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633B1 - 콤보 안테나 모듈 - Google Patents

콤보 안테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633B1
KR102137633B1 KR1020190081390A KR20190081390A KR102137633B1 KR 102137633 B1 KR102137633 B1 KR 102137633B1 KR 1020190081390 A KR1020190081390 A KR 1020190081390A KR 20190081390 A KR20190081390 A KR 20190081390A KR 102137633 B1 KR102137633 B1 KR 102137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attern
antenna
disposed
loop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490A (ko
Inventor
백형일
맹주승
임기상
김성현
정의진
송두현
장길재
김기철
노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텍
Publication of KR20200005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6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with core of ferro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01F27/36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made of ferro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3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루프 코일과 안테나 시트를 적층하여 콤보 안테나를 구성하여 설계 자유도 저하를 방지하면서 제조 단가를 최소화하도록 한 콤보 안테나 모듈을 제시한다. 제시된 콤보 안테나 모듈은 자성 시트, 자성 시트의 상면에 배치된 루프 코일 및 자성 시트보다 좁은 면적을 갖고, 자성 시트의 상면에 배치된 안테나 시트를 포함하고, 안테나 시트가 루프 코일의 일부와 중첩된다.

Description

콤보 안테나 모듈{COMBO ANTENNA MODULE}
본 발명은 콤보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에 실장되어 무선 전력 수신 및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콤보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이다.
기술 발전과 함께 근거리 통신 기능 및 무선 전력 수신(또는 무선 충전) 기능이 휴대 단말에 적용되고 있다. 즉, 휴대 단말은 근거리 통신(예를 들면, NFC) 기능을 이용해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무선 전력 수신(또는 무선 충전) 기능을 이용해 내장형 배터리를 충전한다.
한편, 휴대 단말 시장에서는 저가형 라인과 고가형 라인으로 구분하여 휴대 단말을 출시하고 있다. 이때, 저가형 라인은 고가형 라인에서 무선 충전 기능을 제외하거나, 근거리 통신의 성능을 제한하여 출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저가형 단말에서도 무선 충전 기능이 요구되고 있어, 제조사는 제조 비용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무선 충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안테나 모듈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05847호(명칭: 루프 안테나를 형성한 탈착식 배터리 커버 및 이를 적용한 비접촉식 무선 결제용 휴대폰)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루프 코일과 안테나 시트를 적층하여 콤보 안테나를 구성하여 설계 자유도 저하를 방지하면서 제조 단가를 최소화하도록 한 콤보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 모듈은 자성 시트, 자성 시트의 상면에 배치된 루프 코일 및 자성 시트보다 좁은 면적을 갖고, 자성 시트의 상면에 배치된 안테나 시트를 포함하고, 안테나 시트는 루프 코일의 일부와 중첩된다.
루프 코일은 자성 시트와 수직인 가상의 권취축을 복수회 권회하는 루프 형상으로 형성된 금속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 시트는 자성 시트보다 좁은 면적을 갖는 연성의 베이스 시트를 포함하고, 베이스 시트는 루프 코일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가 배치된 영역과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 시트는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 시트의 상면에 배치된 안테나 패턴을 더 포함하고, 안테나 패턴은 루프 코일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 시트는 베이스 시트의 상면에 배치되고, 루프 코일의 제1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연결 패턴 및 제1 연결 패턴과 이격되어 베이스 시트의 상면에 배치되고, 루프 코일의 제2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연결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패턴 및 제2 연결 패턴은 안테나 패턴이 형성한 루프의 내주에 배치되고, 루프 코일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베이스 시트의 하면에서 안테나 패턴이 형성한 루프의 내주 영역과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연결 패턴의 제1 단부는 베이스 시트의 일부가 제거된 영역을 통해 베이스 시트의 하부로 노출되고, 베이스 시트의 하부로 노출된 영역에서 루프 코일의 제1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연결 패턴의 제1 단부는 베이스 시트의 일부가 제거된 영역을 통해 베이스 시트의 하부로 노출되고, 베이스 시트의 하부로 노출된 영역에서 루프 코일의 제2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 시트는 베이스 시트의 한 변에서 연장되고, 복수의 단자 패턴이 형성된 단자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성 시트는 루프 코일 및 안테나 시트와 중첩되는 영역에 단차 보상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자성 시트는 루프 코일 및 안테나 시트와 중첩되는 영역에 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시트를 적층한 적층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 모듈은 자성 시트보다 좁은 면적을 갖고, 자성 시트의 상면에 배치된 단차 보상 시트를 더 포함하고, 단차 보상 시트는 자성 시트 중에서 안테나 시트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 시트는 자성 시트보다 좁은 면적을 갖는 연성의 베이스 시트 및 베이스 시트의 한 변에서 루프 코일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확장 시트를 포함하고, 확장 시트는 루프 코일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가 배치된 영역과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 시트는 베이스 시트의 상면 및 확장 시트의 상면에 걸쳐 배치되고, 루프 코일의 제1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연결 패턴 및 제1 연결 패턴과 이격되어 베이스 시트의 상부 및 확장 시트의 상면에 걸쳐 배치되고, 루프 코일의 제2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연결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 패턴의 제1 단부는 확장 시트의 일부가 제거된 영역을 통해 확장 시트의 하부로 노출되어 루프 코일의 제1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연결 패턴의 제1 단부는 확장 시트의 일부가 제거된 영역을 통해 확장 시트의 하부로 노출되어 루프 코일의 제2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 시트는 베이스 시트의 상면에 형성된 안테나 패턴과 베이스 시트의 하면에 형성된 우회 패턴을 더 포함하고, 안테나 패턴은 제1 연결 패턴 및 제2 연결 패턴과 교차하는 관통 영역에 배치된 패턴이 제거되고, 우회 패턴은 관통 영역에서 제거된 안테나 패턴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우회 패턴의 일단은 관통 영역의 좌측에 배치된 안테나 패턴의 절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우회 패턴의 타단은 관통 영역의 우측에 배치된 안테나 패턴의 