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191Y1 -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1191Y1 KR200451191Y1 KR2020100009238U KR20100009238U KR200451191Y1 KR 200451191 Y1 KR200451191 Y1 KR 200451191Y1 KR 2020100009238 U KR2020100009238 U KR 2020100009238U KR 20100009238 U KR20100009238 U KR 20100009238U KR 200451191 Y1 KR200451191 Y1 KR 20045119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wage
- pipe
- cap
- induction pipe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28—Arrangements for introducing fluent material into the reactor core; Arrangements for removing fluent material from the reactor core
- G21C19/30—Arrangements for introducing fluent material into the reactor core; Arrangements for removing fluent material from the reactor core with continuous purification of circulating fluent material, e.g. by extraction of fission products deterioration or corrosion products, impurities, e.g. by cold traps
- G21C19/307—Arrangements for introducing fluent material into the reactor core; Arrangements for removing fluent material from the reactor core with continuous purification of circulating fluent material, e.g. by extraction of fission products deterioration or corrosion products, impurities, e.g. by cold trap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2—Arrangement of sewer pipe-lines or pipe-line system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하로 관통되면서 상단부측 외주면에는 등간격으로 복수의 연결관(11)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11)의 하측 외주면은 일정 높이가 보다 직경이 축소되도록 하여 캡 가이드홈(12)을 형성하며, 캡 가이드홈(12)의 하단부는 하향 일정 높이가 오수배출구(60)의 내경에 맞춤 결합되도록 직경이 확대되도록 하여 삽입단부(13)를 이루는 오수유도관(10)과; 상기 오수유도관(10)의 캡 가이드홈(12)에 양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오수유도관(10)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단부는 오수배출구(60)의 상부면 외주연부를 따라 복수의 체결수단(21)을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베어링 캡(20)과; 상기 오수유도관(10)의 상단부를 커버하면서 상부면의 중앙에는 상향 개방되도록 하는 관형 결합부(31)를 구비하고, 상기 관형 결합부(31)로부터 상기 오수유도관(10)의 각 연결관(11)이 형성되는 위치에 이르도록 복수의 엘이디를 직선으로 연결시킨 지시등(32)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상부 캡(30); 및 상기 상부 캡(30)의 관형 결합부(31)에 체결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를 내장한 전원공급구(41)와, 상기 전원공급구(41)의 상부면으로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게 안치되면서 상부로 복수의 엘이디(44)가 결합되는 표시등 소켓(43)과, 상기 표시등 소켓(43)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투명의 윈도우 커버(45)로서 이루어지는 조명부(4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수배출관을 적절한 위치에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면서 오수배출관의 연결 위치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어두운 작업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에서 대부분의 기기는 내부가 방사능 물질을 함유한 오일 등의 각종 오수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기기의 고장 및 사고 방지를 위한 기기의 분해와 교환 및 점검 과정에서 방사능 물질을 함유한 오수의 유출이 유발되기도 한다.
방사능 물질을 함유한 오수가 그대로 배출되면 심각한 환경 오염을 유발하게 되며, 따라서 작업 현장에서는 기기들로부터의 방사능 물질을 함유한 오수를 별도로 수거토록 하여 적절한 처리 과정을 거치게 하므로서 환경 오염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오수의 수거는 기기에 오수배출관을 연결하여 배출되도록 하며, 이때의 오수배출관은 자유로운 휨이 가능한 호스 형태로 구비되도록 하고, 오수배출관의 기기측 연결단부와 대응되는 타단은 오수배출구에 단순히 삽입되도록 하기도 하였으나 부주의로 오수배출관을 발로 차게 되는 경우 오수배출구에 삽입된 단부가 오수배출구로부터 이탈되면서 방사능 물질을 함유한 오수에 의해 오수배출구 주변이 오염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
