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430B1 - 개선된 마찰 구동 모터 조립체를 가진 고효율 분류컨베이어 - Google Patents

개선된 마찰 구동 모터 조립체를 가진 고효율 분류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430B1
KR102136430B1 KR1020147029490A KR20147029490A KR102136430B1 KR 102136430 B1 KR102136430 B1 KR 102136430B1 KR 1020147029490 A KR1020147029490 A KR 1020147029490A KR 20147029490 A KR20147029490 A KR 20147029490A KR 102136430 B1 KR102136430 B1 KR 102136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assembly
sorting conveyor
pivo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6092A (ko
Inventor
곤자로 소텔로
데이비드 패트릭 에르세고
제이. 데이비드 포텐베리
Original Assignee
만티사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티사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만티사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06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4Devices for flexing or tilting travelling structures; Throw-off carriages
    • B65G47/96Devices for tilting links or platform
    • B65G47/962Devices for tilting links or platform tilt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onvey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38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by dumping, tripping, or releasing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4Devices for flexing or tilting travelling structures; Throw-off carriages
    • B65G47/96Devices for tilting links or platform
    • B65G47/967Devices for tilting links or platform til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대상물을 운반하고 컨베이어와 근접한 한 개이상의 하역 스테이션에서 대상물을 하역하기 위한 분류 컨베이어. 상기 분류 컨베이어는 컨베이어 트랙, 끝과 끝이 연결되는 컨베이어 카트들의 트레인, 및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는 모터, 상기 모터를 지지하기 위한 컨베이어 트랙에 부착된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연장된 핀 피동 부재의 표면과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구동 롤러를 위치 설정하도록 적응된 한 개의 피봇 블록 조립체와 또 다른 피봇 블록 조립체에 연결되는 캔틸레버 지지된 한 쌍의 구동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피봇 블록 조립체들은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는, 각 피봇 블록 조립체의 운동은 다른 하나의 피봇 블록 조립체의 운동을 반영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마찰 구동 모터 조립체를 가진 고효율 분류컨베이어{HIGH EFFICIENCY SORTING CONVEYOR WITH IMPROVED FRICTION DRIVE MOTOR ASSEMBLY}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포장 분류 컨베이어(packaging sorting conveyors) 및 더욱 구체적으로 개선된 셋업(set- up) 및 정비 위치설정 드라이브(drive)를 가진 분류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여러 해 동안 다수의 개별 운반 카트(carrying carts)를 가진 컨베이어 시스템들이 흔히 우편물과 같은 포장물 또는 다른 물품들을 운반하고 분류하기 위해 이용되어왔다. 예를 들어, 스조그렌 (Sjogre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054,601 호에 의하면, 연속적인 루프(loop)를 형성하기 위해 탠뎀(tandem)식으로 연결된 틸트 트레이 캐리어(tilt tray carrier)들의 트레인(train)을 포함한 포장물 분류 컨베이어가 공개된다. 각각의 캐리어는 정상적으로 직립위치로 유지되고 피봇운동하도록 장착된 틸트 트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캐리어는, 상기 루프 주위에서 이격된 일련의 모터들에 의해 상기 루프 주위에서 운동한다. 상기 캐리어로부터 포장물을 수용하기 위한 유출 슈트(outfeed chuts) 등이 상기 루프로부터 외부로 분기된다. 분류되어야 하는 특정 포장물을 고정하는 특정 캐리어가 선택된 유출 슈트에 도달할 때 액추에이터(actuator)는 상기 트레이를 기울여서 상기 포장물을 상기 유출 슈트로 쏟아낸다. 전형적인 포장물 분류 컨베이어의 또 다른 예가 코산 크리스플란트 에이/에스(Kosan Crisplant A/S)가 출원한 국제 PCT 출원 제 PCT/DK90?00047 호, 현재 미국 특허 제 5,664,660 호에 공개된다.
편리하게 설계된 포장물 분류 컨베이어는 적절하게 설치될 때 구동력을 전달하는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하는 반면에, 정확한 압력과 위치균형(balance of position and pressure)을 찾고 유지하는 것은 종종 어렵고도 불확실한 과정이다. 그러므로, 매우 능숙한 작업자는 종종 적절한 설치(set- up)와 정비를 보장해야한다. 예를 들어, 너무 작은 압력의 설치구조는 구동장치의 슬립(slip)을 발생시켜서 마찰 재료를 과도하게 마모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설치가 너무 큰 압력을 가지면, 마찰 재료의 수명은 열 누적(heat build-up)에 의해 보상된다.
다수의 포장물 분류 컨베이어가 가지는 또 다른 문제점에 의하면, 종래기술의 컨베이어 캐리어들은 컨베이어 운동 방향과 평행한 수평축에서만 횡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포장물이 캐리어로부터 유출 슈트 등으로 쏟아지는 목적이 달성되지만 상기 포장물은 종종 거칠게 구르거나 회전하며 종종 포장물의 내용물이 손상된다. 이러한 문제점의 원인은, 포장물들이 전형적으로 캐리어로부터 하역되는 동안 컨베이어와 동일한 속도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포장물들은 상기 슈트로 미끄러져 떨어지기 전에 유출 슈트의 전방 지지벽과 심하게 부딪히기 쉽다. 종래기술에 따라 횡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컨베이어가 가지는 문제점에 의하면, 상기 포장물들이 상기 유출 슈트속으로 하역될 때 포장물들은 최대속도로 전방운동하기 때문에, 상기 유출 슈트는 상대적으로 넓게 구성되어 포장물들은 상기 슈트를 놓이지 않고 슈트를 지나 컨베이어로부터 떨어진다. 이것은 종종 불필요하게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의 전체 치수를 증가시킨다.
푀링(Polling) 씨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4,744,454 호 및 이의 개선된 미국특허 제 5,086,905 호는, 종래기술에 따라 횡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컨베이어 캐리어에 의해 거칠게 처리되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이전의 시도를 공개한다. 푀링 씨의 상기 특허들은, 두 개의 회전 축(swivel axes) 주위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된 틸팅 캐리어를 포함한 포장물 컨베이어를 위한 컨베이어 요소를 공개한다. 제 1 회전축은 캐리어 트레이의 하부로부터 아래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차례로 상기 컨베이어 요소의 바닥 지지 부분으로부터 위를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제 2 회전축의 단부와 각을 이루며 연결된다. 또한, 두 개의 회전축들은 컨베이어의 운동방향으로 뾰족한 "V"자 형상을 가진다. 상기 회전 축들은 상기 캐리어 트레이가 캐리어 트레이의 직립위치에 배열될 때 컨베이어 요소의 수직 대칭평면에 배열된다.
푀링 씨의 캐리어 트레이가 두 개의 비스듬한 축들 주위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캐리어 트레이는 수평 축상에서 횡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장물 방출시 기하학적으로 복잡한 공간 방향설정(spatial reorientation)을 통해 운동한다. 그 결과, 포장물은 단지 수평축에서 횡 방향으로 기울어(tip)지는 종래기술의 컨베이어 트레이를 이용하여 달성할 수 있는 것보다 유출 슈트에 더욱 부드럽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푀링 씨의 컨베이어 요소는 포장물들이 방출됨에 따라 포장물에 어느 정도의 후방속도를 제공하여 포장물을 더욱 부드럽게 처리하고, 상기 후방 속도는 포장물이 방출되는 동안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의 전방속도와 합쳐질 때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의 속도보다 작은 포장물의 전방속도를 형성한다.
그러나 푀링 씨의 특허들에 공개된 컨베이어 요소들은 너무 복잡하고 제조 오차를 허용하지 않는다. 사실상, 푀링 씨의 제 2 컨베이어 요소(미국특허 제 5,086,905 호)는, 너무 많은 비용이 들고 효율적으로 제조하기에 복잡한 푀링 씨의 제 1 특허( 미국 특허 제 4,744,454 호)에 공개된 최초 설계를 단순화하려는 노력으로 발명되었다. 이러한 복잡성과 비용에 의해 푀링 씨의 장치들은 상당한 상업적 성공과 수용을 누리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해결방법이, 본 발명의 양수인에 의해 공동 소유하고 2002년 4월 9일 허여된 미국 특허 제 6,367,610 호 및 1998년 11월 17일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836,436 호에 공개되고, 본 명세서는 상기 문헌들을 참고로 한다. 상기 문헌의 방법이 가지는 특징은 개선된 트레이들을 기울이기 위한 풀다운(pull- down) 설계를 이용하는 것이다.
분류기 컨베이어의 트레이를 기울이기 위한 풀다운 설계를 이용하는 분류기 컨베이어의 또 다른 예가 프라츠(Prydtz) 씨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664,660 호에 도시된다. 상기 '660 특허는, 구동 휠 또는 웜(worm)이 체인 링크(chain links)와 함께 작동하는 구동 스테이션에 의해 구동되는 종래기술의 운반 체인 대신에 횡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운반 트레이들을 가진 분류기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체인 링크들은 작은 상호 이격 거리를 따라 안내 레일들과 배열되고 전진하며 상기 운반 트레이 및 상기 운반 트레이와 연결된 경사 기구(tilt mechanism)를 운반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의 장치는 안내레일들의 장착과 체인 링크들의 종 방향 피치(pitch)를 위한 공차(tolerances)와 관련하여 상당한 문제점들을 가진다. 상기 발명은 서로 넓게 이격된 안내 레일들을 따라 전진하는 카트(carts)들을 포함하고, 안내 레일들에 대한 공차 요구치(tolerance demand)는 상당히 감소된다. 또한 카트들은 정지된 선형 모터들에 의해 전진하며, 추정하건대, 이것은 상기 트레이 유닛들의 종방향 피치에 관한 모든 공차 요구치를 완전히 불필요하게 만든다. 상기 특허에 따라 상기 경사 기구는 매우 단순한 설계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형태의 설계와 관련한 작동상 문제점, 특히 선형 모터와 경사기구의 작동과 관련한 문제점들이 존재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특허 제 5,836,436 호에 공개된 설계는 종래기술의 설계와 관련한 일부 문제점을 해결하지만, 상기 유닛들이 작동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문제들이 표면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문제점들 중 하나는, "연속 오차(cascading errors)"가 존재할 때이다.
"연속 오차"는, 슈트의 단부에 대한 검사(audits)에 의해 트레이 검증에 의해 표시되는 오차에 의해 예상되는 것보다 많은 오차들이 발생될 때 최초로 발견되었다. 일반적으로, 트레이가 직선을 형성하기 바로 전에 트레이가 기울어(tip)질 때 일련의 포토셀(photocells)들은 오른쪽 암(arm)이 "하부(low)" 또는 "기울어진" 위치 또는 "상부" 또는 "래치구속된(latched)" 위치에 있다고 결정한다. 상기 제어기(constrols)들이 상기 암이 기울어져야 한다고 표시하고 검증기(verifier)가 상기 암이 기울어진 상태라고 표시하면 제품은 정확한 슈트로 내려갔다고 추정한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 트레이 검증은 5 개의 오차들을 예측하지만 슈트 검사(shute audits)는 35개의 오차를 표시한다.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이러한 효과는 본 출원에서 " 연속 오차"라고 언급된다.
에너지가 공급된 솔레노이드에 의해 피봇 스위치가 구속해제될 때 대부분의 풀다운 경사 기구는 스프링에 의해 작동된다. 다시 말해, 피봇 스위치는 "아웃(out)" 위치에 스프링 편향되고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속된 위치에 유지된다.
컴퓨터가 펄스(pulse)를 공급할 때 솔레노이드 플런저(solenoid plunger)가 속으로 들어가서 피봇 스위치(pivot switch)는 스프링작용으로 "아웃"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휠은 피봇 위치 앞에서 피봇 스위치를 타격하고 상기 피봇 스위치는 캐리지의 래치 구속을 해제하며 다음에 휠이 피봇 스위치의 테일(tail)을 타격할 때 휠은 상기 피봇 스위치를 원래 위치(home position)로 가압하고 솔레노이드 플런저에 대한 스프링은 플런저를 상기 피봇 스위치를 원래 위치에 구속하는 디텐트(detent)로 가압한다. 컴퓨터는 래치구속해제(unlatch)를 개시하고 보통 피봇 스위치를 다시 래치 구속하는 것은 상기 테일에 대한 휠의 작용이다.
상기 휠이 피봇 스위치의 테일을 떠나거나 휠이 없어지거나 파손된 후에 상기 솔레노이드는 상기 피봇 스위치를 포착하기 위해 귀환하면 상기 피봇 스위치는 의도한 원래 위치로부터 연결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하부 위치에 없는 다음번 경사 모듈(tilt module)이 상기 피봇 스위치를 타격하고 피봇 스위치를 재설정(reset)한다. 상기 피봇 스위치가 이번에 적절하게 다시 구속되면 상기 특수한 피봇 스위치는 더 이상 오차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상기 피봇 스위치가 다시 구속되지 않으면 피봇 스위치는 다시 연결 위치로 이동하여 또 다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부정확하게 기울어진 제 1 캐리지로부터 연속효과가 나오고, (부정확하게 기울어진) 상기 캐리지가 부하를 제거하기 위한 위치에 배열될 때 제 1 캐리지가 더욱 아래에 위치한 경사 위치에 배열되면 적합한 목표 슈트에 있는 피봇 스위치는 연결위치로 이동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암이 부정확하게 상류방향으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아무런 작용이 발생하지 못하고, 상기 피봇 스위치는 기울어지지 않은 다음번 캐리지가 도달할 때까지 상기 피봇 스위치는 아웃 위치에 유지될 것이다. 상기 캐리지는 다음에 잘못된 목적지에서 기울어질 것이지만 상기 피봇 스위치는 다시 래치 구속한다. 상기 특수한 트레이가 더욱 하류위치에서 슈트 목적지에 배열되면 트레이가 적합한 목적지에 도달할 때, 경사 모듈이 이미 하부 위치에 배열되기 때문에 상기 피봇 스위치는 연결위치로 이동할 것이고 다시 연결될 수 없다. 경사 모듈이 통과하고 피봇 스위치를 다시 래치구속하지 못할 것이다. 상기 피봇 스위치는 다음에 아웃 위치에 유지되고 기울어지지 않은 다음번 경사 모듈의 휠을 포착한다. 궁극적으로 상기 오차가 최종 목적지를 통과하고 상기 시스템이 정상으로 돌아올 때까지 상기 오차는 하류위치에 계속해서 연속(cascade) 발생될 것이다.
그러나, 오차가 교정되지 못하고 계속해서 문제를 발생시키는 일부 조건들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수 경사 모듈이 휠을 빠뜨리고 다음에 경사 모듈이 적재되며, 경사모듈이 목적지에 도달할 때, 피봇 스위치는 휠과 연결되기 위해 외부로 이동하지만 휠이 없다면 상기 모듈은 기울어지지 않은 것이다. 다음에 상기 피봇 스위치는, 연속 문제(cascade problem)를 시작하며 다음번 트레이를 포착할 것이다. 이러한 작용은, 휠이 누락된 트레이가 목적지에 배열될 때에, 계속해서 반복될 것이고 연속 오차를 발생시킬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는, 상기 피봇 스위치가 주어진 시간동안 "원래(home)" 위치로 귀환하지 못하면 상기 분류기를 정지하기 위해 팁 검증 스위치(tip verification switch)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형 분류기를 이용하면, 상기 구성은 정비인원으로 하여금 피봇 스위치가 재설정되어야 하는 지를 확인하고 휠이 누락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피봇 스위치를 점검하게 만든다. 항공 물품 분류작업과 같이 시간이 중요한 적용예들에서 상기 지연은 허용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방법이 본 발명의 양수인이 소유하고 2000년 1월 4일 허여된 미국 특허 제 6,009,992 호에 도시되며, 본 명세서는 상기 문헌의 공개내용을 참고로 한다. 상기 문헌의 한 가지 특징은, 동력이 제공되거나 차단되는 양방향 피봇 스위치(bi- directional pivot switch)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이러한 설계들은, 오늘날 정숙성과 적은 정비 때문에 허용되는 선형 유도 모터(linear induction motors)(LIMs)에 기초한다.
불행하게도, 선형 유도 모터가 가지는 장점에 비해 LIMs들은 매우 효율적이지 못하다. 예를 들어, 80 피트(feet)의 간격을 가지며 480 볼트(volts)에서 작동하는 LIMs 쌍들이 약 15 암페어(amps)를 형성한다. 이것은 약 70 파운드(pounds)의 추력을 위한 분류기에서 피트 당 약 90 와트(watts)에 해당한다. 반대로 종래기술의 체인 구동장치들은 약 1500 파운드의 추력을 위한 분류기에서 피트당 약 15 와트를 형성한다. 따라서 현대적인 LIM 구동장치는 다른 모든 장점들에 비해 에너지 소비가 많다.그러나 종래기술을 따르는 기계식 체인 구동장치는 너무 시끄럽고 오늘날 시장에서 많은 정비를 요구한다.
그러므로, 출원인들은 종래기술의 컨베이어 시스템들이 가지는 다수의 문제점없이 매우 효율적이며 동시에 쉽게 설치되고 정비되며 개선된 새로운 분류 컨베이어를 원한다.
본 발명은, 각 피봇 블록 조립체의 운동이 다른 하나의 피봇 블록 조립체의 운동을 반영(mirror)하도록 적응되고 서로 결합되는 피봇 블록 조립체들을 가지고 대상물을 전달/하역하기 위해 개선된 분류 컨베이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컨베이어와 근접한 한 개이상의 하역 스테이션에서 대상물을 전달하고 하역하기 위한 분류 컨베이어를 위한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가, 끝과 끝이 연결되는 컨베이어 카트들의 트레인 및 컨베이어 트랙을 포함한다. 각 컨베이어 카트는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 대상물들을 고정하기 위한 운반 수단 및 하역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는, 상기 운반 트랙을 연결하기 위한 롤러 구조체, 이격된 피동 부재들과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에 응답하는 연장된 핀 피동 부재 및 각 컨베이어 카트를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에 연결하기 위한 히치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이격된 피동 부재들은 수직으로 중첩된 변부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역수단은, 상기 컨베이어의 적어도 한 개 측부에서 대상물을 하역 스테이션에 하역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모터, 지지 프레임, 캔틸레버 지지되는 적어도 한 개의 구동 롤러 및 마주보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은 상기 모터를 지지하기 위한 컨베이어 트랙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캔틸레버 지지되는 적어도 한 개의 구동 롤러는, 상기 모터, 하나의 피봇 블록 조립체 및 상기 연장된 핀 피동 부재의 한쪽 표면과 근접한 상기 구동 롤러를 위치설정하도록 적응된 다른 하나의 피봇 블록 조립체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캔틸레버 지지되는 적어도 한 개의 구동 롤러는 상기 모터, 제 1 피봇 블록 조립체 및 상기 연장된 핀 피동 부재의 한 표면과 근접한 상기 구동 롤러를 위치설정하기 위해 적응된 제 2 피봇 블록 조립체에 연결된다.
