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822B1 -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822B1
KR102611822B1 KR1020200017721A KR20200017721A KR102611822B1 KR 102611822 B1 KR102611822 B1 KR 102611822B1 KR 1020200017721 A KR1020200017721 A KR 1020200017721A KR 20200017721 A KR20200017721 A KR 20200017721A KR 102611822 B1 KR102611822 B1 KR 102611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ireless power
pattern
base substrate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3230A (ko
Inventor
장길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to KR1020200017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822B1/ko
Priority to CN202180014634.0A priority patent/CN115088134B/zh
Priority to US17/799,669 priority patent/US20230076064A1/en
Priority to PCT/KR2021/000721 priority patent/WO2021162261A1/ko
Publication of KR20210103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230A/ko
Priority to KR1020230151367A priority patent/KR20230156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8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6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with core of ferro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 H01F2005/027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wound on formers for receiving several coils with perpendicular winding axes, e.g. for antennae or inductive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2017/0073Printed inductances with a special conductive pattern, e.g. flat spi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두 개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루프 형상의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을 형성하여 충전 효율 저하를 방지하도록 한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을 제시한다. 제시된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은 제1 권취 축을 권회하여 제1 루프를 형성하고, 제1 코일 직경을 갖는 제1 코일, 제1 코일의 외주를 권하여 제2 루프를 형성하고, 제1 코일 직경보다 두꺼운 제2 코일 직경을 갖는 제2 코일,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된 베이스 기재 및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고, 제1 코일 및 제2 코일과 연결된 코일 연결 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ANTENNA MODULEFOR TRANSMITTING AND RECEVING WIRELESS POWER}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전력 송신과 무선 전력 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이다.
기술 발전과 함께 근거리 통신 기능 및 무선 전력 수신(또는 무선 충전) 기능이 휴대 단말에 적용되고 있다. 즉, 휴대 단말은 근거리 통신(예를 들면, NFC) 기능을 이용해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무선 전력 수신(또는 무선 충전) 기능을 이용해 내장형 배터리를 충전한다.
최근에는, 휴대 단말을 이용해 웨어러블 기기를 충전하는 기술의 적용이 연구되고 있으며, 웨어러블 기기, 다른 휴대 단말을 충전할 수 있는 휴대 단말이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다.
이에, 휴대 단말은 무선 전력 수신과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제공하면서 웨어러블 기기의 충전시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안테나 구조가 연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05490호(명칭: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두 개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루프 형상의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을 형성하여 충전 효율 저하를 방지하도록 한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루프 코일의 내부에 루프 코일보다 좁은 직경(선폭)을 갖는 루프 코일을 배치하여 루프 코일의 내부 인덕턴스를 향상시키면서 웨어러블 기기의 충전시 효율 저하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은 제1 권취 축을 권회하여 제1 루프를 형성하고, 제1 코일 직경을 갖는 제1 코일, 제1 코일의 외주를 권회하여 제2 루프를 형성하고, 제1 코일 직경보다 두꺼운 제2 코일 직경을 갖는 제2 코일,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된 베이스 기재 및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고,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연결시키는 코일 연결 패턴을 포함한다.
