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481U - 주철관의 플랜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주철관의 플랜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481U
KR20110011481U KR2020100005897U KR20100005897U KR20110011481U KR 20110011481 U KR20110011481 U KR 20110011481U KR 2020100005897 U KR2020100005897 U KR 2020100005897U KR 20100005897 U KR20100005897 U KR 20100005897U KR 20110011481 U KR20110011481 U KR 201100114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 iron
iron pipe
pin
pin insertion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8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경
Original Assignee
세창주철공업 주식회사
최윤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창주철공업 주식회사, 최윤경 filed Critical 세창주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58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1481U/ko
Publication of KR201100114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48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 연결용 플랜지부를 갖는 주철관의 플랜지부의 외주연에 다수의 핀삽입홀을 형성하고, 주철관의 본 결합 전에 상기 핀삽입홀을 통해 가결합용 핀부재를 삽입시켜 주철관과 주철관 사이가 가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관 연결작업을 적은 힘을 들여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인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관 연결작업 도중 주철관의 이탈 및 낙하로 인한 부상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주철관의 일측단을 가결합한 상태에서 볼트 및 너트의 체결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진행되며, 이로 인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주철관의 플랜지 연결구조{Flange structure for connecting cast iron pipes}
본 고안은 주철관의 플랜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수도관 또는 오/폐수관으로 사용되는 주철관들의 연결 작업시 상호 맞닿는 플랜지를 가결합시켜 하중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연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주철관의 플랜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철관은 상/하수도관 또는 오/폐수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주철관은 양측단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를 볼트 결합시켜 관로를 연결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주철관은 부피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작업자 혼자서 작업하기 어렵고, 플랜지를 체결하는 동안 주철관을 들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힘들고, 자칫 주철관을 놓쳐 부상을 당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주철관의 연결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5-135101호(2005년 12월 30일 출원)에 "주철관 연결용 플랜지 소켓 어셈블리"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주철관 연결용 플랜지 소켓 어셈블리는 주철관의 어느 한 단부에 나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주철관의 나선부에 결합링이 체결된 후, 상기 주철관의 나선부에 플랜지 소켓이 체결되고, 상기 결합링과 플랜지 소켓이 체결볼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주철관 연결용 플랜지 소켓 어셈블리는 작업자가 무거운 주철관 또는 플랜지 소켓을 돌려, 주철관과 플랜지 소켓을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현장에서 주철관과 플랜지 소켓을 체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주철관의 플랜지부의 외주연에 다수의 핀삽입홀을 형성하고, 주철관의 본 결합 전에 상기 핀삽입홀을 통해 가결합용 핀부재를 삽입시켜 주철관과 주철관 사이가 가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관 연결작업을 적은 힘을 들여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주철관의 플랜지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철관의 일측단을 가결합한 상태에서 볼트 및 너트의 체결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진행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관 연결용 플랜지부(120)를 갖는 주철관(110)에 있어서, 상기 주철관(110)과 대향 결합되는 주철관(110) 사이를 볼트(B) 및 너트(N)를 이용해 본 결합하기 전에 임의의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플랜지부(120)의 외주연 둘레에 다수의 핀삽입홀(130)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핀삽입홀(130)에는 착탈이 가능한 가결합용 핀부재(140)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철관의 플랜지 연결구조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핀삽입홀(130)은 플랜지부(120)의 외주연 중 가상의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대향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핀삽입홀(130)을 플랜지부(120)의 외주연 둘레에 2~4개로 등 간격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결합용 핀부재(140)는 핀삽입홀(130)에 삽입되는 핀베이스(141)가 형성되고, 상기 핀베이스(141)의 일측 끝단에는 핀삽입홀(130)의 외측면을 탄력적으로 가압시켜 