절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콤보 안테나 모듈은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안테나를 코일 타입으로 구현함으로써, 콤보 안테나의 제조 단가를 낮추면서, 안테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콤보 안테나 모듈은 안테나 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안테나 시트(즉, FPCB)의 면적을 절반으로 줄이고, 안테나 시트에 형성된 연결 패턴으로 루프 코일의 인입선을 구현함으로써, 설계 자유도 저하를 방지하면서 콤보 안테나 모듈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콤보 안테나 모듈은 자성 시트에 단차 보상용 홈을 형성함으로써, 루프 코일과 안테나 시트의 중첩으로 인한 두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콤보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4의 루프 코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도 4의 안테나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 모듈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도 11의 안테나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 모듈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어떤 구조물이 다른 구조물의 "상면에" 또는 "하면에" 배치 또는 형성된다고 기재된 경우, 이러한 기재는 이 구조물들이 서로 접촉되어 있는 경우는 물론이고 이들 구조물들 사이에 제3의 구조물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콤보 안테나 모듈은 무선 전력 수신용 안테나(12),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14) 등을 하나의 연성인쇄회로기판(16)에 구현한다. 이때, 콤보 안테나 모듈은 하나의 연성인쇄회로기판(16) 상에 복수의 안테나를 구현하기 때문에 두께 축소 및 패턴 설계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하지만, 휴대 단말의 무선 충전을 위해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용 안테나(12)는 고사양의 자재(즉, 연성인쇄회로기판(16))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연성인쇄회로기판(16)의 면적이 증가하여 콤보 안테나 모듈의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콤보 안테나 모듈은 무선 전력 수신용 안테나(12)를 저가의 코일(Coil)로 제작하여 단가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하지만, 콤보 안테나 모듈은 인입선(Jumper)이 코일과 교차하기 때문에 두께가 증가(도 2의 A)하고, 인쇄회로기판(16; FPCB 또는 PCB)에 별도의 단자부(도 3의 B)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설계 자유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계 자유도 저하를 방지하면서 제조 단가를 최소화한 콤보 안테나 모듈을 제시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 모듈(100)은 자성 시트(110), 루프 코일(120) 및 안테나 시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 모듈(100)은 루프 코일(120)과 안테나 시트(130)가 일부 중첩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자성 시트(110)는 자성 재질의 판상 기재 또는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자성 시트(110)는 페라이트, 나노 결정립 합금, 철계 비정질 리본 등과 같이 자성을 갖는 시트 또는 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자성 시트(110)는 복수의 시트 또는 복수의 필름이 적층된 적층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자성 시트(110)는 동일 재질의 시트들 또는 필름들을 적층한 적층체로 구성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자성 시트(110)는 이종 재질의 시트들 또는 필름들을 적층한 적층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루프 코일(120)은 자성 시트(110)의 상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자성 시트(110)의 상면은 콤보 안테나 모듈(100)을 휴대 단말에 실장시, 휴대 단말의 후면 커버 방향으로 배치되는 자성 시트(110)의 일면을 의미한다. 이때, 루프 코일(120)은 무선 전력 전송 또는 무선 전력 수신을 위한 코일인 것을 일례로 한다.
루프 코일(120)은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며, 자성 시트(110)의 상면과 수직을 이루는 권취축을 복수회 권회하는 루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루프 코일(120)은 자성 시트(110)와 안테나 시트(130) 사이에 개재된다. 루프 코일(120)은 자성 시트(110)와 모두 중첩되고, 안테나 시트(130)와 일부 중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루프 코일(120)은 구리 와이어(122)를 권취축을 복수회 권회하도록 배치하여 원형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이때, 루프 코일(120)의 제1 단부(RCE1)는 루프의 외주에 배치되고, 루프 코일(120)의 제2 단부(RCE2)는 루프의 내주에 배치된다.
이처럼, 콤보 안테나 모듈(100)은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안테나를 코일 타입으로 구현하여 콤보 안테나의 제조 단가를 낮추면서, 안테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안테나 시트(130)는 자성 시트(110)의 상면에 배치된다. 안테나 시트(130)는 자성 시트(110)보다 좁은 면적으로 갖도록 형성되어, 자성 시트(110)의 상면 중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이때, 안테나 시트(130)는 안테나 패턴(133)이 루프 코일(120)과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안테나 시트(130)는 베이스 시트(131), 단자 시트(132), 안테나 패턴(133), 제1 연결 패턴(134), 제2 연결 패턴, 제1 하부 단자 패턴(136a), 제2 하부 단자 패턴(136b), 제3 하부 단자 패턴(136c), 제4 하부 단자 패턴(136d), 제1 상부 단자 패턴(137a), 제2 상부 단자 패턴(137b), 제3 상부 단자 패턴(137c) 및 제4 상부 단자 패턴(137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시트(131)는 필름, 시트, 박막 기판 등과 같은 박막의 연성 기재로 형성된다. 베이스 시트(131)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베이스 시트(131)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시트인 것을 일례로 한다. 여기서, 베이스 시트(131)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박막 기재이면서 안테나를 구성하는 안테나 패턴(133)을 형성할 수 있는 기재라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베이스 시트(131)는 자성 시트(110)보다 좁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자성 시트(110)의 상면에 배치된다. 베이스 시트(131)의 면적은 자성 시트(110)의 면적의 절반 이하로 형성되어 자성 시트(110)의 상면에 배치된다. 베이스 시트(131)는 자성 시트(110)의 네 변 중 한 변에 치우쳐져 배치된다.
베이스 시트(131)는 자성 시트(110)의 상면에 배치된 루프 코일(120)과 중첩된다. 베이스 시트(131)는 루프 코일(120)이 형성하는 루프 영역 중에서 루프 코일(120)의 제1 단부(RCE1) 및 제2 단부(RCE2)가 배치되는 영역과 중첩된다.
단자 시트(132)는 베이스 시트(131)는 한 변에서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단자 시트(132)는 단자 패턴들이 형성되는 시트로 베 이스 시트(131)의 네 변 중에서 후술할 루프 코일(120) 및 안테나 패턴(133)의 양단과 인접한 한 변에서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단자 시트(132)는 베이스 시트(13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형성된 후 베이스 시트(131)에 결합될 수 있다.