이때, 제2 코일의 제1 단부 및 제1 코일의 제2 단부는 이격되고,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코일 연결 패턴은 베이스 기재의 상면 및 하면 중에서 제1 코일 및 제2 코일과 마주하는 일면에 배치되고, 제1 코일의 제2 단부 및 제2 코일의 제1 단부와 솔더링될 수 있다. 제1 루프는 제2 루프의 내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은 베이스 기재에 형성되고, 제1 단부가 제1 루프의 내주 영역에 배치된 제1 코일의 제1 단부와 연결된 제1 단자 연결 패턴, 베이스 기재에 형성되고, 제1 단부가 제2 루프의 외주 영역에 배치된 제2 코일의 제2 단부와 연결된 제2 단자 연결 패턴, 베이스 기재에 형성되고, 제1 단자 연결 패턴의 제2 단부와 연결된 제1 단자 패턴 및 베이스 기재에 형성되고, 제2 단자 연결 패턴의 제2 단부와 연결된 제2 단자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은 베이스 기재에 형성되고, 제1 코일 및 제2 코일과 이격되어 배치된 방사 패턴을 더 포함하고, 방사 패턴은 제1 권취 축과 이격된 제2 권취 축을 권회하는 루프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은 베이스 기재에 형성되고, 제1 단부가 방사 패턴의 제1 단부와 연결된 제3 단자 연결 패턴, 베이스 기재에 형성되고, 제1 단부가 방사 패턴의 제2 단부와 연결된 제4 단자 연결 패턴, 베이스 기재에 형성되고, 제3 단자 연결 패턴의 제2 단부와 연결된 제3 단자 패턴 및 베이스 기재에 형성되고, 제4 단자 연결 패턴의 제2 단부와 연결된 제4 단자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은 제2 코일보다 얇은 제1 코일 직경을 갖는 와이어이고, 제2 코일은 제1 코일보다 두꺼운 제2 코일 직경을 갖는 와이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은 제1 코일 직경을 갖는 제1 루프 코일의 외주를 따라 제1 코일 직경보다 두꺼운 제2 코일 직경을 갖는 제2 루프 코일을 배치하고, 베이스 기재에 형성된 코일 연결 패턴을 통해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을 연결하여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을 형성함으로써, 웨어러블 기기의 충전을 위한 무선 전력 전송시 충전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두 개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루프 형상의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을 형성하되, 루프 코일의 내주 일부의 코일 직경을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함으로써, 루프 코일의 내부 인덕턴스를 향상시키면서 웨어러블 기기의 충전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베이스 기재, 근거리 통신용 방사 패턴, 단자 패턴 및 단자 연결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4의 베이스 기재, 코일 연결 패턴, 근거리 통신용 방사 패턴, 단자 패턴 및 단자 연결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100)은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110), 베이스 기재(120), 근거리 통신용 방사 패턴(130), 단자 패턴(140) 및 단자 연결 패턴(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110)은 루프 형상의 와이어로 구성된 평판형 코일이다.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110)은 소정의 직경(선폭)을 갖는 와이어를 제1 권취 축을 복수회 권회하는 루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권취 축은 베이스 기재(12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가상의 축일 수 있다.
베이스 기재(120)는 필름, 시트, 박막 기판 등과 같은 박막 기재로 구성된다. 베이스 기재(120)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베이스 기재(120)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시트인 것을 일례로 한다. 여기서, 베이스 기재(12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박막 기재이면서 안테나를 구성하는 근거리 통신용 방사 패턴(130)을 형성할 수 있는 기재라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베이스 기재(120)는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때, 베이스 기재(120)는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110)의 상부에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110)과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그에 따라,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110)의 일부는 베이스 기재(120)와 중첩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다.
근거리 통신용 방사 패턴(13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위한 패턴으로, 베이스 기재(120)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된다. 이때, 근거리 통신용 방사 패턴(130)은 베이스 기재(120)의 전체 영역 중에서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110)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다.
근거리 통신용 방사 패턴(130)은 제2 권취 축을 복수회 권회하는 루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제2 권취 축은 베이스 기재(120)를 수직으로 관통하며, 상술한 제1 권취 축과 이격된 가상의 축일 수 있다.
단자 패턴(140)은 전자 기기의 내부 회로와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100)을 연결하는 단자로 사용되는 패턴으로, 베이스 기재(120)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된다. 단자 패턴(140)은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110)을 전자 기기의 내부 회로와 연결하기 위한 제1 단자 패턴(141) 및 제2 단자 패턴(142), 근거리 통신용 방사 패턴(130)을 전자 기기의 내부 회로와 연결하기 위한 제3 단자 패턴(143) 및 제4 단자 패턴(1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자 연결 패턴(150)은 베이스 기재(120) 상에 형성된다. 단자 연결 패턴(150)은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110)과 단자 패턴(140)을 연결하기 위한 제1 단자 연결 패턴(151) 및 제2단자 연결 패턴(152), 근거리 통신용 방사 패턴(130)과 단자 패턴(140)을 연결하기 위한 제3자 연결 패턴(153) 및 제4 단자 연결 패턴(154)을 포함한다.
