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515B1 - 과냉각 냉각고 - Google Patents

과냉각 냉각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515B1
KR102139515B1 KR1020190057296A KR20190057296A KR102139515B1 KR 102139515 B1 KR102139515 B1 KR 102139515B1 KR 1020190057296 A KR1020190057296 A KR 1020190057296A KR 20190057296 A KR20190057296 A KR 20190057296A KR 102139515 B1 KR102139515 B1 KR 102139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hamber
cold air
duct
temperature
super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명식
Original Assignee
장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명식 filed Critical 장명식
Priority to KR1020190057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515B1/ko
Priority to PCT/KR2019/009595 priority patent/WO202023095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2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cor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1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6Controll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f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3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more than one sensor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in a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의 과냉각 상태와, 과냉각실 내의 고른 온도 분포를 구현함과 아울러 요구되는 과냉각 온도대를 미세하게 조정 가능하도록 한 과냉각 냉각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는, 정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정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액체 음료의 용기를 수용하는 냉각실; 상기 냉각실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실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온기 흡기구; 흡기된 공기를 상기 냉각실과 상기 하우징 사이의 공간인 덕트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팬; 상기 덕트 내에 설치되며 이동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 및 상기 냉각실의 배면에 설치되며 냉각된 공기를 상기 냉각실로 배출시키는 냉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과냉각 냉각고{SUPERCOOLING REFRIGERATOR}
본 발명은 과냉각 냉각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냉각실 내의 고른 온도 분포를 구현하기 위한 과냉각 냉각고에 관한 것이다.
과냉각(Supercooling)이란 용융체 또는 고체가 평형 상태에서의 상전이 온도 이하까지 냉각되어도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물질에는 각각 그때의 온도에 따른 안정 상태가 있어서, 온도를 서서히 변화시키면 이에 따라 그 물질의 구성원자가 각 온도에서 안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온도의 변화를 따라갈 수가 있다.
그러나 온도가 갑자기 변화하면 구성원자가 각 온도에 따른 안정 상태로 변화할 만한 여유가 없기 때문에 출발점 온도에서의 안정 상태를 그대로 지니거나 또는 일부분이 종점 온도에서의 상태로 변화하다가 멈추는 현상이 일어난다.
과냉각된 형태로 보존된 음료를 차가운 컵에 따르거나 과냉각액 상태의 음료에 충격, 진동 등을 가하면 완전히 얼거나 녹지 않는 상태의 음료, 즉 슬러쉬(Slush) 형태의 음료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냉각된 음료를 제공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7739호에 개시된 냉동고가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액체는 과냉각 온도대를 갖고 있다.
이러한 액체의 과냉각 상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액체를 액체 고유의 빙점(어는점) 이하로 유지시켜야 하며, 액체에 대해 온도의 변화나 외부의 충격이 없는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과냉각 냉각고의 냉기 플로우(Flow)는 단순 증발기의 차가운 냉기를 팬(Fan)으로 불어 과냉각 냉각고 내로 유입시켜 냉각시키는 형태로, 과냉각 냉각고 내의 온도 분포가 균일하지 않아 부위별 온도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과냉각을 실현하기 위한 과냉각 냉각고 내 위치별 온도차 및 온도에 대한 미세한 제어가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7739호 (2013.11.11. 공고)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과냉각실 내의 고른 온도 분포를 구현함과 아울러 요구되는 과냉각 온도대를 미세하게 조정 가능하도록 한 과냉각 냉각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는, 정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정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액체 음료의 용기를 수용하는 냉각실; 상기 냉각실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실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온기 흡기구; 흡기된 공기를 상기 냉각실과 상기 하우징 사이의 공간인 덕트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팬; 상기 덕트 내에 설치되며 이동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 및 상기 냉각실의 배면에 설치되며 냉각된 공기를 상기 냉각실로 배출시키는 냉기공;을 포함하며, 상기 덕트는 복수의 