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718B1 -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718B1
KR102137718B1 KR1020190127772A KR20190127772A KR102137718B1 KR 102137718 B1 KR102137718 B1 KR 102137718B1 KR 1020190127772 A KR1020190127772 A KR 1020190127772A KR 20190127772 A KR20190127772 A KR 20190127772A KR 102137718 B1 KR102137718 B1 KR 102137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or
auxiliary device
pitching
fing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고형
Original Assignee
정고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고형 filed Critical 정고형
Priority to PCT/KR2020/00566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22252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made of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rubber, steel wool, intended to be compress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5/00Clubs for gymnastics or the like, e.g. for swing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9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stance provided by plastic deformable materials, e.g. lead bars or kneadable mas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01Special physical structures of used masses
    • A63B21/0607Plastic masses, e.g. elastomers; Masses provided with plastic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08For a single arm or le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pi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63D visua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8Baseball, rounders or similar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63B2220/34Angula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63B2220/44Angular 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6Caps; Ferru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22Adjustable handles
    • A63B60/24Weighted h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섀도피칭 훈련을 위한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측에 개구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체; 상기 수용체의 수용공간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구멍이 관통형성되어 섀도피칭 훈련 시 상기 걸림구멍에 손가락이 끼워져 걸리는 걸림홀더; 및 상기 수용체의 일측에 동일체를 이루면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팔의 회전에 의해 탄성변형 및 복원되면서 부하 및 진동을 제공하는 연장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ASSISTANCE DEVICE FOR PITCHING TRAINING}
본 발명은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결합된 상태로 팔 스윙을 통해 섀도피칭 훈련을 도모할 수 있는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구를 즐기는 야구인들이 야구를 처음 시작하면서 배우게 되는 것은 볼을 던지는 방법이다.
하지만 같은 시간을 투자하여 던지는 방법을 배우더라도 누구는 잘 던지고 누구는 잘 던지지 못한다.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첫째 타고난 개개인의 운동능력 차이, 둘째 신체 조건의 차이이기도 하지만, 셋째 가장 큰 것은 공을 던지면서 터득하는 투구 요령의 유무 차이이다.
여기서 말하는 투구 요령이란 전체 투구 동작에서 실질적으로 공을 쥐고 던지는 상체동작을 말한다.
투수의 투구시 발생하는 이벤트는 구체적으로 FC, MER, BR, MIR로 구분될 수 있다.
FC(Foot Contact)는 리프트된 발이 마운드에 착지한 순간을 의미하고, MER(Mzximal External Rotation)은 견관절이 최대 외회전되는 순간을 의미하며, BR(Ball Release)는 볼이 손에서 떨어지는 순간을 의미하고, MIR(Maximal Internal Rotation)은 견관절이 최대 내회전되는 순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벤트는 투수의 팔동작에 따라 AC, AA, AD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AC(Arm Cocking)은 풋 컨택 후 공을 던지는 팔이 최대 외회전이 될 때 까지의 구간을 의미하고, AA(Arm Acceleration)는 공을 던지는 팔이 최대 외회전에서 릴리스 하기 전까지의 구간을 의미하며, AD(Arm Deceleration)는 볼 릴리스 이후 최대 내회전이 될 때까지의 구간을 의미한다.
여기서, 투수의 AC(Arm Cocking) 구간을 좀 더 구체적으로 구분하면, 손에 힘을 빼고 공을 축 늘어뜨린 상태에서, 그대로 원을 그리며 머리 위로 팔을 올린 후, 팔과 공의 관성을 이용하여 머리 뒤로 팔을 최대한 활처럼 휘게 만들어, 그것이 최대치에 달했을 때 비로소 공을 채는 것이다. 그러면 팔의 가속 구간이 늘어나 공은 더 빠르고 회전은 많이 걸리게 된다.
