크 홀더로부터 리프트시키는 것으로, 상기 블랭크 홀더의 상면을 통해 각각 출몰 동작하는 리프트 블록들과, 상기 리프트 블록들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리프트 블록들을 각각 돌출시킨 상태로 지지하는 리프트 블록용 스프링들을 구비하는 리프트 기구; 및
    성형 후 부품을 상기 상형으로부터 밀어내는 것으로, 상기 상형의 성형부 하면을 통해 각각 출몰 동작하는 푸싱 블록들과, 상기 푸싱 블록들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푸싱 블록들을 각각 돌출시킨 상태로 지지하는 푸싱 블록용 스프링들을 구비하는 푸싱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블랭크 홀더는 상기 리프트 블록들의 출몰 동작을 각각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들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 홈들은 각각 상기 블랭크 홀더의 상면에 함몰되되 상기 블랭크 홀더의 내주를 향한 부위가 트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리프트 블록들을 각 상측 개구를 통해 끼운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도록 안내하며;
    상기 푸싱 블록들은 상기 상형의 성형부에 성형각이 상대적으로 크게 변하는 영역에 배치되고, 하우징들에 각각 수용된 상태로 하우징의 내벽을 따라 선형 이동해서 하우징의 출입구를 통해 출몰 동작하도록 안내되며, 돌출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다른 부위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확경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들은 각각 출입구가 해당 푸싱 블록의 확경부를 걸어서 푸싱 블록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형의 성형부 하면에 함몰된 장착 홈들에 각각 끼워져 장착되며;
    상기 푸싱 블록용 스프링은 상기 푸싱 블록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푸싱 블록의 돌출 방향으로 상기 푸싱 블록에 탄성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프레스 금형.
  2. 삭제
KR1020180167408A 2018-12-21 2018-12-21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프레스 금형 KR102141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408A KR102141143B1 (ko) 2018-12-21 2018-12-21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프레스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408A KR102141143B1 (ko) 2018-12-21 2018-12-21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프레스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965A KR20200077965A (ko) 2020-07-01
KR102141143B1 true KR102141143B1 (ko) 2020-08-04

Family

ID=71601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408A KR102141143B1 (ko) 2018-12-21 2018-12-21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프레스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1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7922A (zh) * 2020-08-28 2020-11-20 靖江市钜顺精密轻合金成型科技有限公司 一种压铸模具缓冲机构
CN112338064A (zh) * 2020-11-04 2021-02-09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顶盖外板拉延凸模排气结构
CN114986663A (zh) * 2022-06-10 2022-09-02 玛戈隆特骨瓷(上海)有限公司 一种陶瓷制作用注浆成型装置及其工艺
CN115464050B (zh) * 2022-08-25 2024-06-11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球扁钢弯曲模具及弯曲方法
CN117299970A (zh) * 2023-10-12 2023-12-29 南通富德金属科技有限公司 一种连接支架定位冲压模具
CN117798250A (zh) * 2024-01-19 2024-04-02 山东小王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基于金属材料加工用的冲压成型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2791B2 (ja) * 1991-06-13 1999-09-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並列加工ドロー金型
KR101134031B1 (ko) * 2009-10-06 2012-04-13 정보식 드로잉 금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965A (ko)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143B1 (ko) 리프트 기능을 구비한 프레스 금형
KR102145494B1 (ko) 파우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그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설비
KR101648726B1 (ko) 성형유리 평탄도 개선을 위한 프레스장치
JP5515774B2 (ja) ホットプレス成形方法、及びホットプレス成形装置
KR101727271B1 (ko) 코루게이트핀의 제조 장치
KR102251131B1 (ko) 글라스 성형 기구 및 글라스 성형 방법
KR102134475B1 (ko) 철판 절곡 장치
KR20140146836A (ko) 커버 윈도우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
KR101838087B1 (ko) 이형 성형용 프레스 금형
KR101614813B1 (ko) 필름소재의 에지부를 케이스의 전면 테두리부에 접착시킬 수 있는 에지부 접착유닛을 구비한 필름접착용 열융착 장치
JP2015058547A (ja) 真空成形装置及び真空成形方法
JP5856515B2 (ja) ホットプレス成形装置及びホットプレス成形方法
KR101652812B1 (ko) 유리 성형 금형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성형방법
KR101352511B1 (ko) 범퍼 빔 금형 장치 및 범퍼 빔 제조 방법
EP3486224A1 (en) Material molding device
KR960004240A (ko) 가요성 프레스
KR101432776B1 (ko) 임팩트 프레스기의 성형품 분리장치
KR101252690B1 (ko) 시트 쿠션프레임의 연속제조공정을 위한 헤밍장치
KR101175436B1 (ko) 가압 성형 장치
JP6691898B2 (ja) プレス装置
KR101648727B1 (ko) 성형유리 평탄도 개선을 위한 금형장치
JP2008247671A (ja) 光学素子成形装置
JP6315804B2 (ja) 角型容器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装置
KR102000088B1 (ko) 차체 패널의 엣지 성형용 온간 프레스 금형장치
JP5967644B2 (ja) プレス成形装置及びプレス成形品の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