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794B1 - 콤보 안테나 모듈 - Google Patents

콤보 안테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794B1
KR102347794B1 KR1020200040113A KR20200040113A KR102347794B1 KR 102347794 B1 KR102347794 B1 KR 102347794B1 KR 1020200040113 A KR1020200040113 A KR 1020200040113A KR 20200040113 A KR20200040113 A KR 20200040113A KR 102347794 B1 KR102347794 B1 KR 102347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coil pattern
coil
base substrate
antenn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0717A (ko
Inventor
장길재
김철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3379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99310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to KR1020200040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794B1/ko
Publication of KR20200040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6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with core of ferro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코일 패턴에 수용 홈을 형성하고, 다른 면에 배치된 코일 패턴과 연결된 연결 패턴을 수용 홈에 배치하여 실장공간을 최소화하면서 기존의 안테나 모듈과 동등 이상의 안테나 성능을 제공하도록 한 콤보 안테나 모듈을 제시한다. 제시된 콤보 안테나 모듈은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을 포함하며,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은 일면에 배치된 코일 패턴의 선폭을 다르게 하여 수용 홈을 형성하고, 타면에 배치된 코일 패턴을 연결하는 연결 패턴을 수용 홈에 배치하여 실장공간을 최소화하면서 종래의 안테나 모듈과 동등 이상의 안테나 성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콤보 안테나 모듈{COMBO ANTENNA MODULE}
본 발명은 콤보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에 실장되어 무선 전력 전송 및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콤보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이다.
기술 발전과 함께 근거리 통신 기능 및 무선 전력 전송(또는 무선 충전) 기능이 휴대 단말에 적용되고 있다. 즉, 휴대 단말은 근거리 통신(예를 들면, NFC) 기능을 이용해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무선 전력 전송(또는 무선 충전) 기능을 이용해 내장형 배터리를 충전한다.
한편, 휴대 단말 시장에서는 휴대 단말의 소형화 및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어, 휴대 단말의 크기 및 두께가 줄어들어 내부 부품의 실장공간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시장의 요구에 따라 실장공간을 최소화하면서 기존의 안테나 모듈과 동등 이상의 안테나 성능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 모듈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05847호(명칭: 루프 안테나를 형성한 탈착식 배터리 커버 및 이를 적용한 비접촉식 무선 결제용 휴대폰)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코일 패턴에 수용 홈을 형성하고, 다른 면에 배치된 코일 패턴과 연결된 연결 패턴을 수용 홈에 배치하여 실장공간을 최소화하면서 기존의 안테나 모듈과 동등 이상의 안테나 성능을 제공하도록 한 콤보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 모듈은 수용 홀이 형성된 베이스 기재, 베이스 기재의 양면에 배치된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을 구비한 안테나 시트를 포함하고,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은 복수의 수용 홈이 형성되고,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배치된 제2 코일 패턴, 베이스 기재의 타면에 상호 간 이격 배치되고, 양단이 마주보며 이격되어 제2 관통 경로를 형성한 복수의 제3 코일 패턴 및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서 복수의 수용 홈에 각각 배치되어 적어도 일부가 제2 관통 경로와 중첩되고, 제2 코일 패턴과 이격된 복수의 제2 연결 패턴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3 코일 패턴은 복수의 제2 연결 패턴을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콤보 안테나 모듈은 코일 패턴의 수용 홈에 연결 패턴을 배치함으로써, 안테나 모듈의 실장공간을 최소화하면서, 종래의 안테나 모듈과 동등 이상의 안테나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콤보 안테나 모듈은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의 내주 영역에 단자를 형성하고,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에 의해 형성된 관통 경로를 통해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을 단자에 연결함으로써, 코일 패턴의 단절에 의해 발생하는 저항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콤보 안테나 모듈은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의 내주 영역에 단자를 형성하고,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에 의해 형성된 관통 경로를 통해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을 단자에 연결함으로써, 코일 패턴의 저항 변화를 최소화하여 안테나 성능의 효율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콤보 안테나 모듈은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의 내주 영역에 단자를 형성하고,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에 의해 형성된 관통 경로를 통해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을 단자에 연결함으로써, 안테나 성능의 효율 변화를 최소화하여 안테나 모듈의 실장공간을 최소화하면서, 종래의 안테나 모듈과 동등 이상의 안테나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콤보 안테나 모듈은 코일 패턴 간의 간격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실장공간을 최소화하면서 코일 패턴 간의 쇼트 발생을 방지하여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콤보 안테나 모듈은 복수의 비아 홀을 통해 베이스 기재의 일면 및 타면에 형성된 패턴을 연결함으로써, 패턴 간의 연결 안정성을 확보하고 안테나 모듈의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 모듈의 적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3의 안테나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5의 베이스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을 설명하기 위해 도 5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
도 9는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을 설명하기 위해 도 5의 B 영역을 확대한 도면.
