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613A - 케이블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3613A
KR20190123613A KR1020180047520A KR20180047520A KR20190123613A KR 20190123613 A KR20190123613 A KR 20190123613A KR 1020180047520 A KR1020180047520 A KR 1020180047520A KR 20180047520 A KR20180047520 A KR 20180047520A KR 20190123613 A KR20190123613 A KR 20190123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ross
lower case
cabl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5248B1 (ko
Inventor
조홍석
김옥현
김정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47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248B1/ko
Publication of KR20190123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구 내에서 초고압 지중 케이블을 보다 손쉽게 원터치 방식으로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상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슬릿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안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 안착부를 관통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 유닛 및 상기 삽입 유닛의 상부에는 회전되도록 형성된 레버가 조립된다. 또한, 상기 레버를 가압 하강시켜 상기 상부 케이스에 압착시키고, 상기 삽입 유닛 및 레버는 상기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체결부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케이블 고정 장치 {Apparatus for fixing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력구 내에서 초고압 지중 케이블을 보다 손쉽게 체결하여 지중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는 케이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구 내에서 초고압 지중 케이블(이하, 케이블)을 포설할 때, 하나 이상의 케이블이 함께 포설된다. 이에, 안전상의 문제로 케이블들이 서로 엉키지 않게 케이블을 고정하여 왔다.
기존에 케이블을 고정하는 방법에는 케이블 고정용 상 하부 받침대 사이에 케이블이 관통하도록 배치한 후 볼트, 너트 및 와샤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고정하였다. 초고압 케이블을 배치 및 고정하는 작업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작업용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다양한 공구를 사용하여 볼트, 너트 및 와샤를 설치하는 작업이 수행되어 왔다. 따라서, 작업자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피로도가 축적되고, 작업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 고정 장치의 설치에 볼트, 너트 및 와샤와 작업용 공구없이 손쉬운 방법으로 견고하게 케이블을 체결할 수 있는 케이블 고정 장치에 대하여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지중 케이블 고정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케이블 고정 장치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작업자의 작업 상의 실수로 지중 케이블 고정 장치의 체결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고정 장치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는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상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슬릿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 안착부를 관통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 유닛 및 상기 삽입 유닛의 상부에는 회전되도록 형성된 레버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를 가압 하강시켜 상기 상부 케이스에 압착시키고, 상기 삽입 유닛 및 레버는 상기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체결부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을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부에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부 접촉면 및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하부 접촉면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개구의 단면은 닫힌 도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의 단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1 직선부 및 제2 직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는 제1 곡선부 및 제2 곡선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의 단면을 형성하는 닫힌 도형은 종횡비가 상이하고, 상기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 사이의 수직 거리는 상기 제1 곡선부와 제2 곡선부 사이의 수직거리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의 상부 단면과 하부 단면은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의 상부 단면과 하부 단면은 서로 상이한 단면적을 가지고, 상기 제1 개구의 상부 단면적은 하부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하부에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상부 접촉면,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평면부, 상기 평면부에 배치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2 개구 및 측부에 상기 제2 개구가 배치된 방향으로 리세스되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를 가압 하강시켜 상기 상부 케이스에 압착시키되, 상기 레버가 하강되어 상기 오목부로 삽입되며 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가 결합되되, 상기 상부 접촉면은 상기 하부 접촉면에 연장되어 다각형, 원형 및 다각형 또는 원형의 일부가 복합된 형태의 닫힌 도형의 제3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3 개구에는 케이블이 관통되도록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개구의 내주면에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1 개구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1 개구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의 단면은 닫힌 도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의 단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3 직선부 및 제4 직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직선부 및 제4 직선부는 제3 곡선부 및 제4 곡선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의 단면을 형성하는 닫힌 도형은 종횡비가 상이하고, 상기 제3 직선부와 제4 직선부 사이의 수직 거리는 제3 곡선부와 제4 곡선부 사이의 수직거리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의 상부 단면과 하부 단면은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의 상부 단면과 하부 단면은 서로 상이한 단면적을 가지고, 상기 제2 개구의 상부 