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770B1 - 워킹카의 물품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워킹카의 물품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770B1
KR101692770B1 KR1020150090141A KR20150090141A KR101692770B1 KR 101692770 B1 KR101692770 B1 KR 101692770B1 KR 1020150090141 A KR1020150090141 A KR 1020150090141A KR 20150090141 A KR20150090141 A KR 20150090141A KR 101692770 B1 KR101692770 B1 KR 101692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blade
link member
blade body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래
Original Assignee
김용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래 filed Critical 김용래
Priority to KR1020150090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7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0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load carriers resting on the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4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flat surfaces, e.g. platforms, grids, f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42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 B65G2812/0245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the surfaces being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48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the surfaces being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49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the surfaces being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load-carrying surfaces using platforms or 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킹카의 물품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워킹카의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체인이 체인구동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체인에 이송블레이드가 구비된 워킹카의 물품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인은 종방향 링크부재와 횡방향 링크부재가 반복되게 결합되어 상기 워킹카 바닥의 일측과 타측에 구비된 피동지지축과 구동지지축의 링크스프라켓휘일을 감아 무한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송블레이드는 수평형태의 블레이드몸체의 양측 단부에 수직판형태의 블레이드아암이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몸체의 하부가 횡방향링크부재의 상부에 얹혀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워킹카의 바닥 깊숙히 적재되어 있는 알갱이 형태의 이송물품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과부하가 발생될 경우 이송블레이드가 틀어지도록 하여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체인 및 구동부의 파손을 막아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워킹카의 물품 이송장치{GOODS TRANSPORTATION DEVICE OF THE WORKING CAR}
본 발명은 워킹카의 물품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송블레이드가 구비된 체인이 워킹카의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체인구동부에 의하여 체인이 무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워킹카의 바닥 깊숙히 알갱이 형태로 적재되어 있는 물품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갱이 형태를 갖는 우드칩, 우드펠릿, 고형연료 (이하, "이송물품"이라 함) 등은 운반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주로 워킹카를 사용하게 된다.
워킹카는 적재함의 바닥에 레일 또는 체인이 구비되어 외부에서 스위치의 조작만으로도 레일 또는 체인에 의하여 적재판이 이동함으로써, 용이한 적재와 하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적재판은 양측으로 별도의 브라켓이나 핀을 이용하여 레일 또는 체인에 고정되어져 있음으로써, 이동력 또는 구동력을 증가시켜 하중이 무거운 것들도 용이한 적재와 하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를 갖는 워킹카의 적재판은 적재판의 양측으로 레인 또는 체인에 고정되어져 있음으로써, 이송물품의 적재 및 하적 과정에서 이동방향의 전방으로 압착되어 끼이게 될 경우, 과부하가 발생되는 원인이 있었다.
또한, 과부하로 인하여 구동부가 파손되거나 심지어 적재판 또는 레일, 체인에 변형이 발생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로 인해 이송물품의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파손이나 변형이 발생될 경우 그에 따른 교체와 시간 및 비용이 추가적으로 지출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기어를 이용한 이송판을 갖는 이송장치가 제안되었으나, 이 역시 동일한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1999-0041966호(1999.06.15)
본 발명은 이송물품의 적재 및 하적 과정에서 과부하가 발생될 경우 이송블레이드가 틀어지도록 함으로써,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체인 구동부가 파손되는 것을 막아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송물품의 적재 및 하적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수리시 교체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이 추가적으로 지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워킹카의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체인이 체인구동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체인에 이송블레이드가 구비된 워킹카의 물품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인은 종방향 링크부재와 횡방향 링크부재가 반복되게 결합되어 상기 워킹카 바닥의 일측과 타측에 구비된 피동지지축과 구동지지축의 링크스프라켓휘일을 감아 무한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송블레이드는 수평형태의 블레이드몸체의 양측 단부에 수직판형태의 블레이드아암이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몸체의 하부가 횡방향링크부재의 상부에 얹혀지게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몸체와 블레이드아암은 뒤틀림부재에 의하여 일체로 틀어지게 형성되되, 상기 블레이드아암은 