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843B1 - 안전성이 우수한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우수한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843B1
KR100949843B1 KR1020070139967A KR20070139967A KR100949843B1 KR 100949843 B1 KR100949843 B1 KR 100949843B1 KR 1020070139967 A KR1020070139967 A KR 1020070139967A KR 20070139967 A KR20070139967 A KR 20070139967A KR 100949843 B1 KR100949843 B1 KR 100949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ole
present
removal device
soli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2005A (ko
Inventor
강형민
Original Assignee
강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형민 filed Critical 강형민
Priority to KR1020070139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843B1/ko
Publication of KR20090072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5/00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 F27D25/008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using fluids or gases, e.g. blowers, suction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에 통공이 구비되는 튜브소켓과, 상기 통공에 삽입되어 고정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일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고정구가 구비되는 튜브클램프와,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설치하되 내부는 중공형태를 갖는 튜브와, 상기 튜브의 선단에 형성되는 토출헤드와, 상기 튜브의 후단에 구비되는 점화헤드와, 상기 점화헤드의 일측에 설치되는 히터로 이루어지는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튜브소켓의 일측에 형성되는 연결구와, 상기 튜브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는 통공을 구비하고 일측에는 연결구를 설치하며 상부에는 고정구가 구비되는 튜브고정부재와, 상기 연결구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안전성이 우수한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고형물의 제거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압으로 인해서 튜브가 후방으로 튕겨져나가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원인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튜브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고형물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능률 및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분체, 고형물, 고착물, 제거, 카독스, Cardox, 안전, 장치

Description

안전성이 우수한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Build up removal device having improved safety}
본 발명은 안전성이 우수한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체 고형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후방으로 이탈되는 튜브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성이 우수한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카독스 시스템)는 제철소 및 발전소 또는 시멘트공장 등에서 고형화된 분체를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러한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1)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통공(11)이 구비되는 튜브소켓(10)과, 상기 통공(11)에 삽입되어 고정하기 위한 걸림돌기(21)가 일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통공(22)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고정구(23)가 구비되는 튜브클램프(20)와, 상기 통공(11,22)을 관통하여 설치하되 내부는 중공형태를 갖는 튜브(30)와, 상기 튜브(30)의 선단에 형성되는 토출헤드(40)와, 상기 튜브(30)의 후단에 구비되는 점화헤드(50)와, 상기 점화헤드(50)의 일측 에 설치되는 히터(6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점화헤드(50)를 통해서 액상CO2를 상기 튜브(30)의 내부로 주입한 후 상기 히터(60)를 작동시켜 액상CO2를 초임계 상태로 순간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약 3,000bar의 압력이 상기 토출헤드(40)를 통해서 토출되면서 응축 경화된 고형물(B)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1)는 고형물(B)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에는 적합하나, 고형물(B)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압으로 인해서 상기 튜브(30)가 후방으로 이탈되면서 튕겨져나가 주변설비와 충돌하거나 또는 작업자에 부딪히는 안전사고의 원인을 제공하는 폐단을 갖게 되었다.
특히 종래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1)는 고압의 토출 압력을 지지하여 상기 튜브(30)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형성되지 못하므로, 이로 인해 상기 튜브(30)가 지정된 위치에서 이탈되어 고형물(B)을 제거하기 위한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되어 작업능률은 물론 활용범위가 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고압의 토출 압력으로 인해서 후방으로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성이 우수한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중앙에 통공(111)이 구비되는 튜브소켓(110)과, 상기 통공(111)에 삽입되어 고정하기 위한 걸림돌기(121)가 일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통공(122)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고정구(123)가 구비되는 튜브클램프(120)와, 상기 통공(111,122)을 관통하여 설치하되 내부는 중공형태를 갖는 튜브(130)와, 상기 튜브(130)의 선단에 형성되는 토출헤드(140)와, 상기 튜브(130)의 후단에 구비되는 점화헤드(150)와, 상기 점화헤드(150)의 일측에 설치되는 히터(160)로 이루어지는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튜브소켓(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연결구(112)와, 상기 튜브(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는 통공(171)을 구비하고 일측에는 연결구(172)를 설치하며 상부에는 고정구(173)가 구비되는 튜브고정부재(170)와, 상기 연결구(112,172)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8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형물의 제거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압으로 인해서 튜브가 후방으로 튕겨져나가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사고의 원인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튜브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고형물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능률 및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 안전성이 우수한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안전성이 우수한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안전성이 우수한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안전성이 우수한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구(112,172)는 상기 연결부재(180)의 양측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를 위해서 다양한 구조와 형태를 갖는 연결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사용이 편리한 공지의 아이볼트를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연결구(112,172)는 작업상황에 따라서 상기 튜브소켓(110) 또는 튜브클램프(120)의 양측 또는 방사상으로 설치하여 상기 튜브(130)를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튜브고정부재(170)는 상기 튜브(130)를 고정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통공(171)을 관통하도록 상기 튜브(130)를 설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고정구(173)를 조절하여 상기 튜브(130)의 외경을 압착시켜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173)는 작업자가 손쉽게 회전시켜 상기 튜브(130)의 외경을 압착할 수 있도록 공지의 볼트를 사용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180)는 본 발명에서 매우 중요한 구성으로, 고형물(B)의 제거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압으로 상기 튜브(130)가 후방으로 튕겨져나감을 방지하도록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180)의 일측은 벽체(A)에 설치된 상기 튜브소켓(110)의 연결구(112)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튜브(130)의 외경을 고정한 상태의 상기 튜브고정부재(170)의 연결구(172)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고압으로 인해서 상기 튜브(130)가 후방으로 이탈되더라도 상기 연결부재(180)가 이를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80)는 와이어로프와 같이 다양한 구조와 형태를 갖는 수단이 활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지지력은 물론 자연스럽게 이동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공지의 체인(사슬)을 사용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클램프(120)의 양측에 연결구(124)를 설치하여 상기 연결부재(180)가 상기 연결구(124,172)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고정부재(170)가 상기 점화헤드(150)의 후단을 맞닿아 지지함으로써 더 이상 후방으로 이탈됨을 방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130)를 상기 튜브고정부재(170)가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112,172)의 사이를 상기 연결부재(180)가 연결하게 되므로, 이로 인해 고형물(B)의 제거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압으로 상기 튜브(130)가 후방으로 튕겨져나가더라도 상기 연결부재(180)가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할 것이다.
도 1 - 종래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 - 종래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
도 3 - 종래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 4 - 본 발명 안전성이 우수한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5 - 본 발명 안전성이 우수한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
도 6 - 본 발명 안전성이 우수한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7 - 본 발명 안전성이 우수한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
도 8 또는 도 9 - 본 발명 안전성이 우수한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10 - 본 발명 안전성이 우수한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의 사용상태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종래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
10: 튜브소켓 11: 통공
20: 튜브클램프 21: 걸림돌기
22: 통공 23: 고정구
30: 튜브 40: 토출헤드
50: 점화헤드 60: 히터
100: 본 발명 안전성이 우수한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
110: 튜브소켓 111: 통공
112: 연결구
120: 튜브클램프 121: 걸림돌기
122: 통공 123: 고정구
124: 연결구
130: 튜브 140: 토출헤드
150: 점화헤드 160: 히터
170: 튜브고정부재 171: 통공
172: 연결구 173: 고정구
180: 연결부재
A: 벽체 B: 고형물

