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507B1 -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507B1
KR102136507B1 KR1020200022477A KR20200022477A KR102136507B1 KR 102136507 B1 KR102136507 B1 KR 102136507B1 KR 1020200022477 A KR1020200022477 A KR 1020200022477A KR 20200022477 A KR20200022477 A KR 20200022477A KR 102136507 B1 KR102136507 B1 KR 102136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mounting groove
space
body portion
lower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복순
Original Assignee
이복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복순 filed Critical 이복순
Priority to KR1020200022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972Degassing during the lam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99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introducing interlayers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03C27/10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with the aid of adhesive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는, 판형의 제1 유리와 판형의 제2 유리가 이격된 채 배치되도록 하고, 이격 공간 사이로 합성수지가 충진된 채, 경화되도록 하여 접합유리가 획득되도록 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에 안착되며, 일측 상단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삽입홈 및 타측 상단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삽입홈을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하측단이 삽입되되, 제1 이격거리로 이격된 채, 배치되도록 하는 하부장착부, 상기 하부장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상측단이 삽입되되, 상기 제1 이격거리로 이격된 채, 배치되도록 하는 상부장착부, 상기 제1 삽입홈에 삽입된 채, 상기 본체부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상부장착부와 상기 하부장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일측면을 연결하는 제1 측면장착부,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된 채, 상기 본체부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상부장착부와 상기 하부장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타측면을 연결하는 제2 측면장착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하부장착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이격 공간 내로 음압을 제공하는 음압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Manufacturing apparatus of laminated glas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접합유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판형의 제1 유리와 판형의 제2 유리가 이격된 채 배치되도록 하고, 이격 공간 사이로 합성수지가 충진된 채, 경화되도록 하여 접합유리가 획득되도록 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합유리는 두 장의 판유리 사이에 합성수지액을 투입, 경화시켜 접합시킨 것으로서, 이는 유리의 강도를 높이고, 파손 시에 합성수지액의 경화, 부착으로서 유리 파편의 비산을 방지하여 안전을 도모하고 있으며, 상기 합성수지액에는 필요시에 색상을 혼합시킴으로써 건물이나 주택의 인테리어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음은 주지와 같다.
상기한 접합유리의 일반적 제조방법은, 하나 이상의 격공이 형성되도록 모서리면을 따라 양면테이프를 부착시킨 판유리의 상면에 합성수지액을 설정된 량을 투입하고, 상기 양면테이프가 부착된 판유리의 상면에 또 하나의 유리를 적층시켜 상기 합성수지액이 골고루 펴지도록 한 후, 상기 판유리 사이의 합성수지액을 경화시킴으로써 완성된 접합유리를 얻게 된다.
이러한 접합유리 제조방법의 대표적인 예가 국내 특허공개 제10-2005-44874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접합유리 제조방법은 전기한 일반적 제조방법과는 다르게 유리판의 모서리 부위에 접착된 양면테이프의 상면에 한지나 천 등과 같은 직물재의 중간판을 접착시키고, 그 위에 또 하나의 판유리를 적층시킨 후, 양 판유리 사이에 양면테이프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부로 합성수지액을 주입, 경화시켜 줌으로써 접합된 판유리를 얻고, 이후 양면테이프가 접착된 부위들을 절단, 제거함으로써 완성된 접합유리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선행 기술에서의 문제점은 양면테이프의 상면에 중간판을 접착시키고, 또한 상부에 또 하나의 판유리를 적층 접착시켜야 하므로, 결국 양면테이프의 반은 중간판이 접착되고 나머지 부분에는 판유리가 접착되도록 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작업이 어려움은 물론, 작업소요시간이 과대히 지연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소방안에 하나로 제시된 선행기술에서의 또 다른 제조방법은, 판유리의 둘레에 양면테이프를 접착시켜 상부 판유리가 적층, 접착되도록 하고, 상기 양면테이프의 내측으로 또 다른 양면테이프 접착시켜 중간판이 적층, 접착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중간판의 접착작업과 상기 판유리의 적층에는 별문제가 없으나, 합성수지액의 주입과 경화가 완료된 후에는 양면테이프가 접착된 부위를 모두 절단해 폐기햐야 하므로 원자재의 손실율이 커져 원가상승의 주요인을 제공하게 된다는 또 다른 문제점이 지적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양면테이프가 접착된 부위를 모두 절단하는 과정에서 유리의 특성상 가공 상의 파손이 발생하는 사례가 있어 제품의 제작, 생산에 의한 손실이 높은 편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34864호