상기 피봇 블록 조립체들은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는 적어도 한 개의 모터 조정 링크, 제 2 링크 및 연결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모터 조정 링크는 상기 피봇 블록 조립체들 중 한 개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링크는 다른 한 개의 피봇 블록 조립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롤러 링크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모터 조정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를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피봇 블록 조립체 및 제 2 피봇 블록 조립체는 상기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는 제 1 모터 조정 링크, 제 2 모터 조정 링크 및 연결 롤러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모터 조정 링크는 상기 제 1 피봇 블록 조립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모터 조정 링크는 상기 제 2 피봇 블록 조립체에 고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연결 롤러 링크는 상기 제 1 모터 조정 링크 및 제 2 모터 조정 링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마주보는 표면은, 상기 구동 롤러의 기계적 부하를 오프셋하기 위해 상기 연장된 핀 피동 부재의 다른 한쪽 표면과 근접하게 배열된다. 지지 프레임은, 상기 컨베이어 트랙 및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에 부착된 기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는 상기 기저부에 연결된 구동 클램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가 상기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에 연결되고 상기 피봇 블록 조립체들을 조정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버는 제 1 피봇 블록 조립체와 제 2 피봇 블록 조립체를 조정할 수 있다. 특별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각 피봇 블록 조립체의 운동이 다른 하나의 피봇 블록 조립체의 운동을 반영하도록 상기 레버가 적응된다. 상기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는 또한 상기 레버를 지지하기 위한 자동 인장 클램프 플레이트(self tensioning clamp p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인장 클램프 플레이트는 상기 레버의 근위 단부를 상기 자동 인장 클램프 플레이트에 연결하는 장착 브라켓트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는 상기 레버의 원위 처리단부를 작동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상기 자동 인장 클램프 플레이트에 고정된 레버 리테이너(lever retain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는 상기 레버와 상기 연결 롤러 링크를 연결하는 연결 암(arm)을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는 상기 연결 암과 상기 연결 롤러 링크사이에서 스프링 조립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조립체는 스프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롤러 조립체는, 연장된 핀을 마찰 연결하기 위한 외부 탄성 표면을 가지고 일반적으로 원통형 구조를 가진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표면은 폴리우레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우레탄은 열가소성(thermosetting) 우레탄일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은 약 70 내지 약 80의 쇼와(Shore) A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모터 조립체는 상기 모터와 상기 구동 롤러를 연결하는 구동 벨트와 회전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롤러는 상기 구동 벨트를 수용하기 위한 마찰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롤러의 기계적 하중을 오프셋(off setting)하기 위해 상기 연장된 핀 피동 부재의 다른 한쪽 표면과 근접한 마주보는 표면은 제 2 구동 롤러 조립체일 수 있다. 제 2 구동 롤러 조립체는 제 2 모터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동 과정동안 상기 구동 롤러가 상기 연장된 핀 피동 부재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동 조립체가 적응될 수 있다. 상기 제동 조립체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피봇 블록 조립체와 근접한 제동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동 몸체는 적어도 한 개의 포우(paw) 원위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연장 스프링은 상기 제동 몸체와 적어도 한 개의 피봇 블록 조립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동 조립체는 또한 스프로켓(sprocket)을 포함할 수 있고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스프로켓은 적어도 한 개의 피봇 블록 조립체, 구동 모터 롤러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포우 원위 단부는 상기 스프로켓과 라쳇(ratchetable)연결될 수 있는 결합 접촉(mating contact)되도록 피봇회전되고, 예를 들어, 상기 스프로켓은 단지 한 방향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시계방향 회전하여 상기 포우 원위단부와 라쳇연결되도록 적응된다. 예를 들어, 상기 라쳇연결될 수 있는 결합 접촉에 의해 상기 스프로켓은 반대 방향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대상물을 전달하고 컨베이어와 근접한 한 개이상의 하역 스테이션들에 대상물을 하역하기 위한 분류 컨베이어는 컨베이어 트랙, 컨베이어 카트들의 트레인 및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 카트들의 트레인은 끝과 끝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는 상기 컨베이어 트랙상에서 상기 컨베이어 카트들을 이동시킨다.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는 하나의 피봇 블록 조립체 및 상기 구동 롤러를 위치설정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피봇 블록 조립체에 연결되고 캔틸레버 지지된 구동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캔틸레버 지지되고 연결된 구동 롤러는, 제 1 피봇 블록 조립체 및 상기 구동 롤러를 위치설정하기 위한 제 2 피봇 블록 조립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피봇 블록 조립체들은 서로 연결되고, 각 피봇 블록 조립체의 운동이 다른 하나의 피봇 블록 조립체의 운동을 반영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피봇 블록 조립체와 상기 제 2 피봇 블록 조립체는 서로 연결되고 각 피봇 블록 조립체의 운동이 다른 하나의 피봇 블록 조립체의 운동을 반영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는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 상기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운반 트레이 및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는 롤러 구조체, 피동 부재, 근접하게 이격된 피동 부재들 및 히치 기구(hitch mechanism)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구조체는 상기 컨베이어 트랙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피동 부재는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에 응답할 수 있다. 근접하게 이격된 피동 부재들은 수직으로 중첩된 변부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히치 기구는 각각의 컨베이어 카트를 근접한 컨베이어 카트에 연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는,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위에서 상기 운반 트레이를 지지하고 예를 들어, 상기 컨베이어의 적어도 한쪽 측부에서 대상물을 하역 스테이션에 하역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의 적어도 한쪽 측부를 향해 상기 운반 트레이를 기울일 수 있다. 상기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는, 상부 지지 구조체, 피봇 구조체, 하부 지지 구조체 및 기울어지는 기구(tilting mechanism)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 구조체는 운반 트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 구조체는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피봇 구조체는 예를 들어, 피봇축을 따라 상기 상부 지지 구조체를 상기 하부 지지 구조체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기울어질 수 있는 기구는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위에서 상기 운반 트레이를 기울여서 상기 컨베이어와 근접한 하역 스테이션들 중 한 개위에 대상물을 하역할 수 있다. 상기 기울어질 수 있는 기구는 한 쌍의 작동 암과 풀다운 기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작동 암 쌍은, 상기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의 마주보는 측부들에서 운반 트레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액추에이터 암들은 상기 액추에이터 암의 하단부에서 캠 종동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풀다운 기구는 상기 운반 트레이의 한쪽 측부를 경사위치로 끌어당기기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 암들 중 한 개를 선택적으로 끌어당기기 위한 각각의 하역 스테이션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풀다운 기구는, 상기 컨베이어 트랙과 근접한 하강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풀다운 기구는 또한, 선택된 액추에이터 암의 캠 종동자를 상기 하강 램프속으로 향하게 하고 횡 방향으로 피봇회전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선택된 캠 종동자를 포착하고 상기 캠 종동자를 하강 램프속으로 향하게 하기 위해 상기 횡 방향으로 피봇회전하는 스위치를 개방하고 상기 캠 종동자를 포착한 후에 상기 횡 방향으로 피봇회전하는 스위치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횡 방향으로 피봇회전하는 스위치에 연결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울어지는 기구는, 상기 액추에이터 암들 중 한 개를 끌어당길 때 상기 경사 위치에 운반 트레이를 구속하고 상기 액추에이터 암을 밀어 올릴 때 직립위치에 운반 트레이를 구속하기 위한 구속 구조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 암들은 각각 상기 운반 트레이아래에서 상기 운반 트레이에 피봇회전하게 부착된다. 상기 액추에이터 암들의 피봇축들은 상기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의 피봇 축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 암들은,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의 상부 지지 구조체와 피봇회전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봇 구조체의 피봇축은 상기 컨베이어 운동라인과 평행한 수직 평면에 배열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액추에이터 암들은, 상기 운반 트레이를 기울이기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 암들을 끌어당기고 밀어올리는 동안 상기 컨베이어 운반 라인과 평행한 수직평면과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가진 액추에이터 암, 및 상기 액추에이터 암의 제 2 단부에 부착된 양방향 액추에이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액추에이터 암의 제 1 단부에 연결된 피봇 스위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액추에이터 조립체는, 캠 종동자를 연결하고 선택된 액추에이터 암의 상기 캠 종동자를 상기 하강 램프속으로 향하게 하기 위해 상기 횡 방향으로 피봇회전하는 스위치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액추에이터는, 상기 피봇 스위치를 상기 폐쇄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 암의 제 2 단부에 부착된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액추에이터 암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 암주위에 공축을 이루며 정렬된 외부 크레비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 암은, 상기 액추에이터 암을 상기 피봇 스위치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 암으로부터 사실상 수직으로 연장되는 롤 핀(roll pin)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부 크레비스는, 상기 롤 핀이 크레비스로부터 상기 피봇 스위치속으로 연장하는 크기를 가진 구멍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양방향 액추에이터는 브러쉬 없는 토크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상기 브러쉬 없는 토크 액추에이터는 히트싱크(heat sink)내에 장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대상물을 전달하고 상기 컨베이어와 근접한 한 개이상의 하역 스테이션들에 대상물을 하역하기 위한 분류 컨베이어는, 컨베이어 트랙, 끝과 끝이 연결된 컨베이어 카트들의 트레인 및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 카트들의 트레인은 끝과 끝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는 상기 컨베이어 트랙위에서 상기 컨베이어 카트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롤러 모터 조립체는, 모터, 지지 프레임 및 캔틸레버 지지되는 적어도 한 개의 구동 롤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동 롤러는 모터, 한 개의 피봇 블록 조립체 및 연장된 핀 피동 부재의 한 표면과 근접한 위치에 상기 구동 롤러를 위치설정하기 위한 또 다른 피봇 블록 조립체에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캔틸레버 지지되는 적어도 한 개의 구동 롤러는 모터, 제 1 피봇 블록 조립체 및 연장된 핀 피동 부재의 한 표면과 근접한 위치에 상기 구동 롤러를 위치설정하기 위한 제 2 피봇 블록 조립체에 연결된다. 마주보는 표면은, 상기 구동 롤러의 기계적 부하를 오프셋하기 위해 상기 연장된 핀 피동 부재의 다른 하나의 표면과 근접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피봇 블록 조립체들은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는 상기 피봇 블록 조립체들 중 한 개에 고정된 모터 조정 링크, 다른 한 개의 피봇 블록 조립체에 고정된 제 2 링크 및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모터조정 링크와 제 2 링크를 연결하는 연결 롤러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 1 피봇 블록 조립체와 제 2 피봇 블록 조립체는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특수한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는 제 1 피봇 블록 조립체에 고정된 모터 조정 링크, 제 2 피봇 블록 조립체에 고정된 제 2 모터 조정 링크 및 상기 제 1 모터조정 링크와 제 2 모터 조정 링크를 연결하는 연결 롤러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컨베이어 카트들은,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운반 트레이 및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는, 컨베이어 트랙을 연결하기 위한 롤러 구조체,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에 응답하는 피동 부재 및 각각의 컨베이어 카트를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에 연결하기 위한 히치 기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는,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위에서 상기 운반 트레이를 지지하고 예를 들어, 상기 컨베이어의 적어도 한쪽 측부에서 대상물을 하역 스테이션에 하역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의 적어도 한쪽 측부를 향해 상기 운반 트레이를 기울일 수 있다. 기울어지는 기구는, 상기 운반 트레이에 연결된 상부 지지 구조체,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에 연결된 하부 지지 구조체 및 피봇 축을 따라 상기 상부 지지 구조체를 상기 하부 지지 구조체에 연결하는 피봇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울어지는 기구는 상기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기구에 상기 운반 트레이를 기울여서 상기 컨베이어와 근접한 하역 스테이션들 중 한 개에 대상물을 하역할 수 있다. 상기 기울어지는 기구는, 상기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의 마주보는 측부들에서 상기 운반 트레이에 부착된 한 쌍의 액추에이터 암들을 가지고 상기 운반 트레이의 한쪽 측부를 경사위치로 끌어당기기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 암들 중 한 개를 선택적으로 끌어당기기 위해 각각의 하역 스테이션과 연결된 풀다운 기구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액추에이터 암들은 상기 액추에이터 암의 하단부에서 캠 종동자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풀다운 기구는, 상기 컨베이어 트랙과 근접한 하강 램프를 포함하며, 선택된 액추에이터 암의 캠 종동자를 상기 하강 램프속으로 향하게 하고 횡 방향으로 피봇회전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선택된 캠 종동자를 포착하고 상기 캠 종동자를 하강 램프속으로 향하도록 상기 횡 방향으로 피봇회전하는 스위치를 개방하고 상기 캠 종동자를 포착한 후에 상기 횡 방향으로 피봇회전하는 스위치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횡 방향으로 피봇회전하는 스위치에 연결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울어지는 기구는, 상기 액추에이터 암들 중 한 개를 끌어당길 때 상기 경사 위치에 운반 트레이를 구속하고 상기 액추에이터 암을 밀어 올릴 때 직립위치에 운반 트레이를 구속하기 위한 구속 구조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 암들은 각각 상기 운반 트레이 아래에서 상기 운반 트레이에 피봇회전하게 부착된다. 상기 액추에이터 암들의 피봇 축들은 상기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의 피봇 축과 평행하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액추에이터 암들은,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의 상부 지지 구조체와 피봇회전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봇 구조체의 피봇축은 상기 컨베이어 운동라인과 평행한 수직 평면에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 암들은, 상기 운반 트레이를 기울이기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 암들을 끌어당기고 밀어올리는 동안 상기 컨베이어 운반 라인과 평행한 수직평면과 평행하게 유지된다.
상기 구속 구조체는, 한 쌍의 구속 플랜지들, 한 쌍의 구속 블록들 및 편향 부재를 포함한다. 한 쌍의 구속 플랜지들은 상기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의 마주보는 측부들에서 횡 방향으로 연장된다. 한 쌍의 구속 블록들은 상기 작동 암들의 내부 표면들에 장착되고, 각각의 구속 블록은 상기 구속 플랜지들을 수용하는 구속 채널들을 가진다. 상기 편향 부재는 각각의 상기 구속 플랜지를 상기 구속 채널들 중 한 개속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작동 암들을 서로를 향해 편향시고 양쪽 작동 암들에 부착된다.
각각의 구속 블록은 상기 운반 트레이의 기울어진 위치와 관련된 구속 채널을 포함하고, 각각의 구속 블록은 상기 운반 트레이의 직립위치와 관련된 구속 채널을 포함한다. 각각의 상기 구속 플랜지는 구속 플랜지의 외측 변부에 장착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구속 블록은 상기 구속 채널들사이에 캠 섹션(cammed section)을 포함하고 상기 캠 섹션상에서 상기 구속 플랜지의 외측 변부상에 배열된 상기 롤러들은 상기 캠 섹션 위에서 구름운동한다.
상기 컨베이어 트랙은 두 개의 평행한 레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는, 상기 컨베이어 운동라인과 평행한 두 개의 평행한 레일들사이에서 연장되는 종 방향 기저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 구조체는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캠 종동자 기구들을 포함하고 이중 한 개의 캠 종동자 기구는 각 컨베이어 트랙 레일상에 이동한다. 각각의 캠 종동자 기구는 캠 종동자를 고정하는 액슬 캐스터(axle caster)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액슬 캐스터는 두 개의 포크(fork )들, 상기 두 개의 포크들사이의 연결점(juncture)에 배열된 베어링 구멍 및, 상기 베어링 보어내에 배열되고 상기 롤러 구조체로부터 연장되는 액슬 축 주위에 배열된 적어도 한 개의 플랜지를 포함한다. 캠 종동자는, 캠 종동자와 양쪽 포크들을 통해 연장되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상기 액슬 캐스터내부의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액슬 캐스터는 또한 두 개의 포크들사이의 공간과 상호연결(communicate)되는 베어링 보어의 한쪽 측부에서 개구부를 포함하며, 두 개의 포크들을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구부러지게 하여 상기 개구부를 경미하게 폐쇄하고 상기 베어링 구멍을 비틀어지게 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한 개의 플랜지 베어링은 볼트와 너트를 조여서 상기 베어링 보어내에 고정된다. 각각의 컨베이어 트랙 레일은 외측 변부에서만 지지될 수 있고 각각의 캠 종동자 기구는 세 개의 캠 종동자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캠 종동자 기구는, 트랙 레일의 상측 변부에서 이동하기 위한 상부 캠 종동자, 상기 트랙 레일 내측 변부에서 이동하기 위한 중간 캠 종동자 및 상기 트랙 레일의 하측변부에서 이동하기 위한 하부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 종동자 기구는 상기 종 방향 기저부 부재의 전방 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의 피동 부재는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운동라인으로 이동하는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 및 금속 핀은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아래에서 수직으로 향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핀은, 후방으로 각을 형성하는 전방 및 후방 변부들과 일반적으로 평행사변형을 형성한다.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는, 상기 구동 롤러의 기계적 하중을 오프셋하기 위해 적어도 한 개의 마주보는 표면과 적어도 한 개의 구동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치 기구는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의 전방 단부에 위치한 전방 히치,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의 후방 단부에 위치한 후방 히치 및 하나의 컨베이어 카트의 전방 히치를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의 후방 히치와 연결시키기 위한 히치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히치는 상기 후방 히치위에 배열된다.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는, 상기 히치 기구의 고장시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컨베이어 카트를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에 연결시키기 위한 보조 카트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카트 커넥터는 한쪽 단부에서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 단부에서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의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와 연결되며 전기전도성을 가진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류 컨베이어는 적어도 한 개의 단일 축 컨베이어 카트를 포함하고 상기 단일 축 컨베이어 카트는 상기 컨베이어 운동라인과 평행하게 배열된 수평 피봇 축을 가지고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액추에이터 암 및 양방향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 암은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가지고, 상기 피봇 스위치는 상기 액추에이터 암의 상기 제 1 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양방향 액추에이터는 상기 액추에이터 암의 제 2 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회전식 액추에이터 조립체는 상기 횡방향 피봇 스위치를 회전시켜서 상기 캠 종동자를 연결하고 선택된 액추에이터 암의 상기 캠 종동자를 상기 하강 램프속으로 향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액추에이터는 상기 피봇 스위치를 상기 폐쇄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 암의 제 2 단부에 부착된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액추에이터는 상기 액추에이터 암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 암 주위에서 공축을 이루며 배열된 외부 크레비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 암은 상기 액추에이터 암을 상기 피봇 스위치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 암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롤 핀(roll pin)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크레비스는 구멍을 가지며, 상기 구멍은 롤핀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상기 피봇 스위치속으로 연장되는 것을 허용하는 크기를 가진다. 상기 양방향 액추에이터는 브러쉬(brusch)없는 토크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상기 브러쉬 없는 토크 액추에이터가 히트 싱크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컨베이어 트랙 및 상기 자동인장 조정 조립체에 부착된 기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인장 조정 조립체는 상기 기저부에 연결되는 구동 클램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가 상기 자동인장 조정 조립체에 연결되고 상기 피봇 블록 조립체를 조정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레버는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에 연결되고 제 1 피봇 블록 조립체 및 제 2 피봇 블록 조립체를 조정하기 위해 적응된다. 각 피봇 블록 조립체의 운동이 다른 피봇 블록 조립체의 운동을 반영하도록 상기 레버가 적응된다.