단면적은 하부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 안착부의 상기 슬릿은 상기 제1 개구 및 제2 개구와 오버랩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릿의 폭은 상기 제1 개구의 최하단을 이루는 상기 제1 직선부 및 제2 직선부의 수직 거리보다 더 크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 유닛은, 상기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는 레버가 조립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개구, 제2 개구 및 상기 슬릿을 통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 유닛의 상기 조립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 상기 평면부에 안착되고, 상기 조립부가 상기 평면부에 안착되어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평면부까지의 수직거리 높이 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단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5 직선부 및 제6 직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5 직선부와 제6 직선부는 제5 곡선부 및 제6 곡선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단면을 형성하는 닫힌 도형의 종횡비가 상이하고, 상기 제5 직선부와 제6 직선부 사이의 수직 거리는 제5 곡선부와 제6 곡선부 사이의 수직거리 보다 짧고, 상기 제5 곡선부와 제6 곡선부 사이의 수직거리는 상기 슬릿의 폭보다 큰것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 유닛의 몸체부 및 고정부는 상기 제1 개구, 제2 개구 및 슬릿에 삽입되고 소정각도 회전되어, 상기 고정부의 제5 곡선부와 제6 곡선부 사이의 수직거리와 상기 슬릿의 폭의 차이에 의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 안착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는 레버를 하강시켜 상부 케이스에 압착되어 삽입 유닛에 의하여 고정되는 원터치 방식으로 케이블을 고정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지중 케이블 고정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하여, 지중 케이블의 고정에 소비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강된 레버는 레버 삽입부로 삽입되어 은폐되므로 작업자의 작업 상의 실수로 레버의 가압이 해제되어 지중 케이블 고정 장치의 체결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케이블 고정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 장치의 각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 장치의 작동 관계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4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 장치의 작동 관계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 장치의 하면에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케이블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 장치의 작동 관계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케이블 고정 장치(100)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 장치(100)의 작동 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나아가, 도 4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 장치(100)의 작동 관계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 장치(100)의 하면에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케이블 고정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 및 각 구성요소 간의 결합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케이블 고정 장치(100)는 케이블(1)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110), 하부 케이스(110)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 케이스(1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상부 케이스(120), 하부 케이스(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에 슬릿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안착부(130)를 포함한다. 나아가, 하부 케이스(110), 상부 케이스(120) 및 하부 케이스 안착부(130)를 관통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 유닛(140) 및 레버(150)로 형성된다. 레버(150)는 삽입 유닛(140)의 상부에 조립가능하고,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레버(150)는 가압 하강되어 상부 케이스(120)를 압착시킨다. 이에, 삽입 유닛(140) 및 레버(150)에 의하여 상부 케이스(120), 하부 케이스(110) 및 하부 케이스 안착부(130)이 고정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10)는 상부 케이스(120)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하부 접촉면(111) 및 제1 개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10)의 상부에는 케이블(1)을 수용할 수 있는 하부 접촉면(111)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10)는 상부 케이스(120)와 결합하기 위하여 양쪽 끝단에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 개구(112)를 가진다. 제1 개구(112)는 하부 접촉면(111)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다.
제1 개구(112)의 단면은 닫힌 도형으로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1 직선부(112a) 및 제2 직선부(112b)를 구비한다. 제1 직선부(112a)와 제2 직선부(112b)는 제1 곡선부(112c) 및 제2 곡선부(112d)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개구(112)의 단면을 형성하는 닫힌 도형은 종횡비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직선부(112a)와 제2 직선부(112b) 사이의 수직 거리는 제1 곡선부(112c)와 제2 곡선부(112d) 사이의 수직거리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개구(112)의 상부 단면과 하부 단면은 동일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개구(112)의 상부 단면과 하부 단면은 서로 상이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는 제1 개구(112)의 상부 단면적은 하부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110)의 양측면에는 후술될 레버(150)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리세스부(113)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케이스(120)는 상부 접촉면(121), 돌출부(122), 평면부(123), 제2 제2 제2 개구(124) 및 오목부(125)를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120)의 하부에는 케이블(1)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상부 접촉면(121)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10)는 상부 케이스(120)가 결합되었을 경우, 상부 접촉면(121)은 하부 접촉면(111)에 연장되어 다각형, 원형 및 다각형 또는 원형의 일부가 복합된 형태의 닫힌 도형으로 형성되는 제3 개구(160)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개구(160)에는 케이블(1)이 관통되게 수용될 수 있다.