도 10은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을 설명하기 위해 도 6의 C 영역을 확대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 모듈은 휴대 단말(10)에 내장되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즉, 콤보 안테나 모듈은 휴대 단말(10)에 내장되어 다른 휴대 단말(10)에 내장된 안테나 모듈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때, 콤보 안테나 모듈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 모듈은 휴대 단말(10)에 내장되어 전력을 무선 송수신한다. 즉, 콤보 안테나 모듈은 휴대 단말(10)에 내장되어 충전 기기(20)에 내장된 무선 전력 전송용 안테나로부터 전력을 무선 수신한다. 콤보 안테나 모듈은 다른 휴대 단말(10)에 내장된 무선 전력 전송용 안테나로 전력을 무선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콤보 안테나 모듈은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방식을 통해 전력을 무선 송수신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 모듈(100)은 안테나 시트(200), 제1 자성 부재(300) 및 제2 자성 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안테나 시트(200) 및 제1 자성 부재(300) 사이, 안테나 시트(200) 및 제2 자성 부재(400) 사이에는 접착 기재(미도시)가 개재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안테나 시트(200)는 베이스 기재(210), 단자 부재(220),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230) 및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기재(210)는 필름, 시트, 박막 기판 등과 같은 박막 기재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기재(210)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베이스 기재(210)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시트인 것을 일례로 한다. 여기서, 베이스 기재(21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박막 기재이면서 안테나를 구성하는 코일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기재라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 기재(210)는 수용 홀(212) 및 돌출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 홀(212)은 휴대 단말(10)의 카메라, 플래시 등이 관통하는 홀일 수 있다. 즉, 콤보 안테나 모듈(100)이 휴대 단말(10)에 실장되는 경우, 휴대 단말(10)의 카메라, 플래시 등이 베이스 기재(210)의 수용 홀(212)을 관통하여 휴대 단말(10)의 후면에 배치된다.
수용 홀(212)은 베이스 기재(21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수용 홀(212)은 베이스 기재(210)를 일측 변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돌출부(214)는 양면 중 적어도 한 면에 단자 부재(220)가 배치된다. 돌출부(214)는 수용 홀(212)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14)는 수용 홀(212)의 내부 방향(즉, 수용 홀(212)의 중심점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단자 부재(220)는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230) 및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240)과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22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자(222)는 상호 간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단자 부재(220)는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23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단자(222a) 및 제2 단자(222b)와,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24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3 단자(222c) 및 제4 단자(222d)를 포함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230)은 근거리 통신(NFC)을 위한 패턴으로, 베이스 기재(210)의 일면에 배치된다.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230)은 베이스 기재(210)가 형성하는 평면(즉, 베이스 기재(210)의 일면) 상에서 나선 형상을 그리며 형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230)은 베이스 기재(210)의 수용 홀(212)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다.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230)의 일부는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240)이 가로질러 배치되는 관통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베이스 기재(210)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 경로는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230)의 전체를 관통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고,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230)의 일부만을 관통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230)은 복수의 제1 코일 패턴(231) 및 복수의 제1 연결 패턴(23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코일 패턴(231)은 베이스 기재(210)의 일면에 배치된다. 복수의 제1 코일 패턴(231)은 수용 홀(212)의 외주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코일 패턴(231)은 베이스 기재(210)의 외주 및 수용 홀(212)의 외주 사이에 배치된다. 복수의 제1 코일 패턴(231)은 상호 간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코일 패턴(231)의 양단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의 제1 코일 패턴(231)은 제1 관통 경로(52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관통 경로(520)는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240)이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230)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영역이다. 제1 관통 경로(520)는 복수의 제1 코일 패턴(231)의 양단 사이의 이격 영역인 것을 일례로 한다. 여기서, 제1 관통 경로(520)는 복수의 제1 코일 패턴(231) 전체를 관통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고, 복수의 제1 코일 패턴(231) 중 일부만을 관통할 수도 있다.