이를 위해서 오수배출관과 오수배출구를 고정되게 연결하도록 하는 연결구가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 연결구 본체에 구비되는 연결관은 오수배출관과의 연결 위치가 유연하지 못한 불편이 있으며, 오수배출구를 형성하는 작업 현장은 대개 어두워 연결설치 이후에도 점검 및 수리 작업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오수배출구의 상단부에는 반원형 베어링 캡이 고정되도록 하여 이 베어링 캡에 본체 하단부 외주면이 회전 가능하도록 하면서 상향 이탈이 방지되게 구비되도록 하여 상단부 외주면에 등각으로 형성한 연결관에 안전하게 오수배출관이 연결되게 하므로 오수배출관이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오수배출관의 연결 상태가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측 커버에는 중앙으로부터 오수유도관의 외주면에 등각으로 형성한 각 연결관을 향하도록 LED램프를 구비하면서 중앙의 상부에는 설치 위치를 정확히 알려주는 동시에 조명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LED램프가 구비되도록 하여 어두운 작업 환경에서 보다 정확하고 안전한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는, 상하로 관통되면서 상단부측 외주면에는 등간격으로 오수배출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연결관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의 하측 외주면은 일정 높이가 보다 직경이 축소되도록 하여 캡 가이드홈을 형성하며, 캡 가이드홈의 하단부는 하향 일정 높이가 오수배출구의 내경에 맞춤 결합되도록 직경이 확대되도록 하여 삽입단부를 이루는 오수유도관과; 상기 오수유도관의 캡 가이드홈에 양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오수유도관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단부는 오수배출구의 상부면 외주연부를 따라 복수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베어링 캡과; 상기 오수유도관의 상단부를 커버하면서 상부면의 중앙에는 상향 개방되도록 하는 관형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형 결합부로부터 상기 오수유도관의 각 연결관이 형성되는 위치에 이르도록 복수의 엘이디를 직선으로 연결시킨 지시등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상부 캡; 및 상기 상부 캡의 관형 결합부에 체결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를 내장한 전원공급구와, 상기 전원공급구의 상부면으로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게 안치되면서 상부로 복수의 엘이디가 결합되는 표시등 소켓과, 상기 표시등 소켓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투명의 윈도우 커버로서 이루어지는 조명부로서 구비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오수유도관과 상기 베어링 캡의 마주보는 면 사이로 베어링이 결합되게 하는 것도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어링 캡은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바디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호 마주보는 단면간 외측으로 보다 연장되도록 한 플랜지면간으로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오수유도관과 상기 상부 캡에는 상기 상부 캡의 지시등과 상기 오수유도관의 연결관이 동일 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위치결정수단이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오수유도관의 상단부와 상기 상부 캡의 외주연 단부간으로 형성되는 맞춤돌기와 맞춤홈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는 오수배출구에 연결한 상태에서도 오수배출관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연결시킬 수가 있도록 하는 동시에 오수배출관의 연결 상태나 그 위치 등을 엘이디 램프를 통해 정확히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보수 및 점검이 안정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고안은 보수 또는 점검 중 오수배출관에 일정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충격을 받는 방향으로 오수배출관을 결합한 오수유도관이 회전되게 하므로서 이 연결부위의 결합력을 일정 이상으로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에 오수배출관을 연결한 구성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를 오수배출구에 적용한 실시예 결합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의 오수유도관이 회전되는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에 오수배출관을 연결한 구성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를 오수배출구에 적용한 실시예 결합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의 오수유도관이 회전되는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는 크게 오수유도관(10)과 베어링 캡(20)과 상부 캡(30)과 조명부(40)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고안의 구성에서 오수유도관(10)은 원형의 상하로 관통되도록 한 비교적 큰 사이즈의 원통형성으로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오수유도관(10)의 외주면 상부에는 균일한 각도로 오수배출관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관(11)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연결관(11)의 하부측 오수유도관(10)의 외주면은 일정한 직경으로 일정 높이가 연결관(11)을 형성하는 외주면보다는 축소되게 하므로서 캡 가이드홈(12)이 구비되도록 한다.
즉 캡 가이드홈(12)은 오수유도관(10)의 외주면을 일정 깊이로 요입되도록 하는 형상이며, 이런 캡 가이드홈(12)의 하단부는 연결관(11)을 형성한 외주면과 동일한 직경이 되도록 하므로서 결국 캡 가이드홈(12)은 오수유도관(10)의 외주면을 "ㄷ"자 형상으로 요입되게 하는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캡 가이드홈(12)의 하단부는 오수배수관의 내경보다는 작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러한 하단부의 외측 단부는 일정한 높이로 하향 연장되게 하므로서 삽입단부(13)를 형성하여 오수배출구의 내부에 맞춤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베어링 캡(20)은 오수유도관(10)을 회전 가능하게 외측에서 지지하면서 본 고안을 오수배출구의 상부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이다.