안테나 패턴(133)은 베이스 시트(131)의 상면에 형성된다. 안테나 패턴(133)은 베이스 시트(131)와 직교하는 가상의 권취축을 복수회 권회하는 루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안테나 패턴(133)은 베이스 시트(131)의 네 변을 따라 권회하는 사각형 루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안테나 패턴(133)은 베이스 시트(131)의 하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 패턴(133)의 제1 단부(APE1)는 안테나 패턴(133)이 형성하는 루프의 외주에 배치된다. 안테나 패턴(133)의 제1 단부(APE1)는 비아 홀을 통해 제1 상부 단자 패턴(137a) 및 제1 하부 단자 패턴(136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안테나 패턴(133)의 제2 단부(APE2)는 안테나 패턴(133)이 형성하는 루프의 내주에 배치된다. 안테나 패턴(133)의 제2 단부(APE2)는 비아 홀을 통해 제2 상부 단자 패턴(137b) 및 제2 하부 단자 패턴(136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연결 패턴(134)은 베이스 시트(131)의 상면에 형성된다. 제1 연결 패턴(134)은 베이스 시트(131)의 상면 중에서 안테나 패턴(133)이 형성한 루프의 내주 영역에 형성된다. 제1 연결 패턴(134)은 루프 코일(120)의 제1 단부(RCE1)를 제3 하부 단자 패턴(136c)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1 연결 패턴(134)의 제1 단부(CP1E1)는 루프 코일(120)의 제1 단부(RCE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연결 패턴(134)의 제1 단부(CP1E1)는 베이스 시트(131)의 상면 중에서 루프 코일(120)의 제1 단부(RCE1)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제1 연결 패턴(134)의 제1 단부(CP1E1)는 솔더링을 통해 루프 코일(120)의 제1 단부(RCE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례로, 베이스 시트(131)는 제1 연결 패턴(134)의 제1 단부(CP1E1)가 배치되는 영역 중 일부가 제거된다. 제1 연결 패턴(134)의 제1 단부(CP1E1)는 베이스 시트(131)가 제거된 영역을 통해 베이스 시트(131)의 하부로 노출된다. 베이스 시트(131)의 하부로 노출된 제1 연결 패턴(134)의 제1 단부(CP1E1)와 루프 코일(120)의 제1 단부(RCE1)를 솔더링함에 따라 제1 연결 패턴(134)이 루프 코일(120)의 제1 단부(RCE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연결 패턴(134)의 제2 단부(CPE2)는 제3 하부 단자 패턴(136c)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연결 패턴(134)의 제2 단부(CPE2)는 베이스 시트(131)의 상면에서 제3 하부 단자 패턴(136c)과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제1 연결 패턴(134)의 제2 단부(CPE2)는 비아홀을 통해 제3 하부 단자 패턴(136c)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례로, 제1 연결 패턴(134)의 제2 단부(CPE2)는 베이스 시트(131)의 하면에 형성된 제3 하부 단자 패턴(136c)과 중첩 영역을 형성한다. 제1 연결 패턴(134)의 제2 단부(CPE2)는 중첩 영역에 형성된 비아홀을 통해 제3 하부 단자 패턴(136c)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연결 패턴은 베이스 시트(131)의 상면에서 제1 연결 패턴(134)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2 연결 패턴은 베이스 시트(131)의 상면 중에서 안테나 패턴(133)이 형성한 루프의 내주 영역에 형성된다. 제2 연결 패턴은 루프 코일(120)의 제2 단부(RCE2)를 제4 하부 단자 패턴(136d)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2 연결 패턴의 제2 단부(CP2E1)는 루프 코일(120)의 제2 단부(RCE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연결 패턴의 제2 단부(CP2E1)는 베이스 시트(131)의 상면 중에서 루프 코일(120)의 제2 단부(RCE2)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제2 연결 패턴의 제2 단부(CP2E1)는 솔더링을 통해 루프 코일(120)의 제2 단부(RCE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례로, 베이스 시트(131)는 제2 연결 패턴의 제2 단부(CP2E1)가 배치되는 영역 중 일부가 제거된다. 제2 연결 패턴의 제2 단부(CP2E1)는 베이스 시트(131)가 제거된 영역을 통해 베이스 시트(131)의 하부로 노출된다. 베이스 시트(131)의 하부로 노출된 제2 연결 패턴의 제2 단부(CP2E1)와 루프 코일(120)의 제2 단부(RCE2)를 솔더링함에 따라 제2 연결 패턴이 루프 코일(120)의 제2 단부(RCE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연결 패턴의 제2 단부(CP2E2)는 제4 하부 단자 패턴(136d)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연결 패턴의 제2 단부(CP2E2)는 베이스 시트(131)의 상면에서 제4 하부 단자 패턴(136d)과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제2 연결 패턴의 제2 단부(CP2E2)는 비아홀을 통해 제4 하부 단자 패턴(136d)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례로, 제2 연결 패턴의 제2 단부(CP2E2)는 베이스 시트(131)의 하면에 형성된 제4 하부 단자 패턴(136d)과 중첩 영역을 형성한다. 제2 연결 패턴의 제2 단부(CP2E2)는 중첩 영역에 형성된 비아홀을 통해 제4 하부 단자 패턴(136d)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처럼, 콤보 안테나 모듈(100)은 안테나 패턴(133)을 구현하기 위한 베이스 시트(131; 즉, FPCB)의 면적을 절반으로 줄이고, 베이스 시트(131)에 형성된 연결 패턴으로 루프 코일(120)의 인입선을 구현함으로써, 콤보 안테나 모듈(100)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콤보 안테나 모듈(100)은 루프 코일(120)의 인입선을 패턴 방식으로 구현하기 때문에 일부 저항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나 실제 루프 코일(120)의 안테나 성능에 영향을 줄 만한 크기의 저항 손실이 아니기 때문에 루프 코일(120)의 안테나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다.
제1 하부 단자 패턴(136a) 내지 제4 하부 단자 패턴(136d)은 단자 시트(132)의 하면 및 베이스 시트(131)의 하면에 걸쳐 형성된다. 이때, 제1 하부 단자 패턴(136a) 내지 제4 하부 단자 패턴(136d)은 상호 간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1 하부 단자 패턴(136a)의 제1 단부는 단자 시트(132)에 배치된다. 제1 하부 단자 패턴(136a)은 제1 단부에서 베이스 시트(13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1 하부 단자 패턴(136a)의 제2 단부는 베이스 시트(131)의 하면에 배치된다.
이때, 제1 하부 단자 패턴(136a)의 제2 단부는 베이스 시트(131)의 하면 중에서 안테나 패턴(133)의 제1 단부(APE1)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제1 하부 단자 패턴(136a)의 제2 단부는 비아 홀을 통해 안테나 패턴(133)의 제1 단부(APE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하부 단자 패턴(136b)의 제1 단부는 단자 시트(132)에 배치된다. 제2 하부 단자 패턴(136b)은 제1 단부에서 베이스 시트(13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2 하부 단자 패턴(136b)의 제2 단부는 베이스 시트(131)의 하면에 배치된다.
이때, 제2 하부 단자 패턴(136b)의 제2 단부는 베이스 시트(131)의 하면 중에서 안테나 패턴(133)의 제2 단부(APE2)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제2 하부 단자 패턴(136b)의 제2 단부는 비아 홀을 통해 안테나 패턴(133)의 제2 단부(APE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 하부 단자 패턴(136c)의 제1 단부는 단자 시트(132)에 배치된다. 제3 하부 단자 패턴(136c)은 제1 단부에서 베이스 시트(13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3 하부 단자 패턴(136c)의 제2 단부는 베이스 시트(131)의 하면에 배치된다.