복수의 제1 연결 패턴(232)은 베이스 기재(210)의 타면에 배치된다. 제1 연결 패턴(232)의 일단은 제1 코일 패턴(231)과 연결되고, 제1 연결 패턴(232)의 타단은 다른 제1 코일 패턴(231)과 연결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연결 패턴(232)은 제1 관통 경로(520)와 제1 코일 패턴(231)의 일부와 중첩되어 배치된다. 제1 연결 패턴(232)은 제1 비아 홀(233)을 통해 두 개의 제1 코일 패턴(231)과 연결된다. 제1 연결 패턴(232)의 일단은 제1 비아 홀(233)을 통해 제1 코일 패턴(231)과 연결된다. 제1 연결 패턴(232)의 타단은 제1 비아 홀(233)을 통해 다른 제1 코일 패턴(231)과 연결된다.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230)의 양단은 단자 부재(220)의 서로 다른 단자(222)에 연결된다. 복수의 제1 코일 패턴(231) 중 어느 하나의 제1 코일 패턴(231)은 복수의 단자(222)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제1 코일 패턴(231)은 복수의 단자(222)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된다.
복수의 제1 코일 패턴(231) 중 수용 홀(212)에 가장 인접하여 배치된 제1 코일 패턴(231)은 제1 인출 패턴(234)을 통과하여 단자 부재(220)의 제1 단자(222a)와 연결되고, 복수의 제1 코일 패턴(231) 중 베이스 기재(210)의 외주에 가장 인접하여 배치된 제1 코일 패턴(231)은 제2 인출 패턴(235)을 통과하여 단자 부재(220)의 제2 단자(222b)에 연결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230)은 나선 형상의 패턴을 형성한다.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230)의 선폭은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240)의 선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230)은 선폭을 좁게 형성하여 동일 면적에서 턴수를 증가시켜 효율을 증대시킨다.
이때,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230)은 좁은 선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 비아 홀(233)에 오픈(Open)이 발생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230)은 제1 비아 홀(233)에 오픈이 발생하면 연결 안정성이 저하되어 근거리 통신 성능이 저하된다.
이에, 연결 안정성을 확보하고 통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1 비아 홀(233)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비아 홀(233)은 제1 연결 패턴(232)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 배치된 것을 일례로 한다.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240)은 무선 전력 전송(WPC)을 위한 패턴으로, 베이스 기재(210)의 양면에 배치된다.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240)은 베이스 기재(210)의 일면에서 나선 형상을 그리며 형성된 후 타면에서 나선 형상을 그리며 형성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240)은 제2 코일 패턴(241), 제3 인출 패턴(242), 복수의 제3 코일 패턴(243), 복수의 제2 연결 패턴(244), 제4 인출 패턴(245) 및 제5 인출 패턴(24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코일 패턴(241)은 베이스 기재(210)의 일면에 배치된다. 제2 코일 패턴(241)은 제1 코일 패턴(231)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2 코일 패턴(241)은 베이스 기재(210)의 일면에서 나선 형상을 그리면 형성될 수 있다.
제2 코일 패턴(241)의 일단은 제3 인출 패턴(242)을 통해 단자 부재(220)에 연결된다. 제2 코일 패턴(241)의 타단은 제2 비아 홀(247)을 통해 복수의 제3 코일 패턴(243)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여기서, 제2 비아 홀(247)은 제2 코일 패턴(241) 및 제3 코일 패턴(243)의 연결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비아 홀(247)을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제2 코일 패턴(241)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 배치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코일 패턴(241)은 복수의 제2 연결 패턴(244)이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 홈(248)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코일 패턴(241)은 일부 영역의 선폭이 다른 영역들의 선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영역에 비해 좁은 선폭을 갖는 영역은 수용 홈(248)을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코일 패턴(241)은 수용 홈(248)이 형성된 부분의 선폭이 다른 부분의 선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제2 코일 패턴(241)은 수용 홈(248)이 형성된 영역의 선폭과 제2 연결 패턴(244)의 선폭 및 수용 홈(248)과 제2 연결 패턴(244)의 이격 간격을 합산한 선폭이 다른 영역의 선폭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코일 패턴(241)이 나선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복수의 수용 홈(248)은 후술할 복수의 제3 코일 패턴(243)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관통 경로(540)와 일부 중첩되어 배치된다. 각각의 수용 홈(248)에는 제2 연결 패턴(244)이 배치된다. 제2 코일 패턴(241) 간의 이격 간격과 제2 코일 패턴(241) 및 제2 연결 패턴(244)의 이격 간격은 동일한 것을 일례로 한다.