상기 자동인장 조정 조립체는 상기 레버를 지지하기 위한 자동 인장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인장 클램프 플레이트는, 상기 레버의 근위 단부를 상기 자동 인장 클램프 플레이트에 연결하는 장착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의 원위 처리 단부를 작동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상기 자동 인장 클램프 플레이트에 레버 리테이너가 고정될 수 있다. 연결 암은 상기 레버와 상기 연결 롤러 링크를 연결할 수 있다. 스프링 조립체는 상기 연결 암과 상기 연결 롤러 링크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롤러 조립체는 상기 연장된 핀을 마찰연결하기 위한 외부의 탄성 표면을 가진 원통형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표면은 폴리우레탄일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은 열가소성 우레탄일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은 약 70 내지 약 80의 쇼와 A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모터 조립체는 회전식 모터 및 상기 모터와 상기 구동 롤러를 연결하는 구동 벨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동 롤러는 상기 구동 벨트를 수용하기 위한 마찰 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롤러의 기계적 부하를 오프셋하기 위한 연장된 핀의 피동부재의 다른 표면과 근접하게 배열된 상기 마주보는 표면은 제 2 구동 롤러 조립체이다. 상기 제 2 구동 롤러 조립체는 제 2 모터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동 조립체는 예를 들어, 제동작용시 상기 연장된 핀의 피동 부재와 상기 구동 롤러의 연결상태를 유지하고 조이도록 적응될 수 있다. 상기 제동 조립체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피봇 블록 조립체와 근접하게 배열되고 적어도 한 개의 포우 원위 단부를 가진 제동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동 몸체는, 적어도 한 개의 포우 원위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연장 스프링이 상기 제동 몸체와 상기 적어도 한 개의 피봇 블록 조립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동 조립체는 스프로켓을 포함할 수 있고,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로켓은 상기 적어도 한 개의 피봇 블록 조립체, 구동 모터 롤러들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상기 포우 원위 단부는 상기 스프로켓과 라쳇연결될 수 있고 짝을 이루는 접촉상태로 피봇회전하도록 적응되고, 예를 들어, 상기 스프로켓은 상기 포우의 원위 단부를 한 방향, 예를 들어, 실에서 시계방향 회전하며 라쳇 연결하도록 적응된다. 예를 들어, 상기 라쳇 연결가능하고 짝을 이루는 접촉은 상기 스프로켓이 반대방향,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구속 구조체는,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구속 플랜지들, 한 쌍의 구속 블록들 및 편향 부재를 포함한다.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구속 플랜지들은 상기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의 마주보는 측부들에 위치한다. 한 쌍의 구속 블록들은 상기 작동 암들의 내부 표면들에 장착된다. 각각의 구속 블록은 상기 구속 플랜지들을 수용하는 구속 채널들을 가진다. 양쪽 작동 암들에 부착된 상기 편향 부재는 예를 들어, 각각의 상기 구속 플랜지를 상기 구속 채널들 중 한 개속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작동 암들을 서로를 향해 편향시킨다.
각각의 구속 블록은 상기 운반 트레이의 기울어진 위치와 관련된 구속 채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속 블록은 상기 운반 트레이의 직립위치와 관련된 구속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구속 플랜지는 구속 플랜지의 외측 변부에 장착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구속 블록은 상기 구속 채널들사이에 캠 섹션(cammed section)을 포함하고 상기 캠 섹션상에서 상기 구속 플랜지의 외측 변부상에 배열된 상기 롤러들은 상기 캠 섹션 위에서 구름운동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컨베이어 트랙은 적어도 두 개의 평행한 레일들을 포함한다.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는, 상기 컨베이어 운동라인과 평행한 두 개의 평행한 레일들사이에서 연장되는 종 방향 기저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 구조체는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캠 종동자 기구들을 포함하고 이중 한 개의 캠 종동자 기구는 각 컨베이어 트랙 레일상에 이동한다. 각각의 캠 종동자 기구는 캠 종동자를 고정하는 액슬 캐스터(axle caster)를 포함한다. 각각의 액슬 캐스터는 두 개의 포크(fork)들, 상기 두 개의 포크들사이의 연결점(juncture)에 배열된 베어링 구멍 및, 상기 베어링 보어내에 배열되고 상기 롤러 구조체로부터 연장되는 액슬 축 주위에 배열된 적어도 한 개의 플랜지를 포함한다. 캠 종동자는, 캠 종동자와 양쪽 포크들을 통해 연장되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상기 액슬 캐스터내부의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액슬 캐스터는 또한 베어링 보어의 한쪽 측부에서 개구부를 포함하며, 두 개의 포크들을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구부러지게 하여 상기 개구부를 경미하게 폐쇄하고 상기 베어링 구멍을 비틀어지게 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한 개의 플랜지 베어링은 볼트와 너트를 조여서 상기 베어링 보어내에 고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컨베이어 트랙 레일은 외측 변부에서만 지지될 수 있고 각각의 캠 종동자 기구는 세 개의 캠 종동자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캠 종동자 기구는, 트랙 레일의 상측 변부에서 이동하기 위한 상부 캠 종동자, 상기 트랙 레일 내측 변부에서 이동하기 위한 중간 캠 종동자 및 상기 트랙 레일의 하측변부에서 이동하기 위한 하부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 종동자 기구는 상기 종 방향 기저부 부재의 전방 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의 피동 부재는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운동라인으로 이동하는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 및 금속 핀은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아래에서 수직으로 향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핀은, 후방으로 각을 형성하는 전방 및 후방 변부들과 일반적으로 평행사변형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는, 상기 구동 롤러의 기계적 하중을 오프셋하기 위해 적어도 한 개의 마주보는 표면과 적어도 한 개의 구동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치 기구는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의 전방단부에 위치한 전방 히치,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의 후방 단부에 위치한 후방 히치 및 하나의 컨베이어 카트의 전방 히치를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의 후방 히치와 연결시키기 위한 히치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히치는 상기 후방 히치위에 배열된다.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는, 상기 히치 기구의 고장시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컨베이어 카트를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에 연결시키기 위한 보조 카트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카트 커넥터는 한쪽 단부에서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 단부에서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의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와 연결되며 전기전도성을 가진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분류 컨베이어는 적어도 한 개의 단일 축 컨베이어 카트를 포함하고 상기 단일 축 컨베이어 카트는 상기 컨베이어 운동라인과 평행하게 배열된 수평 피봇 축을 가지고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분류 컨베이어는, 컨베이어 트랙, 끝과 끝이 연결되고 기울어지는 컨베이어 카트들 및 상기 컨베이어 트랙상에서 컨베이어 카트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각 컨베이어 카트에 부착된 연장된 피동 부재의 각 측부에서 원통형 롤러를 포함한다.
각각의 기울어지는 컨베이어 카트는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는 상기 컨베이어 트랙을 연결하기 위한 롤러 구조체,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에 응답하는 피동부재 및 각각의 기울어지는 컨베이어 카트를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에 연결하기 위한 히치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 카트는 또한, 상기 대상물들을 고정하기 위한 운반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위에서 상기 운반 트레이를 지지하고 상기 컨베이어의 적어도 한 개 측부를 향해 상기 운반 트레이를 기울여서 상기 컨베이어의 적어도 한 개 측부에서 대상물들을 하역 스테이션에 하역하기 위한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장치를 포함한다.
기울어지는 기구는, 상기 운반 트레이를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장치로 기울여서 상기 컨베이어와 근접한 하역 스테이션들 중 한 개속에 대상물들을 하역한다. 상기 기울어지는 기구는, 상기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장치의 마주보는 측부들에서 상기 운반 트레이에 부착되는 한 쌍의 작동 암들 및, 상기 운반 트레이의 한쪽 측부를 경사 위치속에 아래로 끌어당기기 위해 상기 작동 암들 중 한 개를 선택적으로 끌어당기기도록 각각의 하역 스테이션과 연결된 풀다운 기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액추에이터 암들은, 액추에이터 암의 하단부에서 캠 종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풀다운 기구는 상기 컨베이어 트랙과 근접한 위치에서 하강 램프, 선택된 액추에이터 암의 캠 종동자를 하강 램프속으로 향하도록 하고 횡 방향으로 피봇회전하는 스위치 및 상기 횡 방향으로 피봇회전하는 스위치에 연결된 양방향 회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액추에이터 조립체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가진 액추에이터 암을 포함하고, 상기 피봇 스위치는 상기 액추에이터 암의 제 1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액추에이터 암의 제 2 단부에 부착된 양방향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식 액추에이터 조립체는 상기 캠 종동자와 연결되고 선택된 액추에이터 암의 상기 캠 종동자를 상기 하강 램프속으로 향하게 하며 상기 캠 종동자를 포착한 후에 상기 횡 방향으로 피봇회전하는 스위치를 폐쇄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는 한 쌍의 전기 모터 및 상기 모터들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 트랙에 부착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선호된다. 적어도 한 쌍의 캔틸레버 지지되는 구동 롤러들은 각각의 모터들과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 카트들에 부착된 연장된 핀 피동 부재의 각 표면들과 근접하게 배열된다. 각각의 구동 롤러는 다른 하나의 구동 롤러의 기계적 부하와 오프셋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컨베이어와 근접한 한 개이상의 하역 스테이션들에 대상물을 하역하고 대상물을 전달하기 위한 분류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분류 컨베이어는, 컨베이어 트랙, 끝과 끝이 연결된 컨베이어 카트들의 트레인 및 상기 컨베이어 카트를 상기 컨베이어 트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컨베이어와 근접한 한 개이상의 하역 스테이션들에 대상물을 하역하고 대상물을 전달하기 위해 끝과 끝이 연결된 컨베이어 카트들의 트레인을 가진 분류 컨베이어를 위한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는, 모터, 상기 모터들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 트랙에 부착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컨베이어 카트들에 부착된 연장된 핀 피동 부재의 한 표면들과 근접하게 배열된 적어도 한 쌍의 캔틸레버 지지되는 구동 롤러 및, 상기 구동 롤러의 기계적 부하를 오프셋하기 위해 연장된 핀 피동 부재의 다른 한쪽 표면과 근접한 마주보는 표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컨베이어와 근접한 한 개이상의 하역 스테이션들에 대상물을 하역하고 대상물을 전달하기 위한 분류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분류 컨베이어는, 컨베이어 트랙, 끝과 끝이 연결된 컨베이어 카트들의 트레인을 포함하고, 각각의 컨베이어 카트는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 및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운반 트레이,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 및 상기 컨베이어 카트를 상기 컨베이어 트랙위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는 상기 컨베이어 트랙을 연결하기 위한 롤러 구조체, 연장된 핀 피동 부재 및 상기 컨베이어 카트를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에 연결하기 위한 히치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위에서 상기 운반 트레이를 지지하기 위한 상기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는 상기 컨베이어의 적어도 한 개 측부에서 대상물을 상기 하역 스테이션으로 하역하기 위해 상기 운반 트레이를 상기 컨베이어의 적어도 한 개의 측부를 향해 기울일 수 있고, 상기 롤러 모터 조립체는 모터, 상기 모터를 지지하기 위한 컨베이어 트랙에 부착된 지지 프레임, 상기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연장된 핀 피동 부재의 한 표면과 근접하며 캔틸레버 지지되는 적어도 한 개의 구동 롤러 및 상기 구동 롤러의 기계적 하중을 오프셋하기 위해 상기 연장된 핀 피동 부재의 다른 하나의 표면과 근접한 마주보는 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요약은 본 공개내용의 실시예들을 요약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들은, 도면과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더욱 상세하게 공개된다. 그러나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적절히 결정되어야 한다.
본 공개내용의 실시예들이 도면을 검토하여 실시예에 관한 설명을 읽어봄으로써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포장물 분류 컨베이어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포장물 분류 컨베이어의 단일 경사 컨베이어 카트 및 상기 컨베이어의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상기 컨베이어 카트의 운반 트레이들 및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들을 가진 컨베이어 카트의 트레일러 프레임 구조체의 트레인을 도시한 평면도.
도 3A는, 상기 컨베이어 카트들 중 한 개위에 캠 종동자를 고정하는 액슬 캐스터를 도시한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캠 종동자와 액슬 캐스터를 선 3B-3B를 따라 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따르는 경사 컨베이어 카트들 중 한 개의 측면도.
도 5는, 도 2의 선 5- 5를 따라 본 경사 컨베이어 카트의 측단면도로서, 본 발명을 따르는 경사 컨베이어 카트의 각을 이룬 피봇 구조체 및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를 도시한다.
도 5A는, 컨베이어 카트 피봇축과 컨베이어 운동 라인이 삼차원 X, Y, Z 공간 좌표계와 관련됨에 따라 컨베이어 카트 피봇축과 컨베이어 운동 라인을 도시한 기하학적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을 따르는 포장물 분류 컨베이어의 카트 트레인을 도시한 평면도.
도 6A는, 도 6에 도시된 카트들의 트레인을 도시하고, 카트들 중 한 개는 경사 위치에 배열되며 포장물을 상기 분류 컨베이어 트랙 옆에서 하역 스테이션에 하역한다.
도 7은, 도 4의 선 7- 7을 따라 본 경사 컨베이어 카트의 배면도로서, 명확한 이해를 이해 트랙 레일들과 롤러 구조체는 생략되고 컨베이어 카트가 직립 위치 및 수평 위치에 배열된 것을 도시한다.
도 7A는, 도 7의 경사 컨베이어 카트가 경사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풀다운(pull down) 기구의 측면도로서, 상기 풀다운 기구의 스위치는 개방위치에 배열되고 상기 스위치는 컨베이어 카트를 작동시키는 암(arm)위에서 통과하는 캠 종동자를 포착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풀다운 기구의 또 다른 측면도로서, 상기 캠 종동자가 하향 경사(ramp)를 통해 운동하고 스위치가 폐쇄위치에 있는 것을 제외한 구성이다.
도 9는, 스위치가 풀다운 기구의 개방 위치에 배열되고 통과하는 캠 종동자를 포착하는 풀다운 기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풀다운 기구의 또 다른 평면도로서, 상기 캠 종동자가 하향 경사(ramp)를 통해 운동하고 스위치가 폐쇄위치에 있는 것을 제외한 구성이다.
도 10은, 푸시업(push- up) 기구의 평면도.
도 10A는, 푸시업 기구의 측면도.
도 11은, 피봇 스위치에 연결된 양방향 액추에이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명확한 이해를 위해 트랙 요소들이 생략되고 마주보는 모터 롤러 조립체를 도시한 저면도.
도 13은, 명확한 이해를 위해 요소들이 생략되고 점선으로 표시되며 단독의 마주보는 모터 롤러 조립체의 사시도.
도 14는, 명확한 이해를 위해 요소들이 생략되고 단독의 마주보는 모터 롤러 조립체를 확대 도시한 측면 사시도.
도 15a는, 명확한 이해를 위해 요소들이 생략되고 마주보는 모터 롤러 조립체 및 자동 인장 조정(self- tensioning adjustment) 조립체를 확대 도시한 저면도.
도 15b는, 명확한 이해를 위해 요소들이 생략되고 제 2 정비위치에 배열되며 마주보는 모터 롤러 조립체 및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를 확대 도시한 저면도.
도 16은, 명확한 이해를 위해 요소들이 생략되고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내에 배열된 단독 요소들을 확대 도시한 측면 사시도.
도 17은, 명확한 이해를 위해 요소들이 생략되고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내에 배열된 단독 요소들을 확대 도시한 또 다른 측면 사시도.
도 18은, 명확한 이해를 위해 요소들이 생략되고 단독 제동 조립체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하기 설명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여러 도면들에서 해당 부품 또는 유사한 부품들을 나타낸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 "전방(forward)", "후방(rearward)", "좌측(left)", "우측(right)", "상향(upwardly)", "하향(downwardly)" 등은 편리한 설명을 위한 용어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용어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반적으로 도면들을 참고하고 특히 도 1을 참고할 때, 설명은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에서 가장 양호하게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라 포장물(11) 또는 다른 대상물을 전달하고 분류하기 위한 분류 컨베이어(10)가 도시된다. 상기 분류 컨베이어(10)는, 서로 끝이 연결되고 폐쇄회로의 컨베이어 트랙(closed circuit conveyor track)(12) 주위에서 무한 루프(endless loop)를 형성할 수 있는 개별 카트(cart)(20)들의 트레인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컨베이어 카트(20)들은 단독으로 이용되거나 유한 트레인(finite train)의 일부분으로 이용될 수 있다.