결국 볼의 속도와 회전수를 올리기 위해서는 볼의 릴리즈 시 팔의 휘어짐이 중요하며, 팔의 휘어짐이 없는 경우에는 볼에 힘을 전달하는 거리가 짧아지므로 전달되는 힘도 작아지게 된다. 반대로 팔의 휘어짐을 만들 수 있는 경우에는 볼에 힘을 전달하는 거리가 길어지게 되므로 전달되는 힘도 커지게 될 수 있다.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9821호에 개시된 피칭연습기가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손목에 공기저항만을 제공할 뿐 팔의 휘어짐을 유도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982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효과적인 섀도피칭을 유도할 수 있도록 팔의 회전에 의해 탄성변형 및 복원하는 부재를 통해 부하를 제공하여 팔의 휘어짐을 도모함으로써 실제 공을 던질 때와 유사한 볼의 무게감을 제공할 수 있는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특히, 본 발명은 손가락에 원활하게 파지될 수 있는 걸림홀더를 통해 실질적으로 볼을 던지는 손가락인 검지와 중지만을 가지고 섀도피칭 훈련을 도모할 수 있는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걸림홀더를 수용체에 분리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맞게 걸림홀더를 제작하여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섀도피칭 훈련시 스윙에 따른 청각적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중량을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고, 투구자세와 같은 데이터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확인 및 저장할 수 있는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는, 섀도피칭 훈련을 위한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에 있어서, 양측에 개구부를 가지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체; 상기 수용체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구멍이 관통형성되어 섀도피칭 훈련 시 상기 걸림구멍에 손가락이 끼워져 걸리는 걸림홀더; 및 상기 수용체의 일측에 동일체를 이루면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팔의 회전에 의해 탄성변형 및 복원되면서 부하 및 진동을 제공하는 연장체를 포함하고,상기 걸림홀더는, 상기 걸림구멍이 관통형성되면서 상기 수용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체의 양측 개구부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는 홀더본체; 상기 홀더본체의 양단부 중 손가락의 출구측 단부에 형성되어 손가락의 파지부위를 제공하는 파지홈; 및 상기 홀더본체가 상기 수용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홀더본체의 외주면 및 상기 수용체의 내주면 중 하나에 돌출형성되어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이탈방지돌기; 및 상기 홀더본체의 외주면 및 상기 수용체의 내주면 중 나머지 하나에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돌기에 끼워져 걸리는 이탈방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홀더본체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수용체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이탈방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구멍은, 손가락의 입구측 단부에서 손가락의 출구측 단부 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본체는, 상기 걸림구멍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손가락을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체는, 상기 수용체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수용체에서 멀어질수록 상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장치는, 상기 연장체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중량을 제공하는 웨이트; 및 상기 웨이트를 상기 연장체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는 웨이트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이트고정부재는, 상기 웨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체의 양측을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날개; 및 상기 파지날개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체를 관통한 상태로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속되는 결속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장치는,
상기 연장체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팔의 회전에 의한 상기 연장체의 스윙 시 공기의 진동을 통해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발생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장치는, 상기 수용체 또는 상기 연장체에 내장된 상태로 팔의 회전에 의한 가속도, 각속도 및 방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감지신호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인가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센서부에서 인가되는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팔 스윙의 투구 자세, 공의 구속 및 공의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여 상기 단말기에 출력 및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는, 팔이 회전할 경우 팔의 회전이 작용하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체가 탄성변형 및 복원되면서 부하를 제공하므로 실제 볼을 던질 때의 감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연장체가 팔과의 반작용을 통해 팔의 최대 휘어짐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섀도 피칭훈련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걸림홀더를 구성하는 홀더본체에 형성되는 걸림구멍에 검지와 중지를 끼우는 동시에 홀더본체에 마련된 파지홈을 통해 검지와 중지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볼을 던지는 손가락인 검지와 중지만을 가지고 섀도피칭 훈련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걸림홀더가 수용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맞게 걸림홀더를 제작하여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탈방지부재가 구비됨으로써 훈련과정에서 걸림홀더가 임의로 수용체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리발생챔버가 구비됨으로써 섀도피칭 훈련시 스윙에 따른 청각적 소리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섀도피칭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장체의 단부에 웨이트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중량이 추가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웨이트의 중량을 통해 팔의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섀도 피칭시 팔이나 몸통의 더 큰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부에 의해 연장체의 가속도나 각속도 또는 방위가 감지되어 사용자의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인가될 수 있으므로 인가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투구자세나 