본 발명의 목적은, 판형의 제1 유리와 판형의 제2 유리가 이격된 채 배치되도록 하고, 이격 공간 사이로 합성수지가 충진된 채, 경화되도록 하여 접합유리가 획득되도록 하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는, 판형의 제1 유리와 판형의 제2 유리가 이격된 채 배치되도록 하고, 이격 공간 사이로 합성수지가 충진된 채, 경화되도록 하여 접합유리가 획득되도록 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에 안착되며, 일측 상단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삽입홈 및 타측 상단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삽입홈을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하측단이 삽입되되, 제1 이격거리로 이격된 채, 배치되도록 하는 하부장착부, 상기 하부장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상측단이 삽입되되, 상기 제1 이격거리로 이격된 채, 배치되도록 하는 상부장착부, 상기 제1 삽입홈에 삽입된 채, 상기 본체부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상부장착부와 상기 하부장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일측면을 연결하는 제1 측면장착부,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된 채, 상기 본체부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상부장착부와 상기 하부장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타측면을 연결하는 제2 측면장착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하부장착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이격 공간 내로 음압을 제공하는 음압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압제공부는,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이격 공간에 체류 중인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이격 공간 내로의 합성수지 충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의 상기 하부장착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안착되는 하부몸통부, 상기 하부몸통부의 일측단으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제1 유리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하부몸통부의 타측단으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제2 유리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와 인접하게 형성되되, 상기 하부몸통부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상기 제1 유리의 하측단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 하부장착홈, 상기 제2 지지부와 인접하게 형성되되, 상기 하부몸통부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상기 제2 유리의 하측단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하부장착홈 및 상기 제1 하부장착홈과 상기 제2 하부장착홈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하부몸통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부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관통홀은,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이격 공간 내의 공기 또는 합성수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의 상기 상부장착부는, 상기 하부몸통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몸통부, 상기 상부몸통부의 하면으로부터 함입되어 상기 제1 유리의 상측단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상부장착홈, 상기 상부몸통부의 하면으로부터 함입되어 상기 제2 유리의 상측단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상부장착홈 및 상기 제1 상부장착홈과 상기 제2 상부장착홈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몸통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부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관통홀은,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이격 공간 내로 합성수지가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의 상기 하부장착부는, 상기 제1 하부장착홈과 상기 제2 하부장착홈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하부몸통부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며, 특정 형상의 문양을 제공하는 문양필름부의 하측단이 삽입되는 중간하부장착홈을 더 구비하며, 상기 상부장착부는, 상기 제1 상부장착홈과 상기 제2 상부장착홈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몸통부의 하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문양필름부의 상측단이 삽입되는 중간상부장착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의 상기 하부관통홀은, 상기 제1 하부장착홈과 상기 중간하부장착홈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하부관통편 및 상기 중간하부장착홈과 상기 제2 하부장착홈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하부관통편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관통홀은, 상기 제1 상부장착홈과 상기 중간상부장착홈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상부관통편 및 상기 중간상부장착홈과 상기 제2 상부장착홈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상부관통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상부관통편은, 상기 상부몸통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부몸통부의 하면을 향해 점진적으로 공간의 크기가 감소하는 제1 감소부 및 상기 제1 감소부와 연통되며, 상기 상부몸통부의 하면을 향해 일정한 공간 크기를 제공하는 제1 직선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상부관통편은, 상기 상부몸통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부몸통부의 하면을 향해 점진적으로 공간의 크기가 감소하는 제2 감소부 및 상기 제2 감소부와 연통되며, 상기 상부몸통부의 하면을 향해 일정한 공간 크기를 제공하는 제2 직선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는 상기 상부장착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장착부의 상기 바닥면에 대한 기울기를 측정하는 수평확인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전기적 신호에 따라 램프가 구동되도록 하는 표시부 및 상기 수평확인부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 