포장물 분류 컨베이어(10)는 일반적으로 네 개의 주요 서브 조립체들을 포함한다. 컨베이어 트랙(conveyor track)(12),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70),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70)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트랙(12)을 따라 이동하는 경사 컨베이어 카트(20)들의 트레인 및, 상기 경사 컨베이어 카트로부터 포장물(11)들을 방출하기 위해 상기 경사 컨베이어 카트(20)를 기울어지게 하기 위한 경사기구(tilting mechanism)(80). 전형적으로, 상기 포장물 분류 컨베이어의 한쪽 또는 양쪽 측부에서 상기 포장물 분류 컨베이어(10)와 근접한 모든 갯수의 하역 스테이션(unloading station) 또는 배출 슈트(oufeed chutes)(18)들이 상기 포장물 분류 컨베이어(10)로부터 방출된 포장물(11)을 수용하고 상기 포장물을 대기 저장 빈(waiting storage bins), 트럭 등으로 운반한다. 포장물(11)들은 작업자에 의해 컨베이어 카트(20)위에 배열되거나 공급 슈트(infeed chutes)(17) 등에 의해 포장물 분류 컨베이어(1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트랙(12)은 두 개의 평행한 레일(14)들을 포함하고 창고, 배송 센터(shipping center), 분배 센터 등의 배치(layout)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롤러 코스터(roller coaster)의 트랙과 유사하기 때문에, 상기 컨베이어 트랙(12)은 사실상 수평이거나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트랙 레일(14)들은 동일한 평면에 배열되거나 트랙(12)내에서 기울어진 곡선부(banked curve)의 경우와 같이 한쪽이 다른 한쪽보다 높게 배열될 수 있다. 기울어진 곡선부들에 의해 컨베이어 카트(20)들은 평평한 트랙에서보다 포장물(11)을 떨어뜨리지 않고도 훨씬 더 높은 속도에서 곡선의 컨베이어 트랙(12)주위를 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기울어진 곡선부들은 상당히 유리하다. 전형적으로, 레일(14)들은 롤러 코스터와 유사하게 일반적인 관형 구조를 가지며 단지 외부를 향하는 레일의 변부들에서만 레일 지지부재(16)들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레일(14)들은 둥근 단면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직사각형 레일들이 이용될 때와 같이 부하가 잘 분포되지 않기 때문에 둥근 레일들에 의해 캠 종동자(cam follower)들이 다소 캠 종동자의 중앙에서 마모를 발생시키는 것이 알려짐에 따라 직사각형 단면이 선호된다.
도 2에 도시된 분류기 컨베이어(10)의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210)는 도 12 및 도 12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고 마주보는 구동 롤러 조립체(214, 214')들의 쌍일 수 있다. 각각의 컨베이어 카트(20)의 바닥에 부착된 피동 핀(driven fin)(36)이 두 개의 구동 롤러 조립체(214,214')들사이에 매달린다.
반 강성(semi- rigid), 높은 계수를 가진 알루미늄 또는 다른 전도성 금속으로 구성된 수직의 핀(36)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후방으로 이동한(swept- back)전방 변부(36a) 및 후방 변부(36b)들을 가지고, 핀이 구조물과 접촉하는 경우에 손상을 줄이고 구동 롤러의 길이에 걸쳐서 공기간격(air gap)을 분포시켜서 소음을 줄이고 더욱 일정한 추력을 유지하도록 핀(36)은 전체적으로 평행 사변형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간격이 상기 롤러에 대해 각을 형성하기 때문에, 양쪽 휠들이 동시에 충돌할 정도로 큰 포트 홀(pot hole)과 같은 간격이 상기 롤러들과 충돌하지 못한다.
또한 상기 핀(36) 및 마주보는 롤러 조립체(210)를 수직으로 배열하면, 회전 부하(live load)의 중량이 변화함에 따라 중력은 요인이 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핀(36)과 구동 롤러들사이에 적절한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문제가 감소된다. 그 결과, 상기 핀(36)은 두 개의 구동 롤러들사이에서 쉽게 동일간격으로 유지되고 거울에 비춘 것처럼 다시 센터링(recentering)된다.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210)는 보통, 컨베이어 카트(20)의 트레인을 한쪽 운동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상기 컨베이어를 정지시키거나 컨베이어의 속도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면 역전될 수도 있다.
경사 컨베이어 카트(20)들의 트레인에 대해 설명하면, 각각의 컨베이어 카트(20)는 도 2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된 것처럼 세 개의 주요 서브 조립체들을 포함한다. 트레일러 프레임 구조체(22), 일반적으로 수평배열되고 상기 포장물(11)을 고정하기 위한 운반 트레이(40) 및,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구조체(22)위에서 상기 운반 트레이(40)를 지지하고 포장물을 하역 스테이션들 중 한 개로 하역하기 위해 상기 운반 트레이(40)를 상기 분류 컨베이어(10)의 양쪽 측부를 향해 기울어지게 하기 위하여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50). 각 컨베이어 카트(20)의 다른 부품들이 장착되는 기저 트레일러 프레임 구조체(22) 주위에 각 컨베이어 카트(20)가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구조체(22)는, 두 개의 평행한 레일(14)들사이에서 컨베이어의 후방 운동방향(64)으로 연장되는 종 방향 기저 부재(24)를 포함한다. 상기 기저 부재(24)는 사실상 각 레일(14)로부터 등거리를 가진다. 상기 컨베이어 트랙(12)위에서 운동하기 위한 롤러 구조체(26)는 기저 부재(24)의 전방 단부에 장착되고 횡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레일(14)을 위한 두 개의 캠 종동자 기구(27)들을 포함한다. 레일 지지체(16)가 외부에 배열되고 상기 레일(14)이 관형 구조를 가지는 이유는 캠 종동자 기구(27)를 조사할 때 명확해진다. 각각의 캠 종동자 기구(27)는 세 개의 캠 종동자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14)의 상측 변부에서 운동하기 위한 상부 캠 종동자(30a), 상기 레일(14)의 내측 변부에서 운동하기 위한 중간 캠 종동자(30b) 및 상기 레일(14)의 바닥 변부에서 운동하기 위한 하부 캠 종동자(30c). 상기 구조에 의하면, 컨베이어 카트(20)가 상기 컨베이어 트랙(12)을 따라 운동할 때 만날 수 있는 각 방향 하중(측면, 상향 및 하향)을 위해 휠이 제공되기 때문에 컨베이어 카트(20)는 상기 컨베이어 트랙(12)을 건너뛰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각각의 캠 종동자(30a, 30b,30c)는, 상기 분류기 컨베이어(10)가 매끄럽고 상대적으로 진동이 없으며 조용한 작동을 위해 폴리우레탄과 같이 다소 탄성을 가진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선호된다.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할 때, 각 캠 종동자 기구(27)의 구조가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각의 상부 캠 종동자(30a)는 압출된 알루미늄 등으로 제조되는 것이 선호되는 액슬 캐스터(axle caster)(28)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액슬 캐스터(28)는 두 개의 포크(28a,28b)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포크는 휠(30a)의 각 측부에 배열되며, 상기 포크(28a,28b)들의 연결부에 배열된 베어링 보어(bearing bore)(28c)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보어는 한쪽 측부에서 개구부(28d)를 가져서 상기 베어링 보어(28c)는 상기 포크(28a,28b)들사이의 공간과 연결된다. 상기 베어링 보어(28c)내에 배열된 한 쌍의 플랜지 베어링(29)들은 상기 롤러 구조체(26)로부터 연장된 액슬 샤프트(axle shaft)(27a)주위에 배열된다. 오일라이트(Oilite)® 또는 다른 마찰 감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선호되는 각각의 플랜지 베어링(29)은 톱 햇 부싱(top- hat bushing) 형태를 가지고 액슬 샤프트(27a)가 관통하는 중심 구멍(29a)을 포함한다. 캠 종동자(30a)는 볼트(31)와 너트(31a)에 의해 두 개의 포크(28a,28b)들사이에서 제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캠 종동자(30a)는, 상기 휠(30a)의 중심을 통과하는 액슬로서 작용하는 볼트(31)주위에 배열된 베어링 구조체(30d)를 포함하는 것이 선호된다.
본 발명의 액슬 캐스터(28)를 이용하면, 플랜지 베어링(29)이 프레스를 이용하지 않고도 손을 이용하여 상기 베어링 보어(28c)속의 제 위치로 용이하게 미끄러져 운동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베어링 보어(28c)속에 플랜지 베어링(29)을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휠(30a)을 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너트(31a)가 상기 볼트(31)에 조여짐에 따라 상기 포크(28a,28b)들은 서로를 향해 내부로 약간 휘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액슬 캐스터(28)의 포크(28a,28b)들은, 단지 휠(30a)을 고정하기 위해 필요한 것보다 미세하게 더 넓게 떨어져 형성된다. 상기 볼트(31)에 너트(31a)를 조여 상기 포크(28a,28b)들이 서로를 향해 내부로 휘어질 때, 상기 베어링 보어(28c)의 개구부(28d)는 다소 밀폐되고 상기 베어링 보어(28c) 자체는 약간 비틀어져서 상기 플랜지 베어링(29)을 베어링 보어내에 확고하게 고정한다. 그러나 플랜지 베어링(29)들은 상당히 비틀어지지 않고 상기 액슬 샤프트(27a)상에서 전후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그러므로, 상기 플랜지 베어링(29)은 마모될 때 현장에서 즉시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고, 종래기술에 의해 설계된 액슬 캐스터들이 본 발명의 컨베이어 카트(20)내에서 이용되면 필요할 수도 있는 고장정지시간(down- time)을 제거한다.
상기 트레인내에서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20)들은 히치(hitch) 기구(32)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된다. 도 3 및 도 4에서 각각의 히치 기구(32)는, 롤러 구조체(26) 앞에서 상기 기저 부재(24)의 전방 단부에 장착된 전방 히치(32a) 및 상기 기저 부재의 후방단부에 장착된 후방 히치(32b)를 포함한다. 공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히치(32a,32b)들은 수직 관통구멍(throughbore)을 가지고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히치 핀 커넥터(hitch pin connector)(32c)가 삽입된다. 상기 히치 기구(32)는, 후방 카트에 위치한 전방 히치(32a)가 전방 카트에 위치한 후방 히치(32b) 위에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히치 기구(32)는, 차량용 트레일러 히치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다방향성(poly directional) 구형 볼 조인트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든 경우에서, 히치 기구 부품들사이의 마찰은 예를 들어, 테프론(TEFLON)®을 가진 히치 부품들 또는 상대적으로 마찰이 없는 다른 재료를 라이닝하여 감소되는 것이 선호된다.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20)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히치 기구(32)가 갑자기 파괴되거나 분리되면 보조 카트 커넥터(34)가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20)들의 트레일러 프레임 구조체(22)들사이에 연결되는 것이 선호된다. 상기 보조 카트 커넥터(34)는 다른 고인장 강도 재료가 이용될 수 있어도 금속 케이블(metal cable) 또는 방아끈(lanyard)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카트 커넥터(34)는 금속 장착 커넥터(34a)에 의해 인접한 트레일러 프레임 구조체(22)와 연결되고 약 3/16 인치 두께를 가진 금속 케이블이다.
금속의 강도이외에 금속이 상기 보조 카트 커넥터(34)를 위한 선호되는 재료가 되는 중요한 이유는, 상기 보조 카트 커넥터(34)가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20)들사이에 연속적인 전기적 연결체로서 이용되기 때문이다. 컨베이어 카트(20)들 사이에 전기적 연속성은, 상기 컨베이어 카트(20)들이 컨베이어 트랙(12) 주위에서 운동하는 동안 정전기 증가 때문에 중요하다. 그러나, 캠 종동자(30a,30b,30c)들이 폴리우레탄(전기절연체)으로 제조되는 것이 선호되고 상기 히치 기구(32)의 구성부품들이 테프론(TEFLON)®(역시 전기절연체)으로 코팅되는 것이 선호되기 때문에,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20)들사이의 전기적 연속성은 효과적으로 달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카트(2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면, 정전 전하(static charge)들이 상기 트레인으로부터 방출(bleed off)될 수 있으며 이것은 안전 및 작동을 고려할 때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보조 카트 커넥터(34)는 두 가지 목적을 위해 이용된다. 우선, 보조 카트 커넥터는 두 개의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20)들을 물리적으로 부착시키고 상기 히치 기구(32)가 고장나는 경우에 상기 보조 카트 커넥터들이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에 보조 카트 커넥터에 의해 트레인내부의 모든 컨베이어 카트(20)들사이에 전기적 연속성을 가능하게 만든다.
심지어 보조 카트 커넥터(34)가 없는 경우에, 상기 히치(32a,32b)들이 갑자기 분리되거나 상기 히치 기구(32)가 파손되면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구조체(22)의 후방 단부는 상기 컨베이어 트랙(12) 아래로 떨어질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기술의 컨베이어를 가진 경우에서와 같이 상기 핀(fin)(36)의 전방 단부(36a)가 상기 컨베이어 아래로 하부 구조체 또는 플로어 측부들속으로 들어가는 대신에, 상기 핀(36)이 상기 히치(32)들 중 한 개가 파손되거나 갑자기 분리되면, 단지 상대적으로 작은 손상을 가지며 끌리게 된다. 파손된 두 개의 컨베이어 카트(20)들사이에 상기 보조 카트 커넥터(34)가 부착되면, 상기 보조 카트 커넥터(34)는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구조체(22)의 후방 단부가 낙하하는 거리를 제한하고 또한 손상을 제한하게 된다.
운반 트레이(40)를 지지하고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50)는 각 컨베이어 카트(20)의 트레일러 프레임 구조체(22)상에 장착된다. 도 5에서 가장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듯이,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50)는 일반적으로 세 개의 부품들을 포함한다. 상기 운반 트레이(40)의 바닥 표면에 연결된 상부 지지 구조체(52), 상기 종 방향 기저 부재(24) 상부에서 중앙에 장착된 하부 지지 구조체(58) 및, 피봇 축(62)을 따라 상기 하부 지지 구조체(58)를 상기 상부 지지 구조체(52)에 피봇회전하며 연결하고 각을 이루는 피봇 구조체(60).
다음에, 상기 상부 지지 구조체(52)는 전방 지지 부재(54) 및 후방 지지 부재(56)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지지 구조체(58)는 일반적으로 평면이며 컨베이어의 운동라인(64)과 평행한 수직 평면에 배열되고 각을 이루는 상측 변부(58a)를 포함한다. 상기 피봇 구조체(60)는, 상기 하부 지지 구조체(58)의 상측 변부(58a)를 따라 운동하거나 통과하고 상기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56,58)에 각각 연결되는 액슬(6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슬(68)은 상기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56,58)의 하부 영역을 통과할 수 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전방 지지 부재(54)는 후방 지지 부재(56)보다 상기 운반 트레이(40)로부터 더욱 아래로 매달린다. 상기 하부 지지 구조체(58)가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22)에 정지된 상태로 고정되는 반면에, 상기 액슬(68)에 의해 상기 상부 지지구조체(52)는 상기 피봇 구조체(60)의 피봇 축(62)을 따라 피봇운동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의 선택적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지지 구조체(52)는 또한 하부 지지 구조체(58)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 운동 라인(64)과 평행한 수직 평면에 배열되고 일반적으로 평면인 부재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피봇 구조체(60)는 일반적으로 평면인 두 개의 지지 구조체(52,58)들과 함께 연결되는 힌지 구조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피봇 축(62)은, 도면들에서 수평선(64)으로 도시된 컨베이어 운동 라인과 평행한 수직 평면에 배열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분류기 컨베이어 경사 카트들과 다르게, 본 발명을 따르는 컨베이어 카트(20)의 피봇 축(62)은 상기 운반 트레이(40)의 경사(tilting)에 대해 두 개의 축 방향 성분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 운동라인(64)과 각도(θ)로 배열된다. 상기 피봇 축(62)은 전방을 향해 수평아래로 약 20 도 내지 45도 각도만큼 아래로 경사를 이루는 것이 선호된다. 공개된 실시예에서, 상기 피봇 축(62)은 아래로 30도 각도를 형성한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피봇 축(62)은, 상기 트레이(40)의 중심에 대해 후방을 향해 상기 운반 트레이(40)가 차지하는 평면과 교차하는 것이 선호된다.
상기 피봇 축(62)을 상기 컨베이어 운동라인(64)과 평행하게 배열하는 대신에 아래를 향하는 각도(θ)로 배열하면, 두 개의 축 방향 성분들이 상기 운반 트레이(40)의 경사운동에 제공된다. 상기 트레이의 경사운동이 가지는 제 1 축 방향 성분은 상기 컨베이어 운동라인(64)과 평행한 수평 축에 대해 횡 방향 기울어짐(lateral tipping)이다. 상기 트레이의 경사운동이 가지는 제 2 축 방향 성분은 상기 컨베이어 운동라인(64)과 수직인 수직 축(66) 주위에서 회전운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가 단지 단일의 각을 가진 피봇 축(62)을 따라 기울어질 때 상기 트레이(40)의 전체 운동은 트레이의 기울어짐에 따라 두 개의 축 방향 성분들을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의 경사 운동은 또한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삼차원 X, Y, Z 축 공간 좌표계를 이용하여 설명되고, Y 축은 상기 컨베이어 운동라인(64)과 평행하고, Z축은 상기 컨베이어 운동라인(64)과 수직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트레이(40)의 경사운동은 Y 축 및 Z축 성분을 포함하고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피봇 축(62)은 Y축 및 Z축과 교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상기 피봇 축(62)의 아래 방향 각도(θ)로 선호적으로 37.5도를 이용하면, Z축 운동에 대한 Y축 운동의 비율은 60:30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피봇 축(62)의 상기 각도(θ)가 수평 아래로 45만큼 증가하면, 상기 트레이는 기울어지고 동일하게 회전할 것이다.