연습결과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를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의 센서부 및 통신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를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의 센서부 및 통신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10)는 섀도피칭 훈련을 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에 결합되어 실제 투구와 같은 중량 및 저항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체(100), 걸림홀더(200) 및 연장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체(100)는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10)의 몸체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로, 후술되는 걸림홀더(200)를 분리가능하게 수용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수용체(100)는 후술되는 걸림홀더(200)를 매개체로 사용자의 손가락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수용체(100)는 양측에 개구부를 가지면서 내부에 수용공간(100a)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걸림홀더(200)를 분리간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체(10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거나 외형이 타원형을 이루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내부에 개구부 및 수용공간(100a)을 갖는 다각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수용체(100)는 EVA소재와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홀더(2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직접적으로 끼워지는 구성요소로, 섀도피칭 훈련시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어 손가락의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걸림홀더(200)는 수용체(100)의 개구부를 통해 수용공간(100a)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구멍(200a)이 관통형성되어 섀도피칭 훈련시 걸림구멍(200a)에 손가락의 결합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홀더(200)는 홀더본체(210), 파지홈(220) 및 이탈방지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본체(210)는 걸림홀더(200)의 몸체를 이루는 구성요소로, 걸림구멍(200a)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체(10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양단부가 수용체(100)의 양측 개구부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본체(210)는 전술한 수용체(100)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발포 EVA 소재 또는 우레탄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본체(210)는 수용체(100)보다 연한 소재로 형성되어 예컨대 스펀지와 같은 물성을 가지므로 다양한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맞게 변형하여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홀더본체(210)는 걸림구멍(211)에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홀더본체(210)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응하는 몰드를 통해 사용자 별로 제작되어 섀도피칭 훈련시 수용체(1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파지홈(220)은 걸림구멍(200a)에 끼워진 손가락의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본체(21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손가락의 출구측 단부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손가락의 파지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지홈(220)은 홀더본체(210)의 출구측 단부에서 홀더본체(210)의 하부를 향해 연장형성됨으로써 걸림구멍(200a)에 끼워진 검지와 중지가 안착되는 파지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섀도피칭 훈련시 검지와 중지를 홀더본체(210)의 걸림구멍(200a)에 관통시켜 홀더본체(210)를 말아쥔 상태로 파지홈(220)을 파지함으로써 홀더본체(210)가 스윙과정에서 손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홀더본체(210)의 걸림구멍(200a)은 손가락의 입구측 단부에서 출구측 단부 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손가락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홀더본체(210)의 걸림구멍(200a)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돌기(211)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손가락을 가압하여 압박할 수 있다.
즉, 가압돌기(211)는 손가락의 안쪽 마디를 반지형태로 압박합으로써 섀도피칭시 팔의 가속 움직임에도 흔들림이 적은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팔을 감속하는 섀도피칭의 마무리 동작시에는 손가락의 관절부위에 걸림으로써 홀더본체(210)가 손가락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홀더본체(210)는 가압돌기(211)의 구성을 대신하여 손가락의 관절부위가 안착되면서 걸릴 수 있도록 내주면에 홈형태로 형성되는 관절안착홈이 형성됨으로써 손가락을 안정적으로 압박할 수도 있다.
또한, 홀더본체(210)의 걸림구멍(200a)에는 미도시된 돌륜이 돌출형성되어 야구공에 형성된 솔기를 모사할 수도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재(230)는 수용체(100)의 수용공간(100a)에 삽입되는 홀더본체(210)가 수용체(100)에서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이탈방지부재(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돌기(231) 및 이탈방지홈(2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231)는 홀더본체(210)의 외주면이나 수용체(100)의 내주면 중 하나에 돌출형성되어 걸림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홈(232)은 홀더본체(210)의 외주면이나 수용체(100)의 내주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어 이탈방지돌기(231)에 끼워져 걸림으로써 걸림홀더(210)가 수용체(100)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탈방지홈(232)은 구멍형태로 형성되어 이탈방지돌기(231)가 끼워져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이탈방지부재(230)는 홀더본체(210)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외주면이나 수용체(100)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홀더본체(100)의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미도시된 이탈방지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홀더본체(210)는 수용체(100)의 수용공간(100a)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되어 수용체(10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면서 임의의 이탈이 방지될 수도 있다.
또한, 수용체(100)의 수용공간(100a) 및 홀더본체(210)는 각각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원호형의 곡면을 통해 서로 대면함으로써 홀더본체(210)의 직선이동이 억제되면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도 있다.