값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확인부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 값이, 기 설정된 값과 상이한 경우, 상기 표시부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의 상기 음압제공부는,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 사이의 이격 공간과 연통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 및 상기 수용공간으로 음압을 발생시키는 음압발생부를 구비하며, 상기 음압발생부는, 상기 공간형성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제1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공간형성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공간형성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채워지는 합성수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충진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진센서부에 의해 합성수지가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가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평확인부에 의해 측정된 값에 따라 구동되는 경우, 제1 색상으로 표시되고, 상기 충진센서부에 의해 합성수지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색상과 상이한 제2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방법은, 제3항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장착홈에 상기 제1 유리의 하측단을 삽입하고, 상기 제2 하부장착홈에 상기 제2 유리의 하측단을 삽입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상부장착홈에 상기 제1 유리의 상측단을 삽입하고, 상기 제2 상부장착홈에 상기 제2 유리의 상측단을 삽입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삽입홈에 상기 제1 측면장착부를 삽입하는 제3 단계, 상기 제2 삽입홈에 상기 제2 측면장착부를 삽입하는 제4 단계, 상기 음압제공부를 구동하여,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 사이의 이격 공간 내의 공기를 인출하는 제5 단계, 상기 상부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합성수지를 충진시키는 제6 단계,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 사이의 합성수지를 경화시키는 제7 단계 및 상기 접합유리 제조장치로부터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를 분리시켜 접합유리를 획득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방법의 상기 하부장착부는, 상기 제1 하부장착홈과 상기 제2 하부장착홈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하부몸통부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며, 특정 형상의 문양을 제공하는 문양필름부의 하측단이 삽입되는 중간하부장착홈을 더 구비하며, 상기 상부장착부는, 상기 제1 상부장착홈과 상기 제2 상부장착홈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몸통부의 하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문양필름부의 상측단이 삽입되는 중간상부장착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중간하부장착홈에 상기 문양필름부의 하측단을 삽입하는 제2-1 단계 및 상기 중간상부장착홈에 상기 문양필름부의 상측단을 삽입하는 제2-2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문양필름층을 접합유리 간에 개재시키더라도 안전성, 단열성 등이 우수한 접합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유리 사이에 합성수지가 충진되는 중에, 각각의 유리의 이격 거리가 유지되도록 하여, 우수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유리 사이에 합성수지가 충진되는 중에 구멍, 공극, 기공, 기포, 공기간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불량률을 최소화하여 대량 생산에 도움이 되고,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시장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의 하부장착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의 상부장착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5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에 의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를 도시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1)는, 판형의 제1 유리(G1)와 판형의 제2 유리(G2)가 이격된 채, 배치되도록 하고, 이격 공간 사이로 합성수지가 충진된 채, 경화되도록 하여 접합유리가 획득되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접합유리 제조장치(1)는, 본체부(10), 하부장착부(20), 상부장착부(30), 제1 측면장착부(41), 제2 측면장착부(42) 및 음압제공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바닥면에 안착되며, 일측 상단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삽입홈(11) 및 타측 상단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삽입홈(1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장착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리(G1)와 상기 제2 유리(G2)의 하측단이 삽입되되, 제1 이격거리로 이격된 채,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부장착부(30)는, 상기 하부장착부(20)에 안착된 상기 제1 유리(G1)와 상기 제2 유리(G2)의 상측단이 삽입되되, 상기 제1 이격거리로 이격된 채,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장착부(41)는, 상기 제1 삽입홈(11)에 삽입된 채, 상기 본체부(10)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상부장착부(30)와 상기 하부장착부(20)에 안착된 상기 제1 유리(G1)와 상기 제2 유리(G2)의 일측면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홈(11)은, 상기 하부장착부(20)의 일측단의 하부측과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면장착부(41)가 삽입된 경우, 상기 제1 측면장착부(41)의 일측면과 상기 하부장착부(20)의 일측단면이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장착부(41)는, 