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234B1 -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234B1
KR102137234B1 KR1020200050255A KR20200050255A KR102137234B1 KR 102137234 B1 KR102137234 B1 KR 102137234B1 KR 1020200050255 A KR1020200050255 A KR 1020200050255A KR 20200050255 A KR20200050255 A KR 20200050255A KR 102137234 B1 KR102137234 B1 KR 102137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ixing
hinge shaft
stat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홍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이파트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이파트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이파트너스
Priority to KR1020200050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2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통신케이블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는 통신케이블이 고정되는 고정유닛, 복수 개의 상기 고정유닛이 설치되는 고정스테이션을 포함하는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로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통신케이블이 설치될 벽면에 고정되는 유닛본체, 상기 통신케이블이 거치되며 상기 유닛본체에서 회전하여 상기 통신케이블을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는 케이블거치커버, 상기 케이블거치커버를 상기 유닛본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축,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힌지축을 회전시켜 상기 케이블거치커버를 회전시키는 피니언,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의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힌지축과 상기 케이블거치커버를 함께 회전하도록 축결합하거나, 축결합을 해제하는 축이음부재, 상기 축이음부재가 상기 케이블거치커버에서 이탈되어 상기 힌지축과의 축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축을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개별작동버튼, 및 상기 개별작동버튼에 의한 상기 힌지축에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힌지축과 상기 케이블거치커버를 축결합하도록 상기 힌지축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힌지복귀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스테이션은 상기 복수 개의 고정유닛이 안착되어 결합되며 상기 고정유닛의 피니언와 대응되는 부분에 기어홈이 형성된 스테이션하우징, 상기 스테이션하우징에 설치된 모든 상기 고정유닛의 상기 케이블거치커버가 회전하도록 상기 기어홈으로 노출되어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랙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션하우징에서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전체구동랙바. 및 상기 스테이션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이 회전하도록 상기 전체구동랙바를 가압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전체작동버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Communication cable multi-fixing device}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통신케이블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케이블을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케이블로서, 통신장치끼리 연결하기 위해 포설된다.
통신케이블은 전력케이블과는 달리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고 가볍지만 상대적으로 통신장치마다 서로 다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 통신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복수 개의 통신케이블이 설치된다.
이러한 복수 개의 통신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30964호(2002.4.26.공개)의 "통신용 광케이블 고정클립"이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통신용 광케이블 고정클립은 합성수지로 본체를 사출성형하되, 전면에 다수의 협지구를 등간격으로 구성하고, 협지구 입구에는 안내부를 구성하여 광케이블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통신용 광케이블 고정클립은 복수 개의 협지구가 형성되어 각 협지구마다 광케이블을 결합하여 복수 개의 케이블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통신용 광케이블 고정클립은 광케이블의 협지구에 지지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분리되며, 협지구가 일체로 형성되어 광케이블의 설치 개수를 조절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이 간격을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수 개의 광케이블을 한번에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통신케이블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으며, 고정스테이션에 고정유닛을 설치하는 형태로 설치할 