도 6 및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운반 트레이(40)가 가지는 상기 2 축 경사운동이 가지는 한 가지 효과에 의하면, 아래로 기울어지는 트레이의 측부(44b)는 또한 도 6A에서 선(46a)으로 도시한 것처럼 상기 컨베이어 카트(20)에 대해 후방으로 회전한다. 상향으로 기울어지는 상기 트레이의 측부(44b)는 도 6A에서 선(46b)으로 도시한 것처럼 상기 컨베이어 카트(20)에 대해 전방으로 회전한다. 상기 피봇 축(62)은 상기 트레이(40)가 차지하는 평면과 중심 후방(rear-of-center)에서 교차하고, 상기 운반 트레이(40)의 전방 측부(44a)는 상기 운반 트레이(40)가 기울어질 때 상기 수직축(66) 주위에서 상기 운반 트레이(40)의 후방 측부(44c)보다 더 큰 거리만큼 회전한다.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운반 트레이(40)의 이등분 중심선은 트레이의 후방 단부보다 전방 단부에서 상기 수평의 운동 선(64)으로부터 더 멀리 회전한다. 따라서, 전방 측부 회전선(48a)은 후방 측부 회전선(48b)보다 더 긴 원호(arc)를 따라간다. 상기 운반 트레이(40)의 어느 쪽이 아래로 기울어지든지 후방으로 회전하면, 포장물들은 본 발명의 컨베이어 카트(20)로부터 하역 스테이션(18)으로 방출됨에 따라 일부 후방속도가 포장물(11)에 제공된다. 따라서 포장물들은 전체적으로 컨베이어 카트 트레인의 속도보다 작은 속도로 상기 하역 스테이션으로 방출된다. 그 결과, 포장물들은 종래기술의 컨베이어 카트를 이용할 때 달성될 수 있는 슈트보다 더 좁은 슈트(chute) 속으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포장물들이 방출될 때 포장물의 속도는 다소 감소되기 때문에 손상될 가능성이 감소된다.
도면들에서 알 수 있듯이, 운반 트레이(40)는 포장물(11)들이 상기 운반 트레이(40)로부터 갑자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향으로 각을 이루는 횡 방향 윙(wing)(42)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윙(42)들은 또한 상기 운반 트레이(40)가 기울어질 때 형성되는 경사각을 감소시켜서, 포장물(11)들이 상기 컨베이어 카트(20)로부터 방출될 때 포장물(11)의 부드러운 하역을 도와준다.
상기 운반 트레이(40)가 특정 목적지의 하역 스테이션(18)에 도달할 때, 상기 경사기구(80)는 운반 트레이(40)를 기울여서, 상기 운반 트레이에 의해 운반되는 포장물(11)이 하역 스테이션(18) 속으로 방출되게 한다. 상기 경사기구(80)는 일반적으로 각각의 컨베이어 카트(20)에 장착된 부품들 및 각각의 하역 스테이션(18)과 연결된 부품들을 포함한다. 우선 한 쌍의 작동 암(actuating arm)(82)들이 각 컨베이어 카트의 마주보는 횡 방향 측부들에서 카트의 컨베이어 카트(20)아래에 부착되고 하나의 작동 암(82)이 카트의 지지 기구(50)의 각 측부에 배열된다. 다음에, 풀다운 기구(pull- down mechanism)(90)가 각각의 하역 스테이션(18)으로부터 바로 상류위치에 배열된다. 상기 풀다운 기구(90)는 작동될 때 상기 작동 암(82)들 중 한 개를 선택적으로 아래로 끌어당겨서 상기 운반 트레이(40)의 각 측부를 양쪽 축 방향으로 기울어진 위치로 아래를 향해 후방으로 끌어당긴다. 또한, 푸시업 기구(push- up mechanism)(110)가 상기 하역 스테이션(18)의 하류위치에 배열되어 상기 풀다운 기구(90)에 의해 아래로 끌어 당겨진 작동 암(82)을 가압하고 상기 운반 트레이(40)의 방향을 정상의 직립위치로 향하게 한다. 또한, 작동 암(82)들 중 한 개를 끌어내릴 때 상기 운반 트레이(40)를 경사진 위치로 구속하고 또한 상기 작동 암(82)을 밀어올릴 때 운반 트레이의 정상 직립위치에 상기 운반 트레이(40)를 구속하는 구속 구조체(locking structure)(120)가 구성된다.
도 7 및 도 7A를 참고할 때, 각각의 작동 암(82)은 상기 운반 트레이의 한쪽 측부가 가지는 하부면에 피봇회전하게 부착되고 상기 상부 지지 구조체(52)에 형성된 각각의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54,56)와 연결되는 것이 선호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 암(82)은 상기 작동 암(82)의 상측 단부를 통과하고 양쪽 지지 부재(54,56)를 통과하며 각을 이루는 피봇 힌지 액슬(pivot hinge axle)(84)에 의해 상기 전방 및 후방 지지 부재들에 부착된다. 그러므로, 상기 작동 암(82)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지지 장치(50)의 피봇 축(62)과 평행한 것이 선호되는 피봇축(86)에서 피봇회전한다. 도면들을 검토하여 알 수 있듯이, 상기 작동 암(82)과 작동암의 각 피봇 축(86)들은 사실상, 정지된 상태로 있고 아래로 끌어 당겨지거나 위로 밀어 올려질 때 상기 컨베이어 운동라인(64)과 평행한 수직 평면내에 유지된다.
각각의 작동 암(82)은 또한, 하기 설명과 같이, 아래로 끌어당기고 위로 밀어올리는 기구(90,110)들과 연결되는 캠 종동자(88)를 포함한다. 상기 캠 종동자(88)는 외부 표면(82a)에서 상기 작동 암(82)의 하측 단부에 장착되는 것이 선호된다. 그러나 상기 캠 종동자(88)는 상기 아래로 끌어당기고 위로 밀어올리는 기구(90,110)들과 연결되기 위한 마찰 감소 미끄럼 블록 또는 다른 돌출부와 교체될 수 있다.
도 8, 도 8A, 도 9 및 도 9A에 상세하게 도시된 것처럼, 풀다운 기구(90)가 각각의 하역 스테이션(18)과 연결되고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레일(14)아래에서 하역 스테이션의 상류방향 측부에서 상기 하역 스테이션(18)과 가장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풀다운 기구(90)는 하강 램프(descending ramp)(92) 및 횡 방향으로 피봇회전하는 스위치(94)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94)는 작동할 때 피봇회전하여 개방되며 상기 작동 암(82)의 캠 종동자(88)를 상기 하강램프(92)로 향하게 한다. 도면들에서 알 수 있듯이, 스위치(94)가 작동하지 않을 때 상기 스위치는 상기 램프(92)와 평행하게 폐쇄위치에 배열되고 상기 캠 종동자(88)는 상기 스위치와 상기 하강 램프(92)를 자유롭게 바이패스(bypass)한다. 그러나 특수한 포장물(11)이 목적지 하역 스테이션(18)에 도달할 때, 상기 스위치(94)는 피봇회전하여 상기 캠 종동자(88)의 경로에 개방되고 캠 종동자(88)를 포착하도록 스위치(94)는 자동으로 작동한다. 다음에 상기 캠 종동자(88)는 상기 스위치(94)를 통해 구름운동하고 상기 작동 암(82)이 외부를 향해 약간 피봇회전하고 상기 하강 램프(92) 속으로 이동하게 만든다. 상기 캠 종동자(88)가 상기 스위치(94)를 통해 구름운동할 때, 상기 캠 종동자(88)는 밀폐 플랜지(104)와 연결되고 상기 하강 램프(92)속으로 들어간다. 다음에, 상기 운반 트레이(40)의 한쪽 측부를 아래로 끌어당기기 위해 상기 하강 램프(92)는 상기 캠 종동자(88) 및 연결된 작동 암(82)을 아래로 가압하여 포장물을 상기 운반 트레이(40)로부터 상기 풀다운 기구(90)와 근접한 위치에서 하역 스테이션(18)속으로 방출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컴퓨터 제어기가, 상기 컨베이어(10)에서 이동하는 모든 포장물(11)들을 추적하고 특정 포장물(11)이 목적지 하역 스테이션 또는 유출 슈트(18)에 도달할 때 적절한 시간에 스위치(94)를 자동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상기 컴퓨터는 또한, 상기 컨베이어 트레인의 운동을 제어하고 원하는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210)와 연결된다.
도 8 및 도 8A에 도시된 것처럼, 피봇 스위치(94)는 양방향 액추에이터(150)에 부착된다. 상기 양방향 액추에이터는 운동하는 캠 종동자들과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피봇 스위치(94)아래에 장착된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양방향 액추에이터(150)는 상기 액추에이터 모터(154)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피봇 스위치(94)의 내부와 연결된 공축 암(coaxial arm)(152)을 포함한다.
상기 액추에이터 모터(154)는, 상기 캠 종동자(88)를 포착하기 위한 개방 위치 및 상기 캠 종동자가 상기 하역 스테이션을 바이패스하게 만드는 폐쇄 위치사이에서 상기 공축 암(152) 및 부착된 피봇 스위치(94)를 회전시킨다. 동력 및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이 코드(cord)(160)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 모터(154)에 제공된다. 상기 공축 암을 개방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 동력은 계속해서 상기 모터에 제공되어 상기 피봇 스위치를 개방위치에 유지시킨다. 동력공급이 차단될 때 상기 액추에이터 모터(154)내에 배열된 코일 스프링은 암을 편향시켜서 상기 피봇 스위치를 폐쇄위치로 회전시킨다. 동력이 공급되고 차단되는 구성조합에 의해 상기 피봇 스위치는 상기 캠 종동자의 운동과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 모터는, 램 매뉴팩처링 컴퍼니(Ram Manufacturing Company)에서 제조한 500 모델(Model) 40R10102-10-11 회전식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모델 40R 액추에이터)이다. 상기 액추에이터 모터(154)는 히트싱크(heat sink)(172)내에 장착된다.
도 11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듯이, 외부 크레비스(clevis)(162)는 상기 액추에이터 암(152)을 둘러싸고 상부 브래킷(164)과 하부 브래킷(166)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외부 크레비스(162)는 사실상 상기 하부 브래킷(166)과 정렬되도록 수직으로 정렬된 하부 몸체(174)에 장착된다.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커넥터 수단이, 양방향 액추에이터를 상기 경사(tipping) 기구에 고정시키기 위해 하부 브래킷(166)과 하부 몸체(174)를 통해 연장된다. 상기 외부 크레비스(162)는 상기 액추에이터 암(152)보다 커서, 상기 암이 회전할 때 상기 외부 크레비스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한다. 상기 롤 핀(roll pin)(170)은 상기 액추에이터 암(152)과 외부 크레비스(162)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피봇 스위치(94)의 내부로 연장된다. 상기 롤 핀(170)은 상기 액추에이터 암(152)에 고정된 상태로 부착되어 상기 액추에이터 암의 회전운동은 핀을 이동시키고 상기 핀은 상기 피봇 스위치를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롤 핀은 상기 외부 크레비스내부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어 상기 핀은 자유 운동범위(free range of movement)를 가진다.
상기 외부 크레비스(162), 상부 브래킷(164) 및 하부 브래킷(166)은 상기 피봇 스위치(94)에 가해지는 응력으로부터 상기 액추에이터 암(152)을 보호한다. 상기 외부 크레비스(162)에 의해 상기 피봇 스위치는 상기 크레비스 주위에서 피봇회전하지만 상기 상기 피봇 스위치가 상기 액추에이터 암을 손상시킬 수 있는 직선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용시, 상기 액추에이터 모터(154)에 에너지가 공급되어 상기 액추에이터 암(152)을 회전시키고 상기 피봇 스위치는 개방위치로 회전한다. 다음번 통과하는 캠 종동자는 상기 피봇 스위치에 의해 포착되고 하역 스테이션 경로로 전환된다. 상기 캠 종동자가 포착된 후에, 액추에이터 모터(154)에 대한 동력공급은 중지되고 내부 코일 스프링이 상기 피봇 스위치를 폐쇄 위치로 편향시킨다. 그러나 상기 캠 종동자가 상기 피봇 스위치 길이를 따라 운동하는 동안 휠의 하중은 상기 스위치를 개방위치로 유지시킬 것이다. 일단 캠 종동자가 상기 피봇위치의 하류 위치로 통과하면, 상기 피봇 스위치는 상기 내부 코일 스프링의 편향작용에 의해 폐쇄위치로 회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스위치가 갑자기 개방상태로 유지되고 다음번 통과 캠종동자를 포착하여 연속효과(cascade effect)를 개시하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도, 상기 피봇 스위치는 가장 짧은 지속 시간동안 개방위치에 유지되어 상기 분류기 컨베이어의 속도는 종래기술의 설계보다 증가될 수 있다. 피봇 스위치의 동력을 감소시켜서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면, 캠 종동자가 액추에이터 암으로부터 빠져나오거나 상기 캠 종동자가 하역 스테이션으로 들어가지도 않고 피봇 스위치로 건너뛰는 경우와 같이 돌발적인 포착(captures)작용이 제거된다. 종래기술의 설계들은, 상기 피봇 스위치를 폐쇄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피봇 스위치를 따라 이동하는 캠 종동자에 의존했다.
상기 운반 트레이(40)가 기울어지고 운반 트레이에 의해 운반되는 포장물이 하역 스테이션(18)으로 방출된 후에, 상기 운반 트레이는 푸시업 기구(110)에 의해 정상 직립위치로 다시 방향설정된다. 도 10 및 도 10A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듯이, 상기 푸시업 기구(110)는 각각의 하역 스테이션(18)과 관련되고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하역 스테이션(18)과 근접한 위치에서 하역 스테이션의 하류위치에 상기 트랙(12) 아래에 배열된다. 각각의 푸시업 기구(110)는 상기 하역 스테이션(18)과 근접한 위치에서 레일(14) 아래에 하강 램프(112)를 포함한다. 상기 푸시업 기구(110)는 또한, 풀다운 작동 암(82)위에서 캠 종동자(88)와 연결되고 상기 캠 종동자(88)를 상기 하강 램프(112)속으로 향하게 하는 쐐기형상의 프로그(frog)(114)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114)는 상기 트랙(12) 아래로 충분히 낮게 배열되어 상기 캠 종동자(88)들이 상기 풀다운 기구(90)에 의해 아래로 끌어당겨질 때에만 상기 하강 램프(112)에 연결되고 향한다. 상기 캠 종동자(88)가 상기 하강 램프(112)를 향할 때, 액추에이터 암(82)은 약간 외측을 향해 피봇운동하여 상기 구속 플랜지(122)의 외측 변부(123)는 경사진 위치 구속 채널(channel)(127)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구속 플랜지(122)가 상기 미끄럼 표면(130)위에서 미끄럼 운동한 후에 상기 액추에이터 암(82)을 용이하게 사실상 수직 배열로 돌아가게 끌어 당겨지도록 상기 하강 램프(112)의 상부는 내부를 향하는 섹션(116)을 포함한다.
다시 경사 기구(80)의 구속 구조체(120)와 관련하여, 도 7 및 도 7A를 참고할 때, 상기 구속 구조체(120)는 한 쌍의 구속 플랜지(122), 상기 액추에이터 암(82)에 각각 한 개씩 장착된 한 쌍의 구속 블록(124) 및 상기 액추에이터 암(82)을 구속위치를 향해 내부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부재(134)를 포함한다. 상기 구속 플랜지(122)들이 또한 트레일러 프레임 구조체(22)에 장착될지라도 상기 구속 플랜지(122)들은 상기 지지 장치(50)의 하부 지지 구조체(58)의 양쪽 측부들로부터 횡 방향으로 연장된다. 공개된 실시예에서, 상기 구속 플랜지(122)는 일반적으로 외측 변부들에 장착된 롤러(123)들을 가진 평면의 강 플레이트(steel plates)들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123)들은 제거되고, 롤러가 없는 구속 플랜지(122)들의 외측 변부들이 용이하게 미끄럼 운동할 수 있는 저마찰 재료에 의해 구속 블록(124)들이 제조될 수 있다.
각각의 구속 블록(124)은 액추에이터 암(82)의 내부 표면(82a)에 장착되고 일반적으로 볼록한 외부표면을 가진 캠 섹션(cammed section)(130)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구속 채널(126,134)들을 포함한다. 상기 운반 트레이(40)가 직립위치에 배열될 때, 두 개의 구속채널들 중 하부에 위치한 구속채널(126)은 횡 방향 구속 플랜지(122)의 외측 변부에서 롤러(123)를 수용한다. 상기 운반 트레이(40)가 경사위치에 배열될 때, 두 개의 구속채널들 중 하부에 위치한 구속채널(134)은 롤러(123)를 수용한다. 상기 운반 트레이(40)가 하나의 위치로부터 다른 하나의 위치로 기울어질 때, 상기 롤러(123)들은 상기 두 개의 구속 채널(126,134)들사이에 삽입된 캠 섹션(130)위로 구름 운동한다. 상기 구속 블록(124)들은, 다른 재료들이 이용될 수 있더라도 플라스틱과 같은 내마모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선호된다. 스프링(134)으로 구성될 수 있는 편향 부재는, 상기 두 개의 구속 채널(126,134)들 중 한 개에 상기 구속 플랜지(122)를 배열하여 상기 구속 구조체(120)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 암(82)을 내부로 끌어당긴다.
풀다운 기구(90)에 의해 상기 운반 트레이(40)가 기울어지는 동안, 상기 캠 종동자(88)가 피봇 스위치(94)에 의해 포착되고 하강 램프(92)를 향할 때, 아래로 끌어당겨지는 액추에이터 암(82)은 상기 피봇 축(86)에서 약간 외측을 향해 피봇회전된다. 상기 액추에이터 암(82)이 외측으로 피봇 회전하면, 직립위치의 구속 채널(126)은 상기 구속 플랜지(122)로부터 분리된다. 다음에 상기 캠 종동자(88)가 하강 램프(92)에 의해 아래로 끌어 당겨질 때 상기 구속 플랜지(122)는 상기 캠 섹션(130)위에서 상부를 향해 구름 운동한다. 상기 구속 블록(124)의 캠 섹션(130)이 곡선의 볼록한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액추에이터 암(82)은 아래로 끌어 당겨질 때 사실상 수직으로 유지된다. 그 결과 캠 종동자(88)가 상기 풀다운 기구(90)의 하강 램프(92)로부터 벗어나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휠이 상기 하강 램프(92)를 빠져나가고 운반 트레이(40)는 완전히 경사진 위치에 도달할 때 구속 플랜지(122)는 경사위치의 구속 채널(134)내에 배열된다. 상기 운반 트레이(40)가 완전히 경사진 위치로 기울어지는 정도는 상기 구속 블록(124)과 풀다운 기구(90)의 구조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그러나 공개된 실시예에서, 상기 운반 트레이(40)는 완전히 경사진 위치에서 수평으로부터 약 37.5도 만큼 기울어진다.