상기 하부장착부(2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장착부(20)에 삽입된 상기 제1 유리(G1)와 상기 제2 유리(G2)의 일측단면과 접촉된 채, 상기 제1 유리(G1)와 상기 제2 유리(G2) 사이의 이격 공간 중 측면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장착부(41)는, 상기 제2 측면장착부(42)와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리(G1)의 일측단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제1-1 가이드홈(411) 및 상기 제2 유리(G2)의 일측단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제1-2 가이드홈(4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1 가이드홈(411)은, 상기 제1 유리(G1)가 전후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제1-2 가이드홈(412)은 상기 제2 유리(G2)가 전후로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장착부(42)는, 상기 제2 삽입홈(12)에 삽입된 채, 상기 본체부(10)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상부장착부(30)와 상기 하부장착부(20)에 안착된 상기 제1 유리(G1)와 상기 제2 유리(G2)의 타측면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 삽입홈(12)은, 상기 하부장착부(20)의 타측단의 하부측과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측면장착부(42)가 삽입된 경우, 상기 제2 측면장착부(42)의 일측면과 상기 하부장착부(20)의 타측단면이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장착부(42)는, 상기 하부장착부(2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장착부(20)에 삽입된 상기 제1 유리(G1)와 상기 제2 유리(G2)의 타측단면과 접촉된 채, 상기 제1 유리(G1)와 상기 제2 유리(G2) 사이의 이격 공간 중 측면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장착부(42)는, 상기 제1 측면장착부(41)와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리(G1)의 타측단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제2-1 가이드홈(421) 및 상기 제2 유리(G2)의 타측단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제2-2 가이드홈(4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1 가이드홈(421)은, 상기 제1 유리(G1)가 전후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제2-2 가이드홈(422)은 상기 제2 유리(G2)가 전후로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음압제공부(50, 도 5 참조)는,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하부장착부(2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유리(G1)와 상기 제2 유리(G2)의 이격 공간 내로 음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음압제공부(50)는, 상기 제1 유리(G1)와 상기 제2 유리(G2)의 이격 공간에 체류 중인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이격 공간 내로의 합성수지 충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리(G1)와 상기 제2 유리(G2)의 이격 공간에 공기가 체류하는 경우, 합성수지가 충분히 상기 제1 유리(G1)와 상기 제2 유리(G2)의 이격 공간으로 균질하고, 밀집되게 주입되지 못하며, 이로 인해 충진된 합성수지 사이에 구멍, 공극, 기공, 기포, 공기간극이 형성되어 불량인 접합유리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유리(G1)와 상기 제2 유리(G2)의 이격 공간으로 합성수지가 충진 되기 전 또는 충진 되는 중에, 상기 이격 공간 내에 체류 중인 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의 하부장착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1)의 하부장착부(20)는 하부몸통부, 제1 지지부(22), 제2 지지부(23), 제1 하부장착홈(24), 제2 하부장착홈(25) 및 하부관통홀(26)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몸통부는, 상기 본체부(1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22)는, 상기 하부몸통부의 일측단으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제1 유리(G1)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22)는, 평면으로 제작되어 상기 하부몸통부의 일측단으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제1 유리(G1)가 전면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23)는, 상기 하부몸통부의 타측단으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제2 유리(G2)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23)는, 평면으로 제작되어 상기 하부몸통부의 일측단으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제2 유리(G2)가 후면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장착홈(24)은, 상기 제1 지지부(22)와 인접하게 형성되되, 상기 하부몸통부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상기 제1 유리(G1)의 하측단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부장착홈(25)은, 상기 제2 지지부(23)와 인접하게 형성되되, 상기 하부몸통부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상기 제2 유리(G2)의 하측단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부관통홀(26)은, 상기 제1 하부장착홈(24)과 상기 제2 하부장착홈(25)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하부몸통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격되어 배치되는 원형의 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관통홀(26)은, 상기 제1 유리(G1)와 상기 제2 유리(G2)의 이격 공간 내의 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공간이며, 동시에 합성수지 또한 배출되는 공간이다. 이 때, 합성수지의 외부 배출은 최소화하되, 이격 공간 내의 공기는 용이하게 제거되어야 하므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는 원형의 홀 형상으로 제작된다.
