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230B1 -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230B1
KR102140230B1 KR1020200022179A KR20200022179A KR102140230B1 KR 102140230 B1 KR102140230 B1 KR 102140230B1 KR 1020200022179 A KR1020200022179 A KR 1020200022179A KR 20200022179 A KR20200022179 A KR 20200022179A KR 102140230 B1 KR102140230 B1 KR 102140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rough
main body
cable
cov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수
Original Assignee
동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2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전기·신호제어 케이블이 포설되는 케이블 트로프 본체와 그 상부면에 결합되어 케이블을 보호하는 케이블 트로프 덮개로 구성되는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에 있어서,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면이 개방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 하단에 부착 또는 일체(一體)로 형성되는 아치(Arch)구조 지지부, 직육면체 또는 타원형 기둥의 형태로 상기 본체부 측면에 부착 형성되는 기둥부재,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를 구성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상기 본체부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기본층, 상기 기본층의 상단에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포장재층을 포함하는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와 그 제조방법{Walkable cable troug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신호제어 케이블을 배선하는 케이블 트로프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충격 흡수력을 높여 내구를 강화하고 마찰력을 높여 미끄러짐을 방지한 덮개와 충격 흡수력을 높이고 덮개와의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본체로 구성되는 보도용으로 개량한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로용 시설자재인 케이블 트로프는 주로 철도건설과 관련된 고속철도, 국철, 지하철, 경전철 정보통신 구축에 있어 기초 시설재로 사용되는 것으로, 철도의 전기·신호제어 케이블 설치시 안전상의 이유와 유지보수작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케이블 트로프는 그 재질에 있어서 콘크리트와 폴리머 애쉬 슬래그(Polymer ash slag) 콘크리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내구성 측면에서 볼 때 콘크리트로 제작된 케이블 트로프는 견고하고 변형이 없으나 충격에 약하고 산성비와 기온변화 등에 의한 부식으로 수명이 단축될 수 있으며, 파손 및 덮개의 이탈로 전기·신호제어 케이블의 훼손될 우려가 있다. 폴리머 애쉬 슬래그 콘크리트로 제작된 케이블 트로프는 외부 충격으로 인한 파손이 적고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균열 및 부식이 없으나 직접적인 하중에 대한 변형의 우려가 있다.
통상 트로프가 포설된 현장에서 안전상 보수자 등 사람이 케이블 트로프 위를 보행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나, 선로변 도상에서 레일과 트로프 덮개가 노출된 곳을 제외한 지면은 자갈로 덮여 있으므로 사실상 케이블 트로프 덮개 상부면이 현장 근무자들의 보도로 쓰이는 상황이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와 폴리머 애쉬 슬래콘크리트의 재질의 케이블 트로프는 보수자 등이 보행시 파손·이탈되거나 눈비 등에 의해 미끄러지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특히 사회적 추세에 있어서 선로변 등의 열악한 환경에서 작업하는 보수자의 안전에 대한 개선이 촉구되고 있으므로 그에 따른 철도 유지보수 관련 근무환경의 개선을 위해서도 케이블 트로프를 구성하는 덮개와 본체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개선하고 보행용으로 겸용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을 제고하는 것은 시급한 실정이다.
KR 10-1141137 B1 KR 10-1249300 B1 KR 10-0911320 B1 US 05815995 A JP 3041823 U JP 2008-278728 A KR 20-2014-0002114 U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조의 변형과 충격 흡수용 부재를 설치하여 내구도를 개선한 트로프 본체와, 탄력과 마찰력을 개선한 트로프 덮개를 포함하는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를 구성함으로써, 보행시의 미끄러짐 방지, 동절기 시의 혹한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로프 본체와 트로프 덮개의 재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로프 덮개의 탄력과 마찰력을 개선할 수 있는 탄성포장재의 재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로프 덮개에 가해지는 하중을 버틸 수 있는 받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로프 본체 내부에 설치된 받침 장치와 트로프 덮개를 고정할 수 있는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로프 본체 내부에 포설되는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로프 본체와 결합된 트로프 덮개가 보행자 등의 외부 충격이나 열차 등의 외부 진동에 의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로프 본체와 트로프 덮개에 결합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로프 본체와 트로프 덮개가 결합수단을 통해 원활히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유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로프 덮개에 가해지는 충격과 하중이 트로프 본체에 완화되어 전달될 수 있도록 충격흡수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로프 본체 내부에 빗물 또는 오수가 유입되어 고여 썩지 않도록 트로프 본체에 배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보행시의 미끄러짐 방지, 동절기 시의 혹한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트로프 덮개의 탄력과 마찰력을 개선할 수 있는 탄성포장재를 트로프 덮개에 도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케이블이 포설되는 케이블 트로프 본체와 상기 케이블 트로프 본체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케이블 트로프 덮개로 구성되는 케이블 트로프에 있어서,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면이 개방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부착 또는 일체(一體)로 형성되며, 아치(Arch) 구조인 지지부, 직육면체 또는 타원형 기둥의 형태로 2개 내지 10개의 기둥이 서로 이격되어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부착 형성되는 기둥부재,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상기 본체부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기본층, 상기 기본층의 상단에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포장재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기본층은 콘크리트, 폴리머 애쉬 슬래그 콘크리트(Polymer ash slag concrete), FRP(Fiber-reinforced plastic), 폴리머-콘크리트 혼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포장재층은 PUR(Polyuretha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F(Polyvinyl fluoride), ECTFE(Ethylene-Chlorotrifluoroethylene), EPDM rubber(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AN(Styrene-acrylonitrile resin), PSU(Polysulfone), TEEE(Thermoplastic elastomer ether ester), MC(Monomer casting nylon), 6N(Nylon 6), MA(Methacrylat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폴리머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내부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부의 측면과 같은 높이로 형성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의 