경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계판은 상기 덕트 내부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는, 상기 냉각실 내부의 복수의 위치에 장착되는 복수의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실 내부의 온도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에서, 상기 제어부는, 냉기 제어 가동 수단을 가동시키는 냉기 제어 가동부; 및 상기 냉기 제어 가동부의 가동에 의해 변동되는 상기 냉각실 내부의 온도를 출력하는 온도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에서, 상기 냉기공은, 상기 냉기공과 직교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냉기공의 관통구멍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의 회전 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에서, 냉각된 공기의 미공급시 상기 회전 날개는 상기 냉기공을 통한 공기의 공급을 중지하며, 상기 냉기 제어 가동부의 가동에 의해, 상기 덕트로부터 상기 냉각실로 냉각된 공기의 공급시 상기 회전 날개는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여 공기가 상기 냉각실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에서, 상기 냉각실의 배면 내측에는, 상기 냉기공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수평 레일; 및 상기 수평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수평 이동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는, 상기 냉기 제어 가동부의 가동에 의해, 상기 수평 이동 플레이트가 상기 덕트로부터 상기 냉각실로 공급되는 냉각된 공기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에서, 상기 냉각실의 배면 내측에는, 상기 냉기공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수직 레일; 및 상기 수직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수직 이동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에서, 상기 냉기 제어 가동부의 가동에 의해, 상기 수직 이동 플레이트가 상기 덕트로부터 상기 냉각실로 공급되는 냉각된 공기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를 통해 상기 냉각실 내부의 온도 데이터를 입력받는 온도 데이터 입력부; 미리 정해진 온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온도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는 상기 냉각실 내의 변동된 온도 데이터를 식별하는 온도 데이터 식별부; 및 상기 온도 데이터 식별부로부터 식별된 변동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정해진 온도 데이터가 차이가 있는지를 판별하는 온도 데이터 판별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기 제어 가동부는, 상기 온도 데이터 판별부의 판별 결과 미리 정해진 온도 데이터와 차이가 있으면 상기 냉기 제어 가동 수단을 가동하거나 가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 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 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과냉각실 내의 고른 온도 분포를 구현함과 아울러 요구되는 과냉각 온도대를 미세하게 조정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의 냉각실에 용기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의 후부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에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에서 냉기공에 회전 날개가 설치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에서 냉기공에 수평 레일 및 수평 이동 플레이트가 설치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에서 냉기공에 수직 레일 및 수직 이동 플레이트가 설치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라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하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의 냉각실에 용기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의 후부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1000)는, 도어(100)와, 하우징(200)과, 냉각실(300)과, 온기 흡기구(400)와, 팬(500)과, 열교환기(600)와, 냉기공(700)과, 덕트(800)를 포함한다.
도어(100)는 하우징(200)의 정면을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우징(200)은 정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냉각실(300)의 앞면이 개구되어 있고, 그 냉각실(300)의 개구된 앞면을 개폐하는 도어(100)가 배치되어 있다.
냉각실(300)은 하우징(200) 내에 설치되며 액체 음료의 용기(P)를 수용한다.
온기 흡기구(400)는 냉각실(300) 상부에 설치되며 냉각실(300)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팬(500)은 흡기된 공기를 냉각실(300)과 하우징(200) 사이의 공간인 덕트(80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600)는 덕트(800) 내에 설치되며 이동된 공기를 냉각시킨다.
냉기공(700)은 냉각실(300)의 배면에 설치되며 냉각된 공기를 냉각실(300)로 배출시킨다.
여기서의 과냉각 냉각고(1000)는, 액체 음료를 과냉각시키거나, 과냉각 상태의 액체 음료를 냉장할 수 있다.
냉기공(700)은, 필요에 따라 한 개 또는 복수개 설치된다.
덕트(800)는, 냉각실(300)의 배면과 하우징(200) 사이의 공간이며, 냉각실(300)의 상부에는 냉각실(300) 내의 온기를 흡입하는 온기 흡기구(400)가 설치되어 있다.
덕트(800) 내에는 열교환기(600)가 설치되며, 냉각실(300)의 배면에는 복수의 냉기공(700)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1000)는 온기 흡기구(400)가 냉각실(300) 내의 공기를 흡입하면, 팬(500)이 흡입한 공기를 덕트(800)로 이동시키고, 이동된 공기는 열교환기(400)에 의해 냉각된 후, 냉기공(700)을 통해 냉각된 공기가 냉각실(300) 내로 배출된다.