통신케이블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스테이션에 고정유닛을 결합할 경우, 전체구동랙바에 의해 설치된 모든 고정유닛의 케이블거치커버가 통신케이블을 고정 또는 고정을 해제할 수 있으며, 고정유닛에 개별작동버튼이 설치되어 복수 개의 고정유닛이 설치된 상태에서 개별적으로 통신케이블의 고정 또는 해제할 수 있는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는 통신케이블이 고정되는 고정유닛, 복수 개의 상기 고정유닛이 설치되는 고정스테이션을 포함하는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로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통신케이블이 설치될 벽면에 고정되는 유닛본체, 상기 통신케이블이 거치되며 상기 유닛본체에서 회전하여 상기 통신케이블을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는 케이블거치커버, 상기 케이블거치커버를 상기 유닛본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축,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힌지축을 회전시켜 상기 케이블거치커버를 회전시키는 피니언,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의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힌지축과 상기 케이블거치커버를 함께 회전하도록 축결합하거나, 축결합을 해제하는 축이음부재, 상기 축이음부재가 상기 케이블거치커버에서 이탈되어 상기 힌지축과의 축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축을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개별작동버튼, 및 상기 개별작동버튼에 의한 상기 힌지축에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힌지축과 상기 케이블거치커버를 축결합하도록 상기 힌지축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힌지복귀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스테이션은 상기 복수 개의 고정유닛이 안착되어 결합되며 상기 고정유닛의 피니언와 대응되는 부분에 기어홈이 형성된 스테이션하우징, 상기 스테이션하우징에 설치된 모든 상기 고정유닛의 상기 케이블거치커버가 회전하도록 상기 기어홈으로 노출되어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랙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션하우징에서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전체구동랙바. 및 상기 스테이션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이 회전하도록 상기 전체구동랙바를 가압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전체작동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스테이션은 상기 전체작동버튼에 의해 상기 랙바가 슬라이딩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전체작동버튼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랙바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랙바복귀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스테이션에서 상기 전체작동버튼의 작동을 제한하는 작동제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스테이션에 결합된 복수 개의 상기 고정유닛을 함께 관통하여 상기 고정스테이션에서 상기 고정유닛의 분리를 방지하는 분리방지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거치커버가 통신케이블을 덮어 통신케이블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스테이션에 설치될 통신케이블의 개수만큼 고정유닛을 설치하여 통신케이블의 설치 개수를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으며, 끼움부의 사이 간격에 따라 통신케이블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고정유닛이 전체작동랙바에 맞물려 전체작동버튼의 작동에 따라 모든 케이블거치커버가 회전하여 통신케이블을 고정 또는 고정을 해제함에 따라 복수 개의 통신케이블을 용이하게 고정 또는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정유닛에 개별작동버튼이 설치되어 고정스테이션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개별적으로 케이블거치커버를 회전시켜 고정 및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를 정면도로서, 고정유닛이 설치된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롤 도시한 작동상태도로서, 케이블거치커버의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를 구성하는 고정유닛의 정단면도로서, 개별작동버튼을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100)는 고정유닛(11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유닛(110)은 통신케이블(200)을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고정유닛(110)은 유닛본체(111)와 케이블거치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닛본체(111)는 하기에 설명할 고정스테이션(150)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유닛본체(111)네는 유닛본체(111)에는 케이블거치커버(120)가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케이블거치커버(120)가 유닛본체(111)에 밀착되도록 회전한 상태로 통신케이블(200)을 고정하고, 케이블거치커버(120)가 유닛본체(111)에서 이격되도록 회전한 상태로 통신케이블(20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유닛본체(111)에는 하기에 설명할 고정스테이션(150)의 끼움부(157)에 끼워 고정하기 위한 끼움돌출부(1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끼움돌출부(113)는 