이때, 제3 하부 단자 패턴(136c)의 제2 단부는 베이스 시트(131)의 하면 중에서 제1 연결 패턴(134)의 제2 단부(CPE2)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제3 하부 단자 패턴(136c)의 제2 단부는 솔더링을 통해 제1 연결 패턴(134)의 제2 단부(CPE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4 하부 단자 패턴(136d)의 제1 단부는 단자 시트(132)에 배치된다. 제4 하부 단자 패턴(136d)은 제1 단부에서 베이스 시트(13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4 하부 단자 패턴(136d)의 제2 단부는 베이스 시트(131)의 하면에 배치된다.
이때, 제4 하부 단자 패턴(136d)의 제2 단부는 베이스 시트(131)의 하면 중에서 제2 연결 패턴의 제2 단부(CP2E2)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제4 하부 단자 패턴(136d)의 제2 단부는 솔더링을 통해 제2 연결 패턴의 제2 단부(CP2E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상부 단자 패턴(137a) 내지 제4 상부 단자 패턴(137d)은 단자 시트(132)의 상면에 형성된다. 이때, 제1 상부 단자 패턴(137a) 내지 제4 상부 단자 패턴(137d)은 상호 간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1 상부 단자 패턴(137a)은 단자 시트(132)의 상면에 형성된다. 제1 상부 단자 패턴(137a)은 단자 시트(132)의 하면에 형성되고, 제1 하부 단자 패턴(136a)의 일부와 중첩된다. 제1 상부 단자 패턴(137a)은 비아홀을 통해 제1 하부 단자 패턴(136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상부 단자 패턴(137b)은 단자 시트(132)의 상면에 형성된다. 제2 상부 단자 패턴(137b)은 단자 시트(132)의 하면에 형성되고, 제2 하부 단자 패턴(136b)의 일부와 중첩된다. 제2 상부 단자 패턴(137b)은 비아홀을 통해 제2 하부 단자 패턴(136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 상부 단자 패턴(137c)은 단자 시트(132)의 상면에 형성된다. 제3 상부 단자 패턴(137c)은 단자 시트(132)의 하면에 형성되고, 제3 하부 단자 패턴(136c)의 일부와 중첩된다. 제3 상부 단자 패턴(137c)은 비아홀을 통해 제3 하부 단자 패턴(136c)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4 상부 단자 패턴(137d)은 단자 시트(132)의 상면에 형성된다. 제4 상부 단자 패턴(137d)은 단자 시트(132)의 하면에 형성되고, 제4 하부 단자 패턴(136d)의 일부와 중첩된다. 제4 상부 단자 패턴(137d)은 비아홀을 통해 제4 하부 단자 패턴(136d)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상부 단자 패턴(137a) 및 제1 하부 단자 패턴(136a)은 안테나 패턴(133)의 제1 단부(APE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상부 단자 패턴(137b) 및 제2 하부 단자 패턴(136b)은 안테나 패턴(133)의 제2 단부(APE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 상부 단자 패턴(137c) 및 제3 하부 단자 패턴(136c)은 루프 코일(120)의 제1 단부(RCE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4 상부 단자 패턴(137d) 및 제4 하부 단자 패턴(136d)은 루프 코일(120)의 제2 단부(RCE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콤보 안테나 모듈(100)은 단차 보상 시트(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차 보상 시트(140)는 PET 등과 같은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단차 보상 시트(140)는 자성 시트(110)의 상면에 배치된다. 단차 보상 시트(140)는 자성 시트(110)의 상면 중에서 안테나 시트(130)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을 덮도록 배치된다. 단차 보상 시트(140)는 자성 시트(110)와 안테나 시트(130) 사이의 단차를 보상하여 콤보 안테나 모듈(100)을 평탄화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 모듈(200)은 자성 시트(210), 루프 코일(220) 및 안테나 시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성 시트(210)는 자성 재질의 판상 기재 또는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자성 시트(210)는 페라이트, 나노 결정립 합금, 철계 비정질 리본 등과 같이 자성을 갖는 시트 또는 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자성 시트(210)는 복수의 시트 또는 복수의 필름이 적층된 적층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자성 시트(210)는 동일 재질의 시트들 또는 필름들을 적층한 적층체로 구성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자성 시트(210)는 이종 재질의 시트들 또는 필름들을 적층한 적층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루프 코일(220)은 자성 시트(210)의 상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자성 시트(210)의 상면은 콤보 안테나 모듈(200)을 휴대 단말에 실장시, 휴대 단말의 후면 커버 방향으로 배치되는 자성 시트(210)의 일면을 의미한다. 이때, 루프 코일(220)은 무선 전력 전송 또는 무선 전력 수신을 위한 코일인 것을 일례로 한다.
루프 코일(220)은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며, 자성 시트(210)의 상면과 수직을 이루는 권취축을 복수회 권회하는 루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루프 코일(220)은 자성 시트(210)와 안테나 시트(230) 사이에 개재된다. 루프 코일(220)은 자성 시트(210)와 모두 중첩되고, 안테나 시트(230)와 일부 중첩된다.
루프 코일(220)은 구리 와이어를 권취축을 복수회 권회하도록 배치하여 원형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루프 코일(220)의 제1 단부(RCE1)는 원형 루프의 외주에 배치된다. 루프 코일(220)의 제1 단부(RCE1)는 제1 연결 패턴(236)을 통해 제3 상부 단자 패턴(239c) 및 제3 하부 단자 패턴(238c)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루프 코일(220)의 제2 단부(RCE2)는 원형 루프의 내주에 배치된다. 루프 코일(220)의 제2 단부(RCE2)는 제2 연결 패턴(237)을 통해 제4 상부 단자 패턴(239d) 및 제4 하부 단자 패턴(238d)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안테나 시트(230)는 자성 시트(210)의 상면에 배치된다. 안테나 시트(230)는 자성 시트(210)보다 좁은 면적으로 갖도록 형성되어, 자성 시트(210)의 상면 중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이때, 안테나 시트(230)는 안테나 패턴(234)이 루프 코일(220)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안테나 시트(230)는 베이스 시트(231), 단자 시트(232), 확장 시트(233), 안테나 패턴(234), 우회 패턴(235), 제1 연결 패턴(236), 제2 연결 패턴(237), 제1 하부 단자 패턴(238a), 제2 하부 단자 패턴(238b), 제3 하부 단자 패턴(238c), 제4 하부 단자 패턴(238d), 제1 상부 단자 패턴(239a), 제2 상부 단자 패턴(239b), 제3 상부 단자 패턴(239c) 및 제4 상부 단자 패턴(239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시트(231)는 필름, 시트, 박막 기판 등과 같은 박막의 연성 기재로 형성된다. 베이스 시트(231)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베이스 시트(231)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시트인 것을 일례로 한다. 여기서, 베이스 시트(231)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박막 기재이면서 안테나를 구성하는 안테나 패턴(234)을 형성할 수 있는 기재라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베이스 시트(231)는 자성 시트(210)보다 좁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자성 시트(210)의 상면에 배치된다. 베이스 시트(231)의 면적은 자성 시트(210)의 면적의 절반 이하로 형성되어 자성 시트(210)의 상면에 배치된다. 베이스 시트(231)는 자성 시트(210)의 네 변 중 한 변에 치우쳐져 배치된다.
