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057B1 - 미생물공급모듈이 구비된 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폐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미생물공급모듈이 구비된 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폐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057B1
KR102137057B1 KR1020200012497A KR20200012497A KR102137057B1 KR 102137057 B1 KR102137057 B1 KR 102137057B1 KR 1020200012497 A KR1020200012497 A KR 1020200012497A KR 20200012497 A KR20200012497 A KR 20200012497A KR 102137057 B1 KR102137057 B1 KR 102137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module
outer case
supply module
microb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덕수
Original Assignee
진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덕수 filed Critical 진덕수
Priority to KR1020200012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0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40Treatment of liquids or slur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5Combined electrochemical biological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2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using specific microorganisms or substances, e.g. enzymes, for activating or stimulat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80Separation, elimination or disposal of harmful substances dur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7/00Fertilisers from waste water, sewage sludge, sea slime, ooze or similar ma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에서 폐수를 공급받는 저장모듈과, 상기 저장모듈에 연결되는 미생물공급모듈과, 상기 미생물공급모듈과 연결되는 처리모듈과, 상기 처리모듈에 연결되는 탈취모듈을 포함하는 폐수자원화 처리장치를 이용한 폐수차원화 처리방법에 의하면, 상기 저장모듈에 공급된 폐수의 PH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PH가 조절된 후 상기 미생물공급모듈로 옮겨진 폐수에 마이크로버블 및 미생물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미생물공급모듈로부터 상기 처리모듈로 공급된 폐수를 전기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생물공급모듈이 구비된 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폐수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미생물공급모듈이 구비된 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폐수 처리방법{Waste water treatment method for Waste water resource-treatment apparatus equipped with microorganism supply module}
본 발명은 폐수 자원화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고 악취 제거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미생물공급모듈이 구비된 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폐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분이나 축산 폐수는 양질의 퇴비나 액비를 만들어 경작하는 토양에 사용하면, 유기실 성분이 낮고 토양 산성화로 노후화되어 있는 우리나라 농경지의 지력을 높이고 토양의 화학적 성질을 개선할 수 있는 귀중한 자원이다.
그러나, 폐수를 처리하지 않고 축산폐수로서 그대로 배출하게 되면 생활하수보다 오염부하량이 높은 고농도 오염물질이므로 수질 오염원이 될 뿐만 아니라, 개별농가에서 방류수 수질기준에 맞게 처리하는데 있어서도 시설이나 처리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어려움이 크다.
한편, 환경오염에 대하여 점차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가는 최근에는 폐수를 최대한 퇴비화하여 귀중한 자원으로 재활용될 수 있도록 자체적으로 자원화 시설을 갖추어 환경친화적인 축산업을 유지해 나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 몇가지 형태로서, 현재까지 축산 농가에서 가장 일반적인 방식으로는 톱밥 혼화 퇴비화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각 농가에서 혼합상태에서 저장 액비화 기술에 의존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악취제거가 어렵고, 지하수의 오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폐수의 퇴비화 과정에서 수분 조절재로 쓰이는 톱밥 가격의 상승은 축산농가의 채산성에 걸림돌로 작용하여 가격과 품질 경쟁력 약화 등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서 최근 들어 다양한 형태의 폐수 자원화 처리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나, 대부분 폐수의 처리시간이 많이 소요되거나 악취 제거 등에 효율적이지 못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237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폐수 처리의 효율을 높이면서 처리된 폐수의 배출 시 악취를 최대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폐수 자원화 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에서 폐수를 공급받는 저장모듈과, 상기 저장모듈에 연결되는 미생물공급모듈과, 상기 미생물공급모듈과 연결되는 처리모듈과, 상기 처리모듈에 연결되는 탈취모듈을 포함하는 폐수자원화 처리장치를 이용한 폐수차원화 처리방법에 의하면, 상기 저장모듈에 공급된 폐수의 PH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PH가 조절된 후 상기 미생물공급모듈로 옮겨진 폐수에 마이크로버블 및 미생물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미생물공급모듈로부터 상기 처리모듈로 공급된 폐수를 전기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생물공급모듈이 구비된 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폐수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모듈은 내부 공간부가 형성된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상부로 폐수가 공급되는 폐수공급부와, 상기 폐수공급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로 공급되는 폐수를 파쇄하는 파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생물공급모듈과 처리모듈을 연결하는 연결관이 더 구비되되, 상기 미생물공급모듈과 처리모듈을 연결하는 연결관은 신축성을 가지는 주름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을 개폐시키는 개폐밸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생물공급모듈은 내부에 버블공급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공급모듈이 구비된 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폐수 처리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마이크로 버블 및 전기 분해 등을 이용하여 폐수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처리된 폐수의 배출 시 탈취모듈을 이용하여 악취를 최대한 제거한 상태로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최종 생성된 액체 비료가 일반 퇴비와 비교하여 N, P, K뿐만 아니라 식물에게 필요한 미량원소까지 유용한 성분이 충분히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비료가 필요없고 유해균에 대한 멸균력이 있어서 별도 농약 처리가 필요 없게 된다.
