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635Y1 - 배수관 연결이 용이한 교량의 배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관 연결이 용이한 교량의 배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635Y1
KR200462635Y1 KR2020100000100U KR20100000100U KR200462635Y1 KR 200462635 Y1 KR200462635 Y1 KR 200462635Y1 KR 2020100000100 U KR2020100000100 U KR 2020100000100U KR 20100000100 U KR20100000100 U KR 20100000100U KR 200462635 Y1 KR200462635 Y1 KR 2004626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pipe
drain pipe
collecting body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026U (ko
Inventor
이유진
임부천
Original Assignee
임부천
이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부천, 이유진 filed Critical 임부천
Priority to KR2020100000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63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0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0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6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6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관의 설치가 교량 슬래브의 상측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설치작업이 더욱 안전하고 용이하도록 한 교량의 배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상부 그레이팅(grating), 하부 환형 안착부, 그리고 이의 중심을 관통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집수몸체; 및 교량 시공 시 교량을 이루는 슬래브(slab)에 상기 집수몸체가 매립된 상태에서 상기 집수몸체 상부로 진입하여 상기 삽입부에 끼워져 단부가 노출되는 파이프, 그리고 상기 파이프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에 걸리어 장착되는 환형 플랜지를 포함하는 배수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수관 연결이 용이한 교량의 배수처리장치{DRAIN APPARATUS FOR THE BRIDGE}
본 고안은 배수관의 설치가 교량 슬래브의 상측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설치작업이 더욱 안전하고 용이하도록 한 교량의 배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수관 연결이 용이한 교량의 배수처리장치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6593호(2003.06.04.등록, 이하 ‘선행기술 1’이라고 한다.) 『소켓연결식 배수용 집수구』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 1은 배수관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가 끼워져 걸릴 수 있도록 연결배수관에 형성된 결합홈을 구비함으로써, 배수관과 연결배수관의 결합이 소켓연결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9103호(2004.04.20.등록, 이하 ‘선행기술 2’라고 한다.) 『배수용 집수구』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 2는 배수관 내부에 돌기와 탄성수단이 구비된 지지체가 설치되고, 연결배수관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배수관의 삽입시 눌려진 돌기가 탄성수단에 의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됨으로써, 배수관과 연결배수관이 서로 결합되는 구조이다.
결국, 상기 선행기술 1 및 2는 배수관과 연결배수관의 결합 시, 연결배수관이 배수관의 하부에서부터 진입하게 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연결구조에 의하면, 배수관과 연결배수관의 결합작업이 교량 슬래브(slab)의 하측에서 이루어지는데, 이에 의해 작업자가 교량에 매달리거나 크레인 등을 이용해야하는 불편함이 발생하며, 심지어 작업자가 낙사(落死)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안착부를 갖는 집수몸체와, 상기 안착부에 걸리는 상부 플랜지를 갖고 상기 집수몸체의 상부로 진입하는 배수관을 구비하여 배수관의 설치작업이 교량 슬래브의 상측에서 이루어지도록 한 배수관 연결이 용이한 교량의 배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 연결이 용이한 교량의 배수처리장치는,
상부 그레이팅(grating), 하부 환형 안착부, 그리고 이의 중심을 관통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집수몸체; 및
교량 시공 시 교량을 이루는 슬래브(slab)에 상기 집수몸체가 매립된 상태에서 상기 집수몸체 상부로 진입하여 상기 삽입부에 끼워져 단부가 노출되는 파이프, 그리고 상기 파이프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에 걸리어 장착되는 환형 플랜지를 포함하는 배수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집수몸체는 상기 그레이팅이 설치되는 상부분체와, 상기 안착부와 삽입부가 형성된 하부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이 용이한 교량의 배수처리장치.
