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757B1 - 곡면 접합유리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곡면 접합유리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757B1
KR102628757B1 KR1020230081790A KR20230081790A KR102628757B1 KR 102628757 B1 KR102628757 B1 KR 102628757B1 KR 1020230081790 A KR1020230081790 A KR 1020230081790A KR 20230081790 A KR20230081790 A KR 20230081790A KR 102628757 B1 KR102628757 B1 KR 102628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unit
frame
transfer unit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1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복순
Original Assignee
이복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복순 filed Critical 이복순
Priority to KR1020230081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03C27/10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with the aid of adhesive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20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gripping tongs or supporting frames
    • C03B35/202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gripping tongs or supporting frames by supporting frames
    • C03B35/207Construction or design of supporting fra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균일한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고, 제품의 생산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곡면 접합유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유리판과 제2 유리판을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 제1 유리판을 흡착한 뒤 상승시켜 제1 유리판의 하부로 이송된 제2 유리판과 제1 유리판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리프팅부, 'ㄷ' 형상의 분할된 지지 프레임들을 가압하여 제1 유리판과 제2 유리판의 테두리에 결합하는 프레임 가압부들, 제1 밸브에 결합되고, 흡인력을 발생시켜 제1 유리판과 제2 유리판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음압부, 제2 밸브에 결합되고, 제2 밸브를 통해 제1 유리판과 제2 유리판 사이의 공간으로 액체상태의 충전물을 주입하는 충전물 주입부, 지지 프레임들을 전후 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 지지 프레임들의 상부 및 하부에서 UV광을 발산하여 충전물을 경화시키는 경화부, 지지 프레임들을 전후 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3 이송부 및 지지 프레임들을 접합유리에서 분리하는 프레임 탈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곡면 접합유리 제조장치{Laminated glass manufacturing equipment}
본 발명은 곡면 접합유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접합유리의 제조와 관련된 전공정을 자동화하여 균일한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고, 제품의 생산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곡면 접합유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합유리는 이격 배치된 복수의 유리패널과, 복수의 유리패널 사이에 충진되어 복수의 유리패널을 서로 접합하고 복수의 유리패널을 지지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중간층으로 구성된다.
접합유리는 쉽게 파손되지 않고,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파편이 비산되지 않으며, 소음차단, 자외선차단 및 습기차단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접합유리는 기설정된 크기로 절단되어 세척 및 건조된 복수의 유리패널 사이에 필름 또는 시트 형태의 수지재를 배치하고, 복수의 유리패널과 수지재에 기설정된 열과 압력을 가하여 복수의 유리패널을 가접합한 뒤, 가접합된 복수의 유리패널을 오토크레이브 설비에 투입하여 더 높은 열과 압력을 가하여 본접합하는 다수의 공정들을 통해 제작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접합유리 제조공정은 가접합과 본접합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속도가 느리고, 이로 인해 생산량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접합유리 제조공정은 고에너지를 소모하여 유리패널들에 열과 압력을 가하는 다수의 장비를 사용해야함에 따라 시설관리에 높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액상형의 수지를 유리패널들 사이에 주입하고, UV 광원을 이용해 수지를 경화하여 신속히 접합유리를 제조하는 접합유리를 제조방법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접합유리를 제조방법은 거치대를 이용하여 복수의 유리패널을 이격 배치하고, 이격 배치된 복수의 유리패널 테두리를 테이핑하여 복수의 유리패널 사이의 공간을 밀폐한다. 그리고, 테이핑된 일부분을 통해 액체 상태의 수지를 주입한 후, 복수의 유리패널 외측에서 UV 광을 조사하여 수지를 경화하여 접합유리를 제조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접합유리를 제조방법은 각 공정별로 다수의 작업자가 투입되어 각 공정을 수행함에 따라, 제품의 생산속도가 느리고, 이로 인해 생산량이 적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접합유리를 제조방법은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 진행됨에 따라,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지속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이를 통해 불량 발생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접합유리를 제조방법은 다수의 작업인력을 필요로 함에 따라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486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곡면 접합유리의 제조와 관련된 전공정을 자동화하여 균일한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고, 제품의 생산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곡면 접합유리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은, 제1 유리판, 상기 제1 유리판에 이격 배치되는 제2 유리판 및 상기 제1 유리판과 상기 제2 유리판 사이에 충전되어 상기 제1 유리판과 상기 제2 유리판을 접합하는 충전물로 구성되는 접합유리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유리판과 상기 제2 유리판을 순차적으로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제1 유리판을 흡착한 뒤 상승시켜 상기 제1 유리판의 하부로 이송된 상기 제2 유리판과 상기 제1 유리판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리프팅부; 좌우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이송부의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되고, 