넷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최종 생성된 액체 비료가 식물 생장촉진, 발아촉진, 개화촉진, 당도향상, 수확량 향상, 병충해방지, 토양개선, 축사의 악취제거 등 다양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자원화 처리장치를 이루는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모듈의 분리사시도;
도 3은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모듈의 구성 단면도;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폐수 자원화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폐수처리과정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흐름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자원화 처리장치를 이루는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폐수 자원화 처리장치는 저장모듈(100), 미생물공급모듈(200), 처리모듈(300), 전기분해모듈(400) 및 탈취모듈(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장모듈(100)은 외부에서 폐수를 공급받아 저장되는 탱크 형태를 이루며, 이를 위해 소정 내부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싱(110)과, 상기 케이싱(110)으로 폐수를 공급하는 폐수공급부(1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10)은 원형 드럼 형태의 탱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10)과 폐수공급부(10) 사이에는 폐수가 임시 저장되는 폐수유동부(20)가 구비되고, 상기 폐수유동부(20) 내부에는 파쇄부(23)가 구비된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폐수유동부(20) 내부로 유동된 폐수는 소정 절단날 형태로 이루어지는 파쇄부(23)가 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여 폐수에 포함된 일부 이물질을 파쇄한 후 상기 케이싱(110) 내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폐수유동부(20)와 케이싱(110) 사이에는 스크린부(22)가 구비되어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싱(110) 내부에는 PH조절장치(15)가 설치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폐수의 PH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110) 내부에 투입된 폐수에 함유된 암모니아가 일부 제거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미생물공급모듈(200)은 상기 저장모듈(100)의 케이싱(110)과 개폐밸브(33)가 구비된 연결관(40)에 의하여 연결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 미생물공급모듈(200)은 내부 공간부가 형성된 탱크 형태로 이루어지는 외부케이싱(21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싱(210) 내부 하측에는 버블공급부(220)가 구비된다.
상기 버블공급부(220)는 소정의 마이크로 버블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미생물공급모듈(200) 내부로 이동된 폐수 및 해수에 마이크로 버블을 공급함으로써 폐수의 입자를 작게 하며 일부 미생물의 활성을 돕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싱(210) 내부로 미생물을 공급하는 미생물배양조(24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버블공급부(220) 하측에는 진동부(230)가 구비되어, 상기 미생물공급모듈(200) 내부 폐수의 직접 진동과 더불어 마이크로 버블도 진동형태로 공급되어 폐수에 미생물의 흡수가 전체적으로 보다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처리모듈(300)은 상기 미생물공급모듈(200)과 마찬가지로 개폐밸브(33)가 구비된 연결관(50)에 의하여 연결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처리모듈(300)은 별도의 진동부(320)에 연결된 형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처리모듈(300)의 외부케이스(310) 내부에는 전기분해모듈(400)이 구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모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모듈의 구성 단면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전기분해모듈(400)은 상기 처리모듈(300)의 외부케이싱(310) 내부에 설치되어 공급된 폐수를 전기분해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전기분해부(440)와 초음파진동부(460)가 내부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분해부(440)는 전기분해모듈(400)의 내부에 폐수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고, 양극전극판과 음극전극판이 이동경로상에 형성되어 외부 전원인가에 의해 전기분해를 일으켜 폐수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초음파진동부(460)는 상기 전기분해모듈(400)의 내부에 폐수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고 이와 같은 이동경로상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부(440)와 이격되게 형성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판이 형성되어 폐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전기분해모듈(400)의 폐수처리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저장모듈(100)과 미생물공급모듈(200)에서 각각 희석되고 일부 분해된 폐수를 공급받아 상기 전기분해부(440)에 의하여 전기분해 시키게 된다.