블레이드몸체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으로 뒤틀려져 뒤틀림부재가 수직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몸체는 전면과 후면에 링크노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몸체는 횡방향링크부재에 얹혀져 용접 또는 볼팅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인이 구비된 워킹카의 바닥에는 체인의 길이방향을 가지며, 종방향 링크부재의 하부측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갖는 체인가이드레일에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아암이 위치된 워킹카의 바닥에는 체인의 길이방향을 가지며, 상기 블레이드아암의 하부측이 얹혀지는 아암가이드레일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인구동부는 구동모터의 구동스프라켓휘일에 감속스프라켓휘일이 제1체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감속스프라켓휘일의 구동지지축에 구비된 구동스프라켓휘일이 제2체인으로 연결되어 감속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워킹카의 바닥 밑면에는 바닥 윗면을 따라 이송된 블레이드아암과 체인이 안정되게 받쳐지는 체인받침부가 구비되고, 상기 체인받침부는 받침패널의 상부에 체인받침가이드와 블레이드아암 받침가이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이송블레이드가 구비된 체인이 워킹카의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체인구동부에 의하여 체인이 무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워킹카의 바닥 깊숙히 적재되어 있는 알갱이 형태의 이송물품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송물품의 배출과정에서 과부하가 발생될 경우 이송블레이드가 틀어지도록 함으로써,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체인 구동부의 파손을 막아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송물품의 적재 및 하적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점검과 교체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이 추가적으로 지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워킹카의 물품 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워킹카의 물품 이송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워킹카의 물품 이송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워킹카의 물품 이송장치의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워킹카의 물품 이송장치의 종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워킹카의 물품 이송장치(A)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킹카(W)의 바닥 깊숙히 적재되어 있는 알갱이 형태의 이송물품(G)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워킹카(W)의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체인(10)이 체인구동부(20)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체인(10)에 이송블레이드(3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체인(10)은 핀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기존의 방식이 아니라 소정의 직경을 갖는 강봉을 장방향의 링형태를 갖도록 하여 길이방향으로 반복되게 결합된 것으로 하나의 종방향 링크부재(11)에 동일한 형태를 갖는 횡방향 링크부재(12)가 반복된 형태로 결합되며, 각각의 종방향 링크부재(11)와 횡방향 링크부재(12)가 맞닿는 면은 용접이음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양측방향에서 과도한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풀려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체인(1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열된 상태에서 일측의 끝이 타측의 끝에 맞닿게 구비되어 환형태 즉, 무한회동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체인(10)은 워킹카(W) 바닥의 일측과 타측에 구비된 피동지지축(25')과 구동지지축(25)의 링크스프라켓휘일(S)에 감겨져 무한 회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체인구동부(20)는 체인(10)을 직접적으로 구동시켜 이송블레이드(30)에 의하여 이송물품(G)이 이송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구동모터(21)의 구동스프라켓휘일(22)에 감속스프라켓휘일(23)이 제1체인(24)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21)의 구동력이 감속되는 가운데 구동력이 1차적으로 증대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감속스프라켓휘일(23)은 체인(10)의 설치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구비된 구동지지축(25)에 결합된 구동스프라켓휘일(26)에 제2체인(27)으로 연결되어 2차 감속으로 구동력이 더 증대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송블레이드(30)는 체인(10)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체인(10)이 이송되는 가운데 체인(10)의 주변에 위치된 이송물품(G)이 직접적으로 끌어 이송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블레이드(30)는 수평형태의 블레이드몸체(31)의 양측 단부에 수직판형태의 블레이드아암(32)이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몸체(31)의 하부가 횡방향링크부재(12)의 상부에 얹혀지게 구비되어 있다.
이는 이송블레이드(30)가 체인(10)에 의하여 이송되는 과정에서 이송블레이드(30)의 좌측이나 우측 또는 일측이나 타측에 이송물품(G)이 걸려 과부하가 발생될 경우, 종방향 링크부재(11)와 횡방향 링크부재(12)에 의하여 일정한도 이상으로 이송블레이드(30)가 틀어지게 됨으로써, 과부하나 변형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블레이드몸체(31)는 전면과 후면에 횡방향 링크부재(12)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링크노출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몸체(31)는 횡방향링크부재(12)에 얹혀져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여져 있음으로써, 블레이드몸체(31)가 종방향 링크부재(1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몸체(31)와 블레이드아암(32)은 뒤틀림부재(33)에 의하여 일체로 틀어지게 형성되어 소재 사용량을 줄 일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블레이드몸체(31)는 수평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횡방향링크부재(12)에 얹혀질 수 있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몸체(31)의 양측단부에는 각각 뒤틀림부재(33)의 내측이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뒤틀림부재(33)의 외측은 수평형태를 갖는 블레이드몸체(31)에 대하여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뒤틀려지게 