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198Y1 -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3198Y1 KR200443198Y1 KR2020080013638U KR20080013638U KR200443198Y1 KR 200443198 Y1 KR200443198 Y1 KR 200443198Y1 KR 2020080013638 U KR2020080013638 U KR 2020080013638U KR 20080013638 U KR20080013638 U KR 20080013638U KR 200443198 Y1 KR200443198 Y1 KR 20044319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wage discharge
- discharge pipe
- sewage
- main body
- power pla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28—Arrangements for introducing fluent material into the reactor core; Arrangements for removing fluent material from the reactor core
- G21C19/30—Arrangements for introducing fluent material into the reactor core; Arrangements for removing fluent material from the reactor core with continuous purification of circulating fluent material, e.g. by extraction of fission products deterioration or corrosion products, impurities, e.g. by cold traps
- G21C19/307—Arrangements for introducing fluent material into the reactor core; Arrangements for removing fluent material from the reactor core with continuous purification of circulating fluent material, e.g. by extraction of fission products deterioration or corrosion products, impurities, e.g. by cold trap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9/00—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자력 발전소의 기기 오버홀시 기기로부터 오수배출구로 이어지는 오수배출관을 오수배출구상에 고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수배출구로부터 오수배출관이 이탈로 인한 작업장 내의 방사능 물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A)는,
오수배출구(50) 입구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벽(11)을 갖는 원판 형태의 것이되 외벽(11) 상단 둘레에 환턱(12)이 마련되고, 환턱(12) 하부의 외벽(11) 둘레에 방사상으로 고정편(13)이 마련되며, 바닥면에 동일 직경 또는 비동일 직경으로 된 하나 이상의 통공(14)이 마련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통공(14)에 결합되어 오수배출관(40) 선단을 수용하는 것으로, 중간에 굴곡부(21)가 마련되고, 굴곡부(21) 양단에 내측으로 향하면서 점차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된 삽입부(22)가 마련되며, 상단 삽입부(22)의 선단에 조임 정도의 조절이 자유로운 조임링(23)이 마련되고, 하단 삽입부(22)의 선단 외면에 걸림테두리(24)와 나선(25)이 마련된 연결관(20)과;
상기 연결관(20)의 나선(25)에 결합되어 본체(10)의 통공(14)을 관통하는 연결관(20) 선단을 본체(10)에 고정하는 것으로, 내주면에 연결관(20)의 나선(25)과 맞물리는 나선(31)이 마련된 결속링(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오수, 연결구, 오수배출관, 오수배출구, 원자력, 발전소, 기기, 오버홀, 유출, 방사능물질, 오염, 본체, 환턱, 고정편, 통공, 연결관, 굴곡부, 삽입부, 조임링, 걸림테두리, 나선, 결속링, 방지
Description
본 고안은 오수배출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자력 발전소의 기기 오버홀시 기기로부터 오수배출구로 이어지는 오수배출관을 오수배출구상에 고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수배출구로부터 오수배출관이 이탈로 인한 작업장 내의 방사능 물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분해수리라고도 하는 오버홀은 기기를 분해해서 세밀히 점검하고, 부품이 손상된 것이 있으면 교환하는 작업을 말하는 것으로, 잠시 동안의 정지도 허용되지 않는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기기의 고장 및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한편, 원자력 발전소 기기 대다수의 내부에는 방사능 물질을 함유한 오일 등의 각종 오수가 포함되어 있어 오버홀 과정에서 방사능 물질을 함유한 오수의 유출이 뒤따르게 된다.
이때, 방사능 물질을 함유한 오수를 그대로 하수구로 배출하는 경우 환경 오염을 유발하게 되므로 오버홀을 실시하는 현장에서는 기기로부터 배출되는 방사능 물질 함유한 오수를 따로이 수거한 후 적절한 처리 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방지하고 있다.