유닛본체(111)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거치커버(120)는 힌지축(130)에 의해 일단이 유닛본체(111)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케이블거치커버(120)는 원호 형태로 휘어진 판의 형상으로 통신케이블(200)을 거치한 상태로 회전하여 힌지축(130)이 결합되지 않은 끝단이 유닛본체(111)에 밀착되면서 통신케이블(200)을 고정하고,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힌지축(130)이 결합되지 않은 끝단이 유닛본체(111)에서 이격되면서 통신케이블(20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힌지축(130)의 일단에는 피니언(140)이 설치되어 피니언(140)의 회전에 따라 힌지축(130)이 회전하면서 케이블거치커버(120)가 회전할 수 있으며, 힌지축(130)은 케이블거치커버(120)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힌지축(130)과 피니언(140)은 미끄럼키에 의해 결합되어 피니언(140)에 대해 힌지축(130)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더라도 상호간의 동력을 전달하여 피니언(140)의 회전 시 힌지축(130)과 함께 피니언(140)이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피니언(140)은 유닛본체(111)의 일측면으로 일부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힌지축(130)의 타단 즉, 피니언(140)이 설치된 끝단과는 반대되는 끝단에는 축이음부재(133)가 설치되어 힌지축(130)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축이음부재(133)가 힌지축(130)과 케이블거치커버(120)를 함께 연결하여 힌지축(130)과 케이블거치커버(120)가 함께 회전시키거나, 축이음부재(133)가 케이블거치커버(120)에서 이탈되면서 힌지축(130)에서 케이블거치커버(120)만 개별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축이음부재(133)는 힌지축(130)의 타단에서 피니언(140)이 위치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반경이 작아지는 원추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블거치커버(120)에는 축이음부재(133)의 형상과 대응되는 이음부재삽입홈(121)이 형성되어 축이음부재(133)가 이음부재삽입홈(121)에 삽입되어 밀착되면 서로 연결되고, 이음부재삽입홈(121)에서 축이음부재(133)가 이탈되면 힌지축(130)에서 케이블거치커버(120)가 이탈되면서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예컨대, 힌지축(130)의 축이음부재(133)가 이음부재삽입홈(121)에 삽입되어 밀착되면 힌지축(130)의 회전시 케이블거치커버(120)가 함께 회전하고, 힌지축(130)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이음부재삽입홈(121)에서 축이음부재(133)가 이탈되면 힌지축(130)과는 별개로 케이블거치커버(120)가 회전할 수 있다.
축이음부재(133)의 둘레에는 축이음부재(133)의 둘레는 톱니 형태로 형성되고, 이음부재삽입홈(121)의 내주에도 톱니와 대응되는 톱니홈이 형성되어 둘이 결합된 상태에서 힌지축(130)의 회전시 케이블거치커버(120)가 슬립되어 미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힌지축(130)에서 케이블거치커버(120)가 강제적으로 회전하여 통신케이블(200)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5의 확대부분 참조).
고정유닛(110)은 개별작동버튼(131), 힌지복귀스프링(135)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작동버튼(131)은 유닛본체(111)에서 힌지축(130)을 가압하여 힌지축(130)을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으며, 개별작동버튼(131)은 가압 시 이음부재삽입홈(121)에서 축이음부재(133)가 이탈되는 방향으로 힌지축(130)을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힌지복귀스프링(135)은 유닛본체(111)에서 개별작동버튼(131)이 결합된 힌지축(130)의 끝단과는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끝단에 위치되어 개별작동버튼(131)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탄성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힌지축(130)을 초기위치로 복귀시켜 축이음부재(133)를 이음부재삽입홈(121)에 밀착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100)는 고정스테이션(15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스테이션(150)은 복수 개의 고정유닛(110)이 설치되어 복수 개의 고정유닛(110)을 함께 고정할 수 있다.
고정스테이션(150)은 스테이션하우징(151), 전체구동랙바(160). 랙바복귀스프링(163), 및 전체작동버튼(161)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하우징(151)은 벽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스테이션하우징(151)의 측면에는 고정유닛(11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끼움부(157)가 형성될 수 있다.
스테이션하우징(151)에는 고정유닛(110)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끼움부(157)가 형성될 수 있으며, 끼움부(157)는 유닛본체(111)의 양측에 형성된 끼움돌출부(113)가 각각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한 쌍이 한 조를 이루도록 복수 개의 끼움부(157)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유닛(110)이 결합된 스테이션하우징(151)에는 고정유닛(110)의 피니언(140)과 대응되는 부분이 스테이션하우징(15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기어홈(153)이 형성될 수 있다.