베어링 캡(20)은 내경이 오수유도관(10)에 형성한 캡 가이드홈(12)의 내경보다는 크게 형성되도록 하고, 외경은 오수유도관(10)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한 쌍의 반원형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따라서 베어링 캡(20)은 상호 양단부간 마주보게 오수유도관(10)의 캡 가이드홈(12)으로 삽입되면서 마주보는 양단부간을 면밀착시켜 체결수단(22)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베어링 캡(20)의 양단부와 하단부는 일정한 폭으로 외측으로 연장되게 하므로서 체결수단(22)이 체결될 수 있는 플랜지면(21)을 형성하도록 하고, 양 베어링 캡(20)의 상호 마주보는 플랜지면(21)간을 밀착시키면서 체결수단(22)을 이용하여 결합되게 하므로서 한 쌍의 베어링 캡(20)간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동시에 오수배출구의 상단부 외주연부으로도 체결수단(21)을 이용해서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베어링 캡(20)의 오수유도관(10)과 상호 대향하는 면인 상부면의 내측 주연부와 내주면에는 별도로 베어링이 배설되게 하므로서 오수유도관(10)이 베어링 캡(20)을 축으로 원활하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는 것도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오수유도관(10)의 상향 개방되도록 한 상단부를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캡(30)은 오수유도관(10)의 상단부로 체해결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런 상부 캡(30)의 상부면에는 내부가 상향 개방되도록 하는 관형 결합부(31)가 일정 높이로 구비되도록 한다.
관형 결합부(31)로부터 오수유도관(10)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는 연결관(11)과 동일한 방향으로 지시등(32)이 형성되도록 한다.
지시등(32)은 상부 캡(30)의 상부면에서 중앙의 관형 결합부(31)로부터 각 연결관(11)을 향해 외주면 단부에 이르는 길이로 형성되는 램프 가이드(320)에 복수의 엘이디를 직렬로 연결되도록 한 램프 연결구(321)를 결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의 램프 가이드(320)는 상향 개방되도록 하여 램프 연결구(321)가 삽입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특히 오수유도관(10)과 상부 캡(30)에는 지시등(32)과 연결관(11)이 동일 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위치결정수단(50)이 구비되도록 하며, 이런 위치결정수단(50)으로는 오수유도관(10)의 상단부와 상부 캡(30)의 외주연 단부간으로 형성되는 맞춤돌기와 맞춤홈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만 본 고안의 상부 캡(30)은 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관형 결합부(31)에는 조명부(40)가 결합되도록 한다.
조명부(40)는 다시 전원공급구(41)와 표시등 소켓(42)과 윈도우 커버(43)로 이루어진다.
조명부(40)의 전원공급구(41)는 외주면이 관형 결합부(31)에 나사 결합에 의해 삽입되도록 하면서 관형 결합부(31)에 삽입된 부위의 상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외주면에는 각 램프 연결구(321)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323)이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공급구(41)의 내부에는 배터리가 내장되며, 상단부에는 전극봉(42)이 일정 높이로 상향 돌출되도록 한다.
전원공급구(41)에는 표시등 소켓(43)이 상부에서 안착되도록 하며, 이때 표시등 소켓(43)의 저면으로는 전극봉(42)이 맞춤 삽입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다.
이런 표시등 소켓(43)의 상부에는 복수의 엘이디(44)가 연결되도록 하며, 이렇게 복수의 엘이디(44)가 결합된 표시등 소켓(43)의 상부로부터는 외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윈도우 커버(45)가 결합되도록 한다.
윈도우 커버(45)는 투명의 재질로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표시등 소켓(43)에 구비되는 복수의 엘이디(44)를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에 따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에 오수배출관을 연결한 구성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를 오수배출구에 적용한 실시예 결합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는 공장에서 조립되게 할 수도 있고, 현장에서 조립되게 할 수도 있다.