제3 인출 패턴(242)은 베이스 기재(210)의 일면에 배치된다. 제3 인출 패턴(242)은 제1 관통 경로(520) 상에 배치된다. 제3 인출 패턴(242)은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230)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제3 인출 패턴(242)은 제2 코일 패턴(241) 및 복수의 단자(222) 중 하나와 연결된다. 제3 인출 패턴(242)의 일단은 제2 코일 패턴(241)의 일단과 연결되고, 제3 인출 패턴(242)의 타단은 단자 부재(220)의 제3 단자(222c)에 연결된 것을 일례로 한다.
복수의 제3 코일 패턴(243)은 베이스 기재(210)의 타면에 배치된다. 복수의 제3 코일 패턴(243)은 상호 간 소정 간격 이격된다. 복수의 제3 코일 패턴(243)은 베이스 기재(210)의 중심 영역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며, 베이스 기재(210)의 외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제3 코일 패턴(243) 중 중심 영역에 가장 인접하여 배치된 하나는 제2 비아 홀(247)을 통해 제2 코일 패턴(241)의 타단에 연결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3 코일 패턴(243)은 베이스 기재(210)의 타면에서 제2 관통 경로(540)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관통 경로(540)는 복수의 제3 코일 패턴(243)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영역이다. 제3 코일 패턴(243)의 양단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이격 영역을 형성한다. 제2 관통 경로(540)는 제3 코일 패턴(243)의 양단 사이의 이격 영역인 것을 일례로 한다. 여기서, 제2 관통 경로(540)는 복수의 제3 코일 패턴(243) 전체를 관통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고, 복수의 제3 코일 패턴(243) 중 일부만을 관통할 수도 있다.
복수의 제2 연결 패턴(244)은 베이스 기재(210)의 일면에 배치된다. 제2 연결 패턴(244)은 나선 형상으로 배치된 제2 코일 패턴(241)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연결 패턴(244)은 제2 코일 패턴(241)에 형성된 수용 홈(248)에 수용된다. 복수의 제2 연결 패턴(244)은 베이스 기재(210)의 타면에 형성된 제2 관통 경로(540)와 중첩되어 배치된다. 이때, 제2 연결 패턴(244)은 인접한 제2 코일 패턴(241)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2 연결 패턴(244)은 제3 비아 홀(249)을 통해 제2 코일 패턴(241)과 연결된다. 제2 연결 패턴(244)의 양단은 제3 비아 홀(249)을 통해 서로 다른 두 개의 제3 코일 패턴(243)과 연결된다. 이때, 제3 비아 홀(249)은 제3 코일 패턴(243)과 제2 연결 패턴(244) 간의 연결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비아 홀(249)은 복수로 구성된 경우 제2 연결 패턴(244)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 배치된다.
이를 통해, 제3 코일 패턴(243)과 제2 연결 패턴(244)은 베이스 기재(210)의 타면과 일면을 선회하여 나선 형상의 코일 패턴을 형성한다.
제4 인출 패턴(245)은 베이스 기재(210)의 타면에 배치된다. 제4 인출 패턴(245)은 제2 관통 경로(540) 상에 배치되며, 제3 코일 패턴(243)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제4 인출 패턴(245)의 일단은 제3 코일 패턴(243) 중 하나와 연결되고, 제4 인출 패턴(245)의 타단은 제4 비아 홀을 통해 제5 인출 패턴(246)과 연결된다. 이때, 제4 인출 패턴(245)의 일단은 복수의 제3 코일 패턴(243) 중 베이스 기재(210)의 중심 영역에 가장 인접하여 배치된 제3 코일 패턴(243)과 연결된다. 제4 인출 패턴(245)은 제2 비아 홀(247)을 통해 제2 코일 패턴(241)과 연결된 제3 코일 패턴(243)과 연결된다.