재질은 상기 본체부와 동일하게 콘크리트, 폴리머 애쉬 슬래그 콘크리트(Polymer ash slag concrete), FRP(Fiber-reinforced plastic), 폴리머-콘크리트 혼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부의 형태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과 평행한 벽으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구획하고, 평평한 형태 또는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는 받침벽, 3개 내지 12개의 옆면을 가진 각기둥 또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는 받침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벽은 1개 내지 3개 이하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받침기둥은 1개 내지 10개 이하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벽 또는 상기 받침기둥의 상단은 상기 덮개부의 하단과 접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의 하부면은 상기 덮개부와 상기 본체부가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받침벽 또는 상기 받침기둥과 결합하여 고정하는 클립(Clip)형태의 체결장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상기 받침벽이 설치된 경우,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케이블 보호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보호판은 상기 받침벽 사이 또는 상기 받침벽과 상기 본체부의 측면 사이에 결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벽에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 방향으로 5cm 내지 20cm 이하의 높이에 상기 케이블 보호판을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부 하단에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의 양측면부 상단에 상기 덮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2결합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통해 상기 본체부와 상기 덮개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는, 아치 형상(
Figure 112020019178901-pat00001
, 211a), 음표 형상(
Figure 112020019178901-pat00002
, 211b), T 형상(
Figure 112020019178901-pat00003
또는
Figure 112020019178901-pat00004
, 211c), V 형상(
Figure 112020019178901-pat00005
, 211d) 또는 괄호 형상(
Figure 112020019178901-pat00006
, 211e)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결합부의 형태가 상기 T 형상, 상기 V 형상 또는 상기 괄호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일 경우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가 결합하는 결합면에 결합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가 결합하는 결합면에 충격흡수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의 스프링, 또는 실리콘 수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가 상기 본체부에 부착된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와 같은 재질의 직육면체인 아치 블록(Block);이 7개 내지 15개 이하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반원(半圓) 아치, 장원(長圓) 아치, 첨두(尖頭) 아치, 말발굽형 아치 또는 오지(Ogee) 아치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 및 상기 아치 블록들이 서로 부착된 틈새에는, 가로 0.5cm 내지 1cm 이하, 세로 0.5cm 내지 4cm 이하의 사각형, 직경 0.5cm 내지 2cm 이하의 원 또는 긴지름 1cm 내지 4cm 이하, 짧은지름 0.5cm 1cm 이하의 타원 형태로 관통되어 형성된 배수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홀은 1개 내지 5개 이하로 상기 아치 블록이 상호간 부착된 틈새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홀의 가로 또는 짧은지름은 상기 본체부의 측면과 수직이고, 상기 배수홀의 세로 또는 긴지름은 상기 본체부의 측면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으로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폴리머 애쉬 슬래그 콘크리트(Polymer ash slag concrete), FRP(Fiber-reinforced plastic), 폴리머-콘크리트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의 재료를 준비하는 제1공정, 준비된 재료를 하단이 아치형인 케이블 트로프 본체의 금형(金型) 캐비티(Cavity)와 케이블 트로프 덮개의 금형 캐비티에 각각 주입하는 제2공정, 주입된 재료를 프레스로 가열가압하는 제3공정, 가열된 상기 케이블 트로프 본체의 금형 캐비티와 상기 케이블 트로프 덮개의 금형 캐비티를 냉각하여 내부를 고체화한 뒤 케이블 트로프 본체와 케이블 트로프 덮개를 꺼내는 제4공정, 상기 케이블 트로프 덮개의 상부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제5공정,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면에 탄성포장재를 도포하여 탄성포장재층을 형성하는 제6공정 및 상기 탄성포장재층의 상부면을 금속 롤러로 열압착하는 제7공정으로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포장재는 고온의 압출성형기 내부에 액체 상태로 존재하며, 상기 압출성형기의 하단부를 통과하는 상기 케이블 트로프의 상부면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수단으로 인한 본 발명의 효과로, 본 발명은 기존의 케이블 트로프에 비하여 충격 흡수력과 내구도, 미끄러짐 방지 등이 현저히 향상된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로프 본체와 트로프 덮개의 재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로프 덮개의 탄력과 마찰력을 개선할 수 있는 탄성포장재의 재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로프 덮개에 가해지는 하중을 버틸 수 있는 받침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로프 본체 내부에 설치된 받침 장치와 트로프 덮개를 고정할 수 있는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로프 본체 내부에 포설되는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로프 본체와 결합된 트로프 덮개가 보행자 등의 외부 충격이나 열차 등의 외부 진동에 의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로프 본체와 트로프 덮개에 결합수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로프 본체와 트로프 덮개가 결합수단을 통해 원활히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유도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로프 덮개에 가해지는 충격과 하중이 트로프 본체에 완화되어 전달될 수 있도록 충격흡수부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로프 본체 내부에 빗물 또는 오수가 유입되어 고여 썩지 않도록 트로프 본체에 배수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은, 보행시의 미끄러짐 방지, 동절기 시의 혹한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트로프 덮개의 탄력과 마찰력을 개선할 수 있는 탄성포장재를 트로프 덮개에 도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생산된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 덮개와 케이블 트로프 본체가 결합된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a는 본 발명의 굴곡진 형태인 받침벽이 형성된 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b는 본 발명의 평평한 형태의 받침벽이 형성된 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c는 본 발명의 받침기둥이 형성된 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받침벽과 덮개부의 결합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케이블 보호판을 포함하는 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5a는 본 발명의 제2결합부가 아치 형상일 경우의 종단면도이다.
도5b는 본 발명의 제2결합부가 음표 형상일 경우의 종단면도이다.
도6a는 본 발명의 제2결합부가 T 형상일 경우의 종단면도이다.
도6b는 본 발명의 제2결합부가 V 형상일 경우의 종단면도이다.
도6c는 본 발명의 제2결합부가 괄호 형상일 경우의 종단면도이다.