단부에 배치된 'ㄷ' 형상의 분할된 지지 프레임들을 가압하여 상기 제1 유리판과 상기 제2 유리판의 테두리에 결합하는 프레임 가압부들;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유리판과 상기 제2 유리판 사이의 공간과 연통된 제1 밸브에 결합되고, 흡인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 유리판과 상기 제2 유리판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음압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유리판과 상기 제2 유리판 사이의 공간과 연통된 제2 밸브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밸브를 통해 상기 제1 유리판과 상기 제2 유리판 사이의 공간으로 액체상태의 충전물을 주입하는 충전물 주입부; 상기 제1 이송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1 유리판, 상기 제2 유리판 및 상기 충전물이 수용된 상기 지지 프레임들을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 상기 제2 이송부의 일 구간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이송 중인 상기 지지 프레임들의 상부 및 하부에서 UV광을 발산하여 상기 충전물을 경화시키는 경화부; 상기 제2 이송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지지 프레임들을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3 이송부; 및 상기 제3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지지 프레임들을 상기 접합유리에서 분리하는 프레임 탈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프레임 가압부는,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그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 가압 실린더; 상기 프레임 가압 실린더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 가압 실린더에 의해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 관부재;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 관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면을 지지하는 가압로드; 및 상기 이송 관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로드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로드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1 유리판 및 상기 제2 유리판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리판의 테두리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면 사이를 기밀하는 탄성체 재질의 제1 기밀시트;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유리판의 테두리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면 사이를 기밀하는 탄성체 재질의 제2 기밀시트;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 본체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가압부에 가압되면 상기 프레임 본체에 대향 배치된 다른 지지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며, 돌출 방향을 따라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웨지형 돌기;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 본체의 단부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가압부에 가압되면 상기 다른 지지 프레임의 일부분이 내부로 삽입되며, 함몰 방향을 따라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웨지형 홈; 상기 웨지형 돌기의 단부에 수용되고, 상기 다른 지지 프레임에 자기력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프레임 고정자석; 상기 웨지형 홈의 단부에 수용되고, 상기 다른 지지 프레임에 자기력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프레임 고정자석; 및 상기 프레임 본체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본체와 상기 다른 지지 프레임이 결합되면 상기 프레임 본체와 상기 다른 지지 프레임 사이를 기밀하는 탄성체 재질의 기밀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기밀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유리판의 테두리가 수용되는 제1 수용홈;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기밀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유리판의 테두리가 수용되는 제2 수용홈; 상기 프레임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이송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홈들; 및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탈거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홈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되고, 내부에 레일홈이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들; 상기 가이드 레일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들의 외면을 지지하고, 상기 레일홈을 따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들을 이송하는 이송유닛;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유닛을 상기 전후 방향으로 이송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들에 구비된 상기 레일홈들에 각각 수납되고, 상기 구동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송레일들;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레일들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레일들을 상호 연결하는 스트럿 바들; 및 상기 이송레일들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신장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들에 결합되거나,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수축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들로부터 분리되는 프레임 고정용 실린더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이송레일은, 외면에 상기 구동유닛이 결합되어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이송되고, 내부가 중공된 아우터 레일; 상기 아우터 레일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아우터 레일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아우터 레일의 내부로 삽입되는 이너 레일; 및 상기 아우터 레일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접하고, 상기 아우터 레일의 이동 시 상기 가이드 레일의 표면상에서 구름운동을 수행하는 볼부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프레임 고정용 실린더의 단부에는 상기 제1 결합홈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들이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면에 이격 배치되는 이송용 서포트 유닛들; 상기 이송용 서포트 