환경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오버홀시의 오수 수거 과정은 통상 오버홀 대상이 되는 기기에 굴곡이 자유로운 호스 형태의 오수배출관을 연결하여 오수배출관으로써 기기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오수배출구로 유도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오수배출관으로써 오수를 오수배출구로 유도하는 오버홀시 오수 수거방법은 기기로부터 배출되는 오수가 오수배출관 내부를 거쳐 오수배출구로 유도되므로 오버홀 과정에서 기기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수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에서 오수배출관은 일단이 기기에 고정된 것에 반해 타단은 단순히 오수배출구 내측으로 이어지도록 된 것이어서 작업자가 이동중에 오수배출관을 발로 차거나 오수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의 배출압이 과도한 경우 자칫 오수배출관이 오수배출구로부터 이탈하여 오수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방사능 물질을 함유한 오수가 오수배출구로 유출되지 아니하고 오수배출구 주변으로 유출되어 오수배출구 주변이 방사능 물질을 오염되는 경우가 빈번한 문제가 있었다.
이때, 오수배출구로 유출되지 아니하고 오수배출구 주변으로 유출된 방사능 물질을 함유한 오수는 단순히 오수배출구 주변만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자 왕래 등의 이유로 작업장 전체에 영향을 미쳐 추가 오염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관계자들은 오버홀시 기기로부터 이어지는 오수배출관을 오수배출구에 고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전용 수단을 요구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해당 분야에서는 관계자들이 요구하는 목적을 달성할 만한 전용 수단을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원자력 발전소의 기기 오버홀시 기기로부터 오수배출구로 이어지는 오수배출관을 오수배출구상에 고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수배출구로부터 오수배출관이 이탈로 인한 작업장 내의 방사능 물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는,
오수배출구 입구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벽을 갖는 원판 형태의 것이되 외벽 상단 둘레에 환턱이 마련되고, 환턱 하부의 외벽 둘레에 방사상으로 고정편이 마련되며, 바닥면에 동일 직경 또는 비동일 직경으로 된 하나 이상의 통공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통공에 결합되어 오수배출관 선단을 수용하는 것으로, 중간에 굴곡부가 마련되고, 굴곡부 양단에 내측으로 향하면서 점차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된 삽입부가 마련되며, 상단 삽입부의 선단에 조임 정도의 조절이 자유로운 조임링이 마련되고, 하단 삽입부의 선단 외면에 걸림테두리와 나선이 마련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나선에 결합되어 본체의 통공을 관통하는 연결관 선단을 본체 에 고정하는 것으로, 내주면에 연결관의 나선과 맞물리는 나선이 마련된 결속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는, 본체에 고정편이 마련되어 본체를 오수배출구 입구에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연결관에 내측으로 향하면서 점차로 직경이 작아지는 삽입부와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조임링이 마련되어 오수배출관을 견고히 결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인 바, 오수배출관이 오수배출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오수배출구로부터의 오수배출관 이탈에 따른 작업장 내의 방사능 물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에서 본체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를 통한 오수배출관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A)는, 본체(10)와, 연결관(20)과, 결속링(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오수배출구(50) 입구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벽(11)을 갖는 원판 형태의 것이되 외벽(11) 상단 둘레에 환턱(12)이 마련된 것이고, 환턱(12) 하부의 외벽(11) 둘레에 방사상으로 고정편(13)이 마련된 것이며, 바닥면에 동일 직경 또는 비동일 직경으로 된 하나 이상의 통공(14)이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체(10)에서 환턱(12)은 오수배출구(50) 입구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으로 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환턱(12)의 직경이 오수배출구(50) 입구의 직경에 비해 크게 됨으로써 본체(10)를 오수배출구(50)상에 결합할 때 환턱(12)이 오수배출구(50) 입구 상단에 걸리게 되므로 본체(10)가 오수배출구(50) 입구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10)에서 고정편(13)은 그 외경이 오수배출구(50) 입구의 직경에 비해 5mm 내외로 소폭 큰 것임이 바람직하다.