제3 개구(160)의 내주면에는 탄성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하부 케이스(110)는 상부 케이스(120)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제3 개구(160)에 케이블(1)이 수용될 때, 케이블(1)과 상기 탄성부재가 상호 접촉되어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돌출부(122)는 상부 케이스(120)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평면부(123)는 돌출부(122)의 하부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평면부(123)에는 상부 케이스(120)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기둥형 제2 개구(12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오목부(125)는 상부 케이스(120)의 측면에서 제2 개구(124)가 배치된 방향으로 리세스될 수 있다.
제2 개구(124)는 전술된 하부 케이스(120)의 제1 개구(112)와 오버랩되게 형성된다. 제2 개구(124)는 하부 케이스(120)의 제1 개구(112)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20)의 제2 개구(124)의 단면은 닫힌 도형으로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3 직선부(124a) 및 제4 직선부(124b)를 구비한다. 제3 직선부(124a)와 제4 직선부(124b)는 제3 곡선부(124c) 및 제4 곡선부(124d)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개구(124)의 단면을 형성하는 닫힌 도형은 종횡비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3 직선부(124a)와 제4 직선부(124b) 사이의 수직 거리는 제3 곡선부(124c)와 제4 곡선부(124d) 사이의 수직거리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개구(124)의 상부 단면과 하부 단면은 동일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개구(124)의 상부 단면과 하부 단면은 서로 상이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는 제2 개구(124)의 상부 단면적은 하부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하부 케이스 안착부(130) 상에는 전술된 하부 케이스(110), 케이블(1), 상부 케이스(120)가 차례로 적층되고, 하부 케이스(110)는 상부 케이스(120)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 안착부(130)는 도시와 같이 플레이트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하부 케이스 안착부(130)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 안착부(130)의 상부에는 슬릿(131)이 형성된다. 슬릿(131)은 전술된 하부 케이스(110)의 제1 개구(112) 및 제2 개구(124)와 오버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슬릿(131)의 폭은 슬릿(131)에 오버랩되는 제1 개구(112)의 최하단을 이루는 상기 제1 직선부(112a) 및 제2 직선부(112b)의 수직 거리보다 더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 유닛(140)은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141)와, 하단에 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부(142) 및 상단의 레버(150)와 서로 조립되는 조립부(143)를 포함한다. 삽입 유닛(140)과 레버(150)는 강성을 가지는 소재라면 그 소재에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폴리케톤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소재에서 소비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경량화가 가능하며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삽입 유닛(140)의 몸체부(141)와 고정부(142)는 상부 케이스(120)의 제1 개구(112), 하부 케이스(110)의 제2 개구(124) 및 하부 케이스 안착부(130)의 슬릿(131)을 관통하며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조립부(143)는 레버(150)가 조립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립부(143)는 도시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레버(150)가 조립될 수 있다. 조립부(143)는 상부 케이스(120)의 평면부(122)에 안착될 수 있다.