냉각실(300)의 배면과 하우징(200) 사이의 공간의 상부에는 복수의 팬(50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1000)에서, 덕트(800)는 복수의 경계판(90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경계판(900)은 덕트(800) 내부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2개의 팬을 설치하고, 한 개의 경계판(900)이 덕트(800) 내부를 수직 방향으로 이분할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과냉각 냉각고(1000)의 크기에 따라 3개 이상의 팬과, 2개 이상의 경계판(90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온기 흡기구(400)에 의해 흡입된 냉각실(300) 내의 온기가 1개의 팬에 의해 덕트(800) 내의 열교환기(600)로 이동됨으로써 발생하는 시간적 지연을 해결함과 아울러 변동되는 냉각실(300) 내의 고르지 못한 온도 분포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경계판(900)에 의해 음료의 과냉각 상태와, 과냉각실 내의 고른 온도 분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요구되는 과냉각 온도대를 미세하게 조정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1000)는 냉각실(300)의 측벽을 형성하는 선반용 기둥(310)과, 선반용 기둥(310)과 직교하며 냉각실(300)의 바닥을 형성하는 복수의 선반(32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복수의 선반(320)은 냉각실(300) 내부를 복수의 실(室)로 분리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선반(320)을 3 단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과냉각 냉각고(1000)의 하우징(200)의 크기에 따라 선반(320)의 개수는 증가할 수도 있고, 감소할 수도 있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평상시에는 냉각실(300) 내에는, 선반(320)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있고, 각 냉기공(700)은 상하 각 선반(320)의 상측 공간에 면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분산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하 각 선반(320)의 상측의 공간에 각각 배치된 냉기공(700)은, 덕트(800)로부터 냉각실(300) 내에 불어 넣는 냉기를 상하에 걸쳐서, 즉 각 선반(320)에 대해 균일하게 공급하여, 냉각실(300) 내의 온도를 균일하고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1000)는, 냉각실 내부의 복수의 위치에 복수의 온도 센서(미도시)가 장착된다.
이러한 온도 센서는 제어부(110)와 연결되며, 제어부(110)는 냉각실(300) 내부의 온도가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1000)는 복수의 팬(500)을 포함하여 풍부한 풍량으로 냉각 스피드를 개선하고, 냉각실(300)과 하우징(200) 사이가 덕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냉각실(300) 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온기 흡기구(400)는 복수의 팬(500) 인근에 설치하여 덕트(800) 내의 냉각된 공기가 온기 흡기구(400)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미세한 온도 분포를 유지하기 위해, 덕트(800) 내부를 경계판(900)에 의해 수직으로 분할하여 냉각실(300) 내의 좌우의 온도 편차를 작게 할 수 있다.
냉각실(300) 내의 온도 제어를 위해 냉각실(300) 내에는 복수의 온도 센서가 장착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에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1000)에서, 제어부(110)는 온도 데이터 입력부(111)와, 온도 데이터 식별부(112)와, 온도 데이터 판별부(113)와, 냉기 제어 가동부(114)와, 온도 출력부(115)를 포함한다.
온도 데이터 입력부(111)는 온도 센서를 통해 냉각실(300) 내부의 온도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온도 데이터 입력부(111)는 냉각실(300) 내의 복수의 위치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온도 센서에 의해, 복수의 위치의 온도 데이터를 각각 입력받게 된다.
데이터베이스(116)는 미리 정해진 온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온도 데이터란 과냉각을 유지하기 위한 적정 온도 범위를 말한다.
온도 데이터 식별부(112)는 온도 데이터 입력부(111)로부터 입력받은 냉각실(300) 내의 변동된 온도 데이터를 식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온도 데이터 판별부(113)는 온도 데이터 식별부(111)로부터 식별된 변동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정해진 온도 데이터가 차이가 있는지를 판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냉기 제어 가동부(114)는 온도 데이터 판별부(113)의 판별 결과 미리 정해진 온도 데이터와 차이가 있으면 냉기 제어 가동 수단을 가동시키거나 가동을 중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냉기 제어 가동 수단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온도 출력부(115)는 냉기 제어 가동부(114)의 가동에 의해 변동되는 냉각실(300) 내부의 온도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출력되는 냉각실(300) 내부의 온도는 제어부(110)에서 표시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에서 냉기공에 회전 날개가 설치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1000)의 냉기공(700)은, 냉기공(710)과 직교하는 회전축(720)과, 회전축(720)에 결합되며, 냉기공(700)의 관통 구멍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의 회전 날개(71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도 7에서는 도면의 제약상 냉기공(700)의 관통 구멍이 회전날개(710)의 크기보다 큰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냉기공(700)의 관통 구멍은 회전 날개(710)의 크기와 거의 동일하다.