고정편(13)의 외경이 오수배출구(50) 입구 직경에 비해 소폭 크게 됨으로써 본체(10)가 오수배출구(50)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편(13) 상면이 오수배출구(50) 입구 하단에 걸리게 되므로 본체(10)가 상부로 들어올려져 오수배출구(5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관(20)은 본체(10)의 통공(14)에 결합되어 오수배출관(40) 선단을 수용하는 것으로, 중간에 굴곡부(21)가 마련된 것이고, 굴곡부(21) 양단에 내측으로 향하면서 점차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된 삽입부(22)가 마련된 것이며, 상단 삽입부(22)의 선단에 조임 정도의 조절이 자유로운 조임링(23)이 마련된 것이고, 하단 삽입부(22)의 선단 외면에 걸림테두리(24)와 나선(25)이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관(20)에서 굴곡부(21)는 기기로부터 이어지는 오수배출관(40)의 진입 상태에 따라 굴곡 정도를 달리하는 것이다.
즉, 오수배출관(40)이 바닥을 따라 진입하는 경우 상단 삽입부(22)가 바닥에 근접하도록 굽힘 정도가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오수배출관(40)이 공중에 매달린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상단 삽입부(22)가 비스듬히 상측를 향하도록 굽힘 정도가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결관(20)은 본체(10)의 통공(14)상에서 회전이 자유로운 것임이 바람직하다.
연결관(20)의 회전이 자유롭게 됨으로써 방향에 제한 없이 오수배출관(40)과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결속링(40)은 연결관(20)의 나선(25)에 결합되어 본체(10)의 통공(14)을 관통하는 연결관(20) 선단을 본체(10)에 고정하는 것으로, 내주면에 연결관(20)의 나선(25)과 맞물리는 나선(31)이 마련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A)의 사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배출구(50)상에 결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본체(10)의 외벽(11) 상단 둘레에는 환턱(12) 마련되어 있는 바, 본체(10) 하단을 오수배출구(50) 입구에 삽입하게 되면 환턱(12)이 오수배출구(50) 입구 둘레에 걸리면서 본체(10)가 오수배출구(50)상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체(10) 외벽(11) 둘레에는 방사상으로 고정편(13)이 마련되어 있는 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13) 상면이 오수배출구(50) 입구 저면에 걸리게 되므로 본체(10)가 상부로 들려 오수배출구(5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10)의 고정편(13)은 그 외경이 오수배출구(50) 직경에 비해 다소 큰 것이나 환턱(12)과 고정편(13) 사이에 간격이 마련되어 있어 본체(10)를 비스듬히 기울여 삽입함으로써 고정편(13)을 오수배출구(50) 내측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본체(10)가 오수배출구(50)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각 연결관(20)에 오버홀 대 상이 되는 기기로부터 이어지는 오수배출관(40) 선단이 결합된다.
각 연결관(20) 상단에는 내측으로 향하면서 점차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된 삽입부(22)가 마련되어 있는 바, 오수배출관(40) 선단을 삽입부(22) 내측에 끼워 넣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배출관(40) 선단이 조여지며 삽입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연결관(20)의 상단 삽입부(22)에는 조임 정도의 조절이 자유로운 조임링(23)이 마련되어 있는 바, 오수배출관(40) 선단이 연결관(20)의 삽입부(22)에 끼워진 상태에서 조임링(23)을 조임으로써 오수배출관(40)과 연결관(20)의 결합상태를 견고히 결속할 수 있게 되므로 연결관(20)으로부터 오수배출관(40)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기기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는 오수배출관(40)과 연결관(20)을 거쳐 오수배출구(50)를 통해서만 유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연결관(20)의 굴곡부(21)는 오수배출관(40)이 바닥을 따라 진입하는 경우를 감안하여 오수배출관(40) 내측에서의 오수 흐름에 부하를 주지 않도록 상단 삽입부(22)가 바닥에 근접하도록 굴곡을 이루거나, 오수배출관(40)이 공중에 부양된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를 감안하여 오수배출관(40) 내측에서의 오수 흐름에 부하를 주지 않도록 상단 삽입부(22)가 비스듬히 상측을 향하도록 굴곡을 이루는 것이어서 오수배출관(40) 내에서의 오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에서 본체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를 통한 오수배출관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외벽
12 : 환턱 13 : 고정편
14 : 통공 20 : 연결관