유닛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용 스크류 샤프트; 상기 이송용 스크류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이송용 샤프트 구동모터; 및 상기 이송용 스크류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아우터 레일을 지지하고, 상기 이송용 스크류 샤프트가 회전되면 상기 이송용 스크류 샤프트의 외면을 따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아우터 레일을 이송하는 이송용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프레임 탈거부는, 상기 제3 이송부의 일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이송부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3 이송부에 의해 이송 중인 상기 지지 프레임들의 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들을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정지시키는 이동 제한 유닛; 및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이송부의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들이 멈추면 상기 제3 이송부에 놓인 상기 지지 프레임들을 파지한 뒤 외측으로 당겨 상기 접합유리로부터 상기 지지 프레임들을 분리하는 탈거 유닛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이동 제한 유닛은, 상기 제3 이송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엔드 서포트들; 상기 엔드 서포트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샤프트; 상기 회동 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회동 샤프트에 의해 상기 제3 이송부의 상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제3 이송부의 하부로 수용되는 회전 커버; 및 상기 회동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커버 회동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탈거 유닛은,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제1 탈거용 구동부; 상기 제1 탈거용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탈거용 구동부에 의해 상기 좌우 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신축되도록 구성되는 제2 탈거용 구동부; 및 상기 제2 탈거용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탈거용 구동부에 의해 상기 좌우 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면을 가압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을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제3 탈거용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제1 탈거용 구동부는,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탈거용 서포트 유닛들; 상기 탈거용 서포트 유닛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거용 스크류 샤프트; 상기 탈거용 스크류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탈거용 샤프트 구동모터; 상기 탈거용 스크류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탈거용 구동부를 지지하고, 상기 탈거용 스크류 샤프트가 회전되면 상기 탈거용 스크류 샤프트의 외면을 따라 상기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2 탈거용 구동부를 이송하는 탈거용 너트; 및 상기 탈거용 스크류 샤프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탈거용 너트가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거용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제2 탈거용 구동부는, 상기 탈거용 너트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신축되도록 구성되는 탈거용 실린더; 상기 탈거용 실린더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탈거용 실린더에 의해 상기 좌우 방향으로 이송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에 의해 상기 좌우 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 접하면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3 탈거용 구동부에 전송하는 프레임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제3 탈거용 구동부는,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감지 센서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감지 센서로부터 신호가 전송되면 상하 방향을 따라 신장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이 상기 접합유리에서 분리되면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수축되는 파지용 실린더들; 및 상기 파지용 실린더들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파지용 실린더들이 신장되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상기 제2 결합홈들에 결합되는 'ㄱ' 형상의 파지부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유리판과 제2 유리판을 정렬하고, 제1 유리판과 제2 유리판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여 제1 유리판과 제2 유리판 사이로 충전물을 주입하는 공정, 제1 유리판과 제2 유리판을 공정별로 이송하는 공정 및 제1 유리판과 제2 유리판 사이로 주입된 충전물을 경화하는 공정이 모두 자동화되므로,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 가능하여 불량 발생률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작업인력을 최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제품의 생산속도가 개선되어 생산량이 월등히 증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접합유리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가압부들이 지지 프레임들을 결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가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들과 지지 프레임 간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들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들 사이로 충전물이 주입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이송부 및 경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이송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제한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거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접합유리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접합유리 제조장치(1000)는, 제1 유리판(G1), 제1 유리판(G1)에 이격 배치되는 제2 유리판(G2) 및 제1 유리판(G1)과 제2 유리판(G2) 사이에 충전되어 제1 유리판(G1)과 제2 유리판(G2)을 접합하는 충전물(R)로 구성되는 곡면 접합유리(LG)를 제조한다.
본 접합유리 제조장치(1000)는, 제1 이송부(1), 리프팅부(2), 프레임 가압부들(3), 음압부(4), 충전물 주입부(5), 제2 이송부(6), 경화부(7), 제3 이송부(8) 및 프레임 탈거부(9)를 포함한다.