상세하게, 조립부(143)가 평면부(122)에 안착되어 돌출되는 높이는 돌출부(121)에서 평면부(122)까지의 수직거리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조립부(143)의 높이가 돌출부(122)에서 평면부(123)까지의 높이 차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조립부(143) 및 레버(150)에 의한 돌출이 최소화 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42)의 단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5 직선부(142a) 및 제6 직선부(142b)를 구비하고, 제5 직선부(142a)와 제6 직선부(142b)는 제5 곡선부(142c) 및 제6 곡선부(142d)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142)의 단면을 형성하는 닫힌 도형은 종횡비가 상이하고, 제5 직선부(142a)와 제6 직선부(142b) 사이의 수직 거리는 제5 곡선부(142c) 및 제6 곡선부(142d) 사이의 수직거리 보다 짧을 수 있다. 덧붙여, 제5 곡선부(142c) 및 제6 곡선부(142d) 사이의 수직거리는 슬릿(13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이에, 삽입 유닛(140)의 몸체부(141) 및 고정부(142)는 제1 개구(112), 제2 개구(124) 및 슬릿(131)에 삽입되고 소정각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소정각도는 바람직하게 90도일 수 있다.
고정부(142)의 제5 곡선부(142c)와 제6 곡선부(142d) 사이의 수직거리와 슬릿(131)의 폭의 차이에 의하여 삽입후 소정각도 회전되었을 때, 하부 케이스(110), 상부 케이스(120) 및 하부 케이스 안착부(130)를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삽입 유닛(140)과 레버(150)에 의한 케이블 고정 장치(100)의 체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하부 케이스 안착부(130) 상에 하부 케이스(110)를 적층하고 하부 접촉면(111)에 케이블(1)을 배치한다. 다음으로 상부 케이스(120)를 하부 케이스(110)에 적층하여 케이블(1)을 수용하는 제3 개구(160)를 형성한다. 이어서, 삽입 유닛(140)의 조립부(143)에 레버(150)를 조립하고, 상부 케이스(120)의 제2 개구(124), 하부 케이스(110)의 제1 개구(112) 및 슬릿(131)을 관통되도록 삽입 유닛(140)의 몸체부(141)과 고정부(142)를 삽입한다. 고정부(142)가 슬릿(131)으로 삽입되면, 레버(150)는 평면부(123)에 접촉될 수 있다. 평면부(123)에 접촉된 레버(150)를 소정각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삽입 유닛(140)이 소정각도 회전할 수 있다. 즉, 고정부(142)의 제5 곡선부(142c)와 제6 곡선부(142d) 사이의 수직거리와 슬릿(131)의 폭보다 넓게되어 물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레버(150)를 아래 방향으로 눌러 가압한다. 즉, 레버(150)는 가압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하강하므로 상부 케이스(120)에 압착되어 삽입 유닛(140)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다. 덧붙여, 하강된 레버(150)는 오목부(125) 로 삽입되어 은폐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 장치(100)의 작동 관계를 다양한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의 (a)를 참조하면, 케이블 고정 장치(100)의 레버(150)가 하강하며 압착되어 케이블(1)을 체결한 것을 도시하는 것이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의 (b)를 참조하면, 케이블 고정 장치(100)의 레버(150)가 압착되지 않은 열림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케이블 고정 장치(100)는 레버(150)를 이용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케이블(1)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는 케이블의 고정에 소비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버(150)를 아래 방향으로 눌러 가압하여 오목부(125) 로 레버를 삽입하였을 때, 조립부(143)의 높이가 돌출부(122) 에서 평면부(123)까지의 높이 차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조립부(143) 및 레버(150)에 의한 돌출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고정 장치(100)의 체결 시, 레버(150)는 오목부(125)로 은폐되므로, 케이블을 고정한 후 작업자가 추가적인 작업을 진행을 할 때, 작업 상의 실수로 레버(150)의 가압이 해제되어 케이블 고정 장치(100)의 체결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되는 다른 실시 예에서는 앞선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가 부여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케이블 고정 장치(20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케이블 고정 장치(200)의 작동 관계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케이블 고정 장치(200)의 각 구성요소 및 각 구성요소 간의 결합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케이블 고정 장치(200)는 케이블(1)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210), 하부 케이스(210)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 케이스(2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상부 케이스(220), 하부 케이스(2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에 슬릿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안착부(230)를 포함한다. 나아가, 하부 케이스(210), 상부 케이스(220) 및 하부 케이스 안착부(230)를 관통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 유닛(240) 및 레버(250)로 형성된다. 레버(250)는 삽입 유닛(240)의 상부에 조립가능하고,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레버(250)는 가압 하강되어 상부 케이스(220)를 압착시킨다. 이에, 삽입 유닛(240) 및 레버(250)에 의하여 상부 케이스(220), 하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 안착부(230)이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 고정 장치(200)의 오목부(225)는 전술된 도 1 내지 도 5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리세스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오목부(1225)는 케이블 고정 장치(200)의 정면에서 제2 개구(224)가 배치된 방향으로 리세스될 수 있다.