21 : 굴곡부 22 : 삽입부
23 : 조임링 24 : 걸림테두리
25 : 나선 30 : 결속링
31 : 나선 40 : 오수배출관
50 : 오수배출구 A : 오수배출관 연결구
Claims (3)
- 오수배출구 입구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벽을 갖는 원판 형태의 것이되 외벽 상단 둘레에 환턱이 마련되고, 환턱 하부의 외벽 둘레에 방사상으로 고정편이 마련되며, 바닥면에 동일 직경 또는 비동일 직경으로 된 하나 이상의 통공이 마련된 본체와;상기 본체의 통공에 결합되어 오수배출관 선단을 수용하는 것으로, 중간에 굴곡부가 마련되고, 굴곡부 양단에 내측으로 향하면서 점차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된 삽입부가 마련되며, 상단 삽입부의 선단에 조임 정도의 조절이 자유로운 조임링이 마련되고, 하단 삽입부의 선단 외면에 걸림테두리와 나선이 마련된 연결관과;상기 연결관의 나선에 결합되어 본체의 통공을 관통하는 연결관 선단을 본체에 고정하는 것으로, 내주면에 연결관의 나선과 맞물리는 나선이 마련된 결속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연결관은 결속링에 의해 본체에 고정되되, 본체의 통공상에서 회전이 자유로운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연결관의 굴곡부는 오수배출관의 진입 상태에 따라 굴곡 정도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3638U KR200443198Y1 (ko) | 2008-10-13 | 2008-10-13 |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3638U KR200443198Y1 (ko) | 2008-10-13 | 2008-10-13 |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3198Y1 true KR200443198Y1 (ko) | 2009-01-21 |
Family
ID=41345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13638U KR200443198Y1 (ko) | 2008-10-13 | 2008-10-13 |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3198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1191Y1 (ko) | 2010-09-02 | 2010-12-02 |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 |
-
2008
- 2008-10-13 KR KR2020080013638U patent/KR20044319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1191Y1 (ko) | 2010-09-02 | 2010-12-02 |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29562B1 (ko) | 이중관 수전 연결구 | |
US10465370B2 (en) | Pipe connector | |
CA2896234C (en) | Adapter for a flue gas outlet | |
AU2009214387B2 (en) | Arrangement for producing a connection possibility, in particular for a sprinkler on a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floor, and method therefor | |
JP2011102497A (ja) | 横引管の支持具 | |
US10781949B2 (en) | Pipe connector and a pipe connector unit | |
KR200443198Y1 (ko) |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 | |
KR100989052B1 (ko) | 관체 연결 장치 | |
KR101095818B1 (ko) | 배관용 파이프 행거 | |
CN103097618A (zh) | 改进的水龙头安装件 | |
KR200462907Y1 (ko) | 바닥 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 |
EP3156726B1 (en) | Tubular coupling piece and branch pipe, particularly for use in a pipe system of a ventilation or flue gas discharge channel | |
JP4794304B2 (ja) | 消火栓用分岐管 | |
JP2010185574A (ja) | 管路における不平均力の支持装置 | |
KR20130004571U (ko) | 관로에 설치되어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배관용 피팅 | |
KR200462635Y1 (ko) | 배수관 연결이 용이한 교량의 배수처리장치 | |
US20140263002A1 (en) | Universal Drain Adapter | |
KR101356121B1 (ko) | 소프트실 가동형 제수밸브 | |
WO2017064572A1 (en) | A flexible collar with quick action coupling means | |
JP6010171B1 (ja) | 仮設排水金具 | |
KR101257511B1 (ko) | 집합 배수장치 | |
GB2522040A (en) | Duct assembly | |
KR200328184Y1 (ko) | 하수도 맨홀 낙수 방지장치 | |
TW201524578A (zh) | 逆滲透濾心管件的擋環 | |
KR200480854Y1 (ko) | 가스 배관의 에어 블로워 결합구조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9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