제1 단자 연결 패턴(151)은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110)의 제1 단부와 제1 단자 패턴(141)을 연결한다. 제1 단자 연결 패턴(151)의 제1 단부는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110) 패턴의 제1 단부와 연결되고, 제2단자 연결 패턴(152)의 제2 단부는 제1 단자 패턴(141)과 연결된다.
제2단자 연결 패턴(152)은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110)의 제2 단부와 제2 단자 패턴(142)을 연결한다. 제2단자 연결 패턴(152)의 제1 단부는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110) 패턴의 제2 단부와 연결되고, 제2단자 연결 패턴(152)의 제2 단부는 제2 단자 패턴(142)과 연결된다.
제3자 연결 패턴(153)은 근거리 통신용 방사 패턴(130)과 제3 단자 패턴(143)을 연결한다. 제3자 연결 패턴(153)의 제1 단부는 근거리 통신용 방사 패턴(130)의 제1 단부와 연결되고, 제3자 연결 패턴(153)의 제2 단부는 제3 단자 패턴(143)과 연결된다.
제4 단자 연결 패턴(154)은 근거리 통신용 방사 패턴(130)과 제4 단자 패턴(144)을 연결한다. 제4 단자 연결 패턴(154)의 제1 단부는 근거리 통신용 방사 패턴(130)의 제2 단부와 연결되고, 제4 단자 연결 패턴(154)의 제2 단부는 제4 단자 패턴(144)과 연결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단자 연결 패턴(150)이 제1 내지 제4 단자 패턴(144)으로 구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근거리 통신용 방사 패턴(130)의 형상 또는 배치 위치 등에 따라 5개 이상의 단자 패턴(14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100)은 웨어러블 기기의 충전을 위해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110)을 송신(Tx) 모드로 동작시키는 경우 웨어러블 기기의 충전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100)은 서로 다른 직경(선폭)을 갖는 두개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루프 형상의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110)을 구성함으로써 충전 효율 저하 문제를 해결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200)은 제1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10), 제2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20), 베이스 기재(230), 코일 연결 패턴(240), 근거리 통신용 방사 패턴(250), 단자 패턴(260) 및 단자 연결 패턴(2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10)은 제1 코일 직경(W1)을 갖는 와이어로 구성된 평판형 코일이다. 제1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10)은 제1 권취 축을 복수회 권회하여 제1 루프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1 권취 축은 베이스 기재(23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가상의 축일 수 있다. 일례로, 제1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10)은 제1 권취 축을 대략 6회 정도 권회하는 제1 루프를 형성한다.
제1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10)의 제1 단부는 제1 루프의 내주 영역에 배치되며, 후술할 단자 연결 패턴(270)을 통해 단자 패턴(260)과 연결된다. 제1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10) 패턴의 제2 단부는 제1 루프의 외주 영역에 배치되며, 제2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20)의 제1 단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2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20)은 제2 코일 직경(W2)을 갖는 와이어로 구성된 평판형 코일이다. 제2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20)은 제1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10)이 형성한 제1 루프의 외주를 따라 복수회 권회하여 제2 루프를 형성한다.
이때, 제2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20)을 구성하는 와이어는 제1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10)을 구성하은 와이어보다 두꺼운 직경을 가지며, 제2 코일 직경(W2)은 제1 코일 직경(W1)보다 두꺼운 직경이다.
제2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20)의 제1 단부는 제2 루프의 내주 영역에 배치되며, 제1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10)의 제2 단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2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20)의 제2 단부는 제2 루프의 외주 영역에 배치되며, 후술할 단자 연결 패턴(270)을 통해 단자 패턴(260)과 연결된다.