상기 컨베이어 카트(20)가 상기 하역 스테이션(18)을 지나 이동할 때 상기 편향 부재(134)는 경사진 위치의 구속 채널(134)과 구속 플랜지(122)를 함께 고정시키고 경사진 위치에 상기 운반 트레이(40)를 안정시킨다. 다음에, 아래로 끌어당겨지는 액추에이터 암(82)이 푸시업 기구에 도달할 때 상기 액추에이터 암(82)은 상기 캠 종동자(88)와 연결된 쐐기형상의 프로그(114)에 의해 외부를 향해 피봇회전한다. 상기 외부를 향하는 피봇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구속 플랜지(122)는 상기 경사진 위치의 구속 채널(134)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캠 종동자(88)가 상기 하강 램프(112)를 이동시킬 때, 구속플랜지는 상기 캠 섹션(130)위에서 하향으로 구름운동한다. 상기 하강 램프(112)의 내측을 향하는 상측 단부(116)가 상기 액추에이터 암(82)을 수직방향으로 다시 피봇 회전시킬 때, 상기 구속 플랜지(122)는 직립위치의 구속 채널(126)내에 배열되고 구속플랜지는 편향 부재(134)의 작용에 의해 제위치에 고정된다.
특정 하역 스테이션(18)에서 끌어 당겨지거나 밀어 올려지지 못하는 컨베이어 카트(20)의 반대쪽에 위치한 액추에이터 암(82)은, 부착되는 운반 트레이(40)의 측부에 의해 단지 상승하고 하강한다. 상기 컨베이어 카트(20) 측부에 위치한 구속 플랜지(122)는, 직립위치의 구속 채널(126)아래에서 상기 구속 블록(124)의 평평한 섹션(132)위에서 단순히 구름운동한다.
본 발명을 따르는 포장물 분류 컨베이어(10)에 관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선택적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컨베이어 카트(20)는 아래로 각을 형성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컨베이어 운동라인(64)과 평행한 피봇축을 가진 지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운반 트레이(40)의 경사운동은 단지 단일 축 방향 성분을 가지고 상기 컨베이어 운동라인(64)과 평행한 수평축에서 횡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과거에 단일 축 횡 방향 기울어짐(single- axis lateral tipping) 운동을 가지는 포장물 분류 컨베이어들이 설계되는 반면에, 상기 컨베이어들은 수직방향을 향하고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210), 히치 기구(32), 보조 카트 커넥터(34) 및 관련 부품들을 가진 기울어지는 기구(80)와 같이 본 발명의 분류 컨베이어(10)를 구성하는 다른 특징들을 포함하지 못한다. 그러나 단일 축을 가지고 기울어질 수 있는 카트가 많은 적용예들에서 충분할 것이다.
상기 단일 축 컨베이어 카트들은 주로, 두 개이상의 근접한 컨베이어 카트(20)들에 의해 운반되어야 하는 특히 대형 포장물들을 분류하기 위해 이용되는 본 발명의 포장물 분류 컨베이어(10)에 포함된다. 이 경우, 상기 카트들이 포장물을 방출하기 위해 하역 스테이션에 도달할 때 인접한 카트들의 트레이들은 동시에 기울어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성은, 각 카트를 위한 하역 스테이션과 근접한 위치에서 풀다운 기구 및 특히 넓은 유출 슈트가 동시에 기울어지는 것을 요구한다.
단일 축 컨베이어 카트들이 특히 대형 포장물들을 분류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은, 운반 트레이(40)들이 모두 완전히 기울어진 위치에 배열될 때 운반 트레이(40)들이 동일한 공간 평면(spatial plane)에 배열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을 따르는 2축 컨베이어 카트(20)를 이용하여 특히 대형 포장물들을 이중 (또는 삼중 등으로)하역하는 작업이 종종 어려움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중 하역작업을 위해, 단일 축 구조의 컨베이어 카트 실시예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중 하역 작업을 위해 선택적으로 단일 축 컨베이어 카트들을 이용하는 포장물 분류 컨베이어(10)의 몇 가지 구조들이 이용될 수 있다. 선호되는 구조는, 단일 대형 포장물을 운반하기 위해 인접한 두 개의 단일 축 카트들을 포함한다. 제 2 구조는, 선두 2축(leading two- axis) 컨베이어 카트(20) 및 후미 단일 축(trailing single- axis) 카트를 포함한다. 제 3 구조는 선두 단일 축 컨베이어 카트 및 후미 2축 컨베이어 카트(20)를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포장물 분류 컨베이어(10)는 특수 시설의 운반 및 분류요건에 따라 서로 산재된(interspersed) 단일 축 컨베이어 카트들 및 2 축 컨베이어 카트(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따르는 마주보는 모터 롤러 조립체(210)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212,212'), 한 쌍의 마주보는 구동 롤러 조립체(214,214')들 및 한 쌍의 모터 조립체(216,216')들을 포함한다. 제 2 구동 롤러 조립체(214')는, 상기 컨베이어 카트(20)의 핀(36)상에서 제 1 구동 롤러(214)와 관련하여 압력을 발생시키는 마주보는 표면(220)을 제공한다.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마주보는 모터 롤러 조립체(210) 및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300)는 일반적으로 상기 롤러들의 운동을 구속(tie)한다. 예를 들어, 한 개의 롤러가 상기 핀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근접하여 운동할 때 마주보는 롤러는 롤러들의 운동을 반영(mirror)한다. 따라서, 구동 롤러들은 자동 센터링(self-centering)하도록 각 측부로부터 동시에 상기 핀과 접촉한다. 전형적으로, 마주보는 모터 롤러 조립체(210)는, 구동 롤러의 위치설정을 위해 제 1 피봇 블록 조립체(330) 및 제 2 피봇 블록 조립체(330')(도 13을 참고)와 연결되는 캔틸레버구조의 구동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조립체(216,216') 쌍은 각각의 피봇 블록 조립체(330,330')에 장착되고 예를 들어, 구동 벨트(262,262')들에 의해 모터 조립체(216,216')들과 연결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300)는 일반적으로 기저부에 고정되고 상기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300)에 대해 센터링된 위치주위에 상기 피봇 블록 조립체를 위치설정하기 위해 자동 인장 클램프 판 용접부(self- tension clamp plate weldment)(310)를 포함한다.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300)는 일반적으로 상기 핀과 수직 접촉상태로 상기 마주보는 모터 조립체(210)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300)는, 상기 핀이 하나의 구동 롤러로부터 다른 구동 롤러로 이동할 때 비틀림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한다. 또한,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300)는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핀 및 해당 안내 휠에 대해 각각의 구동 롤러를 중립위치로 유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안내 휠들은 각 구동 롤러의 반응 압력을 형성하지 않는다.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레버 암(346)은 두 개의 피봇 블록 조립체의 조정을 위하여 자동 인장 클램프 판 용접부(310)에 연결된다. 설명과 같이, 레버 암(346)은 제 1 피봇 블록 조립체(330) 및 제 2 피봇 블록 조립체(330')를 모두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피봇 블록 조립체(330) 및 제 2 피봇 블록 조립체(330')는 예를 들어, 상기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30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각각의 피봇 블록 조립체의 운동은 센터링된 위치 주위에서 마주보는 피봇 블록 조립체의 운동을 반영한다.
도 13은, 상기 제 1 피봇 블록 조립체(330) 및 제 2 피봇 블록 조립체(330')에 연결되고 단독의 마주보는 모터 롤러 조립체(21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제 1 피봇 블록 조립체(330) 및 제 2 피봇 블록 조립체(330')는 상기 핀의 한 표면과 근접한 위치에서 구동 롤러(210)의 위치를 설정한다. 지지 프레임 쌍과 기저부는 컨베이어 트랙(12)( 트랙(12)과 기저부(222)를 위해 도 1 또는 도 3을 참고한다) 및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300)에 부착된다. 전형적으로,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300)는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예를 들어, 구동 클램프 플레이트(310)와 같은 용접부를 통해 상기 기저부에 연결된다. 유사하게, 도 13에 소개된 구동 클램프 플레이트(312)와 같은 제 2 용접부는 제 1 피봇 블록 조립체(330) 및/또는 제 2 피봇 블록 조립체(33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피봇 블록 조립체(330,330')는 제 1 축(226,226')들의 전방에서 압축 링키지(compression linkage)(24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압축 링키지(242)의 제 1 단부(244)가 피봇 블록 조립체(330)에 연결되는 반면에, 압축 링키지(242)의 제 2 단부(244')는 피봇 블록 조립체(330')에 연결된다.
도 14는, 전형적으로 피봇 블록 조립체(330,330')를 통과하는 제 2 축(238,238')들을 가진 마주보는 모터 롤러 조립체 실시예를 단독으로 도시한다. 각각의 피봇 블록 조립체(330,330')는 상기 피봇 블록 조립체(330,330')와 가장 근접한 단부에서 마찰 표면(258,258')들을 포함하여, 외부 탄성 표면(256,256')을 포함한 구동벨트들과 연결된다. 또한, 적어도 한 개의 링크가 상기 피봇 블록 조립체(330,330')들 중 한 개에 고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 2 링크가 상기 피봇 블록 조립체(330,330')들 중 다른 한 개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링크(302) 및 제 2 링크(304)는 해당 피봇 블록 조립체(330,330')에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링크(302) 및/또는 제 2 링크(304)는 모터 조정 링크들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추가의 다양한 간헐적인 링키지들을 포함한다.
도 15A는, 작동위치에 있는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300) 및 마주보는 모터 롤러 조립체(210)를 도시한다.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300)는, 일반적으로 피봇 블록 조립체들의 쌍, 즉 제 1 피봇 블록 조립체(330) 및 제 2 피봇 블록 조립체(330')를 서로 정렬된 상태로 배열시키기 위해 제 1 링크(302), 제 2 링크(304(도 15B를 참고) 및 연결 링키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 링키지는 연결 롤러 링크(306)여서, 도 15A에 도시된 것처럼 적어도 한 개의 모터 조정 링크를 제 2 링크에 연결시킨다.
도 15B는, 제 2 정비위치에 있는 한 실시예에서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300) 및 마주보는 모터 롤러 조립체(210)를 도시한다. 여기서 제 1 링크(302), 제 2 링크(304) 및 연결 롤러 링크(306)는 피봇 블록 조립체들과 관련 롤러들의 운동을 서로 구속한다. 제 2 정비 위치에서, 각각의 피봇 블록 조립체는 중심선(centerline)으로부터(즉 작동위치에서 상기 핀 주위에 센터링되는) 근접한 위치에서 동시에 하나의 꽃밥 상태로 미러링(mirroring) 형태로 배열된다.
도 16은,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300)내부에 위치한 특정 요소들을 단독으로 도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300)는, 제 1 링크(302)와 제 2 링크(304)를 자동 센터링(self centering) 운동상태로 연결하기 위해 제 1 링크(302), 제 2 링크(304) 및 연결 롤러 링크(306)를 포함하여 각각의 피봇 블록 조립체의 운동은 다른 피봇 블록 조립체의 운동을 반영한다.
도 17은 또한, 추가의 레버 조립체 부품들을 가진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를 단독으로 도시한다. 여기서, 레버(346)는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에 연결되고 피봇 블록 조립체(330,330')들을 조정하도록 적응된다. 예를 들어, 레버(346)에 의해 시스템은 마주보는 피봇 블록 조립체 주위에서 각각의 피봇 블록 조립체를 반영한다. 전형적으로, 자동 인장 클램프 플레이트( 즉,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것처럼)는 레버(346)를 지지한다. 일부 예들에서 자동 인장 클램프 플레이트는 상기 레버(346)의 근위 단부를 상기 자동 인장 클램프 플레이트(310)에 연결시키는 장착 브라켓트(354)를 포함한다. 레버 리테이너(lever retainer)는, 상기 레버(346)의 원위 처리 단부(distal handling end)를 작동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상기 레버(346)를 상기 자동 인장 클램프 플레이트(3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커플링 암(344)은 레버(346)와 연결 롤러 링크(306)를 캔틸레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조립체(342)는 연결 암(344)과 연결 롤러 링크(306)를 위치설정하고 연결할 수 있다. 스프링 조립체(342)는, 상기 자동 인장 클램프 플레이트(310)에 연결된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롤러 조립체(214,214')들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구조를 가지고 알루미늄 또는 다른 경량 합금으로 제조된다. 구동롤러 조립체들은 약 1/4" 두께를 가진 외부 탄성 표면(256,256')들과 구동 벨트(262,262')들을 상기 표면의 나머지 대부분에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피봇 블록 조립체(330,330')와 가장 가까운 단부에서 마찰 표면(258,258')들을 가진다. 마찰 표면(258)은, 상기 구동 벨트(262)와 짝을 이루는 일련의 원주방향 요홈들인 것이 선호된다. 상기 구동 벨트는 폴리 V- 벨트(poly v- belt)일 수 있다. 외부 탄성 표면(outer elastomeric surface)은 약 60 내지 90의 경도계 값(쇼와(shore) 형태 A)을 가진 폴리우레탄인 것이 선호된다. 적합한 롤러는, 폴리우레탄 예를 들어, 본 적용예에서 롤러들의 내구성과 성능(즉, 미끄럼에 대한 저항)의 균형을 이루기 위한 재료로 제조되고 마주보는 구동 롤러일 수 있다.
도 18은, 상기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300)와 근접한 제동 시스템(400)을 이루는 실시예의 구성요소들을 단독으로 도시한다. 제동 시스템(400)은,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적어도 한 개의 연장 스프링(406)을 가진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300)을 이동가능하게 캔틸레버 지지되거나 유사하게 연결되는 제동 몸체(4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연장 스프링(406)은 적어도 한 개의 리테이너(420)에 의해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300)에 고정된다. 리테이너(420)의 다른 실시예들은, 연장 스프링(406)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크기, 스타일 및 구조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제동 몸체(402)는 추가로 피봇점(41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피봇점을 통해 제동 몸체(402)는 피봇회전 및/또는 제동 작용 동안 스프로켓(422)을 향해 회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동 몸체(402)는 일반적으로 제동 시스템(400)의 접촉 스프로켓(422) 또는 유사한 링키지까지 아래로 피봇회전하거나 유사하게 회전하기 위한 크기와 형상을 가진 포우(paw)(4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솔레노이드(404)는 제동 몸체(402) 예를 들어, 접촉 스프로켓(422)까지 피봇회전운동을 개시하도록 제동몸체(402)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솔레노이드(404)는 예를 들어, 선형 또는 회전식 솔레노이드와 같은 전기 솔레노이드일 수 있다. 긴급제동과정을 포함하지만 국한되지 않는 제동과정에서, 솔레노이드(404)는 전형적으로 예를 들어, 제동몸체(402)의 포우(424)로부터 떨어지고 스프로켓(422)과 연결되어 스프로켓(422)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300)의 제동 시스템(400)은 오직 한 방향으로 라쳇(ratchet) 연결되고 예를 들어, 스프로켓(422)은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오직 시계방향으로 라쳇연결될 수 있어서, 연장된 핀(36)에 대한 그립(grip)을 조이고 운반 시스템의 속도를 감소 및/또는 정지시키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자동 인장 조정 조립체(300)는 상기 연장된 핀(36)에 대한 그립을 이완시킬 수 있는 반대 방향으로 라쳇 연결될 수 없다. 제동시스템(400)의 다른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연장된 핀(36)에 대해 인장 예를 들어, 그립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른 구조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동 시스템(400)은 일반적으로 상기 핀에 대해 압력을 가하기 위해 시계방향 회전을 개시하여 운반 시스템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몸체와 연결되는 링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들은, 스프로켓 및 다른 제동요소들의 시계회전방향이 역전되고 본 발명의 범위와 사상내에서 유지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수의 특징들과 장점들이 구조와 기능에 관한 세부사항들과 함께 앞서 설명되었다. 다수의 신규한 특징들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설명된다. 그러나 상기 공개내용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공개내용의 원리에 따라 일반적인 청구내용을 표시하는 용어들의 일반적이고 폭넓은 의미로 표시되는 정도로 특히 부품들의 형상, 크기 및 배열과 관련하여 세부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이용되는 것처럼 "한(a, an)" 및 "상기(the)"는, 하나의 지시대상으로 명백하고 명확하게 한정되지 않는다면 복수 개의 지시대상들을 포함한다.
상기 설명을 검토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어떤 수정 및 개선이 만들어질 것이다. 예를 들어, 기어 조립체, 예를 들어, 하나의 피봇 블록 조립체에 위치한 기어 및 다른 하나의 피봇 블록 조립체에 위치한 마주보는 기어는 본 공개내용에 언급된 링키지로 교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조립체는 피봇 블록 조립체들이 서로 결합되도록 적응될 수 있고 각 피봇 블록 조립체의 운동이 다른 하나의 피봇 블록 조립체의 운동을 반영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상기 모든 수정과 개선은 명확한 이해를 위해 생략될 수 있지만 하기 청구범위에 속한다.

11....포장물,
10....분류 컨베이어,
12....컨베이어 트랙,
20....카트,
70....롤러 모터 조립체
52....상부 지지 구조체,
54....전방 지지 부재,
56....후방 지지 부재,
58....하부 지지 구조체,
64....컨베이어 운동라인,
68....액슬,
22....트레일러 프레임,
60....피봇 구조체.