제1 이송부(1)는 전후 방향(D1)을 따라 제1 유리판(G1)과 제2 유리판(G2)을 순차적으로 일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이송부(1)는 전후 방향(D1)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회전을 통해 상부에 놓인 대상물, 즉, 제1 유리판(G1), 제2 유리판(G2) 및 지지 프레임(F)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롤러들(미도시)과, 롤러들의 각 축에 결합되어 롤러들을 서로 연결하고 일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롤러들을 가압하여 롤러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체인(미도시)과, 롤러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이송부(1)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리프팅부(2)는 제1 이송부(1)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1 이송부(1)에 의해 이송된 제1 유리판(G1)을 흡착한 뒤 상승시켜 제1 유리판(G1)의 하부로 이송된 제2 유리판(G2)과 제1 유리판(G1)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리프팅부(2)는 제1 유리판(G1)의 상면에 접촉되어 제1 유리판(G1)을 진공 흡착하는 진공 흡착 패드들(미도시), 진공 흡착 패드들을 지지하고 진공 흡착 패드들을 승강시키는 리프팅 실린더(미도시) 및 리프팅 실린더를 전후 및 좌우 방향(D2)으로 이송하는 크레인(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리프팅부(2)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가압부들이 지지 프레임들을 결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 가압부들(3)은 좌우 방향(D2)을 따라 제1 이송부(1)의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되고, 단부에 배치된 'ㄷ' 형상의 분할된 지지 프레임들(F)을 가압하여 제1 유리판(G1)과 제2 유리판(G2)의 테두리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제1 유리판(G1)과 제2 유리판(G2) 사이의 공간이 완전히 밀폐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가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 가압부(3)는 좌우 방향(D2)을 따라 그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 가압 실린더(31), 프레임 가압 실린더(31)의 단부에 결합되고, 프레임 가압 실린더(31)에 의해 좌우 방향(D2)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 관부재(32), 좌우 방향(D2)을 따라 이송 관부재(3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지 프레임(F)의 외면을 지지하는 가압로드(33) 및 이송 관부재(32)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압로드(33)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로드 지지 스프링(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접합유리 제조장치(1000)는 지지 프레임(F)을 프레임 가압부(3)의 단부로 공급하는 프레임 공급부(미도시)와, 복수의 위치에서 지지 프레임(F)의 외면을 지지하여 전후 방향(D1)을 따라 지지 프레임(F)을 설정된 위치로 정렬하고, 프레임 가압부(3)가 지지 프레임(F)을 가압할 때 좌우 방향(D2)으로 지지 프레임(F)을 가이드하는 프레임 정렬 가이드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들과 지지 프레임 간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들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F)은 프레임 본체(F1), 제1 기밀시트(F2), 제2 기밀시트(F3), 웨지형 돌기(F4), 웨지형 홈(F5), 제1 프레임 고정자석(F6), 제2 프레임 고정자석(F7) 및 기밀링(F8)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본체(F1)는 '∩' 또는 '∪'의 형태로 배치되고, 제1 유리판(G1) 및 제2 유리판(G2)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제1 유리판(G1) 및 제2 유리판(G2)의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 본체(F1)는 프레임 본체(F1)의 내면에 형성되어 제1 기밀시트(F2)가 배치되고, 제1 유리판(G1)의 테두리가 수용되는 제1 수용홈(F11), 프레임 본체(F1)의 내면에 형성되어 제2 기밀시트(F3)가 배치되고, 제2 유리판(G2)의 테두리가 수용되는 제2 수용홈(F12), 프레임 본체(F1)의 외면에 형성되어 제2 이송부(6)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홈들(F13) 및 프레임 본체(F1)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되어 프레임 탈거부(9)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홈들(F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밀시트(F2)는 탄성체 재질로 형성되고, 프레임 본체(F1)의 내면에 배치되어 제1 유리판(G1)의 테두리와 프레임 본체(F1)의 내면 사이를 기밀할 수 있다.
제2 기밀시트(F3)는 탄성체 재질로 형성되고, 프레임 본체(F1)의 내면에 배치되어 제2 유리판(G2)의 테두리와 프레임 본체(F1)의 내면 사이를 기밀할 수 있다.
웨지형 돌기(F4)는 돌출 방향을 따라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웨지형 돌기(F4)는 좌우 방향(D2)을 따라 프레임 본체(F1)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프레임 가압부(3)에 가압되면 프레임 본체(F1)에 대향 배치된 다른 지지 프레임(F')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웨지형 홈(F5)은 함몰 방향을 따라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웨지형 홈(F5)은 좌우 방향(D2)을 따라 프레임 본체(F1)의 단부에 함몰 형성되고, 프레임 가압부(3)에 가압되면 다른 지지 프레임(F')의 일부분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고정자석(F6)은 웨지형 돌기(F4)의 단부에 수용되고, 다른 지지 프레임(F')에 자기력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 고정자석(F7)은 웨지형 홈(F5)의 단부에 수용되고, 다른 지지 프레임(F')에 자기력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기밀링(F8)은 탄성체 재질로 형성되어 프레임 본체(F1)의 단부에 배치되고, 프레임 본체(F1)와 다른 지지 프레임(F')이 결합되면 프레임 본체(F1)와 다른 지지 프레임(F') 사이를 기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들 사이로 충전물이 주입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음압부(4)는 지지 프레임(F)에 설치되어 제1 유리판(G1)과 제2 유리판(G2) 사이의 공간과 연통된 제1 밸브(V1)에 결합되고, 흡인력을 발생시켜 제1 유리판(G1)과 제2 유리판(G2)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예를 들어, 음압부(4)는 진공펌프, 진공펌프에 연결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흡입튜브 및 흡입튜브의 단부에 배치되어 제1 밸브(V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물 주입부(5)는 지지 프레임(F)에 설치되어 제1 유리판(G1)과 제2 유리판(G2) 사이의 공간과 연통된 제2 밸브(V2)에 결합되고, 제2 밸브(V2)를 통해 제1 유리판(G1)과 제2 유리판(G2) 사이의 공간으로 액체상태의 충전물(R)을 주입한다.