상기 온도 데이터 판별부(113)의 판별 결과 온도 데이터 식별부(112)로부터 식별된 변동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정해진 온도 데이터가 차이가 없을 경우, 회전 날개(710)는 동작하지 않는다.
즉, 회전 날개(710)는 냉기공(700)의 크기에 대응하여 냉기 공급을 방지하도록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온도 데이터 판별부(113)의 판별 결과 온도 데이터 식별부(112)로부터 식별된 변동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정해진 온도 데이터가 차이가 있을 경우, 냉기 제어 가동부(114)는 가동하게 된다.
즉, 냉기 제어 가동부(114)는 덕트(800)로부터 냉각실(300)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회전 날개(710)를 회전시켜 냉각된 공기를 냉각실(300)로 공급한다.
이때, 회전 날개(710)는 냉기 공급을 방지하도록 막고 있던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약 90 도 정도 회전하여, 냉기공(700)이 개방되도록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해, 냉기가 냉각실(700)에 공급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에서 냉기공에 수평 레일 및 수평 이동 플레이트가 설치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1000)는, 냉각실(300)의 배면 내측의 냉기공(700) 부근에는, 수평 레일(340)과, 수평 이동 플레이트(35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수평 레일(340)은 냉기공(7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수평 이동 플레이트(350)는 수평 레일(340)을 따라 좌우로 이동한다.
상기 온도 데이터 판별부(113)의 판별 결과 온도 데이터 식별부(111)로부터 식별된 변동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정해진 온도 데이터가 차이가 없을 경우, 수평 이동 플레이트(350)는 동작하지 않는다.
즉, 수평 이동 플레이트(350)는 냉기공(700)의 일부를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온도 데이터 판별부(113)의 판별 결과 온도 데이터 식별부(112)로부터 식별된 변동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정해진 온도 데이터가 차이가 있을 경우, 냉기 제어 가동부(114)는 가동하게 된다.
즉, 냉기 제어 가동부(114)는 덕트(800)로부터 냉각실(300)의 적정한 과냉각 온도보다 온도가 낮은 영역으로 냉기 공급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평 이동 플레이트(350)가 이동하여 냉각된 공기의 공급을 방지하게 된다.
예를 들면, 과냉각 냉각고(1000)를 후방에서 보았을 때, 경계판(900)을 기준으로 냉각실(300)의 좌측의 과냉각 온도가 낮을 경우, 냉기 제어 가동부(114)는 수평 이동 플레이트(350)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냉각실(300)의 좌측의 과냉각 온도가 적정 온도로 올라가도록 덕트(800)로부터 냉각실(300)의 좌측으로의 냉기 공급이 억제된다.
반대로, 과냉각 냉각고(1000)를 후방에서 보았을 때, 경계판(900)을 기준으로 냉각실(300)의 좌측의 과냉각 온도가 적정 온도보다 높을 경우, 냉기 제어 가동부(114)는 수평 이동 플레이트(350)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냉각실(300)의 좌측의 과냉각 온도가 적정 온도로 내려가도록 덕트(800)로부터 냉각실(300)의 좌측으로 냉기가 공급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1000)에서, 냉기 제어 가동부(114)의 가동에 의해, 수평 이동 플레이트(350)는 덕트(800)로부터 냉각실(300)로 공급되는 냉각된 공기의 양을 제어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에서 냉기공에 수직 레일 및 수직 이동 플레이트가 설치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1000)는, 냉각실(300)의 배면 내측의 냉기공(700) 부근의 수직 레일(360)과, 수직 이동 플레이트(37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수직 레일(360)은 냉기공(7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수직 이동 플레이트(370)는 수직 레일(360)을 따라 좌우로 이동한다.
상기 온도 데이터 판별부(113)의 판별 결과 온도 데이터 식별부(111)로부터 식별된 변동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정해진 온도 데이터가 차이가 없을 경우, 수직 이동 플레이트(370)는 동작하지 않는다.
즉, 수직 이동 플레이트(370)는 냉기공(700)을 막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온도 데이터 판별부(113)의 판별 결과 온도 데이터 식별부(111)로부터 식별된 변동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116)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정해진 온도 데이터가 차이가 있을 경우, 냉기 제어 가동부(114)는 가동하게 된다.