상기 전기분해모듈(400)은 처리모듈(300)의 케이스(310) 내부로 폐수가 유입되게 하는 유입구(411,212)와 처리된 폐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413,214)를 가지는 하부판(410)과, 상기 하부판(410)을 덮도록 형성되는 상부판(420)과, 양극전극판과 음극전극판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전기분해를 일으키되, 양극전극판과 음극전극판은 하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전기분해부(440)와, 초음파를 발생시키며, 유입구(411,212) 및 배출구(413,214) 사이의 상부판(420)에 초음파진동부(460)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판(410) 및 상부판(420)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하부판(410) 및 상부판(420)을 연결하는 연결틀(430)을 더 포함하는 것이되, 상기 연결틀(430) 상측 및 하측의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410) 및 상부판(420)의 내측면에는 연결틀(430)의 홈과 대응되는 홈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연결틀(430) 및 하부판(410)의 홈과 연결틀(430) 및 상부판(420)의 홈에는 고무링(431,232)들이 각각 끼움결합되어 방수 효과를 얻들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410)에 설치된 전기분해부(440)의 양극전극판과 음극전극판 사이에는 반원 단면을 가지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며 돌출부에 의해 폐수의 흐름을 변화시켜 난류를 발생시키는 난류발생부(48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부판(420)에 설치된 초음파진동부(460)인 복수 개의 진동판 사이에도 난류발생부(480)인 돌출부가 설치되어 난류를 더 잘 발생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폐수 자원화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모듈(300) 외측에는 진동부(320)가 설치된 형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서 상기 진동부(320)의 진동에 의하여 처리모듈(300)의 외관 케이스(310)를 진동시키어 상기 전기분해모듈(400)를 통한 폐수처리과정이 보다 크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부(320)의 진동 시 연결관에 피해가 없도록, 상기 미생물공급모듈(200)과 처리모듈(300)을 연결하는 연결관(50) 및 상기 처리모듈(300)과 탈취모듈(500)을 연결하는 연결관(70)은 신축성을 가지는 주름관으로 이루어지게 되다.
한편, 상기 저장모듈(100)에서 미생물공급모듈(200), 상기 미생물공급모듈(200)에서 처리모듈(300), 상기 처리모듈(300)에서 탈취모듈(500)로 각각 폐수 또는 해수를 원활히 이동시키도록 하는 공지된 기술 및 연결방식에 따른 펌프부가 적정 위치로 추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를 이용 폐수 처리과정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저장모듈(100)로 폐수를 투입한 후, PH조절 및 암모니아 제거 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미생물공급모듈로 옮겨진 폐수에 버블공급과 함께 미생물 공급이 이루어져 폐수 분해가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는, 처리모듈(300)로 이동시킨 후, 전기분해모듈(400)을 이용 전기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한 후, 탈취모듈(500)을 거쳐 액비배출부(80)로 비료화된 폐수가 배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탈취모듈(500)은 내부 중공된 박스 형태의 외부케이스(510)와, 상기 외부케이스(510)의 일측에 상기 처리모듈(300)과 연결되게 구비되는 연결관(70)과, 상기 외부케이스(510) 타측 하부에 구비되어 처리된 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액비배출부(80) 및 상기 외부케이스(510) 타측 상부에 구비되는 공기배출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액비배출부(80)에는 개폐밸브(33)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외부케이스(510)는 내측에 상하로 다수 개의 격벽부(520)가 구비되되, 상기 격벽부(520)는 각각 일측과 타측이 상기 외부케이스(510)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이루어 하부로부터 상측 상기 공기배출부(90)까지 지그재그방식으로 공기가 유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최하단에 구비된 격벽부(520)는 상기 외부케이스(510)와 이격된 부위를 개폐하는 경로차단부(540)가 구비되며, 상기 경로차단부(540)는 소정의 모터에 연결되어 원격에서 자동적으로 경로의 개폐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경로차단부(540)는 처리된 폐수 등이 최하단 격벽부(520)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이룬다.