이에, 케이블 고정 장치(200)의 체결 시, 레버(250)는 전면에 배치된 오목부(225)로 은폐되므로, 측부에 별도의 장치가 배치되거나, 케이블 고정 장치(200)가 서로 좁은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도 레버(250)를 가압 시에 서로 간의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9)

  1.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상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에는 슬릿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안착부;
    상기 하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 안착부를 관통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 유닛; 및
    상기 삽입 유닛의 상부에는 회전되도록 형성된 레버가 조립되고, 상기 레버를 가압 하강시켜 상기 상부 케이스에 압착시키고,
    상기 삽입 유닛 및 레버는 상기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체결부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케이블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부에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부 접촉면; 및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하부 접촉면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개구의 단면은 닫힌 도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의 단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1 직선부 및 제2 직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는 제1 곡선부 및 제2 곡선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의 단면을 형성하는 닫힌 도형은 종횡비가 상이하고,
    상기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 사이의 수직 거리는 상기 제1 곡선부와 제2 곡선부 사이의 수직거리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의 상부 단면과 하부 단면은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의 상부 단면과 하부 단면은 서로 상이한 단면적을 가지고,
    상기 제1 개구의 상부 단면적은 하부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하부에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상부 접촉면;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평면부;
    상기 평면부에 배치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2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가 배치된 방향으로 리세스되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를 가압 하강시켜 상기 상부 케이스에 압착시키되, 상기 레버가 하강되어 상기 오목부로 삽입되며 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가 결합되되,
    상기 상부 접촉면은 상기 하부 접촉면에 연장되어 다각형, 원형 및 다각형 또는 원형의 일부가 복합된 형태의 닫힌 도형의 제3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3 개구에는 케이블이 관통되도록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개구의 내주면에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1 개구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1 개구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의 단면은 닫힌 도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의 단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3 직선부 및 제4 직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직선부 및 제4 직선부는 제3 곡선부 및 제4 곡선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의 단면을 형성하는 닫힌 도형은 종횡비가 상이하고,
    상기 제3 직선부와 제4 직선부 사이의 수직 거리는 제3 곡선부와 제4 곡선부 사이의 수직거리 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의 상부 단면과 하부 단면은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의 상부 단면과 하부 단면은 서로 상이한 단면적을 가지고,
    상기 제2 개구의 상부 단면적은 하부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는 케이블 고정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 안착부의 상기 슬릿은 상기 제1 개구 및 제2 개구와 오버랩되게 형성되고,
    상기 슬릿의 폭은 상기 제1 개구의 최하단을 이루는 상기 제1 직선부 및 제2 직선부의 수직 거리보다 더 크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유닛은,
    상기 원기둥 형태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는 레버가 조립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조립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개구, 제2 개구 및 상기 슬릿을 통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 유닛의 상기 조립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 상기 평면부에 안착되고, 상기 조립부가 상기 평면부에 안착되어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평면부까지의 수직거리 높이 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단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5 직선부 및 제6 직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5 직선부와 제6 직선부는 제5 곡선부 및 제6 곡선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단면을 형성하는 닫힌 도형의 종횡비가 상이하고,