예를 들어, 충전물 주입부(5)는 충전물(R)이 수용되는 저장탱크,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충전물(R)이 유동되는 주입튜브 및 주입튜브의 단부에 배치되어 제2 밸브(V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이송부 및 경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이송부(6)는 제1 이송부(1)의 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1 유리판(G1), 제2 유리판(G2) 및 충전물(R)이 수용된 지지 프레임들(F)을 전후 방향(D1)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이송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이송부(6)는 가이드 레일들(61), 이송유닛(62) 및 구동유닛(6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들(61)은 좌우 방향(D2)을 따라 대향 배치되고, 내부에 레일홈(6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송유닛(62)은 가이드 레일들(61)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 프레임들(F)의 외면을 지지하고, 레일홈(611)을 따라 전후 방향(D1)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지지 프레임들(F)을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송유닛(62)은 이송레일들(621), 스트럿 바들(622) 및 프레임 고정용 실린더들(6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레일들(621)은 좌우 방향(D2)을 따라 대향 배치되어 가이드 레일들(61)에 구비된 레일홈들(611)에 각각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이송레일들(621)은 구동유닛(63)에 결합되어 구동유닛(63)에 의해 전후 방향(D1)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이송레일(621)은, 외면에 구동유닛(63)이 결합되어 구동유닛(63)에 의해 이송되고, 내부가 중공된 아우터 레일(621A), 아우터 레일(621A)의 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아우터 레일(621A)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아우터 레일(621A)의 내부로 삽입되는 이너 레일(621B) 및 아우터 레일(621A)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어 가이드 레일(61)에 접하고, 아우터 레일(621A)의 이동 시 가이드 레일(61)의 표면상에서 구름운동을 수행하는 볼부재들(621C)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럿 바들(622)은 전후 방향(D1)을 따라 이송레일들(621)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배치되고, 이송레일들(621)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프레임 고정용 실린더들(623)은 이송레일들(621)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좌우 방향(D2)을 따라 신장되어 지지 프레임들(F)에 결합되거나, 좌우 방향(D2)을 따라 수축되어 지지 프레임들(F)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 고정용 실린더(623)의 단부에는 제1 결합홈들(F1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들(623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구동유닛(63)은 가이드 레일(61)에 배치되고, 이송유닛(62)을 전후 방향(D1)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유닛(63)은 전후 방향(D1)을 따라 가이드 레일(61)의 외면에 이격 배치되는 이송용 서포트 유닛들(631), 이송용 서포트 유닛들(6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용 스크류 샤프트(632), 이송용 스크류 샤프트(632)를 회전시키는 이송용 샤프트 구동모터(633) 및 이송용 스크류 샤프트(632)에 결합되어 아우터 레일(621A)을 지지하고, 이송용 스크류 샤프트(632)가 회전되면 이송용 스크류 샤프트(632)의 외면을 따라 전후 방향(D1)으로 이동되면서 아우터 레일(621A)을 이송하는 이송용 너트(6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경화부(7)는 제2 이송부(6)의 일 구간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이송 중인 지지 프레임들(F)의 상부 및 하부에서 UV광을 발산하여 충전물(R)을 경화시킨다.
예를 들어, 경화부(7)는 터널형 구조로 형성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어 가이드 레일(61)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공간을 향하여 UV광을 발산하는 제1 UV광 조사유닛,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어 가이드 레일(61)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공간을 향하여 UV광을 발산하는 제2 UV광 조사유닛,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1 UV광 조사유닛을 지지하고 제1 UV광 조사유닛을 승강시키는 제1 광원 승강유닛 및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2 UV광 조사유닛을 지지하고 제2 UV광 조사유닛을 승강시키는 제2 광원 승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UV광 조사유닛과 제2 UV광 조사유닛은 UV광을 발산하는 램프 또는 LED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경화부(7)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3 이송부(8)는 제2 이송부(6)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2 이송부(6)에 의해 이송된 지지 프레임들(F)을 전후 방향(D1)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송한다.