전체구동랙바(160)는 복수 개의 고정유닛(110)이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스테이션하우징(15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전체구동랙바(160)에는 기어홈(153)으로 노출되어 피니언(140)과 맞물리는 랙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전체구동랙바(160)는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랙기어와 맞물린 모든 피니언(140)을 회전시켜 스테이션하우징(151)에 설치된 모든 고정유닛(110)의 케이블거치커버(12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전체구동랙바(160)의 일단에는 전체구동랙바(160)를 가압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전체작동버튼(161)이 설치될 수 있으며, 전체작동버튼(161)이 설치된 방향과 반대방향의 끝단에는 랙바복귀스프링(163)이 설치되어 전체구동랙바(160)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랙바복귀스프링(163)의 탄성력에 의해 전체구동랙바(16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스테이션하우징(151)의 상부에 전체작동버튼(161)이 설치되어 전체작동버튼(161)을 상부에서 가압하여 누르면, 케이블거치커버(120)가 통신케이블(200)을 고정하고, 가압을 해제하면, 통신케이블(200)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구성하였지만, 반대로 전체작동버튼(161)을 가압하면 케이블커버가 통신케이블(200)의 고정을 해제하고, 전체작동버튼(161)의 가압을 해제하면, 케이블커버가 통신케이블(200)의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100)는 작동제한부재(170)와 분리방지클립(180)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제한부재(170)는 전체작동버튼(161)의 작동을 제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와 같이 작동제한부재(170)는 전체작동버튼(161)을 가압하면, 케이블거치커버(120)가 고정케이블을 고정하고, 전체작동버튼(161)의 가압을 해제하면 랙바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케이블의 고정을 해제하기 때문에 고정케이블을 고정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체작동버튼(161)을 가압한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작동제한부재(170)는 전체작동버튼(161)을 가압한 상태로 스테이션하우징(151)에 고정시켜 고정케이블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작동제한부재(170)는 전체작동버튼(161)이 위치되는 스테이션하우징(151)의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전체작동버튼(161)을 가압한 상태에서 스테이션하우징(151)에 작동제한부재(170)를 끼워 전체작동버튼(161)이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압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작동제한부재(170)를 제거하면, 가압된 상태가 해제되면서, 전체작동버튼(161)이 스테이션하우징(151)에서 돌출될 수 있다.
작동제한부재(170)는 전체작동버튼(161)의 둘레에 끼워지는 버튼홈이 일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체작동버튼(161)에는 작동제한부재(170)의 버튼홈에 끼워지는 제한부재홈이 형성되어 작동제한부재(170)의 버튼홈의 내주가 제한부재홈에 끼워지는 형태로 전체작동버튼(161)을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체작동버튼(161)을 가압한 상태에서 제한부재홈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외부에서 작동제한부재(170)를 끼워 결합할 수 있는 제한홈(155)이 형성될 수 있다.
작동제한부재(170)의 단부에는 작동제한부재(170)를 제한홈(115)에서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해 파지하는 제한분리고리가 형성될수 있다.
분리방지클립(180)은 고정스테이션(150)에 결합된 복수 개의 고정유닛(110)을 관통하도록 끼워져 고정스테이션(150)에서 고정유닛(1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고정유닛(110)의 상하에는 클립공(115)이 관통형성되고, 고정유닛(110)과 인접한 고정유닛(110)의 사이에 위치되는 끼움부(157)에는 끼움부(157)를 상하로 관통하는 결합공(159)이 클립공(115)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분리방지클립(180)이 클립공(115)과 결합공(159)을 함께 관통하여 끼워지는 형태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분리방지클립(180)에는 고정유닛(110) 및 고정스테이션(15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분리방지클립(180)의 끝단에는 클립분리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100)는 고정스테이션(150)에 고정할 통신케이블(200)의 숫자에 맞춰 복수 개의 고정유닛(110)이 결합된다.
고정유닛(110)은 유인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힌지축(130)을 중심으로 케이블거치커버(1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힌지축(130)에는 피니언(140)이 결합되며, 힌지축(130)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피니언(140)과 힌지축(130)은 미끄럼키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더라도 동력이 전달되도록 결합된다.
피니언(140)과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힌지축(130)의 단부에는 축이음부재(133)가 설치되며, 축이음부재(133)는 힌지축(130)의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케이블거치커버(120)의 이음부재삽입홈(121)에 밀착되거나, 서로 이격된다.