도7a는 본 발명의 아치 블록으로 형성된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7b는 본 발명의 배수홀이 형성된 지지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7c는 본 발명의 배수홀이 형성된 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인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음을 일러둔다. 도면에 표시된 구조들의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공정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다음으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전기·신호제어 케이블을 배선하는 케이블 트로프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충격 흡수력을 높여 내구를 강화하고 마찰력을 높여 미끄러짐을 방지한 덮개와 충격 흡수력을 높이고 덮개와의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본체로 구성되는 보도용으로 개량한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 종사자 등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히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음을 일러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의 덮개부(100)와 본체부(200)가 결합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덮개부(100)는 기본층(110), 프라이머층, 탄성포장재층(120)의 3중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본층(110)은 케이블 트로프 덮개와 같은 것으로 정의되며, 기존 케이블 트로프의 주 재료인 콘크리트 또는 폴리머 애쉬 슬래그 콘크리트를 사용함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본층(110)은 지속적으로 개발되는 소재인 FRP(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또는 지오폴리머 콘크리트,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폴리머 콘크리트 등의 폴리머 콘크리트 소재로 사출성형하여 사용함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프라이머층을 구성하는 접착용 폴리머에 대하여 한정하지는 않으나 이는 폴리올레핀계 및 폴리에스테르계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프라이머층은 폴리올레핀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의 재질로 된 얇은 면 형태의 접착제가 용융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프라이머층은 저분자 섬유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탄성포장재층(120)을 구성하는 재질에 대한 기준으로써 마찰계수, 가용온도, 내약품성을 고려하여 PUR(Polyuretha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F(Polyvinyl fluoride), ECTFE(Ethylene-Chlorotrifluoroethylene), EPDM rubber(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AN(Styrene-acrylonitrile resin), PSU(Polysulfone), TEEE(Thermoplastic elastomer ether ester), MC(Monomer casting nylon), 6N(Nylon 6), MA(Methacrylate)의 12개 종류의 폴리머를 제시한다.
상기 마찰계수에 있어서, PUR의 정마찰계수인 0.4를 기준으로 0.25 ~ 0.45의 범위에서 정하였다. 상기 폴리머 중 마찰계수가 최하인 폴리머는 0.25의 ECTFE이고, 최대인 폴리머는 0.45의 PVC이다.
상기 폴리머는 국내 노면온도의 연간 온도 범위인 -30℃ ~ 80℃에서 깨짐 또는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며 200℃ ~ 300℃ 범위의 융점을 가지고 있어 내열성 또한 뛰어나다. 아울러 내약품성에 있어서도 강산 또는 강염기가 아닌 일반적인 산성비의 pH인 5.7에서의 물성변화가 없음이 보고된 바 있다.
상기 폴리머 중 하나인 ABS를 일례로, 상기 ABS는 그 제법, 사용하는 수지의 조성과 분자량, 고무의 종류, 조성, 입자경, 가교도, graft율 및 수지와 고무와의 비율을 조절하거나 제4의 새로운 성분을 첨가하는 것에 의해 그 성질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ABS는 전기적 성질, 내화학 약품성, 내유성, 치수안정성, 내크립성, 내응력성, 내균열성 중 제조자가 목표로 하는 특성에 따라 상기 조성과 비율을 조절한 제법으로 합성되어 그 성질이 결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한 폴리머들의 실시예에 있어서, 높은 마찰계수, 내구도, 탄성계수, 넓은 가용온도 및 강한 내화학성을 목표로 그 조성비를 변형하여 실시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상기 기본층(110)과 상기 폴리머의 재질은 절삭이 용이하며 그 절삭면은 매끄럽게 되므로 트로프 내부에 탑재한 케이블의 급격한 선회가 필요한 경우에도 트로프의 절삭을 통해 트로프 간의 연결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맥락으로, 본 발명의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 덮개를 절삭하여 2~10개의 조각으로 나누고, 상기 조각간의 요철구조를 형성하여 분리·조립되는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 덮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덮개부(100)와 결합하여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를 구성하는 상기 본체부(200)에 있어서 더욱 자세하게는,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본체부(200)는 덮개부(100)에서 전달되는 보행자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 상기 본체부(200)의 하단에 지지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300)는 고대 로마 건축에서 일반화되었으며, 건축물의 안정성과 내구도를 높이기 위해 석조건축에서 널리 쓰여왔던 아치의 형태로 형성된다. 아치 구조는 구조적 우수성과 형태적 가변성이 뛰어나다고 익히 알려져있으며 이를 3차원적으로 확장하면 돔(Dome)이 된다. 돔은 기둥을 사용하지 않고 가장 넓은 공간을 포용할 수 있는 구조로 현대의 건축양식에도 자주 사용되는 형태이다.
또한, 아치는 인장 응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물로, 모든 하중은 압축 응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는 암석이나 주철, 콘크리트 등 압축 응력에는 강하나 인장 응력에는 약한 재질에 대해 유리하다. 콘크리트의 인장 강도는 압축 강도의 1/10 내지 1/13으로 압축 응력에 대한 저항력에 비하여 인장 응력에 대한 저항력이 현저히 낮은 수치를 띈다. 본 발명에서 주 재료로 사용한 폴리머 콘크리트 또한 콘크리트를 상당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아치의 형태를 한 상기 지지부(300)가 케이블 트로프의 내구도를 향상시킴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직육면체 또는 타원형 기둥의 형태로 2개 내지 10개의 기둥이 서로 이격되어 상기 본체부(200)의 측면에 부착 형성되는 기둥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본체부(200)의 측면이 상기 덮개부(100)에서 전달되는 하중과 압력에 변형 또는 함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00)에 더하여, 상기 덮개부(100)를 지탱하는 받침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400)는 도2a와 도2b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받침벽(410) 또는 도2c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받침기둥(420)의 형태로 상기 본체부(200)의 하부면에서부터 수직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200)의 측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받침벽(410)은 평평한 형태, 굴곡진 형태 또는 상기 받침벽(410)에서 상기 본체부(200)의 측면을 향한 돌출부재가 부착된 돌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다. 굴곡진 형태는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케이블 트로프 내의 공기 순환을 유도함으로써 케이블에서 발산하는 열을 냉각할 수 있어 전류의 손실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돌출 형태의 상기 받침벽(410)은 상기 돌출부재에 의해 평평한 형태 또는 굴곡진 형태의 상기 받침벽(410)보다 측면에서의 압력에 대한 내구성이 강하다. 따라서 돌출 형태의 상기 받침벽(410)은 평평한 형태 또는 굴곡진 형태의 상기 받침벽(410)보다 휨강도가 높게 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벽(410)과 상기 받침기둥(420)은 덮개부(100)를 받치는데 있어서 상기 덮개부(100)의 하부면에 더 포함되는 체결장치(12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받침벽(410)과 상기 받침기둥(420)은 상기 본체부(200)와 상기 덮개부(100)가 결합될 때 동시에 상기 체결장치(120)를 통해 결합된다.