베이스 기재(230)는 필름, 시트, 박막 기판 등과 같은 박막 기재로 구성된다. 베이스 기재(230)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베이스 기재(230)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시트인 것을 일례로 한다. 여기서, 베이스 기재(23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박막 기재이면서 안테나를 구성하는 근거리 통신용 방사 패턴(250)을 형성할 수 있는 기재라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베이스 기재(230)는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때, 베이스 기재(230)는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의 상부에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과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그에 따라,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의 일부는 베이스 기재(230)와 중첩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다.
코일 연결 패턴(240)은 베이스 기재(230)의 일면에 형성된다. 코일 연결 패턴(240)은 베이스 기재(230)의 상면 및 하면 중에서 제1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10) 및 제2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20)과 접하는 일면에 형성된다.
코일 연결 패턴(240)은 베이스 기재(230)의 표면에 인쇄 공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코일 연결 패턴(240)은 다른 패턴(단자 패턴(260), 단자 연결 패턴(270))들과 함께 형성되고, 코일 연결 패턴(240)과 대응되는 영역이 제거된 커버레이 필름을 접착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 연결 패턴(240)은 제1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10)의 제2 단부 및 제2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20)의 제1 단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즉, 코일 연결 패턴(240)은 솔더링을 통해 제1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10)의 제2 단부 및 제2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20)의 제1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근거리 통신용 방사 패턴(25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위한 패턴으로, 베이스 기재(230)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된다. 이때, 근거리 통신용 방사 패턴(250)은 베이스 기재(230)의 전체 영역 중에서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다.
근거리 통신용 방사 패턴(250)은 제2 권취 축을 복수회 권회하는 루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제2 권취 축은 베이스 기재(230)를 수직으로 관통하며, 상술한 제1 권취 축과 이격된 가상의 축일 수 있다.
단자 패턴(260)은 전자 기기의 내부 회로와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200)을 연결하는 단자로 사용되는 패턴으로, 베이스 기재(230)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된다. 단자 패턴(260)은 제1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10)을 전자 기기의 내부 회로와 연결하기 위한 제1 단자 패턴(261), 제1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10)을 전자 기기의 내부 회로와 연결하기 위한 제2 단자 패턴(262), 근거리 통신용 방사 패턴(250)을 전자 기기의 내부 회로와 연결하기 위한 제3 단자 패턴(263) 및 제4 단자 패턴(2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자 연결 패턴(270)은 베이스 기재(230) 상에 형성된다. 단자 연결 패턴(270)은 제1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10)과 단자 패턴(260)을 연결하기 위한 제1 단자 연결 패턴(271), 제2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20)과 단자 패턴(260)을 연결하기 위한 제2 단자 연결 패턴(272), 근거리 통신용 방사 패턴(250)과 단자 패턴(260)을 연결하기 위한 제3 단자 연결 패턴(273) 및 제4 단자 연결 패턴(274)을 포함한다.
제1 단자 연결 패턴(271)은 제1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10)의 제1 단부와 제1 단자 패턴(261)을 연결한다. 제1 단자 연결 패턴(271)의 제1 단부는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 패턴의 제1 단부와 연결되고, 제1 단자 연결 패턴(271)의 제2 단부는 제1 단자 패턴(261)과 연결된다.
제2 단자 연결 패턴(272)은 제2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20)의 제2 단부와 제2 단자 패턴(262)을 연결한다. 제2 단자 연결 패턴(272)의 제1 단부는 제2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220) 패턴의 제2 단부와 연결되고, 제2 단자 연결 패턴(272)의 제2 단부는 제2 단자 패턴(262)과 연결된다.
제3 단자 연결 패턴(273)은 근거리 통신용 방사 패턴(250)과 제3 단자 패턴(263)을 연결한다. 제3 단자 연결 패턴(273)의 제1 단부는 근거리 통신용 방사 패턴(250)의 제1 단부와 연결되고, 제3 단자 연결 패턴(273)의 제2 단부는 제3 단자 패턴(263)과 연결된다.