우선 상부 캡(30)에는 램프 가이드(320)에 복수의 엘이디가 일렬로 연결된 램프 연결구(321)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고, 중앙의 관형 결합부(31)에는 전원공급구(41)가 나사결합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며, 전원공급구(41)의 상부에는 표시등 소켓(43)이 안치되도록 한 후 복수의 엘이디(44)가 결합된 표시등 소켓(43)의 상부에는 윈도우 커버(45)가 나사결합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연결된 전원공급구(41)의 외주면에는 각 램프 연결구(321)로부터 인출되도록 한 케이블(33)이 연결되면서 전원공급구(41)의 배터리로부터 케이블(33)을 통해 램프 연결구(321)의 각 엘이디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조명부(40)를 결합한 상부 캡(30)은 오수유도관(10)의 상단부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상부 캡(30)이 결합된 오수유도관(10)에는 양측으로부터 베어링 캡(20)이 결합되면서 베어링 캡(20)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오수유도관(10)의 캡 가이드홈(12)에 삽입되도록 한 베어링 캡(20)은 하단부가 도 4에서와 같이 오수배출구(60)의 상단측 외주연부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21)을 이용해 고정되도록 하되 베어링 캡(20)과 결합된 오수유도관(10)의 하단부측 삽입단부(13)는 오수배출구(60)의 상단부측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베어링 캡(20)을 오수배출구(60)에 연결할 때 오수배출구(60)의 형성 위치는 통상 빛이 들지 않아 시야가 좋지 않으므로 상부 캡(30)에 결합되는 조명부(40)에서는 스위치(410)를 조작하여 상부 캡(30)측 램프 연결구(321)와 조명부(40)측 엘이디(44)에 전원이 공급되게 하므로서 이 엘이디(44)의 점등에 의해 밝은 조명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상부 캡(30)의 상부에서 조명부(40)측 엘이디(44)와 지시등(32)을 점등시키게 되면 오수배출관(70)을 연결 시 오수유도관(10)에 형성된 연결관(11)의 위치를 정확히 인지할 수가 있으므로 오수배출관(70)을 안전하게 연결할 수가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오수배출구(6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오수배출관(70)의 연결 위치와 오수유도관(10)의 연결관(11)의 위치가 다른 경우는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오수배출관(70)의 연결 단부가 위치되는 부위로 오수유도관(10)을 회전시켜 오수배출관(70)의 연결 단부에 연결관(11)이 위치되도록 한다.
오수유도관(10)을 회전시키면서 상부 캡(30)에 구비되는 지시등(32)의 위치를 육안으로 체크하면서 오수배출관(70)의 연결 단부와 일치시켜 정확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보다 쉽고 정확한 설치가 되도록 하면서 정비나 수리 등을 하게 될 때 자칫 오수배출관(70)을 잘못 취급하게 되는 경우라도 오수유도관(10)을 회전시키면서 안전한 연결과 안정된 오수배출을 제공하게 된다.
10 : 오수유도관
11 : 연결관
12 : 캡 가이드홈
13 : 삽입단부
20 : 베어링 캡
21 : 플랜지면
22 : 체결수단
30 : 상부 캡
31 : 관형 결합부
32 : 지시등
320 : 램프 가이드
321 : 램프 연결구
33 : 케이블
40 : 조명부
41 : 전원공급구
410 : 스위치
42 : 전극봉
43 : 표시등 소켓
44 : 엘이디
45 : 윈도우 커버
50 : 위치결정수단
60 : 오수배출구
70 : 오수배출관
11 : 연결관
12 : 캡 가이드홈
13 : 삽입단부
20 : 베어링 캡
21 : 플랜지면
22 : 체결수단
30 : 상부 캡
31 : 관형 결합부
32 : 지시등
320 : 램프 가이드
321 : 램프 연결구
33 : 케이블
40 : 조명부
41 : 전원공급구
410 : 스위치
42 : 전극봉
43 : 표시등 소켓
44 : 엘이디
45 : 윈도우 커버
50 : 위치결정수단
60 : 오수배출구
70 : 오수배출관
Claims (5)
- 상하로 관통되면서 상단부측 외주면에는 등간격으로 오수배출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연결관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의 하측 외주면은 일정 높이가 보다 직경이 축소되도록 하여 캡 가이드홈을 형성하며, 캡 가이드홈의 하단부는 하향 일정 높이가 오수배출구의 내경에 맞춤 결합되도록 직경이 확대되도록 하여 삽입단부를 이루는 오수유도관과;
상기 오수유도관의 캡 가이드홈에 양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오수유도관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하단부는 오수배출구의 상부면 외주연부를 따라 복수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베어링 캡과;
상기 오수유도관의 상단부를 커버하면서 상부면의 중앙에는 상향 개방되도록 하는 관형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형 결합부로부터 상기 오수유도관의 각 연결관이 형성되는 위치에 이르도록 복수의 엘이디를 직선으로 연결시킨 지시등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상부 캡; 및