Claims (98)

  1. 대상물을 운반하고 컨베이어와 근접한 한 개이상의 하역 스테이션에서 대상물을 하역하기 위한 분류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분류 컨베이어는
    (a) 컨베이어 트랙,
    (b) 끝과 끝이 연결되는 컨베이어 카트들의 트레인, 및
    (c) 상기 컨베이어 트랙상에서 상기 컨베이어 카트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는 하나의 피봇 블록 조립체 및 다른 하나의 피봇 블록 조립체와 연결되고 캔틸레버 지지된 구동 롤러를 포함하여 구동 롤러를 위치설정하며, 인장 조정 조립체가 상기 피봇 블록 조립체들을 서로 결합시키고 각각의 피봇 블록 조립체의 운동이 다른 피봇 블록 조립체의 운동을 반영하도록 적응되며,
    (d) 각각의 컨베이어 카트들은,
    (i) 상기 컨베이어 트랙을 연결하기 위한 롤러 구조체, 이격된 피동 부재들과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에 응답하는 피동 부재 및 각각의 컨베이어 카트를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에 연결시키기 위한 히치 기구를 포함한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를 포함하고,
    (ii) 상기 대상물들을 고정하기 위한 운반 트레이, 및
    (iii)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상에서 상기 운반 트레이를 지지하고 상기 컨베이어의 적어도 한쪽 측부를 향해 상기 운반 트레이의 기울어짐을 허용하여 상기 컨베이어의 적어도 한쪽 측부에서 대상물을 하역 스테이션으로 하역하기 위한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장치는 상기 운반 트레이에 연결되는 상부 지지 구조체,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에 연결된 하부 지지 구조체, 피봇 축을 따라 상부 지지 구조체를 하부 지지 구조체에 연결하는 피봇 구조체 및 상기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에서 상기 운반 트레이를 기울여서 상기 컨베이어와 근접한 하역 스테이션들 중 한 개에 대상물들을 하역하기 위한 기울어지는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기울어지는 기구는 상기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장치의 마주보는 측부들에서 상기 운반 트레이에 부착된 한 쌍의 작동 암들 및 상기 운반 트레이의 한쪽 측부를 기울어진 위치를 향해 하향으로 끌어당기기 위해 상기 작동 암들 중 한 개를 선택적으로 끌어당기기 위하여 각각의 하역 스테이션에 연결된 풀다운 기구를 포함하며, 각각의 작동 암은 상기 작동 암의 하측 단부에 캠 종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풀다운 기구는 상기 컨베이어 트랙과 근접한 하강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하강 램프속으로 선택된 작동 암의 캠 종동자를 향하게 하며 횡 방향으로 피봇회전하는 피봇 스위치를 포함하며 선택된 캠 종동자를 포착하고 상기 캠 종동자를 상기 하강 램프속으로 향하게 하기 위해 상기 횡 방향 피봇 스위치를 개방하고 상기 캠 종동자를 포착한 후에 상기 횡 방향 피봇 스위치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횡 방향 피봇 스위치에 연결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기울어지는 기구는 상기 작동 암들 중 한 개를 아래로 끌어당길 때 기울어진 위치에 상기 운반 트레이를 구속하고 상기 작동 암을 위로 밀어올릴 때 직립 위치에 상기 운반 트레이를 구속하기 위한 구속 구조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암들은 각각 상기 운반 트레이 아래에서 상기 운반 트레이에 피봇회전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암들의 피봇축들은 상기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의 피봇 축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암들은 상기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의 상부 지지 구조체에 피봇회전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구조체의 피봇 축은 상기 컨베이어 운동 라인과 평행한 수직 평면에 배열되고, 상기 운반 트레이를 기울이기 위해 상기 작동 암들을 아래로 끌어당기고 밀어 올리는 동안 상기 작동 암들은 상기 컨베이어 운동 라인과 평행한 수직평면과 사실상 평행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구조체는,
    (a) 상기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의 마주보는 측부들에서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구속 플랜지들,
    (b) 상기 작동 암들의 내부 표면들에 장착되는 한 쌍의 구속 블록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구속 블록은 상기 구속 플랜지들을 수용하는 구속 채널들을 가지며,
    (c) 각각의 상기 구속 플랜지를 상기 구속 채널들 중 한 개속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작동 암들을 서로를 향해 편향시고 양쪽 작동암들에 부착되는 편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8. 제 7 항에 있어서, 각각의 구속 블록은 상기 운반 트레이의 기울어진 위치와 관련된 구속 채널을 포함하고, 각각의 구속 블록은 상기 운반 트레이의 직립위치와 관련된 구속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9. 제 8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구속 플랜지는 구속 플랜지의 외측 단부에 장착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10. 제 9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구속 블록은 상기 구속 채널들사이에 캠 섹션(cammed section)을 포함하고 상기 캠 섹션상에서 상기 구속 플랜지의 외측 변부상에 배열된 상기 롤러들은 상기 캠 섹션 위에서 구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트랙은 두 개의 평행한 레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는, 상기 컨베이어 운동라인과 평행한 두 개의 평행한 레일들사이에서 연장되는 종 방향 기저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의 피동 부재는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운동라인으로 이동하는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 및 금속 핀은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아래에서 수직으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핀은, 후방으로 각을 형성하는 전방 및 후방 변부들과 일반적으로 평행사변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는, 상기 구동 롤러의 기계적 하중을 오프셋하기 위해 적어도 한 개의 마주보는 표면과 적어도 한 개의 구동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치 기구는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의 전방 단부에 위치한 전방 히치,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의 후방 단부에 위치한 후방 히치 및 하나의 컨베이어 카트의 전방 히치를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의 후방 히치와 연결시키기 위한 히치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히치는 상기 후방 히치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는, 상기 히치 기구의 고장시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컨베이어 카트를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에 연결시키기 위한 보조 카트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카트 커넥터는 한쪽 단부에서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 단부에서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의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와 연결되며 전기전도성을 가진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컨베이어는 적어도 한 개의 단일 축 컨베이어 카트를 포함하고 상기 단일 축 컨베이어 카트는 상기 컨베이어 운동라인과 평행하게 배열된 수평 피봇 축을 가지고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2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a)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가진 액추에이터 암을 포함하고, 상기 피봇 스위치는 상기 액추에이터 암의 상기 제 1 단부에 연결되며,
    (b) 상기 액추에이터 암의 제 2 단부에 부착된 양방향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양방향 액추에이터는 상기 횡 방향 피봇 스위치를 회전시켜서 상기 캠 종동자를 연결하고 선택된 액추에이터 암의 상기 캠 종동자를 상기 하강 램프속으로 향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액추에이터는 상기 피봇 스위치를 상기 폐쇄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 암의 제 2 단부에 부착된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암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 암 주위에서 공축을 이루며 배열된 외부 크레비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암은 상기 액추에이터 암을 상기 피봇 스위치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 암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롤 핀(roll pin)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크레비스는 구멍을 가지며, 상기 구멍은 롤핀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상기 피봇 스위치속으로 연장되는 것을 허용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액추에이터는 브러쉬(brusch)없는 토크 액추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된 피동 부재는 수직으로 중첩된 변부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28. 대상물을 전달하고 분류 컨베이어와 근접한 위치에서 한 개이상의 하역 스테이션에 대상물을 하역하기 위한 분류 컨베이어를 위한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로서, 상기 분류 컨베이어는 컨베이어 트랙 및 끝과 끝이 연결되는 컨베이어 카트들의 트레인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컨베이어 카트들은 (i) 상기 컨베이어 트랙과 결합하기 위한 롤러 구조체, 수직으로 중첩된 변부들을 가지고 이격된 피동 부재들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에 응답하는 연장된 핀 피동 부재 및 각각의 컨베이어 카트를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에 연결하기 위한 히치 기구를 포함하는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 (ii) 상기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한 운반 수단 및 (iii) 대상물을 상기 컨베이어의 적어도 한 개의 측부에서 하역 스테이션에 하역하기 위한 하역수단을 가지며,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는
    (a) 모터,
    (b) 상기 모터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 트랙에 부착되는 지지 프레임,
    (c) 적어도 한 개의 캔틸레버 지지된 구동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캔틸레버 지지된 구동 롤러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연장된 핀 피동 부재의 표면과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구동 롤러를 위치 설정하도록 적응된 한 개의 피봇 블록 조립체와 또 다른 피봇 블록 조립체에 연결되며, 상기 피봇 블록 조립체들은, (i) 상기 피봇 블록 조립체들 중 한 개에 고정된 적어도 한 개의 모터 조정 링크, (ii) 상기 다른 하나의 피봇 블록 조립체에 고정된 제 2 링크 및 (iii)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모터 조정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를 연결하는 연결 롤러 링크를 포함한 인장 조정 조립체와 함께 연결되며,
    (d) 상기 구동 롤러의 기계적 하중을 오프셋하기 위해 상기 연장된 핀 피동 부재의 다른 한 표면과 근접한 마주보는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컨베이어 트랙 및 상기 인장 조정 조립체에 부착된 기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조정 조립체는 상기 기저부에 연결되는 구동 클램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조정 조립체에 연결되고 상기 피봇 블록 조립체를 조정하도록 적응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
  32. 제 31 항에 있어서, 각 피봇 블록 조립체의 운동이 다른 피봇 블록 조립체의 운동을 반영하도록 상기 레버가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조정 조립체는 상기 레버를 지지하기 위한 자동 인장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인장 클램프 플레이트는, 상기 레버의 근위 단부를 상기 자동 인장 클램프 플레이트에 연결하는 장착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원위 처리 단부를 작동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상기 자동 인장 클램프 플레이트에 고정된 레버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
  36.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와 상기 연결 롤러 링크를 연결하는 연결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암과 상기 연결 롤러 링크사이에서 스프링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
  38.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롤러 조립체는 상기 연장된 핀을 마찰연결하기 위한 외부의 탄성 표면을 가진 원통형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표면은 폴리우레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약 70 내지 약 80의 쇼와 A 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
  4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크는 모터 조정 링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
  42.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조립체는 회전식 모터 및 상기 모터와 상기 구동 롤러를 연결하는 구동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롤러는 상기 구동 벨트를 수용하기 위한 마찰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
  43.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롤러의 기계적 부하를 오프셋하기 위한 연장된 핀의 피동부재의 다른 표면과 근접하게 배열된 상기 마주보는 표면은 제 2 구동 롤러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 롤러 조립체는 제 2 모터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
  45. 제 28 항에 있어서, 제동작용시 상기 연장된 핀의 피동 부재와 상기 구동 롤러의 연결상태를 유지하도록 적응된 제동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조립체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피봇 블록 조립체와 근접하게 배열되고 적어도 한 개의 포우 원위 단부를 가진 제동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몸체와 상기 적어도 한 개의 피봇 블록 조립체를 연결하는 연장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
  48.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조립체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피봇 블록 조립체와 연결된 스프로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포우 원위 단부는 상기 스프로켓과 라쳇연결가능하고 짝을 이루는 접촉상태로 피봇회전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라쳇 연결가능하고 짝을 이루는 접촉은 상기 스프로켓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
  51. 대상물을 운반하고 컨베이어와 근접한 한 개이상의 하역 스테이션에서 대상물을 하역하기 위한 분류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분류 컨베이어는
    (a) 컨베이어 트랙,
    (b) 끝과 끝이 연결되는 컨베이어 카트들의 트레인, 및
    (c) 상기 컨베이어 트랙상에서 상기 컨베이어 카트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는
    (i)모터,
    (ii) 상기 모터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 트랙에 부착되는 지지 프레임,
    (iii) 연장된 핀 피동 부재의 한 표면과 근접한 위치에 구동 롤러를 위치 설정하도록 적응된 상기 모터, 하나의 피봇 블록 조립체 및 다른 하나의 피봇 블록 조립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한 개의 캔틸레버 지지된 구동 롤러를 포함하고, 인장 조정 조립체가 상기 피봇 블록 조립체들을 서로 연결시키고, 상기 인장 조정 조립체는, (i) 상기 피봇 블록 조립체들 중 한 개에 고정된 적어도 한 개의 모터 조정 링크, (ii) 상기 다른 하나의 피봇 블록 조립체에 고정된 제 2 링크 및 (iii)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모터 조정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를 연결하는 연결 롤러 링크를 포함하며,
    (iv) 상기 구동 롤러의 기계적 하중을 오프셋하기 위해 상기 연장된 핀 피동 부재의 다른 한 표면과 근접한 마주보는 표면을 포함하고,
    (d) 각각의 컨베이어 카트들은,
    (i) 상기 컨베이어 트랙을 연결하기 위한 롤러 구조체,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에 응답하는 피동 부재 및 각각의 컨베이어 카트를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에 연결하기 위한 히치 기구를 포함한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를 포함하고,
    (ii) 상기 대상물들을 고정하기 위한 운반 트레이, 및
    (iii) 컨베이어의 적어도 한쪽 측부에서 대상물을 하역 스테이션에 하역하기 위해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상에서 상기 운반 트레이를 지지하고 상기 컨베이어의 적어도 한쪽 측부를 향해 상기 운반 트레이의 기울어짐을 허용하여 상기 컨베이어의 적어도 한쪽 측부에서 대상물을 하역 스테이션으로 하역하기 위한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를 포함하며, 기울어지는 기구는 상기 운반 트레이에 연결되는 상부 지지 구조체,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에 연결된 하부 지지 구조체, 피봇 축을 따라 상부 지지 구조체를 하부 지지 구조체에 연결하는 피봇 구조체 및 상기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에서 상기 운반 트레이를 기울여서 상기 컨베이어와 근접한 하역 스테이션들 중 한 개에 대상물들을 하역하기 위한 기울어지는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기울어지는 기구는 상기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장치의 마주보는 측부들에서 상기 운반 트레이에 부착된 한 쌍의 작동암들 및 상기 운반 트레이의 한쪽 측부를 기울어진 위치를 향해 하향으로 끌어당기기 위해 상기 작동암들 중 한 개를 선택적으로 끌어당기기 위하여 각각의 하역 스테이션에 연결된 풀다운 기구를 포함하며, 각각의 작동 암은 상기 작동 암의 하측단부에 캠 종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풀다운 기구는 상기 컨베이어 트랙과 근접한 하강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하강 램프속으로 선택된 작동 암의 캠 종동자를 향하게 하며 횡 방향으로 피봇회전하는 피봇 스위치를 포함하며 선택된 캠 종동자를 포착하고 상기 캠 종동자를 상기 하강 램프속으로 향하게 하기 위해 상기 횡 방향 피봇 스위치를 개방하고 상기 캠 종동자를 포착한 후에 상기 횡 방향 피봇 스위치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횡 방향 피봇 스위치에 연결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기울어지는 기구는 상기 작동 암들 중 한 개를 아래로 끌어당길 때 기울어진 위치에 상기 운반 트레이를 구속하고 상기 작동 암을 위로 밀어올릴 때 직립 위치에 상기 운반 트레이를 구속하기 위한 구속 구조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암들은 각각 상기 운반 트레이 아래에서 상기 운반 트레이에 피봇회전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암들의 피봇축들은 상기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의 피봇 축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54.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암들은 상기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의 상부 지지 구조체에 피봇회전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55.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구조체의 피봇 축은 상기 컨베이어 운동 라인과 평행한 수직 평면에 배열되고, 상기 운반 트레이를 기울이기 위해 상기 작동 암들을 아래로 끌어당기고 밀어 올리는 동안 상기 작동 암들은 상기 컨베이어 운동 라인과 평행한 수직평면과 사실상 평행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56.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구조체는,
    (a) 상기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의 마주보는 측부들에서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구속 플랜지들,
    (b) 상기 작동 암들의 내부 표면들에 장착되는 한 쌍의 구속 블록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구속 블록은 상기 구속 플랜지들을 수용하는 구속 채널들을 가지며,
    (c) 각각의 상기 구속 플랜지를 상기 구속 채널들 중 한 개속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작동 암들을 서로를 향해 편향시고 양쪽 작동 암들에 부착되는 편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57. 제 56 항에 있어서, 각각의 구속 블록은 상기 운반 트레이의 기울어진 위치와 관련된 구속 채널을 포함하고, 각각의 구속 블록은 상기 운반 트레이의 직립위치와 관련된 구속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58. 제 5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구속 플랜지는 구속 플랜지의 외측 변부에 장착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59. 제 58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구속 블록은 상기 구속 채널들사이에 캠 섹션(cammed section)을 포함하고 상기 캠섹션상에서 상기 구속 플랜지의 외측 변부상에 배열된 상기 롤러들은 상기 캠섹션 위에서 구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60.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트랙은 두 개의 평행한 레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6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는, 상기 컨베이어 운동라인과 평행한 두 개의 평행한 레일들사이에서 연장되는 종 방향 기저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의 피동 부재는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운동라인으로 이동하는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63.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 및 금속 핀은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아래에서 수직으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64.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핀은, 후방으로 각을 형성하는 전방 및 후방 변부들과 일반적으로 평행사변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65.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주보는 롤러 모터 조립체는, 상기 구동 롤러의 기계적 하중을 오프셋하기 위해 적어도 한 개의 마주보는 표면과 적어도 한 개의 구동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66.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히치 기구는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의 전방단부에 위치한 전방 히치,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의 후방 단부에 위치한 후방 히치 및 하나의 컨베이어 카트의 전방 히치를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의 후방 히치와 연결시키기 위한 히치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67.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히치는 상기 후방 히치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68.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는, 상기 히치 기구의 고장시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컨베이어 카트를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에 연결시키기 위한 보조 카트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69.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카트 커넥터는 한쪽 단부에서 상기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 단부에서 인접한 컨베이어 카트의 트레일러 프레임 기저부와 연결되며 전기전도성을 가진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70.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컨베이어는 적어도 한 개의 단일 축 컨베이어 카트를 포함하고 상기 단일 축 컨베이어 카트는 상기 컨베이어 운동라인과 평행하게 배열된 수평 피봇 축을 가지고 기울어질 수 있는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71.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a)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가진 액추에이터 암을 포함하고, 상기 피봇 스위치는 상기 액추에이터 암의 상기 제 1 단부에 연결되며,
    (b) 상기 액추에이터 암의 제 2 단부에 부착된 양방향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양방향 액추에이터는 상기 횡방향 피봇 스위치를 회전시켜서 상기 캠 종동자를 연결하고 선택된 액추에이터 암의 상기 캠 종동자를 상기 하강 램프속으로 향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72. 제 7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액추에이터는 상기 피봇 스위치를 상기 폐쇄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 암의 제 2 단부에 부착된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73. 제 7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암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 암 주위에서 공축을 이루며 배열된 외부 크레비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74.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암은 상기 액추에이터 암을 상기 피봇 스위치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 암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롤 핀(roll pin)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크레비스는 구멍을 가지며, 상기 구멍은 롤핀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상기 피봇 스위치속으로 연장되는 것을 허용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75. 제 7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액추에이터는 브러쉬(brusch)없는 토크 액추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76. 제 7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없는 토크 액추에이터가 히트싱크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77.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컨베이어 트랙 및 상기 인장 조정 조립체에 부착된 기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78. 제 7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조정 조립체는 상기 기저부에 연결되는 구동 클램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79.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조정 조립체에 연결되고 상기 피봇 블록 조립체를 조정하도록 적응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80. 제 79 항에 있어서, 각 피봇 블록 조립체의 운동이 다른 피봇 블록 조립체의 운동을 반영하도록 상기 레버가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81. 제 7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조정 조립체는 상기 레버를 지지하기 위한 자동 인장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82. 제 8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인장 클램프 플레이트는, 상기 레버의 근위 단부를 상기 자동 인장 클램프 플레이트에 연결하는 장착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83. 제 8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원위 처리 단부를 작동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상기 자동 인장 클램프 플레이트에 고정된 레버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84. 제 79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와 상기 연결 롤러 링크를 연결하는 연결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85. 제 8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암과 상기 연결 롤러 링크사이에서 스프링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86.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롤러 조립체는 연장된 핀을 마찰연결하기 위한 외부의 탄성 표면을 가진 원통형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87. 제 8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표면은 폴리우레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88. 제 87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약 70 내지 약 80의 쇼와 A 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89.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크는 조정 링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90.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조립체는 회전식 모터 및 상기 모터와 상기 구동 롤러를 연결하는 구동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롤러는 상기 구동 벨트를 수용하기 위한 마찰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91.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롤러의 기계적 부하를 오프셋하기 위한 연장된 핀의 피동부재의 다른 표면과 근접하게 배열된 상기 마주보는 표면은 제 2 구동 롤러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92.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 롤러 조립체는 제 2 모터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93. 제 51 항에 있어서, 제동작용시 연장된 핀 피동 부재와 상기 구동 롤러의 연결상태를 유지하도록 적응된 제동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94. 제 93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조립체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피봇 블록 조립체와 근접하게 배열되고 적어도 한 개의 포우 원위 단부를 가진 제동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95. 제 94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몸체와 상기 적어도 한 개의 피봇 블록 조립체를 연결하는 연장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96. 제 94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조립체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피봇 블록 조립체와 연결된 스프로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97. 제 9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포우 원위 단부는 상기 스프로켓과 라쳇연결가능하고 짝을 이루는 접촉상태로 피봇회전하도록 적응되고, 상기 스프로켓은 상기 포우의 원위 단부를 한 방향으로 라쳇 연결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98. 제 97 항에 있어서, 상기 라쳇 연결가능하고 짝을 이루는 접촉은 상기 스프로켓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컨베이어.