일체로 연장됨으로서 상기 블레이드아암(32)이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블레이드몸체(31)와 블레이드아암(32)은 뒤틀림부재(33)에 의하여 일체로 틀어지게 구비되어 소재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상기 블레이드몸체(31)와 블레이드아암(32)를 각각 분리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몸체(31)의 양측에 블레이드아암(32)이 맞대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용접 및 볼팅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블레이드몸체(31)가 횡방향링크부재(12)에 얹혀져 용접이음으로 결합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볼팅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용접이음으로 결합된 경우, 간혹 변형이 발생하면 이를 분리하여 교체하는 것이 번거로우나 볼팅으로 결합될 경우, 볼팅만 풀어 다시 교체하는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체인(10)이 구비된 워킹카(W)의 바닥에는 체인(10)의 길이방향을 가지며, 종방향 링크부재(11)의 하부측이 삽입되는 가이드홈(41)을 갖는 체인가이드레일(40)에 구비되어 체인(10)이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아암(32)이 위치된 워킹카(W)의 바닥에는 체인(10)의 길이방향을 가지며, 상기 블레이드아암(32)의 하부측이 얹혀지는 아암가이드레일(50)이 구비됨으로써, 블레이드아암(32)이 체인(10)에 의하여 이송되는 과정에서 좌우 또는 상하로 흔들리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워킹카(W)의 바닥 밑면에는 바닥 윗면을 따라 이송된 블레이드아암(32)과 체인(10)이 안정되게 받쳐지는 체인받침부(6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체인받침부(60)는 받침패널(61)의 상부에 체인받침가이드(62)와 블레이드아암 받침가이드(63)가 구비되어 저면 또는 외부에서 체인(10)과 블레이드아암(32)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외부로부터 이물질 등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워킹카의 물품 이송장치(A)에 의하여 워킹카(W)에 적재된 이송물품(G)이 이송되는 과정을 다음과 같다.
먼저, 미도시한 스위치를 ON하면 체인구동부(20)의 구동모터(21)가 구동됨으로써, 구동스프라켓휘일(23)에 의하여 제1체인(24)이 감속스프라켓휘일(23)을 회전시키면서 구동력이 증가된다.
다음, 구동력이 증가된 동력은 다시 감속스프라켓휘일(23)에 의하여 제2체인(27)을 통해 구동스프라켓휘일(26)로 전달됨에 따라 큰 구동력으로 구동지지축(25)이 회전된다.
다음, 구동지지축(25)에 결합된 링크스프라켓휘일(S)이 연동됨에 따라 종방향링크부재(11)와 횡방향링크부재(12)가 회동됨으로써, 횡방향링크부재(12)에 결합된 이송블레이드(30)가 이동되면서 바닥에 있는 이송물품(G)이 끌려 가면서 이송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종방향링크부재(11)의 하부가 체인가이드레일(40)의 가이드홈(41)에 안착된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블레이드몸체(31)의 양측으로 구비된 블레이드아암(32)은 아암가이드레일(50)에 의하여 받쳐진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균일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송물품(G)의 국부적인 집중에 의하여 블레이드아암(32)이 걸리면서 과부하가 발생될 경우, 종방향링크부재(11)와 횡방향링크부재(12)가 서로 구속됨이 없음으로써, 도4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블레이드(30)가 틀어지면서 과부하가 방지된다.
다음, 이송물품(G)을 배출시킨 이송블레이드(30)는 구동지지축(25)에 구비된 링크스프라켓휘일(S)에 의하여 방향이 전환된 후 받침패널(61)의 상부로 구비된 체인받침가이드(62) 및 블레이드아암 받침 가이드(63)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피동지지축(25')이 구비된 방향으로 이동된 후 다시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의 반복을 통해 이송물품(G)이 외부로 배출된다.
10:체인 11:종방향 링크부재
12:횡방향 링크부재 20:체인구동부
21:구동모터 22:구동스프라켓휘일
23:감속스프라켓휘일 24:제1체인
25:구동지지축 25':피동지지축
26:구동스프라켓휘일 27:제2체인
30:이송블레이드 31:블레이드몸체
32:블레이드아암 33:뒤틀림부재

Claims (7)

  1. 워킹카의 바닥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체인이 체인구동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체인에 이송블레이드가 구비된 워킹카의 물품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인은 종방향 링크부재와 횡방향 링크부재가 반복되게 결합되어 상기 워킹카 바닥의 일측과 타측에 구비된 피동지지축과 구동지지축의 링크스프라켓휘일을 감아 무한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송블레이드는 수평형태의 블레이드몸체의 양측 단부에 수직판형태의 블레이드아암이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몸체의 하부가 횡방향링크부재의 상부에 얹혀지게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몸체와 블레이드아암은 뒤틀림부재에 의하여 일체로 틀어지게 형성되되, 상기 블레이드아암은 블레이드몸체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으로 뒤틀려져 뒤틀림부재가 수직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카의 물품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몸체는 전면과 후면에 링크노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몸체는 횡방향링크부재에 얹혀져 용접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카의 물품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몸체는 전면과 후면에 링크노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몸체는 횡방향링크부재에 얹혀져 볼팅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카의 물품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이 구비된 워킹카의 바닥에는 체인의 길이방향을 가지며, 종방향 링크부재의 하부측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갖는 체인가이드레일에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아암이 위치된 워킹카의 바닥에는 체인의 길이방향을 가지며, 상기 블레이드아암의 하부측이 얹혀지는 아암가이드레일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카의 물품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구동부는 구동모터의 구동스프라켓휘일에 감속스프라켓휘일이 제1체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감속스프라켓휘일의 구동지지축에 구비된 구동스프라켓휘일이 제2체인으로 연결되어 감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카의 물품 이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카의 바닥 밑면에는 바닥 윗면을 따라 이송된 블레이드아암과 체인이 안정되게 받쳐지는 체인받침부가 구비되고, 상기 체인받침부는 받침패널의 상부에 체인받침가이드와 블레이드아암 받침가이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킹카의 물품 이송장치.