Claims (2)

  1. 삭제
  2. 중앙에 통공이 구비되는 튜브소켓과, 상기 통공에 삽입되어 고정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일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고정구가 구비되는 튜브클램프와,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설치하되 내부는 중공형태를 갖는 튜브와, 상기 튜브의 선단에 형성되는 토출헤드와, 상기 튜브의 후단에 구비되는 점화헤드와, 상기 점화헤드의 일측에 설치되는 히터로 이루어지는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튜브소켓 또는 상기 튜브클램프의 양측에 형성되는 아이볼트와, 상기 점화헤드의 후단을 맞닿아 지지함으로써 고형물의 제거과정에서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고압으로 상기 튜브가 후방으로 튕겨져나감을 방지하되 양측에는 아이볼트가 구비되는 튜브고정부재와, 상기 아이볼트의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력은 물론 자연스럽게 이동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체인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우수한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
KR1020070139967A 2007-12-28 2007-12-28 안전성이 우수한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 KR100949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967A KR100949843B1 (ko) 2007-12-28 2007-12-28 안전성이 우수한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967A KR100949843B1 (ko) 2007-12-28 2007-12-28 안전성이 우수한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005A KR20090072005A (ko) 2009-07-02
KR100949843B1 true KR100949843B1 (ko) 2010-03-29

Family

ID=41329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967A KR100949843B1 (ko) 2007-12-28 2007-12-28 안전성이 우수한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8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343B1 (ko) 2018-11-02 2020-01-28 강형민 분체 고형물 제거를 위한 천공작업용 유도장치
KR102073734B1 (ko) 2018-11-02 2020-03-02 강형민 토출헤드 교체형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
KR102347519B1 (ko) 2021-06-11 2022-01-06 강형민 회전 타격형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6175U (ko) 1975-12-04 1977-06-07
JPH027629A (ja) * 1988-06-25 1990-01-11 Fujitsu Ltd 高速切替ダイバーシチ受信機
KR200186555Y1 (ko) * 1998-03-09 2000-08-01 박원용 파이프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6175U (ko) 1975-12-04 1977-06-07
JPH027629A (ja) * 1988-06-25 1990-01-11 Fujitsu Ltd 高速切替ダイバーシチ受信機
KR200186555Y1 (ko) * 1998-03-09 2000-08-01 박원용 파이프 고정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2007.6.2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005A (ko)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843B1 (ko) 안전성이 우수한 분체 고형물 제거장치
CN102089549B (zh) 楔和承座装置
JP5971596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再緊張用治具及び該グラウンドアンカー再緊張用治具を用いた楔片の固定状態解除方法
KR101135348B1 (ko) 다우얼핀 제거장치
CN111042830A (zh) 一种推入自锁式的管片连接件及管片连接结构
KR20110011481U (ko) 주철관의 플랜지 연결구조
KR100727359B1 (ko) 플렉시블 호스용 컨넥터
KR200439245Y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
KR20170135865A (ko) 관절식 분해가능한 모듈형 비계
JP3113812U (ja) クランプ金具
KR200412991Y1 (ko)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
ES2762793T3 (es) Abrazadera de pasador de soporte final de rociador de agua de alimentación de BWR
JP2000227493A5 (ko)
JP6433938B2 (ja) アンカーの強制除荷用治具と、強制除荷方法
JP5128606B2 (ja) アンカーポイント
WO2006130704A3 (en) Lock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30035441A (ko) 체인 핀 보정 지그
WO2003102330A1 (en) Improved in scaffold connections
US20060214146A1 (en) Systems for extracting construction forms and other embedded elements
JP4473841B2 (ja) 仮設足場用連結構造体
CN212225240U (zh) 一种推入自锁式的管片连接件及管片连接结构
CN212819586U (zh) 一种制备油污清洁解堵剂的搅拌设备
CN116877554A (zh) 肯特卸扣紧固装置、肯特卸扣和肯特卸扣安装方法
KR200164247Y1 (ko) 와이어 로프의 소켓 합금맺기 작업대
KR102306156B1 (ko) H빔 연결부재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