이때, 피니언(140)은 고정유닛(110)의 일측면으로 일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유닛본체(111)에는 힌지축(130)을 가압하기 위한 개별작동버튼(131)이 설치되며, 개별작동버튼(131)이 설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에는 힌지축(130)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힌지복귀스프링(135)에 의해 지지된다.
고정스테이션(150)에는 전체구동랙바(160)가 복수 개의 고정유닛(110)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체구동랙바(160)는 랙바복귀스프링(163)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며, 랙바복귀스프링(163)이 위치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는 전체구동랙바(160)를 가압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전체작동버튼(161)이 설치된다.
전체구동랙바(160)는 기어홈(153)으로 랙기어가 일부 노출되며, 스테이션하우징(151)의 측면에는 고정유닛(110)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복수 개의 끼움부(157)가 형성되며, 끼움부(157)의 사이에는 클립결합부가 위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100)는 고정스테이션(150)을 벽면에 세워 고정시킨 상태에서 고정유닛(110)의 케이블거치커버(120)가 개방된 상태로 설치할 통신케이블(200)의 개수에 맞춰 끼움부(157)에 끼워 설치한다.
이때, 통신케이블(200)의 이격 거리는 끼움부(157)에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고정유닛(110)이 고정스테이션(150)에 고정되면 고정유닛(110)의 클립공(115)과 클립결합부의 결합공(159)을 관통하는 형태로 분리방지클립(180)을 끼워 고정스테이션(150)에서 고정유닛(11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상태에서 각 케이블거치커버(12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통신케이블(20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전체작동버튼(161)을 가압하면, 전체작동버튼(161)에 의해 전체구동랙바(160)가 랙바복귀스프링(163)을 압축하고 하향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고정스테이션(150)에 결합된 모든 고정유닛(110)의 피니언(140)이 함께 회전하고, 고정유닛(110)의 피니언(140)은 힌지축(130)을 회전시켜 분리방지클립(180)이 유닛본체(111)에 밀착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통신케이블(200)을 고정한다.
케이블거치커버(120)에 의해 통신케이블(200)이 고정되면, 작동제한부재(170)를 제한홈(155)을 통해 끼워 작동제한부재(170)의 버튼홈의 내주에 작동제한부재(170)의 제한부재홈에 걸쳐지면서 작동제한부재(170)가 랙바복귀스프링(163)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면서 케이블거치커버(120)에 의한 통신케이블(200)의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전체작동버튼(161)을 가압하여 누르면, 전체구동랙바(160)에 연결된 모든 피니언(140)이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전체작동버튼(161)에 의해 모든 고정유닛(110)에 설치된 케이블거치커버(120)를 회전시켜 통신케이블(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전체 통신케이블(200)의 고정을 해제할 때에는 작동제한부재(170)를 제한홈(155)에서 분리하면 전체작동버튼(161)의 고정이 해제되면서, 랙바복귀스프링(163)의 탄성력에 의해 전체구동랙바(160)가 상향 이동하고, 전체구동랙바(160)에 의해 피니언(140)이 회전하면서 힌지축(130)을 회전시켜 케이블거치커버(120)를 밀폐하였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모든 통신케이블(200)의 고정을 한번에 해제할 수 있다.
반면, 고정유닛(110)에 통신케이블(200)이 고정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케이블(200)만 고정을 해제할 때에는 고정을 해제할 통신케이블(200)이 고정된 고정유닛(110)의 개별작동버튼(131)을 가압한다.
개별작동버튼(131)이 가압되면 힌지축(130)이 가압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힌지축(130)에 결합된 축이음부재(133)가 케이블거치커버(120)에 형성된 이음부재삽입홈(121)에서 이격되면서, 힌지축(130)과 케이블거치커버(120)의 결합을 해제하여 케이블거치커버(120)만 회전시키는 형태로 통신케이블(20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도 5 참조).