단자 시트(232)는 베이스 시트(231)는 한 변에서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단자 시트(232)는 단자 패턴들이 형성되는 시트로 베이스 시트(231)의 네 변 중에서 후술할 루프 코일(220) 및 안테나 패턴(234)의 양단과 인접한 한 변에서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단자 시트(232)는 베이스 시트(23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형성된 후 베이스 시트(231)에 결합될 수 있다.
확장 시트(233)는 베이스 시트(231)에서 루프 코일(220)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확장 시트(233)는 베이스 시트(231)의 한 변에서 루프 코일(220)이 배치된 방향(즉, 자성 시트(210)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확장 시트(233)는 베이스 시트(23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형성된 후 베이스 시트(231)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확장 시트(233)는 루프 코일(220)과 중첩 영역을 형성한다. 확장 시트(233)는 루프 코일(220)의 제1 단부(RCE1) 및 제2 단부(RCE2)를 포함하는 영역과 중첩 영역을 형성한다.
안테나 패턴(234)은 베이스 시트(231)의 상면에 형성된다. 안테나 패턴(234)은 베이스 시트(231)와 직교하는 가상의 권취축을 복수회 권회하는 루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안테나 패턴(234)은 베이스 시트(231)의 네 변을 따라 권회하는 사각형 루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안테나 패턴(234)의 제1 단부는 안테나 패턴(234)이 형성하는 루프의 외주에 배치된다. 안테나 패턴(234)의 제1 단부는 비아 홀을 통해 제1 상부 단자 패턴(239a) 및 제1 하부 단자 패턴(238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안테나 패턴(234)의 제2 단부는 안테나 패턴(234)이 형성하는 루프의 내주에 배치된다. 안테나 패턴(234)의 제2 단부는 비아 홀을 통해 제2 상부 단자 패턴(239b) 및 제2 하부 단자 패턴(238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안테나 패턴(234)은 확장 시트(233)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된 일부가 제거되어 제1 연결 패턴(236) 및 제2 연결 패턴(237)이 지나가는 관통 영역(TA)을 형성한다. 즉, 제1 연결 패턴(236) 및 제2 연결 패턴(237)은 베이스 시트(231)에서 확장 시트(233)까지 배치되기 때문에 안테나 패턴(234)과 접촉된다. 안테나 패턴(234)은 연결 패턴과 접촉되는 경우 안테나 특성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 패턴(236) 및 제2 연결 패턴(237)이 지나가는 영역에 배치된 안테나 패턴(234)을 제거하여 관통 영역(TA)을 형성한다.
우회 패턴(235)은 베이스 시트(231)의 하면에 형성된다. 우회 패턴(235)은 관통 영역(TA)에서 제거된 안테나 패턴(23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우회 패턴(235)의 일단은 관통 영역(TA)의 좌측에 배치된 안테나 패턴(234)의 제1 절단부(CP1)와 비아홀을 통해 연결되고, 우회 패턴(235)의 타단은 관통 영역(TA)의 우측에 배치된 안테나 패턴(234)의 제2 절단부(CP2)와 비아홀을 통해 연결된다. 이를 통해, 우회 패턴(235)은 안테나 패턴(234)과 함께 사각형 루프를 형성한다.
제1 연결 패턴(236)은 베이스 시트(231)의 상면 및 확장 시트(233)의 상면을 걸쳐 배치된다. 제1 연결 패턴(236)은 베이스 시트(231)의 상면 중에서 안테나 패턴(234)과 우회 패턴(235)이 형성한 사각형 루프의 내주 영역, 관통 영역(TA) 및 확장 시트(233)에 배치된다.
제1 연결 패턴(236)의 제1 단부(CP1E1)는 확장 시트(233)에 배치되어 루프 코일(220)의 제1 단부(RCE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연결 패턴(236)의 제1 단부(CP1E1)는 확장 시트(233)의 상면 중에서 루프 코일(220)의 제1 단부(RCE1)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제1 연결 패턴(236)의 제1 단부(CP1E1)는 솔더링을 통해 루프 코일(220)의 제1 단부(RCE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례로, 확장 시트(233)는 제1 연결 패턴(236)의 제1 단부(CP1E1)가 배치되는 영역 중 일부가 제거된다. 제1 연결 패턴(236)의 제1 단부(CP1E1)는 확장 시트(233)가 제거된 영역을 통해 확장 시트(233)의 하부로 노출된다. 확장 시트(233)의 하부로 노출된 제1 연결 패턴(236)의 제1 단부(CP1E1)와 루프 코일(220)의 제1 단부(RCE1)를 솔더링함에 따라 제1 연결 패턴(236)이 루프 코일(220)의 제1 단부(RCE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연결 패턴(236)의 제2 단부(CP1E2)는 안테나 패턴(234)과 우회 패턴(235)이 형성한 사각형 루프의 내주에 배치된다. 제1 연결 패턴(236)의 제2 단부(CP1E2)는 제3 하부 단자 패턴(238c)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연결 패턴(236)의 제2 단부(CP1E2)는 비아홀을 통해 제3 하부 단자 패턴(238c)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례로, 제1 연결 패턴(236)의 제2 단부(CP1E2)는 베이스 시트(231)의 하면에 형성된 제3 하부 단자 패턴(238c)과 중첩 영역을 형성한다. 제1 연결 패턴(236)의 제2 단부(CP1E2)는 중첩 영역에 형성된 비아홀을 통해 제3 하부 단자 패턴(238c)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연결 패턴(237)은 베이스 시트(231)의 상면 및 확장 시트(233)의 상면을 걸쳐 배치된다. 제2 연결 패턴(237)은 베이스 시트(231)의 상면 중에서 안테나 패턴(234)과 우회 패턴(235)이 형성한 사각형 루프의 내주 영역, 관통 영역(TA) 및 확장 시트(233)에 배치된다.