예를 들어, 제3 이송부(8)는 전후 방향(D1)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회전을 통해 상부에 놓인 대상물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롤러들(도시되지 않음)과, 롤러들의 각 축에 결합되어 롤러들을 서로 연결하고 일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롤러들을 가압하여 롤러들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체인(도시되지 않음)과, 롤러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3 이송부(8)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프레임 탈거부(9)는 제3 이송부(8)를 통해 이송된 지지 프레임들(F)을 접합유리(LG)에서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프레임 탈거부(9)는 이동 제한 유닛(91) 및 탈거 유닛들(9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제한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이동 제한 유닛(91)은 제3 이송부(8)의 일부분에 배치되고, 제3 이송부(8)의 상부로 돌출되어 제3 이송부(8)에 의해 이송 중인 지지 프레임들(F)의 단부를 지지하여 지지 프레임들(F)을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제한 유닛(91)은 제3 이송부(8)의 하부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D2)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엔드 서포트들(911), 엔드 서포트들(9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샤프트(912), 회동 샤프트(912)에 결합되고, 회동 샤프트(912)에 의해 제3 이송부(8)의 상부로 돌출되거나 제3 이송부(8)의 하부로 수용되는 회전 커버(913) 및 회동 샤프트(912)에 연결되어 회동 샤프트(912)를 회전시키는 커버 회동 유닛(91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회동 유닛(914)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미도시)와, 모터의 회전력을 회동 샤프트(912)에 전달하여 회동 샤프트(912)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 체인(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커버 회동 유닛(914)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탈거 유닛들(92)은 좌우 방향(D2)을 따라 제3 이송부(8)의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되고, 지지 프레임들(F)이 멈추면 제3 이송부(8)에 놓인 지지 프레임들(F)을 파지한 뒤 외측으로 당겨 접합유리(LG)로부터 지지 프레임들(F)을 분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거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각 탈거 유닛(92)은 제1 탈거용 구동부(921), 제2 탈거용 구동부(922) 및 제3 탈거용 구동부(9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탈거용 구동부(921)는 좌우 방향(D2)을 따라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탈거용 구동부(921)는 좌우 방향(D2)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탈거용 서포트 유닛들(921A), 탈거용 서포트 유닛들(92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거용 스크류 샤프트(921B), 탈거용 스크류 샤프트(921B)를 회전시키는 탈거용 샤프트 구동모터(921C), 탈거용 스크류 샤프트(921B)에 결합되어 제2 탈거용 구동부(922)를 지지하고, 탈거용 스크류 샤프트(921B)가 회전되면 탈거용 스크류 샤프트(921B)의 외면을 따라 좌우 방향(D2)으로 이동되면서 제2 탈거용 구동부(922)를 이송하는 탈거용 너트(921D) 및 탈거용 스크류 샤프트(921B)의 하부에 배치되고, 탈거용 너트(921D)가 좌우 방향(D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거용 슬라이드 레일(921E)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탈거용 구동부(922)는 제1 탈거용 구동부(921)에 설치되어 제1 탈거용 구동부(921)에 의해 좌우 방향(D2)으로 이송되고, 좌우 방향(D2)을 따라 신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탈거용 구동부(922)는 탈거용 너트(921D)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좌우 방향(D2)을 따라 신축되도록 구성되는 탈거용 실린더(922A), 탈거용 실린더(922A)의 단부에 설치되어 탈거용 실린더(922A)에 의해 좌우 방향(D2)으로 이송되는 지지판(922B) 및 지지판(922B)에 설치되어 지지판(922B)에 의해 좌우 방향(D2)으로 이송되고, 지지 프레임(F)에 접하면 신호를 발생하여 제3 탈거용 구동부(923)에 전송하는 프레임 감지 센서(92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탈거용 구동부(923)는 제2 탈거용 구동부(922)에 설치되어 제2 탈거용 구동부(922)에 의해 좌우 방향(D2)으로 이송되고, 지지 프레임(F)의 상부 및 하부에서 지지 프레임(F)의 외면을 가압하여 지지 프레임(F)을 파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탈거용 구동부(923)는 지지판(922B)에 설치되어 프레임 감지 센서(922C)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고, 프레임 감지 센서(922C)로부터 신호가 전송되면 상하 방향(D3)을 따라 신장되고 지지 프레임(F)이 접합유리(LG)에서 분리되면 상하 방향(D3)을 따라 수축되는 파지용 실린더들(923A) 및 파지용 실린더들(923A)의 단부에 결합되고, 파지용 실린더들(923A)이 신장되면 지지 프레임(F)의 상면 및 하면을 지지하면서 지지 프레임(F)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제2 결합홈들(F14)에 결합되는 'ㄱ' 형상의 파지부재들(923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유리판(G1)과 제2 유리판(G2)을 정렬하고, 제1 유리판(G1)과 제2 유리판(G2)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여 제1 유리판(G1)과 제2 유리판(G2) 사이로 충전물(R)을 주입하는 공정, 제1 유리판(G1)과 제2 유리판(G2)을 공정별로 이송하는 공정 및 제1 유리판(G1)과 제2 유리판(G2) 사이로 주입된 충전물(R)을 경화하는 공정이 모두 자동화되므로,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 가능하여 불량 발생률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작업인력을 최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제품의 생산속도가 개선되어 생산량이 월등히 증가될 수 있다.