상기 체결장치(120)는 집게 클립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벽(410) 또는 상기 받침기둥(420)의 너비와 같은 너비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벽(410) 또는 상기 받침기둥(420)과 결합한다. 더하여, 상기 받침벽(410) 또는 상기 받침기둥(420)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로 형성되며 신축성이 있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하여 상기 받침벽(410) 또는 상기 받침기둥(420)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체결장치(120)와 상기 덮개부(100)의 연결부는 충격흡수장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덮개부(100)에서 상기 체결장치(120)를 통해 상기 받침부(400)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장치는 금속 재질 스프링 또는 고무링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굴곡진 형태 또는 돌출 형태의 상기 받침벽(410)은 상기 덮개부(100)에 상기 체결장치(12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굴곡진 형태 또는 돌출 형태의 경우 상기 덮개부(100)와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 안정적으로 상기 덮개부(100)를 지탱하고 상기 지지부(300)에 충격을 전달한다.
상기 받침기둥(420)은 3개 내지 12개의 옆면을 가진 각기둥 또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며, 1개 내지 10개 이하로 상기 본체부(200)의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받침기둥(420)이 1개 설치될 경우,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00)의 하부면 중앙에 필수적인 1개의 상기 받침기둥(420)이 설치된다. 상기 받침기둥(420)에 3개 설치될 경우 중앙에 설치된 받침기둥(420)을 중심점으로 하여 대칭으로 상기 본체부(200)의 측면과 평행한 중앙선을 따라 상기 받침기둥(420)을 2개 추가로 설치한다. 상기 받침기둥(420)이 5개일 경우 상기 중앙선과 수직인 선을 따라 중심점을 대칭으로 상기 받침기둥(420)을 2개 추가로 설치한다. 상기 받침기둥(420)이 7개일 경우와 9개일 경우엔 상기 중앙선과 그 수직선의 대각선을 그리고 중심점을 대칭으로 하여 상기 받침기둥(420)을 2개씩 추가로 설치한다.
상기 받침기둥(420)이 2개 설치된 경우, 상기 받침기둥(420)을 상기 중앙선 또는 상기 중앙선과 수직인 선을 따라 각 선을 3등분한 등분점 2개에 상기 받침기둥(420)을 설치한다. 상기 받침기둥(420)이 4개 설치된 경우, 상기 중앙선 및 상기 중앙선과 수직인 선 각각을 3등분한 등분점 4개에 상기 받침기둥(420)을 설치한다. 상기 받침기둥(420)이 6개 설치된 경우, 상기 중앙선과 그 수직선의 대각선을 그리고 상기 대각선을 3등분한 등분점에 상기 받침기둥(420)을 2개 추가로 설치한다. 상기 받침기둥(420)이 8개 설치된 경우, 상기 대각선과 수직인 선을 3등분하여 그 등분점 2개에상기 받침기둥(420)을 2개 추가로 설치한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덮개부(1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본체부(200)의 측면과 상기 받침부(400)를 통해 전달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부(400)를 상기 본체부(200) 내부 하면의 중심점에 설치하거나, 중심점이 아닐 경우에는 상기 받침부(400)를 설치한 뒤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추가적으로 상기 받침부(400)를 설치하여 상기 덮개부(1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지지부(300)에 고르게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00)의 내부에 상기 받침부(400)의 사이사이에 상기 본체부(200)의 하부면과 평행한 케이블 보호판(2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보호판(210)은 평평하거나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200)의 내부에 포설된 케이블의 상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 보호판(210)의 상부면에 손잡이를 더 포함하여 케이블 트로프를 유지보수하는 작업자가 상기 케이블 보호판(210)을 분리하는 데 있어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보호판(210)과 상기 받침부(400) 간의 고정장치(411)를 상기 받침부(400)의 측면에 더 포함하여 상기 케이블 보호판(210)을 고정할 수 있다. 더하여, 삽입유도부를 상기 받침부(400)의 측면에 더 포함하여 상기 케이블 보호판(210)이 상기 받침부(400)의 상기 고정장치(4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411)에 잠금기능을 더 포함하여 상기 본체부(200)의 내부에 포설된 케이블을 도난 등의 범죄에서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케이블 트로프 본체와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 덮개 간의 결합은 상기 기본층(110) 양측면부 하단에 형성되는 제2결합부(600)가 상기 케이블 트로프 본체 양측면부 최상단에 위치한 제1결합부(500)와 결합됨으로써 이뤄진다. 본 발명은 상기 결합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상기 제2결합부(600)의 형상 5개를 도5, 도6에 도시하였다.