    상기 제5 직선부와 제6 직선부 사이의 수직 거리는 제5 곡선부와 제6 곡선부 사이의 수직거리 보다 짧고,
    상기 제5 곡선부와 제6 곡선부 사이의 수직거리는 상기 슬릿의 폭보다 큰것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유닛의 몸체부 및 고정부는 상기 제1 개구, 제2 개구 및 슬릿에 삽입되고 소정각도 회전되어, 상기 고정부의 제5 곡선부와 제6 곡선부 사이의 수직거리와 상기 슬릿의 폭의 차이에 의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 안착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KR1020180047520A 2018-04-24 2018-04-24 케이블 고정 장치 KR102115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520A KR102115248B1 (ko) 2018-04-24 2018-04-24 케이블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520A KR102115248B1 (ko) 2018-04-24 2018-04-24 케이블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613A true KR20190123613A (ko) 2019-11-01
KR102115248B1 KR102115248B1 (ko) 2020-06-05

Family

ID=6853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520A KR102115248B1 (ko) 2018-04-24 2018-04-24 케이블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2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234B1 (ko) * 2020-04-24 2020-07-23 주식회사 씨에이파트너스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
KR102191319B1 (ko) * 2020-02-04 2020-12-16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공동주택 통신케이블의 설치장치
CN115085113A (zh) * 2022-08-23 2022-09-20 山东博诚电气有限公司 一种用于地下耐高压电缆的外部防护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5396A (ja) * 2006-09-22 2008-04-03 Mirai Ind Co Ltd インサート
KR20090057800A (ko) * 2007-12-03 2009-06-08 (주)신일다이캐스팅 파티션 연결장치
KR101303094B1 (ko) * 2012-06-01 2013-09-06 삼성파워텍주식회사 송·배전용 케이블의 고정부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5396A (ja) * 2006-09-22 2008-04-03 Mirai Ind Co Ltd インサート
KR20090057800A (ko) * 2007-12-03 2009-06-08 (주)신일다이캐스팅 파티션 연결장치
KR101303094B1 (ko) * 2012-06-01 2013-09-06 삼성파워텍주식회사 송·배전용 케이블의 고정부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319B1 (ko) * 2020-02-04 2020-12-16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공동주택 통신케이블의 설치장치
KR102137234B1 (ko) * 2020-04-24 2020-07-23 주식회사 씨에이파트너스 통신케이블 멀티 고정 장치
CN115085113A (zh) * 2022-08-23 2022-09-20 山东博诚电气有限公司 一种用于地下耐高压电缆的外部防护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248B1 (ko)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3613A (ko) 케이블 고정 장치
CN101821067B (zh) 用于手持式电机驱动工具的附接装置及手持式电机驱动工具
US8434248B2 (en) Excavation retention assembly
EP2878493B1 (en) Holder for cord-like member for working machine
AU2008269926B2 (en) Wear lining element and an arrangement for the attachment of such
CN102155587A (zh) 线缆夹具
EP1716339B1 (en) Clamping apparatus and method
EP2016321B1 (en) Mounting device for studs comprising t-shaped channels
EA024047B1 (ru) Устройство фиксации зубьев ковша экскаватора
CA3049824A1 (en) Standoff device and method of installation of harness
US20150323101A1 (en) Line clamp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9121528B2 (en) High strength blind installation hose and cable clamp retainer
KR100811242B1 (ko) 천장 부착용 고정장치
WO2015044631A2 (en) Fall prevention apparatus
KR101008020B1 (ko)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
CN201723848U (zh) 线缆夹具
US20070222130A1 (en) Quick release mechanism
KR200455943Y1 (ko) 케이블 포설기구
KR20110011481U (ko) 주철관의 플랜지 연결구조
KR20140001924U (ko) 플랜지용 퀵 클램프
KR101973400B1 (ko) 와이어 로프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 로프 고정방법
KR102617066B1 (ko) 연결기 및 그 분리 도구
KR102142685B1 (ko) 확장 볼트
JP5893718B1 (ja) 配線支持金具
JP5373878B2 (ja) 屋根補修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