상기 연장체(300)는 수용체(100)의 일측에 동일체를 이루면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섀도 피칭훈련 시 팔의 회전이나 휘어짐에 의한 반작용을 통해 부하나 진동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연장체(300)는 팔의 회전이나 휘어짐에 의해 탄성변형 및 복원되면서 부하나 진동을 제공함으로써 실제 야구공을 던질 때와 같은 무게감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체(300)는 수용체(100)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수용체(100)의 일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즉, 연장체(300)는 수용체(10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어 바형태로 연장될 수 있으며, 외주면이 실리콘과 같은 코팅소재로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체(300)는 수용체(100)에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되면서 수용체(100)와 동일체를 이룰 수도 있다.
이 경우, 연장체(300)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복수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맞는 길이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연장체(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체(100)의 일측으로 연장되면서 수용체(100)에서 멀어질수록 수용체(100)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를 이루면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연장체(300)는 수용체(100)의 일측으로 연장되면서 수용체(100)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트(400) 및 웨이트고정부재(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웨이트(400)는 필요에 따라 연장체(300)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추가적인 중량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웨이트(400)는 원통형이나 블록 형태의 중량체로 형성됨으로써 연장체(300)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효과와 함께 공기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웨이트(400)는 구체형이나 반구형으로 형성된 수도 있다.
상기 웨이트고정부재(500)는 웨이트(400)를 연장체(300)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웨이트고정부재(500)는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날개(510) 및 결속후크(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파지날개(510)는 웨이트(400)의 양측에 한 쌍을 이루면서 날개형태로 형성되어 연장체(300)의 단부 양측을 파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결속후크(520)는 파지날개(510)를 연장체(300)의 단부에 체결시키는 구성요소로, 한 쌍의 파지날개(510)에 각각 수형돌기 및 암형홈 형태로 제각기 형성될 수 있으며, 수형돌기가 연장체(300)를 관통한 상태로 암형홈에 결속됨으로써 파지날개(510)를 연장체(300)에 분리가능한 상태로 체결될 수 있다.
물론, 연장체(300)의 단부에는 결속후크(520)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웨이트고정부재(500)는 웨이트(400)에 동일체로 구비되는 나사소켓으로 구성되어 연장체(300)의 단부에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리발생챔버(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리발생챔버(600)는 섀도피칭을 위한 팔의 회전에 의한 연장체(300)의 스윙 시 공기의 진동을 통해 소리를 발생시킴으로써 스윙에 따른 청각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구성요쇼이다.
이러한 소리발생챔버(600)는 공기의 진동이 발생할 수 있도록 연장체(300)의 일부분에 동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별도의 함체형으로 형성되어 연장체(3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700) 및 통신부(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700)는 사용자의 피칭 연습 시 연장체(300)의 가속도, 각속도, 방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제공함으로써 감지된 데이터를 통해 피칭 연습에 대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센서부(700)는 보다 지능적인 훈련을 위해 팔 스윙 궤도를 포함한 매 피칭 동작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기록하며, 사용자가 그 정보를 3D로 시각화하여 즉각적으로 비교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7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체(100)에 내장되거나 연장체(300)에 내장될 수 있다.
통신부(800)는 센서부(700)에 의해 감지된 감지신호를 사용자의 단말기(1)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900)으로 인가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통신부(800)는 센서부(700)와 함께 수용체(100)에 내장되거나 연장체(300)에 내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센서부(700) 및 통신부(800)는 전술한 웨이트(400)에 내장된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웨이트(400)와 함께 연장체(300)에 체결될 수도 있다.