제4 단자 연결 패턴(274)은 근거리 통신용 방사 패턴(250)과 제4 단자 패턴(264)을 연결한다. 제4 단자 연결 패턴(274)의 제1 단부는 근거리 통신용 방사 패턴(250)의 제2 단부와 연결되고, 제4 단자 연결 패턴(274)의 제2 단부는 제4 단자 패턴(264)과 연결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단자 연결 패턴이 제1 내지 제4 단자 패턴으로 구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근거리 통신용 방사 패턴의 형상 또는 배치 위치 등에 따라 5개 이상의 단자 패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200: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 110: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
120, 230: 베이스 기재 130, 250: 근거리 통신용 방사 패턴
140, 260: 단자 패턴 150, 270: 단자 연결 패턴
151: 제1 단자 연결 패턴 152: 제2 단자 연결 패턴
153: 제3 단자 연결 패턴 154: 제4 단자 연결 패턴
210: 제1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 220: 제2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
240: 코일 연결 패턴

Claims (13)

  1. 제1 권취 축을 권회하여 제1 루프를 형성하고, 제1 코일 직경을 갖는 제1 코일;
    상기 제1 코일의 외주를 권회하여 제2 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코일 직경보다 두꺼운 제2 코일 직경을 갖는 제2 코일;
    상기 제1 코일 및 제2 코일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된 베이스 기재;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코일의 제2 단부 및 상기 제2 코일의 제1 단부와 솔더링되어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이 루프 형상의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코일 연결 패턴;
    상기 베이스 기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과 이격되어 배치된 방사 패턴;
    상기 베이스 기재에 형성되고, 제1 단부가 상기 제1 루프의 내주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 코일의 제1 단부와 연결된 제1 단자 연결 패턴;
    상기 베이스 기재에 형성되고, 제1 단부가 상기 제2 루프의 외주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2 코일의 제2 단부와 연결된 제2 단자 연결 패턴;
    상기 베이스 기재에 형성되고, 제1 단부가 상기 방사 패턴의 제1 단부와 연결된 제3 단자 연결 패턴;
    상기 베이스 기재에 형성되고, 제1 단부가 상기 방사 패턴의 제2 단부와 연결된 제4 단자 연결 패턴;
    상기 베이스 기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자 연결 패턴의 제2 단부와 연결된 제1 단자 패턴;
    상기 베이스 기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자 연결 패턴의 제2 단부와 연결된 제2 단자 패턴;
    상기 베이스 기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3 단자 연결 패턴의 제2 단부와 연결된 제3 단자 패턴; 및
    상기 베이스 기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4 단자 연결 패턴의 제2 단부와 연결된 제4 단자 패턴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의 제1 단부 및 상기 제1 코일의 제2 단부는 이격되고,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연결 패턴은 상기 베이스 기재의 상면 및 하면 중에서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과 마주하는 일면에 배치된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루프는 상기 제2 루프의 내주 영역에 배치된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패턴은 상기 제1 권취 축과 이격된 제2 권취 축을 권회하는 루프 형상인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제2 코일보다 얇은 제1 코일 직경을 갖는 와이어인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제1 코일보다 두꺼운 제2 코일 직경을 갖는 와이어인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
KR1020200017721A 2020-02-13 2020-02-13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 KR102611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721A KR102611822B1 (ko) 2020-02-13 2020-02-13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
CN202180014634.0A CN115088134B (zh) 2020-02-13 2021-01-19 用于无线电能发送和接收的天线模块
US17/799,669 US20230076064A1 (en) 2020-02-13 2021-01-19 Antenna module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PCT/KR2021/000721 WO2021162261A1 (ko) 2020-02-13 2021-01-19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
KR1020230151367A KR20230156297A (ko) 2020-02-13 2023-11-06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721A KR102611822B1 (ko) 2020-02-13 2020-02-13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1367A Division KR20230156297A (ko) 2020-02-13 2023-11-06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230A KR20210103230A (ko) 2021-08-23
KR102611822B1 true KR102611822B1 (ko) 2023-12-08

Family

ID=772928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721A KR102611822B1 (ko) 2020-02-13 2020-02-13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