즉, 냉기 제어 가동부(114)는 덕트(800)로부터 냉각실(300)의 과냉각 온도가 낮은 영역으로의 냉기 공급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 이동 플레이트(370)가 이동하여 냉각된 공기의 공급을 방지하게 된다.
예를 들면, 과냉각 냉각고(1000)를 후방에서 보았을 때, 복수의 실을 기준으로 상부로부터 첫번째 실의 과냉각 온도가 낮을 경우, 냉기 제어 가동부(114)는 수직 이동 플레이트(370)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첫번째 실의 과냉각 온도가 적정 온도로 올라가도록 덕트(800)로부터 첫번째 실로의 냉기 공급이 억제된다.
반대로, 첫번째 실의 과냉각 온도가 적정 온도보다 높을 경우, 냉기 제어 가동부(114)는 수직 이동 플레이트(370)를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첫번째 실의 과냉각 온도가 적정 온도로 내려가도록 덕트(800)로부터 첫번째 실로 냉기가 공급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냉각고(1000)에서, 냉기 제어 가동부(114)의 가동에 의해, 수직 이동 플레이트(370)는 덕트(800)로부터 냉각실(300)로 공급되는 냉각된 공기의 양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과냉각실 내의 고른 온도 분포를 구현함과 아울러 요구되는 과냉각 온도대를 미세하게 조정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100 : 도어
110 : 제어부
200 : 하우징
300 : 냉각실
310 : 선반용 기둥
320 : 선반
330 : 온도 센서
340 : 수평 레일
350 : 수평 이동 플레이트
360 : 수직 레일
370 : 수직 이동 플레이트
400 : 온기 흡기구
500 : 팬
600 : 열교환기
700 : 냉기공
710 : 회전 날개
720 : 회전축
800 : 덕트
900 : 경계판
1000 : 과냉각 냉각고

Claims (10)

  1. 정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정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액체 음료의 용기를 수용하는 냉각실;
    상기 냉각실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실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온기 흡기구;
    흡기된 공기를 상기 냉각실과 상기 하우징 사이의 공간인 덕트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팬;
    상기 덕트 내에 설치되며 이동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 및
    상기 냉각실의 배면에 설치되며 냉각된 공기를 상기 냉각실로 배출시키는 냉기공;을 포함하며,
    상기 덕트는 복수의 경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계판은 상기 덕트 내부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며,
    상기 냉각실 내부의 복수의 위치에 장착되는 복수의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실 내부의 온도가 표시되고,
    상기 제어부는,
    냉기 제어 가동 수단을 가동시키는 냉기 제어 가동부; 및
    상기 냉기 제어 가동부의 가동에 의해 변동되는 상기 냉각실 내부의 온도를 출력하는 온도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실의 배면 내측에는,
    상기 냉기공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수평 레일; 및
    상기 수평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수평 이동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기 제어 가동부의 가동에 의해, 상기 수평 이동 플레이트가 상기 덕트로부터 상기 냉각실로 공급되는 냉각된 공기량을 제어하며,
    상기 냉각실의 배면 내측에는,
    상기 냉기공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수직 레일; 및
    상기 수직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수직 이동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기 제어 가동부의 가동에 의해, 상기 수직 이동 플레이트가 상기 덕트로부터 상기 냉각실로 공급되는 냉각된 공기량을 제어하며,
    상기 온기 흡기구는 복수의 팬 인근에 설치하여 상기 덕트 내의 냉각된 공기가 상기 온기 흡기구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미세한 온도 분포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덕트 내부를 상기 경계판에 의해 수직으로 분할하여 상기 냉각실 내의 좌우의 온도 편차를 작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냉각고.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공은,
    상기 냉기공과 직교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냉기공의 관통구멍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의 회전 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냉각고.