제5 인출 패턴(246)은 베이스 기재(210)의 일면에 배치된다. 제5 인출 패턴(246)의 일단은 제4 비아 홀을 통해 제4 인출 패턴(245)과 연결된다. 제5 인출 패턴(246)의 타단은 단자 부재(220)의 단자(222)에 연결된다. 제5 인출 패턴(246)의 타단의 단자 부재(220)의 제4 단자(222d)에 연결된 것을 일례로 한다.
근거리 통신 및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코일 패턴은 단절이 발생하는 경우 저항 변화가 발생한다. 이때,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240)은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230)에 비해 저항 변화에 따른 효율 변화가 크다.
이에, 안테나 시트(200)는 저항 변화에 따른 효율 변화가 상대적으로 작은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230)을 단절시켜 제1 관통 경로(520)를 형성하고,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240)이 제1 관통 경로(520)를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코일 패턴 간의 간격이 커지면 양산성은 증가하지만, 콤보 안테나 모듈(100)의 부피가 커진다. 반대로, 코일 패턴 간의 간격이 좁아지면 코일 패턴 간에 쇼트(Short)가 발생하여 양산성이 저하된다.
이에, 안테나 시트(200)는 코일 패턴 간의 간격을 설정 간격(예를 들면, 대략 100㎛ 정도)으로 형성하여 양산성을 향상시킨다.
제1 자성 부재(300)는 자성 재질의 판상 기재 또는 필름일 수 있다. 제1 자성 부재(300)는 제2 자성 부재(400)와 분리 형성된다. 제1 자성 부재(300)는 제2 자성 부재(400)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제2 자성 부재(400)와 다른 유전 특성을 갖는다. 제1 자성 부재(300)는 페라이트 재질의 판상 기재인 것을 일례로 한다.
제1 자성 부재(300)는 베이스 기재(210)의 타면에 배치된다. 제1 자성 부재(300)는 베이스 기재(210)의 타면 일부에 배치되어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230)과 중첩된다. 이때, 제1 자성 부재(300)의 두께는 제2 자성 부재(40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자성 부재(300)의 두께는 제2 자성 부재(400)의 두께 이하의 두께일 수 있다. 제1 자성 부재(300)는 대략 100㎛ 내지 120㎛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일례로 한다.
제2 자성 부재(400)는 자성 재질의 판상 기재 또는 필름일 수 있다. 제2 자성 부재(400)는 제1 자성 부재(300)와 분리 형성된다. 제2 자성 부재(400)는 제1 자성 부재(300)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제1 자성 부재(300)와 다른 유전 특성을 갖는다.
제2 자성 부재(400)는 복수의 리본 시트가 적층된 판상 기재일 수 있다. 리본 시트는 단층으로 구성된 경우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240)에 대응되는 유전 특성을 구현할 수 없다 이에, 제2 자성 부재(400)는 복수의 리본 시트가 적층되어 구성된다. 제2 자성 부재(400)는 결정립 합금 리본 및 철계 비정질 리본 중 하나 이상의 리본 시트를 복수 층으로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자성 부재(400)는 리본 시트들 사이에 접착 시트(미도시)가 개재될 수도 있다.
제2 자성 부재(400)는 베이스 기재(210)의 타면에 배치된다. 제2 자성 부재(400)는 베이스 기재(210)의 타면 일부에 배치되어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240)과 중첩된다. 이때, 제2 자성 부재(400)의 두께는 제1 자성 부재(30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자성 부재(400)의 두께는 제1 자성 부재(300)의 두께 이상의 두께일 수 있다. 제2 자성 부재(400)는 대략 120㎛ 내지 130㎛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일례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콤보 안테나 모듈 200: 안테나 시트
210: 베이스 기재 220: 단자 부재
222: 단자 230: 근거리 통신용 코일 패턴
231: 제1 코일 패턴 232: 제1 연결 패턴
233: 제1 비아 홀 234: 제1 인출 패턴
235: 제2 인출 패턴 240: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
241: 제2 코일 패턴 242: 제3 인출 패턴
243: 제3 코일 패턴 244: 제2 연결 패턴
245: 제4 인출 패턴 246: 제5 인출 패턴
247: 제2 비아 홀 249: 제3 비아 홀
300: 제1 자성 부재 400: 제2 자성 부재
520: 제1 관통 경로 540: 제2 관통 경로

Claims (9)

  1. 수용 홀이 형성된 베이스 기재;
    상기 베이스 기재의 양면에 배치된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을 구비한 안테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은,
    복수의 수용 홈이 형성되어 수용 홈이 형성된 영역의 선폭이 다른 영역의 선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배치된 제2 코일 패턴;
    상기 베이스 기재의 타면에 상호 간 이격 배치되고, 양단이 마주보며 이격되어 제2 관통 경로를 형성한 복수의 제3 코일 패턴; 및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서 상기 복수의 수용 홈에 각각 배치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관통 경로와 중첩되고, 상기 제2 코일 패턴과 이격된 복수의 제2 연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 코일 패턴은 상기 복수의 제2 연결 패턴을 통해 연결된 콤보 안테나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 패턴은 상기 수용 홈이 형성된 영역의 선폭, 상기 제2 연결 패턴의 선폭, 상기 수용 홈과 상기 제2 연결 패턴 간의 이격 간격을 합산한 폭이 상기 다른 영역의 선폭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된 콤보 안테나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일 