또한, 상기 격벽부(520)는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탈취유닛(57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탈취유닛(570)은 격벽부(520)에 부착되는 원판 보드 형태의 부착부(572)와, 상기 부착부(572)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램프부(574)와, 상기 램프부(574)에 연결되게 구비되는 광섬유로드(576)와, 상기 램프부(574) 둘레에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구비되는 복수 개의 브러쉬부(57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램프부(574)는 별도의 전원장치와 연결되어 점등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브러쉬부(578)는 표면에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 조성물이 코팅된 형태를 이룬다. 이와 같은 상기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 조성물의 자세한 특성과 효과는 한국등록특허 제1721027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 조성물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 조성물은 상기 외부케이스(510) 내부와 격벽부(520)의 양면에도 코팅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외부케이스(510) 내부에는 상기 격벽부(520) 사이 공간을 따라서 즉, 상기 경로차단부(540)를 이용 하측 격벽부(520)가 개방된 상태에서 개방된 곳으로부터 공기배출부(90) 측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모터부(532) 및 상기 모터부(532)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송풍팬(534)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탈취모듈(500)은 상기 외부케이스(510) 하측으로 유입된 처리가 완료된 폐수를 상기 배출부(80) 측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되, 상기 배출부(80)의 개폐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기 외부케이스(510) 상측 격벽부 사이로 공기가 상기 모터부(532) 및 송풍팬(534)의 작동에 따라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이동되는 공기가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 조성물을 통과하며 탈취효과를 얻도록 하게 된다.
특히, 상기 탈취유닛(570)에 구비된 광섬유로드(576)와 복수 개의 브러쉬부(578)에 의하여 공기와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 조성물과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탈취 효과를 최대한 얻을 수 있게 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탈취유닛(570)은 격벽부(520)에 부착되는 소정의 모터의 회전축에 상기 부착부(572)의 평평한 일면 중심이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유동하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보다 넓게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자원화 처리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비료는 일반 퇴비와 비교하여 N, P, K 뿐만 아니라 식물에게 필요한 미량원소까지 유용한 성분이 충분히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비료가 필요없고 유해균에 대한 멸균력이 있어서 별도 농약 처리가 필요 없게 된다.
또한, 최종 생성된 액체 비료가 식물 생장촉진, 발아촉진, 개화촉진, 당도향상, 수확량 향상, 병충해방지, 토양개선, 축사의 악취제거 등 다양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폐수공급부 20: 폐수유동부
23: 파쇄부 33: 개폐밸브
80: 액비배출부 90: 공기배출부
100: 저장모듈 110: 케이싱
200: 미생물공급모듈 300: 처리모듈
310: 진동부 400: 전기분해모듈
500: 탈취모듈 520: 격벽부
572: 부착부 574: 램프부

Claims (3)

  1. 외부에서 폐수를 공급받는 저장모듈과, 상기 저장모듈에 연결되는 미생물공급모듈과, 상기 미생물공급모듈과 연결되는 처리모듈과, 상기 처리모듈에 연결되는 탈취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모듈은, 내부 공간부가 형성된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상부로 폐수가 공급되는 폐수공급부와, 상기 폐수공급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로 공급되는 폐수를 파쇄하는 파쇄부를 포함하며;
    상기 탈취모듈은 내부 중공된 박스 형태의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측 하부에 상기 처리모듈과 연결되게 구비되는 연결관과, 상기 외부케이스 타측 하부에 구비되어 처리된 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액비배출부 및 상기 외부케이스 타측 상부에 구비되는 공기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케이스는 내측에 상하로 다수 개의 격벽부가 구비되되, 상기 격벽부는 각각 일측과 타측이 상기 외부케이스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이루어 상기 연결관으로부터 상측 상기 공기배출부까지 지그재그방식으로 공기가 유동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최하단에 구비된 격벽부는 상기 외부케이스와 이격된 부위를 개폐하는 경로차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격벽부는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탈취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탈취유닛은 상기 격벽부에 부착되는 원판 보드 형태의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램프부와, 상기 램프부에 연결되게 구비되는 광섬유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와 상기 격벽부의 양면에는 가시광 감응형 광촉매 조성물이 코팅되는;
    미생물공급모듈이 구비된 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폐수 처리방법에 의하면,
    상기 저장모듈에 공급된 폐수의 PH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PH가 조절된 후 상기 미생물공급모듈로 옮겨진 폐수에 마이크로버블 및 미생물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미생물공급모듈로부터 상기 처리모듈로 공급된 폐수를 전기분해하는 단계; 및
    상기 탈취모듈로 공급된 폐수의 악취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생물공급모듈이 구비된 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폐수 처리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공급모듈과 처리모듈을 연결하는 연결관이 더 구비되되,
    상기 미생물공급모듈과 처리모듈을 연결하는 연결관은 신축성을 가지는 주름관으로 이루어지는,
    미생물공급모듈이 구비된 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폐수 처리방법.