제2 연결 패턴(237)의 제1 단부(CP2E1)는 확장 시트(233)에 배치되어 루프 코일(220)의 제2 단부(RCE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연결 패턴(237)의 제1 단부(CP2E1)는 확장 시트(233)의 상면 중에서 루프 코일(220)의 제2 단부(RCE2)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제2 연결 패턴(237)의 제1 단부(CP2E1)는 솔더링을 통해 루프 코일(220)의 제2 단부(RCE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례로, 확장 시트(233)는 제2 연결 패턴(237)의 제1 단부(CP2E1)가 배치되는 영역 중 일부가 제거된다. 제2 연결 패턴(237)의 제1 단부(CP2E1)는 확장 시트(233)가 제거된 영역을 통해 확장 시트(233)의 하부로 노출된다. 확장 시트(233)의 하부로 노출된 제2 연결 패턴(237)의 제1 단부(CP2E1)와 루프 코일(220)의 제2 단부(RCE2)를 솔더링함에 따라 제2 연결 패턴(237)이 루프 코일(220)의 제2 단부(RCE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연결 패턴(237)의 제2 단부(CP2E2)는 안테나 패턴(234)과 우회 패턴(235)이 형성한 사각형 루프의 내주에 배치된다. 제2 연결 패턴(237)의 제2 단부(CP2E2)는 제4 하부 단자 패턴(238d)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연결 패턴(237)의 제2 단부(CP2E2)는 비아홀을 통해 제4 하부 단자 패턴(238d)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례로, 제2 연결 패턴(237)의 제2 단부(CP2E2)는 베이스 시트(231)의 하면에 형성된 제4 하부 단자 패턴(238d)과 중첩 영역을 형성한다. 제2 연결 패턴(237)의 제2 단부(CP2E2)는 중첩 영역에 형성된 비아홀을 통해 제4 하부 단자 패턴(238d)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하부 단자 패턴(238a) 내지 제4 하부 단자 패턴(238d)은 단자 시트(232)의 하면 및 베이스 시트(231)의 하면에 걸쳐 형성된다. 이때, 제1 하부 단자 패턴(238a) 내지 제4 하부 단자 패턴(238d)은 상호 간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1 하부 단자 패턴(238a)의 제1 단부는 단자 시트(232)에 배치된다. 제1 하부 단자 패턴(238a)은 제1 단부에서 베이스 시트(23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1 하부 단자 패턴(238a)의 제2 단부는 베이스 시트(231)의 하면에 배치된다.
이때, 제1 하부 단자 패턴(238a)의 제2 단부는 베이스 시트(231)의 하면 중에서 안테나 패턴(234)의 제1 단부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제1 하부 단자 패턴(238a)의 제2 단부는 비아 홀을 통해 안테나 패턴(234)의 제1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하부 단자 패턴(238b)의 제1 단부는 단자 시트(232)에 배치된다. 제2 하부 단자 패턴(238b)은 제1 단부에서 베이스 시트(23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2 하부 단자 패턴(238b)의 제2 단부는 베이스 시트(231)의 하면에 배치된다.
이때, 제2 하부 단자 패턴(238b)의 제2 단부는 베이스 시트(231)의 하면 중에서 안테나 패턴(234)의 제2 단부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제2 하부 단자 패턴(238b)의 제2 단부는 비아 홀을 통해 안테나 패턴(234)의 제2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 하부 단자 패턴(238c)의 제1 단부는 단자 시트(232)에 배치된다. 제3 하부 단자 패턴(238c)은 제1 단부에서 베이스 시트(23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3 하부 단자 패턴(238c)의 제2 단부는 베이스 시트(231)의 하면에 배치된다.
이때, 제3 하부 단자 패턴(238c)의 제2 단부는 베이스 시트(231)의 하면 중에서 제1 연결 패턴(236)의 제2 단부(CP1E2)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제3 하부 단자 패턴(238c)의 제2 단부는 솔더링을 통해 제1 연결 패턴(236)의 제2 단부(CP1E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4 하부 단자 패턴(238d)의 제1 단부는 단자 시트(232)에 배치된다. 제4 하부 단자 패턴(238d)은 제1 단부에서 베이스 시트(23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4 하부 단자 패턴(238d)의 제2 단부는 베이스 시트(231)의 하면에 배치된다.
이때, 제4 하부 단자 패턴(238d)의 제2 단부는 베이스 시트(231)의 하면 중에서 제2 연결 패턴(237)의 제2 단부(CP2E2)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제4 하부 단자 패턴(238d)의 제2 단부는 솔더링을 통해 제2 연결 패턴(237)의 제2 단부(CP2E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상부 단자 패턴(239a) 내지 제4 상부 단자 패턴(239d)은 단자 시트(232)의 상면에 형성된다. 이때, 제1 상부 단자 패턴(239a) 내지 제4 상부 단자 패턴(239d)은 상호 간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1 상부 단자 패턴(239a)은 단자 시트(232)의 상면에 형성된다. 제1 상부 단자 패턴(239a)은 단자 시트(232)의 하면에 형성되고, 제1 하부 단자 패턴(238a)의 일부와 중첩된다. 제1 상부 단자 패턴(239a)은 비아홀을 통해 제1 하부 단자 패턴(238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상부 단자 패턴(239b)은 단자 시트(232)의 상면에 형성된다. 제2 상부 단자 패턴(239b)은 단자 시트(232)의 하면에 형성되고, 제2 하부 단자 패턴(238b)의 일부와 중첩된다. 제2 상부 단자 패턴(239b)은 비아홀을 통해 제2 하부 단자 패턴(238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 상부 단자 패턴(239c)은 단자 시트(232)의 상면에 형성된다. 제3 상부 단자 패턴(239c)은 단자 시트(232)의 하면에 형성되고, 제3 하부 단자 패턴(238c)의 일부와 중첩된다. 제3 상부 단자 패턴(239c)은 비아홀을 통해 제3 하부 단자 패턴(238c)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4 상부 단자 패턴(239d)은 단자 시트(232)의 상면에 형성된다. 제4 상부 단자 패턴(239d)은 단자 시트(232)의 하면에 형성되고, 제4 하부 단자 패턴(238d)의 일부와 중첩된다. 제4 상부 단자 패턴(239d)은 비아홀을 통해 제4 하부 단자 패턴(238d)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도 16을 참조하면, 자성 시트(210)는 루프 코일(220)과 안테나 시트(230)의 중첩으로 인한 두께 중가를 최소화하기 위한 단차 보상용 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단차 보상용 홈(212)은 자성 시트(210)에서 루프 코일(220)과 안테나 시트(230)가 중첩되는 영역에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자성 시트(210)는 하나의 시트(214; 또는 필름)으로 구성된다. 단차 보상용 홈(212)은 루프 코일(220) 및 안테나 시트(230)의 중첩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을 식각하여 형성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자성 시트(210)는 복수의 시트(214; 또는 필름)를 적층하여 구성된다. 단차 보상용 홈(212)은 단차 보상용 홀(216)이 형성된 제1 시트(214a) 및 제2 시트(214b)와 홀이 형성되지 않은 제3 시트(214c)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형성된다. 이때, 제1 시트(214a) 및 제2 시트(214b)에는 루프 코일(220)과 안테나 시트(230)의 중첩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을 커팅하여 소정 형상의 단차 보상용 홀(216)이 형성된다. 자성 시트(210)는 단차 보상용 홀(216)이 형성된 시트(214)만을 적층하는 경우 차폐 성능이 저하되므로 홀이 형성되지 않은 시트(214)를 하나 이상 적층하여 형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200: 콤보 안테나 모듈 110, 210: 자성 시트