가결합용 핀부재(140)의 이탈을 방지하는 탄성지지편(14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핀베이스(141)의 단면 형상을 자체 회전이 방지되는 키 형상으로 제작하고, 상기 핀삽입홀(130)의 형상은 핀베이스(141)의 키 형상에 대응하는 키홈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키 형상은 다각면을 갖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은 관 연결용 플랜지부를 갖는 주철관의 플랜지부의 외주연에 다수의 핀삽입홀을 형성하고, 주철관의 본 결합 전에 상기 핀삽입홀을 통해 가결합용 핀부재를 삽입시켜 주철관과 주철관 사이가 가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관 연결작업을 적은 힘을 들여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인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관 연결작업 도중 주철관의 이탈 및 낙하로 인한 부상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주철관의 일측단을 가결합한 상태에서 볼트 및 너트의 체결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진행되며, 이로 인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철관의 플랜지 연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핀삽입홀의 실시예를 도시한 플랜지부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결합용 핀부재를 이용해 주철관 사이를 가결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결합용 핀부재를 이용해 가결합된 주철관 사이를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해 본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철관의 플랜지 연결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주철관(110)은 좌, 우측 선단 중 적어도 어느 일측 선단에 플랜지부(12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한 플랜지부(120)는 그 둘레에 볼트(B)의 체결을 위한 다수의 체결용 홀(121)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용 홀(121)이 형성된 플랜지부(120)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핀삽입홀(130)이 형성되고 있다.
이때, 상기 핀삽입홀(130)은 주철관(110)과 이웃하는 주철관(110)의 연결 작업시에 가결합용 핀부재(140)를 관통 결합시켜 상호 맞닿는 한 쌍의 플랜지부(120) 사이가 임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핀삽입홀(130)은 플랜지부(120)의 외주연 중 가상의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대향 설치되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 핀삽입홀(130)을 플랜지부(120) 외주연 둘레에 2~4개로 등 간격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핀삽입홀(130)을 2개 미만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지지력이 약해, 가결합상태가 불완전해지거나 4개 이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지지점이 필요이상으로 늘어나 작업공수가 늘어나게 된다.
상기 핀삽입홀(130)에는 이에 대응하는 가결합용 핀부재(140)를 삽입하게 되는데, 상기 가결합용 핀부재(140)는 핀삽입홀(130)에 삽입되는 핀베이스(141)가 형성되고, 상기 핀베이스(141)의 일측 끝단에는 핀삽입홀(130)의 외측면을 탄력적으로 가압시켜 가결합용 핀부재(140)의 이탈을 방지하는 탄성지지편(143)이 형성되고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핀베이스(141)의 단면 형상을 자체 회전이 방지되는 키 형상으로 제작하고, 상기 핀삽입홀(130)의 형상은 핀베이스(141)의 키 형상에 대응하는 키홈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키 또는 키홈의 형상은 사각, 육각, 반달 등과 같이 주지된 다양한 형상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핀베이스(141)의 선단은 뾰족하거나 둥근형태로 가공시켜 진입이 쉽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지지편(143)은 핀베이스(141)와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선단에 상측으로 절곡된 라운드를 형성시켜 핀 삽입시 쉽게 벌어지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주철관 연결 작업에 대해 설명하면, 작업자는 연결하고자 하는 주철관(110)의 플랜지부(120)를 결합하고자 하는 주철관(110)의 플랜지부(120)에 맞닿도록 하여 각각의 핀삽입홀(130)을 가결합용 핀부재(140)를 이용해 관통 결합시키도록 한다.
이때, 핀베이스(141)가 핀삽입홀(130)에 진입하게 되면, 탄성지지편(143)이 벌어지면서 플랜지부(120) 외면을 자연스럽게 가압시켜 가결합용 핀부재(140)가 임의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가결합용 핀부재(140)는 본 결합 전까지 주철관(110)의 임의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주철관(110)의 일단이 하중 지지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체결용 홀(121)을 이용해 다수의 볼트(B) 및 너트(N)를 체결시켜 연결작업을 마무리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연결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상/하수도관로 또는 오/폐수관로를 계속해서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관 연결용 플랜지부를 갖는 주철관의 플랜지부의 외주연에 다수의 핀삽입홀을 형성하고, 주철관의 본 결합 전에 상기 핀삽입홀을 통해 가결합용 핀부재를 삽입시켜 주철관과 주철관 사이가 가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관 연결작업을 적은 힘을 들여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한 본 고안은 작업인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관 연결작업 도중 주철관의 이탈 및 낙하로 인한 부상을 방지하게 되며, 주철관의 일측단을 가결합한 상태에서 볼트 및 너트의 체결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0: 주철관
120: 플랜지부
121: 체결용 홀
130: 핀삽입홀
140: 가결합용 핀부재
141: 핀 베이스
143: 탄성 지지편
B: 볼트
N: 너트