1000. 곡면 접합유리 제조장치 1. 제1 이송부
2. 리프팅부 3. 프레임 가압부
31. 프레임 가압 실린더 32. 이송 관부재
33. 가압로드 34. 로드 지지 스프링
4. 음압부 5. 충전물 주입부
6. 제2 이송부 61. 가이드 레일
611. 레일홈 62. 이송유닛
621. 이송레일 621A. 아우터 레일
621B. 이너 레일 621C. 볼부재
622. 스트럿 바 623. 프레임 고정용 실린더
623A. 결합돌기 63. 구동유닛
631. 이송용 서포트 유닛 632. 이송용 스크류 샤프트
633. 이송용 샤프트 구동모터 634. 이송용 너트
7. 경화부 8. 제3 이송부
9. 프레임 탈거부 91. 이동 제한 유닛
911. 엔드 서포트 912. 회동 샤프트
913. 회전 커버 914. 커버 회동 유닛
92. 탈거 유닛 921. 제1 탈거용 구동부
921A. 탈거용 서포트 유닛 921B. 탈거용 스크류 샤프트
921C. 탈거용 샤프트 구동모터 921D. 탈거용 너트
921E. 탈거용 슬라이드 레일 922. 제2 탈거용 구동부
922A. 탈거용 실린더 922B. 지지판
922C. 프레임 감지 센서 923. 제3 탈거용 구동부
923A. 파지용 실린더 923B. 파지부재
V1. 제1 밸브 V2. 제2 밸브
F. 지지 프레임 F'. 다른 지지 프레임
F1. 프레임 본체 F11. 제1 수용홈
F12. 제2 수용홈 F13. 제1 결합홈
F14. 제2 결합홈 F2. 제1 기밀시트
F3. 제2 기밀시트 F4. 웨지형 돌기
F5. 웨지형 홈 F6. 제1 프레임 고정자석
F7. 제2 프레임 고정자석 F8. 기밀링
LG. 접합유리 G1. 제1 유리판
G2. 제2 유리판 R. 충전물

Claims (8)

  1. 삭제
  2. 제1 유리판, 상기 제1 유리판에 이격 배치되는 제2 유리판 및 상기 제1 유리판과 상기 제2 유리판 사이에 충전되어 상기 제1 유리판과 상기 제2 유리판을 접합하는 충전물로 구성되는 곡면 접합유리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유리판과 상기 제2 유리판을 순차적으로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제1 유리판을 흡착한 뒤 상승시켜 상기 제1 유리판의 하부로 이송된 상기 제2 유리판과 상기 제1 유리판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리프팅부;
    좌우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이송부의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되고, 단부에 배치된 'ㄷ' 형상의 분할된 지지 프레임들을 가압하여 상기 제1 유리판과 상기 제2 유리판의 테두리에 결합하는 프레임 가압부들;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유리판과 상기 제2 유리판 사이의 공간과 연통된 제1 밸브에 결합되고, 흡인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 유리판과 상기 제2 유리판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음압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유리판과 상기 제2 유리판 사이의 공간과 연통된 제2 밸브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밸브를 통해 상기 제1 유리판과 상기 제2 유리판 사이의 공간으로 액체상태의 충전물을 주입하는 충전물 주입부;
    상기 제1 이송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1 유리판, 상기 제2 유리판 및 상기 충전물이 수용된 상기 지지 프레임들을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
    상기 제2 이송부의 일 구간에 배치되고, 일 방향으로 이송 중인 상기 지지 프레임들의 상부 및 하부에서 UV광을 발산하여 상기 충전물을 경화시키는 경화부;
    상기 제2 이송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지지 프레임들을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3 이송부; 및
    상기 제3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지지 프레임들을 상기 접합유리에서 분리하는 프레임 탈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1 유리판 및 상기 제2 유리판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리판의 테두리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면 사이를 기밀하는 탄성체 재질의 제1 기밀시트;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유리판의 테두리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면 사이를 기밀하는 탄성체 재질의 제2 기밀시트;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 본체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가압부에 가압되면 상기 프레임 본체에 대향 배치된 다른 지지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며, 돌출 방향을 따라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웨지형 돌기;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 본체의 단부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가압부에 가압되면 상기 다른 지지 프레임의 일부분이 내부로 삽입되며, 함몰 방향을 따라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웨지형 홈;
    상기 웨지형 돌기의 단부에 수용되고, 상기 다른 지지 프레임에 자기력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프레임 고정자석;
    상기 웨지형 홈의 단부에 수용되고, 상기 다른 지지 프레임에 자기력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프레임 고정자석; 및
    상기 프레임 본체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본체와 상기 다른 지지 프레임이 결합되면 상기 프레임 본체와 상기 다른 지지 프레임 사이를 기밀하는 탄성체 재질의 기밀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접합유리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기밀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유리판의 테두리가 수용되는 제1 수용홈;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기밀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유리판의 테두리가 수용되는 제2 수용홈;
    상기 프레임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이송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홈들; 및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탈거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홈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접합유리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되고, 내부에 레일홈이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들;
    상기 가이드 레일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들의 외면을 지지하고, 상기 레일홈을 따라 상기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들을 이송하는 이송유닛;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유닛을 상기 전후 방향으로 이송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접합유리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들에 구비된 상기 레일홈들에 각각 수납되고, 상기 구동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송레일들;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레일들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레일들을 상호 연결하는 스트럿 바들; 및