상기 하부관통홀(26)은, 상기 제1 유리(G1)와 상기 제2 유리(G2)의 이격 공간 내의 공기 또는 합성수지가 상기 이격 공간으로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장착부(20)는, 중간하부장착홈(27)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간하부장착홈(27)은, 상기 제1 하부장착홈(24)과 상기 제2 하부장착홈(25)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하부몸통부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며, 특정 형상의 문양을 제공하는 문양필름부(M)의 하측단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부관통홀(26)은, 제1 하부관통편(261) 및 제2 하부관통편(26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관통편(261)은, 상기 제1 하부장착홈(24)과 상기 중간하부장착홈(27)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부관통편(262)은, 상기 중간하부장착홈(27)과 상기 제2 하부장착홈(2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관통편(261)과 상기 제2 하부관통편(262)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나,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분류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의 상부장착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1)의 상부장착부(30)는, 상부몸통부(31), 제1 상부장착홈(32), 제2 상부장착홈(33) 및 상부관통홀(3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몸통부(31)는, 상기 하부몸통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장착홈(32)은, 상기 상부몸통부(31)의 하면으로부터 함입되어 상기 제1 유리(G1)의 상측단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장착홈(33)은, 상기 상부몸통부(31)의 하면으로부터 함입되어 상기 제2 유리(G2)의 상측단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부관통홀(34)은, 상기 제1 상부장착홈(32)과 상기 제2 상부장착홈(33)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몸통부(3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몸통부(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관통된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관통홀(34)은, 상기 제1 유리(G1)와 상기 제2 유리(G2)의 이격 공간 내에 합성수지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간이다. 이 때, 합성수지의 이격 공간 내로의 유입은 신속하게 구현되어야 하므로, 관통홀의 크기가 상기 하부관통홀(26)과 비교하여 크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관통홀(34)은, 상기 제1 유리(G1)와 상기 제2 유리(G2)의 이격 공간 내로 합성수지가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장착부(30)는, 중간상부장착홈(3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간상부장착홈(35)은, 상기 제1 상부장착홈(32)과 상기 제2 상부장착홈(33)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몸통부(31)의 하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문양필름부(M)의 상측단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상부관통홀(34)은, 제1 상부관통편(341) 및 제2 상부관통편(34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관통편(341)은, 상기 제1 상부장착홈(32)과 상기 중간상부장착홈(3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관통편(342)은, 상기 중간상부장착홈(35)과 상기 제2 상부장착홈(3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관통편(341)과 상기 제2 상부관통편(342)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나,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분류된 것이다.
상기 제1 상부관통편(341)은, 상기 상부몸통부(31)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부몸통부(31)의 하면을 향해 점진적으로 공간의 크기가 감소하는 제1 감소부(341a) 및 상기 제1 감소부(341a)와 연통되며, 상기 상부몸통부(31)의 하면을 향해 일정한 공간 크기를 제공하는 제1 직선부(34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소부(341a)는, 상기 상부몸통부(31)의 상측으로부터 유입되는 합성수지의 상기 제1 유리(G1)와 상기 문양필름부(M)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감소부(341a)로 유입된 합성수지는 상기 제1 감소부(341a)를 따라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 직선부(341b)를 통해 상기 제1 유리(G1)와 상기 문양필름부(M)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관통편(342)은, 상기 상부몸통부(31)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부몸통부(31)의 하면을 향해 점진적으로 공간의 크기가 감소하는 제2 감소부(342a) 및 상기 제2 감소부(342a)와 연통되며, 상기 상부몸통부(31)의 하면을 향해 일정한 공간 크기를 제공하는 제2 직선부(34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소부(342a)는, 상기 상부몸통부(31)의 상측으로부터 유입되는 합성수지의 상기 제2 유리(G2)와 상기 문양필름부(M)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감소부(342a)로 유입된 합성수지는 상기 제2 감소부(342a)를 따라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2 직선부(342b)를 통해 상기 제2 유리(G2)와 상기 문양필름부(M)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1)는 수평확인부(미도시), 표시부(70) 및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확인부는, 상기 상부장착부(30)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장착부(30)의 상기 바닥면에 대한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70)는, 상기 본체부(10)에 설치되며, 전기적 신호에 따라 램프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확인부(90)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 값에 따라 상기 표시부(70)의 구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확인부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 값이, 기 설정된 값과 상이한 경우, 상기 표시부(70)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70)에 의해 구동된 램프의 색의 변화 또는 온/오프를 통해 본체부(10)의 지면에 대한 기울어짐 또는 제1 유리(G1), 제2 유리(G2)의 기울어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1)의 음압제공부(50)는, 공간형성부(51) 및 음압발생부(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간형성부(51)는, 상기 본체부(10)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유리(G1)와 상기 제2 유리(G2) 사이의 이격 공간과 연통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음압발생부(53)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음압을 발생시키는 공지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음압발생부(53)는, 상기 공간형성부(51)의 바닥면으로부터 제1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1)는 충진센서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진센서부(60)는,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공간형성부(51)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공간형성부(51)의 바닥면으로부터 채워지는 합성수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충진센서부(60)에 의해 합성수지가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70)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70)는, 상기 수평확인부(90)에 의해 측정된 값에 따라 구동되는 경우, 제1 색상으로 표시되고, 상기 충진센서부(60)에 의해 합성수지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색상과 상이한 제2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70)에 제1 색상이 표시된 경우 접합유리 제조장치(1)가 지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져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2 색상이 표시된 경우 합성수지의 제1 유리(G1)와 제2 유리(G2)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의 충진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에 의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방법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접합유리 제조장치(1)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접합유리 제조방법은, 제1 단계(S1) 내지 제8 단계(S8)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단계(S1)는, 상기 제1 하부장착홈(24)에 상기 제1 유리(G1)의 하측단을 삽입하고, 상기 제2 하부장착홈(25)에 상기 제2 유리(G2)의 하측단을 삽입하는 단계일 수 있다(도 6의 (a) 및 (b) 참조).