도5a의 아치 형상(
Figure 112020019178901-pat00007
, 610)과 도5b의 음표 형상(
Figure 112020019178901-pat00008
, 620) 상기 제2결합부(600)의 양측 결합부 간 폭은 상기 본체부(200)의 양측면부 간의 폭과 같다. 따라서 상기 두 형상은 상기 제1결합부(500)와 마찰력으로 결합되며, 더하여 상기 음표 형상(620)은 상기 제2결합부(600) 내부에 융기된 돌기를 통해, 자동차 도로의 방지턱과 같은 원리로 상기 덮개부(100)가 상기 본체부(2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6a의 T 형상(
Figure 112020019178901-pat00009
또는
Figure 112020019178901-pat00010
, 630), 도6b의 V 형상(
Figure 112020019178901-pat00011
, 640), 도6c의 괄호 형상(
Figure 112020019178901-pat00012
, 650) 제2결합부(600)의 결합 원리는 탄성을 가진 물체가 휘어졌을 때 응력에 의해 형상을 복구하려는 탄성 복원을 응용한 것이다.
상기 T 형상(630) 제2결합부(600)에 있어서, 케이블 트로프의 상기 본체부(200)와 상기 덮개부(100)의 결합이 상기 본체부(200)의 내측에서 이뤄질 때, 상기 제2결합부(600) 간의 폭은 상기 본체부(200)의 양측면의 폭보다 짧게 제작된다. 상기 본체부(200)와 상기 덮개부(100)의 결합이 상기 본체부(200)의 외측에서 이뤄질 때, 양측 결합부 간의 폭은 케이블 트로프 본체 양측면부의 폭보다 길게 제작된다. 그에 따라 상기 T 형상(630) 제2결합부(600)는 응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200)의 양측면을 안 또는 바깥쪽에서 밀어내거나 조이게 되고 따라서 강한 결합을 하게 된다.
상기 V 형상(640)과 상기 괄호 형상(650) 제2결합부(600)에 있어서, 상기 두 형상의 제2결합부(600)는 상기 본체부(200)와 접촉하는 양 끝단 사이의 폭이 상기 제1결합부(500)의 최상단의 두께보다 좁게 제작된다. 그에 따라 상기 두 형상의 제2결합부(600)는 클립 또는 빨래집게와 유사한 형태로 상기 제1결합부(500)와 결합하여 강한 결합력을 가지게 된다.
상기 T 형상(630), 상기 V 형상(640), 상기 괄호 형상(650) 제2결합부(600)에 있어서, 상기 세 형상의 제2결합부(600)는 상기 제1결합부(500)와의 결합시 응력에 의한 저항을 받는다. 본 발명에서는 결합이 원만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상기 세 형상의 제2결합부(600)가 상기 케이블 트로프 본체와 접촉하는 양 끝단의 결합면에 결합유도부(660)를 형성하였다. 상기 결합유도부(660)는 상기 케이블 트로프 본체 양측면부의 끝단에 면으로 접촉하도록 설계되어 결합시 응력에 의한 저항의 감소가 가능한 형태로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500)와 상기 제2결합부(600)가 결합하는 결합면에 충격흡수부재(51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결합부(500)와 상기 제2결합부(600)의 결합 과정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덮개부(100)에 가해지는 하중과 충격을 상기 본체부(200) 및 상기 지지부(300)에 완화하여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부재(510)는 상기 결합면의 내부에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은 탄성이 높은 재질을 주입하거나 상기 결합면에 상기와 같은 재질을 부착 또는 도포한 뒤 상기 본체부(200)와 같은 재질로 그 표면을 코팅하는 방법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면에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의 스프링을 부착한 뒤 상기 본체부(200)와 같은 재질로 상기 스프링을 코팅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00)의 아치 형태를 상기 본체부(200)의 재질과 같은 직육면체 형태의 아치 블록(310) 7개 내지 15개 이하를 연결하여 반원(半圓) 아치, 장원(長圓) 아치, 첨두(尖頭) 아치, 말발굽형 아치 또는 오지(Ogee) 아치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7b와 도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치 블록(310)이 상호 연결되는 사이 공간 및 상기 본체부(200)의 하부면에 물을 배수하는 배수홀(700)을 더 포함한다. 가로 0.5cm 내지 1cm 이하, 세로 0.5cm 내지 4cm 이하의 사각형, 직경 0.5cm 내지 2cm 이하의 원 또는 긴지름 1cm 내지 4cm 이하, 짧은지름 0.5cm 1cm 이하의 타원 형태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배수홀(700)은 보도 또는 차도에 설치되는 배수로 덮개 또는 맨홀에 뚫린 홀과 유사한 크기로 제조되었고, 따라서 상기 본체부(200)에 빗물 또는 기타 경로로 유입되는 물을 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100)에 가해지는 하중 및 압력과 상기 본체부(200)의 내부 고압 케이블이 발산하는 열로 인하여 상기 본체부(200) 내부의 기압은 외부의 기압보다 높은 상태이다. 따라서 높아진 기압을 상기 배수홀(700)을 통해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배수홀(700)은 상기 본체부(200) 및 상기 지지부(300)의 형태 유지를 보조하여 본 발명인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의 내구도를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200)의 내부에 유입된 물을 더욱 원활히 배수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200)의 하부면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 경사구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의 하부면의 경사구배는 4% 내지 6%로 형성되며 5%의 경사구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200)가 경사구배를 가질 경우 상기 본체부(200)에 형성된 상기 배수홀(700)은 경사구배의 가장 아랫쪽에 집중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200)의 내부 유입된 물을 배수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인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머-콘크리트 혼합물은 일실시예로 고밀도 폴리에틸렌 10~25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7.5∼25중량%, 플라이 애쉬 20∼50중량%, 고로 슬래그 25∼50중량%, 첨가제로서 산화제 2 철, 카본블랙, B. H. T. Ionol, 과산화벤조일을 하나 또는 둘 이상 각기 0.1∼0.3중량%의 조성을 가지며, 상기 조성비의 변화와 조성물의 대체를 통해 개량된 폴리머-콘크리트 혼합물 또한 본 발명에 실시할 수 있다.