또한, 여기서 상기 집수몸체의 안착부와 상기 배수관의 플랜지에는 수밀(水密)을 위한 개스킷(gasket)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배수관의 플랜지에는 격자형 또는 방사형의 이물유입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 연결이 용이한 교량의 배수처리장치는,
배수관이 집수몸체의 상부로 진입하여 설치됨으로써, 설치작업을 더욱 안전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스킷에 의해 배수관 외측으로 물이 세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물유입방지부에 의해 배수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처리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처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처리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플랜지와 안착부의 다른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배수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 연결이 용이한 교량의 배수처리장치(이하 "배수처리장치"라고 한다)는 크게 집수몸체(100) 및 배수관(200)으로 구성된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집수몸체(100)는 교량(B) 시공 시 갓길에 위치하도록 슬래브(slab, S)에 매립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 그레이팅(grating, 111), 하부 환형 안착부(123), 그리고 이의 중심을 관통하는 삽입부(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집수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제작의 편의에 따라 상기 그레이팅(111)이 설치되는 상부분체(110)와, 상기 안착부(123)와 삽입부(124)가 형성된 하부분체(120)로 나누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분체(110)는 사각 틀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측에 개구(112)가 형성되며, 양측부에 힌지공(113)이 형성되어 볼트체결에 의해 상기 그레이팅(111)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그 내측에는 평상시 상기 그레이팅(111)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의 하면을 받치는 지지대(1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분체(120)는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상부 및 하부 파이프(121, 122)와, 상기 상부 파이프(121) 내측에 결합되는 상기 안착부(12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파이프(121)는 상기 상부분체(110)의 개구(112)에 상응하는 지름을 갖고, 상기 하부 파이프(122)는 후술할 배수관(200)의 파이프(210)가 용이하게 끼워질 정도의 지름을 갖는다.
상기 배수관(200)은 상기 집수몸체(100)에 유입된 물을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래브(S)에 매립된 상기 집수몸체(100)의 상부로 진입하여 상기 삽입부(124)에 끼워져 단부가 노출되는 파이프(210), 그리고 상기 파이프(210)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123)에 걸리어 장착되는 플랜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플랜지(220) 및 안착부(123)는 각각 다수의 관통공(221) 및 이에 상응하는 다수의 나사공(125)이 형성되어 볼트(400)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플랜지(220) 및 안착부(123)는 필요에 따라 용접결합될 수 있으며,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220)에 형성된 잠금돌기(222)와, 상기 잠금돌기(222)가 끼워져 선회결합되도록 상기 하부분체(120)에 형성되는 잠금홈(126)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플랜지(220)와 안착부(123)의 결합은 상기 배수관(200)이 상기 집수몸체(100)의 상부로 진입하여 끼워지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도면부호 '300'은 개스킷(gasket)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개스킷(300)은 수밀(水密)을 위하여 상기 안착부(123)와 상기 플랜지(220)에 개재되는 것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을 살펴보면,
상기 배수관(200)의 플랜지(220)에 장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격자형 또는 방사형의 이물유입방지부(230a, 230b)가 더 구비된다. 상기 이물유입방지부(230a, 230b)는 상기 집수몸체(100)로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이를 걸러내어 상기 배수관(200)으로 유입되지 않게 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해 물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거나, 이물질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물유입방지부(230a, 230b)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은 상기 그레이팅(111)을 선회시킨 다음 꺼내어 수거해가면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배수처리장치에 의하면,