제2 단계(S2)는, 상기 제1 상부장착홈(32)에 상기 제1 유리(G1)의 상측단을 삽입하고, 상기 제2 상부장착홈(33)에 상기 제2 유리(G2)의 상측단을 삽입하는 단계일 수 있다(도 6의 (c) 및 (d) 참조).
상기 제2 단계(S2)는, 제2-1 단계 및 제2-2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단계는, 상기 중간하부장착홈(27)에 상기 문양필름부(M)의 하측단을 삽입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2-2 단계는, 상기 중간상부장착홈(35)에 상기 문양필름부(M)의 상측단을 삽입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3 단계(S3)는, 상기 제1 삽입홈(11)에 상기 제1 측면장착부(41)를 삽입하는 단계일 수 있다(도 6의 (e) 참조).
제4 단계(S4)는, 상기 제2 삽입홈(12)에 상기 제2 측면장착부(42)를 삽입하는 단계일 수 있다(도 6의 (f) 참조).
제5 단계(S5)는, 상기 음압제공부(50)를 구동하여, 상기 제1 유리(G1)와 상기 제2 유리(G2) 사이의 이격 공간 내의 공기를 인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도 7의 (a) 참조).
제6 단계(S6)는, 상기 상부관통홀(34)을 통해 상기 제1 유리(G1)와 상기 제2 유리(G2)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합성수지(P)를 충진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도 7의 (b) 참조).
제7 단계(S7)는, 상기 제1 유리(G1)와 상기 제2 유리(G2) 사이의 합성수지(P)를 경화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제8 단계(S8)는, 상기 접합유리 제조장치(1)로부터 상기 제1 유리(G1)와 상기 제2 유리(G2)를 분리시켜 접합유리를 획득하는 단계일 수 있다(도 7의 (c) 참조).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접합유리 제조장치
G1: 제1 유리
G2: 제1 유리
M: 문양필름부
10: 본체부
20: 하부장착부
30: 상부장착부
50: 음압제공부
60: 충진센서부
70: 표시부
S1: 제1 단계
S2: 제2 단계
S3: 제3 단계
S4: 제4 단계
S5: 제5 단계
S6: 제6 단계
S7: 제7 단계
S8: 제8 단계

Claims (9)

  1. 판형의 제1 유리와 판형의 제2 유리가 이격된 채 배치되도록 하고, 이격 공간 사이로 합성수지가 충진된 채, 경화되도록 하여 접합유리가 획득되도록 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에 안착되며, 일측 상단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삽입홈 및 타측 상단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삽입홈을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하측단이 삽입되되, 제1 이격거리로 이격된 채, 배치되도록 하는 하부장착부;
    상기 하부장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상측단이 삽입되되, 상기 제1 이격거리로 이격된 채, 배치되도록 하는 상부장착부;
    상기 제1 삽입홈에 삽입된 채, 상기 본체부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상부장착부와 상기 하부장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일측면을 연결하는 제1 측면장착부;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된 채, 상기 본체부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상부장착부와 상기 하부장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타측면을 연결하는 제2 측면장착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하부장착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이격 공간 내로 음압을 제공하는 음압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압제공부는,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이격 공간에 체류 중인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이격 공간 내로의 합성수지 충진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하부장착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안착되는 하부몸통부, 상기 하부몸통부의 일측단으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제1 유리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하부몸통부의 타측단으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제2 유리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와 인접하게 형성되되, 상기 하부몸통부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상기 제1 유리의 하측단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 하부장착홈, 상기 제2 지지부와 인접하게 형성되되, 상기 하부몸통부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상기 제2 유리의 하측단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하부장착홈 및 상기 제1 하부장착홈과 상기 제2 하부장착홈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하부몸통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부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관통홀은,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이격 공간 내의 공기 또는 합성수지가 상기 이격 공간으로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장착부는,
    상기 하부몸통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몸통부, 상기 상부몸통부의 하면으로부터 함입되어 상기 제1 유리의 상측단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상부장착홈, 상기 상부몸통부의 하면으로부터 함입되어 상기 제2 유리의 상측단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상부장착홈 및 상기 제1 상부장착홈과 상기 제2 상부장착홈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몸통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부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관통홀은,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의 이격 공간 내로 합성수지가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장착부는,