도8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의 제조방법 중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면에 탄성포장재를 도포하여 탄성포장재층(120)을 형성하는 제6공정(S160)에서, 탄성포장재는 고온의 압출성형기 내부에 액체 상태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의 탄성포장재 재질로 대체 가능한 12개 종류의 폴리머는 200℃ ~ 300℃ 범위의 융점을 가지므로 상기 압출성형기는 사용하는 폴리머의 융점에 맞는 온도로 설정된다. 상기 압출성형기를 통과한 상기 탄성포장재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로프 덮개의 상부면과 같은 폭으로 상기 케이블 트로프 덮개 위에 탄성포장재층(120)을 성층한다.
상기 탄성포장재층(120) 성층 직후 금속 롤러로 상기 탄성포장재층(120)의 상부면에 미끄러짐 방지 패턴을 새김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금속 롤러는 양각 또는 음각의 목표로 하는 상기 미끄러짐 방지 패턴이 음각 패턴일 경우에는 양각으로, 양각 패턴일 경우에는 음각으로 새김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금속 롤러는 상기 탄성포장재층(120)의 탄성포장재를 구성할 수 있는 12개 폴리머들의 열변형 온도 범위인 80℃ ~ 150℃로 가열되어 상기 탄성포장재층(120)의 상부면에 상기 미끄러짐 방지 패턴을 눌러새김하는 동시에 기본층(110)과 프라이머층 및 탄성포장재층(120)을 열압착한다.
본 발명의 보도기능 탑재 기술은 본문에 기술한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 덮개의 3중층에 사용된 재질뿐만 아니라, 미래 발명될 수 있는 또 다른 재질에 적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전문가라면 이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탄성포장재층(120)을 구성할 수 있는 12개 폴리머 중 통상적인 바닥재로 쓰이는 PUR이 도색 가능함을 이용하여 케이블 트로프의 규격과 케이블 트로프 내부에 포설된 케이블의 종류를 식별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트로프는 현장에 사용됨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상기 케이블 트로프 본체의 내부 폭이 각 70, 120, 150, 210, 250, 325, 375mm 인 7개의 규격으로 분류된다. 상기 내부 폭에 따라 케이블 트로프 규격 표시용 색깔을 규정하고, 상기 탄성포장재층(120)의 상부면에 규정된 상기 색깔에 따라 도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색을 실시한다면 유지보수자가 상기 케이블 트로프 본체의 내부 폭을 측정하지 않고도 그에 대한 식별이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트로프 본체의 내부 폭에 따라서 70mm를 빨강, 120mm를 주황, 150mm를 노랑, 210mm를 초록, 250mm를 파랑, 325mm를 군청, 375mm를 보라색으로 상기 케이블 트로프 규격 표시용 색깔을 규정하여 상기 케이블 트로프의 규격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트로프는 철도 선로에 사용됨에 있어서 내부 케이블의 종류가 통신선, 신호선, 전력선, 고압선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포설된다. 상기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케이블 종류 표시용 색띠의 색을 규정하고, 상기 탄성포장재층(120)의 상부면에 규정된 상기 색깔에 따라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 형태로 도색을 실시한다면 유지보수자가 상기 케이블 트로프 덮개를 분리하지 않고도 내부 케이블 종류에 대한 식별이 가능하다.
일례로, 통신선을 빨강, 신호선을 노랑, 전력선을 초록, 고압선을 검정색으로 상기 케이블 종류 표시용 색띠의 색깔을 규정하여 상기 케이블 트로프 내부에 포설된 케이블의 종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포장재층(120)의 상부면에 선로 주요 시설물 표기용 문자를 인쇄할 수 있다. 상기 선로 주요 시설물 표기용 문자는 자동차 도로의 표면에 인쇄된 문자가 이용자를 안내하는 것과 유사하게 유지보수자가 목표로 하는 선로 주요 시설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하거나 상기 케이블 트로프 주변의 중요 시설물을 인지시켜 작업에 주의를 요하게 할 수 있다.
일례로, 트로프의 주변에 설치된 신호기 장치(예: 1A), 궤도회로(예: 21TR), 선로전환기(예: 21AP)나 케이블 접속개소(예: J)를 표기하여 유지보수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10: 케이블 트로프
20: 케이블
100: 덮개부
110: 기본층
120: 탄성포장재층
130: 체결장치
200: 본체부
210: 케이블 보호판
300: 지지부
310: 아치 블록
400: 받침부
410: 받침벽
411: 고정장치
420: 받침기둥
500: 제1결합부
510: 충격흡수부재
600: 제2결합부
610: 아치 형상
620: 음표 형상
630: T 형상
640: V 형상
650: 괄호 형상
660: 결합유도부
700: 배수홀

Claims (14)

  1. 내부에 케이블이 포설되는 케이블 트로프 본체와 상기 케이블 트로프 본체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케이블 트로프 덮개로 구성되는 케이블 트로프에 있어서,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면이 개방된 본체부(200);
    상기 본체부(200)의 하단에 부착 또는 일체(一體)로 형성되며, 아치(Arch) 구조인 지지부(300);
    상기 본체부(20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덮개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100)는,
    상기 본체부(200)의 상단에 상기 본체부(200)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기본층(110);
    상기 기본층(110)의 상단에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포장재층(1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200) 및 상기 기본층(110)은,
    콘크리트, 폴리머 애쉬 슬래그 콘크리트(Polymer ash slag concrete), FRP(Fiber-reinforced plastic), 폴리머-콘크리트 혼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포장재층(120)은,
    PUR(Polyuretha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F(Polyvinyl fluoride), ECTFE(Ethylene-Chlorotrifluoroethylene), EPDM rubber(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AN(Styrene-acrylonitrile resin), PSU(Polysulfone), TEEE(Thermoplastic elastomer ether ester), MC(Monomer casting nylon), 6N(Nylon 6), MA(Methacrylat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폴리머 재질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300)의 상기 아치 구조는,
    반원(半圓) 아치, 장원(長圓) 아치, 첨두(尖頭) 아치, 말발굽형 아치 또는 오지(Ogee) 아치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0)의 내부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부(200)의 측면과 같은 높이로 형성되는 받침부(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400)의 재질은 상기 본체부(200)와 동일하게 콘크리트, 폴리머 애쉬 슬래그 콘크리트(Polymer ash slag concrete), FRP(Fiber-reinforced plastic), 폴리머-콘크리트 혼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부(400)는 받침벽(410); 또는 받침기둥(42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벽(410)은,