KR1020230151367A KR20230156297A (ko) 2020-02-13 2023-11-06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1367A KR20230156297A (ko) 2020-02-13 2023-11-06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76064A1 (ko)
KR (2) KR102611822B1 (ko)
CN (1) CN115088134B (ko)
WO (1) WO202116226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5366B2 (ja) * 2012-11-15 2016-09-06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複合コイル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KR101488607B1 (ko) * 2013-07-18 2015-02-02 주식회사 이그잭스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 구조물
KR101491472B1 (ko) * 2013-09-12 2015-02-11 희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달용 안테나 장치
CN104465067B (zh) * 2014-11-18 2017-05-31 东莞劲胜精密组件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线圈的制作方法及无线充电结构
US10636563B2 (en) * 2015-08-07 2020-04-28 Nucurrent, Inc. Method of fabricating a single structure multi mode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agnetic field coupling
US9960628B2 (en) * 2015-08-07 2018-05-01 Nucurrent, Inc. Single structure multi mode antenna having a single layer structure with coils on opposing side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agnetic field coupling
US10658847B2 (en) * 2015-08-07 2020-05-19 Nucurrent, Inc. Method of providing a single structure multi mode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agnetic field coupling
US9960629B2 (en) * 2015-08-07 2018-05-01 Nucurrent, Inc. Method of operating a single structure multi mode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agnetic field coupling
KR20180050279A (ko) * 2015-08-07 2018-05-14 누커런트, 인코포레이티드 자기장 결합을 이용한 무선 전원 전송을 위한 단일 계층 다중 모드 안테나
KR102649484B1 (ko) * 2017-01-18 2024-03-20 주식회사 위츠 이중 루프 안테나
CN206931708U (zh) * 2017-07-17 2018-01-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天线模组及移动终端
KR102099310B1 (ko) * 2018-03-23 2020-04-09 주식회사 아모텍 콤보 안테나 모듈
US11605889B2 (en) 2018-07-06 2023-03-14 Amotech Co., Ltd. Combo antenna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088134B (zh) 2024-04-02
KR20210103230A (ko) 2021-08-23
CN115088134A (zh) 2022-09-20
WO2021162261A1 (ko) 2021-08-19
US20230076064A1 (en) 2023-03-09
KR20230156297A (ko) 202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5164B2 (en) Ring-shaped antenna and earphone module having same
KR101878162B1 (ko) 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US11605889B2 (en) Combo antenna module
KR102194806B1 (ko) 무선 충전과 nfc 통신을 위한 무선 안테나 및 이를 적용한 무선 단말기
US20200335856A1 (en) Ring-shaped antenna and ear module comprising same
KR20190111533A (ko) 콤보 안테나 모듈
KR102524872B1 (ko) 안테나 모듈
KR20170129086A (ko) 무선 충전과 nfc 통신을 위한 무선 안테나 및 이를 적용한 무선 단말기
KR102200083B1 (ko) 콤보 안테나 모듈
US9673524B2 (en) Compact loop-type antenna device
US11114764B2 (en) Antenna module
KR102611822B1 (ko)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
KR102347794B1 (ko) 콤보 안테나 모듈
KR102668963B1 (ko)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
JP2018201165A (ja) アンテナ装置とその製造方法
KR101537743B1 (ko) 성능이 개선된 평면 스파이럴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US7692589B2 (en) Antenna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tenna device
KR101926576B1 (ko) 이중 링형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이어 모듈
WO2010079666A1 (ja) アンテナ構造体、通信用機器、及び、アンテナ構造体の製造方法
US8432324B2 (en) Antenna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same
KR102128882B1 (ko)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US11196170B2 (en) Antenna device
CN109361785B (zh) 噪声屏蔽结构及终端设备
KR20210119026A (ko) 평판형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모듈
KR20130079083A (ko) 무선성능을 개선하기위해 안테나를 내장시킨 무선통신단말기용 보호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