KR1020147029490A 2012-03-26 2013-03-26 개선된 마찰 구동 모터 조립체를 가진 고효율 분류컨베이어 KR1021364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429,637 US8851267B2 (en) 2012-03-26 2012-03-26 High efficiency sorting conveyor with improved friction drive motor assembly
US13/429,637 2012-03-26
PCT/US2013/033862 WO2013148670A1 (en) 2012-03-26 2013-03-26 High efficiency sorting conveyor with improved friction drive mot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092A KR20150006092A (ko) 2015-01-15
KR102136430B1 true KR102136430B1 (ko) 2020-07-22

Family

ID=49210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490A KR102136430B1 (ko) 2012-03-26 2013-03-26 개선된 마찰 구동 모터 조립체를 가진 고효율 분류컨베이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851267B2 (ko)
KR (1) KR102136430B1 (ko)
CN (1) CN104203778B (ko)
WO (1) WO20131486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7320B2 (en) * 2012-06-21 2014-08-19 Mantissa Corporation Independent discharge sorting conveyor
US10987868B2 (en) 2012-10-31 2021-04-27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Production line for making tangible products by layerwise manufacturing
US10011440B2 (en) * 2013-09-04 2018-07-03 Compac Technologies Limited Tipping actuator for a conveyor system
DE102014004089B4 (de) * 2014-03-21 2015-10-22 Beumer Gmbh & Co. Kg Sortierförderer mit auf Fahrwagen abgestützten Tragwagen
TWI718096B (zh) * 2014-04-23 2021-02-11 荷蘭商荷蘭Tno自然科學組織公司 用以藉由分層製造技術製作有形產品之生產線及方法
US10160606B2 (en) 2014-08-29 2018-12-25 Mantissa Corporation Conveyor system wheel failure detection and remediation
CN104555310A (zh) * 2014-12-12 2015-04-29 云南财经大学 一种地链式柔性输送系统
US9637318B2 (en) 2014-12-16 2017-05-02 Amazon Technologies, Inc. Mobile configurable conveyor component
FR3035087B1 (fr) * 2015-04-17 2017-04-21 Maf Agrobotic Dispositif de transport d'objets et dispositif de convoyage et de pesee equipe de tels dispositifs de transport
USD777397S1 (en) * 2015-04-27 2017-01-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Apparatus for handling and sorting packages
USD798023S1 (en) * 2015-08-11 2017-09-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Apparatus for handling and sorting packages
USD798022S1 (en) * 2015-08-11 2017-09-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Apparatus for handling and sorting packages
CN105109910B (zh) * 2015-09-09 2017-04-26 中邮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托盘式分拣小车及其分拣系统
CH711791A1 (de) * 2015-11-17 2017-05-31 Wrh Walter Reist Holding Ag Fördersystem.
CN105775621B (zh) * 2016-05-12 2017-12-01 广州艮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多工位输送系统的主动力模块
US10507910B2 (en) * 2017-02-24 2019-12-17 The Boeing Company Dual-input mechanical bypass linkage apparatus and methods
DE102018202306A1 (de) * 2018-02-15 2019-08-22 Krones Ag Kastenwaschmaschine für Flaschenkästen und Verfahren zum Reinigen von Flaschenkästen
US10549916B2 (en) * 2018-03-23 2020-02-04 Amazon Technologies, Inc. Mobile drive unit having a conveyor module
US10450142B1 (en) * 2018-04-26 2019-10-22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Conveyor carrier cart
US10894664B1 (en) 2018-06-29 2021-01-19 Amazon Technologies, Inc. Mobile sortation and delivery of multiple items
CN112368223B (zh) * 2018-07-06 2022-06-21 Psa国际港务集团 用于集装箱锥进和/或解锥的装置和方法
US10663048B2 (en) * 2018-08-07 2020-05-26 GBI, Intralogistics Solutions Tilt tray mechanism
CN109696384B (zh) * 2018-12-06 2021-03-09 温州市市政工程建设开发公司 橡胶沥青混合料前置质量精选分级系统
WO2020117874A1 (en) * 2018-12-06 2020-06-11 Tompkins International Vehicle and material handler
CN110250255B (zh) * 2019-07-23 2024-02-27 湖州弘鑫生态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立体智能化分鱼机
CN110282372B (zh) * 2019-07-30 2021-08-10 成都百德邮政专用设备制造有限公司 基于摩擦驱动运行的立式直线分拣机
CN110641914B (zh) * 2019-10-16 2021-06-15 台州市新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涂料生产用自动输送装置
EP4107101A4 (en) * 2020-02-19 2024-02-21 Aquabot Ltd TROLLEY WITH TILT MECHANISM
DE102020114047A1 (de) * 2020-05-26 2021-12-02 Rippert Besitzgesellschaft Mbh & Co. Kg Fördersystem zum lokalen Transport von Werkstücken sowie Verwendung desselben mit oder in einer Lackieranlage
CN111960047A (zh) * 2020-07-24 2020-11-20 山东省青岛第四十五中学(青岛工贸职业学校) 一种无人定位数控自动化输送机
KR102232446B1 (ko) * 2020-08-12 2021-03-26 한아에스에스 주식회사 물품 분류장치
KR102231126B1 (ko) * 2020-08-28 2021-03-24 한아에스에스 주식회사 위치조절이 가능한 당도 센서 및 이 당도 센서가 구비된 이송장치
CN112919009B (zh) * 2021-02-27 2022-07-15 临沂中联水泥有限公司 一种储存水泥用提升装置及提升方法
JP7468484B2 (ja) * 2021-09-03 2024-04-16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車
KR102425593B1 (ko) 2022-03-18 2022-07-27 인터랩스 주식회사 수직형 물품 분류 장치
FR3137905A1 (fr) * 2022-07-12 2024-01-19 Solystic Trieur compact à chariots porteurs guidés par rails tubulaires

Family Cites Families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4665A (en) 1958-05-22 1962-05-15 Speaker Sortation Systems Inc Conveyor system
US3167192A (en) 1961-01-10 1965-01-26 Prospect Mfg Co Inc Automatic sortation system
US3119488A (en) 1962-03-28 1964-01-28 Rabinow Engineering Co Inc Conveyor system and cart
US3211279A (en) 1962-08-03 1965-10-12 Gen Motors Corp Conveyor system
US3233720A (en) 1963-06-19 1966-02-08 Aerojet General Co Sorting conveyors, especially for postal systems
US3270860A (en) 1963-10-09 1966-09-06 Western Electric Co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rticles
US3265190A (en) 1964-12-02 1966-08-09 Webb Co Jervis B Tilting discharge carrier for conveyors
US3510014A (en) 1967-10-02 1970-05-05 Automatic Sprinkler Corp Conveyor system
FR1574831A (ko) 1968-05-06 1969-07-18
US3630394A (en) 1969-10-22 1971-12-28 Ato Inc Cam lever for article handling tray
US3603444A (en) 1969-10-24 1971-09-07 Gen Electric High-speed sorting device
US3669245A (en) 1970-01-13 1972-06-13 Aerojet General Co Tilt type conveyors
FR2117759B1 (ko) 1970-12-15 1974-11-08 Cytec France
US3834316A (en) 1972-03-09 1974-09-10 Jung A Lokomotivfab Gmbh Two rail suspension railway with a linear motor
CA989884A (en) 1972-04-10 1976-05-25 Richard L. Speaker Conveying apparatus including tilting support structures
US3788447A (en) 1972-07-03 1974-01-29 Fmc Corp Linear motor conveyor
US3848728A (en) 1973-02-01 1974-11-19 Butz Eng Corp Conveyor and sorting system
US3910406A (en) 1973-09-26 1975-10-07 Velten & Pulver Two-part clip
US3881609A (en) 1974-05-28 1975-05-06 Peter H Ellis Tiltable tray sorting system with adjustable drive means
US3977513A (en) 1974-05-28 1976-08-31 Sun Chemical Corporation Cart conveyor system
US3945485A (en) 1974-06-12 1976-03-23 Speaker Motion Systems, Inc. Tray conveying apparatus
JPS51109666A (en) 1975-03-20 1976-09-28 Toyo Kanetsu Kk Jidoshiwakekonbeya
US4024949A (en) * 1975-08-11 1977-05-2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Interior Traverse bendable endless belt conveyor
US3974909A (en) 1975-08-22 1976-08-17 American Chain & Cable Company, Inc. Tilting tray sorting conveyor
US4004681A (en) 1976-04-05 1977-01-25 American Chain & Cable Company, Inc. Tilting tray sorting system
US4174773A (en) 1977-07-19 1979-11-20 A-T-O Inc. Sortation conveyor tip-up and mounting apparatus
US4197933A (en) 1977-12-05 1980-04-15 The Boeing Company Linear induction drive system for accelerating and decelerating moving walkway
CH642326A5 (de) 1980-01-04 1984-04-13 Daverio Ag Verteilfoerderer fuer stueckgut.
US4512710A (en) 1982-09-03 1985-04-23 Textron Inc. Robot forearm
US4876966A (en) 1984-03-06 1989-10-31 Fujitsu Ltd Transport control system with linear motor drive
JPS60204250A (ja) 1984-03-26 1985-10-15 Toshiba Corp 搬送装置
US4669388A (en) 1984-05-04 1987-06-02 Jervis B. Webb Company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dvancing conveyor carriers through a work station
DK397584D0 (da) 1984-08-20 1984-08-20 Cosan Crisplant As Sorteringtransportoer med sidevippelige transportbakker
DE3601963A1 (de) 1985-01-26 1986-07-31 Kabushiki Kaisha Toshiba, Kawasaki, Kanagawa Transportanordnung
IT8520636V0 (it) 1985-01-29 1985-01-29 Canziani Francesco Carrello in particolare per smistatrici a piattelli ribaltabili.
CA1282729C (en) 1986-01-27 1991-04-09 Toshiyuki Takeuchi Conveyor system utilizing linear motor
DE3602861A1 (de) 1986-01-31 1987-08-13 Beumer Maschf Bernhard Kipp-foerderelement fuer einen stueckgutfoerderer
US4846335A (en) 1987-02-03 1989-07-11 Dominion Chain Inc. Sorter tilt mechanism
US4856642A (en) 1987-10-30 1989-08-15 Figgie International Inc. Sortation conveyor
US4982828A (en) 1987-10-30 1991-01-08 Figgie International Inc. Sortation conveyor
EP0388433A4 (en) 1987-11-06 1991-04-03 John David Fortenberry Tip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ilting carrier conveyor
US5176485A (en) 1988-12-06 1993-01-05 Yellow Freight System, Inc. Freight manipulator with articulated cantilever boom
US5664660A (en) 1989-02-24 1997-09-09 Kosan Crisplant A/S Sorter conveyor
DE3908632C1 (ko) 1989-03-16 1990-02-08 Bernhard Beumer Maschinenfabrik Kg, 4720 Beckum, De
US5054601A (en) 1989-09-19 1991-10-08 Quipp, Incorporated Sorting conveyor
EP0498189B1 (de) 1991-02-08 1995-10-11 Heinz-Ulrich Lewin Kurvengängiges, dezentral antreibbares Gummigurtband
JPH05162846A (ja) 1991-12-12 1993-06-29 Toyo Kanetsu Kk 仕分装置
US5433311A (en) 1993-11-17 1995-07-18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Dual level tilting tray package sorting apparatus
US5372234A (en) 1993-12-02 1994-12-13 Mantissa Corporation Tipping apparatus for a sortation conveyor
US5676514A (en) 1994-01-03 1997-10-14 Symorex, Ltd. Trolley car for material handling train
US5421267A (en) 1994-07-28 1995-06-06 The Walt Disney Company Articulated pinch drive
US5836436A (en) 1996-04-15 1998-11-17 Mantissa Corporation Tilting cart for a package sorting conveyor
US5894918A (en) 1997-01-06 1999-04-20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Conveyor having serpentine capabilities
DE19718269A1 (de) * 1997-04-30 1998-11-05 Beumer Maschf Bernhard Stückgut-Gliederförderer
DE19756303C1 (de) * 1997-12-09 1999-07-08 Mannesmann Ag Verteilförderer zum Übergeben von Stückgut
US6009992A (en) 1998-03-02 2000-01-04 Mantissa Corporation Cascade free tilting mechanism
US6182813B1 (en) 1998-04-29 2001-02-06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Side conveyor disc including quick-change features
US6239744B1 (en) 1999-06-30 2001-05-29 Radio Frequency Systems, Inc. Remote tilt antenna system
US6367610B1 (en) 2000-02-14 2002-04-09 Mantissa Corporation High efficiency sorting conveyor
US6298975B1 (en) * 2000-03-03 2001-10-09 Mantissa Corporation Lim sorting conveyor
JP4538774B2 (ja) 2001-02-14 2010-09-08 株式会社ダイフク 台車式搬送装置
ITMI20020787A1 (it) * 2002-04-12 2003-10-13 Sandvik Sorting Systems S P A Sistema di traino migliorato per macchine smistatrici
US6959803B1 (en) 2002-12-18 2005-11-01 Span Tech Llc Self-tensioning conveyor
DK1454856T3 (da) * 2003-03-03 2006-02-20 Siemens Ag Vippeskål-sorteringstransportör
US7757842B1 (en) 2005-09-26 2010-07-20 Mantissa Corporation Conveyor belt deck and frame having an substantially vertical maintenance position
US7621392B2 (en) * 2007-05-29 2009-11-24 Siemens Industry, Inc. Conveyor carousel with distributed drive system
DE102010000790A1 (de) * 2010-01-11 2011-07-14 Dürr Systems GmbH, 74321 Fördervorrichtung
US8807320B2 (en) 2012-06-21 2014-08-19 Mantissa Corporation Independent discharge sorting convey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48670A1 (en) 2013-10-03
CN104203778A (zh) 2014-12-10
US20130248323A1 (en) 2013-09-26
US8851267B2 (en) 2014-10-07
US9067743B1 (en) 2015-06-30
CN104203778B (zh) 2018-07-27
KR20150006092A (ko) 201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430B1 (ko) 개선된 마찰 구동 모터 조립체를 가진 고효율 분류컨베이어
US6009992A (en) Cascade free tilting mechanism
US6367610B1 (en) High efficiency sorting conveyor
US9422119B1 (en) Independent discharge sorting conveyor
US5836436A (en) Tilting cart for a package sorting conveyor
US6899217B1 (en) Off-set block tilt tray sorter with gap detector
US10160606B2 (en) Conveyor system wheel failure detection and remediation
JPS5846404B2 (ja) コンベヤソウチオヨビジザイツギテ
US6360673B1 (en) Trolley chassis
US10577193B1 (en) Cross-belt sortation tray
US6206170B1 (en) Control system for a tilt tray sorter
MX2007004767A (es) Aparato de transporte tipo soporte y sistema de conexion de soporte de trnasporte del aparato de transporte.
US6298975B1 (en) Lim sorting conveyor
US20220153537A1 (en) Package sorting machine
US6484866B1 (en) Tilting mechanism
US6003656A (en) Low wear tilting mechanism
US10549767B2 (en) Wheel drive cart for an item transporting and sorting system
CN110214119B (zh) 传送系统
JP2004168522A (ja) チェーンコンベヤ式搬送装置
CN113753613B (zh) 一种卸货系统
JP3758604B2 (ja) 可動体使用の搬送設備
CN113753612B (zh) 一种卸货机
CN113753610B (zh) 一种卸货机及卸货系统
KR101692770B1 (ko) 워킹카의 물품 이송장치
JPH032345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