    상기 본체부(200)의 측면과 평행한 벽으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200)의 내부를 구획하고, 평평한 형태 또는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며, 1개 내지 3개 이하로 상기 본체부(200)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받침기둥(420)은,
    3개 내지 12개의 옆면을 가진 각기둥 또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며, 1개 내지 10개 이하로 상기 본체부(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벽(410) 또는 상기 받침기둥(420)의 상단은 상기 덮개부(100)의 하단과 접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100)의 하부면은 상기 덮개부(100)와 상기 본체부(200)가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받침벽(410) 또는 상기 받침기둥(420)과 결합하여 고정하는 클립(Clip)형태의 체결장치(130);가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본체부(200)의 내부에 상기 받침벽(410)이 설치된 경우,
    상기 본체부(200)의 하부면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케이블 보호판(2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보호판(210)은 상기 받침벽(410) 사이 또는 상기 받침벽(410)과 상기 본체부(200)의 측면 사이에 결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벽(410)에는 상기 본체부(200)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 방향으로 5cm 내지 20cm 이하의 높이에 상기 케이블 보호판(210)을 고정하는 고정장치(411);를 더 포함하는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0)의 양측면부 하단에 상기 본체부(200)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결합부(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100)의 양측면부 상단에 상기 덮개부(100)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2결합부(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500)와 상기 제2결합부(600)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통해 상기 본체부(200)와 상기 덮개부(100)가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600)는,
    아치 형상(
    Figure 112020019178901-pat00013
    , 610), 음표 형상(
    Figure 112020019178901-pat00014
    , 620), T 형상(
    Figure 112020019178901-pat00015
    또는
    Figure 112020019178901-pat00016
    , 630), V 형상(
    Figure 112020019178901-pat00017
    , 640) 또는 괄호 형상(
    Figure 112020019178901-pat00018
    , 650)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600)는,
    상기 제2결합부(600)의 형태가 상기 T 형상(630), 상기 V 형상(640) 또는 상기 괄호 형상(650)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일 경우 상기 제1결합부(500)와 상기 제2결합부(600)가 결합하는 결합면에 결합유도부(660);를 더 포함하는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500)는,
    상기 제1결합부(500)와 상기 제2결합부(600)가 결합하는 결합면에 충격흡수부재(5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격흡수부재(51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의 스프링, 또는 실리콘 수지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00)가 상기 본체부(200)에 부착된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본체부(200)와 같은 재질의 직육면체인 아치 블록(310)(Block);이 7개 내지 15개 이하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0)의 하부면 및 상기 아치 블록(310)들이 서로 부착된 틈새에는,
    가로 0.5cm 내지 1cm 이하, 세로 0.5cm 내지 4cm 이하의 사각형, 직경 0.5cm 내지 2cm 이하의 원 또는 긴지름 1cm 내지 4cm 이하, 짧은지름 0.5cm 1cm 이하의 타원 형태로 관통되어 형성된 배수홀(7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홀(700)은 1개 내지 5개 이하로 상기 아치 블록(310)이 상호간 부착된 틈새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홀(700)의 가로 또는 짧은지름은 상기 본체부(200)의 측면과 수직이고, 상기 배수홀(700)의 세로 또는 긴지름은 상기 본체부(200)의 측면과 평행한 것을 포함하는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
  13.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폴리머 애쉬 슬래그 콘크리트(Polymer ash slag concrete), FRP(Fiber-reinforced plastic), 폴리머-콘크리트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의 재료를 준비하는 제1공정;
    준비된 재료를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면이 개방되었으며 하단에 아치형의 다리구조가 형성된 형태를 성형하는 케이블 트로프 본체 금형(金型) 캐비티(Cavity),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판의 일면 또는 타면에 하부 방향으로 꺾인 처마 형태의 구조가 연장되어 형성된 형태를 성형하는 케이블 트로프 덮개 금형 캐비티에 각각 주입하는 제2공정;
    재료가 주입된 금형 캐비티들을 프레스로 가열가압하는 제3공정;
    가열가압된 금형 캐비티들을 냉각하여 내부를 고체화한 뒤 상기 케이블 트로프 본체 금형 캐비티에서 케이블 트로프 본체를 꺼내고, 상기 케이블 트로프 덮개 금형 캐비티에서 케이블 트로프 덮개를 꺼내는 제4공정;
    상기 케이블 트로프 덮개의 상부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제5공정;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면에 탄성포장재를 도포하여 탄성포장재층을 형성하는 제6공정;
    상기 탄성포장재층의 상부면을 금속 롤러로 열압착하는 제7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포장재층의 상부면이 금속 롤러로 열압착된 상기 케이블 트로프 덮개와 상기 케이블 트로프 본체를 결합하여 케이블 트로프를 완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포장재는 고온의 압출성형기 내부에 액체 상태로 존재하며, 상기 압출성형기의 하단부를 통과하는 상기 케이블 트로프의 상부면으로 배출되는 것을 포함하는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의 제조방법.