KR1020200012497A 2020-02-03 2020-02-03 미생물공급모듈이 구비된 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폐수 처리방법 KR102137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497A KR102137057B1 (ko) 2020-02-03 2020-02-03 미생물공급모듈이 구비된 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폐수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497A KR102137057B1 (ko) 2020-02-03 2020-02-03 미생물공급모듈이 구비된 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폐수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057B1 true KR102137057B1 (ko) 2020-07-23

Family

ID=71894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497A KR102137057B1 (ko) 2020-02-03 2020-02-03 미생물공급모듈이 구비된 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폐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05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547A (ko) * 2001-11-06 2003-05-14 박성돈 이온화가스를 이용한 순환식 무방류 분뇨폐수 처리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362280Y1 (ko) * 2004-05-13 2004-09-16 윤석은 주름관 연결장치
KR100812645B1 (ko) * 2006-09-29 2008-03-13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축분뇨의 호기성 액비화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822377B1 (ko) 2007-08-23 2008-04-16 주식회사 삼올 축산분뇨의 소화 처리에 따른 부산물의 비료화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처리 장치
JP2014226615A (ja) * 2013-05-23 2014-12-08 広播電子工業株式会社 グリーストラップ内の廃液処理方法及び廃液処理装置
KR20170010679A (ko) * 2015-07-20 2017-02-01 주식회사 에코윈코리아 전해산화에 의한 가축분뇨 처리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KR20170034971A (ko) * 2015-09-21 2017-03-30 김부열 탈취기능이 내장된 액비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547A (ko) * 2001-11-06 2003-05-14 박성돈 이온화가스를 이용한 순환식 무방류 분뇨폐수 처리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362280Y1 (ko) * 2004-05-13 2004-09-16 윤석은 주름관 연결장치
KR100812645B1 (ko) * 2006-09-29 2008-03-13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축분뇨의 호기성 액비화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822377B1 (ko) 2007-08-23 2008-04-16 주식회사 삼올 축산분뇨의 소화 처리에 따른 부산물의 비료화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처리 장치
JP2014226615A (ja) * 2013-05-23 2014-12-08 広播電子工業株式会社 グリーストラップ内の廃液処理方法及び廃液処理装置
KR20170010679A (ko) * 2015-07-20 2017-02-01 주식회사 에코윈코리아 전해산화에 의한 가축분뇨 처리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KR20170034971A (ko) * 2015-09-21 2017-03-30 김부열 탈취기능이 내장된 액비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3497A (ko)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장치
JP2000001387A (ja) 環境保全型家畜排泄物の適正処理施設
RU2595670C9 (ru) Система для разложения органических соединений и способ ее эксплуатации
KR102137057B1 (ko) 미생물공급모듈이 구비된 폐수 처리장치를 이용한 폐수 처리방법
KR101825588B1 (ko)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
JPH06345575A (ja) 有機性廃棄物の高速堆肥化施設と有機性廃棄物の再生方法
KR102105826B1 (ko) 축산 분뇨 처리를 위한 폭기 장치
KR101174252B1 (ko) 액상발효소멸식 음식물 처리장치
CN208603925U (zh) 高效生活污水处理设备
CN209020187U (zh) 一种生物滤池多级除臭装置
KR20080097893A (ko)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처리장치
CN116713302A (zh) 一种利用有机废物生产除臭剂的方法和装置
JP3696218B2 (ja) 糞尿分解処理剤及び微生物の活性化による糞尿の分解処理方法
JPH0769765A (ja) し尿または家畜の糞尿の再生処理方法と、し尿または家畜の糞尿処理施設
KR100673585B1 (ko) 광합성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탈취장치 및 방법
JP3854269B2 (ja) 汚水処理設備
KR102398727B1 (ko) 발효저장조 산기장치
JP4726478B2 (ja) 流動物の超微細化装置
JP6808187B1 (ja) 畜舎用殺菌洗浄脱臭生物育成材システム
CN212993667U (zh) 一种立体循环种植和养殖系统
Voicea et al. Experimental Water Treatment Plant from Agrozootechnical Farm
CN108658636A (zh) 一种基于堆肥反应装置的污泥处理装置
KR20120136787A (ko) 폐기물 처리 시스템
KR101059414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200374126Y1 (ko) 교반 기능을 갖는 자연발효 소멸식 화장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