120, 220: 루프 코일 130, 230: 안테나 시트
131, 231: 베이스 시트 132, 232: 단자 시트
133, 234: 안테나 패턴 134, 236: 제1 연결 패턴
135, 237: 제2 연결 패턴 136a, 238a: 제1 하부 단자 패턴
136b, 238b: 제2 하부 단자 패턴 136c, 238c: 제3 하부 단자 패턴
136d, 238d: 제4 하부 단자 패턴 137a, 239a: 제1 상부 단자 패턴
137b, 239b: 제2 상부 단자 패턴 137c, 239c: 제3 상부 단자 패턴
137d, 239d: 제4 상부 단자 패턴 140: 단차 보상 시트
233: 확장 시트 235: 우회 패턴

Claims (20)

  1. 자성 시트;
    상기 자성 시트의 상면에 배치된 루프 코일; 및
    상기 자성 시트보다 좁은 면적을 갖고, 상기 자성 시트의 상면에 배치된 안테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시트는 상기 루프 코일의 일부와 중첩되고,
    상기 안테나 시트는,
    상기 자성 시트보다 좁은 면적을 갖고, 상기 루프 코일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가 배치된 영역과 중첩된 연성의 베이스 시트;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루프 코일의 일부와 중첩된 안테나 패턴;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루프 코일의 제1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연결 패턴; 및
    상기 제1 연결 패턴과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루프 코일의 제2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연결 패턴을 포함하는 콤보 안테나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코일은 상기 자성 시트와 수직인 가상의 권취축을 복수회 권회하는 루프 형상으로 형성된 금속 와이어인 콤보 안테나 모듈.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패턴 및 상기 제2 연결 패턴은 상기 안테나 패턴이 형성한 루프의 내주에 배치된 콤보 안테나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코일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상기 베이스 시트의 하면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이 형성한 루프의 내주 영역과 중첩된 콤보 안테나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패턴의 제1 단부는,
    상기 베이스 시트의 일부가 제거된 영역을 통해 상기 베이스 시트의 하부로 노출되고, 상기 베이스 시트의 하부로 노출된 영역에서 상기 루프 코일의 제1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콤보 안테나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패턴의 제1 단부는,
    상기 베이스 시트의 일부가 제거된 영역을 통해 상기 베이스 시트의 하부로 노출되고, 상기 베이스 시트의 하부로 노출된 영역에서 상기 루프 코일의 제2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콤보 안테나 모듈.
  10. 자성 시트;
    상기 자성 시트의 상면에 배치된 루프 코일; 및
    상기 자성 시트보다 좁은 면적을 갖고, 상기 자성 시트의 상면에 배치된 안테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시트는 상기 루프 코일의 일부와 중첩되고,
    상기 안테나 시트는,
    상기 자성 시트보다 좁은 면적을 갖고, 상기 루프 코일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가 배치된 영역과 중첩된 연성의 베이스 시트; 및
    상기 베이스 시트의 한 변에서 연장되고, 복수의 단자 패턴이 형성된 단자 시트를 더 포함하는 콤보 안테나 모듈.
  11. 자성 시트;
    상기 자성 시트의 상면에 배치된 루프 코일; 및
    상기 자성 시트보다 좁은 면적을 갖고, 상기 자성 시트의 상면에 배치된 안테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시트는 상기 루프 코일의 일부와 중첩되고,
    상기 자성 시트는 상기 루프 코일 및 상기 안테나 시트와 중첩되는 영역에 단차 보상 홈이 형성된 콤보 안테나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시트는 상기 루프 코일 및 상기 안테나 시트와 중첩되는 영역에 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시트를 적층한 적층체인 콤보 안테나 모듈.
  13. 삭제
  14. 자성 시트;
    상기 자성 시트의 상면에 배치된 루프 코일;
    상기 자성 시트보다 좁은 면적을 갖고, 상기 자성 시트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루프 코일의 일부와 중첩된 안테나 시트; 및
    상기 자성 시트보다 좁은 면적을 갖고, 상기 자성 시트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자성 시트 중에서 상기 안테나 시트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덮도록 배치된 단차 보상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시트는,
    상기 자성 시트보다 좁은 면적을 갖는 연성의 베이스 시트; 및
    상기 베이스 시트의 한 변에서 상기 루프 코일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확장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 시트는 상기 루프 코일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가 배치된 영역과 중첩된 콤보 안테나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시트는,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면 및 상기 확장 시트의 상면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루프 코일의 제1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연결 패턴; 및
    상기 제1 연결 패턴과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부 및 상기 확장 시트의 상면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루프 코일의 제2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연결 패턴을 더 포함하는 콤보 안테나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패턴의 제1 단부는,
    상기 확장 시트의 일부가 제거된 영역을 통해 상기 확장 시트의 하부로 노출되어 상기 루프 코일의 제1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콤보 안테나 모듈.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패턴의 제1 단부는,
    상기 확장 시트의 일부가 제거된 영역을 통해 상기 확장 시트의 하부로 노출되어 상기 루프 코일의 제2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콤보 안테나 모듈.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시트는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면에 형성된 안테나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제1 연결 패턴 및 상기 제2 연결 패턴과 교차하는 관통 영역에 배치된 패턴이 제거된 콤보 안테나 모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시트는 상기 베이스 시트의 하면에 형성된 우회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우회 패턴은 상기 관통 영역에서 제거된 상기 안테나 패턴과 연결된 콤보 안테나 모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 패턴의 일단은 상기 관통 영역의 좌측에 배치된 상기 안테나 패턴의 제1 절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우회 패턴의 타단은 상기 관통 영역의 우측에 배치된 상기 안테나 패턴의 제2 절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콤보 안테나 모듈.