KR1020200022179A 2020-02-24 2020-02-24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와 그 제조방법 KR102140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179A KR102140230B1 (ko) 2020-02-24 2020-02-24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179A KR102140230B1 (ko) 2020-02-24 2020-02-24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230B1 true KR102140230B1 (ko) 2020-07-31

Family

ID=71834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179A KR102140230B1 (ko) 2020-02-24 2020-02-24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2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4219A1 (en) * 2021-06-03 2022-12-08 Oxford Direct Services Trading Limited Cable channel
US11905716B2 (en) * 2019-05-20 2024-02-20 Msg Entertainment Group, Llc System for distributing wireless networking components in a venue
GB2623791A (en) * 2022-10-27 2024-05-01 Clarksteel Holdings Ltd Cable protection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1823U (ko) * 1989-08-29 1991-04-22
JP3041823U (ja) 1997-02-17 1997-10-03 セーチョー工業株式会社 滑り止めの構造
US5815995A (en) 1996-08-01 1998-10-06 Diversified Industrial Technologies, Inc. Slip-resistant floor covering system
KR200179924Y1 (ko) * 1999-11-25 2000-04-15 최창기 전선부설용 홈통
JP2008278728A (ja) 2007-05-07 2008-11-13 Koshigaya Kinzoku Kk トラフ
KR100911320B1 (ko) 2008-01-25 2009-08-12 한국철도시설공단 케이블 트로프 덮개
KR20110040496A (ko) * 2009-10-14 2011-04-20 주식회사 팔마 케이블 트로프
JP2011152007A (ja) * 2010-01-25 2011-08-04 Hasegawa:Kk ダクト蓋
KR101150895B1 (ko) * 2011-12-30 2012-05-30 (주) 삼진정밀 도난방지용 케이블 트로프
JP2012131190A (ja) * 2010-12-24 2012-07-1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樹脂製蓋体、樹脂製蓋体の製造方法
KR101249300B1 (ko) 2011-11-28 2013-04-01 김근택 케이블 트로프
KR20140002114U (ko) 2012-10-04 2014-04-14 송홍준 상면에 논-슬립 판재가 고정된 맨홀 뚜껑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1823U (ko) * 1989-08-29 1991-04-22
US5815995A (en) 1996-08-01 1998-10-06 Diversified Industrial Technologies, Inc. Slip-resistant floor covering system
JP3041823U (ja) 1997-02-17 1997-10-03 セーチョー工業株式会社 滑り止めの構造
KR200179924Y1 (ko) * 1999-11-25 2000-04-15 최창기 전선부설용 홈통
JP2008278728A (ja) 2007-05-07 2008-11-13 Koshigaya Kinzoku Kk トラフ
KR100911320B1 (ko) 2008-01-25 2009-08-12 한국철도시설공단 케이블 트로프 덮개
KR20110040496A (ko) * 2009-10-14 2011-04-20 주식회사 팔마 케이블 트로프
KR101141137B1 (ko) 2009-10-14 2012-05-02 주식회사 팔마 케이블 트로프
JP2011152007A (ja) * 2010-01-25 2011-08-04 Hasegawa:Kk ダクト蓋
JP2012131190A (ja) * 2010-12-24 2012-07-1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樹脂製蓋体、樹脂製蓋体の製造方法
KR101249300B1 (ko) 2011-11-28 2013-04-01 김근택 케이블 트로프
KR101150895B1 (ko) * 2011-12-30 2012-05-30 (주) 삼진정밀 도난방지용 케이블 트로프
KR20140002114U (ko) 2012-10-04 2014-04-14 송홍준 상면에 논-슬립 판재가 고정된 맨홀 뚜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05716B2 (en) * 2019-05-20 2024-02-20 Msg Entertainment Group, Llc System for distributing wireless networking components in a venue
WO2022254219A1 (en) * 2021-06-03 2022-12-08 Oxford Direct Services Trading Limited Cable channel
GB2623791A (en) * 2022-10-27 2024-05-01 Clarksteel Holdings Ltd Cable prote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0230B1 (ko) 보도겸용 케이블 트로프와 그 제조방법
KR101378936B1 (ko) Mma 방수재 조성물을 포함하는 노면방수 복합층 및 이의 시공방법
WO2014209000A1 (ko) 콘크리트 도로용 신축줄눈 파손부의 보수방법
CN106906716B (zh) 一种用于桥梁路面结构的组合式无缝伸缩缝结构
KR102205323B1 (ko) 혼입골재 침강방지 및 논슬립이 향상된 미끄럼방지 조성물을 이용한 미끄럼방지 시공공법
KR20190113214A (ko) 가로화단 보호를 위한 펜스용 지주 고정대
KR101433708B1 (ko) 친환경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면 미끄럼방지 시공방법
KR101100406B1 (ko) 도로 미끄럼 방지 포장재의 시공 방법
US20090266472A1 (en) Process for closing orifices and/or protecting structures by reusing end-of-life tyres
CN107794818A (zh) 步道板及其制造方法
CN107244113A (zh) 一种防滑且防止翘曲变形的临时路面垫板装置及方法
CN110904851A (zh) 一种桥面铺装方法
KR102450179B1 (ko) 친환경 아크릴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성과 미끄럼 저항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미끄럼 방지 포장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35457Y1 (ko) 고경사 도로용 미끄럼 방지 고무매트
KR101768631B1 (ko) 교량용 미끄럼방지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JP2642843B2 (ja) 弾性路面敷板と弾性路面敷板の敷設方法
KR101764201B1 (ko) 도로포장용보수재 조성물 및 도로포장용보수재층 형성방법
KR101560189B1 (ko)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CN206815185U (zh) 一种带缓冲件的组合式桥梁面板结构的桥梁
KR101476692B1 (ko) 지하차도와 교량의 도막방수를 이용한 무조인트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09208421A (zh) 便于路面铺设的预制铺装板及其制作方法
KR20170000705A (ko) 터널용 공동구 덮개 및 그 제조방법
KR0121867Y1 (ko) 고무판넬로 된 안전보도블록
KR20180115180A (ko) 합성수지 맨홀뚜껑 및 그의 제조 방법
US11306443B2 (en) Polymer panels for walkway and pav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