    상기 제1 하부장착홈과 상기 제2 하부장착홈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하부몸통부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며, 특정 형상의 문양을 제공하는 문양필름부의 하측단이 삽입되는 중간하부장착홈을 더 구비하며,
    상기 상부장착부는,
    상기 제1 상부장착홈과 상기 제2 상부장착홈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몸통부의 하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문양필름부의 상측단이 삽입되는 중간상부장착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통홀은,
    상기 제1 하부장착홈과 상기 중간하부장착홈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하부관통편 및 상기 중간하부장착홈과 상기 제2 하부장착홈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하부관통편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관통홀은,
    상기 제1 상부장착홈과 상기 중간상부장착홈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상부관통편 및 상기 중간상부장착홈과 상기 제2 상부장착홈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상부관통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상부관통편은,
    상기 상부몸통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부몸통부의 하면을 향해 점진적으로 공간의 크기가 감소하는 제1 감소부 및 상기 제1 감소부와 연통되며, 상기 상부몸통부의 하면을 향해 일정한 공간 크기를 제공하는 제1 직선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상부관통편은,
    상기 상부몸통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부몸통부의 하면을 향해 점진적으로 공간의 크기가 감소하는 제2 감소부 및 상기 제2 감소부와 연통되며, 상기 상부몸통부의 하면을 향해 일정한 공간 크기를 제공하는 제2 직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장착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장착부의 상기 바닥면에 대한 기울기를 측정하는 수평확인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전기적 신호에 따라 램프가 구동되도록 하는 표시부; 및
    상기 수평확인부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 값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확인부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 값이, 기 설정된 값과 상이한 경우, 상기 표시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제공부는,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 사이의 이격 공간과 연통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 및 상기 수용공간으로 음압을 발생시키는 음압발생부를 구비하며,
    상기 음압발생부는,
    상기 공간형성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제1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공간형성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공간형성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채워지는 합성수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충진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진센서부에 의해 합성수지가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가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평확인부에 의해 측정된 값에 따라 구동되는 경우, 제1 색상으로 표시되고, 상기 충진센서부에 의해 합성수지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색상과 상이한 제2 색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
  8. 제3항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장착홈에 상기 제1 유리의 하측단을 삽입하고, 상기 제2 하부장착홈에 상기 제2 유리의 하측단을 삽입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상부장착홈에 상기 제1 유리의 상측단을 삽입하고, 상기 제2 상부장착홈에 상기 제2 유리의 상측단을 삽입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삽입홈에 상기 제1 측면장착부를 삽입하는 제3 단계;
    상기 제2 삽입홈에 상기 제2 측면장착부를 삽입하는 제4 단계;
    상기 음압제공부를 구동하여,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 사이의 이격 공간 내의 공기를 인출하는 제5 단계;
    상기 상부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합성수지를 충진시키는 제6 단계;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 사이의 합성수지를 경화시키는 제7 단계; 및
    상기 접합유리 제조장치로부터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를 분리시켜 접합유리를 획득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장착부는,
    상기 제1 하부장착홈과 상기 제2 하부장착홈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하부몸통부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며, 특정 형상의 문양을 제공하는 문양필름부의 하측단이 삽입되는 중간하부장착홈을 더 구비하며,
    상기 상부장착부는,
    상기 제1 상부장착홈과 상기 제2 상부장착홈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몸통부의 하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문양필름부의 상측단이 삽입되는 중간상부장착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중간하부장착홈에 상기 문양필름부의 하측단을 삽입하는 제2-1 단계 및
    상기 중간상부장착홈에 상기 문양필름부의 상측단을 삽입하는 제2-2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제조방법.