KR1020190081390A 2018-07-06 2019-07-05 콤보 안테나 모듈 KR102137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78824 2018-07-06
KR1020180078824 2018-07-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490A KR20200005490A (ko) 2020-01-15
KR102137633B1 true KR102137633B1 (ko) 2020-07-24

Family

ID=69059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390A KR102137633B1 (ko) 2018-07-06 2019-07-05 콤보 안테나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05889B2 (ko)
KR (1) KR102137633B1 (ko)
CN (1) CN112368888B (ko)
WO (1) WO20200095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5875B1 (en) 2019-11-27 2022-11-08 AQ Corporation Smartphone antenna in flexible PCB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249B1 (ko) * 2020-02-03 2021-04-12 주식회사 아모텍 콤보 안테나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11822B1 (ko) 2020-02-13 2023-12-08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
KR102565875B1 (ko) 2020-03-25 2023-08-11 주식회사 아모텍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
KR20220036756A (ko) * 2020-09-16 2022-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코일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44195A (ko) * 2021-04-19 2022-10-26 주식회사 아모센스 자기장 차폐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2902A (ja) 2008-01-31 2009-08-13 Nec Corp Rfidアンテナ装置、rfidタグ及びrfidタグ機能付きの携帯電子端末
JP2011211611A (ja) 2010-03-30 2011-10-20 Murata Mfg Co Ltd アンテナモジュール、アンテナ装置及び移動体通信端末
WO2013035821A1 (ja) * 2011-09-09 2013-03-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および無線デバイス
JP5435130B2 (ja) 2010-06-18 2014-03-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通信端末機器及びアンテナ装置
JP5464307B2 (ja) 2012-02-24 2014-04-0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および無線通信装置
JP5790907B1 (ja) * 2014-03-17 2015-10-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無線通信端末
JP2016184966A (ja) 2013-08-02 2016-10-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847B1 (ko) 2004-11-23 2005-08-03 (주)제이티 루프 안테나를 형성한 탈착식 배터리 커버 및 이를 적용한비접촉식 무선 결제용 휴대폰
WO2008081699A1 (ja) * 2006-12-28 2008-07-10 Philtech Inc. 基体シート
WO2013065245A1 (ja) * 2011-11-02 2013-05-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接触無線通信用コイル、伝送コイル及び携帯無線端末
CN107275763B (zh) * 2012-03-23 2020-07-28 Lg 伊诺特有限公司 天线组件
CN103633421B (zh) * 2012-08-27 2016-07-06 Tdk株式会社 天线装置
JP5985366B2 (ja) 2012-11-15 2016-09-06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複合コイル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CN103915681B (zh) * 2013-01-02 2017-05-03 瑞声精密制造科技(常州)有限公司 天线
JP6223067B2 (ja) * 2013-08-28 2017-11-01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電子機器
WO2015147133A1 (ja) 2014-03-28 2015-10-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60129927A (ko) 2015-04-30 2016-11-10 주식회사 아이엠텍 무선통신 안테나
KR102394983B1 (ko) * 2016-02-05 2022-05-09 주식회사 위츠 코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101946970B1 (ko) 2016-08-16 2019-02-12 주식회사 아모텍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 모듈
WO2018034483A1 (ko) 2016-08-16 2018-02-22 주식회사 아모텍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 모듈
US10074891B2 (en) 2016-09-02 2018-09-11 AQ Corporation Smartphone antenna in flexible PCB
US10691995B2 (en) * 2016-09-23 2020-06-23 Amotech Co., Ltd. Antenna module
KR102524872B1 (ko) 2016-11-01 2023-04-24 주식회사 아모텍 안테나 모듈
KR102335846B1 (ko) * 2017-04-17 2021-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코일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2902A (ja) 2008-01-31 2009-08-13 Nec Corp Rfidアンテナ装置、rfidタグ及びrfidタグ機能付きの携帯電子端末
JP2011211611A (ja) 2010-03-30 2011-10-20 Murata Mfg Co Ltd アンテナモジュール、アンテナ装置及び移動体通信端末
JP5435130B2 (ja) 2010-06-18 2014-03-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通信端末機器及びアンテナ装置
WO2013035821A1 (ja) * 2011-09-09 2013-03-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および無線デバイス
JP5464307B2 (ja) 2012-02-24 2014-04-0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および無線通信装置
JP2016184966A (ja) 2013-08-02 2016-10-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
JP6101710B2 (ja) 2013-08-02 2017-03-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及び通信端末機器
JP5790907B1 (ja) * 2014-03-17 2015-10-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無線通信端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5875B1 (en) 2019-11-27 2022-11-08 AQ Corporation Smartphone antenna in flexible PCB
US11728564B2 (en) 2019-11-27 2023-08-15 AQ Corporation Smartphone antenna in flexible PC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05889B2 (en) 2023-03-14
CN112368888B (zh) 2023-07-11
KR20200005490A (ko) 2020-01-15
WO2020009539A1 (ko) 2020-01-09
US20210280976A1 (en) 2021-09-09
CN112368888A (zh) 2021-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633B1 (ko) 콤보 안테나 모듈
KR102030704B1 (ko) 콤보형 안테나 모듈
CN102474000B (zh) 天线及便携终端
CN102916248B (zh) 天线装置及其谐振频率设定方法
KR101878162B1 (ko) 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CN104871366A (zh) 用于便携式终端的天线模块及含该天线模块的便携式终端
US11329370B2 (en) Combo antenna module
JP2008042761A (ja) アンテナ装置
KR102200083B1 (ko) 콤보 안테나 모듈
KR102524872B1 (ko) 안테나 모듈
KR101875445B1 (ko) 안테나 모듈
CN220291080U (zh) 天线收发模块
US11114764B2 (en) Antenna module
JP6612657B2 (ja) 非接触充電用コイルアッシー
KR101875444B1 (ko) 안테나 모듈
KR101875443B1 (ko) 안테나 모듈
CN213520327U (zh) 集成nfc天线的无线充电接收模组及移动终端
KR102347794B1 (ko) 콤보 안테나 모듈
KR102668963B1 (ko)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
KR102565875B1 (ko)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
KR101909349B1 (ko) 무선충전기용 tx 코일 구조체
US20230076064A1 (en) Antenna module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WO2010079666A1 (ja) アンテナ構造体、通信用機器、及び、アンテナ構造体の製造方法
JP6239176B1 (ja) アンテナ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