  7. 삭제
KR1020150090141A 2015-06-25 2015-06-25 워킹카의 물품 이송장치 KR101692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141A KR101692770B1 (ko) 2015-06-25 2015-06-25 워킹카의 물품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141A KR101692770B1 (ko) 2015-06-25 2015-06-25 워킹카의 물품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770B1 true KR101692770B1 (ko) 2017-01-04

Family

ID=5783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141A KR101692770B1 (ko) 2015-06-25 2015-06-25 워킹카의 물품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77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220U (ja) * 1993-04-01 1994-10-28 三菱長崎機工株式会社 清掃用押動部材を備えたコンベヤ
KR19990041966A (ko) 1997-11-25 1999-06-15 정몽규 화물차 적재함의 화물이송장치
KR100668443B1 (ko) * 2006-08-01 2007-01-12 주목산업(주) 건설폐기물의 습식처리장치용 침전물 배출장치
KR20090005555U (ko) * 2007-12-04 2009-06-09 현대제철 주식회사 체인 컨베이어
JP2014047061A (ja) * 2012-09-03 2014-03-17 Hitachi Plant Mechanics Co Ltd チェンコンベア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220U (ja) * 1993-04-01 1994-10-28 三菱長崎機工株式会社 清掃用押動部材を備えたコンベヤ
KR19990041966A (ko) 1997-11-25 1999-06-15 정몽규 화물차 적재함의 화물이송장치
KR100668443B1 (ko) * 2006-08-01 2007-01-12 주목산업(주) 건설폐기물의 습식처리장치용 침전물 배출장치
KR20090005555U (ko) * 2007-12-04 2009-06-09 현대제철 주식회사 체인 컨베이어
JP2014047061A (ja) * 2012-09-03 2014-03-17 Hitachi Plant Mechanics Co Ltd チェンコンベア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430B1 (ko) 개선된 마찰 구동 모터 조립체를 가진 고효율 분류컨베이어
US20060254883A1 (en) Chain-type conveyor having direction-changing roller
CN110834934A (zh) 一种曲轴式垂直提升机构及工作方法
KR101991293B1 (ko) 과일 선별용 과일 자동 적재 장치
KR101692770B1 (ko) 워킹카의 물품 이송장치
KR20050012436A (ko) 적재 및 이송을 위한 유동바닥 구조
US6732849B2 (en) Sorting system
US6401906B1 (en) S-shaped board unscrambler
CN212502366U (zh) 一种用于传输托盘的运输带
CN108706281B (zh) 卸货装置及装载设备
Gupta Safety measures for reduction of failure in belt conveyor for thermal power plant
JPS5842509A (ja) コンベア
KR101295593B1 (ko) 트리퍼카용 배출장치
CN105583061A (zh) 刮板机构及刮板输送器、给料破碎机、散装物料输送系统
US200400386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separately supplied elongate meat products
KR20080001242U (ko) 컨베이어 체인의 이송안내장치
JP2000289824A (ja) スラットコンベヤならびにスラットコンベヤ使用の車両搬送設備
CN215247482U (zh) 一种新型上料机
CN216004064U (zh) 一种斗式提升机
CN210064217U (zh) 皮带机返带装置及皮带机
KR20210004932A (ko) 반송 분류 장치
CN220549586U (zh) 一种链式上料机构
CN220222344U (zh) 一种新型提升机
CN216917629U (zh) 一种石料输送装置
CN210882790U (zh) 一种新型包子输送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0

Year of fee payment: 4