통신부(800)는 블루투스모듈이나 와이파이모듈 및 무선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로 단말기(1)의 애플리케이션(900)과 무선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모듈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하고, 와이파이 모듈은 WiFi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며, 무선통신 모듈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LTE-A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여기서 지그비는 소형, 저전력 디지털 라디오를 이용해 개인 통신망을 구성하여 통신하기 위한 표준 기술로서, IEEE 802.15표준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900)은 스마트폰이나 태플릿 컴퓨터 또는 서버와 같은 단말기(1)에 탑재될 수 있으며 센서부(700)에서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의한 연장체(300)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팔 스윙의 투구 자세, 공의 구속 및 공의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여 단말기(1)에 출력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900)은 센서부(700)의 감지신호를 통해 팔의 최대 내회전 속도, 릴리즈 시 팔의 각도, 예상 구속을 산출하여 시각적인 데이터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기(1)의 애플리케이션(900)으로 인가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투구자세나 연습결과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10)에 의하면, 걸림홀더(200)를 구성하는 홀더본체(210)에 형성되는 걸림구멍(200a)에 검지와 중지를 끼우는 동시에 홀더본체(210)에 마련된 파지홈(220)을 통해 검지와 중지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볼을 던지는 손가락인 검지와 중지만을 가지고 섀도피칭 훈련을 도모할 수 있으며, 팔의 회전이 작용하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체(300)가 탄성변형 및 복원되면서 부하와 진동을 제공하므로 실제 볼을 던질 때의 감각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
100 : 수용체
100a : 수용공간
200 : 걸림홀더
200a : 걸림구멍
210 : 홀더본체
211 : 가압돌기
220 : 파지홈
230 : 이탈방지부재
231 : 이탈방지돌기
232 : 이탈방지홈
300 : 연장체
400 : 웨이트
500 : 웨이트고정부재
510 : 파지날개
520 : 결속후크
600 : 소리발생챔버
700 : 센서부
800 : 통신부
900 : 애플리케이션
1 : 단말기

Claims (12)

  1. 섀도피칭 훈련을 위한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에 있어서,
    양측에 개구부를 가지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체;
    상기 수용체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구멍이 관통형성되어 섀도피칭 훈련 시 상기 걸림구멍에 손가락이 끼워져 걸리는 걸림홀더; 및
    상기 수용체의 일측에 동일체를 이루면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팔의 회전에 의해 탄성변형 및 복원되면서 부하 및 진동을 제공하는 연장체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홀더는,
    상기 걸림구멍이 관통형성되면서 상기 수용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체의 양측 개구부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는 홀더본체;
    상기 홀더본체의 양단부 중 손가락의 출구측 단부에 형성되어 손가락의 파지부위를 제공하는 파지홈; 및
    상기 홀더본체가 상기 수용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홀더본체의 외주면 및 상기 수용체의 내주면 중 하나에 돌출형성되어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이탈방지돌기; 및
    상기 홀더본체의 외주면 및 상기 수용체의 내주면 중 나머지 하나에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돌기에 끼워져 걸리는 이탈방지홈을 포함하는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홀더본체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수용체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이탈방지턱을 포함하는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멍은,
    손가락의 입구측 단부에서 손가락의 출구측 단부 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는,
    상기 걸림구멍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손가락을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더 포함하는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체는,
    상기 수용체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수용체에서 멀어질수록 상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연장되는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장치는,
    상기 연장체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중량을 제공하는 웨이트; 및
    상기 웨이트를 상기 연장체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는 웨이트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고정부재는,
    상기 웨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체의 양측을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날개; 및
    상기 파지날개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체를 관통한 상태로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속되는 결속후크를 포함하는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장치는,
    상기 연장체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팔의 회전에 의한 상기 연장체의 스윙 시 공기의 진동을 통해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발생챔버를 더 포함하는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장치는,
    상기 수용체 또는 상기 연장체에 내장된 상태로 팔의 회전에 의한 가속도, 각속도 및 방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감지신호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인가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센서부에서 인가되는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팔 스윙의 투구 자세, 공의 구속 및 공의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여 상기 단말기에 출력 및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