    상기 이송레일들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신장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들에 결합되거나,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수축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들로부터 분리되는 프레임 고정용 실린더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접합유리 제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탈거부는,
    상기 제3 이송부의 일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이송부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3 이송부에 의해 이송 중인 상기 지지 프레임들의 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들을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정지시키는 이동 제한 유닛; 및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이송부의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들이 멈추면 상기 제3 이송부에 놓인 상기 지지 프레임들을 파지한 뒤 외측으로 당겨 상기 접합유리로부터 상기 지지 프레임들을 분리하는 탈거 유닛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접합유리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한 유닛은,
    상기 제3 이송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엔드 서포트들;
    상기 엔드 서포트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샤프트;
    상기 회동 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회동 샤프트에 의해 상기 제3 이송부의 상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제3 이송부의 하부로 수용되는 회전 커버; 및
    상기 회동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커버 회동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접합유리 제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 유닛은,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제1 탈거용 구동부;
    상기 제1 탈거용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탈거용 구동부에 의해 상기 좌우 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신축되도록 구성되는 제2 탈거용 구동부; 및
    상기 제2 탈거용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탈거용 구동부에 의해 상기 좌우 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면을 가압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을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제3 탈거용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접합유리 제조장치.
KR1020230081790A 2023-06-26 2023-06-26 곡면 접합유리 제조장치 KR102628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1790A KR102628757B1 (ko) 2023-06-26 2023-06-26 곡면 접합유리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1790A KR102628757B1 (ko) 2023-06-26 2023-06-26 곡면 접합유리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8757B1 true KR102628757B1 (ko) 2024-01-23

Family

ID=89713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1790A KR102628757B1 (ko) 2023-06-26 2023-06-26 곡면 접합유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7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2340A (ja) * 1998-08-13 2002-07-23 ヒェメタ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
KR20100134864A (ko) 2009-06-16 2010-12-24 한국접합유리 주식회사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KR20200046558A (ko) * 2018-10-25 2020-05-0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리판 접합장치
KR102136507B1 (ko) * 2020-02-24 2020-07-21 이복순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2340A (ja) * 1998-08-13 2002-07-23 ヒェメタ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
KR20100134864A (ko) 2009-06-16 2010-12-24 한국접합유리 주식회사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KR20200046558A (ko) * 2018-10-25 2020-05-0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리판 접합장치
KR102136507B1 (ko) * 2020-02-24 2020-07-21 이복순 접합유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591B1 (ko)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시스템
TWI293394B (ko)
KR102628757B1 (ko) 곡면 접합유리 제조장치
KR101341126B1 (ko) 패널 부착장치
CN104180320B (zh) 一种快速贴胶设备及贴胶方法
CN106870526A (zh) 治具机构及压力保持机构及微晶板保压装置
CN204524746U (zh) 一种自动螺丝供料器吹料装置
CN206345060U (zh) 全自动激光切割贴膜机
CN105032737A (zh) 一种可调式uv固化机
KR101059952B1 (ko) 유리기판 합착방법 및 유리기판 합착장치
KR20120051948A (ko) 패널 접착장치 및 패널 접착방법
KR102628758B1 (ko) 곡면 접합유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150063776A (ko) 합착장치
CN109449104A (zh) 封装芯片的装置
CN206307592U (zh) 正反向输送机构
CN105702446A (zh) 一种钢硅片叠装装置
CN208479954U (zh) 磁片胶合机
JP6275589B2 (ja) 接着剤塗布装置、接着剤塗布方法、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方法
CN205675795U (zh) 夹盘拉砖机构
KR20150072124A (ko) 도광판 절단 장치
CN207271981U (zh) 一种内管体的拼接装置及轴向组合玻璃钢复合缠绕管的制备设备
CN105883421A (zh) 夹盘拉砖机构
CN207511242U (zh) 一种输送带生产线简易调偏装置
KR20120130629A (ko) 수지도포장치
CN204384581U (zh) 一种胶带粘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