KR1020200022477A 2020-02-24 2020-02-24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 KR102136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477A KR102136507B1 (ko) 2020-02-24 2020-02-24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477A KR102136507B1 (ko) 2020-02-24 2020-02-24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507B1 true KR102136507B1 (ko) 2020-07-21

Family

ID=71832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477A KR102136507B1 (ko) 2020-02-24 2020-02-24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5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758B1 (ko) 2023-07-11 2024-01-23 오현택 곡면 접합유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628757B1 (ko) * 2023-06-26 2024-01-23 이복순 곡면 접합유리 제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484Y1 (ko) * 1994-10-12 1997-01-24 정성길 이중접합유리 제작용 제작틀과 이중접합유리
KR20100134864A (ko) 2009-06-16 2010-12-24 한국접합유리 주식회사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KR20130099758A (ko) * 2012-02-29 2013-09-06 주식회사 프레코 방범유리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39493A (ko) * 2012-09-24 2014-04-02 조영수 에어로젤 함유 단열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9049275A1 (ja) * 2017-09-07 2019-03-14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表示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484Y1 (ko) * 1994-10-12 1997-01-24 정성길 이중접합유리 제작용 제작틀과 이중접합유리
KR20100134864A (ko) 2009-06-16 2010-12-24 한국접합유리 주식회사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KR20130099758A (ko) * 2012-02-29 2013-09-06 주식회사 프레코 방범유리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39493A (ko) * 2012-09-24 2014-04-02 조영수 에어로젤 함유 단열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9049275A1 (ja) * 2017-09-07 2019-03-14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表示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757B1 (ko) * 2023-06-26 2024-01-23 이복순 곡면 접합유리 제조장치
KR102628758B1 (ko) 2023-07-11 2024-01-23 오현택 곡면 접합유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507B1 (ko)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
US8793959B2 (en) Overlap system for a flooring system
CN100418762C (zh) 用于层压玻璃的复合中间层
US20100300032A1 (en) Plate product using natural stone for floor and wall finishing
JPH06340453A (ja) ガラス板の積層方法および積層ガラス物品
CN110546337B (zh) 用于生产地板覆盖物的声学镶板
ITUD20080134A1 (it) Procedimento e macchina per la realizzazione di un pannello modulare di rivestimento, e pannello cosi' realizzato
EP0502880A1 (en) PROCESS FOR PRODUCING COMPOSITE PANELS BASED ON DECORATIVE STONE OR AN EQUIVALENT MATERIAL.
CN105658596A (zh)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CN112945693B (zh) 一种控制单搭结构胶粘接厚度的拉伸剪切制样装置
CN106394575A (zh) 具有夹层板状构件的交通工具
KR102397501B1 (ko) 적층 가식 필름과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가식 성형체와 그 제조 방법
CN100551133C (zh) 弯曲波声音辐射器
KR102030059B1 (ko) 물성 평가용 시험체 제작을 위한 3d 프린터 및 이를 이용한 시험체 제작 방법
DE102006009639A1 (de) Vakuumspannplatte
CN106150003B (zh) 一种水泥楼梯木质踏板的安装结构及其直接安装方法
JP5103346B2 (ja) セラミック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セラミック部材の製造方法
WO2003022570A1 (es) Baldosa para construccion
KR101847619B1 (ko) 고함량의 연마제 성분을 포함한 연마패드 및 그 연마패드 제조방법
EP3363964B1 (en) Method of production of edge protection strips of ceramic material
CN210195181U (zh) 地面装饰板
CN206681304U (zh) 地板组件
CN105305004B (zh) 裂缝线源阵列波导嵌入固定粘接成型工艺
KR20040039329A (ko) 건축용 타일
JP2011094966A (ja) 半導体圧力センサ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