KR1020190127772A 2019-05-02 2019-10-15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 KR102137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5669 WO2020222525A1 (ko) 2019-05-02 2020-04-29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719 2019-05-02
KR20190051719 2019-05-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718B1 true KR102137718B1 (ko) 2020-07-24

Family

ID=7189256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909A KR102137715B1 (ko) 2019-05-02 2019-09-03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
KR1020190127772A KR102137718B1 (ko) 2019-05-02 2019-10-15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
KR1020200023038A KR102137721B1 (ko) 2019-05-02 2020-02-25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909A KR102137715B1 (ko) 2019-05-02 2019-09-03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038A KR102137721B1 (ko) 2019-05-02 2020-02-25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82321B2 (ko)
KR (3) KR102137715B1 (ko)
CN (1) CN113784765B (ko)
WO (3) WO202022252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8919A (ja) * 1996-08-16 1998-04-28 Asics Corp スティックアレイ
KR20010032244A (ko) * 1997-11-19 2001-04-16 로마닉 론 스포츠용 투구 훈련 장치
US20070135242A1 (en) * 2005-12-14 2007-06-14 Schoonover Richard L Baseball pitching aid
KR20090119821A (ko) 2009-11-02 2009-11-20 정경남 공기저항을 이용한 피칭연습기
US20140228157A1 (en) * 2013-02-11 2014-08-14 Adam W Johnston Ball Rotation Indicator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1709U (ko) * 1990-03-26 1991-12-12
JP4431735B2 (ja) * 2000-02-10 2010-03-17 靖之 今任 投球練習具
JP2007061408A (ja) * 2005-08-31 2007-03-15 Iba:Kk 運動練習用具
US7753811B2 (en) * 2006-09-07 2010-07-13 Mark Justin A Grip training device
NZ550015A (en) * 2006-09-21 2010-03-26 Carl Douglas Fitt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throwing device
JP2010279672A (ja) * 2009-05-02 2010-12-16 Uchida Hanbai System:Kk 投球・打撃用ボール
GB0919549D0 (en) * 2009-11-09 2009-12-23 Thorogood Francis Cricket ball throwing device
KR200461622Y1 (ko) * 2010-04-14 2012-07-26 전영권 배드민턴용 손잡이
JP3168586U (ja) * 2011-04-08 2011-06-16 有限会社アイビーエー 運動練習用具
US20160206941A1 (en) * 2015-01-16 2016-07-21 Michael Voelkel Pitch Training Apparatus
US20170252622A1 (en) * 2016-03-04 2017-09-07 Glenn Ross Player/thrower training device including ball supported and extensible inner tubular portion telescopically displaceable and biased within an outer tubular and grip-able and elongated and for instructing multi-positional throwing motio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8919A (ja) * 1996-08-16 1998-04-28 Asics Corp スティックアレイ
KR20010032244A (ko) * 1997-11-19 2001-04-16 로마닉 론 스포츠용 투구 훈련 장치
US20070135242A1 (en) * 2005-12-14 2007-06-14 Schoonover Richard L Baseball pitching aid
KR20090119821A (ko) 2009-11-02 2009-11-20 정경남 공기저항을 이용한 피칭연습기
US20140228157A1 (en) * 2013-02-11 2014-08-14 Adam W Johnston Ball Rotation Indicator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22525A1 (ko) 2020-11-05
KR102137715B1 (ko) 2020-07-24
WO2020222524A1 (ko) 2020-11-05
JP2022531409A (ja) 2022-07-06
US20220161113A1 (en) 2022-05-26
JP7182321B2 (ja) 2022-12-02
WO2020222526A1 (ko) 2020-11-05
CN113784765B (zh) 2022-11-04
CN113784765A (zh) 2021-12-10
KR102137721B1 (ko)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32874B2 (ja) 運動訓練補助具
WO2014069514A1 (ja) 顔面筋鍛錬具
US11660519B2 (en) Golf swing playing aid device
KR102137718B1 (ko)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
US20110275460A1 (en) Tennis serve traning device
KR101999328B1 (ko) 피칭연습용 보조 장치
US12029952B2 (en) Pitching training aid
US20110212790A1 (en) Sports implement grip training device
US9776061B2 (en) Training device
US10195509B1 (en) Basketball training apparatus with real-time user feedback on shooting form
US10232242B2 (en) Devices to improve swing technique,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150174450A1 (en) Equilibrium training device
JP7274200B2 (ja) 打撃練習用具
KR101759228B1 (ko)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한 가상현실 게임장치
US10004966B1 (en) Towel trainer
CN101745208B (zh) 棒球练习系统
JPH07178210A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器
JP3248096B2 (ja) スティックアレイ
JP6995301B1 (ja) トレーニング器具
JP2001087439A (ja) ゴルフグリップ練習具
JP3188102U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用具
JP3207329U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具
KR20220101042A (ko) 골프 스윙 연습용 로프
KR20140086100A (ko) 골프클럽용 보조 그립 장치
JPS5813881Y2 (ja) ボクシング、空手等の突き蹴り練習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