패턴은 나선형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코일 패턴 간의 이격 간격과 상기 제2 코일 패턴 및 상기 제2 연결 패턴 간의 이격 간격은 동일한 콤보 안테나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용 홈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관통 경로와 중첩된 콤보 안테나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은 제4 인출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인출 패턴은 상기 복수의 제3 코일 패턴 중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제2 관통 경로 상에서 상기 복수의 제3 코일 패턴을 가로질러 배치된 콤보 안테나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은,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코일 패턴의 일단에 연결된 제3 인출 패턴; 및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상기 제3 인출 패턴과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4 인출 패턴과 연결된 제5 인출 패턴을 더 포함하는 콤보 안테나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은 상기 베이스 기재를 관통하여 제2 연결 패턴 제3 코일 패턴을 연결하는 제2 비아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비아 홀은 복수로 구성된 콤보 안테나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재는 상기 수용 홀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무선 전력 전송용 코일 패턴에 연결된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단자 부재를 더 포함하는 콤보 안테나 모듈.
KR1020200040113A 2018-03-23 2020-04-02 콤보 안테나 모듈 KR102347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113A KR102347794B1 (ko) 2018-03-23 2020-04-02 콤보 안테나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791A KR102099310B1 (ko) 2018-03-23 2018-03-23 콤보 안테나 모듈
KR1020200040113A KR102347794B1 (ko) 2018-03-23 2020-04-02 콤보 안테나 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791A Division KR102099310B1 (ko) 2018-03-23 2018-03-23 콤보 안테나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717A KR20200040717A (ko) 2020-04-20
KR102347794B1 true KR102347794B1 (ko) 2022-01-06

Family

ID=79348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113A KR102347794B1 (ko) 2018-03-23 2020-04-02 콤보 안테나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7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628A1 (ko) * 2021-11-19 2023-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847B1 (ko) 2004-11-23 2005-08-03 (주)제이티 루프 안테나를 형성한 탈착식 배터리 커버 및 이를 적용한비접촉식 무선 결제용 휴대폰
KR101926594B1 (ko) * 2015-08-20 2018-12-10 주식회사 아모텍 무선충전형 안테나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
KR102394983B1 (ko) * 2016-02-05 2022-05-09 주식회사 위츠 코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717A (ko) 202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310B1 (ko) 콤보 안테나 모듈
CN108184333B (zh) 组合式天线模块
KR101878162B1 (ko) 근거리 통신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KR102137633B1 (ko) 콤보 안테나 모듈
US10522913B2 (en) Antenna module
KR102347784B1 (ko) 안테나 모듈
KR102524872B1 (ko) 안테나 모듈
KR102347794B1 (ko) 콤보 안테나 모듈
KR10185447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CN105845382B (zh) 磁性片和包括该磁性片的线圈组件
US20170317401A1 (en) Antenna device, card information medium,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tenna device
US10903557B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09643842B (zh) 用于近场通信的天线模块
US20190294217A1 (en) Antenn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875444B1 (ko) 안테나 모듈
KR20190024185A (ko) 코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
CN109713451B (zh) 天线装置和包括该天线装置的便携式终端
KR102312007B1 (ko) 안테나 모듈
JP2013168780A (ja) 表面実装型アンテナ
KR102348362B1 (ko) 코일 모듈
KR101989862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안테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KR102565875B1 (ko) 무선 전력 송수신용 안테나 모듈
CN115088134B (zh) 用于无线电能发送和接收的天线模块
WO2015005673A1 (ko) 안테나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KR20180035053A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