그리고, 통신케이블(200)을 다시 고정할 때에는 힌지축(130)에서 축이음부재(130)가 이탈되도록 개벌작동버튼을 가압한 상태에서 케이블거치커버(120)에 통신케이블(200)을 안착시키고, 케이블거치커버(120)와 유닛본체(111)의 사이에 통신케이블(200)의 고정되도록 케이블거치커버(120)를 강제적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개별작동버튼(131)의 가압력을 해제한다.
개별작동버튼(131)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힌지축(130)이 힌지복귀스프링(135)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힌지축(130)의 축이음부재(133)가 케이블거치커버(120)의 이음부재삽입홈(121)에 삽입되면서 케이블거치커버(120)의 회전이 제한되어 통신케이블(200)을 고정한 상태로 케이블거치커버(1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100)는 고정스테이션(150)에 고정된 고정유닛(110)이 전체구동랙바(160)와 피니언(140)의 연결되어 전체작동버튼(161) 하나의 작동만으로 설치된 모든 고정유닛(110)의 고정케이블을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어 통신케이블(200)의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고정유닛(110)의 개별작동버튼(131)이 힌지축(130)과 케이블거치커버(120)를 축이음하거나, 축이음을 해제하여 케이블거치커버(120)를 개별적으로 회전시켜 복수 개의 고정케이블 중 어느 하나만 고정 및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정유닛(110)의 케이블거치커버(120)가 통신케이블(20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하여 통신케이블(20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스테이션(150)에 복수 개의 고정유닛(110)을 설치하여 설치할 통신케이블(200)의 개수에 맞춰 확장 또는 축소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끼움부(157)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는 형태로 통신케이블(20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분리방지클립(180)이 고정스테이션(150)과 복수 개의 고정유닛(110)을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고정스테이션(150)에서 고정유닛(110)을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 110: 고정유닛
111: 유닛본체 113: 끼움돌출부
115: 클립공 120: 케이블거치커버
121: 이음부재삽입홈 130: 힌지축
131: 개별작동버튼 133: 축이음부재
135: 힌지복귀스프링 140: 피니언
150: 고정스테이션 151; 스테이션하우징
153: 기어홈 155: 제한홈
157: 끼움부 159: 결합공
160: 전체구동랙바 161: 전체작동버튼
163: 랙바복귀스프링 170: 작동제한부재
180: 분리방지클립 200: 통신케이블

Claims (4)

  1. 통신케이블이 고정되는 고정유닛, 복수 개의 상기 고정유닛이 설치되는 고정스테이션을 포함하는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로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통신케이블이 설치될 벽면에 고정되는 유닛본체,
    상기 통신케이블이 거치되며 상기 유닛본체에서 회전하여 상기 통신케이블을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는 케이블거치커버,
    상기 케이블거치커버를 상기 유닛본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축,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힌지축을 회전시켜 상기 케이블거치커버를 회전시키는 피니언,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의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힌지축과 상기 케이블거치커버를 함께 회전하도록 축결합하거나, 축결합을 해제하는 축이음부재,
    상기 축이음부재가 상기 케이블거치커버에서 이탈되어 상기 힌지축과의 축결합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축을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개별작동버튼, 및
    상기 개별작동버튼에 의한 상기 힌지축에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힌지축과 상기 케이블거치커버를 축결합하도록 상기 힌지축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힌지복귀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스테이션은
    상기 복수 개의 고정유닛이 안착되어 결합되며 상기 고정유닛의 피니언와 대응되는 부분에 기어홈이 형성된 스테이션하우징,
    상기 스테이션하우징에 설치된 모든 상기 고정유닛의 상기 케이블거치커버가 회전하도록 상기 기어홈으로 노출되어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랙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션하우징에서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전체구동랙바. 및
    상기 스테이션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이 회전하도록 상기 전체구동랙바를 가압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전체작동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스테이션은
    상기 전체작동버튼에 의해 상기 랙바가 슬라이딩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전체작동버튼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랙바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랙바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스테이션에서 상기 전체작동버튼의 작동을 제한하는 작동제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스테이션에 결합된 복수 개의 상기 고정유닛을 함께 관통하여 상기 고정스테이션에서 상기 고정유닛의 분리를 방지하는 분리방지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