  5. 제 4 항에 있어서,
    냉각된 공기의 미공급시 상기 회전 날개는 상기 냉기공을 통한 공기의 공급을 중지하며,
    상기 냉기 제어 가동부의 가동에 의해, 상기 덕트로부터 상기 냉각실로 냉각된 공기의 공급시 상기 회전 날개는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여 공기가 상기 냉각실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냉각고.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를 통해 상기 냉각실 내부의 온도 데이터를 입력받는 온도 데이터 입력부;
    미리 정해진 온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온도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는 상기 냉각실 내의 변동된 온도 데이터를 식별하는 온도 데이터 식별부; 및
    상기 온도 데이터 식별부로부터 식별된 변동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정해진 온도 데이터가 차이가 있는지를 판별하는 온도 데이터 판별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기 제어 가동부는,
    상기 온도 데이터 판별부의 판별 결과 미리 정해진 온도 데이터와 차이가 있으면 상기 냉기 제어 가동 수단을 가동하거나 가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냉각 냉각고.
KR1020190057296A 2019-05-16 2019-05-16 과냉각 냉각고 KR102139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296A KR102139515B1 (ko) 2019-05-16 2019-05-16 과냉각 냉각고
PCT/KR2019/009595 WO2020230951A1 (ko) 2019-05-16 2019-08-01 과냉각 냉각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296A KR102139515B1 (ko) 2019-05-16 2019-05-16 과냉각 냉각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515B1 true KR102139515B1 (ko) 2020-07-30

Family

ID=71839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296A KR102139515B1 (ko) 2019-05-16 2019-05-16 과냉각 냉각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39515B1 (ko)
WO (1) WO20202309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91176A4 (en) * 2020-08-31 2024-01-10 Qingdao haier refrigerator co ltd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257U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냉장고의 냉기량 조절장치
KR20060115836A (ko) * 2005-05-07 2006-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
KR101327739B1 (ko) 2013-08-27 2013-11-11 주식회사 스노파 냉동고
KR20150043103A (ko) * 2013-10-14 2015-04-22 수퍼쿨러 주식회사 과냉각 냉각고
KR20160012411A (ko) * 2014-07-24 2016-02-03 수퍼쿨러 주식회사 과냉각 냉각고
JP2017072304A (ja) * 2015-10-07 2017-04-1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KR101933588B1 (ko) * 2017-11-27 2018-12-28 장명식 과냉각 냉각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257U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냉장고의 냉기량 조절장치
KR20060115836A (ko) * 2005-05-07 2006-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저장칸의 냉기공급장치
KR101327739B1 (ko) 2013-08-27 2013-11-11 주식회사 스노파 냉동고
KR20150043103A (ko) * 2013-10-14 2015-04-22 수퍼쿨러 주식회사 과냉각 냉각고
KR20160012411A (ko) * 2014-07-24 2016-02-03 수퍼쿨러 주식회사 과냉각 냉각고
JP2017072304A (ja) * 2015-10-07 2017-04-1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KR101933588B1 (ko) * 2017-11-27 2018-12-28 장명식 과냉각 냉각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91176A4 (en) * 2020-08-31 2024-01-10 Qingdao haier refrigerator co ltd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30951A1 (ko) 202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62750B (zh) 一种风冷冰箱及其控制方法
US6735959B1 (en) Thermoelectric icemaker and control
RU2324124C1 (ru) Холодильник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ереохлажденной жидкости
JP4636505B2 (ja) 冷蔵用ショーケース
CN103629880B (zh) 冰箱
US20060086130A1 (en) Ice and water dispenser on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EP1878986A1 (en) Refrigerator
JP5720704B2 (ja) 冷蔵庫
US10551109B2 (en) Duct structure for cooling container-space of door and refrigerator using the same
KR101933588B1 (ko) 과냉각 냉각고
KR20150043103A (ko) 과냉각 냉각고
KR102139515B1 (ko) 과냉각 냉각고
WO2018033966A1 (ja) 冷蔵庫
US10107544B2 (en) Refrigerator providing air flow to door
KR101445203B1 (ko) 냉장고
JP2017116121A (ja) 冷蔵庫
JP2001330361A (ja) 冷蔵庫
CN113124596B (zh) 一种冷柜风幕控制方法
KR100532903B1 (ko) 냉장고
KR20180072447A (ko) 급속 냉장실을 포함하는 냉장고
KR20140046618A (ko) 냉장고
JP7192402B2 (ja) 冷蔵庫
JPH11270956A (ja) 冷蔵庫
CN104266432A (zh) 冰箱
KR20190124933A (ko) 아이씨티 과냉각 냉동 장치와 과냉각 동결 방법 제어기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