Claims (6)

  1. 관 연결용 플랜지부(120)를 갖는 주철관(110)에 있어서, 상기 주철관(110)과 대향 결합되는 주철관(110) 사이를 볼트(B) 및 너트(N)를 이용해 본 결합하기 전에 임의의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플랜지부(120)의 외주연 둘레에 다수의 핀삽입홀(130)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핀삽입홀(130)에는 착탈이 가능한 가결합용 핀부재(140)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철관의 플랜지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삽입홀(130)은 플랜지부(120)의 외주연 중 가상의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대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철관의 플랜지 연결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삽입홀(130)을 플랜지부(120) 외주연 둘레에 2~4개로 등 간격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철관의 플랜지 연결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결합용 핀부재(140)는 핀삽입홀(130)에 삽입되는 핀베이스(141)가 형성되고, 상기 핀베이스(141)의 일측 끝단에는 핀삽입홀(130)의 외측면을 탄력적으로 가압시켜 가결합용 핀부재(140)의 이탈을 방지하는 탄성지지편(14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철관의 플랜지 연결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핀베이스(141)의 단면 형상을 자체 회전이 방지되는 키 형상으로 제작하고, 상기 핀삽입홀(130)의 형상은 핀베이스(141)의 키 형상에 대응하는 키홈으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철관의 플랜지 연결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키 형상은 다각면을 갖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철관의 플랜지 연결구조.
KR2020100005897U 2010-06-07 2010-06-07 주철관의 플랜지 연결구조 KR2011001148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897U KR20110011481U (ko) 2010-06-07 2010-06-07 주철관의 플랜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897U KR20110011481U (ko) 2010-06-07 2010-06-07 주철관의 플랜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481U true KR20110011481U (ko) 2011-12-14

Family

ID=72887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897U KR20110011481U (ko) 2010-06-07 2010-06-07 주철관의 플랜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1481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7383A (zh) * 2013-10-23 2014-02-05 昆山邦琪盛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管夹头
CN103982721A (zh) * 2014-04-25 2014-08-13 夏云美 一种法兰盘
KR102186509B1 (ko) * 2019-12-09 2020-12-03 김덕균 배관고정부재
KR102221522B1 (ko) * 2020-08-20 2021-03-02 박경헌 작업성과 조립성이 개선된 공조덕트를 갖는 공조 시스템
KR102346930B1 (ko) * 2021-02-02 2022-01-05 테크줌코리아 합자회사 이동식 소형 근접 반전구 및 이를 구비하는 상하수도 배관 비굴착 보수 갱생장치와 그를 이용하는 상하수도 배관 비굴착 보수 갱생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7383A (zh) * 2013-10-23 2014-02-05 昆山邦琪盛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管夹头
CN103982721A (zh) * 2014-04-25 2014-08-13 夏云美 一种法兰盘
KR102186509B1 (ko) * 2019-12-09 2020-12-03 김덕균 배관고정부재
KR102221522B1 (ko) * 2020-08-20 2021-03-02 박경헌 작업성과 조립성이 개선된 공조덕트를 갖는 공조 시스템
KR102346930B1 (ko) * 2021-02-02 2022-01-05 테크줌코리아 합자회사 이동식 소형 근접 반전구 및 이를 구비하는 상하수도 배관 비굴착 보수 갱생장치와 그를 이용하는 상하수도 배관 비굴착 보수 갱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1481U (ko) 주철관의 플랜지 연결구조
EP2100059B1 (en) Divisible sprocket wheel
EP2073901B1 (en) Coupler
KR101110519B1 (ko) 배관 고정용 클램프
CA2797176A1 (en)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KR200466365Y1 (ko) 놀이시설물의 클램핑 장치
KR20130107009A (ko) 비계파이프 결합용 클램프
KR100949843B1 (ko) 안전성이 우수한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
KR20110011480U (ko) 주철관 연결용 플랜지구조
KR101190110B1 (ko) 다양한 모양을 수용하는 조인트연결 멀티 하우징
KR100915629B1 (ko) 건축용 파이프 고정구
KR20090114055A (ko) 배관용 렌치
KR100512317B1 (ko) 차폐각 확보를 위한 가공지선 지지대
KR200395191Y1 (ko) 펜스구조물 조립장치
KR200462293Y1 (ko) 배관 고정용 클램프
KR200443198Y1 (ko)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
KR101243856B1 (ko) Kuh 메인 기어 박스를 지지하는 핏팅의 이중 안전 장치
KR101009506B1 (ko) 전주용 완금밴드장치
KR20120060691A (ko) 안전망 가설용 걸이장치
CN205799345U (zh) 用于拆卸u型棚螺栓的液压扳手套筒
KR20130139429A (ko) 맨홀 뚜껑 고정 구조
KR20190001414U (ko) 플랜지 연결용 너트 고정지그
KR20110088023A (ko) 볼트 너트 고정 앙카
KR101541905B1 (ko) 파이프 클램프
JP7119964B2 (ja) 結合ピン着脱治具及び結合ピン着脱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DISMISSAL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210

Effective date: 2013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