KR1020200050255A 2020-04-24 2020-04-24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 KR102137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255A KR102137234B1 (ko) 2020-04-24 2020-04-24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255A KR102137234B1 (ko) 2020-04-24 2020-04-24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234B1 true KR102137234B1 (ko) 2020-07-23

Family

ID=71894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255A KR102137234B1 (ko) 2020-04-24 2020-04-24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23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600B1 (ko) * 2021-02-08 2021-04-06 주식회사 21세기이엔지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
KR102252309B1 (ko) * 2021-03-31 2021-05-14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
KR20220165360A (ko) * 2021-06-08 2022-12-15 양호승 벽 고정형 케이블 고정구
CN115892690A (zh) * 2022-12-06 2023-04-04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光纤分层布放装置
KR102607257B1 (ko) * 2022-12-27 2023-11-29 주식회사 원기업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
CN115892690B (zh) * 2022-12-06 2024-05-28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光纤分层布放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0504A (ja) * 2007-10-15 2009-05-0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ケーブル支持具
KR20160138105A (ko) * 2014-03-25 2016-12-02 팬듀트 코포레이션 크래들 클램프 브라켓 조립체
KR20190123613A (ko) * 2018-04-24 2019-11-01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0504A (ja) * 2007-10-15 2009-05-0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ケーブル支持具
KR20160138105A (ko) * 2014-03-25 2016-12-02 팬듀트 코포레이션 크래들 클램프 브라켓 조립체
KR20190123613A (ko) * 2018-04-24 2019-11-01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고정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600B1 (ko) * 2021-02-08 2021-04-06 주식회사 21세기이엔지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
KR102252309B1 (ko) * 2021-03-31 2021-05-14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건축물 통신케이블용 멀티 고정 장치
KR20220165360A (ko) * 2021-06-08 2022-12-15 양호승 벽 고정형 케이블 고정구
KR102575929B1 (ko) 2021-06-08 2023-09-06 양호승 벽 고정형 케이블 고정구
CN115892690A (zh) * 2022-12-06 2023-04-04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光纤分层布放装置
CN115892690B (zh) * 2022-12-06 2024-05-28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光纤分层布放装置
KR102607257B1 (ko) * 2022-12-27 2023-11-29 주식회사 원기업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234B1 (ko)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
US7107649B2 (en) Hinge device
US7645162B2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a slider element
KR20090012083A (ko)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US9270048B2 (en) Weatherized connector boot and connector cover therefore
US20230025043A1 (en) Adjustment knob for vehicle air vent
KR20160038313A (ko) 통신용 단말기
WO2013042000A1 (en) Fiber optic connector with shutter
KR20190142968A (ko) 로킹 밸브
CN111833729A (zh) 折叠装置及电子设备
EP0131971B1 (en) Connecting mechanism of light source device for endoscope
CN112943019A (zh) 用于移动门扇的设备
US8921693B2 (en) Distribution cabinet for optical fibre cables
US10394163B2 (en) Toner cartridge with a toner switch assembly
KR20190001083A (ko)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CN101725808A (zh) 支撑装置
US5201016A (en) Optical switch
KR20080001486U (ko) 휴대폰용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한 복합 슬라이더 조립체
KR102243997B1 (ko)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
KR100395573B1 (ko) 실브레이킹장치와실저장및공급장치
WO2016064047A1 (ko) 도어 회전장치
JP2016067620A (ja) 内視鏡の湾曲操作部材
KR20020090634A (ko)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
KR20220007285A (ko) 양변기의 자동과 수동 겸용 물내림 장치
KR101758890B1 (ko) 슬라이딩 도어용 하부 롤러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