상기 상부 캡의 관형 결합부에 체해결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를 내장한 전원공급구와, 상기 전원공급구의 상부면으로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게 안치되면서 상부로 복수의 엘이디가 결합되는 표시등 소켓과, 상기 표시등 소켓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투명의 윈도우 커버로서 이루어지는 조명부;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수유도관과 상기 베어링 캡의 마주보는 면 사이에는 베어링이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베어링 캡을 축으로 상기 오수유도관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캡은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바디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호 마주보는 단면간 외측으로 보다 연장되도록 한 플랜지면간으로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는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수유도관과 상기 상부 캡에는 상기 상부 캡의 지시등과 상기 오수유도관의 연결관이 동일 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위치결정수단이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오수유도관의 상단부와 상기 상부 캡의 외주연 단부간으로 형성되는 맞춤돌기와 맞춤홈으로 이루어지는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은 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오수유도관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9238U KR200451191Y1 (ko) | 2010-09-02 | 2010-09-02 |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9238U KR200451191Y1 (ko) | 2010-09-02 | 2010-09-02 |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51191Y1 true KR200451191Y1 (ko) | 2010-12-02 |
Family
ID=44478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9238U KR200451191Y1 (ko) | 2010-09-02 | 2010-09-02 |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1191Y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6986Y1 (ko) | 2005-07-08 | 2005-09-28 | 이익중 | 바닥설치용 조명등 |
KR200443198Y1 (ko) | 2008-10-13 | 2009-01-21 | 공준식 |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 |
-
2010
- 2010-09-02 KR KR2020100009238U patent/KR20045119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6986Y1 (ko) | 2005-07-08 | 2005-09-28 | 이익중 | 바닥설치용 조명등 |
KR200443198Y1 (ko) | 2008-10-13 | 2009-01-21 | 공준식 |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47622B1 (ko) | 매설된 상하수도관의 침하표시장치 | |
KR200451191Y1 (ko) | 원자력 발전소용 오수배출관 연결장치 | |
KR200482476Y1 (ko) | 시선 유도등 | |
KR200480825Y1 (ko) | 조사각도의 변화가 용이한 가로등용 연결수단 | |
KR100887987B1 (ko) | 배전용 지중전선의 파손감지장치 | |
CN106764755A (zh) | 一种便于照明装置换灯的滑降结构 | |
CN112524527A (zh) | 一种照明角度可调led照明灯 | |
JP4409462B2 (ja) | ソーラーパネルの取付構造 | |
JP2013092180A (ja) | 配水管等からの給水管分岐穿孔における密着コアの装着状態の確認検査方法及びその確認検査装置 | |
KR101265690B1 (ko) | 태양에너지 및 풍력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장치 | |
US9822955B2 (en) | Breakaway connector and fuse receptacle | |
CN108871425A (zh) | 全方位河流水源监测系统 | |
CN109972150B (zh) | 一种用于阴极保护检测的测试桩 | |
CN203868727U (zh) | 一种可防止油路管线缠绕的移动灯车 | |
CN217177869U (zh) | 一种能自动识别破损塑料管道 | |
JP2020202151A (ja) | 照明器具 | |
CN213071067U (zh) | 换灯泡辅助工具 | |
CN212808269U (zh) | 一种用于排水车的污水监测系统 | |
CN214172170U (zh) | 一种城市景观照明灯具及自适应照明系统 | |
CN216108855U (zh) | 一种尾矿库排渗装置 | |
CN206771225U (zh) | 锂电一体化路灯 | |
CN208271332U (zh) | 一种微型声光报警器 | |
CN213065858U (zh) | 一种市政道路工程中的可升降路灯 | |
JP2008192360A (ja) | 配線ボックス、及び照明器具設置装置 | |
CN212746221U (zh) | 一种便于安装的公路照明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