슬래브(S)에 매립된 집수몸체(100)의 상부로 배수관(200)을 삽입한 다음, 상기 집수몸체(100)의 안착부(123)와 상기 배수관(200)의 플랜지(220)를 결합하는 것만으로 배수관(200)의 설치작업을 간편하게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즉, 배수관(200)의 설치작업이 슬래브(S) 위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가 교량(B)에 매달리는 작업이나 크레인 등의 이용이 불필요하게 되어 더욱 용이하고 안전한 설치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배수관 연결이 용이한 교량의 배수처리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B ; 교량 S ; 슬래브
100 ; 집수몸체 110 ; 상부분체
111 ; 그레이팅 112 ; 개구
113 ; 힌지공 114 ; 지지대
120 ; 하부분체 121 ; 상부파이프
122 ; 하부파이프 123 ; 안착부
124 ; 삽입부 125 ; 나사공
126 ; 잠금홈 200 ; 배수관
210 ; 파이프 220 ; 플랜지
221 ; 관통공 222 ; 잠금돌기
230a, 230b ; 이물유입방지부 300 ; 개스킷
400 ; 볼트

Claims (4)

  1. 상부 내측에 결합되는 그레이팅(grating)(111) 및 하부 개구(112)를 갖는 상부분체(110), 그리고 상기 상부분체(110)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 환형(環形) 안착부(123) 및 상기 안착부(123)의 중심을 관통하는 삽입부(124)를 갖는 하부분체(120)를 포함하는 집수몸체(100); 및
    상기 삽입부(124)에 끼워져 상기 집수몸체(100) 하방(下方)으로 노출되는 파이프(210), 그리고 상기 파이프(210)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123) 상부에 걸리어 장착되는 환형 플랜지(220)를 포함하는 배수관(2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배수관(200)은 교량(B) 시공 시 교량(B)을 이루는 슬래브(slab, S)에 상기 집수몸체(100)가 매립된 상태에서 상기 집수몸체(100) 상부로 진입하여 상기 삽입부(124)에 끼워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이 용이한 교량의 배수처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몸체(100)의 안착부(123)와 상기 배수관(200)의 플랜지(220)에는 수밀(水密)을 위한 개스킷(gasket, 300)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이 용이한 교량의 배수처리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200)의 플랜지(220)에는 격자형 또는 방사형의 이물유입방지부(230a, 230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연결이 용이한 교량의 배수처리장치.
KR2020100000100U 2010-01-07 2010-01-07 배수관 연결이 용이한 교량의 배수처리장치 KR2004626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100U KR200462635Y1 (ko) 2010-01-07 2010-01-07 배수관 연결이 용이한 교량의 배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100U KR200462635Y1 (ko) 2010-01-07 2010-01-07 배수관 연결이 용이한 교량의 배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026U KR20110007026U (ko) 2011-07-13
KR200462635Y1 true KR200462635Y1 (ko) 2012-09-20

Family

ID=45568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100U KR200462635Y1 (ko) 2010-01-07 2010-01-07 배수관 연결이 용이한 교량의 배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63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042B1 (ko) * 2020-10-14 2021-05-14 김은정 교량 배수시설용 집수구 토사수거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1392A (ja) * 2002-06-11 2004-01-15 Nippon Soda Co Ltd 拡散型浴室排水口用ヌメリ取り器
KR100891200B1 (ko) * 2008-10-21 2009-04-02 윤재경 외부표면에서의 분리가 방지되는 교량집수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1392A (ja) * 2002-06-11 2004-01-15 Nippon Soda Co Ltd 拡散型浴室排水口用ヌメリ取り器
KR100891200B1 (ko) * 2008-10-21 2009-04-02 윤재경 외부표면에서의 분리가 방지되는 교량집수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026U (ko)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33731A1 (en) Waste water strainer
US9428900B2 (en) Rough-in adapter
KR101756520B1 (ko) 자동 점검 유량조절장치
KR20130048549A (ko) 관통슬리브
KR200462635Y1 (ko) 배수관 연결이 용이한 교량의 배수처리장치
JP2015105486A (ja) 排水桝
CN106284610A (zh) 一种具有污水过滤功能的地沟盖板
JP5089566B2 (ja) 排水ます
KR200444012Y1 (ko) 배수트랩
KR20090004240U (ko) 배수용 트랩
KR20160146247A (ko) 조립식 교량집수장치
JP5151498B2 (ja) 浴室排水装置
KR101593374B1 (ko) 하수로용 스크린 장치
KR101173406B1 (ko) 배관용 슬리브
JP4794304B2 (ja) 消火栓用分岐管
TWI525238B (zh) Drainage assembly
KR101177493B1 (ko) 배관 연결구조
JP6010171B1 (ja) 仮設排水金具
CN211228458U (zh) 一种格栅板式泄水管
CN209924092U (zh) 一种地漏
KR102075758B1 (ko) 배수구의 이물질 제거용 연결 장치
KR101300700B1 (ko) 이탈 방지용 맨홀뚜껑
KR102390582B1 (ko) 배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JP2009062811A (ja) 排水配管の継手装置
KR100566098B1 (ko)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